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296B1 -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296B1
KR100838296B1 KR1020010043531A KR20010043531A KR100838296B1 KR 100838296 B1 KR100838296 B1 KR 100838296B1 KR 1020010043531 A KR1020010043531 A KR 1020010043531A KR 20010043531 A KR20010043531 A KR 20010043531A KR 100838296 B1 KR100838296 B1 KR 100838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money
service
information
money service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684A (ko
Inventor
하호성
김호성
이경배
이영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3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296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29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인증 모듈(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매체(IC 칩 등)를 무선 단말기에 탑재하고, 전자화폐 서비스시에 매체가 탑재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전자화폐의 변경 및 추가 탑재 시 기존의 매체에서 변경과 복수 탑재가 가능하도록 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전용망과 연계되어,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을 구비한 매체가 탑재된 무선 단말기(MS)부터 이동통신회사를 통해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회원 가입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회사로 전송하는 이동전화망 접속수단; 상기 이동전화망 접속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회원 가입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이동전화망 접속수단으로 전달하는 보안 관리수단; 상기 보안 관리수단에서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회원의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회원가입 요청에 대한 상기 회원 가입 정보를 상기 보안 관리수단으로 전달하는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수단; 상기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해당 회원이 가입된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달하고,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로부터의 상기 회원 가입 정보를 상기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수단으로 전달하는 전자화폐 발급사 접속수단; 및 상기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수단과 연계되어, 전자화폐 서비스 변경 내역을 관리하는 변경내역 관리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등에 이용됨.
Figure R1020010043531
전자화폐, 충전, 무선 단말기, 가맹점, 전자화폐 발급사

Description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Electronic Cash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화폐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화폐 서비스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 중 전자화폐 충전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 중 전자화폐 사용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무선 단말기(MS)
20 : 이동통신회사
30 : 전자화폐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MHP Portal)
40 : 전자화폐 발급사1~전자화폐 발급사N
50 : 전자화폐 사업자1~전자화폐 사업자N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자화폐 발급사들이 각각 전자화폐를 발급함에 따라, 고객들은 다수의 매체(카드)를 소유하게 되었지만 다양한 지불방식간 가치이전에 차이가 있어 소지 및 관리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발급만 받아놓고 사용하지 않는 카드 또한 많아 자원활용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드형/네트워크형/상품권형/토큰(Token) 형태의 다양한 선불형 지불방식의 경우, 각 형태에 따라 별도의 방식으로 충전 및 사용되므로, 고객이 소지하는데 불편함이 따랐으며, 각 형태별 유사 전자화폐간 가치이전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이동전화를 이용한 전자화폐의 충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인증 모듈(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매체(IC 칩 등)를 무선 단말기에 탑재하고, 전자화폐 서비스시에 매체가 탑재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전자화폐의 변경 및 추가 탑재 시 기존의 매체에서 변경과 복수 탑재가 가능하도록 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인증 모듈을 구비한 매체(IC 칩 등)를 무선 단말기에 탑재하고, 전자화폐 서비스시에 매체가 탑재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선불형 지불방식간 가치이전이 가능하도록 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전용망과 연계되어,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을 구비한 매체가 탑재된 무선 단말기(MS)부터 이동통신회사를 통해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회원 가입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회사로 전송하는 이동전화망 접속수단; 상기 이동전화망 접속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회원 가입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이동전화망 접속수단으로 전달하는 보안 관리수단; 상기 보안 관리수단에서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회원의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회원가입 요청에 대한 상기 회원 가입 정보를 상기 보안 관리수단으로 전달하는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수단; 상기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해당 회원이 가입된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달하고,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로부터의 상기 회원 가입 정보를 상기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수단으로 전달하는 전자화폐 발급사 접속수단; 및 상기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수단과 연계되어, 전자화폐 서비스 변경 내역을 관리하는 변경내역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무선망과 연동되어, 전자화폐 충전 서비스 인증 모듈을 구비한 매체가 탑재된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자화폐 충전 신청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 신청에 대한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망 접속수단; 상기 망 접속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전자화폐 충전 신청 정보와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무선망 접속수단으로 전송하는 보안 관리수단;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충전 신청 정보에 의거하여 충전 승인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승인 요청에 대한 