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017B1 - Keypad - Google Patents

Key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017B1
KR100840017B1 KR1020060087377A KR20060087377A KR100840017B1 KR 100840017 B1 KR100840017 B1 KR 100840017B1 KR 1020060087377 A KR1020060087377 A KR 1020060087377A KR 20060087377 A KR20060087377 A KR 20060087377A KR 100840017 B1 KR100840017 B1 KR 100840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utton
film member
rubber layer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23457A (en
Inventor
박철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주)지엔씨
구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씨, 구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지엔씨
Priority to KR102006008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017B1/en
Publication of KR2008002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4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0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36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 H01H2203/05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to avoid damage by deformation of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소형화 및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동작의 안정성 및 견고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키패드가 개시된다. 키패드는 버튼시트, 버튼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필름부재, 버튼시트의 저면에 제공되며 버튼시트와 필름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 러버층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 접착시트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키패드는 일정 형상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버튼시트 및 필름부재는 접착시트를 매개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탄성시트에 부착될 수 있다.Disclosed is a keypad that can contribute to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and can improve the st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operation. The keypad is provided on the button sheet, the film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tton sheet, the rubber layer which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utton sheet and integrally connects the button sheet and the film member, the adhesive she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ubber layer, and the bottom of the adhesive sheet. It includes an elastic sheet to be bonded. Therefore, the keypad can be formed in a thin thickness while maintaining a certain shape strength, the button sheet and the film member can be attached to the elastic sheet firmly and stably through the adhesive sheet.

키패드, 버튼시트, 필름부재, 러버층, 접착시트, 탄성시트 Keypad, button sheet, film member, rubber layer, adhesive sheet, elastic sheet

Description

키패드{KEYPAD}Keypad {KEYPAD}

도 1은 종래 키패드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conventional keypad is applied.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key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key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변형예로서, 버튼편 및 필름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utton piece and a film piece as a modification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keyp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keypa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11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keypa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단말기 본체 200,300,400,500,600 : 키패드100: terminal body 200, 300, 400, 500, 600: keypad

210,310,410 : 버튼시트 220,320,420,520,620 : 필름부재210,310,410: Button sheet 220,320,420,520,620: Film member

230,330,430,530,630 : 러버층 240,340,440,540,640 : 접착시트230,330,430,530,630: Rubber layer 240,340,440,540,640: Adhesive sheet

250,350,450,550,650 : 탄성시트250,350,450,550,650: Elastic Sheet

본 발명은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소형화 및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동작의 안정성 및 견고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pad capable of contributing to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and improving stability and robustness of operation.

최근에 와서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personal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widely used as conveniences that anyone can easily carry and use freely anywhere.

도 1은 종래 키패드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keypad is applied,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개인휴대단말기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에 절첩되며 본체부(10)의 내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부(1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부(20)로 구성되어 있다.1 and 2, the conventional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rotated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10 so as to be folded into the body portion 10, the body portion 10 and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It is composed of a folder unit 20 that is possibly connected.

상기 폴더부(20)의 내면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22)가 구비되어 있다.A display unit 21 for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older unit 20,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folder unit 20 is provided with a sign language unit 22 for transmitting audio from the other party.

상기 본체부(10)는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케이스(11) 및 리어케이스(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13)이 수용되어 있고, 프론트케이스(11)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14a)를 갖는 키패드(14) 및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15)가 구비되어 있으며, 리어케이스에는 배터리(16)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main body 10 includes a front case 11 and a rear case 12 which mutually cooperate to form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inside the printed circuit board 13 for performing various controls. The front case 11 is provided with a keypad 14 having a plurality of keys 14a for inputting information and a talker 15 for transmitting a user's voice. 16) is detachably coupled.

상기 인쇄회로기판(13)의 상면에는 누름조작시 온/오프 동작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위 메탈돔이라고 하는 복수개의 누름조작스위치(17) 및 조명을 위한 발광소자(18)가 구비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 a plurality of push control switches 17, called metal domes, which are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a thickness direction to be turned on / off during a push operation, and light emitting elements 18 for illumination. Is provided.

상기 키패드(14)는 러버 또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3)의 상측에 배치되는 패드본체(14b), 누름조작 가능하게 본체부(10)의 각 키홀(11a)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각 누름조작스위치(17)에 대응되는 위치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키(14a)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패드본체(14b)의 저부면에는 각 키(14a)를 누르는 힘이 각 누름조작스위치(17)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하향 돌출된 복수개의 누름돌기(14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keypad 14 is formed of a rubber or urethane material so as to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pad body 14b disposed above the printed circuit board 13 and each key hole 11a of the main body portion 10 to be pressed. A plurality of keys 14a ar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push control switch 17, and a force for pressing the keys 14a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ad body 14b. A plurality of push protrusions 14c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are formed to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each push operation switch 17, respectively.

그런데, 종래 개인휴대단말기에 있어서는 본체부(10)의 프론트케이스(11) 및 키패드(14)의 각 키(14a)가 경도가 낮은 재질(플라스틱, 고무, 합성수지 등)로 형성됨에 따른 재질의 특성상 일정한 형상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두 께를 유지해야 하므로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슬림화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front case 11 and the keys 14a of the keypad 14 of the main body 10 are formed of a material of low hardness (plastic, rubber, synthetic resin, etc.).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strength, a certain thickness or more must be maintained, so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thickness, making it difficult to slim down.

또한, 본체부(10)에 키패드(14)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프론트케이스(11)에 형성된 각 키홀(11a)에 대응하도록 키패드(14)의 각 키(14a)를 위치시킨 후 결합해야 했던 바, 이에 따라 키패드(14)의 조립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그에 따른 조립공수의 증가로 원가가 상승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uple the keypad 14 to the main body 10, each key 14a of the keypad 14 had to be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key hole 11a formed in the front case 11, and thus, to be coupl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ssembly of the keypad 14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and as a result, the cost increases and productivity de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ssembly operations.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일정 형상강도를 유지하면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작의 안정성 및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키패드에 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have been made on a keypad that can be formed in a thin thickness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hape strength, so as to maintain stability and robustness of oper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일정 형상강도를 유지하면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pad which can be formed in a thin thickness while maintaining a certain shape strength.

또한, 본 발명은 동작의 안정성 및 견고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pad that can improve the st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operation.

특히, 본 발명은 버튼시트 및/또는 필름부재를 탄성시트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pad capable of firmly and stably attaching a button sheet and / or a film member to an elastic sheet.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는 버튼시트, 버튼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필름부재, 버튼시트의 저면 에 제공되며 버튼시트와 필름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 러버층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 접착시트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를 포함한다. 러버층과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탄성시트가 서로 직접 접착될 경우 각각의 고유한 특성에 의해 각 부품간의 접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러버층과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탄성시트 간의 접착이 접착시트를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키패드의 각 구성부품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pad is provided on the button sheet, the film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sheet, the bottom of the button sheet and integrally connects the button sheet and the film member Rubber layer, an adhesive she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ubber layer, and an elastic sheet bonded to the bottom of the adhesive sheet. When the rubber layer and the elastic sheet made of polyurethane are directly bonded to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dhesion between the parts is not firmly made due to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dhesion between the rubber layer and the elastic sheet made of polyurethane to be carried out through the adhesive sheet, and each component of the keypad can be firmly and stably connected.

