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107B1 - 모래밭버섯균(kctc11024bp)을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재활용 원예토양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방법 - Google Patents

모래밭버섯균(kctc11024bp)을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재활용 원예토양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107B1
KR100839107B1 KR1020070030534A KR20070030534A KR100839107B1 KR 100839107 B1 KR100839107 B1 KR 100839107B1 KR 1020070030534 A KR1020070030534 A KR 1020070030534A KR 20070030534 A KR20070030534 A KR 20070030534A KR 100839107 B1 KR100839107 B1 KR 100839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construction waste
construction
sieve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혜영
윤훈철
Original Assignee
윤혜영
윤훈철
윤훈식
윤칠중
주식회사 도성환경개발
유한회사 도성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혜영, 윤훈철, 윤훈식, 윤칠중, 주식회사 도성환경개발, 유한회사 도성개발 filed Critical 윤혜영
Priority to KR1020070030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1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 B09C1/105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using fungi or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밭버섯균(KCTC 11024BP)을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재활용 원예토양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설폐기물을 체로 걸러 제조된 토양성분 및 모래밭버섯균 배양액이 혼합된 건설폐기물 재활용 원예토양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원예토양을 이용하여 건설폐기물 재활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래밭버섯균, 건설폐기물, 원예토양

Description

모래밭버섯균(KCTC11024BP)을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재활용 원예토양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방법{Construction Waste Recycled Horticulture Soil Containing Pisolithus tinctorius and Methods of Plant Growth Promotion by Using It}
도 1은 건설 폐기물 토양 입자를 나타낸다. A는 건설 폐기물 토양을 나타내고, B는 2mm 체로 걸러낸 건설 폐기물 토양을 나타낸다.
도 2는 건설 폐기물 토양 대조구 및 각 처리구 화분이 배치된 유리 온실을 나타낸다.
도 3도 4는 외생균근 접종에 의한 소나무 뿌리의 균근형성을 해부현미경 및 광학현미경 사진으로 나타낸다. A는 건설 폐기물 토양에 식재된 소나무 뿌리(무처리구)를 나타내고, B는 외생균근을 접종한 건설 폐기물 토양에 식재된 소나무 뿌리 (처리구)를 나타낸다.
도 5는 건설 폐기물 토양 대조구 및 각 처리구 별 소나무 근원경 생장 차이를 나타낸다.
도 6은 건설 폐기물 토양 대조구 및 각 처리구 별 소나무 묘고 생장 차이를 나타낸다.
도 7은 건설 폐기물 토양 처리구에 식재된 소나무의 잎 피해를 나타낸다. A는 건설 폐기물 토양에 식재된 소나무를 나타내고, B는 2mm 체로 처리된 건설 폐기물 토양에 식재된 소나무를 나타낸다.
도 8은 외생균근을 접종한 건설 폐기물 토양 처리구에 식재된 소나무를 나타낸다. A는 외생균근을 접종한 건설 폐기물 토양에 식재된 소나무를 나타내고, B는 2mm 체로 걸러낸 후 외생균근을 접종한 건설 폐기물 토양에 식재된 소나무를 나타낸다.