상기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상기 보안 관리수단으로 전달하며,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의 사용내용을 확인하여 거래 유형별로 분류 처리하는 전자화폐 서비스 처리수단; 상기 충전 승인 요청 정보를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달하고,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로부터의 상기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처리수단으로 전달하며,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의 사용내용을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달하는 전자화폐 발급사 접속 처리수단; 전자화폐가 충전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품/서비스 거래에 대한 지불 요청시, 전자화폐 서비스 가맹점으로부터의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가맹점 접속수단; 및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처리수단과 연계하여, 회원별로 전자화폐 충전내역 및 서비스 거래내역을 관리하는 전자화폐 충전 및 거래내역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에 적용되는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의 매체에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회사를 통해 전용망을 경유하여 수신된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회원의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해당 회원이 가입된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달하는 단계; 및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로부터의 회원가입 요청에 대한 회원 가입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전용망을 통해 이동통신회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에 적용되는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의 매체에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을 등록하는 단계; 전자화폐 서비스 등록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가 전자화폐 발급사와 연계하여, 연결계좌의 확인을 통한 계좌이체에 의거하여 생성된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전자화폐가 충전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상품/서비스 거래에 대한 지불 요청시에,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가 전자화폐 서비스 가맹점으로부터의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인증하는 단계; 및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의 사용내용을 확인하여 거래 유형별로 전자화폐 서비스 거래내역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송하여,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에서 결제 내용에 따라 플레이어별로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에, 무선 단말기의 매체에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을 등록하는 기능;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회사를 통해 전용망을 경유하여 수신된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인증하는 기능;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회원의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해당 회원이 가입된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달하는 기능; 및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로부터의 상기 회원가입 요청 정보에 대한 회원 가입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전용망을 통해 이동통신회사로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에, 무선 단말기의 매체에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을 등록하는 기능; 전자화폐 서비스 등록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가 전자화폐 발급사와 연계하여, 연결계좌의 확인을 통한 계좌이체에 의거하여 생성된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 전자화폐가 충전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상품/서비스 거래에 대한 지불 요청시에,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가 전자화폐 서비스 가맹점으로부터의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인증하는 기능; 및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의 사용내용을 확인하여 거래 유형별로 전자화폐 서비스 거래내역을 관리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송하여,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에서 결제 내용에 따라 플레이어별로 정산을 수행하는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화폐 서비스 제공시 필요한 회원 확인을 기존의 매체(카드)가 아닌 무선 단말기내 전자화폐 서비스용 서비스 인증 모듈(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매체(IC 칩 등)를 이용하여 전자화폐의 변경 및 추가 탑재 시 기존의 매체에서 변경과 복수 탑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자화폐 발급사들이 전자화폐 카드를 별로도 발급할 필요가 없도록 하였고, 다양한 선불형 지불방식간 가치이전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무선 단말기를 통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화폐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 예시도로서, 도면에서 "10"은 무선 단말기(MS : Mobile Station), "20"은 이동통신회사, "30"은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MHP Portal), 그리고 "40"은 전자화폐 발급사1~전자화폐 발급사N, "50"은 전자화폐 사업자1~전자화폐 사업자N를 각각 나타낸다.
무선 단말기(MS)(10)와 이동통신회사(20)와는 무선통신망(바람직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이동통신회사(20)는 전용망을 통해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MHP Portal)(3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MHP Portal)(30)와 전자화폐 발급사1~전자화폐 발급사N(40)는 전용망에 의해 연결된다.
무선 단말기(MS)(10)에는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인증 모듈(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매체(IC 칩 등)가 설치된다.
무선 단말기(MS)(10)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회사(20)에 접속하고, 다시 전용망을 통해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MHP Portal)(3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환경을 구축하고 있으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은 무선 데이터망, 이동통신망, 개인휴대통신망(PCS), 차세대 이동통신망(IMT-2000) 등과 같은 동기식/비동기식 근거리 무선망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MS)(10)로는 셀룰러폰 혹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매체(IC 칩 등)에는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 인증 모듈(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다.
