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060B1 - Ideal state conditioning interlock device - Google Patents

Ideal state conditioning interlock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060B1
KR100840060B1 KR1020050082258A KR20050082258A KR100840060B1 KR 100840060 B1 KR100840060 B1 KR 100840060B1 KR 1020050082258 A KR1020050082258 A KR 1020050082258A KR 20050082258 A KR20050082258 A KR 20050082258A KR 100840060 B1 KR100840060 B1 KR 10084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tate
power
uni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2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1412A (en
Inventor
정현철
박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50082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060B1/en
Publication of KR2006010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4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0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227Interlocked hand- and power-operating mechan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상적인 상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장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ideal state determination conditional interlock device.

본 발명의 이상적인 상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장치는, 제 1 전원경로 상의 제 1 스위치 및 제 2 전원경로 상의 제 2 스위치의 기계적 접점상태및 전기적 연결상태를 감지하는 접점 감지부;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의 출력단의 전원상태 및 상기 접점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른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 및 상기 상태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절체를 제어하기 위한 절환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절환 명령부를 구비하여, 인터록되는 스위치의 기계적 온/오프 상태 뿐 만 아니라 스위치 양단의 전원상태를 확인하여 스위치의 절체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An ideal state determination conditional inter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act sensing unit for sensing a mechanical contact state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a first switch on a first power path and a second switch on a second power path; A state detection unit detecting an on / off stat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ccording to a power stat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nd a detection result of the contact sensing unit; And a switching command unit for outputting a switching command signal for controlling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state detection unit, as well as the mechanical on / off state of the interlocked switch as well as both ends of the switch. By checking the power status of the switch to determine whether to switch, more stable power supply can be achieved.

Description

이상적인 상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장치{IDEAL STATE CONDITIONING INTERLOCK DEVICE}IDEAL STATE CONDITIONING INTERLOCK DEVICE

도 1은 종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도 2는 종래 수전시설 입력전원 선택스위치용 인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rlock device for a conventional power supply facility input power selection switch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형 인터록 스위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deal interlock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인터록 스위칭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회로도.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lock switching device of FIG. 3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인터록(interlock)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Uninterruptable Power Supply)에서 정상전원라인과 바이패스전원라인 사이의 스위치 절체시 이용된 절체 스위치용 인터록 스위치 장치, 또는 수전시설인 한전전원라인에서 발전전원라인 또는 예비전원라인으로 절체시 이용되는 자동절체 스위치(ATS)등의 정상운용 여부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정확히 감지하여 보다 안정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인터록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 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an interlock switch device for a switching switch used when switching a switch between a normal power supply line and a bypass power supply line in an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UPS). Or an interlock switch device that provides a more stable power supply by detecting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precisely the normal operation of the automatic transfer switch (ATS) used when switching from a KEPCO power line, a power receiving facility, to a power generation line or a spare power lin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각 산업현장에 설치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는 전기를 필요로 하는 기기에 상용전원이 예고 없이 정전되거나 사고로 인하여 과도한 전압강하가 일어나더라도 무순단으로 정상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계된다.In general,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nstalled in each industrial site is designed to supply the normal power to the equipment requiring electricity even if the commercial power is uninterrupted without notice or excessive voltage drop due to an accident.

도 1은 종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brief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도 1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는 상용전원부(6)와 부하(7) 사이에 정류부(1), 배터리(2), 인버터부(3), 인버터출력 스위치(4), 바이패스출력 스위치(5), 및 미도시된 바이패스 전원 또는 예비전원부를 구비한다. 정상 동작시에 정류부(1)는 상용전원부(6)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2)에 충전시키며 동시에 직류전원을 인버터부(3)에 공급한다. 인버터부(3)는 정류부(1)로부터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다시 변환하여 부하(7)에 공급한다. 정전시에 인버터부(3)는 신속히 배터리(2)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으므로써 부하(7)에 어떠한 변화도 야기시키지 아니하고 계속 교류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인버터부(3)에 고장 등의 이상이 발생하여 인버터(3)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인버터출력 스위치(4)가 즉시 차단되고 미도시된 인터록 장치로부터 절환 동작신호 SW-A를 받아 바이패스출력 스위치(5)가 전기적(스타틱 스위치) 또는 기계적(마그네틱 스위치)인 방법으로 ON이 되어 바이패스 출력라인을 통해 부하(7)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해준다.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of FIG. 1 includes a rectifier 1, a battery 2, an inverter 3, an inverter output switch 4, and a bypass output switch 5 between a commercial power supply 6 and a load 7. And a bypass power supply or a reserve power supply, not shown. In normal operation, the rectifier 1 converts AC power applied from the commercial power supply 6 into DC power to charge the battery 2 and simultaneously supplies DC power to the inverter 3. The inverter unit 3 converts the DC power from the rectifier 1 back into AC power and supplies it to the load 7. In the case of a power failure, the inverter unit 3 is supplied with a direct current power supply from the battery 2 so as not to cause any change to the load 7 and continue to supply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When the inverter unit 3 fails to supply power through the inverter 3 because of an abnormality such as a failure, the inverter output switch 4 is cut off immediately and the switching operation signal SW-A from the interlock device is not shown. The bypass output switch 5 is turned on by the electrical (static switch) or mechanical (magnetic switch) method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7 through the bypass output line.

