KR100841992B1 -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992B1
KR100841992B1 KR1020070044571A KR20070044571A KR100841992B1 KR 100841992 B1 KR100841992 B1 KR 100841992B1 KR 1020070044571 A KR1020070044571 A KR 1020070044571A KR 20070044571 A KR20070044571 A KR 20070044571A KR 100841992 B1 KR100841992 B1 KR 100841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water
ozone
air
water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부열
Original Assignee
운해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운해이엔씨(주) filed Critical 운해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07004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4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z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통과 연결되어 고압 방전으로 오존을 발생시키고 이를 물에 용해시켜 얻은 오존수를 사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시킴과 아울러, 오존수를 살균 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오존수를 공급함과 아울러 오존수를 공기 정화 성능을 부여하되, 관로의 길이가 대폭 연장되어 공기의 경로가 충분히 길게 되므로 오존수와의 접촉을 충분히 할 수 있으며, 오존수의 분사량을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오존수를 사용하여 공기를 정화시킴에도 불구하고 정화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가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를 지그재그형 관로로 연결하고, 관상체의 중간에 설치된 노즐과, 노즐을 통하여 공지의 오존수를 분사하도록 하기 위한 압송펌프 및 오존수 분사제어밸브를 구비하며, 배출구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의 수분 제거를 위한 데미스터 및 필요에 따라 작동되는 습기제거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여과함은 물론 특히 강력한 세정, 살균력을 지닌 오존수에 의하여 정화시키되,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상응하여 최적량의 오존수를 사용하여 정화시키고, 그 크기를 다양하게 하여 다용도로 제작할 수 있으며,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의 습도가 적정 레벨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거주 자의 생활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 {Multi-Function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OH Radical}
도 1, 2, 3, 4는 종래의 오존수 제조 및 공기정화를 위한 설비를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를 보인 설명도.
도 6은 기액혼합수단이 설치된 예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도.
도 7은 실내의 습도에 따라 배출 공기의 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설명도.
도 8은 오존수저장조의 수위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설명도.
도 9는 오존수 세척조를 연결한 예를 보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설명도.
도 10은 권취릴을 사용하여 오존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설명도.
도 11은 다수의 챔버를 관로로 채택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설명도.
도 12는 챔버에 설치되는 분사노즐의 다른 형태를 보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산소통 2:유량 조절부
3:고압방전장치 4:오존저장용기
5:오존용해기 6:냉각코일
7:오존수저장조 8:흡입구
9:여과수단 10:흡기팬
11:관로 12:기액혼합수단
13:분사노즐 14:오존수 분사제어밸브
15:제어부 16:데미스터
17:제1공기배출제어밸브 18:제2공기배출제어밸브
19:제습제함유담체 20:히터
21:배출구 22:압송펌프
23:카본충전조 24:악취검출센서
25:습도 검출용 센서 26:저수위검출프로브
27:고수위검출프로브 28:산소공급밸브
29:오존수 공급밸브 30:세척조
31:오존수 배출밸브 32:오존수 배출밸브
33:권취릴 34:분사노즐
35:호스 36:함체
37:밀폐판 38:다공판
39:챔버
본 발명은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소통과 연결되어 고압 방전으로 오존을 발생시키고 이를 물에 용해시켜 얻은 오존수를 사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시킴과 아울러, 오존수를 살균 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도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가 공지되었다.
이러한 오존수는 오존이 물에 1ppm이상 녹아 있는 물이며, 살균력이 강력하기 때문에 물속에 있는 비브리오, 일반대장균, 살모넬라, O-157, 황색 포도상 구균 등의 병인성 세균을 수초 ~ 수분 이내에 살균 시키는 물이며, 발암물질을 만들지 않으므로 미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서 상수도 및 정수장에서 100여 년 전부터 많이 쓰이고 있다.