20세기 들어서 급격히 증가한 인구는 더 많은 주거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아파트나 빌딩 등 대형 건설물이 건설되기 시작하였다. 또 주거 환경 개선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기존의 건물을 재건설하거나 재개발하는 사례가 많아졌다. 이에 따라 건설 폐기물량도 꾸준히 증가하였는데, 1996년 1천만 톤에서 2002년 현재 4천 3백만 톤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르면 2010년에는 약 1억 톤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환경부, 2002).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의 내용은 단일품으로 배출되는 산업폐기물과는 달리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토사, 오니, 목재 등 각종 폐기물이 혼합된 형태로 배출되는데, 지정폐기물과는 다르게 환경유해성이 적기 때문에 재활용을 했을 시 높은 부가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박찬혁과 정재춘, 2004). 외국의 연구 사례에 따르면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슬러리를 농업용 토양에 혼합하였을 때, 토양의 pH를 높여 작물생산에 이로운 효과를 가져온다고 하였으며 (Consta C, 1995; Munoz Montano J, 2003; Nuno Almeida et al), 이러한 건설폐기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농지 조성에도 활용하고 있다(환경부, 2002).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하고 있으며, 건설폐재 배출사업자 재활용 지침(97. 2. 25)에 따라 보수공사, 도로기층, 콘크리트제조 등에 활용하고 있다(장재명 등, 2005). 하지만 선진국의 건설폐기물 재활용 현황에 비해 아직 활용 범위가 낮고 체계적이지 못 하며, 건설폐기물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위해 다양한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방안으로 도시 내 공원이나 숲 조성을 위한 조경수 식재용 토양으로서의 이용가능성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외국의 연구 사례에서는 제강 슬러그의 경우, 과다 산성토양에 시비할 경우, 토양 pH 증가와 수용성 Al의 감소를 가져오고, 산림생산성을 증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Formoso et al, 1991; Pinto et al, 1992), 뿐만 아니라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토석 슬러리를 이용하면 산성화된 경작지 토양의 pH를 높여 토양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선진국의 경향에 맞추어 각종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작물생산성을 높이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이문원과 김영권(1998)에 따르면, 제철산업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토양에 혼합하여 상추와 토마토를 재배한 결과,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고 하였다. 박인협 등은 소나무 천연림을 대상으로 제강슬러그 처리에 의한 토양 개량효과를 연구한 결과, 산성토양의 경우 수종 별로 토양개량의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장철현 등(2002)은 탄화오니에 국화를 삽목한 결과, 일반적으로 쓰이는 삽목용토 보다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다고 하였다. 이 밖에도 석탄회와 석고 역시 작물재배용 토양개량제로 쓰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하호성 등, 1995).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고려한다면 건설폐기물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토양을 수목 식재용 토양으로 이용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한편, 아파트나 주택단지, 빌딩 건설 등 각종 공사가 많이 진행되는 도시에서는 공사에 따른 토양 훼손이 심각하며, 공사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의 방치로 인해, 환경오염이 발생하거나 주변 경관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건물 주변에 조경수를 식재하기 위해서는 오염되지 않은 토양이 필요하며, 이를 다른 지역에서 옮겨올 경우, 그 지역에서 또 다른 토양 훼손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운반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 등의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을 활용하게 된다면 건설폐기물 재활용과 토양훼손 방지, 그리고 수목 식재에 대한 비용절감까지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조경수를 대상으로 식물과 공생하며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균근균을 이용함으로써 건설폐기물 토양의 성분 완화와 원예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토양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균근균는 수분 및 양료 흡수, 병원균과의 길항작용을 통해 식생의 초기 형성속도를 증가시키고, 균사망에 의해서 토양구조를 개선시킴으로써 토양안정화에 도움이 된다. 실제로 이경준(1992)에 의하면 묘포장에서 균근을 소나무 5개종에 인공접종한 다음 10년 후 묘목 생장량을 분석한 결과, 모래밭버섯균에 의해 적송의 생장량이 증가하였으며, 김명희와 이수욱(1985)은 모래밭버섯균과 사마귀버섯균의 인공 접종을 통해 리기테다의 직경과 묘고 생장량이 증가한다고 하였다. 한편, 균근균이 기주에 미치는 영향은 토양 특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Worley와 Hacskaylo(1959)는 토양수분에 따라서 흰 곰팡이(white fungus)와 검은 곰팡이(black fungus)의 균근 형성이 달라진다고 하였는데, 수분이 많은 곳에서는 흰 곰팡이(white fungus)가, 적은 곳에서는 검은 곰팡이(black fungus)가 풍부하다고 하였다. 