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205B1 - 의자의 등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의 등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205B1
KR100840205B1 KR1020070003867A KR20070003867A KR100840205B1 KR 100840205 B1 KR100840205 B1 KR 100840205B1 KR 1020070003867 A KR1020070003867 A KR 1020070003867A KR 20070003867 A KR20070003867 A KR 20070003867A KR 100840205 B1 KR100840205 B1 KR 100840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coupling
chair
elastic body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영
Original Assignee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3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5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14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등이 복수개의 등판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자유자재로 등을 움직일 수 있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의자의 등 지지 장치는 의자의 배면에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등판과, 그리고 상기 제1 등판과 상기 제2 등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의자, 등, 지지, 탄성, 결합

Description

의자의 등 지지 장치{BACK SUPPORTING APPARATUS OF A CHAI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나타낸 횡단면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 지지 장치가 적용된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 지지 장치가 적용된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510: 수직 프레임 130, 230, 330, 430, 530: 수평 프레임
170, 370, 470, 570: 등판 180, 580: 연결 부재
150, 250, 550: 제1 결합 유닛 190, 390, 490, 590: 제2 결합 유닛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등이 복수개의 등판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자유자재로 등을 움직일 수 있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부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좌부와 등받이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나아가, 등의 좌, 우측 부위를 안정적으로 받쳐주기 위하여 복수개의 등판이 등받이에 포함되는 기술이 점진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특히, 종래의 등받이는 베이스에 구비되되 베이스의 후방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위치되는 수직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며 수평으로 위치되는 수평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 등판이 포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좌부에 앉아 등을 좌측 등판 및 우측 등판에 기댈 경우, 사용자의 등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좌측 등판 중 우측 등판과 마주하는 부위와 우측 등판 중 좌측 등판과 마주하는 부위가 뒤로 밀리면서, 좌측 등판 및 우측 등판이 사용자의 척추와 등 근육을 감싸주게 되므로, 허리에 가해지는 체중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궁극적으로, 척추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척추 측만증 등의 허리 질병의 발생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의자의 등받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좌부에 앉아 등을 좌측 등판 및 우측 등판에 기댄 후, 등을 좌/우로 움직일 경우, 사용자의 등이 좌측 등판 또는 우측 등판에 제대로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등을 등판에 기댄 후 좌로 움직일 경우, 등의 좌측 부위는 좌측 등판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등의 우측 부위는 우측 등판에서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등을 등판에 기댄 후 우로 움직일 경우, 등의 우측 부위는 우측 등판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등의 좌측 부위는 좌측 등판에서 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등의 어느 한 부위가 해당 등판과 떨어진 상태로 유지되면, 허리의 근육에 무리가 갈 수 있으며, 또한 피시(PC)방이나 사무실이나 독서실 등에서 장시간 이런 상태를 유지할 경우 척추 등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등이 복수개의 등판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자유자재로 등을 움직일 수 있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는 의자의 배면에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등판과, 그리고 상기 제1 등판과 상기 제2 등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탄력성을 갖는 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제1 등판과, 그리고 상기 제2 등판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등판의 가로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의 횡단면은 의자의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의 종단면은 의자의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의 종단면 중 설정 구간의 면은 직선 형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의 종단면 중 사용자의 옆구리가 닿는 구간의 면은 그 볼록 정도가 타 구간에 비해 더 큰 형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은 제1 결합 유닛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제1 결합 유닛은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에 상기 제1 탄성부의 일측을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와,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에 상기 제1 탄성부의 타측을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 유닛의 제1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탄성부는 탄력성을 갖는 고무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체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 체결 부재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정면에 구비되며 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판과,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체의 상기 제1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볼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체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 체결 부재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에 해당하며 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3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 부위와,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체의 상기 제2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결합 유닛의 제2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는 탄력성을 갖는 고무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제1 탄성체이고,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탄성체의 일단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 부재와,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정면에 구비되며 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판과,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볼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탄성체의 타단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 부재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에 해당하며 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 부위와,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결합 유닛의 제3 실시예로서, 상기 제1 결합 유닛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정면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되며 상기 수평 프레임의 형상을 갖는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정면에 구비되며 원형의 제1 삽입홈이 형성된 클립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는 구형의 제1 힌지와,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 힌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체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듀브 형상을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결합 유닛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실시예로서,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은 고무 재질의 탄성체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수직 프레임에 열 융착에 의해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탄성체의 타단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열 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제2 결합 유닛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등판 사이에 위치되는 제2 탄성부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상기 제2 탄성부의 일측을 결합시키는 제3 결합부와, 그리고 상기 등판에 상기 제2 탄성부의 타측을 결합시키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 유닛의 제1 실시예로서, 상기 제2 탄성부는 탄력성을 갖는 고무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제2 탄성체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3 체결 부재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정면에 형성되는 제3 결합공과, 그리고 상기 제3 결합공 및 상기 제3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제3 볼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4 결합부는 상기 제2 탄성체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4 체결 부재와, 상기 등판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4 결합공과, 그리고 상기 제4 결합공 및 상기 제4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제4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결합 유닛의 제2 실시예로서, 제2 탄성부는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판 스프링과, 상기 판 스프링의 일측이 절곡된 제1 절곡 부위와,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타측이 절곡된 제2 절곡 부위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3 결합부는 상기 제1 절곡 부위에 형성되는 제1 체결공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정면에 형성되는 제3 결합공과, 그리고 상기 제3 결합공 및 상기 제1 체결공에 체결되는 제3 볼트를 포함하고, 제4 결합부는 상기 제2 절곡 부위에 형성되는 제2 체결공과, 상기 등판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4 결합공과, 그리고 상기 제4 결합공 및 상기 제2 체결공에 체결되는 제4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제4 결합부와 상기 제2 절곡 부위 사이에 위치되며 제4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위치 보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곡 부위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결합 유닛의 제3 실시예로서,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으로부터 절곡된 절편과, 상기 절편의 일측이 절곡되고 이에 제1 체결공이 형성된 제1 절곡 부위와, 상기 등판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3 결합공과, 그리고 상기 제3 결합공 및 상기 제1 체결공에 체결되는 제3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결합공과 상기 제2 절곡 부위 사이에 위치되며 제3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위치 보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곡 부위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한편, 상기 제2 결합 유닛의 제4 실시예로서,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정면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 콘 형상의 공간부 및 그 중심에 원형의 제2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등판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는 구형의 제2 힌지가 그 끝단에 형성되는 콘 형상의 삽입 부재와, 그리고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 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2 결합 유닛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과 상기 수평 프레임은 고무 재질의 탄성체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등판의 배면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열 융착에 의해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탄성체의 타단은 상기 등판의 배면에 열 융착에 의해 결 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5는 도 3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110)과, 수직 프레임(110)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130)과, 수평 프레임(13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등판(171)(172)과, 그리고 상기 제1 등판(171)과 제2 등판(172)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80)를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110)은 의자(도 17 또는 도 18 참조)의 배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것으로서, 의자(도 18 참조)의 좌부(도 18의 "710"참조)에 장착될 수도 있고, 베이스(도 17의 "610"참조)[좌부를 지지하기 위해 좌부 아래에 위치되며, 필요에 따라 틸팅 장치(tilting apparatus) 등이 탑재되는 것]를 갖는 타입인 경우에는 베이스(도 17의 "610"참조)에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조립의 편의를 위해서 수직 프레임(110)은 의자의 좌부 또는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수평 프레임(130)은 수직 프레임(110)에 교차되게 위치되는 것으로서, 수직 프레임(110)과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제1 등판 및 제2 등판(171)(172) 각각은 수평 프레임(130)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등판(171)은 수평 프레임(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고, 제2 등판(172)은 수평 프레임(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된다.