무선 단말기(MS)(10)를 통해 전자화폐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사용자는 우선 회원 관리 시스템(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MHP Portal)(30)에 가입하여 회원이 된 후 자신의 무선 단말기(MS)(10)에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인증 모듈(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매체(IC 칩 등)를 설치하고, 전자화폐 서비스받기를 원하는 전자화폐 발급사1~전자화폐 발급사N(40)의 회원이 되어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1~전자화폐 발급사N(40)의 전자화폐 응용 프로그램을 매체에 다운로드받는 것을 선행해야 한다.
그럼, 무선 단말기(MS)(10)에 탑재되는 매체(IC 칩 등)에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 인증 모듈을 등록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제 조건으로서, 회원 관리 시스템(MHP Portal)이 서비스 인증 모듈(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매체(IC 칩 등)를 유통시켜, 매체가 무선통신사 지점/대리점에 비치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먼저, 무선통신 사용자(고객)가 무선통신사 지점/대리점을 방문하여, 회원 등록 신청서를 작성하면, 무선통신사 지점/대리점에서 등록 신청 정보를 단말기(PC 등)를 통해 입력하여 회원 관리 시스템(MHP Portal)으로 전송한다. 이에, 회원 관리 시스템에서는 회원으로 등록한 후, 해당 무선 단말기(MS)(10)로 회원 등재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무선통신사 지점/대리점에서 매체를 해당 무선 단말기에 장착한다. 이후에, 무선통신사 지점/대리점에서 무선 단말기(MS)(10)로 서비스 개통 신청 메시지를 작성하여 회원 관리 시스템(MHP Portal)으로 전송하면, 회원 관리 시스템(MHP Portal)에서는 신청 고객에 따른 발급 정보 및 응용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생성된 발급 정보 및 응용 프로그램을 무선 단말기(MS)(10)내 매체에 다운로드한다.
다음으로, 무선통신사 지점/대리점에서는 발급 정보 및 응용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된 매체가 장착된 무선 단말기(MS)(10)를 해당 고객에게 지급하여, 해당 고객이 이를 수령하면,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인증 모듈을 등록 절차가 완료된다.
고객은 전자화폐 서비스시 필요한 서비스 인증 모듈(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매체(IC 칩 등)가 탑재된 무선 단말기(MS)(10)를 소지하고 이동통신회사(20)를 방문하여, 자신의 무선 단말기(MS)(10)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전자화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면 에서 "31"은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 "32"는 보안 관리부, "33"은 발급사별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부, "34"는 변경 기록 관리부, "35"는 고객 소지 애플리케이션 원장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36"은 전자화폐 사업자 접속 처리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는(MHP Portal)(30)는, 전용망과 연계되어,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매체가 탑재된 무선 단말기(MS)(10)로부터 이동통신회사(20)를 통해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회원 가입 정보를 이동통신회사(20)로 전송하는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31)와,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31)로부터의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인증하고, 회원 가입 정보를 암호화하여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31)로 전달하는 보안 관리부(32)와, 보안 관리부(32)에서 인증 성공된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회원의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회원가입 요청에 대한 회원 가입 정보를 보안 관리부(32)로 전달하는 발급사별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부(33)와, 발급사별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부(33)로부터의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해당 회원이 가입된 전자화폐 발급사(40)에게 전달하고,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40)로부터의 회원 가입 정보를 발급사별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부(33)로 전달하는 전자화폐 발급사 접속 처리부(36)와, 발급사별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부(33)와 연계되어, 전자화폐 서비스 변경내역을 애플리케이션 정리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 및 관리하는 변경 기록 관리부(34)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MHP Portal)(3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 즉 회원이 무선 단말기(MS)(10)와 이동통신회사(20)를 통해 전자화폐 서비스를 요청하면,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가 전용망을 통해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31)에 수신된다.
