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395B1 -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전파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전파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395B1
KR100841395B1 KR1020060020207A KR20060020207A KR100841395B1 KR 100841395 B1 KR100841395 B1 KR 100841395B1 KR 1020060020207 A KR1020060020207 A KR 1020060020207A KR 20060020207 A KR20060020207 A KR 20060020207A KR 100841395 B1 KR100841395 B1 KR 100841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wave
illegal
illegal radio
radio
det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467A (ko
Inventor
박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주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주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주아이티
Priority to KR102006002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395B1/ko
Publication of KR20070090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2Control of the drilling operation;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for activation o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20Driving or forcing casings or pipes into boreholes, e.g. sinking; Simultaneously drilling and casing bore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파 탐지기로부터 불법 전파를 감지하고, 감지된 불법 전파의 세기로부터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불법 전파 감지 결과를 전송하기 위한 불법 전파 감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여러 지역에 설치하고 네트워크화 함으로써, 원격지에서 보다 용이하게 불법 전파를 감시할 수 있으며, 또한 수신한 불법 전파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불법 전파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전파 탐지기, 불법 전파, 네트워크, 위치 추정, 사용자 단말기

Description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UNLAWFUL RADIO WAVE USING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RADAR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법 전파 감시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법 전파 감시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법 전파 세기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 감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를 감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탐지 요청 수신부
202: 불법 전파 정보 수신부
203: 송신 위치 추정부
204: 송신 위치 정보 전송부
본 발명은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파 탐지기로부터 불법 전파를 감지하고, 감지된 불법 전파의 세기로부터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불법 전파 감지 결과를 전송하기 위한 불법 전파 감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성 및 영상 기술의 발달과 함께 도청 장치나 카메라가 소형화되고 널리 보급화되면서, 도청 장치나 몰래 카메라를 각종 범죄에 악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입찰 등의 경쟁이 심한 건설업계, 프로젝트나 신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개발팀 또는 연구소에서 기업 임원 집무실 및 개인 사생활에 보호에 이르기까지 사회 전반적으로 도청 또는 몰래 카메라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비록 일부 대기업, 연구소, 정치인, 벤처 기업 등을 중심으로 보안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도청 방지에 대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보안에 대한 의식 부족 및 효율적인 도청 방지 시스템의 부재로, 많은 기업 또는 개인이 중요한 정보 유출 또는 사생활 침해로 물질적, 정신적 피해를 당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각 나라마다 전파의 이용과 관련해서는 전파법과 관계 법 령에 따라 엄격히 사용이 규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발사되는 전파가 극히 미약한 미약 전파나 기타 일부 전파를 제외하고는, 무선국을 개설하거나 전파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소정의 허가 절차를 밟아야 한다. 하지만, 최근 전파 이용 범위가 사회 전분야로 확산되고 전파 이용 설비를 상술한 도청 또는 몰래 카메라와 같은 범죄의 도구로 악용하기 위해 허가 받지 않은 불법 전파를 사용하는 사례가 급증하였다. 이러한 불법 전파는 다른 통신망에 전파 혼신을 초래하거나 산업?의료 등 각종 기기에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불법 전파에 대해 효율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불법 전파를 사용하는 사례가 적어 불법 전파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파 탐지 장치를 사용자가 직접 운용하면서 간단히 불법 전파 발생 여부를 추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방식은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개인이 고가의 전파 탐지 장치를 구매하여 직접 운용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여러 지역에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설치하고, 복수의 전파 탐지기와 연결되어 전파 탐지기를 제어 및 운용할 수 있는 소정의 서버를 두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불법 전파를 탐지하여 사용자에게 불법 전파와 관련한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매우 효과적인 대응 방안이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파 탐지기로부터 불법 전파를 감지하고, 감지된 불법 전파의 세기로부터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불법 전파 감지 결과를 전송할 수 있는 새로운 불법 전파 감시 서버 및 방법을 제안하고 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여러 지역에 설치하고 네트워크화 함으로써, 원격지에서 보다 용이하게 불법 전파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부터 수신한 