나아가, 사용자의 등과의 밀착면을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등판(171)(172) 각각의 횡단면은 의자의 후방으로 오목하게 라운드(round)진 형상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등판을 전면에서 볼 때 가상의 면 접촉선들 중 가로 방향으로 놓인 접촉선의 형상은 의자의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하며, 이와 같이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은 각 등판의 중심의 세로 방향으로 놓인 접촉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또는 비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의 요추를 제대로 지지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등판(171)(172) 각각의 종단면은 의자의 전방으로 볼록하게 라운드(round)진 형상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등판(170)을 전면에서 볼 때 가상의 면 접촉선들 중 세로 방향으로 놓인 접촉선의 형상은 의자의 전방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상 을 하며, 특히, 이러한 세로 방향으로 놓인 접촉선은, 제1 예로서, 그 중심 구간이 그 상부 구간 및 그 하부 구간과 같이 라운드 형상을 하여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제2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 구간이 직선 형상(도 4의 "L"참조)을 하고 그 상부 구간 및 하부 구간이 의자의 후방으로 기울어져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예에 의하면, 각 등판(170)에서 볼록한 상부는 사용자의 상체의 하중을 지지하여 요추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고, 각 등판(170)에서 볼록한 하부는 사용자의 골반부에 밀착되어 그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세로 방향으로 놓인 접촉선의 볼록한 정도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척추에 가까운 부분(미도시) 보다 사용자의 옆구리에 가까운 부분(도 5참조)이 더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나아가 사용자의 척추에 가까운 부분은 전체적으로 거의 편평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연결 부재(180)는 제1 등판(171)이 움직일 때 제1 등판(171)과 연결된 제2 등판(172) 역시 거의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등이 제1 등판(171)에 먼저 접촉되어 제1 등판(171) 중 제2 등판(172)과 마주하는 부위가 밀리면서 회전될 때, 등과 접촉되지 않은 제2 등판(172) 중 제1 등판(171)과 마주하는 부위(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부위)가 제1 등판(171)과 거의 동시에 밀리면서 회전되므로, 사용자의 등은 제1 등판(171)과 제2 등판(172)에 정확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180)는 탄력성을 갖는 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키기 위해, 연결 부재(180)와, 제1 등판(171)과, 그 리고 제2 등판(172)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연결 부재(180)와, 제1 등판(171)과, 그리고 제2 등판(172)이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하나의 금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허리는 정확히 감싸질 수 있도록 하고, 허리 윗부분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결 부재(180)는 제1 및 제2 등판(171)(172)의 가로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아래에 위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에 의하면, 1차적으로, 제1 및 제2 등판(171)(172)이 연결 부재(180)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가 좌부(도 17의 "630"참조)에 착석하게 되면, 사용자의 등은 제1 등판(171)과 제2 등판(172)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2차적으로, 제1 및 제2 등판(171)(172)과 수평 프레임(130)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의 등을 의자의 후방으로 밀게 되면, 사용자의 등은 제1 및 제2 등판(171)(172)에 완전히 밀착된다. 3차적으로, 수평 프레임(130)과 수직 프레임(110)이 탄성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이러한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자재로 등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끝으로, 사용자가 의자에서 일어나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된 제1 등판(171), 제2 등판(172) 및 수평 프레임(130)은 원상태로 복원된다.
구체적으로,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30)은 제1 결합 유닛(150)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 결합 유닛(1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결합 유닛(150)은 수평 프레임(130)과 수직 프레임(110)을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1 탄성부(151)와, 제1 결합부(153)와, 그리고 제2 결합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151)는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3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고탄력성의 고무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체(15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체(1511)는 제1 탄성체(1511)의 탄성력 및 사용자의 미는 힘에 따라 그 수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의 미는 힘이 탄성력의 범위에 들어가는 범위에서 제1 탄성체(1511)의 수는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제1 결합부(153)는 수직 프레임(110)에 상기 제1 탄성부(151)의 일측을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1 탄성체(1511)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 체결 부재(1531)와, 수직 프레임(110)의 정면에 구비되며 이에 제1 결합공(1533a)이 형성된 결합판(1533)과, 그리고 제1 결합공(1533a) 및 제1 체결 부재(1531)에 체결되는 제1 볼트(153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볼트(1535)가 제1 결합공(1533a) 및 제1 체결 부재(1531)에 나사 체결되면 수직 프레임(110)과 제1 탄성체(1511)의 일측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 부재(1531)는 제1 탄성체(1511)의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경질의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바디(1531a)와, 제1 바디(1531a)를 기준으로 사방으로 분지된 복수개의 브랜치(1531b)와, 복수개의 브랜치(1531b)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관통홀(153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결합판(1533) 에는 제1 바디(1531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1533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1531a) 및 제1 탄성체(1511)가 결합판의 후방에서 제2 관통홀(1533b)을 통해 삽입되고, 제1 볼트(1535)가 브랜치(1531b)의 제1 관통홀(1531c)을 통해 삽입된 후, 제1 결합공(1533a)에 나사 체결되면 수직 프레임(110)과 제1 탄성체(1511)의 일측은 결합된다.
