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097B1 - 유기질폐기물의 전자(電子)열분해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질폐기물의 전자(電子)열분해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097B1
KR100839097B1 KR20060104418A KR20060104418A KR100839097B1 KR 100839097 B1 KR100839097 B1 KR 100839097B1 KR 20060104418 A KR20060104418 A KR 20060104418A KR 20060104418 A KR20060104418 A KR 20060104418A KR 100839097 B1 KR100839097 B1 KR 100839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chamber
pyrolysis
ceramic
elec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04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7379A (ko
Inventor
정해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하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하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하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060104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097B1/ko
Publication of KR20080037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30Landfill technologies aiming to mitigate methane emis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질 폐기물의 전자 열분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량으로 배출되는 유기질 폐기물을 연료와 전기등의 열원을 사용하지 않고 양극성 반도체(兩極性 半導體)인 이·마이너스 스톤("E-" Stone)에서 발진(發振)된 전자(電子)가 처리물에 조사(照射)되면 처리물에 함유된 물(水)의 분자(分子)가 격렬(激烈)한 진동(振動)과 마찰ㆍ충돌에 의해 발생한 열원으로 열분해 되고 분해물의 잔사(殘渣)는 투입량의 1/200(0.5%)정도까지 소멸감량(消滅減量)되는 친환경적 경제성이 높은 혁신적인 처리장치를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로스톨, 이·마이너스 스톤ㆍ세라믹, 워터 스크러버, 잔사취출구

Description

유기질폐기물의 전자(電子)열분해 처리장치{An electron pyrolysis disposal plant of organic matter scrapped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우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사각형본체 (2) 호퍼 (3) 처리물 개폐구 (4)(5) 망체
(6) 로스톨 (7) 하부실 (8) 중부실 (9) 상부실 (10) 열분해실
(11) 온도센서 (12) 공기조절댐퍼
(13)(14)(15) 이·마이너스 스톤("E-" Stone) 내입부
(16) 이·마이너스 스톤("E-" Stone)
(17) 이·마이너스 세라믹("E-" Ceramic) (18)(18') 코일히타(Coil Heater)
(19) 잔사취출구 (20) 워터 스크러버(Water Scrubber) (21) 스팀배출관
(22) 송풍기 (23) 세정 재사용 투입관
본 발명은 유기질 폐기물의 전자 열분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극성 반도체(兩極性 半導體)인 이·마이너스 스톤("E-" Stone)에서 발진(發振)된 전자(電子)가 처리물에 조사(照射)되면 처리물에 함유된 물(水)의 분자(分子)가 격렬(激烈)한 진동(振動)과 마찰, 충돌에 의해 발생한 열원으로 열분해되고 분해물의 잔사(殘渣)는 투입량의 1/200(0.5%)정도까지 소멸감량(消滅減量)되는 친환경적, 경제성이 높은 혁신적인 처리장치를 공급하는 데 있다.
종래에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때는 매립을 하거나 소각처리 및 해양에 투기 자원 재생화등이 있으나 매립을 할 때는 침출수에 의해 지하수나 토양을 오염시키는 공해 요인이 되었고 소각 처리시에는 연료의 소모가 많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배출되어 대기를 오염시켰으며 처리시에 취기 및 처리비용의 과다 등의 많은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의 물리학 전공의 저명한 공학박사로 양자역학(量子力學)을 다년간 연구한 "사사기 다개시"가 오랜 연구 끝에 자연의 광물질인 무기질 8 종류와 유기질 5 종류를 특수가공 처리하여 분말화 시켜 일정 배합비로 혼합, 성형, 소성, 후처리 등의 공정을 통하여 생성된 일정한 형상의 석상(石狀)은 이·마이너스 스톤("E-"stone)이라 하고 판상(板狀)은 이·마이너스 세라믹("E-"ceramic)이라 하며 분상(粉狀)은 이·마이너스 파우더 ("E-"powder)라는 형상별 명칭(形狀別 名稱)으로 상품화 하여 일본의 해외수출원(海外輸出元)인 (유)"마루인 목공소"에서 직수입하여 사용하며 구성 성분은 하기 "표"와 같습니다.
Figure 112008019523136-pat00005