또 Slankis(1974)는 P. rigida 뿌리에서 리조포곤 루테올러스(Rhizopogon luteolus)의 집락화(colonization)가 토양 보수력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였다. 이를 고려할 때,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토양의 특성과 균근균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면, 이를 통하여 건설폐기물 재활용 추세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기술적 한계로 재활용이 어려운 건설폐기물 토양에 적용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특허출원번호 10-1997-021227호(출원일 1997.5.28)에서는 공생균을 함유한 녹화용 식생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암반절개지, 마사지, 황폐지 등 식생조건이 불량한 지역에 분사파종공법이나 식생매트공법을 이용하여 식생녹화하는데 필요한 녹화용 조성물에 있어서 종래에 사용되어왔던 종자, 비료, 접착제, 피복보호제 등 외에 외생균근균과 내생균근균의 포자나 균사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처리함으로써 식물의 발아율을 높히고 또한 발아기간을 단축시켜 원하는 식물종의 조기녹화를 가능하게 하는 공생균을 함유한 녹화용 식생조성물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03-0051467호(출원일 2003.7.25)에서는 식물생장 촉진 활성을 나타내는 쿤닝하멜라속 균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 뿌리에서 분리되어 식물생장 촉진 활성을 나타내는 곰팡이 쿤닝하멜라속(Cunninghamella sp.) LDI-7 균주에 관한 것이다. 쿤닝하멜라속 LDI-7 균주는 식물 생육촉진활성을 나타내므로 상기 균주를 씨앗 발아시 토양에 도포하고 생육시키면 식물, 특히 소나무의 생장 촉진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식물생장 촉진을 위한 제제로 활용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소나무 생장을 촉진하고 또한 건설폐기물을 원예토양으로 제조하기 위한 용도로 모래밭버섯균(Pisolithus tinctorius PT1)[KCTC 11024BP]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체로 걸러 제조된 토양성분 및 모래밭버섯균 배양액이 혼합된 건설폐기물 재활용 원예토양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활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모래밭버섯균(Pisolithus tinctorius PT1)[KCTC 11024BP]을 제공한다. 상기 모래밭버섯균은 본 발명자가 수원에 소재한 경희대학교 캠퍼스에서 채집하여 순수 분리하고 동정하였고, 2006년 11월 11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되었다. 상기 모래밭버섯균은 건설폐기물을 원예토양으로 제조하기 위한 용도에 적합한 균이다. 상기 모래밭버섯균은 소나무와 균근균을 형성하여 소나무로 하여금 인산의 흡수를 촉진하게 하여서, 소나무의 생장을 촉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건설폐기물을 0.5mm 내지 5mm,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3mm, 가장 바람직하게는 2mm의 체로 걸러 제조된 토양성분 및 모래밭버섯균(Pisolithus tinctorius PT1)[KCTC 11024BP] 배양액이 혼합된 건설폐기물 재활용 원예토양을 제공한다. 0.5mm 이하의 체를 사용하게 되면 토양성분이 대부분 걸러져 토양의 회수율이 너무 낮으며, 5mm 이상의 체를 사용하게 되면 토양성분 이외의 불순물 성분들도 체를 통과하여 적합한 토양의 기준을 벗어나게 된다. 상세하게는 1,000ml 크기의 용기에 버미큘레이트(vermiculate) 770ml, 피트모스(peat moss) 30ml을 혼합하고 여기에 400ml 개량된 멜린-노크란스(Modified Melin-Norkrans'; MMN) 액체배지(CaCl2 50mg/ml, NaCl 25mg/ml, KH2PO4 500mg/ml, (NH4)2HPO4 250mg/ml, MgSO4·7H2O 150mg/ml, FeCl3(1%) 1.2ml/ml, Thiamine HCl 0.1mg/ml, malt extract 3,000mg/ml, glucose 10,000mg/ml)를 첨가한다. 여기에 MMN 고체배지에 미리 계대배양해 놓은 모래밭버섯균을 2× 2 cm로 잘라서 접종한다. 그 후 24-28℃에서 40일간 배양한다. 이 모래밭버섯균 혼합토에 2mm의 체로 걸러 제조된 건설폐기물을 혼합하여 화분(6,400ml)에 넣고 삽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모래밭버섯균(Pisolithus tinctorius PT1)[KCTC 11024BP]을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을 0.5mm 내지 5mm의 체로 걸러 제조된 토양성분을 준비하는 단계; 모래밭버섯균을 고체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토양성분과 모래밭버섯균 배양물을 혼합하여 원예상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재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자연 생태계에서 인산과 질소의 농도가 매우 낮아서 식물 생장에 제한 요소가 된다. 특히 인산은 산성토양에서 철이나 알루미늄과 결합하고 알칼리성 토양에서 칼슘과 결합하여 물에 녹지 않는 화합물이 된다. 균근균은 사상균의 일종으로서 식물체 조직과 외부 토양환경에 걸쳐 서식하면서 식물 뿌리가 미치지 못하는 영역으로부터 인 등의 무기원소에 대한 식물의 흡수를 촉진하고 또한 염해와 한발에 대한 저항성과 뿌리혹형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래밭버섯균은 식물이 인산을 흡수하여 사용하는 것을 도와줌으로서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여 준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건설 폐기물 토양 처리구의 물리, 화학적 특성 분석
(1) 토양
외생균근 처리에 따른 건설 폐기물 토양성분 완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건설폐기물 토양은 중간처리장에서 발생된 (유)도성개발에서 제공하는 건설폐기물 토양을 이용했다. 또 토양 입자에 따른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건설폐기물 토양은 2mm 체로 처리된 토양과 2mm 체로 처리되지 않은 토양을 이용했다(도 1).