물론, 다른 예로서, 조립의 편의성(추후 부품 교체 등의 편의성을 포함)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1 결합부(153)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직 프레임(110)과 제1 탄성체(1511)의 일단은 접착제(미도시) 등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1 결합부(153)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직 프레임(110)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제1 탄성체(1511)는 수직 프레임(110)에 열 융착에 의해 직접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제2 결합부(155)는 수평 프레임(130)에 제1 탄성부(151)의 타측을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1 탄성체(1511)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 체결 부재(1551)와, 수평 프레임(130)의 중심에 해당하며 이에 제2 결합공(1553a)이 형성된 결합 부위(1553)와, 그리고 제2 결합공(1553a) 및 상기 제2 체결 부재(1551)에 체결되는 제2 볼트(155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볼트(1555)가 제2 결합공(1553a) 및 제2 체결 부재(1551)에 나사 체결되면 수평 프레임(130)과 제1 탄성체(1511)의 타측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체결 부재(1551)는 제1 탄성체(1511)의 타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경질의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제2 바디(1551a)와, 제2 바디(1551a)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되는 제1 너트(1551b)를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볼트(1555)가 제1 결합공(1533a) 및 제1 너트(1551b)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면 수평 프레임(130)과 제1 탄성체(1511)의 타측은 결합된다.
물론, 다른 예로서, 조립의 편의성(추후 부품 교체 등의 편의성을 포함)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2 결합부(155)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평 프레임(130)과 제1 탄성체(1511)의 타단은 접착제(미도시) 등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2 결합부(155)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평 프레임(130)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제1 탄성체(1511)는 수평 프레임(130)에 열 융착에 의해 직접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수평 프레임(130)과 적어도 2개의 등판(170)은 제2 결합 유닛(190)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2 결합 유닛(19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결합 유닛(190)은 제1 및 제2 등판(171)(172)(이하 "등판"이라 함)을 상기 수평 프레임(130)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2 탄성부(191)와, 제3 결합부(193)와, 그리고 제4 결합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부(191)는 수평 프레임(130)과 등판(17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탄력성을 갖는 고무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탄성체(1911)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 제4 결합부(195)를 설명하는 단락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2 탄성체(1911)는 상/하 방향으로 두 개가 배열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3 결합부(193)는 수평 프레임(130)에 제2 탄성부(191)의 일측을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2 탄성체(1911)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3 체결 부재(1931)와, 수평 프레임(130)의 정면에 형성되는 제3 결합공(1932)과, 그리고 제3 결합공(1932) 및 제3 체결 부재(1931)에 체결되는 제3 볼트(193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볼트(1933)가 제3 결합공(1932) 및 제3 체결 부재(1931)에 나사 체결되면 수평 프레임(130)과 제2 탄성체(1911)의 일측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체결 부재(1931)는 제2 탄성체(1911)의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경질의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제3 바디(1931a)와, 제3 바디(1931a)에 인서트 몰딩되는 제2 너트(1931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볼트(1933)가 제3 결합공(1932) 및 제2 너트(1931b)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면 수평 프레임(130)과 제2 탄성체(1911)의 일측은 결합된다.
물론, 다른 예로서, 조립의 편의성(추후 부품 교체 등의 편의성을 포함)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3 결합부(193)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평 프레임(130)과 제2 탄성체(1911)의 일단은 접착제(미도시) 등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3 결합부(193)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평 프레임(130)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제2 탄성체(1911)는 수평 프레임(130)에 열 융착에 의해 직접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제4 결합부(195)는 등판(170)에 제2 탄성부(191)의 타측을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2 탄성체(1911)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4 체결 부재(1951)와, 등판(170)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4 결합공(1953)과, 그리고 제4 결합공(1953) 및 제4 체결 부재(1951)에 체결되는 제4 볼트(195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볼트(1955)가 제4 체결 부재(1951) 및 제4 결합공(1953)에 나사 체결되면 등판(170)과 제2 탄성체(1911)의 타측은 결합된다.
나아가, 제2 탄성체(1911)가 상/하 방향으로 두 개(이하, "상부 제2 탄성체" 및 "하부 제2 탄성체"라 함)가 배열되는 형태를 가질 경우, 상기 제3 체결 부재(1931)는 상부 제2 탄성체(1911)와 하부 제2 탄성체(1912)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4 체결 부재(1951)는 상부 제2 탄성체(1911)의 끝단에 구비되고, 하부 제2 탄성체(1912)의 끝단에는 제5 체결 부재(195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5 체결 부재(1957)가 더 구비됨에 따라, 제5 볼트(1959) 및 등판(170)에 형성되는 제5 결합공(1958)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 체결 부재(1951)는 상부 제2 탄성체(1911)의 끝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경질의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4 바디(1951a)와, 제4 바디(1951a)에 형성되는 제3 관통홀(1951b)을 포함하고, 제5 체결 부재(1957)는 하부 제2 탄성체(1911)의 끝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경질의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5 바디(1957a)와, 제5 바디(1957a)에 형성되는 제4 관통홀(1957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볼트(1955)가 제3 관통홀(1951b) 및 제4 결합공(1953)에 나사 체결되면 등판(170)과 상부 제2 탄성체(1911)는 결합되고, 제5 볼트(1959)가 제4 관통홀(1957b) 및 제5 결합공(1958)에 나사 체결되면 등판(170)과 하부 제2 탄성체(1911)는 결합된다.