위와 같은 성분이 함유된 이·마이너스 스톤("E-"stone)과 이·마이너스 세라믹("E-"ceramic)중에서 사각형 본체 내 하부실에 이·마이너스 세라믹("E-" Ceramic)을 내입하고 하부전자발진부(下部電子發振部)와 중부실의 축열이동부(蓄熱移動部) 및 상부실의 외부양측과 후측은 양극성 반도체(兩極性 半導體)인 이·마이너스 스톤("E-" Stone)이 각각 내입된 이·마이너스 스톤("E-" Stone) 내입부를 다수개 장착한 발열부를 형성하여 호퍼를 통해 로스톨 위 열분해실에 투입된 처리물을 하부실에 설치된 코일히타(Coil Heater)를 발진발착시(發振發着時)까지 수분간 가열하여 전자발전이 발생하면서 양극성 반도체에서 발진되는 전자의 조사(照射)로 처리물의 수분분자(分子)가 격렬(激烈)한 운동을 하면서 동분자(同分子)가 충돌ㆍ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원(熱源)으로 열분해시키고 이 때에 발생되는 수증기 및 가스(Gas)는 워터 스크러버(Water Scrubber)에서 세정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각형 본체(1) 상측 호퍼(2) 내저면에 처리물 개폐구(3)를 설치하고 내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망체(4)(5)와 로스톨(6)을 설치하여 하부실(7)과 중부실(8)및 상부실(9)을 각각 구획하고 로스톨(6) 상측의 열분해실(10)에는 온도센서(11)를 설치하며 상부실(9)의 외부 양측면과 후면은 공기조절댐퍼(12)가 부착된 이·마이너스 스톤("E-" Stone) 내입부(13)(14)(15)룰 장착하여 이·마이너스 스톤("E-" Stone) (16)을 각각 내입하고 이·마이너스 세라믹("E-" Ceramic)(17)이 내입된 하부실(7)은 코일히타(Coil Heater)(18)(18')를 설치하며 중부실(8) 외측은 잔사취출구(19)를 설치하되 사각형 본체(1) 상측의 호퍼(2) 측면에는 워터 스크러버(Water Scrubber)(20)를 설치하고 열분해실(10) 상부로 스팀배출관(21)과 송풍기(22)가 장착된 세정 재사용 투입관(23)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24)는 드레인밸브
(25)는 덮개
(26)은 투시창
(27)은 손잡이
(28)은 물 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사각형 본체(1) 상부에 호퍼(2) 내저면의 처리물 개폐구(3)를 열고 처리물(도시하지 않았음)을 로스톨(6) 위 열분해실(10)에 내입하고 처리물 개폐구(3)를 밀봉한 후 사각형 본체(1)내에 이·마이너스 세라믹("E-" Cera mic)(17)이 내장된 하부실(7)에 설치한 코일히타(Coil Heater)(18)(18')를 수분간 (數分間) 가열하여 상부실(9)의 양면과 후면에 다수개 장착된 공기조절댐퍼(12)가 부착된 이·마이너스 스톤("E-" Stone) 내입부(13)(14)(15)에 내입되어 있는 양극성 반도체인 이·마이너스 스톤("E-" Stone)(16)에 각각 발진발착(發振發着) 되면 코일히타(Coil Heater)(18)(18') 스위치를 끄고 사각형 본체(1) 저부의 하부실(7)에 내입된 이·마이너스 세라믹("E-" Ceramic)(17)의 축열이 연속적으로 망체(4)를 통과해 중부실(8)과 망체(5)를 경유해 상부실(9) 및 로스톨(6)을 통과하여 처리물이 있는 열분해실(10)로 상승함과 동시에 상부실(9) 외측에 다수개 장착된 이·마이너스 스톤("E-" Stone) 내입부(13)(14)(15)내의 이·마이너스 스톤("E-" Stone)(16)이 각각 전자(電子)가 발진하여 상부실(9)을 경유해 열분해실(10)로 연속적으로 조사(照射)해 주므로써 처리물에 함유된 수분(水分)분자가 격렬(激烈)한 운동을 함과 동시에 동분자(同分子)가 충돌ㆍ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원(熱源)으로 2~3시간 정도 지나면 열분해가 되고 처리비용은 종래의 방법에 비해 1/2 ~ 1/3 정도이며 처리물은 투입량에 비해 1/200(0.5%)정도로 잔류(殘留)되어 중부실(8)에 낙하 축적(蓄積)이 된다.
이렇게 처리물이 분해되는 과정에 열분해실(10)의 온도조절은 공기조절댐퍼(12)와 온도센서(11)를 조절하여 최적한 조건으로 분해를 할 수 있으며 이 때에 발생되는 수증기와 가스(Gas)는 사각형 본체(1) 상측에 설치된 스팀배출관(21)을 통해 워터 스크러버(Water Scrubber)(20)로 이송되어 냉각, 세정(洗淨)된 후 송풍기(22)에 의해 세정 재사용 투입관(23)을 경유해 열분해실(10)로 이송되어 재사용할 수 있으며 분해처리된 잔사(殘渣)는 중부실(8)에서 200일 정도 축적시킨 후 잔사취출구(19)를 통해 취출하여 퇴비(堆肥)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양극성 반도체인 이·마이너스 스톤("E-" Stone)(16)과 이·마이너스 세라믹("E-" Ceramic)(17)을 열원으로 사용하므로 처리비용이 종래의 방법에 비해 1/2 ~ 1/3 정도 절감되는 이점이 있고 처리물은 밀폐된 공간에서 열분해 처리되므로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투입량의 95.5%정도 소멸시킴으로써 감량 극대화의 혁신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각형 본체(1) 상측 호퍼(2) 내저면에 처리물 개폐구(3)를 설치하고 내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망체(4)(5)와 로스톨(6)을 설치하여 하부실(7)과 중부실(8)및 상부실(9)을 각각 구획하고 로스톨(6) 상측의 열분해실(10)에는 온도센서(11)를 설치하며 상부실(9)의 외부 양측면과 후면은 공기조절댐퍼(12)가 부착된 이·마이너스 스톤("E-" Stone) 내입부(13)(14)(15)룰 장착하여 이·마이너스 스톤("E-" Stone) (16)을 각각 내입하고 이·마이너스 세라믹("E-" Ceramic)(17)이 내입된 하부실(7)은 코일히타(Coil Heater)(18)(18')를 설치하며 중부실(8) 외측은 잔사취출구(19)를 설치하되 사각형 본체(1) 상측의 호퍼(2) 측면에는 워터 스크러버(Water Scrubber)(20)를 설치하고 열분해실(10) 상부로 스팀배출관(21)과 송풍기(22)가 장착된 세정 재사용 투입관(23)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질 폐기물의 전자 열분해 처리장치
KR20060104418A 2006-10-26 2006-10-26 유기질폐기물의 전자(電子)열분해 처리장치 KR100839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04418A KR100839097B1 (ko) 2006-10-26 2006-10-26 유기질폐기물의 전자(電子)열분해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04418A KR100839097B1 (ko) 2006-10-26 2006-10-26 유기질폐기물의 전자(電子)열분해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379A KR20080037379A (ko) 2008-04-30
KR100839097B1 true KR100839097B1 (ko) 2008-06-19