(2) 외생균근균
외생균근균은 수원에 소재한 경희 대학교 캠퍼스에서 채집된 모래밭버섯균 (Pisolithus tinctorius)을 순수 분리 하고 동정 한 후 사용하였다.
(3) 대상수종 : 2년생 소나무 묘목
(4) 실험시간 : 2006년 4월 - 2006년 10월 (7개월)
(5) 처리구별 반복 : 8회
(6) 화분 용량 : 6400 ml/개
(7) 관수 : 일주일 2회(매 화요일과 금요일)
생장량 측정을 위해 한 달에 한번 근원경과 묘고를 측정하였고, 처리구 별 식물 성분 비교를 위해 생장이 멈추고 낙엽이 발생하는 10월 말경에 균근균(Mycorrhiza)의 영향을 대표적으로 알 수 있는 인(P)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표 1> 건설 폐기물 토양성분 완화 처리구
대조구 및 처리구 토양 혼합 비율
대 조 구 1 밭 흙
대 조 구 2 마사토
대 조 구 3 건설 폐기물 토양
대 조 구 4 2mm 체로 처리된 건설 폐기물 토양
처 리 구 1 건설 폐기물 토양 + 외생균근균
처 리 구 2 2mm 체로 처리된 건설 폐기물 토양 + 외생균근균
<표 2> 건설 폐기물 토양 처리구의 물리성 비교
대조구 및 처리구 T-N(%) 모래(%) 실트(%) 점토(%) 토성(Soil texture)
밭 흙 0.0708 53.880 34.680 11.440 사양토(sandy loam)
마사토 0.0049 82.080 10.720 7.200 양질사토(loamy sand)
2mm 체로 처리된 건설 폐기물 토양 0.0538 78.000 16.480 5.520 양질사토(loamy sand)
건설 폐기물 토양 0.0527 80.320 14.640 5.040 양질사토(loamy sand)
외생균근균에 감염된 건설 폐기물 토양 0.0544 84.360 13.440 2.200 양질사토(loamy sand)
2mm 체로 처리한 후 외생균근균에 감염시킨 건설 폐기물 토양 0.0552 85.440 11.880 2.680 양질사토(loamy sand)
토양 물리성은 대부분이 밭흙과 유사한 양질사토(loamy sand) 또는 사양토(sandy loam)로 식물이 생장하는데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총 질소는 건설폐기물이 포함된 모든 처리구에서 식물이 생장하는데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 3> 건설 폐기물 토양 처리구의 산성도와 오염도
대조구 및 처리구 Na (mg/kg) Mg (mg/kg) Ca (mg/kg) K (mg/kg) pH
밭 흙 24.79 161.00 934.67 92.27 5.95
마사토 49.73 111.90 1498.35 28.01 7.12
2mm 체로 처리된 건설 폐기물 토양 104.94 52.31 6384.51 567.27 8.90
건설 폐기물 토양 96.43 53.62 7474.65 562.48 9.68
외생균근균에 감염된 2mm 체로 처리한 건설 폐기물 토양 90.39 31.94 6532.45 436.72 8.86
외생균근균에 감염된 건설 폐기물 토양 4.04 5.45 115.34 55.53 3.44
양이온 중 Na, K와 Ca는 밭 흙에 비해 충분한 양을 내포하고 있었으나, Mg는 모든 처리구에서 밭 흙에 비해 낮은 함유량을 보였다. 건설폐기물 토양이 포함되는 처리구에서 식물이 생장하는데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폐기물 토양의 pH는 8이상으로 염기성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평균 pH가 5.5인 것과, 적정 밭토양의 pH가 6.0 ~ 6.5인 것을 감안한다면 대단히 높은 수치이다. 따라서, HCl이나 H2SO4 2-를 이용하여 pH를 적정수준으로 낮추는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2> 건설 폐기물 토양 처리구에 식재된 소나무의 생장촉진효과 분석
