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303B1 - 파종기 - Google Patents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303B1
KR100838303B1 KR1020060084161A KR20060084161A KR100838303B1 KR 100838303 B1 KR100838303 B1 KR 100838303B1 KR 1020060084161 A KR1020060084161 A KR 1020060084161A KR 20060084161 A KR20060084161 A KR 20060084161A KR 100838303 B1 KR100838303 B1 KR 100838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rod
boring
cylinder
auxiliar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3925A (ko
Inventor
장병진
Original Assignee
장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진 filed Critical 장병진
Publication of KR2006013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02Dibble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밭작물 중 두태류를 점 파종하는 수동식 파종기로서, 파종작업 시 종자의 파손이 없고 종자의 배출이 천공 구멍내로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지며 복토도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통상 사용하는 배부형통에 종자를 담아 본 발명의 파종기에 가요성관으로 연결하여 종자를 공급받아 사용하는 것인데, 종자를 공급받는 원통형통 측면에는 작동봉공과 종자유입관, 통 하부에는 실린더, 통 위에는 뚜껑이 있고, 통 내부에는 종자이송피스톤이 축봉의 일측에 착설되며, 축봉 타측은 뚜껑의 중앙 축봉운동공으로 꿰고 나와 보조손잡이를 꿴 후, 축봉 타단에는 손잡이가 착설된다. 통 하부 실린더 외주면에는 연결관이 나사 연결되고, 연결관 끝에는 마주보는 핀볼트공이 2개 있는 연결관발톱이 나사 연결된다. 연결관발톱에는 1쌍으로 이루어진 천공삽이 힌지 결합 되고, 천공삽은 작동봉·체인·고리로 보조손잡이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발명된 파종기는 종자의 발아율을 높이고 신속한 작업으로 생산성을 향상 시키는 효과를 얻고자 함이다.
파종기, 두태류, 점파종, 낙종, 복토

Description

파종기 {a seeder}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작업 전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땅에 찔렀을 때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땅에서 탈삽했을 때 종단면도.
도6a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천공삽.
도6b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천공삽 힌지 결합도.
도7a는 천공깊이 조절용 패드.
도7b는 천공깊이 조절용 패드 부착도.
도8a, 도8b, 도8c는 종자이송피스톤 종류.
삭제
삭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종자릴레이통 10a... 유입구 10b,10c...나사못공
10d...실린더 10e...연결주면 10f...나사못공
10g...작동1봉공 11...종자유입관 11a...나사못공
11b...나사못 12...조절문 12a...나사못공
12b...나사못 13...뚜껑 13a...제1 축봉운동공
13b...투시공 13c...작동1봉공 13d...나사못공
13e...나사못 20...연결관 21...행거
21a...나사못공 21b...작동2봉공 21c...나사못
22...연결관발톱 22a.22b...핀볼트공 30...천공삽
30a...천공삽날개 30b...패드부착공 30c...고리부착공
30d,30e...핀볼트공 30f...턱 31...핀볼트
31a...너트 32...패드 32a...패드부착공
33...볼트 33a...너트 40...축봉
41...종자이송피스톤 41a...종자이송홈 41b...종자제어봉공
41c...종자제어봉 41d...너트 41e...착설공
42...대롱 43...보조손잡이 43a...제2 축봉운동공
43b...작동1봉공 44...손잡이 45a.45d.45e...너트
45b...상승스토퍼너트 45c...하강스토퍼너트 50...체인
50a.50b...쌍고리 51...천공삽작동1봉 51a.51c...너트
51b...고리 52...천공삽작동2봉 52a.52c...고리
52b.52d...너트 52e...쌍고리 53...볼트
53a...너트 53b...고리
삭제
삭제
70...배부형통 80...가요성관 80a...조임밴드
