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447B1 -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447B1
KR101525447B1 KR1020140179782A KR20140179782A KR101525447B1 KR 101525447 B1 KR101525447 B1 KR 101525447B1 KR 1020140179782 A KR1020140179782 A KR 1020140179782A KR 20140179782 A KR20140179782 A KR 20140179782A KR 101525447 B1 KR101525447 B1 KR 101525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paper
korean paper
ear
b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창
김정열
김병호
Original Assignee
홍성창
김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창, 김정열 filed Critical 홍성창
Priority to KR102014017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지를 쑥 추출물이 함유된 한약재 농축액 및 깨기름으로 이루어진 한약재 혼합물에 함침하는 한지함침단계, 상기 한지함침단계를 통해 한약재 혼합물이 도포된 한지를 건조하는 제1건조단계, 상기 제1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한지를 원통형으로 말고 이음부위를 접착하는 한지성형단계, 상기 한지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원통형 한지의 일측에 필터를 삽입하는 필터삽입단계, 상기 필터삽입단계를 통해 일측에 필터가 삽입된 원통형 한지의 표면에 한약재 혼합물을 도포하는 한약재혼합물도포단계 및 상기 한약재혼합물도포단계를 통해 한약재 혼합물이 도포된 원통형 한지를 건조하는 제2건조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이봉(귀뜸봉)은 귀에 부착시켜 태움으로써 귀속 및 귀와 연결되는 미로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고, 귀속 피부에 전달되어 귀를 포함한 안면에 있는 오관(눈,코입,목)과 속귀신경에 인접한 기관의 혈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불안정한 뇌파를 안정시키며,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나 스트레스의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EAR MOXA HAVING ENHANCING CONCENTRATION, DECREASE DISTRACTED AND BRAIN WAVES STABILIZATION EFFECT}
본 발명은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귀에 부착시켜 태움으로써 귀속 및 귀와 연결되는 미로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고, 귀속 피부에 전달되어 귀를 포함한 안면에 있는 오관(눈,코입,목)과 속귀신경에 인접한 기관의 혈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불안정한 뇌파를 안정시키며,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나 스트레스감소의 효과를 나타내는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만성적인 병증이 확산되고, 각종 스트레스 및 환경적인 요인으로 기능적 장애가 증가되면서, 예방적 차원에서 자기 건강을 챙기고자 하는 현대인들의 욕구가 증가되면서, 한방요법인 뜸에 대한 관심이 주목받고 있는 추세이다.
뜸은 민간요법의 차원을 넘어, 자연 의학적 접근법의 대표적인 치료법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임상현장에서 쉽게 적용하여 효과를 볼 수 있는 치료방법이다.
뜸요법은 체표면의 일정한 수혈이나 통증부위에 쑥으로 만든 뜸봉을 놓고 태워서 경락을 덥게 하고 잘 통하게 하여 기혈을 고르게 함으로써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의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으로, 온열자극을 줌으로써 온열자극이 신경계에 영향을 주며, 국소화상으로 인해 가열단백체가 이차적으로 생체반응을 일으키고 자율신경과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주어 질병을 치료하는 것으로, 그 적용 범위가 대단히 광범위하다.
뜸의 효과로는 한사를 제거하고 기를 따뜻하게 해주고 기혈을 잘 통하게 하며 어혈을 풀고 아픔을 멈추게 하는 작용을 하고 허한 기를 북돋우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습열을 없애며, 쇼크 상태에 빠졌을 때 양기를 회복시키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며 몸을 튼튼하게 하는 강장 작용이 있다.