불법 전파의 세기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불법 전파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어느 장소에서나 용이하게 불법 전파 감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 구성된 네트워크와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된 불법 전파 감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불법 전파 탐지 요청을 수신하는 탐지 요청 수신부, 상기 탐지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부터 불법 전파 세기를 포함하는 불법 전파 정보를 수신하는 불법 전파 정보 수신부, 상기 불법 전파 세기로부터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하는 송신 위치 추정부, 및 상기 추정된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신 위치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를 감시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불법 전파 탐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탐지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부터 불법 전파 세기를 포함하는 불법 전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불법 전파 세기로부터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를 탐지하는 불법 전파 탐지 서버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법 전파 감시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법 전파 감시를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1), 불법 전파 감시 서버(102), 및 전파 탐지기(103)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1)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및 스마트(Smart)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통신 기기뿐만 아니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및 와이브로(WiBro)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 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
또 달리, 사용자 단말기(101)는 노트북 또는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TCP/IP 기반 통신망, 광통신망, 케이블 통신망과 같은 유선 통신망을 통해 불법 전파 탐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내장한 기타 다른 유선 전기 전자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단말기(101)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 감시 서버(102)로 불법 전파 탐지를 요청하고, 불법 전파 감시 서버(102)로부터 불법 전파 탐지 결과를 수신한다.
불법 전파 감시 서버(102)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1)와 연결되며, 또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전파 탐지기(103)와 연결되어 있다.
불법 전파 감시 서버(102)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복수의 전파 탐지기(103)를 운용 및 제어하며, 항시 불법 전파를 탐지하거나, 또 달리 사용자의 요청 에 의해 특정 지역에 위치해 있는 특정 전파 탐지기(103)만을 특정 시간 동안 동작시켜 일시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불법 전파를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LAN(Local Area Network), Ethernet, TCP/IP 기반 통신망, 또는 광통신망 등과 같은 유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 달리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LAN(Wireless LAN),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와 같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전파 탐지기(103)는 도청기나 몰래 카메라와 같은 장비를 이용한 도감청 의혹 주파수를 자동으로 색출할 수 있으며, 또한 허가 받지 않은 불법 전파를 감시할 수 있는 장치로서, 연구소나 주요 건물, 관공서, 간부실, 및 차량 등과 같이 도감청이 의심되는 장소뿐만 아니라, 가정의 실내, 탈의실, 공중 화장실, 숙박업소와 같이 개인 사생활 보호가 필요한 다양한 장소 및 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전파 탐지기(103)는 불법 전파를 탐지하고자 하는 지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탐지 거리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즉, 전파 탐지기(103)가 불법 전파를 탐지할 수 있는 탐지 거리를 고려하여 불법 전파를 탐지할 수 없는 음영 지역이 생기지 않도록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파 탐지기(103)의 일례로 광대역 전파 탐지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광대역 전파 탐지 장치는 광범위의 주파수를 신속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으며, 광범위의 주파수를 다양한 간격으로 스캐닝하여 수신 전계 강도를 이용한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 및 FM/AM 복조 등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광대역 전파 탐지 장치에 있어서, 불법 전파 탐지 거리는 보통 20미터에서 100미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법 전파 감시 서버(102)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법 전파 감시 서버(102)는 탐지 요청 수신부(201), 불법 전파 정보 수신부(202), 송신 위치 추정부(203), 및 송신 위치 정보 전송부(204)를 포함한다.
탐지 요청 수신부(201)는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불법 전파 탐지 요청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불법 전파 탐지 요청은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탐지하고자 하는 장소의 위치 정보(탐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불법 전파 탐지 요청을 수신하는 일실시예로서, 사용자로부터 불법 전파를 탐지하고자 하는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 받거나, 복수의 전파 탐지기(103)의 위치가 표시된 소정의 지도를 제공하고 상기 지도 상에서 탐지하고자 하는 장소를 선택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GPS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 탐지를 요청한 경우, GPS 신호에 기초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불법 전파 탐지 요청과 함께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다.