이때,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인터록(interlock) 장치는 인버터출력 스위치(4)와 바이패스출력 스위치(5)가 동시에 OFF되지 못하도록 인버터출력 스위치 (4)가 차단되면 즉시 바이패스출력 스위치(5)를 ON 한다.At this time, the interlock device for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immediately bypasses the inverter output switch 4 when the inverter output switch 4 is blocked so that the inverter output switch 4 and the bypass output switch 5 cannot be turned off at the same time. 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터록 스위칭 장치는 단순히 스위칭 신호 SW-A, SW-B를 반대 위상으로 출력할 뿐 실제 해당 스위치(4, 5)가 정상적으로 ON 또는 OFF되었는지 여부는 확인하지 않는다. 따라서, 인버터 출력으로 전원 공급중에 인버터 고장으로 바이패스 또는 예비전원부으로 절체할 때, 절체 명령에 따라 바이패스출력 스위치(5)가 ON 되었는데 기기 상의 문제로 인버터출력 스위치(4)가 실제로 OFF되지 않게 되면, 고장난 인버터부(3)로 인한 부하단락사고 뿐만 아니라 바이패스 또는 예비전원부까지 고장을 일으키는 사고사례가 빈번하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interlock switching device simply outputs the switching signals SW-A and SW-B in opposite phases and does not confirm whether the corresponding switches 4 and 5 are actually turned on or off normally. Therefore, when switching to bypass or spare power supply due to an inverter failure while supplying power to the inverter output, the bypass output switch 5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transfer command, but the inverter output switch 4 is not actually turned off due to a problem in the equipment. In this case, there are frequent accident cases that cause a failure to the bypass or the reserve power supply unit as well as the load shortage accident due to the failed inverter unit 3.

도 2는 수전시설 입력전원 선택스위치용 인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lock device for an input power selection switch of a power receiving facility.

도 2의 수전시설에서의 인터록 장치는 상용전원부(8), 발전전원부(9), 변압기부(10), 상용전원입력 스위치(11), 발전전원입력 스위치(12) 및 부하(13)를 구비한다. The interlock device in the power receiving facility of FIG. 2 includes a commercial power supply unit 8, a power generation power supply unit 9, a transformer unit 10, a commercial power supply input switch 11, a power generation power input switch 12, and a load 13. do.

여기서 상용전원부(8)가 정상상태로 상용전원입력 스위치(11)를 ON 상태로 유지하게 되면 발전전원입력 스위치(12)는 절대로 ON되지 않으며 반대로, 발전전원입력 스위치(12)를 ON 상태로 유지하게 되면 상용전원입력 스위치(11)는 절대로 ON되지 않는다.Here, when the commercial power supply unit 8 maintains the commercial power input switch 11 in the ON state in the normal state, the power generation power input switch 12 will never be turned ON, and conversely, the power generation power input switch 12 is kept in the ON state. In this case, the commercial power input switch 11 is never turned on.

또한 자동절체 스위치(ATS)를 사용하게 되면, 상용전원부(8)가 정전시 상용전원입력 스위치(11)를 OFF 하고 자동으로 발전전원입력 스위치 (12)를 ON한다.In addition, when the automatic transfer switch (ATS) is used, the commercial power supply unit 8 turns off the commercial power input switch 11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and automatically turns on the power generation power input switch 12.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터록 방식이나 자동절체 스위치(ATS)방식은 발전전 원부(9)의 출력전압, 주파수 상태 등에 대한 고려없이 단순한 절체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압 및 주파수가 안정되지 않은 발전전원이 부하(13)로 투입되어 부하소손 및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interlock method or the automatic transfer switch (ATS) method performs a simple switching oper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output voltage and the frequency state of the power generation power source 9, the power source with unstable voltage and frequency is loaded ( 13) may cause load damage and breakdown.

따라서,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록 장치의 구조 및 절체 방법을 개선하여 단락으로 인한 사고나 개방으로 인한 전원공급중단이 없는 이상적인 인터록 장치를 구현하고, 상대의 전원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대로 행동할 수 있는 인터록 장치를 통하여 보다 안정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improve the structure and switching method of the interlock device to implement an ideal interlock device without the power supply interruption due to an accident or opening due to a short circuit, and determine the power state of the other In order to provide a more stable power supply through the interlock device that can act according to the user desired conditions.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터록 장치는 제 1 전원경로 상의 전기적 연결상태와 기계적 접점상태를 감지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전원경로 및 제 2 전원경로 상의 스위치 절체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detect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and the mechanical contact state on the first power path to determine whether the switch switching on the first power path and the second power path according to the result. It features.

이러한 본 발명의 인터록 장치는 상기 제 1 전원경로 상의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전원경로 상의 제 2 스위치의 기계적 접점상태및 전기적 연결상태를 감지하는 접점 감지부;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의 출력단의 전원상태 및 상기 접점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른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 및 상기 상태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절체를 제어하기 위한 절환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절환 명령부를 구비한다.The inter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sensing unit for sensing a mechanical contact state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a first switch on the first power path and a second switch on the second power path; A state detection unit detecting an on / off stat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ccording to a power stat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nd a detection result of the contact sensing unit; And a switching command unit outputting a switching command signal for controlling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state detection uni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인터록 장치는 접점 감지부(110, 210), 전원품질 검출부(120, 220), 우선 선택부(130, 230), 상태 검출부(140, 240) 및 절환 명령부(300)를 구비한다. The inter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detector 110 and 210, a power quality detector 120 and 220, a first selector 130 and 230, a state detector 140 and 240 and a switching command unit 300. .

접점 감지부(110)는 전원경로(100) 상의 스위치(111)와 기계적으로 연동되어 온/오프되는 스위치들을 구비하여 스위치(111)의 기계적 접점상태가 정확하게 OFF 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The contact detecting unit 110 includes switches that are mechanically interlocked with the switch 111 on the power path 100 to detect whether the mechanical contact state of the switch 111 is correctly turned off.