이러한 오존수를 제조하기 위한 대표적인 예를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0434060호(고안의 명칭:오존(수), 플라즈마, 촉매를 이용한 고효율 악취제거장치및 그 방법; 이하 '인용발명 1'이라 함)에 의하여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용고안 1은 도 1로 보인 바와 같이, 오존수조(109)를 준비하고, 그 위에 악취제거를 위하여 오존펌프(114)로 펌핑하고 분사노즐(112)로 분사하여 공기를 정화하며, 데미스트(113)로 수분을 제거한 후 배출시키도록 한 것이어서, 오존수를 이용하여 공기 정화 성능을 얻을 수 있는 것이기는 하나, 정화 용기 내부에서 상승하는 공기에 오존수를 분사하여 정화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불가피하게 정화 용기가 대형화되는 것이어서 소규모로는 제작이 어려워 산업용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가정이나 업소용으로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460156호(고안의 명칭: 오존무 분사장치; 이하 '인용발명2'라 함)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도 2로 보인 바와 같이, 오존을 물과 함께 공기중에 분사함으로써, 공기 정화 성능을 얻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는 직접 대기중에 오존을 분사하는 방식이어서 항상 실내의 습도를 높이는 것일 뿐만 아니라, 오존이 물에 용해되지 않은 채 오존과 물이 각기 분사되어 습도가 높은 실내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주변의 사람이나 물건, 장치 등에 직접 수분을 분사하는 것이어서 사용에 부담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오존이 직접 분사되는 비율이 높으므로 유해성을 발생시키게 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428872호(고안의 명칭오존수 제조장치를 구비한 실내 살균 및 공기 살균 정화기; 이하 '인용발명 3'이라 함)는 도 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01)는 캐비넷(cabinet)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실(302)에는 오존수를 제조하기 위한 오존수 제조장치(310)가 구비되고, 이는 수도관에서 발생되는 자연적인 수압에 의해 오존 발생기(311)로부터 발생된 오존가스를 물에 압축 용해시키도록 이루어진 오존수 제조장치(310)가 적용된다.
하부실(302)의 상측으로는 상기 중간실(303)이 구비되는데, 이 중간실(303)의 양측으로는 필터(323)가 장착되는 흡입구(324)가 상기 케이스(301)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휀(325)이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324) 유입되는 공기를 상측으로 송풍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324)의 내측에는 상기 휀(325)에 의해 유입되면서 상기 필터(323)에 의해 필터링 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1차 살균 처리하기 위한 UV-C 파장(240~270nm)의 살균램프(326)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배기구(328)의 일단부에는 상기 하부실(302)의 오존발생기(311)로부터 분기되어 공급되는 오존가스공급관(331)의 단부가 배기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로부터 오존가스가 배출되며, 상기 오존산화램프(330)는 오존발생기에서의 공급되는 오존량이 부족할 경우 추가적인 오존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실 내부 전체를 오존가스로서 살균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존발생기(311)에서 발생된 오존가스가 상기 오존 가스공급관(331)을 통해 배기되면서 정화된 공기와 함께 실내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오존가스에 의한 실 내부 전체의 살균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인용발명 3은 살균력이 뛰어난 오존수 제조장치를 구비하여 일반 수도관에 연결할 경우 필요한 경우에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고, 실내의 공기에 오존 가스를 배출시켜 공기를 정화하는 효능이 있으므로, 쾌적하고 위생적인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는 잇점은 있으나, 이는 오존가스를 실내 공기에 직접 배출시키는 방식이어서, 인체에 해를 입히게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인용발명 1, 2, 3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존수를 공급함과 아울러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 성능을 부여하되,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오존수에 의한 공기 정화 성능을 오염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 할 수 있도록 한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존수를 사용하여 공기를 정화시킴에도 불구하고 