불법 전파 정보 수신부(202)는 상기 탐지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부터 불법 전파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불법 전파 정보는 불법 전파 유무, 불법 전파의 세기(수신 전계 강도), 또는 불법 전파 종류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불법 전파 정보는 불법 전파가 존재하는지 여부와 불법 전파가 존재할 경우, 어떤 종류의 불법 전파인지 및 불법 전파의 세기는 얼마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불법 전파 정보 수신부(202)는 복수의 전파 탐지기(103)로부터 24시간 불법 전파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 달리 탐지 요청 수신부(201)에서 수신한 탐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탐지하고자 하는 지역에 위치한 일부 전파 탐지기(103)만을 동작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불법 전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 위치 추정부(203)는 불법 전파 정보 수신부(202)에서 수신한 불법 전파 세기로부터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위치 추정부(203)는 전파 탐지기(103)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가지는 복수의 가상 원을 생성하며, 상기 일정 반경은 상기 불법 전파 세기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복수의 전파 탐지기(103)에 대응하는 지리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상기 가상 원에 기초하여, 상기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한다.
송신 위치 추정부(203)에서 불법 전파의 세기에 기초하여,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도 3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후술하기로 한다.
송신 위치 정보 전송부(204)는 송신 위치 추정부(203)에서 추정한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송신 위치 정보 전송부(204)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 비스(MMS)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법 전파 세기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의 전파 탐지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네트워크화된 지역에서, 3개의 전파 탐지기(301, 302, 303)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하고자 할 경우, 먼저 각 전파 탐지기(301, 302, 303)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가지는 3개의 가상 원을 생성한다. 상기 가상 원의 일정 반경은 각 전파 탐지기(301, 302, 303)에서 수신한 불법 전파의 세기에 따라서 결정된다. 즉, 일반적으로 수신 전파의 세기가 작을수록 전파 송신원과의 거리는 멀고, 수신 전파의 세기가 클수록 전파 송신원과의 거리가 가까우므로, 수신 전파의 세기에 따라 전파의 송신원과 수신원과의 떨어진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전파의 세기에 따라 거리를 추정하는 일례로서, 측정된 전파 세기에 기초한 전파 손실값을 이용할 수 있다. 자유 공간에서의 밀리미터파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거리에 따른 자유 공간 손실이 어느 정도 되는가는 이론적으로 확립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자유 공간에서의 전파손실(L)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06015356718-pat00001
여기에서, d는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의 거리이며, λ는 전파의 파장 길이이다. [수학식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파 손실량은 거리와 파장이 작아짐(주파수가 커짐)에 따라 증가한다. 거리 d가 미터(meter) 단위이고, 주파수 1/λ가 기가 헤르츠(GHz) 단위일 경우, [수학식 1]을 데시벨(dB) 단위로 환산하면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Figure 112006015356718-pat00002
[수학식 2]를 거리 d를 구하기 위한 식으로 변형하면,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06015356718-pat00003
따라서, 신호의 주파수 f와 전파 손실량 L(수학식 3에서 E, 전력 손실값)를 알 수 있다면,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송신측과 수신측의 거리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파 손실량은 수신한 신호의 세기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3]을 본 발명에 따른 불법 전파의 수신 세기에 따라 불법 전파의 송 신원과 불법 전파 탐지기와의 떨어진 거리(반경)를 추정하는데 적용하면, 신호의 주파수 f는 불법 전파 탐지기의 탐지 주파수이며, 전파 손실량은 수신한 불법 전파의 세기에 기초하여 탐지하고자 하는 특정 불법 전파원(예를 들어, 도청기, 몰래 카메라 등)의 불법 전파 출력값과의 차이로부터 계산된다.