접점 감지부(210)는 전원경로(200) 상의 스위치(211)와 기계적으로 연동되어 온/오프되는 스위치들을 구비하여 스위치(211)의 기계적 접점상태가 정확하게 OFF 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The contact detector 210 includes switches that are mechanically interlocked with the switch 211 on the power path 200 to detect whether the mechanical contact state of the switch 211 is correctly turned off.

전원품질 검출부(120)는 전원경로(200)의 입력전원 유/무와 전압 및 주파수 상태 등 전원품질을 검출 분석하고, 전원품질 검출부(220)는 전원경로(100)의 입력전원 유/무와 전압 및 주파수 상태 등 전원품질을 검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전원품질 검출부(120, 220)는 각각 대응되는 전원경로(200, 100)의 입력단에 인가된 전원의 전압 및 주파수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해당 전원이 기준치 범위 이내의 안정된 전원품질 인지 여부를 검출한다.The power quality detection unit 120 detects and analyzes the power quality of the power path 200, such as the presence / absence of input power and voltage and frequency state, and the power quality detection unit 220 detects and analyzes the power supply path 100 of the power supply path 100. Detect and analyze the power quality such as frequency status. To this end, the power quality detectors 120 and 220 compare the voltage and frequency of the power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s of the corresponding power paths 200 and 100 with the reference value, respectively,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power is a stable power quality within the reference value range. Detect.

우선 선택부(130, 230)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전원품질 검출부(120, 220)와 상태 검출부(140, 24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원품질 검출부(120, 220) 기능의 사용여부를 결정한다. 이를 통해 우선 선택부(130, 230)는 스위치(111, 211) 중에서 우선 동작되는 전원경로를 결정하게 된다. First, the selector 130 or 230 selectively connects the power quality detectors 120 and 220 and the state detectors 140 and 240 through a switching operation to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power quality detectors 120 and 220. As a result, the selectors 130 and 230 determine the power path to be operated first among the switches 111 and 211.

즉, 우선 선택부(130, 230)의 결정에 따라 다음 4가지 경우의 동작이 가능하다. 첫번째로, 우선 선택부(130, 230)가 상태 검출부(140, 240)와 전원품질 검출부(120, 220)를 연결(ON)시키면, 후술되는 절환 명령부(300)는 스위치(111, 211) 절체시 스위치(111, 211)의 정상동작 여부 뿐만 아니라 절체 대상 전원경로(100,200)의 전원품질까지도 함께 판단하여 절체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는 일반적으로 수전반의 한전전원(상용전원)(8)을 스위치(111)로, 발전전원(9)을 스위치(211)로 운전하는 경우에 적합한 방식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the selector 130, 230, the following four cases are possible. First, when the selector 130 or 230 connects (ON) the state detectors 140 and 240 and the power quality detectors 120 and 220, the switching command uni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witches the switches 111 and 211. When switching, not only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witches 111 and 211 but also the power quality of the target power paths 100 and 200 to be transferred are determined together to determine whether to switch. Such a case is generally suitable for driving the KEPCO (commercial power) 8 of the power panel by the switch 111 and the power generation power 9 by the switch 211.

두번째, 우선 선택부(130, 230)가 상태 검출부(140, 240)를 연결시키지 않으면(OFF), 절환 명령부(300)는 스위치(111, 211) 절체시 스위치(111, 211)의 정상동작 여부 만을 판단하여 절체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는 일반적인 인터록 장치에서 본 발명의 기능 중에서 이상적인 동작상태, 즉 정확한 기계적, 전기적인 확실한 동작 상태만을 고려하는 선택 기능이다.Second, if the selector 130 or 230 does not connect the state detectors 140 and 240 (OFF), the switching command unit 300 normally operates the switches 111 and 211 when the switches 111 and 211 are switched. Only judging whether or not to determine whether to transfer. This case is a selection function that considers only the ideal operating state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eneral interlock device, that is, the exact mechanical and electrical sure operating state.

세번째, 우선 선택부(130)만을 ON 상태로 하는 경우, 스위치(111)에서 스위치(211)로 절체시 절환 명령부(300)는 스위치(111, 211)의 정상동작 여부 뿐만 아니라 전원경로(200)의 전원품질까지도 함께 판단하여 절체 여부를 결정하지만, 스위치(211)에서 스위치(111)로의 절체시 절환 명령부(300)는 스위치(111, 211)의 정상동작 여부만 고려하여 신속하게 절체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가 일반적으로 무정 전 전원공급장치의 바이패스출력 스위치(5)를 스위치(111)로, 인버터출력 스위치(4)를 스위치(211)로 운전하는 경우에 적합한 방식이다. Third, when only the selector 130 is ON, the switching command unit 300 when switching from the switch 111 to the switch 211 is not only normal operation of the switches 111 and 211, but also the power path 200. The power supply quality of the power supply is determined together to determine whether to switch, but when switching from the switch 211 to the switch 111, the switching command unit 300 changes quickly in consideration of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witches 111 and 211. do. This is generally the case when the bypass output switch 5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operated as the switch 111 and the inverter output switch 4 as the switch 211.