정화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한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구로부터 흡입하여 필터로 여과하고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한 공지의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를 지그재그형 관로로 연결하고, 관상체의 중간에 설치된 노즐과, 노즐을 통하여 공지의 오존수를 분사하도록 하기 위한 압송폄프 및 오존수 분사제어밸브를 구비하며, 배출구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의 수분 제거를 위한 데미스터 및 공기 오염도에 따라 선택된 개수의 오존 분사 수단이 작동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연결되는 오존수 세척조 및 오존수 공급 호스의 길이 가변이 가능한 권취릴을 구비하여서 된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여과함은 물론 특히 강력한 세정, 살균력을 지닌 오존수에 의하여 정화시키되,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상응하여 최적량의 오존수를 사용하여 정화시키고, 실내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수분이 제거된 후 배출됨으로써, 실내 거주자의 생활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오존수를 사용하여 각종 기물을 세척하거나 필요한 경우 호스 권취릴을 사용하여 다소 떨어진 장소에 있는 식물이나 각종 물품에 오존수를 직접 분사하여 살균, 세정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오존수 제조부와 공기 정화부로 대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오존수 제조부는 순수한 양질의 오존을 얻고, 오존 발생 농도를 조절하며, 오존 발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원료 기체로 일반 공기를 사용하지 않고, 산소통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산소통을 사용하는 예는 도 4로 보인 바와 같은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0489636호(발명의 명칭: 의료용 오존시스템; 이하 '인용발명4'라 함)에도 예시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면 산소가 주입되는 산소통과 연결되어 고압 방전으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산소의 유량을 제어하는 흐름제어기를 통해 오존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농도조절수단으로 구성되어, 의료용은 물론 인체 호흡용으로 적합한 순수 오존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인용발명 4로 개시된 오존 발생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채택하여 구체화한 예를 도 5로 보였다.
이는 산소통(1)과, 산소통(1)에서 배출되는 산소가 유량 조절부(2)를 거쳐 고압방전장치(3)에 연결된다. 이러한 고압방전장치(3)에서는 오존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는 오존저장용기(4)에 저장된 후, 시수와 함께 오존용해기(5)에 투입된다.
이러한 오존용해기(5)에는 그 둘레에 오존 용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냉각코일(6)을 설치하며, 오존용해기(5)에서 생성된 오존수는 오존수저장조(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된 오존수 제조부(A)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사용되는 일례이며, 공기를 원료기체로 하여 고압방전과정을 거쳐서 오존을 생산하고 이를 시수와 함께 벤츄리 관을 통과시키면서 오존수로 되도록 기수(氣水)가 혼합되어 오존수가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기 정화부(B)가 구비되어 있으며, 흡입구(8)에 설치된 여과 수단과, 여과수단(9)에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송하도록 된 흡기팬(10)과, 흡기관에 의하여 압송되는 여과 공기를 배출구(21) 측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지그재그형으로 된 관로(11)와, 관로(11)에 하나 이상 설치된 분사노즐(13)과, 분사노즐(13)과 제어부(15)에 의하여 오존수 분사제어밸브(14)와, 전술한 오존수저장조(7)에 연결된 압송펌프(22)와, 배출구(21)에 인접하여 설치된 데미스터(16)로 구성된 공기정화부(B)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산소통(1)에서 배출되는 산소가 유량 조절부(2)를 거쳐 고압방전장치(3)에 공급된다. 