Family

ID=3957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04418A KR100839097B1 (ko) 2006-10-26 2006-10-26 유기질폐기물의 전자(電子)열분해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0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346A (ja) * 1994-03-30 1995-10-17 Mic:Kk 廃棄物処理方法
KR20030085633A (ko) * 2002-04-29 200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함불소 화합물 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함불소 화합물처리 시스템
JP2006169309A (ja) * 2004-12-14 2006-06-29 Hatta Kankyo Gijutsu Jimusho:Kk 有機物のガス化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346A (ja) * 1994-03-30 1995-10-17 Mic:Kk 廃棄物処理方法
KR20030085633A (ko) * 2002-04-29 200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함불소 화합물 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함불소 화합물처리 시스템
JP2006169309A (ja) * 2004-12-14 2006-06-29 Hatta Kankyo Gijutsu Jimusho:Kk 有機物のガス化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379A (ko)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1704A (ko) 처리물의 저온 분해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00160709A1 (en) Process and appratus for waste treatment
CN106545861A (zh) 医疗废弃物无害化处理设备及方法
JP2010155231A6 (ja) 処理物の低温分解処理方法及び装置
JP2010155231A (ja) 処理物の低温分解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90008960U (ko) 마이크로웨이브와 고온발열체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의복원 및 중금속 제거 장치
KR100839097B1 (ko) 유기질폐기물의 전자(電子)열분해 처리장치
KR101532945B1 (ko) 악취 및 먼지와 유해가스 제거기능을 갖춘 마이크로파 방식의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2123818B1 (ko) 열수탄화를 이용한 고형 폐기물 처리방법
US6926863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contaminated materials
KR101179523B1 (ko)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활성화 물질의 제조장치
KR101427337B1 (ko) 음이온 산소를 이용한 용융로
KR101176369B1 (ko) 슬러지 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20180130833A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JP2014094326A (ja) 低温熱分解処理炉
KR101924420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416679B1 (ko) 음식물 쓰레기 및 폐기물 고주파 탄화처리장치
JP2012149847A (ja) オートクレーブ機能付き遠赤外線加熱乾燥機
KR101218127B1 (ko)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활성화 물질의 제조방법
KR100903573B1 (ko) 저장탱크 내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혼합분쇄장치를 갖는유기성 폐기물 탄화설비
KR100684585B1 (ko) 일체형 폐기물 열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처리방법
JP2016519276A (ja) 熱分解の機能を有する乾燥装置
KR102362214B1 (ko) 악취 제거용 소각기
JP2004202469A (ja) ゴミの熱処理装置
KR101371051B1 (ko) 폐기물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