전통적으로 한방에서 뜸을 이용하여 병을 치료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대표적인 치료 방법으로 인체의 피부 중에 경혈(經穴) 부위를 찾아 한약재 등으로 이루어진 뜸을 놓고 착화하게 되면 한약재가 연소되면서 치료의 효과를 얻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재래 방법은 흩어져 있던 한약재를 일정크기로 말아서(대략 6㎜) 착화하면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고형(固形)되어 있는 것보다 치료의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자연 건조된 한약재를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얇은 종이로 이를 감합한 한약재봉의 담배와 같이 된 것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원판자에 부착한 뜸구가 제안되어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뜸구에 의하여서는 인체의 경혈부위에 놓고 착화시 뜸구 원판의 중앙 통공으로 훈기가 하향되어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봉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그 외주연을 얇은 종이로 감싸야 하므로 착화시 유해한 연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영규(2004. 전립선 치료용 쑥뜸기의 구현, 석사학위논문)는 전립선염과 전립선 비대증 환자를 대상으로 쑥뜸요법을 시행한 결과 효과가 있다 하였으며, 최요섭(2003. 중풍환자 편마비에 동반된 상지부종에 대한 뜸치료의 유효성 검토, 석사학위논문)은 뜸의 연구에서는 뜸치료가 중풍환자의 상지부종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김창환, 김용석(1997. 중풍으로 발생된 소변불통에 대한 구요법의 효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경희의학, 13(1), 72-78)의 연구에서는 뜸을 적용해 중풍 발생으로 발생된 요정체가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윤상필의 중풍환자 배뇨곤란에 대한 구치료 효과(2003, 석사학위논문) 연구에서는 뜸이 중풍환자의 배뇨곤란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권순조는 뜸요법이 뇌졸중 환자의 변비에 미치는 효과(2004, 석사학위 논문) 연구에서는 변비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뜸요법을 2주 동안 매일 1회씩 10분 동안 적용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배변횟수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 하였다.
귀, 코 및 눈은 귀속에 쌓인 노폐물이나 이물질에 의하여 이명, 편두통, 비염, 귀먹이, 집중력 감소 등 다양한 질병이 유발될 수 있으며 심할 경우는 우울증, 축농증, 폐렴 및 기관지 천식으로도 이행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노폐물과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계적, 수술적 세적 및 도포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 방법들은 처리부위에 통증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경비와 장시간이 소요되며, 노폐물의 완전한 제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의 보고 자료에 의하면 만성폐쇄성기도질환 환자에서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빈도가 높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김태형, 대한결핵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2006).
한국특허등록 제10-0696598호(2007.03.12).
본 발명의 목적은 귀에 부착시켜 태움으로써 귀속 및 귀와 연결되는 미로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고, 귀속 피부에 전달되어 귀를 포함한 안면에 있는 오관(눈,코입,목)과 속귀신경에 인접한 기관의 혈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불안정한 뇌파를 안정시키며, 집중력 강화 및 스트레스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지를 쑥 추출물이 함유된 한약재 농축액 및 깨기름으로 이루어진 한약재 혼합물에 함침하는 한지함침단계, 상기 한지함침단계를 통해 한약재 혼합물이 도포된 한지를 건조하는 제1건조단계, 상기 제1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한지를 원통형으로 말고 이음부위를 접착하는 한지성형단계, 상기 한지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원통형 한지의 일측 내부에 필터를 삽입하는 필터삽입단계, 상기 필터삽입단계를 통해 일측에 필터가 삽입된 원통형 한지의 표면에 한약재 혼합물을 도포하는 한약재혼합물도포단계 및 상기 한약재혼합물도포단계를 통해 한약재 혼합물이 도포된 원통형 한지를 건조하는 제2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약재 농축액은 산수유, 인동초, 꾸지뽕잎, 차전자, 생강, 감초, 모강, 밤, 대추, 마늘 및 쑥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혼합물을 증숙하고 볶는 과정을 5 내지 10회 반복한 후에 건조시킨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지성형단계는 상기 제1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한지를 밑지름이 5 내지 10mm이며, 윗지름은 12 내지 25mm이고, 길이가 25 내지 50cm인 원통형으로 말고 이음부위를 풀로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터삽입단계는 상기 한지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원통형 한지의 일측 내부에 지름이 8 내지 10mm이고, 길이가 11 내지 15mm인 필터를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제조방법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의 