수신된 요청에 대해, 보안 관리부(32)에서 정당한 사용자에 의한 요청인지를 검사하고, 정상 확인시 발급사별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부(33)로 요청을 이관하여, 전자화폐 발급사 접속 처리부(36)를 통해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40)로 회원 가입 요청 내역을 전송한다. 이후에,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40)로부터의 회원가입 확인 결과는 전자화폐 발급사 접속 처리부(36)를 통해 발급사별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부(33)로 전달된다.
이후, 발급사별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부(33)는 전달된 회원가입 확인 결과에 의거하여 회원가입이 거부된 경우에 거부 메시지를, 회원가입이 확인된 경우에는 확인 메시지를 보안 관리부(32)로 전달한다.
그러면, 보안 관리부(32)는 발급사별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부(33)로부터의 메시지를 암호화한 후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31)를 통해 전용망으로 전송하여 이동통신회사(20) 및 무선 단말기(MS)(10)로 보낼 수 있도록 한다.
회원가입이 확인된 경우, 무선 단말기(MS)(10)는 이러한 작업수행에 대한 결과 상태를 다시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30)로 전송하고, 이 정보는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31)와 보안 관리부(32), 발급사별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부(33)를 경유하여 변경 기록 관리부(34)로 전달되어 애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35)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는 회원 관리 시스템(MHP Portal)에 가입하여 회원이 된 후, 자신의 무선 단말기(10)에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인증 모듈(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매체(IC 칩 등)를 설치하고, 전자화폐 서비스받기를 원하는 전자화폐 발급사(40)의 회원이 되어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40)의 전자화폐 응용 프로그램을 매체에 다운로드받아, 추후 무선 단말기(MS)(10)를 통해 전자화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전자화폐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회원이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30)에 기 약정된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를 신청하면(301),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30)는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신청정보를 검증한 후(302),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신청정보를 전자화폐 발급사(40)로 전송한다(303).
그러면, 전자화폐 발급사(40)에서 전자화폐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신청정보를 접수하여(304), 발급에 따른 발급사 고유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한다(305).
이후,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30)에서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전송하면(306), 회원은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후(307),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결과를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30)로 송부한다(308).
그러면,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30)에서는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을 탑재 완료하여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베이스(35)에 갱신한 후(309), 전자화폐 발급사(40)로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탑재완료를 통보한다(40).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화폐 서비스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시도로서, 도면에서 "10"은 무선 단말기(MS : Mobile Station), "20"은 이동통신회사, "30"은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MHP Portal), 그리고 "40"은 전자화폐 발급사1~전자화폐 발급사N, "50"은 가맹점, "60"은 전자화폐 사업자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도 1의 예시도에서와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기(MS)(10)와 이동통신회사(20)와는 무선통신망(바람직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이동통신회사(20)는 전용망을 통해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MHP Portal)(3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MHP Portal)(30)와 전자화폐 발급사1~전자화폐 발급사N(40)는 전용망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가맹점(50)은 무선 단말기(10)와 전자화폐 사업자(60)를 통해 연결되고, 전자화폐 사업자(60)는 전자화폐 애프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30)와 연결된다.
무선 단말기(MS)(10)에는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인증 모듈(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매체(IC 칩 등)가 설치된다.