물론, 다른 예로서, 조립의 편의성(추후 부품 교체 등의 편의성을 포함)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4 결합부(195)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 제2 탄성체(1911)와 등판(170)은 접착제(미도시) 등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4 결합부(195)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등판(170)의 배면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제2 탄성체는 등판(170)의 배면에 열 융착에 의해 직접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부(도 17의 "630"참조)에 앉으면 1번 화살표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1 등판(171)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2 등판(172)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2번 화살표 방향으로 몸의 상체를 틀면 2번 화살표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미는 힘은 수직 프레임(1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수평 프레임(130)을 도 6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사용자의 등은 제1 및 제2 등판(171)(172)에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평 프레임(130)과 함께 도 6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의자의 후방에서 의자의 배면을 보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체의 움직임에 따라, 수직 프레임(1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수평 프레임(130)은 도 7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부(도 17의 "630"참조)에 착석을 하게 되면, 제1 및 제2 등판(171)(172)에 의해 등이 감싸지게 되고, 사용자가 그의 등을 후방으로 밀면, 등이1 및 제2 등판(171)(172)에 완전히 밀착되고, 이 후, 이러한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자재로 등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고,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 유닛(250)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 유닛(2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결합 유닛(250)은 수평 프레임(230)과 수직 프레임(210)을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1 탄성부(251)와, 제1 결합부(253)와, 그리고 제2 결합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251)는 수직 프레임(210)과 수평 프레임(23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탄력성을 갖는 고무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제1 탄성체(25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탄성체(2511)는 그 탄성력 및 사용 자의 미는 힘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의 미는 힘이 탄성력의 범위에 들어가는 범위에서 제1 탄성체(2511)의 크기는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제1 결합부(253)는 수직 프레임(210)에 제1 탄성부(251)의 일측을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1 탄성체(2511)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 체결 부재(2531)와, 수직 프레임(210)의 정면에 구비되며 이에 제1 결합공(2533a)이 형성된 결합판(2533)과, 그리고 제1 결합공(2533a) 및 제1 체결 부재(2531)에 체결되는 제1 볼트(253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볼트(2535)가 제1 결합공(2533a) 및 제1 체결 부재(2531)에 나사 체결되면 수직 프레임(210)과 제1 탄성체(2511)의 일측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 부재(2531)는 제1 탄성체(2511)의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경질의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바디(2531a)와, 제1 바디(2531a)를 기준으로 사방으로 분지된 복수개의 브랜치(2531b)와, 복수개의 브랜치(2531b)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관통홀(253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결합판(2533)에는 제1 바디(2531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2533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2531a) 및 제1 탄성체(2511)가 결합판(2533)의 후방에서 제2 관통홀(2533b)을 통해 삽입되고, 제1 볼트(2535)가 브랜치(2531b)의 제1 관통홀(2531c)을 통해 삽입된 후, 제1 결합공(2533a)에 나사 체결되면 수직 프레임(210)과 제1 탄성체(2511)의 일측은 결합된다.
물론, 다른 예로서, 조립의 편의성(추후 부품 교체 등의 편의성을 포함)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1 결합부(253)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직 프레임(210)과 제1 탄성체(2511)의 일단은 접착제(미도시) 등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1 결합부(253)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직 프레임(210)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제1 탄성체(2511)는 수직 프레임(210)에 열 융착에 의해 직접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제2 결합부(255)는 수평 프레임(230)에 제1 탄성부(251)의 타측을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1 탄성체(2511)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 체결 부재(2551)와, 수평 프레임(230)의 중심에 해당하며 이에 제2 결합공(2553a)이 형성된 결합 부위(2553)와, 그리고 제2 결합공(2553a) 및 제2 체결 부재(2551)에 체결되는 제2 볼트(255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볼트(2555)가 제2 결합공(2553a) 및 제2 체결 부재(2551)에 나사 체결되면 수평 프레임(230)과 제1 탄성체(2511)의 타측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체결 부재(2551)는 제1 탄성체(2511)의 타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경질의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제2 바디(2551a)와, 제2 바디(2551a)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되는 제1 너트(2551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볼트(2555)가 제1 결합공(2533a) 및 제1 너트(2551b)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면 수평 프레임(230)과 제1 탄성체(2511)의 타측은 결합된다.
물론, 다른 예로서, 조립의 편의성(추후 부품 교체 등의 편의성을 포함)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2 결합부(255)를 굳이 사용하지 않 더라도, 수평 프레임(230)과 제1 탄성체(2511)의 타단은 접착제(미도시) 등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2 결합부(255)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평 프레임(230)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제1 탄성체(2511)는 수평 프레임(230)에 열 융착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부(도 17의 "630"참조)에 앉으면 1번 화살표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1 등판(171)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2 등판(172)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2번 화살표 방향으로 몸의 상체를 틀면 2번 화살표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미는 힘은 수직 프레임(2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수평 프레임(230)을 도 10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사용자의 등은 제1 및 제2 등판(171)(172)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평 프레임(230)과 함께 도 10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의자의 후방에서 의자의 배면을 보게 되면, 사용자의 상체의 움직임에 따라, 수직 프레임(2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수평 프레임(230)은 도면(도 7 참조)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도 7의 "130" 참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부(도 17의 "630"참조)에 착석을 하게 되면, 제1 및 제2 등판(171)(172)에 의해 등이 감싸지게 되고, 사용자가 그의 등을 후방으로 밀면, 등이1 및 제2 등판(171)(172)에 완전히 밀착되고, 이 후, 이러한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자재로 등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 유닛(390)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제2 결합 유닛(39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제2 결합 유닛(39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결합 유닛(390)은 제1 및 제2 등판(371)(372)(이하, "등판"이라 함)을 수평 프레임(330)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2 탄성부(391)와, 제3 결합부(393)와, 그리고 제4 결합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부(391)는 수평 프레임(330)과 등판(37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판 스프링(3911)과, 판 스프링(3911)의 일측이 절곡된 제1 절곡 부위(3913)와, 그리고 판 스프링(3911)의 타측이 절곡된 제2 절곡 부위(39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결합부(393)는 수평 프레임(330)에 제2 탄성부(391)의 일측을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1 절곡 부위(3913)에 형성되는 제1 체결공(3931)과, 수평 프레임(330)의 정면에 형성되는 제3 결합공(3932)과, 그리고 제3 결합공(3932) 및 제1 체결공(3931)에 체결되는 제3 볼트(393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볼트(3933)가 제3 결합공(3932) 및 제1 체결공(3931)에 나사 체결되면 수평 프레임(330)과 제1 절곡 부위(3913)의 일측은 결합된다.