90...종자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밭작물 중 주로 두태류와 같은 점파종 작물의 수동식 파종기로서, 출원인이 출원하였던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 0355790호의 결함을 없애 안출된 것이다. 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55790호 출원에서 출원인은 파종작업을 할 때, 종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자를 탈삽 시 상향으로 떠올렸다가 천공시 종자를 이송하는 수단을 제공하였는데, 여기서 씨앗의 파손은 없었으나 한 동작 작업을 완료하고 다음 동작을 하기 위하여, 탈삽 시 개폐륜이 상단 덮개판에 닿는 순간의 충격으로, 계량륜에 담겨있는 종자가 흔들려 떨어지는 것을 조심하고, 또 종자가 땅속으로 배출 시 종자가 개폐추에 부딪쳐 천공구멍 밖으로 튀어나오게 되는 것을 조심하다보니 작업을 빨리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자의 파손이 없이 종자의 이송과 배출이 신속한 파종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종자이송홈에 종자제어봉을 착설하고, 종자배출 시는 1쌍의 천공삽이 양쪽으로 벌어져 종자가 수직 낙하하여 보다 신속히 배출되도록 구성되게 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배부형통(70)에 종자(90)를 담아 등에 지고 배부형통 하부에 가요성관(80)을 연결하여 종자(90)를 공급받아 사용하는 파종기이다. 배부형통(70)이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낭처럼 작업자의 등에 질 수 있도록 구성된 통이고, 가요성관(80)은 주름진 고무호스 등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연결관을 말한다. 파종기의 구성은 종자를 공급받는 종자릴레이통(10)이 있는데, 종자릴레이통(10)의 상부는 원통형으로서 외부 측면에는 유입구(10a)가 있으며, 내부 측면에는 2개의 원통형 작동1봉공(10g)과 뚜껑을 고정하기 위한 4개의 나사못공(10f)이 있고, 종자릴레이통(10) 하부의 위쪽 부분은 종자가 잘 공급되도록 깔때기 모양이며, 종자릴레이통(10) 하부의 아래쪽 부분은 실린더(10d)로 되어 있고, 실린더 외부에는 연결관(20)과 나사 연결할 수 있도록 나선형의 연결주면(10e)이 형성되어 있다. 종자릴레이통(10)의 유입구(10a)에는 종자유입관(11)이 4개의 나사못(11b)으로 고정 착설되고, 종자릴레이통(10)과 종자유입관(11) 사이에는 종자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문(12)을 끼우며, 종자릴레이통(10) 위에는 중앙에 1개의 제1 축봉운동공(13a)·소정의 위치에 3개의 투시공(13b)·2개의 작동1봉공(13c)·4개의 나사못공(13d)이 있는 뚜껑(13)이 종자릴레이통(10)의 작동1봉공(10g)과 뚜껑(13)의 작동1봉공(13c)을 일치시켜 4개의 나사못(13e)으로 고정 착설된다.
그리고 뚜껑(13)의 아랫부분인 종자릴레이통(10)안에는, 축봉(40)의 일측에 상승스토퍼너트(45b)가 고정 착설되고, 종자이송피스톤(41)의 간격을 맞추기 위한 소정 길이의 대롱(42)과 종자이송피스톤(41)을 관통하는 상태로 꿰여 너트(45a)에 의해 착설되며, 뚜껑(13)의 제1 축봉운동공(13a)을 관통하여 뚜껑(13)의 윗부분에 위치하는 축봉(40)의 타측에는 하강스토퍼너트(45c)가 착설되고, 보조손잡이(43)가 "凸" 형 제2 축봉운동공(43a)으로 꿰어지며, 축봉(40)의 상단에는 보조손잡이(43) 상단부의 꼭지와 간격을 두고 손잡이(44)가 너트(45d)(45e)에 의해 착설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와 일체로 조립된 종자이송피스톤(41)은 종자릴레이통(10)의 내부 실린더(10d)와 종자릴레이통(10) 안에서 손잡이를 누르고 드는 것에 따라 작동하게 되는데, 실린더(10d)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경과 길이는 종자이송피스톤(41)의 직경·길이·작동거리에 따라 정해지고, 도 8a에서와 같이 종자이송피스톤(41)은 원기둥형으로 하단면은 평면이고 상단면은 돔형인데, 상단면 중에서 종자제어봉(41c)이 꿰어질 부분은 평면이며, 가운데 세로로는 착설공(41e)이 뚫려 있고, 종자이송피스톤(41)의 외주면에는 종자이송홈(41a)이 세로로 형성돼 있는데, 종자이송홈(41a) 안의 상면은 평면이고, 종자이송홈(41a) 안의 하면은 종자가 잘 미끄러지도록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종자이송홈(41a)은 수평방향으로 "U" 자형을 이루는 홈이고, 종자이송홈(41a) 안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종자제어봉공(41b)이 뚫려 있어, 이 종자제어봉공(41b)으로는 종자제어봉(41c)이 종자이송홈(41a) 안의 상면과 종자제어봉(41c)의 머리 사이에 유격 폭을 두고 착설되는데, 유격 폭을 두는 것은 종자이송피스톤(41)이 하강 시 종자가 종자이송홈(41a)안에 완전히 들어가 있지 않은 종자는, 종자제어봉(41c) 머리가 밀리어 올라가면서 종자(90)가 종자이송홈(41a) 안으로 들어 갈 수 있게 하여 종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종자제어봉공(41b) 직경이 종자제어봉(41c) 직경보다 커서 종자제어봉(41c)의 작동이 자유로워야 한다.
