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064B1 - 이종(異種) 금속이 생체 전해질을 이용한 겔화체 졸음방지밴드 - Google Patents

이종(異種) 금속이 생체 전해질을 이용한 겔화체 졸음방지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064B1
KR100837064B1 KR1020060075026A KR20060075026A KR100837064B1 KR 100837064 B1 KR100837064 B1 KR 100837064B1 KR 1020060075026 A KR1020060075026 A KR 1020060075026A KR 20060075026 A KR20060075026 A KR 20060075026A KR 100837064 B1 KR100837064 B1 KR 100837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wsiness
band
cooling
gelling
b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468A (ko
Inventor
강장옥
Original Assignee
강장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장옥 filed Critical 강장옥
Priority to KR1020060075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064B1/ko
Publication of KR20080013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chemical or pharmacological stimu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졸음 방지용 겔화체 밴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두 종류의 각기 다른 금속편을 간격을 두고 이마에 밀착시키고 인체를 전지의 전해질로서 작용케 하는 전지 원리로 뇌의 미소 전류를 졸음방지 밴드의 겔화체에 방전시켜 활성화 해줌으로서 뇌간(腦幹)의 수면, 각성을 제어하는 신경모양체(神經毛樣
Figure 112006506316810-pat00006
)계에 관여하여 인식, 학습, 기억, 행동 등의 정보처리능력을 제고해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그 겔화체는 여러 기능성 물질들로 구성된 것이며 초산리나닐, 염화칼륨, L-멘톨, 글루코만난, 캐러기난, 전분 등으로 가열 중합하여서 탄력성 있고 삼투 조절이 우수한 겔화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는 각성, 진정, 청량감, 냉각감 등이 신속하게 삼투 전달되어서 살갗에너지를 빼앗는 원리로 차가운 냉감 및 청량감과 제 기능재의 신경자극 전달이 졸음을 방지한다. 이상의 두 가지 효용성이 결합된 겔화체 졸음 방지 밴드는 다량의 수분 함유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누구나 간단하게 압착 사용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만들어져 학생, 사무원, 운전자 등에게 새로운 졸음방지 겔화체 밴드를 저가로 제공하게 된 것이다.
[색인어]
신경모양체(神經毛樣
Figure 112006506316810-pat00009
), 겔화체, 전해질, 삼투조절, 뇌간(腦幹)

Description

이종(異種) 금속이 생체 전해질을 이용한 겔화체 졸음방지 밴드{Sleeping prevention gel type of band by the action of two kinds of metal using a living body electrolyte}
도 1 은 본 발명 졸음방지 밴드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졸음방지 밴드를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졸음방지 밴드의 구조를 도시한 정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 졸음방지 밴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압착용 양면테이프
2. 다공성 부직포
3. 알루미늄 금속편
4. 겔화체
5. 동 금속편
본 발명은 졸음 방지용 겔화체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1에 서와 같이 부직포(2) 한편에 겔화체(4)가 형성 부착되었으며 그 겔화물(4)의 좌측에는 알루미늄 금속편(3)과 겔화물 우측 편에 동 금속편(5)이 삽입 장착되어있다. 그리고 부직포(2)의 양쪽 끝면에는 압착용 양면테이프로 구성되고 있어서 테이프 겉 비닐을 제거한 후 이마에 부착사용이 간편하고 편리하게 구조가 형성된 것이다.
위 각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자재의 물성과 그의 기능을 살펴보면 도1에의 부직포(2)는 두께 0.4mm 정도의 합성섬유 다공성 부직포이며 내수성, 강인성이 요구된다. 겔화체(4)의 양쪽 좌우 면에 삽입 장착되어있는 알루미늄 금속편(3)과 동 금속편(5)은 전지의 정(正) 부(負) 극과 같은 역할로 작용되는 것으로서 뇌부에 소전류를 활성화하고 미량의 전류를 겔화체(4)에 방전하게 되는 것이다.