물론, 다른 예로서, 조립의 편의성(추후 부품 교체 등의 편의성을 포함)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3 결합부(393)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평 프레임(330)과 제1 절곡 부위(3913)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3 결합부(393)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평 프레임(330)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제1 절곡 부위(3913)는 수평 프레임(330)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제4 결합부(395)는 등판(370)에 제2 탄성부(391)의 타측을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2 절곡 부위(3915)에 형성되는 제2 체결공(3951)과, 등판(370)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4 결합공(3953)과, 그리고 제4 결합공(3953) 및 상기 제2 체결공(3951)에 체결되는 제4 볼트(395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볼트(3955)가 제2 체결공(3951) 및 제4 결합공(3953)에 나사 체결되면 등판(370)과 제2 절곡 부위(3915)는 결합된다.
나아가, 제2 결합 유닛(390)은 제4 결합부(395)와 제2 절곡 부위(3915) 사이에 위치되며 제4 볼트(395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3 관통홀(3971)이 형성된 위치 보정 부재(3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보정 부재(397)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등판(370)의 배면이 라운드 형상을 가질 경 우 등판(370)의 배면과 평평한 판 스프링(3911)의 제2 절곡 부위(3915)는 서로 면 접촉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위치 보정 부재(397)(일면은 라운드 형상을 하고 반대면은 평평한 부피 부재)를 그 사이에 위치시키게 되면 면 접촉이 정확히 이루어지면서 판 스프링(3911)이 등판(370)에 정확히 위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2 절곡 부위(3915)는 수평 프레임(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프레임(330)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제1 등판(371) 및 제2 등판(372)이 각각의 판 스프링(3911)을 기준으로 수평 프레임(330)의 중심을 향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되므로, 사용자의 등은 이렇게 회전된 제1 등판(371) 및 제2 등판(372)에 의해 원활하게 감싸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예로서, 조립의 편의성(추후 부품 교체 등의 편의성을 포함)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4 결합부(395)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제2 절곡 부위(3915)와 등판(370)은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4 결합부(395)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등판(370)의 배면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제2 절곡 부위(3915)는 등판(370)의 배면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부(도 17의 "630"참조)에 앉으면 1번 화살표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1 등판(371)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2 등판(372)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2번 화살표 방향으로 몸의 상체를 틀면 2번 화살표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미는 힘은 수직 프레임(1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수평 프레임(330)을 도 12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사용자의 등은 제1 및 제2 등판(371)(372)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평 프레임(330)과 함께 도 12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의자의 후방에서 의자의 배면을 보게 되면, 사용자의 상체의 움직임에 따라, 수직 프레임(1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수평 프레임(330)은 도면(5 참조)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도 7의 "130"참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부(도 17의 "630"참조)에 착석을 하게 되면, 제1 및 제2 등판(371)(372)에 의해 등이 감싸지게 되고, 사용자가 그의 등을 후방으로 밀면, 등이1 및 제2 등판(371)(372)에 완전히 밀착되고, 이 후, 이러한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자재로 등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 유닛(490)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 로,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제2 결합 유닛(49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제2 결합 유닛(49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결합 유닛(490)은 제1 및 제2 등판(471)(472)(이하, "등판"이라 함)을 수평 프레임(430)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수평 프레임(430)의 일부가 절개되어 수평 프레임(430)으로부터 절곡된 절편(491)(切片)과, 절편(491)의 일측이 절곡되고 이에 제1 체결공(4931)이 형성된 제1 절곡 부위(493)와, 등판(470)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3 결합공(495)과, 그리고 제3 결합공(495) 및 제1 체결공(4931)에 체결되는 제3 볼트(49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프레임(430)에서 절개 및 절곡된 절편(491)이 탄성체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제3 볼트(496)가 제1 체결공(4931) 및 제3 결합공(495)에 나사 체결되면 등판(470)과 제1 절곡 부위(493)는 결합된다. 특히, 탄성체로서 수평 프레임(430)의 절편(491)을 사용하게 되므로, 별도의 결합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제2 결합 유닛(490)은 등판(470)의 제3 결합공(495)측과 제1 절곡 부위(493) 사이에 위치되며 제3 볼트(49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3 관통홀(4971)이 형성된 위치 보정 부재(4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보정 부재(497)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등판(470)의 배면이 라운드 형상을 가질 경우 등판(470)의 배면과 평평한 절편(491)의 제1 절곡 부위(493)는 서로 면 접촉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위치 보정 부재(497)(일면은 라운드 형상 을 하고 반대면은 평평한 부피 부재)를 그 사이에 위치시키게 되면 면 접촉이 정확히 이루어지면서 제1 절곡 부위(493)이 등판(470)의 배면에 정확히 위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절곡 부위(493)는 수평 프레임(4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프레임(430)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제1 등판(471) 및 제2 등판(472)이 각각의 절편(491)을 기준으로 수평 프레임(430)의 중심을 향해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되므로, 사용자의 등은 이렇게 회전된 제1 등판(471) 및 제2 등판(472)에 의해 원활하게 감싸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예로서, 조립의 편의성(추후 부품 교체 등의 편의성을 포함)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면, 상술한 결합 부품들을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제1 절곡 부위(493)와 