그리고 보조손잡이(43)는 "오"자 형태로, 윗부분은 인지와 중지 손가락 사이로 쥘 수 있는 동그란 구 형태의 꼭지이고, 아랫부분 양쪽에는 작동1봉공(43b)이 세로로 뚫려 있는데, 양쪽 작동1봉공(43b) 사이의 간격은 종자릴레이통(10)에 형성된 2개의 작동1봉공(10g)들 사이의 간격과 같고, 가운데 세로로는 凸형의 제2 축봉운동공(43a)이 뚫려 있는데, 凸형 제2 축봉운동공(43a)의 직경이 축봉(40)의 직경보다 커서 보조손잡이(43)의 운동이 자유로워야 하나, 하강스토퍼너트(45c)의 대각 외경보다는 작아야 하며, 凸형 제2 축봉운동공(43a)의 하부 직경은 하강스토퍼너트(45c)의 대각 외경보다 커서, 하강스토퍼너트(45c)가 凸형 제2 축봉운동공(43a)의 하부 안으로 들어가, 손잡이를 들면 보조손잡이는 하강스토퍼너트(45c)에 얹혀 들리게 된다.
실린더(10d) 외부 나선형 연결주면(10e)에는 연결관(20)이 연결되는데, 연결관(20)의 윗부분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윗부분 내경은 종자이송피스톤(41)이 하강할 때 종자(90)가 잘 배출될 수 있도록 커야 하나, 그 아랫부분의 내경은 종자만 유도되면 되므로 내경이 윗부분보다 작아도 되어, 연결관은 전체적으로 "Y" 자형 관의 형태이고, 연결관(20)의 중간 아랫부분에는 고리(52a)를 꿴 천공삽작동2봉(52)이 꿰여 얹혀 작동될, 대칭되는 2개의 작동2봉공(21b)이 형성된 원반형 행거(21)를 끼워 나사못(21c)으로 고정착설하고, 연결관(20) 끝에는 대칭하는 2개의 핀볼트공(22a)(22b)이 있는 금속 재질의 연결관발톱(22)을 나사 결합하여 고정착설한다.
그리고 연결관발톱(22) 외부에는 똑같은 모양과 크기의 금속 재질로 된 천공삽(30) 2개를 합치해 원추형을 이루어, 연결관발톱(22)의 핀볼트공(22a)(22b)과 천공삽(30)의 핀볼트공(30d)(30e)을 일직선 상태로 하여 핀볼트(31)로 힌지 결합하고 너트(31a)로 체결한다.
이때 핀볼트(31)로 힌지 결합돼 합치된 한 쌍의 천공삽(30) 윗부분 내경은 연결관발톱(22) 외경보다 커서 천공삽(30)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야 하고, 천공삽(30)은 보조손잡이(43)를 들어올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상 한 쌍이 합치돼 원추형을 이룬 상태로 있게 된다.
천공삽작동1봉(51)은 보조손잡이(43)의 작동1봉공(43b)과 나사못으로 고정착설돼 있는 뚜껑(13) 및 종자릴레이통(10)의 작동1봉공(13c)(10g)을 꿰고 나와, 천공삽작동1봉(51)의 하단에는 고리고정너트(51a)(51c)로 고리(51b)를 고정 착설하여, 쌍고리(50a)로 체인(50)의 일단과 연결하는데, 천공삽작동1봉(51)의 머리는 보조손잡이(43)의 작동1봉공(43b) 직경보다 커서 천공삽작동1봉(51)이 보조손잡이(43)에 얹히게 되고, 천공삽작동1봉(51)의 직경은 작동1봉공(10g)(13c)의 직경보다 작아 천공삽작동1봉(51)의 작동이 자유로워야 한다. 그리고 체인(50)의 타단은 천공삽작동2봉(52)에 꿰여져 행거(21)의 위쪽에 위치하는 고리(52a)와 쌍고리(50b)로 연결된다.