이때 유량 조절부(2)를 조작하면 산소가 고압방전장치(3)에 유입되는 양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고압방전장치(3)에서 유입된 산소에 대하여 방전을 실시하여 산소분자의 재결합으로 오존이 발생되며, 이때 유입되는 산소의 양에 의하여 오존의 농도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발생된 오존은 오존저장용기(4)에 유입되고, 저장되며 저장된 오존은 시수와 함께 오존용해기(5)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오존용해기(5)에는 시수와 오존이 함께 투입되며, 오존용해기(5) 내에서 혼합되어 오존수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오존수는 오존수저장조(7)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오존용해기(5)의 하방에 오존수저장조(7)를 배치하여 낙차에 의하여 이동하거나 오존용해기(5)의 내부압력으로 이동시켜 오존수가 오존수저장조(7)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오존이 시수와 혼합되는 과정에서 용해되지 못하고, 배출되는 배오존이 불가피하게 발생하며, 이를 그대로 배출하면 유해 성분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카본충전조(23)를 통과시켜 이산화탄소화되도록 한 다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배오존량을 줄이고, 오존용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오존용해조의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오존용해조의 둘레에 냉각용 파이프를 감고, 이에 시수를 순환시켜 줌으로써, 오존용해조의 온도를 낮추어 오존 용해도를 높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저장된 오존수는 압송펌프(22)에 의하여 지그재그형으로 된 관로(11)에 설치된 분사노즐(13)에 공급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지그재그형으로 된 관로(11)에 의하여 공기의 경로가 대폭 연장되어 그 크기를 작게 제작하더라도 공기와 오존수가 충분히 접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관로(11)의 중간에 분사노즐(13)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으며, 분사노즐(13)에는 오존수 분사제어밸브(14)와 압송펌프(22)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오존수 분사제어밸브(14)와 압송펌프(22)는 제어부(15)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제어부(15)는 흡입구(8)에 인접하여 설치된 악취검출센서(24)에 의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악취가 심한 경우에는 모든 오존수 분사제어밸브(14)를 열고, 악취가 없거나 약한 경우에는 하나의 오존수 분사제어밸브(14)만을 열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하나 이상의 오존수 분사제어밸브(14)가 열리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압송펌프(22)가 작동하여 오존수 분사제어밸브(14)를 통하여 분사노즐(13)로 오존수가 분사되면서 관로(11)를 통과하는 실내의 공기와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분사노즐(13)의 직경은 작은 것인 경우 분사되는 오존수 입자가 작게 되고, 이에 따라 오존수 입자의 넓은 표면적과 실내공기가 접촉하여 실내 공기 중의 세균이 살균되고, 악취물질이 오존수에 의하여 분해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로(11)를 통과하는 실내공기는 오존수 분사제어밸브(14)에 의하 여 오존수가 분사되는 노즐의 개수가 많을 수 록 반복적으로 정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정화된 실내공기에는 오존수의 수분에 의하여 습도가 높아진 상태이며, 현재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이를 그대로 방출하더라도 문제가 없으나,
실내의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이를 그대로 방출하면 습도가 더욱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방출되는 정화된 공기의 습도를 낮추기 위하여 데미스터(16)를 사용한다. 이러한 데미스터(16)는 표면이 윤활한 세선으로 짠 후 일정한 간격으로 파장(corrugate)하여 용도에 맞게 적립한 것이며, 이를 통과하는 불순물이나 먼지가 복잡한 관성 충돌을 유발하도록 하여 실내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나 물입자를 분리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데미스터(16)에 의하여 1차로 물입자인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하여 정화되고 습도가 조절된 공기가 배출구(21)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그 정화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도 6으로 보인 바와 같이 기액접촉효율향상을 위한 기액혼합수단(12)을 관로(11) 중간에 하나 이상 설치,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액접촉수단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섬유로 된 것일 수도 있고, 스테인레스 와이어로 된 것일 수도 있으며, 이는 다공상으로 되어 흡기팬(10)에 의한 흡입, 배출 압력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가 관로(11)를 통과하는 압력으로 통과할 수 있어야 하므로, 그 밀도를 적절히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하여서 된 기액접촉수단은 다공상의 작은 공간을 통과하면서 오존수와 악취, 세균, 유해가스등이 일시적으로 정체되면서 복잡한 관성 충돌을 일으켜 이들이 상호 충분히 접촉되어 악취, 세균, 유해가스등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7로 보인 바와 같이, 실내 