등판(470)은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술한 결합 부품들을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등판(470)의 배면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제1 절곡 부위(493)는 등판(470)의 배면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부(도 17의 "630"참조)에 앉으면 1번 화살표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1 등판(471)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2 등판(472)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2번 화살표 방향으로 몸의 상체를 틀면 2번 화살표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미는 힘은 수직 프레임(1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수평 프레임(430)을 도 14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사용자의 등은 제1 및 제2 등판(471)(472)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평 프레임(430)과 함께 도 14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의자의 후방에서 의자의 배면을 보게 되면, 사용자의 상체의 움직임에 따라, 수직 프레임(1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수평 프레임(430)은 도면(도 7 참조)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도 7의 "130"참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부(도 17의 "630"참조)에 착석을 하게 되면, 제1 및 제2 등판(471)(472)에 의해 등이 감싸지게 되고, 사용자가 그의 등을 후방으로 밀면, 등이1 및 제2 등판(471)(472)에 완전히 밀착되고, 이 후, 이러한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자재로 등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510)과, 수직 프레임(510)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530)과, 수평 프레임(53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등판(571)(572)과, 그리고 상기 제1 등판(571)과 제2 등판(572)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580)를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510)은 의자(도 17 또는 도 18 참조)의 배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것으로서, 의자(도 18 참조)의 좌부(도 18의 "710"참조)에 장착될 수도 있고, 베이스(도 17의 "610"참조)(좌부를 지지하기 위해 좌부 아래에 위치되며, 필요에 따라 틸팅 장치 등이 탑재되는 것)를 갖는 타입인 경우에는 베이스(도 17의 "610" 참조)에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조립의 편의를 위해서 수직 프레임(510)은 의자의 좌부 또는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수평 프레임(530)은 수직 프레임(510)에 교차되게 위치되는 것으로서, 수직 프레임(510)과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제1 등판 및 제2 등판(571)(572) 각각은 수평 프레임(530)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등판(571)은 수평 프레임(5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고, 제2 등판(572)은 수평 프레임(5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된다.
나아가, 사용자의 등과의 밀착면을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등판(571)(572) 각각의 횡단면은 의자의 후방으로 오목하게 라운드(round)진 형상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등판을 전면에서 볼 때 가상의 면 접촉선들 중 가로 방향으로 놓인 접촉선의 형상은 의자의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하며, 이와 같이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은 각 등판의 중심의 세로 방향으로 놓인 접촉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또는 비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의 요추를 제대로 지지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등판(571)(572) 각각의 종단면은 의자의 전방으로 볼록하게 라운드(round)진 형상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등판(570)을 전면에서 볼 때 가상의 면 접촉선들 중 세로 방향으로 놓인 접촉선의 형상은 의자의 전방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상을 하며, 특히, 이러한 세로 방향으로 놓인 접촉선은, 제1 예로서, 그 중심 구간이 그 상부 구간 및 그 하부 구간과 같이 라운드 형상을 하여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제2 예로서, 그 중심 구간이 직선 형상(도 4의 "L"참조)을 하고 그 상부 구간 및 하부 구간이 의자의 후방으로 기울어져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도 4 참조). 따라서, 제1 및 제2 예에 의하면, 각 등판(570)에서 볼록한 상부는 사용자의 상체의 하중을 지지하여 요추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고, 각 등판(570)에서 볼록한 하부는 사용자의 골반부에 밀착되어 그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세로 방향으로 놓인 접촉선의 볼록한 정도는 사용자의 척추에 가까운 부분 보다 사용자의 옆구리에 가까운 부분(도 5 참조)에서 더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나아가 사용자의 척추에 가까운 부분은 전체적으로 거의 편평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연결 부재(580)는 제1 등판(571)이 움직일 때 제1 등판(571)과 연결된 제2 등판(572) 역시 거의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등이 제1 등판(571)에 먼저 접촉되어 제1 등판(571) 중 제2 등판(572)과 마주하는 부위가 밀리면서 회전될 때, 등과 접촉되지 않은 제2 등판(572) 중 제1 등판(571)과 마주하는 부위(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부위)가 제1 등판(571)과 거의 동시에 밀리면서 회전되 므로, 사용자의 등은 제1 등판(571)과 제2 등판(572)에 정확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580)는 탄력성을 갖는 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키기 위해, 연결 부재(580)와, 제1 등판(571)과, 그리고 제2 등판(572)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연결 부재(580)와, 제1 등판(571)과, 그리고 제2 등판(572)이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하나의 금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허리는 정확히 감싸질 수 있도록 하고, 허리 윗부분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결 부재(580)는 제1 및 제2 등판(571)(572)의 가로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아래에 위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에 의하면, 1차적으로, 제1 및 제2 등판(571)(572)이 연결 부재(580)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가 좌부(도 17의 "630"참조)에 착석하게 되면, 사용자의 등은 제1 등판(571)과 제2 등판(572)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2차적으로, 제1 및 제2 등판(571)(572)과 수평 프레임(530)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의 등을 의자의 후방으로 밀게 되면, 사용자의 등은 제1 및 제2 등판(571)(572)에 완전히 밀착된다. 3차적으로, 수평 프레임(530)과 수직 프레임(510)이 탄성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이러한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자재로 