참고로 본 발명의 키패드는 통상의 개인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로서는 폴더형, 바형, 슬라이드형 등의 타입으로 이루어진 PDA, 스마트 폰, 핸드헬드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이 적용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general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 PDA,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or the like, which is made of a folding type, a bar type, a slide type, or the like, may be applied. hav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는 버튼시트, 버튼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필름부재, 버튼시트와 필름부재의 사이에 제공되며 버튼시트와 필름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 버튼시트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 접착시트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pad is provided between the button sheet, the film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sheet, the button sheet and the film member, the rubber layer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button sheet and the film member, buttons An adhesive she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eet, and an elastic sheet bonded to the bottom of the adhesive sheet.

버튼시트로서는 두께 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 가능하게 슬릿이 관통 형성된 금속시트가 적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버튼시트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시트(또는 금속재질의 버튼편) 대신 높은 경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시트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As the button sheet, a metal sheet in which a slit is penetrated to be push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may be applied. In some cases, the button sheet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 pieces which are arranged to be pres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an be configured. In addition, a plastic sheet made of a synthetic resin having a high hardness may be applied instead of the metal sheet (or a button piece of metal material).

러버층은 버튼시트(또는 필름부재)의 저면에 도포된 액상의 러버에 열과 압 력을 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러버층이 형성되는 동안 버튼시트와 필름부재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러버층이 형성될 때 버튼시트, 필름부재 및/또는 접착시트가 러버층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The rubber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the liquid rubber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button sheet (or film member). The button sheet and the film member may be integrally connected while the rubber layer is formed, and the button sheet, the film member and / or the adhesive sheet may be integrally attached to the rubber layer when the rubber layer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는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을 포함하며 버튼패턴에 대응되도록 상면으로 돌출되게 볼록부가 형성된 필름부재, 필름부재의 하부에 제공되는 접착시트, 필름부재와 접착시트의 사이에 제공되며 필름부재와 접착시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 접착시트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pad includes a button pattern for displaying a number or a letter and a film member having a convex portion formed to protrude upwardly to correspond to the button pattern, and an adhesive sheet provided below the film member. , A rubber layer provided between the film member and the adhesive sheet to integrally connect the film member and the adhesive sheet, and an elastic sheet bonded to the bottom of the adhesive sheet.

볼록부는 버튼패턴에 대응되도록 상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각 버튼패턴의 경계부위가 여타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볼록부는 전체 버튼패턴에 대응되게 필름부재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세로 또는 가로 방향 등을 따라 볼록부와 평탄부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각 버튼패턴 중 일부에만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볼록부는 필름부재의 일부를 성형하여 필름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필름부재와 별도로 제작된 후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볼록부는 오목부를 갖는 금형에서 필름부재를 가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볼록부는 필름부재의 저면에 액상의 러버를 도포한 후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되는 러버층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시트 역시 볼록부 및 러버층이 형성될 때 접착시트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The convex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upper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button pattern,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boundary portion of each button pattern can be formed with a relatively thin thickness than other portions. The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lm memb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entire button pattern, and in some cases, the convex portion and the flat portion are alternately disposed along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only the convex portion of each of the button patterns is provided. Can be formed. In addition, the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m member by molding a part of the film member, and in some cases, may be attached after being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film member. As an example, the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by pressing the film member in the mold having the concave portion. In this case, the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rubber layer formed by applying a liquid rubber to the bottom of the film member and then applying heat and pressure. In some cases, the elastic sheet may also have an adhesive sheet when the convex portion and the rubber layer are formed. It can be attached integrally to.

한편, 탄성시트 상에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발광부로서는 통상의 무기이엘시트(Organic Electro luminessence Sheet) 또는 유기이엘시트(Inorganic Electro luminessence Sheet)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필름부재 및 접착시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빛 중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층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sheet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when power is applied, such a conventional inorganic EL sheet (Organic Electro luminessence Sheet) or organic EL sheet (Inorganic Electro luminessence Sheet) may be applied. . In additi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lm member and the adhesive sheet may be formed with a blocking layer for blocking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가 개인휴대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applied to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Here, a personal portable device (Personal Portable Device) is a portabl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such as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smart phone (smart phone), handheld PC, mobile phone, MP3 player, etc.,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module, Bluetooth module,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IrDA), can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wired and wireless LAN card, and is equipped with a predetermined microprocessor that performs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collectively referred to a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computing power Can be used as a concept.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keypad is appli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0)와, 버튼시트(210), 필름부재(220), 러버층(230), 접착시트(240) 및 탄성시트(250)를 포함하며 외부로 노출되도록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는 키패드(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key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terminal body 100, a button sheet 210, a film member 220, a rubber layer 230, and an adhesive. The keypad 240 includes a seat 240 and an elastic sheet 250 and is installed on the terminal body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단말기 본체(100)로서는 최근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서로 전개 및 절첩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부 및 폴더부를 구비한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버튼과 액정표시장치가 본체부에 일체로 구비된 바(bar)형 개인휴대단말기, 상기와 같은 바형 단말기의 입력버튼 영역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플립을 구비한 플립형 개인휴대단말기, 본체부에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도록 한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기 본체(100)로서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가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As the terminal main body 100, a foldable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a main body portion and a folder portion coupled to each other that can be deployed and folded rotation, which is commonly used in recent years, an input button for inputting a signal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re integrat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Bar-type personal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flip-type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ip hinge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open and close the input button area of the bar-typ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slide portion in the main body slides open and close One slide-typ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r the like may be applied.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a folder typ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applied as the terminal body 100 will be described.

상기 단말기 본체(100)는 본체부(110)와 이 본체부(110)에 절첩되며 본체부(110)의 전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부(11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terminal main body 100 is folded to the main body 110 and the main body 110 and a folder portion 12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f the main body 1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쌍의 본체힌지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더부(120)의 하단부에는 본체힌지부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폴더힌지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To this end, a pair of main body hinge parts (not shown) are formed at upper ends of the main body part 1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lower end of the folder part 120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main body hinge parts. The folder hinge portion (not shown) is formed to be able to be.

상기 폴더부(120)의 내면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21) 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122)가 구비되어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folder unit 12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21 for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the upper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sign language unit 122 for transmitting the voice from the other party.

상기 본체부(110)는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케이스(111) 및 리어케이스(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113)이 수용되어 있고, 프론트케이스(111)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115)가 구비되어 있으며, 리어케이스(112)에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main body 110 includes a front case 111 and a rear case 112 which mutually cooperate to form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inside the printed circuit board 113 for performing various controls. It is accommodated, the front case 111 is provided with a transmitter 115 for transmitting the user's voice, the rear case 11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not shown).