공기의 습도을 검출하기 위한 습도 검출용 센서(25)와 제어부(15)를 연결하여 습도 검출용 센서(25)가 현재의 습도에 상응하는 출력값을 제어부(15)에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제어부(15)가 설정습도에 따라 현재 습도가 설정습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습제함유담체(19)를 경유하여 배출되거나 직접 배출되도록 제1, 2공기배출제어밸브(17, 18)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데미스터(16)를 통하여 물입자가 제거된 정화된 공기가 흡기팬(10)에 의한 압력으로 압송되면서 제1, 2공기배출제어 밸브(17, 18)에 도달하였을 때, 실내공기의 습도가 낮거나 적정한 경우에는 제어부(15)가 제1공기배출제어밸브(17)를 열어 그대로 배출구(21)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실내공기의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제어부(15)가 제2공기배출제어밸브(18)를 열어 제습제함유담체(19)를 경유하여 제습되도록 한 후 배출구(21)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어서, 배출되는 정화 공기의 습도가 저하되어 실내 공기의 습도가 더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실내의 공기는 살균되고, 먼지가 제거되며, 유해 성분이 제거되고, 습도가 적정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어서 쾌적한 거주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습제함유담체(19) 내부의 실리카겔에 함유된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히터(20)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는 주기적으로 제어부(15)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 8로 보인 바와 같이, 오존수저장조(7)에 설치된 저수위검출프로브(26) 및 고수위검출프로브(27)에 연결된 제어부(15)가 오존수저장조(7)의 오존수 레벨이 일정 수준 범위를 유지하도록 압송펌프(22)를 구동하며, 오존수저장조(7)의 오존수 레벨이 높은 경우에는 제어부(15)에 의하여 산소공급밸브(28)가 차단되고, 고압방전장치(3)의 작동이 중지되며, 시수공급밸브 그리고 오존용해조와 오존수저장조(7) 사이의 오존수 공급밸브(29)가 모두 닫혀지도록 함으로써, 일련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오존수저장조(7) 하방에 설치된 오존수 배출밸브(31)와 싱크를 구비한 세척조(30)를 설치함으로써, 각종 기물을 살균,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오존수저장조(7) 하방에 설치된 오존수 배출밸브(32)에 충분한 길이의 호스(35)가 감긴 권취릴(33)의 호스(35) 일단을 연결하고, 호스(35) 타단에 분사노즐(34)을 설치하여 상당한 거리 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의 각종 물품 등에 오존수를 분사함으로써, 살균 및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관로(11)를 파이프로 하지 않고 하나의 함체(36)를 다수의 밀폐판(37) 및 다공판(38)으로 구분 구획하여 복수개의 챔버(39)가 형성되도록 하고, 일측에 설치된 흡기팬(10)의 흡입력으로 흡입된 공기가 다공판(38)을 통과하여 모든 챔버(39)를 거쳐서 배출구(21)로 배출되도록 하며, 이에는 필터로 된 여과수단(9)과 흡기팬(10) 그리고 분사노즐(13)이 구비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오존수저장조(7)의 오존수가 압송펌프(22)에 의하여 압송되고, 제어부(15)에 의하여 오존수 분사제어밸브(14)가 선택적으로 열리거나 닫히게 되어 실내의 오염도를 감안한 최적량의 오존수가 분사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경우에도 데미스터(16)를 구비하며, 제어부(15)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1공기배출제어밸브(17)와 제2공기배출제어밸브(18) 그리고 제습제함유담체(19)가 연결되어 실내의 습도에 따라 제1공기배출제어밸브(17)로 직접 배출되거나 제2공기배출제어밸브(18)와 제습제함유담체(19)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12에 보인 바와 같이, 분사노즐(13)의 분사공 직경을 작게하고, 하나의 챔버(39)에 복수개의 분사노즐(13)이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다수의 챔버(39)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오존수의 접촉 면적이 배가되어 더욱 효과적인 공기 정화가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여과수단(9)으로 사용되는 필터는 1차 필터로 여과망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통상 5㎛이상의 분진 입자를 걸러 낼 수 있고, 2차 필터로 무정전 필터는 1㎛이상의 분진 입자를 걸러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일반 용도의 악취검출센서(24)로는 포름알데히드 검출 센서를 사용하 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기를 굽는 음식점에서는 황화수소 검출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오존수를 사용하여 