즉, 전파 탐지기에서 수신한 불법 전파의 세기와 주파수를 측정하고, 상기 불법 전파를 발생하는 특정 도청기 등의 출력값을 알고 있다면, 도청기의 출력값과 수신한 불법 전파의 세기의 차이로부터 전파 손실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전파 손실량과 불법 전파의 주파수로부터 전파 탐지기와 도청기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불법 전파원에 대하여 각각의 전파 출력값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유지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불법 전파원의 전파 출력값을 독출할 수 있다. 즉, 도청기나 몰래 카메라와 같은 다양한 불법 전파원 각각의 전파 출력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전파 탐지기에서 탐지한 불법 전파의 세기를 참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불법 전파원을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파 탐지기에서 탐지한 불법 전파의 세기보다는 크고, 불법 전파의 세기에 가장 근접한 전파 출력값을 갖는 불법 전파원을 실제 불법 전파원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식별된 불법 전파원의 전파 출력값을 독출하고, 독출된 전파 출력값과 전파 탐지기에서 수신한 불법 전파 세기로부터 전파 손실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전파 손실량에 따라 전파 탐지기와 불법 전파원 간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또달리, 불법 전파원의 식별이 난해한 경우, 불법 전파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불법 전파원으로 간주하고, 상기 불법 전파원의 전파 출력값에 따라 위치를 추정하는 과정을 복수의 불법 전파원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추정된 복수의 불법 전파원 각각의 위치에 근거하여, 사용자는 불법 전파원의 유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전파 예측 모델과 관련한 또다른 일례로서, 'Hata Model' 공식 또는 'Ibrahim & Parsons Model' 공식과 같이, 실제 공간상에서의 전파 회절이나 반사와 같은 요소를 고려한 보다 정밀한 모델을 사용하여 거리 추정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전파 탐지기(301, 302, 303)에서 수신한 불법 전파의 세기에 따라서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일정 반경을 추정하고, 각 전파 탐지기(301, 302, 303)를 중심으로 상기 일정 반경을 가지는 가상 원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각 전파 탐지기(301, 302, 303)를 중심으로 하는 3개의 가상 원은 서로 중첩되는 위치(304)가 발생한다. 각 전파 탐지기(301, 302, 303)에 의해 공통적으로 추정된 이 위치(304)를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로 간주할 수 있다.
이후, 불법 전파 감시 서버(102)는 복수의 전파 탐지기에 대응하는 지리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추정된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304)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례로,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304)에 대한 구체적인 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 달리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방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3개의 전파 탐지기를 사용하였지만, 또 달리 추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더 많은 수의 전파 탐지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 탐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부호(401)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WAP 서비스와 같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불법 전파 감시 서버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불법 전파 탐지 서비스를 요청하는 일례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불법 탐지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불법 전파 탐지기를 직접 선택하거나,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입력하고 주변 위치를 탐지 요청할 수 있다.
불법 전파 감시 서버는 사용자의 불법 전파 탐지 요청에 따라, 전파 탐지기가 불법 전파를 탐지하고(도면 부호(402)), 탐지 결과를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면 부호(4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법 전파 유무, 불법 전파 종류, 및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에 관한 정보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 화면에 출력된다.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방향 및 거리에 관한 개략적인 정보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 달리 도면 부호(404)와 같이, 지도상에서 전파 탐지기의 위치 및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24시간 항시 도청 및 몰래 카메라와 같은 불법 장치를 탐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 기로부터 지속적으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제공 받아서, 사용자 주변에 위치한 전파 탐지기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불법 전파를 탐지하여 사용자에게 탐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전파 탐지기를 소지하지 않고도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불법 전파를 탐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를 감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501)에서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불법 전파 탐지 요청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불법 전파 탐지 요청은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탐지하고자 하는 장소의 위치 정보(탐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불법 전파 탐지 요청을 수신하는 일실시예로서, 사용자로부터 불법 전파를 탐지하고자 하는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 받거나, 복수의 전파 탐지기의 위치가 표시된 소정의 지도를 제공하고 상기 지도 상에서 탐지하고자 하는 장소를 선택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GPS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 탐지를 요청한 경우, GPS 신호에 기초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불법 전파 탐지 요청과 함께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다.