또한, 상기 프론트케이스(111)의 전면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30)가 설치되는 바, 상기 키패드(130)는 프론트케이스(111)에 형성되는 키패드 홀(11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front panel of the front case 111 is provided with a keypad 130 for inputting various information, the keypad 13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keypad hole 116 formed in the front case 111. It is installed if possible.

도 3 및 도 4에서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200)는 버튼시트(210), 상기 버튼시트(210)의 상부에 제공되는 필름부재(220), 상기 버튼시트(210)의 저면에 제공되며 버튼시트(210)와 필름부재(220)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230), 상기 러버층(230)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240), 상기 접착시트(240)의 저면에 부착되는 탄성시트(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keypad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sheet 210, a film member 220 provided on the button sheet 210, and the The rubber layer 230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utton sheet 210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button sheet 210 and the film member 220, the adhesive sheet 24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ubber layer 230, th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sheet 25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adhesive sheet 240.

상기 버튼시트(210)는 경도가 우수한 통상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버튼시트(210)로서는 구리나 구리합금,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티타늄, 플래티늄, 니켈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금속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시트는 플라스틱보다 경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얇게 만들어도 딱딱한 형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하며, 용이하기 휘어질 수 있으면서 딱딱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button sheet 210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hardness. For example, the button sheet 210 may be a metal sheet made of metal such as copper, copper alloy, stainless steel, aluminum, titanium, platinum, nickel, or the like. Since the metal sheet is superior in hardness to plastic, it is easy to maintain a rigid form even if it is made thin, and can be easily bent while maintaining a rigid form.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튼시트(210)로서 두께 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 가능하게 버튼영역이 정의되도록 소정 패턴으로 두께 방향을 따라 슬릿(211)이 관통 형성된 금속시트가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metal sheet formed with the slit 211 penetrates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pattern so that the button region is defined as the button sheet 210 so as to be 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Shall be.

상기 슬릿(211)은 소정 버튼 영역을 형성하도록 대략 'ㄷ'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버튼영역이 외팔보(cantilever) 형상으로 버튼시트(210)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버튼영역은 버튼시트(210)에 대해 두께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는 어느 한곳의 버튼영역이 누름 조작될 시 그에 이웃하는 다른 버튼영역으로 움직임이 전달되며 연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이와 같은 구조는 버튼영역의 클릭감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한다.The slit 211 is formed to penetrate in a substantially 'c' shape to form a predetermined button area so that the button area can be connected to the button sheet 210 in a cantilever shape. Therefore, the button area can be elastically flow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utton sheet 210, the structure is such that when the button area of any one push operation is transferred to the other button area adjacent to it is interlock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malfunction. Furthermore, such a structure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click feeling of the button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튼시트(210)에 형성되는 슬릿(211)이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슬릿(211)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 등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슬릿(211)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t 211 formed in the button sheet 210 is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n a substantially 'c' shape, but the slit 211 may be free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slit 211.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튼시트(210)로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금속시트가 적용된 예를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시트 대신 높은 경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시트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applying a metal sheet made of a metal material as the button sheet 210, in some cases, a plastic sheet made of a synthetic resin having a high hardness instead of the metal sheet may be applied.

또한 상기 버튼시트(210)의 버튼영역에는 숫자, 문자, 기호 등에 해당되는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을 통해 버튼시트(210)의 투광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버튼시트(210)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의해 정의되는 투광영역을 통해 버튼시트(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명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number, a letter, a symbol, etc. is formed in the button area of the button sheet 210, and a light transmitting area of the button sheet 210 may be defined through the through hole. In other words,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uminaire disposed below the button sheet 2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ght transmission area defined by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utton sheet 210.

상기 필름부재(220)는 버튼시트(210)의 상면에 밀착되게 제공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름부재(220)는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상기 필름부재(220)에 숫자 또는 문자 등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버튼패턴이 배제된 상태로 필름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The film member 220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sheet 210, it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opaque p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film member 220 may be made of polypropylene (PP), aromatic polypropylene (O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ethylene vinyl acetate (EVA), polyethylene (PE), polyvinyl chloride (PVC), and acrylbutadiene.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tyrene (ABS), polycarbonate (PC). In addition, i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an example in which a button pattern for displaying numbers or letters on the film member 220 is formed. In some cases, the film member may be provided in a state where a separate button pattern is excluded.

상기 러버층(230)은 버튼시트(210)의 저면에 제공되며 버튼시트(210)와 필름부재(2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러버층(230)은 통상의 러버(rubb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시트(210)와 필름부재(220)가 러버층(30)을 통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필름부재(220)는 버튼시트(210)의 주연부를 감싸도록 버튼시트(210)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The rubber layer 23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sheet 210 and allows the button sheet 210 and the film member 220 to be integrally connected. The rubber layer 230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rubber (rubber) material, the film member 220 so that the button sheet 210 and the film member 220 can be stably connected through the rubber layer 30. May be provided larger than the button sheet 210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button sheet 210.

이러한 러버층(230)은 도 5와 같이 금형(710,720) 내부에 버튼시트(210) 및 필름부재(220)를 배치하고, 버튼시트(210)의 저면에 액상의 러버(230a)를 도포한 후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러버층(230)이 형성되는 동안 버튼시트(210)와 필름부재(2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접착시트(240) 및 탄성시트(250) 역시 러버층(230)이 형성될 때 러버층(23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The rubber layer 230 is a button sheet 210 and the film member 220 is disposed in the mold (710, 720), as shown in Figure 5, after applying the liquid rubber (230a) on the bottom of the button sheet 210 It can be formed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In addition, the button sheet 210 and the film member 22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while the rubber layer 23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rubber sheet 230 may also be formed with the adhesive sheet 240 and the elastic sheet 250. When the rubber layer 230 may be integrally attached.

상기 접착시트(240)는 러버층(230)의 저면에 부착되며 버튼시트(210) 및 필름부재(220)가 접착시트(240)를 매개로 탄성시트(250)에 접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접착시트(24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러버층(230)이 형성될 때 금형(710,720) 내부에서 함께 가압되며 러버층(23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시트(240)는 러버층(230)과 탄성시트(250)의 사이에 개재되어 버튼시트(210) 및 필름부재(220)와 일체로 연결된 러버층(230)이 직접 탄성시트(250)에 접착될 경우보다 더욱 강한 접착력으로 탄성시트(250)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게 한다.The adhesive sheet 24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ubber layer 230 and allows the button sheet 210 and the film member 220 to be attached to the elastic sheet 250 via the adhesive sheet 240. The adhesive sheet 2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vinyl chloride (PVC), polycarbonate and polyurethane, 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ubber layer 230 is formed, a mold ( 710 and 720 may be pressed together inside and integrally attached to the rubber layer 230. As such, the adhesive sheet 240 is interposed between the rubber layer 230 and the elastic sheet 250 so that the rubber layer 230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button sheet 210 and the film member 220 is directly elastic sheet 250. ) To be firmly bonded to the elastic sheet 250 with a stronger adhesive force than when bonded to the).