네번째, 우선 선택부(230)만을 ON 상태로 하면, 절환 명령부(300)는 스위치(111)에서 스위치(211)로 절체시에는 스위치(111, 211)의 정상동작 여부만 고려하여 신속하게 절체하게 되나, 스위치(211)에서 스위치(111)로 절체시에는 스위치(111, 211)의 정상동작 여부 뿐만 아니라 전원경로(100)의 전원품질까지도 함께 판단하여 절체 여부를 결정한다. Fourth, if only the selection unit 230 is turned ON first, the switching command unit 300 switches quickly in consideration of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witches 111 and 211 when switching from the switch 111 to the switch 211. However, when switching from the switch 211 to the switch 111, not only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witch (111, 211) but also the power quality of the power path 100 is determined together to determine whether to switch.

절환 명령부(300)는 상태 검출부(140,240)의 출력신호에 따라 스위치(111, 211)를 절환시키기 위한 절환명령신호 SW-A, SW-B를 출력한다. 즉, 절환 명령부(300)는 스위치(111, 211)의 기계적, 전기적 접점의 오프상태 및 전원경로(100, 200)의 전원품질 상태에 따라 절환명령신호 SW-A, SW-B의 출력 여부를 결정한다.The switching command unit 300 outputs switching command signals SW-A and SW-B for switching the switches 111 and 211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s of the state detectors 140 and 240. That is, the switching command unit 300 outputs the switching command signals SW-A and SW-B according to the off state of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acts of the switches 111 and 211 and the power quality state of the power paths 100 and 200. Determine.

도 4는 도 3의 이상적인, 상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4 is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deal, condition determination conditional interlock device of FIG.

하게 나타낸 회로도 이다.A schematic diagram is shown.

접점 감지부(110)는 스위치(111)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연계 동작하는 접점스위치(112, 114)를 구비한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111)에서 스위치(211)로 절체하려 하면, 스위치(111)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접점스위치(112, 114)를 통해 스위치(111)가 기계적으로 완전히 OFF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이어서 OFF상태 검출점(150)을 통해 전기적으로도 완전히 차단된 상태를 확인하여야 비로서 스위치(111)의 차단이 검증되는 것이다.The contact detecting unit 110 includes contact switches 112 and 114 that are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111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at is, when the user attempts to switch from the switch 111 to the switch 211, it is confirmed whether the switch 111 is completely turned off mechanically through the contact switches 112 and 114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111. The blocking of the switch 111 is verified only when the fully disconnected state is confirmed through the OFF state detection point 150.

접점 감지부(210)도 그 구성 및 동작원리는 접점 감지부(110)와 동일하여 이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contact detecting unit 210 are the same as that of the contact detecting unit 110.

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다.Description of the description is omitted.

전원품질 검출부(120)는 밴드패스필터부(122)와 비교증폭회로부(124)를 구비한다. 밴드패스필터부(122)는 전원경로(200)의 주파수를 검출하여 기 설정된 주파수만을 통과시키고, 설정값 보다 높거나 낮은 품질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차단하는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로서 작동한다. 비교증폭회로부(124)는 기 설정된 기준 전압범위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작동하여 항상 일정 전압 및 일정 주파수에서만 포토커플러 PO4를 동작시켜 우선 선택부(130)에 연결시킨다. 이러한 전원품질검출부(122,124)는 저항 R1~R6 및 캐패시터 C1~C3, OP-AMP(U1,2), 포토커플러 PO4를 구비한다.전원품질 검출부(220)는 전원경로(100)의 전원품질을 기준치와 비교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구성 및 동작원리는 전원품질 검출부(120)와 동일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ower quality detector 120 includes a band pass filter 122 and a comparison amplifier circuit 124. The band pass filter 122 detects the frequency of the power path 200 and passes only the preset frequency, and operates as a band pass filter that cuts off power when a quality higher or lower than the set value is input. do. The comparison amplification circuit unit 124 operates only when a power source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range is input, and always operates the photocoupler PO4 only at a predetermined voltage and a predetermined frequency to be connected to the selector 130 first. The power quality detectors 122 and 124 include resistors R1 to R6, capacitors C1 to C3, OP-AMPs U1 and 2, and a photocoupler PO4. The power quality detector 220 measures the power quality of the power path 100. Except for comparing with the reference valu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are the same as the power quality detection unit 120,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선택부(130)는 전원품질 검출부(120)를 상태 검출부(140) 또는 접지단으로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선택스위치를 구비한다.First, the selector 130 includes a selector switch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power quality detector 120 to the state detector 140 or the ground terminal.

우선 선택부(230) 는 전원품질 검출부(220)를 상태 검출부(240) 또는 접지단으로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선택스위치를 구비한다.First, the selection unit 230 includes a selection switch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power quality detection unit 220 to the state detection unit 240 or the ground terminal.