단계(S502)에서는 탐지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부터 불법 전파 세기를 포함하는 불법 전파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불법 전파 정보는 불법 전파 유무, 불법 전파의 세기(수신 전계 강도), 또는 불법 전파 종류 등을 포함 한다. 즉, 상기 불법 전파 정보는 불법 전파가 존재하는지 여부와 불법 전파가 존재할 경우, 어떤 종류의 불법 전파인지 및 불법 전파의 세기는 얼마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본 단계에서는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부터 24시간 불법 전파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 달리 단계(S501)에서 수신한 탐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탐지하고자 하는 지역에 위치한 일부 전파 탐지기만을 동작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불법 전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503)에서는 불법 전파가 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본 단계에서는 단계(S502)에서 수신한 불법 전파 정보를 참조하여 불법 전파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불법 전파가 탐지된 경우에는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단계(S504)로 진행하고, 불법 전파가 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불법 전파 탐지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단계(S505)로 진행한다.
단계(S504)에서는 단계(S502)에서 수신한 불법 전파 세기로부터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한다. 이를 위해, 본 단계에서는 복수의 전파 탐지기 각각에 대하여 전파 탐지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가지는 복수의 가상 원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일정 반경은 상기 불법 전파 세기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복수의 전파 탐지기에 대응하는 지리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상기 가상 원에 기초하여,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한다.
일례로, 복수의 전파 탐지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네트워크화된 지역에서, 3개의 전파 탐지기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하고자 할 경 우, 먼저 각 전파 탐지기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가지는 3개의 가상 원을 생성한다. 상기 가상 원의 일정 반경은 각 전파 탐지기에서 수신한 불법 전파의 세기에 따라서 결정된다. 즉, 일반적으로 수신 전파의 세기가 작을수록 전파 송신원과의 거리는 멀고, 수신 전파의 세기가 클수록 전파 송신원과의 거리가 가까우므로, 수신 전파의 세기에 따라 전파의 송신원과 수신원과의 떨어진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전파 탐지기에서 수신한 불법 전파의 세기에 따라서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일정 반경을 추정하고, 각 전파 탐지기를 중심으로 상기 일정 반경을 가지는 가상 원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각 전파 탐지기를 중심으로 하는 3개의 가상 원은 서로 중첩되는 위치가 발생하며, 각 전파 탐지기에 의해 공통적으로 추정된 이 위치를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로 간주할 수 있다. 이후, 불법 전파 감시 서버는 복수의 전파 탐지기에 대응하는 지리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추정된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단계(S505)에서는 불법 전파 탐지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단계에서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불법 전파의 탐지 여부와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포함하는 불법 전파 탐지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를 감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들 에서 언급한 내용들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를 감시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 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여러 지역에 설치하고 네트워크화 함으로써, 원격지에서 보다 용이하게 불법 전파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부터 수신한 불법 전파의 세기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불법 전파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어느 장소에서나 용이하게 불법 전파 감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 구성된 네트워크와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된 불법 전파 감시 서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불법 전파 탐지 요청을 수신하는 탐지 요청 수신부;
    상기 탐지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부터 불법 전파 세기를 포함하는 불법 전파 정보를 수신하는 불법 전파 정보 수신부;
    상기 불법 전파 세기로부터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하는 송신 위치 추정부; 및
    상기 추정된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신 위치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전파 감시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위치 추정부는 상기 전파 탐지기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가지는 복수의 가상 원을 생성하고, 상기 일정 반경은 상기 불법 전파 세기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전파 감시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반경은 상기 불법 전파의 주파수 및 전파 손실량으로부터 결정되 며, 상기 전파 손실량은 불법 전파원의 전파 출력값과 상기 불법 전파 세기의 차이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전파 감시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위치 추정부는 상기 복수의 전파 탐지기에 대응하는 지리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상기 가상 원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전파 감시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법 전파 정보는 불법 전파 종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전파 감시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위치 정보 전송부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전파 감시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파 탐지기는 광대역 전파 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전파 감시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파 탐지기는 탐지 거리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전파 감시 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법 전파 탐지 요청은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불법 전파 정보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주변의 전파 탐지기로부터 불법 전파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전파 감시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GPS 수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는 상기 GPS 수신 장치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전파 감시 서버.