무선 단말기(MS)(10)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회사(20)에 접속하고, 다시 전용망을 통해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MHP Portal)(30) 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환경을 구축하고 있으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은 무선 데이터망, 이동통신망, 개인휴대통신망(PCS), 차세대 이동통신망(IMT-2000) 등과 같은 동기식/비동기식 근거리 무선망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MS)(10)로는 셀룰러폰 혹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될 수 있으며, 무선 단말기(MS)(10)에 탑재되는 매체(IC 칩 등)에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 인증 모듈을 등록하는 과정은 상기 도 1에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31"은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 "32"는 VAN 접속 처리부, "33"는 보안 관리부, "34"은 거래 유형별 분류/처리 관리부, "35"는 거래 내역 관리부, "36"는 충전내역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37"은 사용내역 데이터베이스를 각각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는(MHP Portal)(30)는, 무선망과 연동되어, 전자화폐 충전 서비스 인증 모듈(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매체가 탑재된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자화폐 충전 신청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 신청에 대한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31)와,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31)로부터의 상기 전자화폐 충전 신청 정보와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암호화하여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31)로 전송하는 보안 관리부(33)와, 보안 관리부(33)에서 인증 성공된 전자화폐 충전 신청 정보에 의거하여 충전 승인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승인 요청에 대한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보안 관리부(33)로 전달하며, 인증 성공된 전자화폐 결제 정보의 사용내용을 확인하여 거래 유형별로 분류 처리하는 거래 유형별 분류/처리 관리부(34)와, 거래 유형별 분류/처리 관리부(34)로부터의 충전 승인 요청 정보를 전자화폐 발급사(40)로 전달하고, 전자화폐 발급사(40)로부터의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거래 유형별 분류/처리 관리부(34)로 전달하며, 전자화폐 결제 정보의 사용내용을 전자화폐 발급사(40)로 전달하는 전자화폐 발급사 접속 처리부(38)와, 전자화폐가 충전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품/서비스 거래에 대한 지불 요청시, 전자화폐 서비스 가맹점으로부터의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VAN 접속 처리부(32)와, 거래 유형별 분류/처리 관리부(34)와 연계하여, 회원별로 전자화폐 충전내역 및 서비스 거래내역을 관리하는 거래내역 관리부(35)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MHP Portal)(3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무선 단말기의 매체에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을 등록하고, 전자화폐 서비스 등록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가 전자화폐 발급사와 연계하여, 연결계좌의 확인을 통한 계좌이체에 의거하여 생성된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며, 전자화폐가 충전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상품/서비스 거래에 대한 지불 요청시에,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가 전자화폐 서비스 가맹점으로부터의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인증한다.
이어서,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의 사용내용을 확인하여 거래 유형별로 전자화폐 서비스 거래내역을 관리한다.
우선, 사용자, 즉 회원이 무선 단말기(MS)(10)와 이동통신회사(20)를 통해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면, 먼저 전자화폐 충전 요청 정보가 전용망을 통해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31)에 수신된다.
수신된 요청에 대해, 보안 관리부에서 정당한 사용자에 의한 요청인지를 검사하고, 정상 확인시 거래 유형별 분류/처리 관리부(34)를 요청을 이관하여, 전자화폐 발급사 접속 처리부(38)를 통해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40)로 회원가입 요청 내역을 전송한다. 이후에,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40)로부터의 회원가입 확인 결과는 전자화폐 발급사 접속 처리부(38)를 통해 거래 유형별로 분류/처리 관리부(34)로 전달된다.
이후, 거래 유형별 분류/처리 관리부(34)는 전달된 회원가입 확인 결과에 의거하여 회원가입이 거부된 경우에 거부 메시지를, 회원가입이 확인된 경우에는 확인 메시지를 보안 관리부(32)로 전달한다.
그러면, 보안 관리부(32)는 거래 유형별 분류/처리 관리부(33)로부터의 메시지를 암호화한 후,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31)를 통해 전용망으로 전송하여 이동통신회사(20) 및 무선 단말기(MS)(10)로 보낼 수 있도록 한다.
회원가입이 확인된 경우, 무선 단말기(MS)(10)는 이러한 작업수행에 대한 결과 상태를 다시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30)로 전송하고, 이 정보는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31)와 보안 관리부(33), 거래 유형별 분류/처리 관리부(34)를 경유하여 거래 내역 관리부(35)로 전달되어 충전 내역 데이터베이서(36) 및 사용 내역 데이터베이스(37)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한편, 회원이 무선 단말기(MS)(10)와 이동통신회사(20)를 통해 전자화폐 사용을 요청하면, 먼저 전자화폐 충전 요청 정보가 전용망을 통해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31)에 수신된다.
수신된 요청에 대해, 보안 관리부에서 정당한 사용자에 의한 요청인지를 검사하고, 정상 확인시 거래 유형별 분류/처리 관리부(34)를 요청을 이관하여, 전자화폐 발급사 접속 처리부(38)를 통해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40)로 회원가입 요청 내역을 전송한다. 이후에,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40)로부터의 회원가입 확인 결과는 전자화폐 발급사 접속 처리부(38)를 통해 거래 유형별로 분류/처리 관리부(34)로 전달된다.