등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끝으로, 사용자가 의자에서 일어나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된 제1 등판(571), 제2 등판(572) 및 수평 프레임(530)은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제1 결합 유닛(5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결합 유닛(550)은 수평 프레임(530)과 수직 프레임(510)을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수직 프레임(510)의 정면에 구비되고 수평 프레임(530)의 배면에 위치되며 수평 프레임(530)의 형상을 갖는 수평 플레이트(551)와, 수평 플레이트(551)의 정면에 구비되며 원형의 제1 삽입홈(5531)이 형성된 클립(553)과, 수평 프레임(530)의 배면에 구비되며 제1 삽입홈(5531)에 삽입되는 구형의 제1 힌지(555)와, 수평 프레임(530)과 수평 플레이트(551) 사이에 구비되되 제1 힌지(555)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탄성체(557)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프레임(510)에 구비된 수평 플레이트(551)와 수평 프레임(530) 사이에 제1 탄성체(557)가 위치된 후, 수평 프레임(530)의 제1 힌지(555)가 수평 플레이트(551)의 제1 삽입홈(5531)에 삽입되면, 수직 프레임(510)과 수평 프레임(530)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나아가, 제1 탄성체(557)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듀브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고무 재질에 의한 1차 탄성력 및 공기층에 의한 2차 탄성력이 발생되므로 탄성력 확보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제1 탄성체(557)는 제1 힌지(555)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탄성체(557)는 그 탄성력 및 사용자의 미는 힘에 따라 그 수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의 미는 힘이 탄성력의 범위에 들어가는 범위에서 제1 탄성체(557)의 수는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의 미는 힘이 탄성력의 범위에 들어가는 범위에서 제1 탄성체(557)의 수 는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5를 다시 참조하여, 제2 결합 유닛(59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결합 유닛(590)은 제1 및 제2 등판(571)(572)(이하 "등판"이라 함)을 상기 수평 프레임(530)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수평 프레임(530)의 정면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 콘 형상의 공간부(5911) 및 그 중심에 원형의 제2 삽입홈(5912)이 형성된 삽입부(591)와, 등판(570)의 배면에 구비되며 제2 삽입홈(5912)에 삽입되는 구형의 제1 힌지(555)가 그 끝단에 형성되는 콘 형상의 삽입 부재(593)와, 그리고 삽입부(591)의 내주면과 삽입 부재(593)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는 제2 탄성체(59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등판(570)에 구비된 삽입 부재(593)가 수평 프레임(530)의 삽입부(591)에 형성된 공간부(5911)에 삽입된 후, 삽입 부재(593)의 제2 힌지(5931)가 삽입부(591)의 제2 삽입홈(5912)에 삽입되면, 등판(570)과 수평 프레임(530)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나아가, 제2 탄성체(595)는 고탄력성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삽입부(591)의 내주면 전체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부재(593)가 회동되면서 제2 탄성체(595)에 밀착될 경우 제2 탄성체(595)는 삽입 부재(593)에 원활한 탄성력 및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부(도 17의 "630"참조)에 앉으면 1번 화살표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1 등판(571)은 도면상 시계 방향으 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2 등판(572)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2번 화살표 방향으로 몸의 상체를 틀면 2번 화살표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미는 힘은 수직 프레임(5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수평 프레임(530)을 도 16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사용자의 등은 제1 및 제2 등판(571)(572)에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평 프레임(530)과 함께 도 16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의자의 후방에서 의자의 배면을 보게 되면, 사용자의 상체의 움직임에 따라, 수직 프레임(5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수평 프레임(130)은 도면(도 7 참조)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도 7의 "130"참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부(도 17의 "630"참조)에 착석을 하게 되면, 제1 및 제2 등판(571)(572)에 의해 등이 감싸지게 되고, 사용자가 그의 등을 후방으로 밀면, 등이1 및 제2 등판(571)(572)에 완전히 밀착되고, 이 후, 이러한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자재로 등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5 실시예에 언급된 제1 결합 유닛(150)(250)(550)은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 서로 대체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나아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제3, 제4 및 제5 실시예에 언급된 제2 결합 유닛(190)(390)(490)(590) 또한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 서로 대체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 지지 장치가 적용된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베이스(610)(좌부를 지지하기 위해 좌부 아래에 위치되며, 필요에 따라 틸팅 장치 등이 탑재되는 것)가 구비된 타입으로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610)와, 베이스(6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좌부(630)와, 그리고 베이스(610)에 구비되되 좌부(630)의 후방에 위치되는 등 지지 장치(650)를 포함한다.
등 지지 장치(650)는 베이스(610)에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110)과, 수직 프레임(110)에 제1 결합 유닛(150)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130)과, 그리고 수평 프레임(130)에 제2 결합 유닛(190)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등판(170)을 포함한다.
제1 결합 유닛(150)과 제2 결합 유닛(190)은 상술한 여러 실시예들에 언급된 등 지지 장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한편,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 지지 장치가 적용된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상술한 베이스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은 타입으로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부(710)와, 좌부(710)의 후방에 위치되는 등 지지 장치(730)를 포함한다.
등 지지 장치(730)는 좌부(710)에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110)과, 수직 프레임(110)에 제1 결합 유닛(150)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130)과, 그리고 수평 프레임(130)에 제2 결합 유닛(190)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적어 도 2개의 등판(170)을 포함한다.