  11.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 전파를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불법 전파 탐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탐지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전파 탐지기로부터 불법 전파 세기 를 포함하는 불법 전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불법 전파 세기로부터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불법 전파의 송신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전파 감시 방법.
  12. 제11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60020207A 2006-03-03 2006-03-03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전파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41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207A KR100841395B1 (ko) 2006-03-03 2006-03-03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전파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207A KR100841395B1 (ko) 2006-03-03 2006-03-03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전파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467A KR20070090467A (ko) 2007-09-06
KR100841395B1 true KR100841395B1 (ko) 2008-06-26

Family

ID=3868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207A KR100841395B1 (ko) 2006-03-03 2006-03-03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전파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3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797B1 (ko) * 2021-04-28 2021-07-01 (주)지슨 복수의 전파탐지장치를 이용한 무선 해킹 스파이칩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21588B1 (ko) * 2022-02-24 2022-07-18 (주)지슨 해킹 장치의 위치 추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863B1 (ko) * 2020-07-06 2021-08-17 김석태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145A (ko) * 2005-03-10 2006-09-19 (주)하이게인안테나 전파 탐지용 고성능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전파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145A (ko) * 2005-03-10 2006-09-19 (주)하이게인안테나 전파 탐지용 고성능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전파 감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797B1 (ko) * 2021-04-28 2021-07-01 (주)지슨 복수의 전파탐지장치를 이용한 무선 해킹 스파이칩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21588B1 (ko) * 2022-02-24 2022-07-18 (주)지슨 해킹 장치의 위치 추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467A (ko)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89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contraband devices in a secure environment
Li et al. FBS-Radar: Uncovering Fake Base Stations at Scale in the Wild.
Zhao et al. On the accuracy of measured proximity of bluetooth-based contact tracing apps
US100036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transmission devices
JP6113675B2 (ja) 移動局位置推定のための現場アプリケーション
CN101512941B (zh) 用于确定无线设备的辐射性能的方法和装置
Gruteser et al. A methodological assessment of location privacy risks in wireless hotspot networks
Byers et al. 802.11 b access point mapping
US1011110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from access control device to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81901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abl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anganathan et al. Physical-layer attacks on chirp-based ranging systems
KR100717677B1 (ko) 위험 상황을 통지하는 비상 경보 시스템 및 방법
US20140171104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41395B1 (ko)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전파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
Fu et al. The digital marauder's map: A wifi forensic positioning tool
Malaney A location enabled wireless security system
Fu et al. The digital Marauder's map: A new threat to location privacy
Ardagna et al. Privacy-enhanced location services information
Jordan et al. Reliable Presence Detection through Passive IEEE 802.11 Management Frame Sniffing
Hua et al. The Fake BTS Detection and Location On Smart Phones
Feng et al. Vulnerability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for Wi-Fi-based Location Services and Applications
Falih et al. Radio Cellular Forensics Analysis: Where is the Adversary?
KR101467301B1 (ko) 무선랜 신호를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휴대용 신호 송출 장치, 서버 및 단말기
Franco et al. WarDriving Funchal
Wells et al. LOCATION AND MAPPING OF 2.4 GHZ RF TRANSMIT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