이후, 거래 유형별 분류/처리 관리부(34)는 전달된 회원가입 확인 결과에 의거하여 회원가입이 거부된 경우에 거부 메시지를, 회원가입이 확인된 경우에는 확인 메시지를 보안 관리부(32)로 전달한다.
그러면, 보안 관리부(32)는 거래 유형별 분류/처리 관리부(33)로부터의 메시지를 암호화한 후,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31)를 통해 전용망으로 전송하여 이동통신회사(20) 및 무선 단말기(MS)(10)로 보낼 수 있도록 한다.
회원가입이 확인된 경우, 무선 단말기(MS)(10)는 이러한 작업수행에 대한 결과 상태를 다시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30)로 전송하고, 이 정보는 이동전화망 접속 처리부(31)와 보안 관리부(33), 거래 유형별 분류/처리 관리부(34)를 경유하여 거래 내역 관리부(35)로 전달되어 충전 내역 데이터베이서(36) 및 사용 내역 데이터베이스(37)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 중 전자화폐 충전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는 회원 관리 시스템(MHP Portal)에 가입하여 회원이 된 후, 자신의 무선 단말기(10)에 전자화폐 충전을 위한 서비스 인증 모듈(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매체(IC 칩 등)를 설치하고, 전자화폐 서비스받기를 원하는 전자화폐 발급사(40)의 회원이 되어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40)의 전자화폐 응용 프로그램을 매체에 다운로드받아, 추후 무선 단말기(MS)(10)를 통해 전자화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전자화폐 충전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회원이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30)에 기 약정된 전자화폐 충전 서비스를 신청하면(601),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30)는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신청정보를 검증한 후(602),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신청정보를 전자화폐 발급사(40)로 전송한다(603).
그러면, 전자화폐 발급사(40)에서 전자화폐 충전 신청정보 접수 및 연결 계좌를 확인하고(604), 계좌이체 후 발급사 고유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한다(605).
이후,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30)에서 전자화폐 충전 관련 발급사 고유 정보를 전송/충전하면(606), 회원은 전자화폐 충전정보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607), 전자화폐 충전 정보 다운로드 결과를 전자화폐 충전 결과를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30)로 송부한다(608).
그러면,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30)에서는 전자화폐 충전완료 정보를 반영하고(609), 전자화폐 발급사(40)로 전자화폐 충전 완료를 통보한다(40).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 중 전자화폐 사용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은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매체가 탑재된 무선 단말기(MS)(10)로부터 가맹점(50) 또는 무선단말기 가맹점/PG를 통해 상품/서비스를 구매한다(701).
그러면, 가맹점(50)에서 상품/서비스에 대한 물품을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결재하고(702), 전자화폐 사용 내역을 기록하여 저장한 후(703), 회원의 전자화폐의 가치를 차감시킨다(704). 이어서, 가맹점(50)에서 사용된 사용내역은 부가정보통신망(VAN)을 통해 결제 기록을 전송한다(704).