물리학자 Galvani가 개구리 해부칼에서 불꽃이 나는 것으로 동물전기 존재를 발견했고, 그 후 오늘날 사람 몸에 여러 기능을 담당하게 된 신경전류를 해명하는 실마리가 된 것이다. 이 생체전기는 뇌에서 주로 생산되고 몸 근육으로 퍼지며 생리 메커니즘에 의해 사용된 후에는 체외로 방전되어야 심신이 쾌적한 것으로 알려진 공지의 사실이다.
이와 같이 사람 몸에는 여러 발생원인에서 생긴 전기가 모여 있고 때에 따라서는 몸이 전도체와 접촉하면 불꽃까지 튀기는 충격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뇌에 전기가 모여서 활성화 되지 않으면 뇌 정보처리 능력을 가진 수백만의 세포와 전자의 스핀운동이 무력해지고 생물쎈서의 자율기능이 저하하면서 뇌수면 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알루미늄 금속편(3)과 동 금속편(5)의 유도 방전 소모는 뇌간( 腦幹)에 관여함으로서 수면과 각성을 제어하는 신경 집단의 정보처리 능력을 제고하여 뇌를 맑게 해주고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졸림의 원인을 제거 하는 역할을 한다.
위에서 열거한 인체 전해질과 생체전기 작용에 대하여 전기란 동물 생체에서부터 물질 마찰에 의한 전기 등이 존재하며 커패시터(콘덴서)형태를 지닌 물체도 있다. 물리학자 볼타는 두 가지의 다른 금속을 소금물에 담그어 전기를 생산하였고 바그닷드 전지에서 보았듯이 썩은 술은 전해액으로 철과 동을 전극으로 하여 전지화 하였다.
인체에 알루미늄, 동 등의 이종(異種)금속을 접촉하면 인체를 구성하는 70% 이상의 수분과 상당량의 염분 등으로 이루어진 체액이 전해액 작용으로 미세전류가 흐르는 것을 알게 되었고, 갈바니의 동물전기를 이해하게 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이것으로 인하여 근육운동과, 전기현상의 관계가 밝혀졌으며 사람 몸에 여러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전류를 해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종 금속의 전기생리학, 전자기학이 계속 발전하게 되었으며 그로 하여금 현재에 와서 뇌파계, 심전계 같은 의료기기도 생체전류를 측정하는 계기에 일종으로 탄생하게 된 것이다.
종래 기술 분야에 있어서
한국특허공고번호 10-0209610호에 의한 뇌파계신호를 이용한 졸음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졸음방지 방법절차에서 3단계로 구분하여 EEG신호측정단계, EEG로 측정한 신호 분석단계, 상태에 따라 음향 또는 진동으로 잠을 못 자게 하는 단계로 하였다.
첫째 사람이 졸린 것은 자율신경 생물쎈서가 작동하여 졸린 것은 이미 알고 있는데 EEG를 동원하여 측정할 필요는 전무한 것이며, 다음 뇌파계(EEG)란 사람감정, 정신상태, 심리학분석을 측정하는 첨단 분야의 고가의 기계인데 보통 사람이 사용하기에는 불가능한 것이며, 셋째로 졸림이란 흔들러나 소음 등으로 못 자게 하여 해결 가능한 것이 아니라 생리학 적으로 졸림이 안 오도록 하는 것이 졸음방지에 요체인 것이다.