상태 검출부(140)는 저항 R7 ∼ R14, 트랜지스터 TR1, TR2, 캐패시터 C4 ∼ C6 및 포토커플러 PO1 ∼ PO3를 구비한다. 스위치(111)가 도 4에서와 같이 ON 상태가 되면 OFF상태 검출점(150)과 접점스위치(112)에 연결된 트랜지스터 TR1,TR2가 ON 되므로 포토커플러 PO1,PO2는 OFF 되며, 포토커플러 PO3도 역시 접점스위치(114)에 의해 오프된다. 반면에, 스위치(111)가 OFF 되면 OFF상태 검출점(150)을 거쳐 트랜지스터 TR1가 오프되어 전원전압이 저항 R6, R8을 통해 포토커플러 PO1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포토커플러 PO1의 포토트랜지스터가 ON 된다. 스위치(111)의 동작에 따라 접점스위치(112, 114)도 역시 기계적으로 연계되어 포토커플러 PO2, PO3의 포토트랜지스터도 ON 된다. 이처럼, 직렬 연결된 포토커플러 PO1, PO2, PO3의 포토트랜지스터들이 모두 온 됨에 따라 절환 명령부(300)와 우선 선택부(130)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은 우선 선택부(130)의 스위칭에 따라 접지단과 연결되거나 입전 검출부(120)와 연결된다.The state detection unit 140 includes resistors R7 to R14, transistors TR1 and TR2, capacitors C4 to C6, and photocouplers PO1 to PO3. When the switch 111 is turned on as shown in FIG. 4, since the transistors TR1 and TR2 connected to the OFF state detection point 150 and the contact switch 112 are turned on, the photocouplers PO1 and PO2 are turned off, and the photocoupler PO3 is also turned off. It is turned off by the contact switch 114. 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111 is turned off,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ff through the OFF state detection point 150,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flows into the photocoupler PO1 through the resistors R6 and R8, thereby turning on the phototransistor of the photocoupler PO1. .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11, the contact switches 112 and 114 are also mechanically connected, and the phototransistors of the photocouplers PO2 and PO3 are also turned on. As such, as the phototransistors of the photocouplers PO1, PO2, and PO3 connected in series are all turned on, the switching command unit 300 and the selection unit 1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such a connection is first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or to an input / output detector 120 according to switching of the selector 130.

상태 검출부(240)는 스위치(211)의 출력단 및 접점 감지부(210)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구성 및 동작원리는 상태 검출부(140)와 동일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ate detector 240 detects the stat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211 and the contact detector 210,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thereof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tate detector 140,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절환 명령부(300)는 절환명령 발생부(310, 320)를 구비한다. 절환명령 발생The switch command unit 300 includes switch command generators 310 and 320. Switch order is issued

부(310)는 스위치(111)의 출력전원 OFF 상태와 스위치(111)의 기계적 동작상태 및 전원경로(200)의 전원품질 상태에 따라 스위치(211)의 제어장치로 절환명령신호(ON)를 보낸다.The unit 310 transmits a switching command signal ON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switch 211 according to the output power OFF state of the switch 111, the mechanical operation state of the switch 111, and the power quality state of the power path 200. send.

이러한 절환명령 발생부(310)는 저항 R15, R16, 트랜지스터 TR3, 다이오드 D1 및 릴레이스위치를 구비한다.The switching command generation unit 310 includes resistors R15 and R16, a transistor TR3, a diode D1, and a relay switch.

절환명령 발생부(320)는 스위치(211)의 출력전원 OFF 상태와 스위치(211)의 기계적 동작상태 및 전원경로(100)의 전원품질 상태에 따라 스위치(111)의 제어장치로 절환명령신호(ON)를 보낸다.The switching command generation unit 320 switches the switching command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switch 111 according to the output power OFF state of the switch 211, the mechanical operation state of the switch 211, and the power quality state of the power path 100. ON).

상술된 도 3 및 도 4의 구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상적인, 상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장치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ideal, state-determined conditional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riefly described using the configuration of FIGS. 3 and 4 described above.

도 4에서는 스위치(111)이 ON 되고 스위치(211)이 OFF 되어 있는 상태이다.In FIG. 4, the switch 111 is turned on and the switch 211 is turned off.

도 4에서와 같이 스위치(111)가 ON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트랜지스터 TR1의 게이트 단자로 전원이 공급되어 트랜지스터 TR1가 온 되며, 또한 스위치(111)와 기계적으로 연동되는 접점 스위치(112)에 의해 트랜지스터 TR2의 게이트 단자가 접지되어 트랜지스터 TR2도 온 된다. 이에 따라 전원전압이 트랜지스터 TR1, TR2를 통해 접지단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포토커플러 PO1, PO2의 포토트랜지스터는 모드 OFF 된다. 또한, 접점스위치(114)에 의해 포토커플러 PO3의 포토트랜지스터도 역시 OFF 된다. 이로써, 상태 검출부(140)에서는 절환명령 발생부(310)로 아무런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아 저항 R15, R16을 통해 트랜지스터 TR3의 게이트로 전원전압이 인가되지 않음으로서 트랜지스터 TR3은 OFF 되고 릴레이스위치 RSW-A는 여전히 ON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대로 릴레이스위치 RSW-B는 여전히 OFF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switch 111 is turned on as shown in FIG. 4, power is su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ransistor TR1 to turn on the transistor TR1, and the transistor TR2 is provided by a contact switch 112 mechanically interlocked with the switch 111. The gate terminal of is grounded and transistor TR2 is also turned on. As a result, the power supply voltage flows into the ground terminal through the transistors TR1 and TR2, and the phototransistors of the photocouplers PO1 and PO2 are turned off. In addition, the phototransistor of photocoupler PO3 is also turned OFF by the contact switch 114. Thus, the state detection unit 140 does not generate any signal to the switching command generation unit 310 so that the power supply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gate of the transistor TR3 through the resistors R15 and R16 so that the transistor TR3 is turned off and the relay switch RSW-A. Will remain ON and conversely the relay switch RSW-B will remain OFF.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우선 선택부(130)가 상태 검출부(140)를 바로 접지단으로 연결시키게 되면, 트랜지스터 TR3의 온/오프는 포토커플러 PO1 ∼ PO3에 의해서만 결정되므로 절환명령 발생부(310)로부터의 절환명령신호는 스위치(111)의 ON/OFF 상태만 반영할 뿐 전원경로(200)의 전원 품질은 반영하지 않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when the selector 130 directly connects the state detector 140 to the ground terminal, the on / off of the transistor TR3 is determined only by the photocouplers PO1 to PO3, and thus the switching command generation unit ( The switching command signal from 310 reflects only the ON / OFF state of the switch 111 but does not reflect the power quality of the power path 200.