제1 결합 유닛(150)과 제2 결합 유닛(190)은 상술한 여러 실시예들에 언급된 등 지지 장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의자 및 이의 등 지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등이 복수개의 등판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자유자재로 등을 움직일 수 있으므로, 즉, 사용자가 등을 복수개의 등판에 기댄 후 좌/우로 움직일지라도 복수개의 등판이 등에 밀착된 상태로 등과 함께 움직일 수 있으므로, 허리의 일측에 가해질 수 있는 체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허리의 근육에 무리가 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피시(PC)방이나 사무실이나 독서실 등에서 몸의 상체를 어느 한 방향으로 틀어 장시간 유지할 경우에도 척추 등에 무리가 가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Claims (26)

  1. 삭제
  2. 의자의 배면에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등판과, 그리고
    상기 제1 등판과 상기 제2 등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은 제1 결합 유닛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제1 결합 유닛은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에 상기 제1 탄성부의 일측을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와,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에 상기 제1 탄성부의 타측을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
    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탄성부는
    탄력성을 갖는 고무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체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 체결 부재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정면에 구비되며 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판과,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체의 상기 제1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볼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체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 체결 부재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에 해당하며 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 부위와,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체의 상기 제2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볼트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제1 탄성부는
    탄력성을 갖는 고무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제1 탄성체이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탄성체의 일단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 부재와,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정면에 구비되며 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판과,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볼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탄성체의 타단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 부재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에 해당하며 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 부위와,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볼트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5. 의자의 배면에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등판과, 그리고
    상기 제1 등판과 상기 제2 등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은 제1 결합 유닛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제1 결합 유닛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정면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되며 상기 수평 프레임의 형상을 갖는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정면에 구비되며 원형의 제1 삽입홈이 형성된 클립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는 구형의 제1 힌지와,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 힌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탄성체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듀브 형상을 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7. 의자의 배면에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등판과, 그리고
    상기 제1 등판과 상기 제2 등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은 고무 재질의 탄성체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수직 프레임에 열 융착에 의해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탄성체의 타단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열 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제2 결합 유닛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등판 사이에 위치되는 제2 탄성부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상기 제2 탄성부의 일측을 결합시키는 제3 결합부와, 그리고
    상기 등판에 상기 제2 탄성부의 타측을 결합시키는 제4 결합부
    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2 탄성부는
    탄력성을 갖는 고무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제2 탄성체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3 체결 부재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정면에 형성되는 제3 결합공과, 그리고
    상기 제3 결합공 및 상기 제3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제3 볼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4 결합부는
    상기 제2 탄성체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4 체결 부재와,
    상기 등판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4 결합공과, 그리고
    상기 제4 결합공 및 상기 제4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제4 볼트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0. 제8항에서,
    상기 제2 탄성부는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판 스프링과,
    상기 판 스프링의 일측이 절곡된 제1 절곡 부위와,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타측이 절곡된 제2 절곡 부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제1 절곡 부위에 형성되는 제1 체결공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정면에 형성되는 제3 결합공과, 그리고
    상기 제3 결합공 및 상기 제1 체결공에 체결되는 제3 볼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4 결합부는
    상기 제2 절곡 부위에 형성되는 제2 체결공과,
    상기 등판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4 결합공과, 그리고
    상기 제4 결합공 및 상기 제2 체결공에 체결되는 제4 볼트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제4 결합부와 상기 제2 절곡 부위 사이에 위치되며 제4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위치 보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제2 절곡 부위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3.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제2 결합 유닛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으로부터 절곡된 절편과,
    상기 절편의 일측이 절곡되고 이에 제1 체결공이 형성된 제1 절곡 부위와,
    상기 등판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3 결합공과, 그리고
    상기 제3 결합공 및 상기 제1 체결공에 체결되는 제3 볼트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제3 결합공과 상기 제1 절곡 부위 사이에 위치되며 제3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위치 보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제1 절곡 부위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6.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제2 결합 유닛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정면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 콘 형상의 공간부 및 그 중심에 원형의 제2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등판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는 구형의 제2 힌지가 그 끝단에 형성되는 콘 형상의 삽입 부재와, 그리고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 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7.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과 상기 수평 프레임은 고무 재질의 탄성체에 의해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등판의 배면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열 융착에 의해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탄성체의 타단은 상기 등판의 배면에 열 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탄력성을 갖는 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9.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제1 등판과, 그리고 상기 제2 등판은 하나의 금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등판의 가로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아래에 위치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21.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의 횡단면은 의자의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22. 제21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의 종단면은 의자의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23. 제22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의 종단면 중 설정 구간의 면은 직선 형상을 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24. 제23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의 종단면 중 사용자의 옆구리가 닿는 구간의 면은 그 볼록 정도가 타 구간에 비해 더 큰 형상을 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25. 의자의 배면에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등판과, 그리고
    상기 제1 등판과 상기 제2 등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제2 결합 유닛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으로부터 절곡된 절편과,
    상기 절편의 일측이 절곡되고 이에 제1 체결공이 형성된 제1 절곡 부위와,
    상기 등판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3 결합공과, 그리고
    상기 제3 결합공 및 상기 제1 체결공에 체결되는 제3 볼트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26. 의자의 배면에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등판과, 그리고
    상기 제1 등판과 상기 제2 등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등판 각각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제2 결합 유닛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정면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 콘 형상의 공간부 및 그 중심에 원형의 제2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등판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는 구형의 제2 힌지가 그 끝단에 형성되는 콘 형상의 삽입 부재와, 그리고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 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1020070003867A 2007-01-12 2007-01-12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100840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867A KR100840205B1 (ko) 2007-01-12 2007-01-12 의자의 등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867A KR100840205B1 (ko) 2007-01-12 2007-01-12 의자의 등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205B1 true KR100840205B1 (ko) 2008-06-23

Family

ID=39772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867A KR100840205B1 (ko) 2007-01-12 2007-01-12 의자의 등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2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887B1 (ko) * 2008-10-18 2013-01-31 박경희 다중 등받이 벤치
KR102506194B1 (ko) * 2022-09-05 2023-03-07 주식회사 린백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18A (ko) * 2001-02-06 2001-06-05 강규수 척추가 편한 의자
KR200270434Y1 (ko) 2001-12-20 2002-04-03 한명동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18A (ko) * 2001-02-06 2001-06-05 강규수 척추가 편한 의자
KR200270434Y1 (ko) 2001-12-20 2002-04-03 한명동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887B1 (ko) * 2008-10-18 2013-01-31 박경희 다중 등받이 벤치
KR102506194B1 (ko) * 2022-09-05 2023-03-07 주식회사 린백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48554A1 (en) Backrest device
US7478872B2 (en) Seat assembly
US9585484B1 (en) Back support cushion device for chair
KR100840206B1 (ko)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100840205B1 (ko) 의자의 등 지지 장치
JP3144491U (ja) シートバック構造
JP2011101762A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200419580Y1 (ko) 의자용 좌판
KR200422122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JP4888956B2 (ja) 椅子
KR100328912B1 (ko) 의자용 허리받이
CN101243926B (zh) 椅子的背部支撑装置
KR200461075Y1 (ko)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100499339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KR200423685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20170029145A (ko) 책상 부착용 자세교정 장치
JP4197045B2 (ja) 椅子
KR200428245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
JP2020168890A (ja) 車両用シート
CN214072594U (zh) 可调式靠背组件
KR200395856Y1 (ko) 의자 등받이 요추받침 장치
KR20190140133A (ko) 의자의 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2514183B1 (ko) 관절타입 등받이체의 탄력 복원구조가 적용된 사무용 의자
KR200185922Y1 (ko) 의자 등받이 구조
CN201683408U (zh) 椅背的调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