표 4에 의하면 외생균근의 처리구에 식재된 소나무의 총 인산 농도는 무 처리구에 비해 크게 증가했으며 2mm 체로 처리된 건설 폐기물 토양이 무처리구 보다 체내 인산의 낮은 함량을 확인 할 수 있었다. Habte(1992)에 의하면 균근균 감염에 대한 기주의 생장 반응은 인산 흡수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졌다. 따라서 모래밭버섯균 (Pisolithus tinctorius)은 건설 폐기물 토양에서 내생균근이 인산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하며 기주의 생장과 대사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표 4> 건설 폐기물 토양 대조구와 각 처리구에 식재된 소나무의 총 인산(P) 함량
대조구 및 처리구 P(mg/kg)
밭 흙 1805.90
건설 폐기물 토양 805.65
2mm 체로 처리된 건설 폐기물 토양 377.72
외생균근균에 감염된 건설 폐기물 토양 1109.45
2mm 체로 처리하고 외생균근균에 감염시킨 건설 폐기물 토양 1040.93
소나무 근원경 생장 측정 결과에서 '2mm 체로 처리하고 외생균근균에 감염시킨 건설 폐기물 토양'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한 생장을 보였으며 외생균근균 처리구가 무 처리구 보다 빠른 뿌리 활착을 통해 초기 생장 속도를 증가시켜 꾸준한 근원경 생장을 보이고 있다. 건설폐기물의 토양입자의 차이에 따른 실험구에서는 '2mm 체로 처리된 건설 폐기물 토양'이 무처리구 보다 빠른 생장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도 5).
소나무 묘고의 생장에서 '외생균근균에 감염된 건설 폐기물 토양'이 가장 활발한 생장을 보였으며 건설폐기물의 토양입자의 차이에 따른 실험구에서는 무처리구(건설 폐기물 토양)가 처리구(2mm 체로 처리된 토양) 보다 빨리 생장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도 6).
식재한 후 6개월이 지난 소나무를 살펴봤을 때 도 7A의 경우 묘고와 근원경이 생장했지만 소나무의 잎의 생장이 저해되어 잎이 웃자라고 고사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7B의 경우 잎에 갈색 반점이 생긴 것을 볼 수 있다. 두 처리구에서 소나무의 잎의 건강 상태를 살펴봤을 때 2mm 체로 걸러낸 건설 폐기물 토양에 식재된 소나무가 무 처리구 보다 비교될 만큼 건강하며 나무의 생장에는 큰 지장이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도 7).
도 8에서 도 8A는 건축폐기물에 외생균근균을 접종한 처리구이며 도 8B는 2mm 체로 걸러낸 건설 폐기물 토양에 외생균근균을 접종한 처리구이다. 두 처리구 모두 외생균근 무처리구인 도 7의 A,B 사진과 비교했을 때 확연하게 소나무가 건강하게 생장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8의 두 처리구 A, B에서 소나무의 건강상태를 비교했을 때, 도 8A에서는 소나무 잎의 끝부분이 노란색으로 변한 것을 볼 수 있다. 도 8에서는 2mm 체로 처리한 후 외생균근균을 접종한 건축폐기물 처리구의 소나무가 2mm 체 무처리구보다 건강하다는 것을 그림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래밭버섯균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여 식재된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어진 원예토양은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첫째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둘째로 건설폐기물의 처리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로 건설현장에서 조경식물의 식재를 위한 원예토양을 생산하여 조경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효과 뿐만 아니라, 조경식재를 위한 원예토양의 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Formoso A., F. A. Lopez, F. Medina and C. Trueba. 1991. Agronomic use of LD slag. ECSC Tech. Rep.4 Convention 7210-XA/931. CENIM , Madrid, Spain.