이번에는 스위치(111)는 OFF 되고 자동적으로 스위치(211)는 ON 시키려는 동작상태의 설명이다.This time, the switch 111 is turned off and the switch 211 is automatically turned on.

도 4에서 스위치(111)를 눌러 스위치(111)가 OFF 되면 트랜지스터 TR1의 게 이트 단자로 전원이 차단되어 트랜지스터 TR1가 OFF 되며, 또한 스위치(111)와 기계적으로 연동되는 접점 스위치(112)에 의해 트랜지스터 TR2의 게이트 전원이 차단되어 트랜지스터 TR2도 OFF 된다. 이에 따라 전원이 각각 저항 R7에서 저항 R9로 그리고 저항 R11에서 저항 R13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포토커플러 PO1, PO2의 포토트랜지스터는 ON 된다. 또한, 접점스위치(114)에 의해 포토커플러 PO3의 포토트랜지스터도 역시 ON 된다. 이로써, 상태 검출부(140)에서는 절환명령 발생부(310)에 모든 신호가 ON되어 R15를 통해 트랜지스터 TR3의 게이트로 전원전압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 TR3는 ON 되고 릴레이스위치 RSW-A에 전기력이 유기되어 스위치(111)의 최종출력을 OFF 시키고 기계적으로 연동된 스위치(211)는 자동으로 ON 된다. 그리고, 스위치(211)와 접점 감지부(210)의 상태는 현재 도 4에서 스위치(111) 및 접점 감지부(110)의 스위칭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In FIG. 4, when the switch 111 is turned off by pressing the switch 111, the power is cut off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ransistor TR1, and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ff, and also by the contact switch 112 mechanically interlocked with the switch 111. The gate power supply of the transistor TR2 is cut off and the transistor TR2 is also turned off. As a result, power is flowed from the resistor R7 to the resistor R9 and the resistor R11 to the resistor R13, respectively, so that the phototransistors of the photocouplers PO1 and PO2 are turned on. In addition, the phototransistor of photocoupler PO3 is also turned ON by the contact switch 114. As a result, in the state detection unit 140, all signals are turned on in the switching command generation unit 310, and a power supply voltage is applied to the gate of the transistor TR3 through R15, so that the transistor TR3 is turned on and the electric force is induced in the relay switch RSW-A. The final output of the 111 is turned off and the mechanically linked switch 211 is automatically turned on. In addition, the state of the switch 211 and the contact detecting unit 210 is now switched to the same state as the switching state of the switch 111 and the contact detecting unit 110 in FIG.

이때, 우선 선택부(130)를 전원품질 검출부(120)에 연결시키게 되면, 밴드패스필터부(122)에 연결된 전원경로(200)에서 주파수를 검출하여 R1, R2의 값과 C1, C2의 값의 조작을 통한 밴드패스필터부(122)를 통하여 높은대역과 낮은 대역이 각각 저항 R1과 캐패시터C1 및 저항 R2, 캐패시터 C2를 통하여 필터링되고 일정 주파수 범위(예컨대 : 60Hz ± 0.5%) 대역에서만 OP-AMP(U1)를 통하여 비교증폭회로부(124)로 인가된다. 다음에, 저항 R5~R6에 의해 기준 전압값을 설정하고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캐패시터를 통해 기준전압을 인가 받아 적정 전압범위(예 380±10%)일 경우에만 OP-AMP(U2)를 통하여 포토커플러 PO4를 ON 시킴으로써 절환 명령부(300)가 전원경로(200)의 전원품질까지 고려한 절체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In this case, first, when the selector 130 is connected to the power quality detector 120, a frequency is detected by the power path 200 connected to the band pass filter 122 to detect values of R1 and R2 and values of C1 and C2. The band pass filter 122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high and low bands are filtered through the resistors R1, capacitor C1, resistor R2, and capacitor C2, respectively, and the OP-band only in a certain frequency range (for example, 60 Hz ± 0.5%). It is applied to the comparison amplifier circuit 124 through the AMP (U1). Next, the reference voltage value is set by the resistors R5 to R6, and the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hrough a capacitor (not shown in FIG. 4). By turning on the photocoupler PO4, the switching command unit 300 performs the switching command considering the power quality of the power path 200.

상기와 같이 동작이 수행되면, 스위치(111)는 OFF 되고 스위치(211)는 ON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111 is turned off and the switch 211 is kept in the on state.

반대로, 또다시 스위치(111)를 ON 상태로, 스위치(211)를 OFF 상태로 전환하려 할 때는, 스위치(211)의 동작이 선행되는 것 이외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witch 111 is turned on again and the switch 211 is turned off, the operation of the switch 211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hall be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스위치(111, 211)를 현재 상태와 반대로 절체시켜 스위치(111)를 OFF 시키고 스위치(211)를 ON 시키고자 하는 경우, 스위치(111, 211)가 모두 ON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위치(111)가 기계적, 전기적으로 확실히 OFF 되어야 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4, when the switches 111 and 211 are switched to the opposite state and the switch 111 is turned off and the switch 211 is turned on, the switches 111 and 211 are prevented from being turned on.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switch 111 must be turned off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우선 선택부(130, 230)를 이용한 전원품질 검출부(120,220)의 선택 여부에 따라 스위치(111, 211)의 기계적, 전기적 ON/OFF 상태 만을 확인할 것인지, 아니면 스위치(111, 211)의 기계적, 전기적 ON/OFF 상태 뿐만 아니라 절체 하고자 하는 전원경로(100 또는 200)에 대한 전원품질이 정상범위 이내에 있는지도 함께 확인하여 두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스위치(111, 211)가 절체되도록 할 것인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only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ON / OFF states of the switches 111 and 211 are checked depending on whether the power quality detectors 120 and 220 are selected using the selectors 130 and 230, or the switches 111 and 211. In addition to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ON / OFF status of the power supply) (100 or 200) to check whether the power quality is within the normal range, and the switch (111, 211) is switched only if both conditions are satisfied. You can optionally decide whether or not to do so.