상기 탄성시트(250)는 접착시트(240)의 저면에 접착되며 버튼시트(210) 및 필름부재(220)와 함께 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탄성시트(250)는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통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탄성시트(250)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시트(240)와는 투명한 실리콘 재질 등과 같은 통상의 접착제를 통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시트(250)는 접착시트(240)를 매개로 러버층(230)에 접착되게 때문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The elastic sheet 250 is bonded to the bottom of the adhesive sheet 240 and forms an integral with the button sheet 210 and the film member 220. The elastic sheet 250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flexibility. As an example, the elastic sheet 250 may be formed of a polyurethane material, and the adhesive sheet 240 may b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ventional adhesive such as a transparent silicone material. As such, the elastic sheet 250 may be firmly and stably bonded to the rubber layer 230 through the adhesive sheet 240.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13)의 상면에는 키패드의 누름 조작에 따라 온/오프 동작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스위치(113a)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시트(250)의 저면에는 키패드를 누르는 힘이 각 스위치(113a)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각 스위치(113a)에 대응되게 누름돌기(251)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1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itches (113a) to be on / off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keypad, the force of pressing the keypad on the bottom of the elastic sheet 250 The push protrusion 25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switch 113a so as to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each switch 113a.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변형예로서, 버튼편 및 필름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As a modification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utton piece and a film piece.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튼시트로서 소정 패턴으로 두께 방향을 따라 슬릿이 관통 형성된 금속시트가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버튼시트 대신 서로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편을 포함하여 버튼시트를 구성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al sheet in which a sli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is applied as a button sheet in a predetermined pattern. However, in some cases, instead of the above-described button sheet, it may be pres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button sheet including a plurality of button pieces arranged to be.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 내지 도 8에서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키패드(300)는 버튼시트(310), 필름부재(320), 러버층(330), 접착시트(340) 및 탄성시트(350)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시트(310)는 서로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편(3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to 8, the keypad 300 includes a button sheet 310, a film member 320, a rubber layer 330, an adhesive sheet 340, and an elastic sheet 350. The button sheet 3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 pieces 312 are arranged to be pres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편(312)은 경도가 우수한 통상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버튼편(312)은 구리나 구리합금,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티타늄, 플래티늄, 니켈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금속재질의 버튼편(312)은 플라스틱보다 경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얇게 만들어도 딱딱한 형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하며, 용이하기 휘어질 수 있으면서 딱딱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tton pieces 312 arranged to be pushed independently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hardness. For example, each button piece 312 may be made of metal such as copper, copper alloy, stainless steel, aluminum, titanium, platinum, nickel, or the like. Since the button piece 312 of the metal material is superior in hardness to plastic, it is easy to maintain a rigid shape even if it is made thin, and can be easily bent while maintaining a rigid shape.

상기 필름부재(320)는 버튼시트(310)의 상면에 밀착되게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필름부재(320)가 각 버튼편(312)에 대응되게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필름편(322)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필름편(322) 대신 버튼시트(31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하나의 필름(도시하지 않음) 상에 각 버튼편(312)이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film member 320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sheet 310. Hereinafter, the film member 320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including a plurality of film pieces 322 dispo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o correspond to each button piece 312. In some cases, instead of the plurality of film pieces 322, each button piece 312 may be disposed on one film (not shown)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sheet 310.

이와 같이 복수개의 필름편(322)을 포함하는 필름부재(320)는 투명 또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필름편(322)은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 필름편(322)에 숫자 또는 문자 등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321)이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lm member 320 including the plurality of film pieces 322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opaque plastic material. For example, each film piece 322 is polypropylene (PP), aromatic polypropylene (O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ethylene vinyl acetate (EVA), polyethylene (PE), polyvinyl chloride (PVC), acrylic Butadiene styrene (ABS),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carbonate (PC). In addition, a button pattern 321 for displaying numbers or letters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film pieces 322.

한편, 버튼시트(310)를 구성하는 각 버튼편(312)은 최초에 각 버튼편(312)보다 얇은 폭을 갖는 연결선(313)으로 연결된 금속 원판 상태로 제공되며, 필름 원판과 함께 절단되어 각 버튼편(312)이 각 필름편(322)과 함께 쌍을 이루며 버튼 단위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버튼 단위라 함은 버튼편(312) 및 필름편(322)이 쌍을 이루도록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단위를 말하며, 이와 같은 버튼 단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button piece 312 constituting the button sheet 310 is first provided in the state of a metal disc connected by a connecting line 313 having a width that is thinner than each button piece 312, and is cut together with the film disc The button pieces 312 are paired with each film piece 322 to form a button unit. Herein, the button unit refers to a unit dispo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that the button piece 312 and the film piece 322 form a pair. Such a button unit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아울러 상기 각 필름편(322)은 대응되는 각 버튼편(312)의 주연부를 감싸도록 버튼편(312)보다 일정 여유를 두고 크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필름 원판과 금속 원판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필름편(322)의 끝단이 버튼 편(312)의 외곽을 둥글게 덮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필름 원판과 금속 원판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필름편(322)의 끝단은 버튼편(312)의 외곽을 둥글게 덮을 수 있으며, 필름편(322)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버튼편(312)의 외곽을 깔끌하게 처리할 수 있고, 버튼 단위의 단부를 둥글게 후처리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each of the film pieces 322 is preferably provided larger with a certain margin than the button piece 312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corresponding button piece 312. Such a structure allows the end of the film piece 322 to cover the outer edge of the button piece 312 in a process of cutting the film disc and the metal disc.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cutting the film disc and the metal disc, the end of the film piece 322 may cover the outer side of the button piece 312 roundly, and the film piece 322 may cover the outside of the button piece 312 formed of a metal material. It can be processed smoothly, and it is not necessary to round the end of the button unit.

또한, 절단된 버튼편(312) 및 필름편(322) 쌍에서 각 버튼편(312) 간을 연결하던 연결선(312)의 절단면(ⓐ)은 필름편(322)의 절단면(ⓑ)과 대략 일치한다. 즉, 필름편(322)이 연결선(313)의 절단면(ⓐ)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며 버튼편(312) 및 필름편(322) 쌍의 외곽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cut surface ⓐ of the connecting line 312 connecting each button piece 312 in the cut button piece 312 and the film piece 322 pair approximately coincides with the cut surface ⓑ of the film piece 322. do. That is, the film piece 322 prevents the cutting surface ⓐ of the connecting line 313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kes it possible to cleanly process the outer edges of the button piece 312 and the film piece 322 pair.