2. Munoz-Montano J. Project Reference BRST985531. Recycling of waste originated in the process of cutting natural stone. In: BRITE/EURAM3; 2003.
3. Nuno Almeida, Fernando Branco, Jose Roberto Santos. Recycling of stone slurry in industrial activities:Application to concrete mistures. Building and Environment.
4. Pinto, M., M. Rodriguez, C. Trueba I, Larbru, R. Aldecoa and F.A. Lopez Gomez. 1992. LD slag as material, Effects on pasture yield and soil parameters.Proceeding second congress of the European Society for agronomy, Warwick University 23-28 Aug. 1992. pp. 290-201.
5. Slankis, V. 1974. Soil factors influencing formation of mycorrhizae. Ann. Rev. Phytopathol. 12: 437-457.
6. Worley, J. E. and E. Hacskaylo. 1959. The effect of available soil moisture on the mycorrhizal association of Virginia pine. Forest Sci. 5:267-268.
7. 김명희, 이수욱. 외생균근 및 토양조건이 리기다 균목생장에 미치는 영향. 1985. 한국임학회지 70: 45-54.
8. 박찬혁, 정재춘. 지속가능한 건설폐기물 재활용 활성화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유기물자원화 12(1): 94-103 (2004).
9. 이경준. 묘포장에서 균근균으로 인공접종한 5개 소나무류의 접종 10년후 조림지에서의 생장효과. 한국임학회지 81(2): 156-163(1992).
10. 이문원, 김영권. 토양 개량법을 이용한 제철산업슬러지의 재이용 방안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15(1): 9-15 (1998).
11. 장재명, 최희복, 강경인. 국내 건설 폐기물 활용 현황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시공학회 논문집 3(1): 147-154 (2003).
12. 장철현, 박상우, 김수생. 탄화오니의 국화 삽목용토로서의 이용 가능성 검토 한국폐기물학회지 19(4): 395-400).
13. 정진현, 구교상, 이충현, 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94-700.
14. 하호성, 이한생, 김영권, 박상률, 박정식, 김영권. 산업폐기물(석탄회, 석고, 패각)이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38pp (1995).
15. 환경부. 건설폐기물 재생골재로 거듭나다. http://www.me.go.kr/ (2002).

Claims (4)

  1. 모래밭버섯균(Pisolithus tinctorius PT1)[KCTC 11024BP].
  2. 제 1 항에 있어서, 건설폐기물을 원예토양으로 제조하기 위한 모래밭버섯균(Pisolithus tinctorius PT1)[KCTC 11024BP].
  3. 건설폐기물을 0.5mm 내지 5mm의 체로 걸러 제조된 토양성분 및 모래밭버섯균(Pisolithus tinctorius PT1)[KCTC 11024BP] 고체배양물이 혼합된 건설폐기물 재활용 원예토양.
  4. a) 건설폐기물을 0.5mm 내지 5mm의 체로 걸러 제조된 토양성분을 준비하는 단계;
    b) 모래밭버섯균을 고체배양하는 단계; 및
    c) 상기 a)단계의 토양성분과 b)단계의 모래밭버섯균 배양물을 혼합하여 원예상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재활용 방법.