이후,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장치(30)는 보안 관리부에서 가맹점과 전송 내용의 정당성을 확인하고 정당한 경우 거래 유형별로 분류/처리하여 전자화폐 결제 내용을 검증하여(706), 전자화폐 결제 내용을 발급사로 전송하면(707), 전자화폐 발급사(40)는 결제 내용에 따라 플레이어별로 정산을 수행한다(708).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자화폐 서비스 제공시 필요한 회원 확인을 기존의 카드가 아닌 무선 단말기내 전자화폐 서비스용 서비스 인증 모듈(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신용카드)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매체(IC 칩 등)를 이용하여 전자화폐의 변경 및 추가 탑재 시 기존의 매체에서 변경과 복수 탑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인증 모듈을 구비한 매체(IC 칩 등)를 무선 단말기에 탑재하고, 전자화폐 서비스시에 매체가 탑재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선불형 지불방식간 가치이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전용망과 연계되어,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을 구비한 매체가 탑재된 무선 단말기(MS)부터 이동통신회사를 통해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회원 가입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회사로 전송하는 이동전화망 접속수단;
    상기 이동전화망 접속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회원 가입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이동전화망 접속수단으로 전달하는 보안 관리수단;
    상기 보안 관리수단에서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회원의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회원가입 요청에 대한 상기 회원 가입 정보를 상기 보안 관리수단으로 전달하는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수단;
    상기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해당 회원이 가입된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달하고,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로부터의 상기 회원 가입 정보를 상기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수단으로 전달하는 전자화폐 발급사 접속수단; 및
    상기 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생성수단과 연계되어, 전자화폐 서비스 변경 내역을 관리하는 변경내역 관리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회사와 연계하여, 상기 전용망으로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 및 상기 회원 가입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용망으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응답 정보(가입 확인 결과)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은,
    전자화폐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4.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무선망과 연동되어, 전자화폐 충전 서비스 인증 모듈을 구비한 매체가 탑재된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자화폐 충전 신청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 신청에 대한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망 접속수단;
    상기 망 접속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전자화폐 충전 신청 정보와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무선망 접속수단으로 전송하는 보안 관리수단;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충전 신청 정보에 의거하여 충전 승인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승인 요청에 대한 상기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상기 보안 관리수단으로 전달하며,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의 사용내용을 확인하여 거래 유형별로 분류 처리하는 전자화폐 서비스 처리수단;
    상기 충전 승인 요청 정보를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달하고,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로부터의 상기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처리수단으로 전달하며,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의 사용내용을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달하는 전자화폐 발급사 접속 처리수단;
    전자화폐가 충전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품/서비스 거래에 대한 지불 요청시, 전자화폐 서비스 가맹점으로부터의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가맹점 접속수단; 및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처리수단과 연계하여, 회원별로 전자화폐 충전내역 및 서비스 거래내역을 관리하는 전자화폐 충전 및 거래내역 관리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에서는,
    연결계좌의 확인을 통한 계좌이체가 이루어지면, 상기 전자화폐 충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 접속 처리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6.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에 적용되는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의 매체에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회사를 통해 전용망을 경유하여 수신된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회원의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해당 회원이 가입된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달하는 단계; 및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로부터의 상기 회원가입 요청 정보에 대한 회원 가입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전용망을 통해 이동통신회사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은,
    전자화폐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회원을 식별/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전자화폐) 애플리케이션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
  8.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에 적용되는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의 매체에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을 등록하는 단계;
    전자화폐 서비스 등록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가 전자화폐 발급사와 연계하여, 연결계좌의 확인을 통한 계좌이체에 의거하여 생성된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전자화폐가 충전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상품/서비스 거래에 대한 지불 요청시에,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가 전자화폐 서비스 가맹점으로부터의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인증하는 단계; 및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의 사용내용을 확인하여 거래 유형별로 전자화폐 서비스 거래내역을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송하여,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에서 결제 내용에 따라 플레이어별로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
  10.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에,