즉, 도 4의 우선 선택부(130)와 같이 상태 검출부(140)가 전원품질 검출부(120)와 연결되는 경우, 스위치(111)에서 스위치(211)로의 절체는 스위치(111)의 정상 동작 여부뿐만 아니라 전원경로(200) 입력단의 전원품질을 고려하여 두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에만 절체된다.That is, when the state detector 140 is connected to the power quality detector 120 as in the priority selector 130 of FIG. 4, whether the switch 111 is normally operated is switched from the switch 111 to the switch 211. In addition, it is switched only when both conditions are satisfied in consideration of the power quality of the power path 200 input terminal.

반면에, 우선 선택부(230)와 같이 상태 검출부(240)가 전원품질 검출부(220) 와 연결되지 않고 바로 접지단과 연결되는 경우, 스위치(211)에서 스위치(111)로의 절체는 스위치(211)의 정상 동작 여부 만을 고려하여 즉시 절체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tate detector 240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ground terminal instead of the power quality detector 220, such as the selector 230, the switch 211 to the switch 111 is switched to the switch 211. It is transferred immediately considering only normal operation.

예컨대,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인버터(3)를 통한 정상적인 전원공급 도중 인버터부(3)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어 바이패스 전원으로 절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버터의 사고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고져 즉시 스위치(211)를 완벽히 차단하고 스위치(111)를 투입해야 한다.For exampl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inverter unit 3 during the normal power supply through the inverter 3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the user wants to switch to bypass power, the accident of the inverter is prevented from expanding and the switch is immediately switched. 211) must be completely shut off and switch 111 should be turned on.

반면에, 인버터(3)의 수리가 완료되어 바이패스전원에서 다시 정상전원라인으로 절체하는 경우에는, 스위치(111)의 기계적인 ON/OFF 뿐만 아니라 스위치(211) 입력단의 전원 품질도 함께 고려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pair of the inverter 3 is completed and is switched from the bypass power source to the normal power line again, the power quality of the input of the switch 211 as well as the mechanical ON / OFF of the switch 111 are considered. do.

따라서, 이러한 경우(스위치(211)에서 스위치(111)로의 절체)에는, 스위치의 정상동작 여부만을 확인하여 스위치를 절체해도 무방하므로, 우선 선택부(130)는 도 4와 같이 ON 되어 전원품질 검출부(120)와 상태 검출부(140)를 연결시키고, 우선 선택부(230)는 OFF 되어 전원품질 검출부(220)와 상태 검출부(240)를 연결시키지 않는다.Therefore, in such a case (switching from the switch 211 to the switch 111), only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witch may be checked and the switch may be switched. Therefore, the selector 130 is turned on as shown in FIG. The 120 and the state detector 1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lector 230 is turned off so that the power quality detector 220 and the state detector 240 are not connected.

도 4와 같은 상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이며, 이러한 우선 선택부(130, 230)의 스위칭 선택은 운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4 is a ca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selection of the first selection unit 130, 230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or's ope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상적인, 상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장치에는 절체되는 스위치들의 기계적인 온/오프 상태 뿐만 아니라 스위치 양단의 전원품질 상태까지 모두 판단하여 스위치의 절체를 수행함으로써 두 스위치가 모두 동시에 ON 되거나 OFF 되는 일이 없도록 해준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deal, condition determination inter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switches are simultaneously turned on by performing the switchover by judging not only the mechanical on / off state of the switches being switched but also the power quality state of both ends of the switch. It can be turned on or off.

Claims (10)