상기 러버층(330)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버튼시트(310)의 저면에 제공되며 버트시트와 필름부재(3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러버층(330)은 통상의 러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도 5 참조) 금형 내부에 버튼시트(310) 및 필름부재(320)를 배치하고, 버튼시트(310)의 저면에 액상의 러버를 도포한 후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러버층(330)이 형성되는 동안 버튼시트(310)와 필름부재(3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접착시트(340) 및 탄성시트(350) 역시 러버층(330)이 형성될 때 러버층(33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The rubber layer 33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sheet 31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llows the butt sheet and the film member 320 to be integrally connected. The rubber layer 330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rubber material, and as show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ee FIG. 5),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film member 320 are disposed inside the mold, and the button sheet 310 It may be formed by applying a liquid rubber to the bottom of the) and then applying heat and pressure. In addition, while the rubber layer 330 is formed in this way,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film member 32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and the adhesive sheet 340 and the elastic sheet 350 may also be formed with the rubber layer 330. When the rubber layer 330 may be integrally attached.

상기 접착시트(340)는 러버층(330)의 저면에 부착되며 버튼시트(310) 및 필름부재(320)가 접착시트(340)를 매개로 탄성시트(350)에 접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접착시트(34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러버 층(330)이 형성될 때 금형 내부에서 함께 가압되며 러버층(33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시트(340)는 러버층(330)과 탄성시트(350)의 사이에 개재되어 버튼시트(310) 및 필름부재(320)와 일체로 연결된 러버층(330)이 직접 탄성시트(350)에 접착될 경우보다 더욱 강한 접착력으로 탄성시트(350)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게 한다.The adhesive sheet 34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ubber layer 330 and allows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film member 320 to be attached to the elastic sheet 350 via the adhesive sheet 340. The adhesive sheet 3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vinyl chloride (PVC), polycarbonate and polyurethane, 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ubber layer 330 is formed Pressed together in the rubber layer 330 may be integrally attached. As such, the adhesive sheet 340 is interposed between the rubber layer 330 and the elastic sheet 350 so that the rubber layer 330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film member 320 is directly elastic sheet 350. ) To be firmly bonded to the elastic sheet 350 with a stronger adhesive force than when bonded to the).

상기 탄성시트(350)는 접착시트(340)의 저면에 접착되며 버튼시트(310) 및 필름부재(320)와 함께 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탄성시트(350)는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통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탄성시트(350)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시트(340)와는 투명한 실리콘 재질 등과 같은 통상의 접착제를 통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시트(350)는 접착시트(340)를 매개로 러버층(330)에 접착되게 때문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The elastic sheet 350 is bonded to the bottom of the adhesive sheet 340 and forms an integral part with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film member 320. The elastic sheet 350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flexibility. As an example, the elastic sheet 350 may be formed of a polyurethane material, and the adhesive sheet 340 may b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ventional adhesive such as a transparent silicone material. As such, the elastic sheet 350 may be firmly and stably bonded to the rubber layer 330 through the adhesive sheet 340.

또한, 상기 탄성시트(350)의 상면에는 소정 패턴으로 고정돌기(35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352)는 각 버튼편(312) 및 필름편(322)이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 버튼 단위의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버튼시트(310) 및 필름부재(320)가 탄성시트(350) 상에 배치될 시 각 버튼 단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고정돌기(352)는 버튼편(312) 및 필름편(322)이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 버튼 단위의 둘레를 구속하며 반복적인 외력 등에 의해 탄성시트(350)에 배치된 각 버튼 단위가 밀려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352 may protrude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sheet 350. The fixing protrusion 35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terval between the button unit each button piece 312 and the film piece 322 is configured to pair,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film member 320 is an elastic sheet ( When disposed on the 350 may be disposed between each button unit. The fixing protrusion 352 disposed as described above constrains the periphery of the button unit configured such that the button piece 312 and the film piece 322 are paired, and each button unit disposed on the elastic sheet 350 is formed by repetitive external force.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back.

아울러, 상기 탄성시트(350)의 저면에는 키패드를 누르는 힘이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구비된 각 스위치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각 스위치에 대응되게 누름돌기(351)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essing protrusion 35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lastic sheet 350 to correspond to each switch so that the pressing force of the keypad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each switch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keyp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패드(400)는 버튼시트(410), 상기 버튼시트(410)의 상부에 제공되는 필름부재(420), 상기 버튼시트(410)와 필름부재(420)의 사이에 제공되며 버튼시트(410)와 필름부재(420)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430), 상기 버튼시트(410)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440), 상기 접착시트(440)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4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9, the keypad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sheet 410, a film member 420 provided on the button sheet 410, and the button sheet 410. ) Is provided between the film member 420 and the rubber layer 430 which integrally connects the button sheet 410 and the film member 420, and the adhesive sheet 440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sheet 410. The elastic sheet 450 is bonded to the bottom of the adhesive sheet 440.

상기 버튼시트(410)는 경도가 우수한 통상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버튼시트(410)로서는 구리나 구리합금,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티타늄, 플래티늄, 니켈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금속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시트는 플라스틱보다 경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얇게 만들어도 딱딱한 형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하며, 용이하기 휘어질 수 있으면서 딱딱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button sheet 410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hardness. For example, the button sheet 410 may be a metal sheet made of metal such as copper, copper alloy, stainless steel, aluminum, titanium, platinum, nickel, or the like. Since the metal sheet is superior in hardness to plastic, it is easy to maintain a rigid form even if it is made thin, and can be easily bent while maintaining a rigid form.

이하에서는 버튼시트(410)로서 두께 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 가능하게 버튼영역이 정의되도록 소정 패턴으로 두께 방향을 따라 슬릿(411)이 관통 형성된 버튼시트가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버튼시트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변형예와 같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button sheet 410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in which the button sheet having the slit 411 penetrat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pattern is applied so that the button region is defined to be press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course, the button sheet may be applied to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button pieces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are arranged to be push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s in the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슬릿(411)은 버튼시트(410) 상에 소정 패턴으로 버튼 영역이 형성되도록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슬릿(411)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 등에 따라 외팔보(cantilever) 형상 및 브릿지(bridge) 형상 등으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슬릿(411)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lit 411 is formed through the button sheet 410 so that the button region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e slit 411 has a cantilever shape and a bridge shape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It can be changed freely 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shape and structure of such a slit 411.

또한 상기 버튼시트(410)의 버튼영역에는 숫자, 문자, 기호 등에 해당되는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을 통해 버튼시트(410)의 투광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버튼시트(410)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의해 정의되는 투광영역을 통해 버튼시트(4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명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number, a letter, or a symbol is formed in the button area of the button sheet 410, and a light transmitting area of the button sheet 410 may be defined through the through hole. In other words,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uminaire disposed below the button sheet 4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light transmission area defined by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utton sheet 410.

상기 필름부재(420)는 버튼시트(410)의 상부에 제공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름부재(420)는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상기 필름부재(420)에 숫자 또는 문자 등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버튼패턴이 배제된 상태로 필름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아울러 버튼시트로서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편(도 6의 312 참조)을 포함하는 구조가 채용된 경우 필름부재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변형예와 같이 각 버튼편에 대응되게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필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lm member 420 is provided on the button sheet 410 and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opaque p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film member 420 may be made of polypropylene (PP), aromatic polypropylene (O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ethylene vinyl acetate (EVA), polyethylene (PE), polyvinyl chloride (PVC), and acrylbutadiene.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tyrene (ABS), polycarbonate (PC). In addition, i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an example in which a button pattern for displaying numbers or letters on the film member 420 is formed. In some cases, the film member may be provided in a state where a separate button pattern is excluded. In addition, when a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button pieces (see 312 in FIG. 6) dispo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s a button sheet is employed, the film members ar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piece as in the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film pieces arranged.