고리(52a)를 꿰여 행거(21)의 작동2봉공(21b)으로 관통해 나오는 천공삽작동2봉(52)의 머리는 고리(52a)의 구멍보다 커야 하고, 천공삽작동2봉(52)의 직경은 고리(52a) 구멍과 행거의 작동2봉공(21b) 직경보다 작아야 작동이 자유로우며, 천공삽작동2봉(52)의 하단에는 고리고정 너트(52b)(52d)로 고리(52c)가 고정 착설되며, 이 고리(52c)는 천공삽날개(30a)의 고리부착공(30c)에 볼트(53)와 너트(53a)에 의해 고정 착설된 고리(53b)와 쌍고리(52e)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천공삽작동1봉(51)·체인(50)·천공삽작동2봉(52)·고리·쌍고리·너트(53a)·볼트(53)로 보조손잡이(43)와 연결된 한 쌍의 천공삽날개(30a)는, 도 5에서 처럼 보조손잡이(43)의 구 형태 꼭지를 인지와 중지 손가락 사이로 쥐고 손잡이(44)와 밀착해 함께 잡고 들면, 보조손잡이(43)가 하강스토퍼너트(45c)에 얹혀있을 때보다 손잡이(44)와의 간격이 줄어든 만큼, 보조손잡이와 연결된 천공삽날개(30a)는 핀볼트(31)를 축으로 회동해 올라가 한 쌍의 천공삽(30)은 서로에 대해 벌어지게 되고, 손잡이(44)만 들 때에는 보조손잡이(43)가 하강스토퍼(45c)에 얹혀 들리나 한 쌍의 천공삽(30)은 무게중심에 의해 합치돼 수직으로 원추형을 이루고 있게 된다. 이때 천공삽작동1봉(51)에서 천공삽작동2봉(52)까지의 체인(50)의 길이가 짧으면 천공삽(30) 끝이 벌어져 있게 되며, 체인(50)이 너무 길어 늘여져 있으면 보조손잡이(43)와 손잡이(44)를 밀착해 잡고 들어도 천공삽(30)은 벌어지지 않으므로, 천공삽작동1봉(51)에서 천공삽작동2봉(52)까지 체인(50)의 길이는 너무 팽팽하거나 너무 늘어지면 안 된다.
천공삽(30)은 도 6a에서처럼 좌·우 천공삽 하나하나를 핀볼트(31)로 꿰어 들면 무게중심에 의해 각각 우·좌로 기울어지나, 도 6b처럼 2개를 합치하여 1개의 핀볼트로 꿰어 들면 각각 우·좌로 밀려는 힘에 의해 천공삽은 항상 합치되어 원추형을 이루어 수직을 이루는데, 모양과 크기가 똑같은 2개가 합치돼 한 쌍으로 이루어진 천공삽은 위쪽이 개구된 원추형 모양으로 내부가 비어있고, 윗부분에는 밀짚모자의 테 모양과 같은 천공삽날개(30a)가 있는데, 1개의 천공삽날개(30a)에는 중앙에 1개의 고리부착공(30c)과 중앙 양쪽으로는 1개씩 패드부착공(30b)이 있으며, 천공삽날개(30a) 위쪽에는 날개와 직각을 이루는 턱(30f)이 있는데, 턱(30f) 양쪽으로는 핀볼트공(30d)(30e)이 있고, 핀볼트공(30d)(30e) 사이의 가운데 부분은 반원형을 이루도록 파여 핀볼트공(30d)(30e) 높이 보다 낮으며, 천공삽날개(30a) 아래 부분은 점점 폭이 좁아져 끝이 뾰족하다.