부하와 연결된 제1 전원경로 상의 제1 스위치의 기계적 접점상태 및 전기적 연결상태를 감지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전원경로 상의 제1 스위치 및 상기 부하와 연결된 제2 전원경로 상의 제2 스위치의 절체여부를 결정하는 이상적인 상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장치.Detects the mechanical contact state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switch on the first power path connected to the load, an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first switch on the first power path and the second switch on the second power path connected to the load Ideal status judgment conditional interlock device to determine switch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장치는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terlock device 상기 제 1 전원경로 상의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전원경로 상의 제 2 스위치의 기계적 접점상태및 전기적 연결상태를 감지하는 접점 감지부;A contact detector for sensing a mechanical contact state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switch on the first power path and the second switch on the second power path;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의 출력단의 전원상태 및 상기 접점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른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 및A state detection unit detecting an on / off stat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ccording to a power stat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nd a detection result of the contact sensing unit; And 상기 상태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절체를 제어하기 위한 절환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절환 명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적인 상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장치.And a switching command unit for outputting a switching command signal for controlling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state detection unit.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의 입력단의 전원상태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전원품질 검출부; 및A power quality detector for detecting a power state of an in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nd outputting a result; And 상기 전원품질 검출부를 상기 상태 검출부와 선택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우선 선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적인 상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An ideal state determination conditional interlock further comprising a priority selector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power quality detector with the state detector. 장치.Device.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감지부는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contact detecting unit 상기 제 1 스위치와 기계적으로 연동되어 상기 제 1 스위치가 스위칭시 기계적으로 스위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점 스위치들; 및At least one first contact switches mechanically interlocked with the first switch, the first switch being mechanically switched when the first switch is switched; And 상기 제 2 스위치와 기계적으로 연동되어 상기 제 2 스위치가 스위칭시 기계적으로 스위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점 스위치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적인 상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장치.And at least one second contact switch which is mechanically interlocked with the second switch to be mechanically switched when the second switch is switch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ate detection unit 상기 접점 스위치들의 기계적인 접점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적인 상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장치.And an on / off stat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by detecting a mechanical contact state of the contact switche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ate detection unit 상기 상태 검출부의 출력단을 상기 절환 명령부와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며,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의 출력단의 전원상태 및 상기 접점 스위치들의 기계적 접점상태에 따라 상기 절환 명령부를 상기 우선 선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적어도 하나의 포토커플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적인 상 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장치.The output terminal of the state detection unit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switching command unit, and the switching command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ority se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ower state of th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nd the mechanical contact state of the contact switches. An ideal state determination conditional inter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photocoupler for connecting.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커플러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hotocoupler is 상기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의 출력단, 상기 접점 스위치들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게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적인 상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장치.And th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nd the contact switches are connected in series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품질 검출부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ower quality detection unit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의 입력단에 인가된 주파수를 검출하여 기 설정된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부; 및A filter unit detecting a frequency applied to input terminals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nd passing only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상기 필터부의 출력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 및 증폭하는 비교증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적인 상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장치.And a comparative amplifier for comparing and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lter unit with a reference signal.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증폭부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mparative amplifier is 상기 비교증폭부의 출력단을 상기 우선 선택부와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며, 비교증폭된 신호에 따라 상기 우선 선택부를 접지단과 선택적으로 연결시켜주는 포토커플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적인 상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장치.And a photocoupler electrically separating the output end of the comparison amplifier from the priority selector and selectively connecting the priority selector to a ground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comparatively amplified signal.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선택부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iority selection unit 상기 직렬 연결된 상태 검출부의 포토커플러와 상기 비교증폭부의 포토커플러를 선택적으로 직렬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적인 상태판단 조건부 인터록 장치.And selectively connecting the photocouplers of the state detector of the series connection unit and the photocouplers of the comparison amplification unit.
KR1020050082258A 2005-09-05 2005-09-05 Ideal state conditioning interlock device KR1008400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258A KR100840060B1 (en) 2005-09-05 2005-09-05 Ideal state conditioning interlock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258A KR100840060B1 (en) 2005-09-05 2005-09-05 Ideal state conditioning interlock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412A KR20060101412A (en) 2006-09-25
KR100840060B1 true KR100840060B1 (en) 2008-06-19

Family

ID=3763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258A KR100840060B1 (en) 2005-09-05 2005-09-05 Ideal state conditioning interlock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0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899A1 (en) * 2018-11-30 2020-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Switch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210041876A (en) * 2019-10-08 2021-04-16 (주)신아이엔지 Source transfer switch with automatic bypass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663B1 (en) * 2007-10-12 2010-04-13 동영전기 주식회사 Electric apparatus protection typ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for ship
KR101669461B1 (en) 2015-10-12 2016-10-26 주식회사 엠앤이알 Transporter For Track Slab For Rail Of Tra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022A (en) * 1990-10-08 1992-05-28 뤼쉬앙 블랑 AC electrical power supply with back-up power
JP2004282812A (en) 2003-03-13 2004-10-07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Abnormality diagnosing method of bypass switch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022A (en) * 1990-10-08 1992-05-28 뤼쉬앙 블랑 AC electrical power supply with back-up power
JP2004282812A (en) 2003-03-13 2004-10-07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Abnormality diagnosing method of bypass switch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899A1 (en) * 2018-11-30 2020-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Switch control device and method
US11255915B2 (en) 2018-11-30 2022-02-22 Lg Energy Solution, Ltd. Swit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20210041876A (en) * 2019-10-08 2021-04-16 (주)신아이엔지 Source transfer switch with automatic bypass function
KR102257317B1 (en) * 2019-10-08 2021-05-27 (주)신아이엔지 Source transfer switch with automatic bypass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412A (en) 2006-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64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electrical backfeed
KR101079900B1 (en) Static transfer switch device, power supply apparatus using the switch device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US78888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ing load center circuits with an auxiliary power source
EP2899827A1 (en) Multi-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309125A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N101395687B (en) Safety switching apparatus for the failsafe disconnection of an electrical load
JP5401235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JP6076499B2 (en) Electronic circuit breaker
US6639816B2 (en) Power supply system with AC redundant power sources and safety device
JP6406146B2 (en) Power supply
US8115339B2 (en) Isolation control high speed transfer switch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power supply system using the switch and isolation control high speed transfer switching method
KR100840060B1 (en) Ideal state conditioning interlock device
JP2009112080A (en) Power switching device and power system using the same
KR20160081058A (en) Method of checking state of pra
JPH08509317A (en) Electricity supply safety socket
EP27987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proper phase neutral wiring in a power system
US20230261512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0955806B1 (en) The automatic power transfer device for selection connection of the normal power and photovoltaic power supply to load detecting power state of the load
JP3827392B2 (en) Electronic or electrical equipment
EP1311049B1 (en) Method and network for providing backup power to networked devices
JP4778625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JPH11289670A (en) Two-pole dc power transmission system
JP3354451B2 (en) Solar power system
KR20020052496A (en) Power supply auto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2112470A (en) Off-line up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