또한 한국특허공고번호 특 0162177호 졸음방지용 물티슈에 대하여 그 내용 특성에서와 같이 물티슈에 인삼, 박하 향을 침지한 것을 목 뒤에 대주어 냉각감, 청량감을 주어서 잠시 졸음을 쫓는 것이다. 그 2-3매로 겹쳐진 티슈의 수분 함량으로는 오랜 시간을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고 그 단순한 방법으로는 효용가치가 부족한 것이 단점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와 같이 신경전류, 생물전기학적 이론을 근원으로 한 부분과 각종기능재료의 체외 삼투 겔화체가 결합한 졸음 방지 밴드이며 뇌의 커패시터(콘덴서 축전기)론의 생물 전기를 방전 배출하고, 또한 한편으로는 도1에서와 같이 겔화체(4)에는 졸음을 방지하기에 최적의 물질들로 구성되었으며 그것은 염화칼륨, 초산리나릴, L-멘톨, 글루코만난, 캐러기난, 전분 등으로 가수, 가열 중합한 것으로 탄력성과 강인성을 겸비하였고 기능재의 신경전달에 있어서 활동전위 발생증진과 세포 삼투압 조절로 청량감, 냉각감이 지속적으로 발휘되도록 함과 동시 인 체비침습 계획 하에서 엄밀히 조제 결합 성형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신경전류와 연관된 신경전달물질을 이용한 두가기 효용성이 함께 결합된 졸음방지 겔화체 밴드를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장시간에 걸쳐 그 효과가 지속되게 한 것을 누구나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 졸음방지 겔화체 밴드의 사시도이며 부직포(2) 한편에 겔화체(4)가 형성 부착되었으며 그 겔화물(4)의 좌측에는 알루미늄 금속편(3)과 겔화물 우편에 동 금속편(5)이 삽입 장착 되어있다. 그리고 부직포(2)의 양쪽 끝면에는 압착용 양면테이프로 구성되고 테이프 겉 비닐을 제거 한 후 이마에 부착하기에 편리하도록 형성되었다.
이러한 상태의 구조물을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마에 압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그 겔화체(4)를 제조함에 있어서 실시예에 의하여 재료의 품명, 수량, 제조과정을 다음과 같이 상술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겔화체 조성물을 실시예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
실시예
Figure 112006506316810-pat00001
위 도표에 의한 기능성 재료 중 클루코만난, 캐러기난, 전분 세 가지 재료를 정수에 혼합한 후 65℃로서 교반하면서 중탕하는 단계. 다음은 L-멘톨, BHT를 적량의 에탄올에 용해한 후 중탕가마에 투입 골고루 교반하는 단계. 그리고 염화칼륨, 초산리나닐, EDTA를 정수에 용해해서 투입한 후 잘 교반하면서 20분간 반응, 숙성 단계로 겔화제는 종료한다.
위 65℃로 조정된 겔화제는 유동성임으로 준비된 금형 밑에 재단된 부직포를 깔은 후 투입, 냉각 한 후 준비된 ㄷ형의 동과 알루미늄 금속편을 겔화체 양쪽에 삽입 고정하고 부직포 양끝에 양면테이프를 장착함으로서 제품은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이종(異種)금속이 생체 전해질을 이용한 겔화체 졸음방지 밴드는 그 구조가 뇌에 모여 있는 전기를 활성화 또는 방전하여 뇌를 맑게 해주면서 뇌간(腦幹)에 수면, 각성을 제어하는 신경모양체(神經毛樣
Figure 112006506316810-pat00008
) 부활계의 정보처리 능력을 향상케 도우며 또한 함께 결합형성된 기능성 겔화체의 제 물질속에 함유된 성분들이 삼투 작용하여 두 가지의 병행 효과가 살갗냉각감, 청량감과, 뇌신경세포에 자극 전달에 관여 함으로서 뇌수면(腦睡眠)을 방지하고 기억, 합습, 창조력 등을 고도의 정신 활동으로 도모해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알루미늄 금속편(3), 동 금속편(5)을 타종의 금속으로 모방 제조함은 본 발명의 발명 명칭중에 이종(異種)금속을 분명히 하였음으로 본 발명 출원 권리 범주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겔화체(4)의 구성물은 2.0중량%의 염화칼륨, 2.5중량%의 초산니트닐, 15증량%의 L-멘톨, 2.5중량%의 글루코난만, 3중량%의 캐러기난, 3.5중량%의 전분 0.07중량%의 BHT, 0.2중량%의 EDTA와 잘량을 정수로 용해분산된 겔화체의 조성물을 65℃로 가열 숙성시켜 유동성 겔화제의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동성 겔화제 조성물을 다공성 부직포(2)위에 놓여진 금형에다 유입시켜 그 다공성 조직에 스며들어서 냉각 고정된 겔화체(4)와 다공성 부직포(2)가 결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 후 다공성 부직포(2) 양쪽 끝 면에 압착용 양면테이프로 구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방지 밴드의 제조방법
  2. 청구항1에서 그 겔화체에다 같은금속(同種金屬)을 삽입 제조한 졸음방지 겔화체 밴드로 형성하는 제조방법.