상기 러버층(340)은 버튼시트(410)와 필름부재(420)의 사이에 제공되며 버튼시트(410)와 필름부재(4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러버층(430)은 통상의 러버(rubb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러버층(430)은 금형(도 5의 710,720 참조) 내부에 버튼시트(410) 및 필름부재(420)를 배치하고, 필름부재(420)의 저면에 액상의 러버를 도포한 후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러버층(430)이 형성되는 동안 버튼시트(410)와 필름부재(4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접착시트(440) 및 탄성시트(450) 역시 러버층(430)이 형성될 때 버튼시트(41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The rubber layer 340 is provided between the button sheet 410 and the film member 420 to allow the button sheet 410 and the film member 420 to be integrally connected. The rubber layer 430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rubber (rubber) material, the rubber layer 430 is disposed on the button sheet 410 and the film member 420 inside the mold (see 710, 720 of FIG. 5). And, by applying a liquid rubber to the bottom of the film member 420 may be formed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In addition, the button sheet 410 and the film member 42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while the rubber layer 43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In some cases, the adhesive sheet 440 and the elastic sheet 450 may also have a rubber layer 430. ) May be integrally attached to the button sheet 410 when it is formed.

상기 접착시트(440)는 버튼시트(410)의 저면에 부착되며 버튼시트(410) 및 필름부재(420)가 접착시트(440)를 매개로 탄성시트(450)에 접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접착시트(44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러버층(430)이 형성될 때 금형 내부에서 함께 가압되며 버튼시트(41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시트(440)는 버튼시트(410)와 탄성시트(450)의 사이에 개재되어 필름부재(420)가 일체로 연결된 버튼시트(410)가 직접 탄성시트(450)에 접착될 경우보다 더욱 강한 접착력으로 탄성시트(450)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게 한다.The adhesive sheet 440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sheet 410 and allows the button sheet 410 and the film member 420 to be attached to the elastic sheet 450 through the adhesive sheet 440. The adhesive sheet 4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vinyl chloride (PVC), polycarbonate, and polyurethane, and the like when the rubber layer 43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Pressed together and may be integrally attached to the button sheet 410.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sheet 440 is interposed between the button sheet 410 and the elastic sheet 450 so that the button sheet 410 to which the film member 420 is integrally bonded is directly bonded to the elastic sheet 450. It can be firmly bonded to the elastic sheet 450 with a stronger adhesive force.

상기 탄성시트(450)는 접착시트(440)의 저면에 접착되며 버튼시트(410) 및 필름부재(420)와 함께 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탄성시트(450)는 탄성과 유연성을 갖 는 통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탄성시트(450)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시트(440)와는 투명한 실리콘 재질 등과 같은 통상의 접착제를 통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시트(450)는 접착시트(440)를 매개로 러버층(430)에 접착되게 때문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The elastic sheet 450 is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440 and forms an integral part with the button sheet 410 and the film member 420. The elastic sheet 450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flexibility. For example, the elastic sheet 450 may be formed of a polyurethane material, and the adhesive sheet 440 may b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ventional adhesive such as a transparent silicone material. As such, the elastic sheet 450 may be firmly and stably bonded to the rubber layer 430 through the adhesive sheet 440.

또한, 상기 탄성시트(450)의 저면에는 키패드를 누르는 힘이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구비된 각 스위치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각 스위치에 대응되게 누름돌기(451)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essing protrusion 45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lastic sheet 450 to correspond to each switch so that the force for pressing the keypad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each switch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keypa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에서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키패드(500)는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을 포함하며 버튼패턴에 대응되게 상면으로 돌출되게 볼록부가 형성된 필름부재(520), 필름부재(520)의 하부에 제공되는 접착시트(540), 상기 필름부재(520)와 접착시트(540)의 사이에 제공되며 필름부재(520)와 상기 접착시트(540)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530), 상기 접착시트(540)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5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keypad 5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pattern for displaying a number or a letter and has a convex portion protruding to an upp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attern. The film member 520, the adhesive sheet 540 provided below the film member 520, and are provided between the film member 520 and the adhesive sheet 540, and the film member 520 and the adhesive sheet 540. ) Includes a rubber layer 530 integrally connecting the elastic layer 530, and an elastic sheet 550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540.

상기 필름부재(520)는 투명 또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름부재(520)는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PP), 폴리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필름부재(520)에는 숫자 또는 문자 등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버튼패턴의 형상 및 크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film member 52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opaque p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film member 520 may be made of polypropylene (PP), aromatic polypropylene (O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ethylene vinyl acetate (EVA), polyethylene (PE), polyvinyl chloride (PVC), and acrylics. Butadiene styrene (ABS),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carbonate (PC). In addition, the film member 520 is formed with a button pattern for displaying a number or a letter, etc., the shape and size of such a button pattern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또한, 상기 필름부재(520)에는 상기 버튼패턴에 대응되도록 상면으로 돌출되게 볼록부(5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록부(523)는 각 버튼패턴의 경계부위가 여타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도록 대략 원호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전체 버튼패턴에 대응되게 필름부재(520)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세로 또는 가로 방향 등을 따라 볼록부와 평탄부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각 버튼패턴 중 일부에만 볼록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볼록부(523)는 필름부재(520)의 일부를 성형하여 필름부재(5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필름부재(520)와 별도로 제작된 후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볼록부(523)는 원호형 오목부(711)를 갖는 금형(710',720')에서 필름부재(520)를 가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m member 520 may be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523 protruding to an upper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button pattern. The convex portion 523 is formed to have an approximately arc-shaped cross section so that a boundary portion of each button pattern can be formed with a relatively thin thickness than other portions, and is formed on the film member 520 to correspond to the entire button pattern. Can be formed. Of course, in some cases, the convex portion and the flat portion may b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nd thus, the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only on a part of each button pattern. The convex portion 52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m member 520 by molding a part of the film member 520, and in some cases, may be attached separately after being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film member 520. For example, the convex portion 523 may be formed by pressing the film member 520 in the molds 710 ′ and 720 ′ having the arcuate recesses 711.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버튼시트가 배제된 구조에서 필름부재(520)에 볼록부(523)가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필름부재에도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x portion 523 is formed on the film member 520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button sheet is excluded. The convex part can be formed also in the film member of an Example.