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악취, 미세 분진, 세균 등 유해물질을 정화하되,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를 인용발명1과는 달리 지그재그형태로 함으로써, 경로를 연장시켜 정화효율을 향상시키게 되어 실내 거주자에게 청정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그 크기를 작게 할 수도 있고, 크게 할 수도 있어서 가정은 물론 각종의 업소에서도 활용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기액혼합수단(12)에 의하여 오존수와 악취, 세균, 유해가스등이 상호 충분히 접촉되어 악취, 세균, 유해가스등의 제거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오존수를 공기중에 분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데미스터(16)의 사용으로 배출구(21)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가 높지 않은 것이며, 실내의 습도가 높아서 배출구(21)로 배출되는 습도를 더욱 낮취야 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제습제함유담체(19)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습도가 적정선을 유지하여 쾌적한 환경이 조성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실내공기의 오염을 감지하고, 이에 상응하여 오존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선택적으로 오존수를 분사함으로써, 효과적인 운용 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조(30)나 길이가 긴 호스(35)에도 연결하여 각종 기물을 오존수로 세척하거나 살균, 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다양한 용도로 편리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고압방전과정을 거쳐서 오존을 생산하고 이를 시수에 용해시켜 얻은 오존수를 오존수저장조에 저장하도록 하는 오존수 제조부와, 흡입구에 설치된 여과 수단과, 여과수단에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송하도록 된 흡기팬과, 오존수저장조로부터 오존수를 공급받아 오존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본사노즐에 오존수를 공급하는 오존수 분사제어밸브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술한 오존수저장조에 연결된 압송펌프와, 배출구에 인접하여 설치된 데미스터로 구성된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흡기팬에 의하여 압송되는 여과 공기를 배출구 측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지그재그형으로 된 관로에 분사노즐과 다공상으로 된 기액혼합수단을 일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습도 검출용 센서와 전술한 제어부를 연결하여 정화된 공기가 제1공기배출제어밸브를 통하여 그대로 배출되거나 제2공기배출제어밸브 및 제습제함유담체를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오존수저장조 하방에 설치된 오존수 배출밸브와 싱크를 구비한 세척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오존수저장조에 연결된 압송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오존수 배출밸브에 충분한 길이의 호스가 감긴 권취릴의 호스 일단을 연결하고, 호스 타단에 분사노즐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70044571A 2007-05-08 2007-05-08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 KR100841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571A KR100841992B1 (ko) 2007-05-08 2007-05-08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571A KR100841992B1 (ko) 2007-05-08 2007-05-08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992B1 true KR100841992B1 (ko) 2008-06-27

Family

ID=3977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571A KR100841992B1 (ko) 2007-05-08 2007-05-08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99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989B1 (ko) * 2013-05-29 2015-03-02 이은경 오존 발생장치
CN105605688A (zh) * 2015-12-26 2016-05-25 哈尔滨恒誉名翔科技有限公司 一种医用空气除尘灭菌装置
KR101732005B1 (ko) * 2015-12-08 2017-05-02 (유)중앙환경기업 오존을 이용한 이동형 청소 점검 서비스 장치
KR101732011B1 (ko) * 2015-12-08 2017-05-02 (유)중앙환경기업 오존을 이용한 이동형 청소 점검 서비스 방법
CN106729839A (zh) * 2017-02-27 2017-05-31 河北鹏高盛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消毒库
KR101782771B1 (ko) 2017-08-17 2017-09-27 이중수 친환경 하우스 재배를 위한 살균, 제습, 발열 송풍기