천공삽은 천공·종자배출·복토를 하는데, 합치된 한 쌍의 천공삽핀볼트공(30d)(30e) 간 내경은 연결관발톱(22) 외경보다 커서 천공삽 작동이 자유로워야 하고, 천공삽 턱(30f)의 핀볼트공(30d)(30e) 사이의 가운데 부분이 반원형을 이루며 낮아야 하는 것은, 보조손잡이(43)를 들어 천공삽날개(30a)가 회동해 올라갈 때, 천공삽 턱(30f)이 연결관발톱(22)에 닿지 않아야 천공삽날개(30a)가 핀볼트(31)를 축으로 회동해 올라가 양쪽 천공삽(30)들이 서로에 대해 벌어지게 되며, 이 때 각각의 천공삽(30) 끝이 천공구멍보다 넓게 벌어져 나오게 되므로, 천공삽(30) 옆면의 흙을 스쳐 긁어 헐어트림으로써 종자가 헐어트린 흙으로 덮이게 된다. 천공삽날개(30a) 가운데의 고리부착공(30c) 위치는 보조손잡이(43)를 들었을 때 용이하게 천공삽날개(30a)가 회동해 올라갈 수 있도록 지렛대 원리상 가장자리로 치우치게 하고, 천공삽날개(30a)는 파종기를 땅에 찌를 때 스토퍼 역할을 하여 천공 깊이를 정하는 바, 필요에 따라서는 도 7a와 같은 패드를 1∼2쌍 제공하여, 도7b처럼 패드를 천공삽날개(30)의 패드부착공(30b)과 패드(32)의 패드부착공(32a)을 일치시켜 볼트(33)·너트(33a)를 이용해 부착하여 사용하면 천공 깊이를 줄일 수 있다.
종자이송피스톤(41)은 도 8a·도 8b·도 8c처럼 종자이송홈(41a)의 폭과 길이를 달리하여 여러 개 제공해, 작물의 종류와 종자의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갈아 끼워 이용할 수 있게 하는데, 갈아 끼울 때는 양쪽의 쌍고리(50a)를 풀고 나사 연결된 종자 종자릴레이통(10)과 연결관(20)을 푼 다음, 너트(45a)를 풀고 종자이송피스톤(41)을 교체하여 갈아 낀 후, 다시 너트(45a)로 조이고 종자릴레이통(10)과 연결관(20)을 연결하여, 양쪽 쌍고리(50a)를 끼운 후 사용한다.
연결관(20)에 행거(21)를 고정 부착하여 천공삽작동2봉(52)의 머리가 행거(21)에 얹히게 하는 것은, 행거(21)와 천공삽작동2봉(52) 없이 길게 체인(50)으로만 천공삽작동1봉(51)과 천공삽(30)을 연결하면, 파종기를 땅에 찔렀을 때 체인이 땅에까지 늘어져 작업이 신속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명은 손잡이(44)와 보조손잡이(43)를 누르고 들며 사용하는데, 손잡이(44)를 잡고 파종할 지점에 누를 때 종자가 이송되고 땅이 천공되며, 보조손잡이(43)와 손잡이(44)를 밀착해 쥐고 들 때 종자가 천공구멍으로 배출되고 흙이 복토되는 바,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요성관(80)의 일단은 배부형통(70)에, 가요성관(80)의 타단은 종자유입관(11)에 연결하고 밴드(80a)로 고정한 다음, 종자(90)를 배부형통(70)에 담고 등에 진다. 일정량의 종자가 공급되도록 조절문(12)을 끼우고, 두 손으로 손잡이(44)를 잡은 후 좌우로 살살 흔들면, 종자(90)는 가요성관(80)을 통하여 종자릴레이통(10)까지 흘러내리고, 작업을 계속함에 따라 배부형통(70)과 종자릴레이통(10)의 높이 차이와 작업으로 인한 종자릴레이통(10)의 흔들림에 의해서 종자는 조절문(12) 하단 높이를 유지하며 소요량만큼 배부형통(70)에서 종자릴레이통(10)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것이 도 3인데, 손잡이(44)를 잡고 들면 축봉(40)과 일체로 된 종자이송피스톤(41)도 상승하게 되어, 종자(90)는 종자이송홈(41a)에 들어가 장전되고, 상승스토퍼너트(45b)에 뚜껑(13)이 얹혀 파종기가 들리게 되며, 보조손잡이(43)는 하강스토퍼너트(45c)에 얹혀 들리고, 천공삽작동1봉(51)은 보조손잡이(44)에 얹혀 들리며, 체인(50)은 천공삽작동1봉(51)에 연결돼 매달려 들리나, 천공삽작동2봉(52)은 행거(21)에 스스로 얹혀 있게 된다. 이때 체인(50)은 너무 팽팽하거나 늘어지면 안 된다.