KR1020060075026A 2006-08-09 2006-08-09 이종(異種) 금속이 생체 전해질을 이용한 겔화체 졸음방지밴드 KR100837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026A KR100837064B1 (ko) 2006-08-09 2006-08-09 이종(異種) 금속이 생체 전해질을 이용한 겔화체 졸음방지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026A KR100837064B1 (ko) 2006-08-09 2006-08-09 이종(異種) 금속이 생체 전해질을 이용한 겔화체 졸음방지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468A KR20080013468A (ko) 2008-02-13
KR100837064B1 true KR100837064B1 (ko) 2008-06-11

Family

ID=3934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026A KR100837064B1 (ko) 2006-08-09 2006-08-09 이종(異種) 금속이 생체 전해질을 이용한 겔화체 졸음방지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409B1 (ko) * 2013-07-09 2014-03-03 김춘기 전기 및 미세전류 생성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742U (ko) * 1997-08-11 1999-03-05 윤길림 고채상태의 잉크를 가열 액채화하여 활자에 발러인쇄 하는 인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742U (ko) * 1997-08-11 1999-03-05 윤길림 고채상태의 잉크를 가열 액채화하여 활자에 발러인쇄 하는 인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468A (ko)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senberg et al. Humor as a cognitive technique for increasing pain tolerance
Zerlin et al. The variability of single evoked vertex potentials in man
Erb Handbook of electro-therapeutics
Kumar et al. Study on the effect of Pranakarshan pranayama and Yoga nidra on alpha EEG & GSR
Bood et al. Effects of flotation rest (restricted environmental stimulation technique) on stress related muscle pain: are 33 flotation sessions more effective than 12 sessions?
KR100837064B1 (ko) 이종(異種) 금속이 생체 전해질을 이용한 겔화체 졸음방지밴드
Meyer Electricity in its relations to practical medicine
CN103933661B (zh) 一种保健添加剂及其应用
Schwartz et al. Interpersonal hand-energy registration: Evidence for implicit performance and perception
Peechtl et al. The lip-tap-reflex in the awake and sleeping newborn infant a polygraphic study
KR101525447B1 (ko)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
KR102129819B1 (ko) 생체 신호 감지 및 치료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의류
KR100699224B1 (ko) 은 나노 코팅 침
CN205494676U (zh) 一种头戴式电刺激装置
CN106667796B (zh) 一种基于微量生物电磁刺激的可贴覆面部低频理疗面膜
Rosén et al. Quantification of EEG changes following electroconvulsive therapy in depression
KR100789704B1 (ko) 나노 실버가 함유된 침
Parwatikar et al. Acupuncture, hypnosis and experimental pain–I. Study with volunteers
Blaser et al. Mental reproduction of a dance choreography and its effects on physiological fatigue in dancers
Kagan et al. Temperature asymmetry and behavior
CN107549941A (zh) 一种可预防阿兹海默症的项链
KR200402785Y1 (ko) 은 나노 코팅 침
JP2007006915A (ja) サポータ付治療具
Radu et al. THE AQUATIC ENVIROMENT–WAY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CHILDREN SUFFERING OF DIAGNOSED IMPERFECT OSTEOGENESIS (OI)
KR200393034Y1 (ko) 은 나노가 함유된 기능성 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