KR101789018B1 (ko) 2017-09-19 2017-10-20 이중수 친환경 하우스 재배를 위한 살균, 제습, 발열 송풍기
KR20220045522A (ko) * 2020-10-05 2022-04-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존분사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방역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491488A (zh) * 2023-06-19 2023-07-28 离享未来(德州)等离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臭氧杀菌灭虫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385A (ja) * 2002-06-24 2004-01-29 Hosoyamada Shoji:Kk 脱臭方法および脱臭装置
KR20050035921A (ko) * 2003-10-13 2005-04-20 유영상 공기 정화 살균 방법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385A (ja) * 2002-06-24 2004-01-29 Hosoyamada Shoji:Kk 脱臭方法および脱臭装置
KR20050035921A (ko) * 2003-10-13 2005-04-20 유영상 공기 정화 살균 방법과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989B1 (ko) * 2013-05-29 2015-03-02 이은경 오존 발생장치
KR101732005B1 (ko) * 2015-12-08 2017-05-02 (유)중앙환경기업 오존을 이용한 이동형 청소 점검 서비스 장치
KR101732011B1 (ko) * 2015-12-08 2017-05-02 (유)중앙환경기업 오존을 이용한 이동형 청소 점검 서비스 방법
CN105605688A (zh) * 2015-12-26 2016-05-25 哈尔滨恒誉名翔科技有限公司 一种医用空气除尘灭菌装置
CN106729839A (zh) * 2017-02-27 2017-05-31 河北鹏高盛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消毒库
CN106729839B (zh) * 2017-02-27 2023-10-13 河北鹏高盛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消毒库
KR101782771B1 (ko) 2017-08-17 2017-09-27 이중수 친환경 하우스 재배를 위한 살균, 제습, 발열 송풍기
KR101789018B1 (ko) 2017-09-19 2017-10-20 이중수 친환경 하우스 재배를 위한 살균, 제습, 발열 송풍기
KR20220045522A (ko) * 2020-10-05 2022-04-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존분사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방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6278B1 (ko) 2020-10-05 2022-06-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존분사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방역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491488A (zh) * 2023-06-19 2023-07-28 离享未来(德州)等离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臭氧杀菌灭虫装置
CN116491488B (zh) * 2023-06-19 2023-09-05 离享未来(德州)等离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臭氧杀菌灭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992B1 (ko) 오존수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
WO2017008628A1 (zh) 空气净化器
KR101708799B1 (ko) 히드록실 라디칼을 이용한 살균 정화 장치
KR100943537B1 (ko) 이산화탄소 저감기능을 겸비한 공기청정기
CN104534572A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CN201195077Y (zh) 一种复合式室内空气净化交换系统
KR102296744B1 (ko) 가습살균공기청정기
CN107806677A (zh) 一种新型高效空气净化器
CN205664490U (zh) 一种具有断电保护装置的消毒器
CN201059702Y (zh) 等离子体室内空气复合净化加湿器
CN203744414U (zh) 空气水洗净化机
KR102346882B1 (ko)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소독기
CN103644604A (zh) 一种空气pm除尘消毒机
KR102575939B1 (ko) 살균혼합공기 확산공급장치
KR20010081486A (ko) 산소를 발생하는 공기정화기
CN203810560U (zh) 基于低温等离子体的室内空气净化装置
KR102346883B1 (ko) 이동형 전해수 살포 공기살균 소독기
CN212409002U (zh) 空气消毒器
CN204555075U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KR200373329Y1 (ko) 냉온풍이 발생되는 공기 소독 정화 장치
KR102244493B1 (ko) 악취탈취 및 초미세 먼지제거용 공기 정화기
KR20090008266U (ko) 습식 공기정화장치
CN205517093U (zh) 一种100级无尘车间的气体循环系统
CN213334816U (zh) 一种溶液式空气净化消毒装置
CN220194420U (zh) 一种净化工程专用灭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