상기 러버층(530)은 필름부재(520)와 접착시트(540)의 사이에 제공되며 필름부재(520)와 접착시트(54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러버층(530)은 통 상의 러버(rubb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러버층(530)은 금형 내부에 필름부재(520) 및 접착시트(540)를 배치하고, 필름부재(520)의 저면에 액상의 러버를 도포한 후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러버층(530)이 형성되는 동안 필름부재(520)와 접착시트(54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러버층(530)은 전술한 금형(710',720') 안에서 볼록부(523)를 형성하는 동안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시트(550) 역시 볼록부(523) 및 러버층(530)이 형성될 때 접착시트(54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The rubber layer 530 is provided between the film member 520 and the adhesive sheet 540 and allows the film member 520 and the adhesive sheet 540 to be integrally connected. The rubber layer 530 may be formed of a cylindrical rubber material. The rubber layer 530 may include a film member 520 and an adhesive sheet 540 in the mold, and the film member 520. It can be formed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after applying the liquid rubber to the bottom of the. While the rubber layer 530 is formed, the film member 520 and the adhesive sheet 54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Such a rubber layer 530 is a convex portion 523 in the above-described molds 710 'and 720'. Can be formed simultaneously during formation. In some cases, the elastic sheet 550 may also be integrally attached to the adhesive sheet 540 when the convex portion 523 and the rubber layer 530 are formed.

상기 접착시트(540)는 러버층(530)의 저면에 부착되며 필름부재(520)가 접착시트(540)를 매개로 탄성시트(550)에 접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접착시트(54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볼록부(523) 및 러버층(530)이 형성될 때 금형 내부에서 함께 가압되며 버튼시트(51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시트(540)는 필름부재(520)와 탄성시트(550)의 사이에 개재되어 필름부재(520)가 직접 탄성시트(550)에 접착될 경우보다 더욱 강한 접착력으로 탄성시트(550)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게 한다.The adhesive sheet 54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ubber layer 530 and allows the film member 520 to be attached to the elastic sheet 550 via the adhesive sheet 540. The adhesive sheet 5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vinyl chloride (PVC), polycarbonate and polyurethane, and the convex portion 523 and the rubber layer 530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formed is pressed together in the mold and may be integrally attached to the button sheet 510. As such, the adhesive sheet 54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lm member 520 and the elastic sheet 550 so that the elastic sheet 550 has a stronger adhesive force than when the film member 520 is directly bonded to the elastic sheet 550. To be firmly adhered to.

상기 탄성시트(550)는 접착시트(540)의 저면에 접착되며 필름부재(520)와 함께 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탄성시트(550)는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통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탄성시트(550)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시트(540)와는 투명한 실리콘 재질 등과 같은 통상의 접착제를 통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시트(550)는 접착시트(540)를 매개로 러버 층(530)에 접착되게 때문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The elastic sheet 550 is bonded to the bottom of the adhesive sheet 540 and forms an integral part with the film member 520. The elastic sheet 550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flexibility. As an example, the elastic sheet 550 may be formed of a polyurethane material, and the adhesive sheet 540 may b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ventional adhesive such as a transparent silicone material. As such, the elastic sheet 550 may be firmly and stably bonded to the rubber layer 530 through the adhesive sheet 540.

또한, 상기 탄성시트(550)의 저면에는 키패드를 누르는 힘이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구비된 각 스위치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각 스위치에 대응되게 누름돌기(551)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ush protrusion 55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lastic sheet 550 to correspond to each switch so that the force for pressing the keypad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each switch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keypa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or the same equivalent parts 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given the same or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키패드(600)는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을 포함하며 버튼패턴에 대응되게 상면으로 돌출되게 볼록부(623)가 형성된 필름부재(620), 필름부재(620)의 하부에 제공되는 접착시트(640), 상기 필름부재(620)와 접착시트(640)의 사이에 제공되며 필름부재(620)와 상기 접착시트(640)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630), 상기 접착시트(640)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650), 상기 탄성시트(650)의 상면에 형성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6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2, the keypad 6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pattern for displaying numbers or letters and has a convex portion 623 protruding to an upp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attern. The film member 620, the adhesive sheet 640 provided under the film member 620, and the film member 620 and the adhesive sheet 640 are provided between the film member 620 and the adhesive sheet 640. ) Is formed on the rubber layer 630, the elastic sheet 650 bonded to the bottom of the adhesive sheet 640,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sheet 650, and emits light when power is applied ( 660).

상기 발광부(660)는 키패드의 조명을 위한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얇은 시트 방식의 무기이엘시트(Organic Electro luminessence Sheet) 또는 유기이엘시트(Inorganic Electro luminessence Sheet)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부(660)가 키패드와 함께 모듈화를 이루도록 구성됨에 따라 키패드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단말기 본체의 공간효율성 및 설계자유도 를 향상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소형화 및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660 is to generate light for the illumination of the keypad, a thin sheet type organic EL sheet (Organic Electro luminessence Sheet) or an organic EL sheet (Inorganic Electro luminessence Sheet) may be applied. As the light emitting unit 660 is modularized together with the keypad, the height between the keypad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minimized, and the space efficiency and design freedom of the terminal body can be improved. Can contribute.

또한, 필름부재(620) 및 접착시트(64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발광부(660)로부터 발광된 빛 중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층(6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접착시트(640)의 상면에 차단층(670)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차단층(670)은 인쇄 또는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부(660)로부터 발광된 빛 중 일부를 차단하며 버튼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투광영역만으로 발광부(660)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 blocking layer 67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lm member 620 and the adhesive sheet 640 to block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660.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blocking layer 67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640 will be described. The blocking layer 670 may be formed by a method such as printing or deposition. The blocking layer 670 may block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660 and may be form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660 by only a light transmitting area defined by a button pattern. The generated light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버튼시트가 배제된 키패드 구조에서 탄성시트(650)의 상면에 발광부(660)가 구비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탄성시트 상에도 발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같이 버튼시트가 채용된 키패드 구조에서는 버튼시트가 그 본연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차단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unit 66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sheet 650 in the keypad structure from which the button sheet is excluded. The light emitting part may also be provided on the elastic sheet of the example and the second embodiment. In addition, in the keypad structure in which the button sheet is employed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button sheet may serve as a barrier layer and at the same time play a role of the button sheet.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에 의하면 얇은 두께 및 일정 형상강도를 유지하면서도 키패드의 각 구성부품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s seen above, according to the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keypad can be firmly and stably connected while maintaining a thin thickness and a certain shape strength.

또한, 버튼시트 및/또는 필름부재가 접착시트를 매개로 탄성시트에 부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버튼시트 및/또는 필름부재가 탄성시트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러버층과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탄성시 트 간의 접착이 접착시트를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키패드의 각 구성부품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Further, by allowing the button sheet and / or the film member to be attached to the elastic sheet via the adhesive sheet, the button sheet and / or the film member can be firmly and stably attached to the elastic shee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dhesion between the rubber layer and the elastic sheet made of polyurethane to be carried out through the adhesive sheet and each component of the keypad can be connected firmly and stably.