KR1020070030534A 2007-03-28 2007-03-28 모래밭버섯균(kctc11024bp)을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재활용 원예토양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방법 KR10083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534A KR100839107B1 (ko) 2007-03-28 2007-03-28 모래밭버섯균(kctc11024bp)을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재활용 원예토양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534A KR100839107B1 (ko) 2007-03-28 2007-03-28 모래밭버섯균(kctc11024bp)을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재활용 원예토양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107B1 true KR100839107B1 (ko) 2008-06-19

Family

ID=3977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534A KR100839107B1 (ko) 2007-03-28 2007-03-28 모래밭버섯균(kctc11024bp)을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재활용 원예토양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579B1 (ko) * 2015-12-11 2018-12-24 (주)브레인트리생명공학연구소 모래밭버섯균근균을 이용한 광산토 혼합 건축 폐토사의 토양개량 방법
CN111418475A (zh) * 2019-01-09 2020-07-17 湖北文理学院 一种用建筑垃圾配制的园艺栽培基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153A (ko) * 1995-10-31 1997-05-28 이내혼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공기정화방법 및 장치
KR19980085224A (ko) * 1997-05-28 1998-12-05 구형우 공생균을 함유한 녹화용 식생조성물
KR20010078405A (ko) * 2001-06-29 2001-08-20 복성해 혈전용해능을 갖는 버섯 추출물
US20020106784A1 (en) 1998-02-26 2002-08-08 Riccardo Reverso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biological conversion of organic waste into humic produc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153A (ko) * 1995-10-31 1997-05-28 이내혼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공기정화방법 및 장치
KR19980085224A (ko) * 1997-05-28 1998-12-05 구형우 공생균을 함유한 녹화용 식생조성물
US20020106784A1 (en) 1998-02-26 2002-08-08 Riccardo Reverso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biological conversion of organic waste into humic products
KR20010078405A (ko) * 2001-06-29 2001-08-20 복성해 혈전용해능을 갖는 버섯 추출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579B1 (ko) * 2015-12-11 2018-12-24 (주)브레인트리생명공학연구소 모래밭버섯균근균을 이용한 광산토 혼합 건축 폐토사의 토양개량 방법
CN111418475A (zh) * 2019-01-09 2020-07-17 湖北文理学院 一种用建筑垃圾配制的园艺栽培基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591B1 (ko) 모래밭버섯균을 이용한 척박지의 녹화공법
CN106699341A (zh) 一种花卉栽培营养基质及其制备方法
Duponnois et al. Growth stimulation of Acacia mangium Willd by Pisolithus sp. in some Senegalese soils
KR102195026B1 (ko)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Ishaq et al. Effect of single and mixed inocul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nd phosphorus fertilizer application on corn growth in calcareous soil
CN112705567A (zh) 一种离子型稀土尾矿区的修复材料、修复方法和应用
JP2007045757A (ja) 植栽資材
CN111066545B (zh) 一种预防杜英移植溃疡病的方法
KR100839107B1 (ko) 모래밭버섯균(kctc11024bp)을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재활용 원예토양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방법
EP0163840B1 (de) Herstellung und Verwendung von Adsorbentien zur Inokulation von Pflanzen mit vesikulär-arbuskulären Mykorrhizapilzen
CN112262698A (zh) 一种绿化植物废弃物构建的树木根系健康生长的全覆盖土层结构
Peña-Becerril et al. Establishment of Mimosa biuncifera (Fabaceae) inoculated with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greenhouse and field drought conditions
Ford et al. Comparative effects of four mycorrhizal fungi on loblolly pine seedlings growing in a greenhouse in a Piedmont soil
KR101931579B1 (ko) 모래밭버섯균근균을 이용한 광산토 혼합 건축 폐토사의 토양개량 방법
KR100402827B1 (ko) 식생매트의 배합토 조성방법과 식생매트 제조방법
KR101735258B1 (ko)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옥상녹화용 인공토양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생육 촉진방법
Weissenhorn Mycorrhiza and salt tolerance of trees
KR101288912B1 (ko) 상토 조성물
KR100773298B1 (ko) 인삼의 생산성향상을 위한 아버스큘라 균근균(amf)접종원의 효과적 접종방법
JP2007043971A (ja) 土着種子および土着微生物を利用した植生復元工法
KR101186546B1 (ko) 수도용 상토
JPH05137460A (ja) 移植用樹木の製造方法
KR102195022B1 (ko)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Rao et al. Ectomycorrhizal efficiency of various mycobionts with Pinus kesiya seedlings in forest and degraded soils
JP3026067B2 (ja) 植物成長促進菌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