이러한 상태로 도 4와 같이 손잡이(44)를 잡고 파종할 지점에 대고 누르면, 손잡이(44)에 가해진 힘은 축봉(40)에 착설된 하강스토퍼너트(45c)가 뚜껑(13)에 닿아 파종기를 누르게 되고, 이때 핀볼트(31)로 힌지 결합된 천공삽(30)은 힘을 받아 땅을 찔러 천공을 하게 되며, 보조손잡이(43)에 꿰여 얹혀 있는 천공삽작동1봉(51)과 연결된 체인(50)은 자중에 의해 내려앉으며 거리가 줄어 늘어지게 되고, 종 자릴레이통(10) 안의 종자이송피스톤(41)은 하강하여 종자이송홈(41a) 일부분이 실린더(10d)를 벗어나면서 일부 개방되어, 종자(90)는 종자이송홈(41a)에서 떨어져 합치된 천공삽(30)안에 있게 된다.
다음 작업 동작으로 탈삽을 할 때에는 한 손은 손잡이(44)를, 다른 한 손은 인지와 중지손가락 사이로 보조손잡이(43)의 꼭지를 쥐고 손잡이(44)와 밀착해 잡은 채 파종기를 들면 도 5처럼 된다. 그러면 종자이송피스톤(41)은 상승하여 종자이송홈(41a)에는 종자(90)가 다시 장전되며, 손잡이(44)와 보조손잡이(43)가 밀착돼 거리가 줄어든 만큼, 보조손잡이(43)는 보조손잡이(43)와 연결되어 있는 천공삽날개(30a)를 들어 올려 한 쌍의 천공삽(30)은 서로 벌어지게 되고, 천공삽(30) 안에 있던 종자(90)는 수직 낙하 하여 천공구멍으로 들어가며, 천공삽(30) 끝은 탈삽 시 찔렀을 때 보다 폭이 넓게 벌어져 나오면서 천공구멍의 옆면 흙을 스쳐 긁어 흙을 헐어지게 하여 복토를 하게 된다.
완전 탈삽 후 손가락 사이로 쥐고 있던 보조손잡이(43)의 꼭지를 놓으면, 한 쌍의 천공삽(30)은 각자의 무게중심으로 다시 합치되어 수직으로 원추형을 이루고, 체인(50)도 가지런히 펴지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다시 파종을 하기 위하여 파종할 지점에 대고 파종기의 손잡이(44)를 누르면 도 4가 되는데, 이렇게 도 3·도 4·도 5·도 3의 순서로 연속작업을 하면 된다.
본 발명은 종자이송피스톤의 종자제어봉 작용으로 종자의 파손이 없고, 탈삽 시 종자의 배출이 수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져 천공구멍 내로의 낙종이 신속·정확하며, 탈삽 시 천공삽 끝이 천공구멍 옆면을 스쳐 긁어 복토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천공·낙종·복토의 3단계로 완료되는 파종작업이 종자의 파손도 없고 복토도 잘 이루어져, 종자의 발아율을 높여주고 작업속도가 빨라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상면 뚜껑에 제1 축봉운동공이 형성되고, 통 외측 면에는 유입관이 있으며, 통 하부에는 실린더 형태로 되어, 중공 형태를 가지는 종자릴레이통;
    상기 제1 축봉운동공을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일정 범위 이내에서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축봉운동공을 통과 불가능한 크기 및 형태의 하강스토퍼너트와 상승스토퍼너트가 뚜껑 위쪽과 아래쪽에 결합되는 축봉;
    상기 축봉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측면에는 홈이 파여 종자이송홈이 형성되며, 종자이송홈 상면 위로는 종자제어봉공이 형성되어, 종자제어봉공에는 종자제어봉이 꿰어 있는 종자이송피스톤;
    상기 뚜껑 위쪽에 상기 축봉에 비접촉 관통되어, 일정거리 이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조손잡이;
    상기 축봉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손잡이;
    하단부의 마주보는 양 측면 각각에 핀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종자릴레이통의 하부 실린더 연결주면에 연결되어 상기 종자릴레이통과 연통되는 관 형태의 연결관;
    상기 핀볼트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관의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핀볼트;
    상기 핀볼트를 축으로 힌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핀볼트에 꿰어지는 한 쌍의 천공삽으로서, 상기 한 쌍의 천공삽 위쪽은 개구되고 속이 빈 원추 형태를 이루며, 상기 한 쌍의 천공삽 각각이 상기 핀볼트를 축으로 하여 바깥쪽으로 힌지운동되면, 상기 핀볼트와 결합된 부분을 제외하고 서로에 대해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천공삽; 및
    상단은 상기 보조 손잡이와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천공삽 각각의 상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천공삽 작동 링크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손잡이가 상기 하강스토퍼너트에 얹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종자이송피스톤이 상기 종자릴레이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손잡이를 위로 들면, 상기 종자릴레이통 안에 들어있던 종자들 일부가 상기 종자이송홈에 유입되고,