따라서, 반복적인 외력 및 접착력 저하 등에 따른 키패드의 각 구성부품 간의 분리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동작 안정성 저하 및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epar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keypad due to the repeated external force and the adhesive force, et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operation stability and reli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일정 형상강도 및 결합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키패드가 설치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 a thin thickness while maintaining a certain shape strength and bonding strength. Therefore, it can contribute to the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keypad is install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6)

버튼시트;Button sheet; 상기 버튼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필름부재;A film memb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utton sheet; 상기 버튼시트의 저면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시트와 상기 필름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A rubber lay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sheet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button sheet and the film member; 상기 러버층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 및An adhesive sheet attached to a bottom of the rubber layer; And 상기 접착시트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를 포함하고,And an elastic sheet bonded to the bottom of the adhesive sheet. 상기 러버층은 상기 버튼시트의 저면에 도포된 액상의 러버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형성되며, 상기 러버층이 형성될 때 상기 버튼시트, 상기 필름부재 및 상기 접착시트는 상기 러버층에 일체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The rubber layer is formed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the liquid rubber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button sheet, and when the rubber layer is formed, the button sheet, the film member, and the adhesive sheet are integrally attached to the rubber layer.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버튼시트;Button sheet; 상기 버튼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필름부재;A film memb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utton sheet; 상기 버튼시트와 상기 필름부재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시트와 상기 필름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A rubber layer provided between the button sheet and the film member to integrally connect the button sheet and the film member; 상기 버튼시트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 및An adhesive sheet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sheet; And 상기 접착시트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를 포함하고,And an elastic sheet bonded to the bottom of the adhesive sheet. 상기 러버층은 상기 필름부재의 저면에 도포된 액상의 러버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형성되며, 상기 러버층이 형성될 때 상기 버튼시트는 상기 러버층에 일체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The rubber layer is formed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the liquid rubber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m member, the keypa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on sheet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rubber layer when the rubber layer is formed.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버튼시트는 두께 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 가능하게 소정 패턴으로 슬릿이 형성된 금속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The button sheet is a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tal sheet with a slit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to be press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버튼시트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The button sheet is a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button pieces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are arranged to be pres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각 버튼편에 대응되게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필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The film member comprises a plurality of film pieces dispo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utton pieces.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탄성시트는 상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각 버튼편 및 필름편이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 버튼 단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The elastic sheet includes a fixing projection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the fixing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pad is disposed between the button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each of the button piece and the film piece in pairs.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필름부재는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The film member is a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tton pattern for displaying numbers or letters.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탄성시트의 상면 또는 저면에 제공되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And a light emitting par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sheet and emitting light when power is applied.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패턴에 대응되도록 상면으로 돌출되게 볼록부가 형성된 필름부재;A film member including a button pattern for displaying a number or a letter and having a convex portion protruding to an upper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button pattern; 상기 필름부재의 하부에 제공되는 접착시트;An adhesive sheet provided below the film member; 상기 필름부재와 상기 접착시트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필름부재와 상기 접착시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 및A rubber layer provided between the film member and the adhesive sheet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film member and the adhesive sheet; And 상기 접착시트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를 포함하고,And an elastic sheet bonded to the bottom of the adhesive sheet. 상기 러버층은 상기 필름부재의 저면에 도포된 액상의 러버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형성되며, 상기 러버층이 형성될 때 상기 접착시트는 상기 러버층에 일체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The rubber layer is formed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the liquid rubber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film member, the keypa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sheet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rubber layer when the rubber layer is formed.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볼록부는 상기 필름부재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The convex portion is a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or separately from the film member.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볼록부는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러버층 및 상기 접착시트와 함께 오목부를 갖는 금형에서 가압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And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by pressing the film member in a mold having a concave portion together with the rubber layer and the adhesive sheet.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탄성시트의 상면 또는 저면에 제공되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And a light emitting par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sheet and emitting light when power is applied.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필름부재 및 상기 접착시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부로부터 발광된 빛 중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The keypad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lm member and the adhesive sheet further comprises a blocking layer for blocking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KR1020060087377A 2006-09-11 2006-09-11 Keypad KR1008400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377A KR100840017B1 (en) 2006-09-11 2006-09-11 Key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377A KR100840017B1 (en) 2006-09-11 2006-09-11 Keyp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457A KR20080023457A (en) 2008-03-14
KR100840017B1 true KR100840017B1 (en) 2008-06-20

Family

ID=3939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377A KR100840017B1 (en) 2006-09-11 2006-09-11 Key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0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691B1 (en) * 2008-05-30 2010-05-03 갤럭시아디바이스 주식회사 optical sheet and optical sheet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966Y1 (en) 2005-04-19 2005-07-07 주식회사 모젬 wireless telephone keypad
KR20060058377A (en) * 2004-11-25 2006-05-30 (주)예스텔레콤 Metal key-pad and this like goods production method
KR20060107376A (en) * 2005-04-06 2006-10-13 주식회사 모젬 Wireless telephone keypad
KR20060119546A (en) * 2005-05-20 2006-11-24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Key pad having protrusion for protection and fabric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0685142B1 (en) 2005-07-08 2007-02-22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Keypad for cellular 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39539B1 (en) 2005-07-22 2007-07-13 (주)지엔씨 Button plat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utton pla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377A (en) * 2004-11-25 2006-05-30 (주)예스텔레콤 Metal key-pad and this like goods production method
KR20060107376A (en) * 2005-04-06 2006-10-13 주식회사 모젬 Wireless telephone keypad
KR200388966Y1 (en) 2005-04-19 2005-07-07 주식회사 모젬 wireless telephone keypad
KR20060119546A (en) * 2005-05-20 2006-11-24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Key pad having protrusion for protection and fabric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0685142B1 (en) 2005-07-08 2007-02-22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Keypad for cellular 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39539B1 (en) 2005-07-22 2007-07-13 (주)지엔씨 Button plat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utton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457A (en) 200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7094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EP1507273B1 (en) Keypad assembly
CN101529545B (en) Electronic device
AU733239B2 (en) Touch screen overlay apparatus
KR100954764B1 (en) User exchangeable mobile phone keypad
EP1914964B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replaceable keypad cover
WO1998019434A1 (en) Tele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dual keypads
KR100904887B1 (en) Portable terminal
EP1028445B1 (en) Support structure for a keypad
US7355590B2 (en) Keymat
GB2344935A (en) Keypad assembly with intermediate element between keymat and switch layer
JP4190568B1 (en) Mobile device
CN102568899A (en) Key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EP2226822B1 (en) A key assembly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one-piece keycap
KR200415225Y1 (en) Key pad assembly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US20110074608A1 (en) Button-ke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KR100840017B1 (en) Keypad
KR100837266B1 (en) Keypad
KR10079258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key
KR100843263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key
KR100870505B1 (en) Keypad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eypad
KR100852360B1 (en) Personal portable device
KR100779066B1 (en) Mathod of manufactering of keypad and keypad
KR100780900B1 (en) Structure for keypad back lighting of keypad
KR100774611B1 (en) Metal front-cover for communic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