    무선 단말기의 매체에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을 등록하는 기능;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회사를 통해 전용망을 경유하여 수신된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인증하는 기능;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요청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회원의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원가입 요청 정보를 해당 회원이 가입된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달하는 기능; 및
    해당 전자화폐 발급사로부터의 상기 회원가입 요청 정보에 대한 회원 가입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전용망을 통해 이동통신회사로 전송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에,
    무선 단말기의 매체에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한 전자화폐 서비스 인증 모듈을 등록하는 기능;
    전자화폐 서비스 등록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가 전자화폐 발급사와 연계하여, 연결계좌의 확인을 통한 계좌이체에 의거하여 생성된 전자화폐 충전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
    전자화폐가 충전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상품/서비스 거래에 대한 지불 요청시에, 상기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가 전자화폐 서비스 가맹점으로부터의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인증하는 기능; 및
    인증 성공된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의 사용내용을 확인하여 거래 유형별로 전자화폐 서비스 거래내역을 관리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 결제 정보를 전자화폐 발급사로 전송하여, 상기 전자화폐 발급사에서 결제 내용에 따라 플레이어별로 정산을 수행하는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43531A 2001-07-19 2001-07-19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838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531A KR100838296B1 (ko) 2001-07-19 2001-07-19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531A KR100838296B1 (ko) 2001-07-19 2001-07-19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684A KR20030008684A (ko) 2003-01-29
KR100838296B1 true KR100838296B1 (ko) 2008-06-17

Family

ID=2771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531A KR100838296B1 (ko) 2001-07-19 2001-07-19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362A (ko) * 2003-04-07 2004-10-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가치 저장 디바이스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과 이를이용한 자기확인 가능한 전자가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29353B1 (ko) * 2006-08-25 2008-05-13 (주)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망을 통한 전자화폐의 지불결제 방법과 그 시스템
KR100837059B1 (ko) * 2006-09-28 2008-06-11 (주)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망에서의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결제시스템과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2085A (ja) * 1996-11-29 1998-06-19 N T T Data Tsushin Kk 電子マネーシステム及び電子マネー及び電子マネー履歴付与方法
JP2000311209A (ja) * 1999-04-28 2000-11-07 Netbank Service:Kk 携帯電話機能を備えたモバイル端末を用いた電子金融取引システム、電子クレジットカードシステム、電子個品割賦システム及び電子マネーシステム
KR20000065455A (ko) * 1999-04-03 2000-11-15 최무용 전자 카드의 카드종류 변경 방법 및 장치
KR20010025503A (ko) * 2000-12-30 2001-04-06 최무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무선결제 및 보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2085A (ja) * 1996-11-29 1998-06-19 N T T Data Tsushin Kk 電子マネーシステム及び電子マネー及び電子マネー履歴付与方法
KR20000065455A (ko) * 1999-04-03 2000-11-15 최무용 전자 카드의 카드종류 변경 방법 및 장치
JP2000311209A (ja) * 1999-04-28 2000-11-07 Netbank Service:Kk 携帯電話機能を備えたモバイル端末を用いた電子金融取引システム、電子クレジットカードシステム、電子個品割賦システム及び電子マネーシステム
KR20010025503A (ko) * 2000-12-30 2001-04-06 최무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무선결제 및 보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684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53179A1 (en) Method and System to Enable Mobile Contactless Ticketing/Payments Via a Mobile Phone Application
KR101039696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카드 결제시스템, 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방법
WO2002099710A1 (fr) Procede de commerce electronique mettant en oeuvre un coupon electronique
WO2009064160A1 (en) System for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communications network,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thereof
EP1176844A2 (en) Tele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0838296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44933A (ko) 무선 간편 결제 방법
KR20200007068A (ko) 토큰 코드를 이용한 무선 결제 방법
KR20190015454A (ko) 토큰 코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100838297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백화점카드 중계 서비스 장치 및 그방법
KR20040055843A (ko) 공인된 개인 인증 정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100836883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카드 중계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92144A (ko)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한 결제 방법
KR20070011951A (ko) 상품권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상품권운용장치와, 무선 단말 장치와, 기록매체 및 정보 저장매체
KR20090091893A (ko) 가맹점 결제 방법과 이를 위한 밴사 서버, 결제처리 서버및 기록매체
KR20030008670A (ko) 무선 통신망에서의 상품권 운영 장치 및 그를 이용한상품권의 발행/결재 및 이체 방법
WO20040575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data
KR100564097B1 (ko) 단말기에 장착되어 거래용으로 사용되는 통신장치 및 이를이용한 거래방법
KR20030008669A (ko) 무선 통신망에서의 로열티 포인트 운영 장치 및 그를이용한 로열티 포인트의 탑제/적립 및 사용 방법
KR20190132964A (ko) 토큰 코드를 이용한 무선 결제 방법
KR20120112341A (ko) 바코드 표시 방법
KR20120112340A (ko) 토큰 코드를 이용한 무선 상품권 결제 방법
KR20120112339A (ko) 무선 상품권 결제 방법
KR20120112342A (ko) 토큰 코드 출력 방법
KR20120040181A (ko) 무선 상품권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