    상기 보조손잡이가 상기 하강스토퍼너트에 얹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종자이송홈의 일부가 상기 실린더의 하단보다 밑에 위치하도록 상기 손잡이를 누르면, 상기 종자이송홈에 장전되어 있던 종자들이 상기 연결관을 통해 밑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조손잡이를 상기 손잡이와 밀착해 잡고 함께 들면, 상기 보조손잡이와 연결된 상기 천공삽작동 링크체가 위로 당겨짐으로써, 상기 천공삽작동 링크체와 연결된 상기 천공삽이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릴레이통에는 작동1봉공이 형성되고, 이 작동1봉공에는 천공삽작동1봉이 비접촉 관통하여 상기 종자릴레이통을 수직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일부 둘레에는 행거가 결합되고, 상기 행거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인 작동2봉공 한 쌍이 형성되며, 이 작동2봉공에는 천공삽작동2봉이 각각 비접촉 관통하여 상기 작동2봉공의 안내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삽은 상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부분에 천공삽작동링크체가 연결되는 천공삽날개와, 상기 천공삽날개 아래쪽은 폭이 점점 좁아져 끝이 뾰족하고, 상기 천공삽날개 위쪽은 날개와 직각을 이루며 핀볼트공이 형성된 턱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손잡이는 "오" 자 형태로 상기 보조손잡이의 윗부분에는 사용자의 인지와 중지사이로 쥘 수 있는 구 형태의 꼭지이고, 밑 부분 양쪽에 작동1봉공이 세로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운데 세로로는 상기 축봉이 비접촉 관통되는 제2축봉운동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7. 삭제
KR1020060084161A 2005-06-21 2006-09-01 파종기 KR100838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881 2005-06-21
KR20050017881 2005-06-2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919U Division KR200404966Y1 (ko) 2005-06-21 2005-10-11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925A KR20060133925A (ko) 2006-12-27
KR100838303B1 true KR100838303B1 (ko) 2008-06-30

Family

ID=3781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161A KR100838303B1 (ko) 2005-06-21 2006-09-01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3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546Y1 (ko) 2009-05-15 2011-09-16 장병진 파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6091A (zh) * 2017-11-15 2018-05-08 潍坊友容实业有限公司 盐碱地专用多功能作物管理器
CN110130306A (zh) * 2019-05-07 2019-08-16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沙漠治理的旋挖注液装置
CN111837515A (zh) * 2020-08-28 2020-10-30 嘉兴花汇红园林有限公司 一种园艺用快速挖坑种植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4493U (ko) * 1987-01-31 1988-09-13 양재철 참깨 파종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4493U (ko) * 1987-01-31 1988-09-13 양재철 참깨 파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546Y1 (ko) 2009-05-15 2011-09-16 장병진 파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925A (ko)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303B1 (ko) 파종기
KR100794259B1 (ko) 파종기
CN109328551B (zh) 一种使用松土播种一体化的农用铲进行松土和播种的方法
KR101663502B1 (ko) 개량형 파종기
KR102276957B1 (ko) 파종기
KR200404966Y1 (ko) 파종기
KR101805787B1 (ko) 모종기
KR101742233B1 (ko) 파종기
KR200455546Y1 (ko) 파종기
CN213603657U (zh) 一种水稻幼苗水培装置
KR200464270Y1 (ko) 파종기
KR200428578Y1 (ko) 파종기
JP2000041422A (ja) ポット苗用補植機
KR200399582Y1 (ko) 다품종 파종기
KR20100009077U (ko) 모래가 복토되는 파종기
CN208159243U (zh) 一种烟草作物打穴移栽一体装置
CN209806381U (zh) 一种播种机梨头的固定结构
CN212851757U (zh) 苜蓿草栽苗播种器
KR20080003133U (ko) 파종기 종자 이송구
KR20170019057A (ko) 다목적 농사용 집게
CN215957065U (zh) 一种蔬菜种植打孔装置
CN219288134U (zh) 加厚不锈钢苗木栽植器
KR20200016618A (ko) 파종기
KR200355790Y1 (ko) 파종기
KR200483389Y1 (ko)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