제조방법은 귀에 부착시켜 태움으로써 귀속 및 귀와 연결되는 미로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고, 귀속 피부에 전달되어 귀를 포함한 안면에 있는 오관(눈,코입,목)과 속귀신경에 인접한 기관의 혈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불안정한 뇌파를 안정시키며,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나 스트레스의 감소효과를 나타내는 이봉(귀뜸봉)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이봉(귀뜸봉)이 적용된 실험군 중 한명의 적용 전과 적용 후의 긴장도 완화, 산만도 완화, 주의 지수 및 항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이봉(귀뜸봉)이 적용된 실험군 다른 한명의 적용 전과 적용 후의 긴장도 완화, 산만도 완화, 주의 지수 및 항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이봉(귀뜸봉)이 적용된 실험군 중 또 다른 한명의 적용 전과 적용 후의 긴장도 완화, 산만도 완화, 주의 지수 및 항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의 제조방법은 한지를 쑥 추출물이 함유된 한약재 농축액 및 깨기름으로 이루어진 한약재 혼합물에 함침하는 한지함침단계(S101), 상기 한지함침단계(S101)를 통해 한약재 혼합물이 도포된 한지를 건조하는 제1건조단계(S103), 상기 제1건조단계(S103)를 통해 건조된 한지를 원통형으로 말고 이음부위를 접착하는 한지성형단계(S105), 상기 한지성형단계(S105)를 통해 성형된 원통형 한지의 일측 내부에 필터를 삽입하는 필터삽입단계(S107), 상기 필터삽입단계(S107)를 통해 일측에 필터가 삽입된 원통형 한지의 표면에 한약재 혼합물을 도포하는 한약재혼합물도포단계(S109) 및 상기 한약재혼합물도포단계(S109)를 통해 한약재 혼합물이 도포된 원통형 한지를 건조하는 제2건조단계(S111)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지함침단계(S101)는 한지를 쑥 추출물이 함유된 한약재 농축액 및 깨기름으로 이루어진 한약재 혼합물에 함침하는 단계로, 닥나무 수제 한지를 한약재 농축액 100 중량부 및 깨기름 0.01 내지 0.02 중량부로 이루어진 한약재 혼합물에 10 내지 30시간 동안 함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함침시간이 10시간 미만이면, 상기 한지에 한약재 혼합물이 충분히 스며들지 못하며, 상기 함침시간이 30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한약재 혼합물이 스며드는 효과는 더이상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공정의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쑥 추출물이 함유된 한약재 농축액은 산수유, 인동초, 꾸지뽕잎, 차전자, 생강, 감초, 모강, 밤, 대추, 마늘 및 쑥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혼합물을 증숙하고 볶는 과정을 5 내지 10회 반복한 후에 건조시킨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는데, 상기 산수유, 인동초, 꾸지뽕잎, 차전자, 생강, 감초, 모강, 밤, 대추, 마늘 및 쑥은 동일한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성분이 동일하게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를 정제수 1000 내지 3000 중량부에 혼합하고 100℃의 온도에서 8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하고, 고형분을 여과하여 제조된다.
또한, 상기 증숙은 150 내지 300℃의 온도에서 8 내지 20분 동안 이루어지며, 상기 볶는 과정은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이루어지며, 상기 건조는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60 내지 120분 동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깨기름은 0.01 내지 0.02 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상기 한약재 농축액에 점성을 부여하여 한약재 농축액이 한지에 잘 스며들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깨기름은 참기름 및 들기름이 7:3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한약재 혼합물은 25 내지 30brix의 농도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한약재 혼합물의 농도가 25brix 미만이면, 한약재 혼합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 이봉(귀뜸봉)이 갖는 효과가 저하되며, 상기 한약재 혼합물의 농도가 30brix를 초과하게 되면 이봉(귀뜸봉)이 갖는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제1건조단계(S103)는 상기 한지함침단계(S101)를 통해 한약재 혼합물이 도포된 한지를 건조하는 단계로, 상기 한지함침단계(S101)를 통해 한약재 혼합물이 도포된 한지를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50 내지 100시간 동안 건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지성형단계(S105)는 상기 제1건조단계(S103)를 통해 건조된 한지를 원통형으로 말고 이음부위를 접착하는 단계로, 상기 제1건조단계(S103)를 통해 건조된 한지를 밑지름이 5 내지 10 mm이며, 윗지름은 12 내지 25mm이고, 길이가 25 내지 50cm인 원통형으로 말고 이음부위를 풀로 접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한지성형단계(S105)를 통해 원통형으로 말아진 한지는 하부면의 지름이 5 내지 10mm를 나타내는데, 원통형으로 말아진 한지의 하부면은 사람의 귓구멍에 꽂아지기 때문에, 일반 사람의 귓구멍의 지름보다 작은 5 내지 10mm의 두께로 형성되면 사람의 귓구멍에 쉽게 꽂을 수 있으며, 상기 한지의 상부면은 지름이 12 내지 25mm로 하부면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뜸을 위한 불이 쉽게 붙는다.
또한, 상기 한지성형단계(S105)를 통해 성형된 한지는 길이가 25 내지 50cm를 나타내는데, 상기와 같이 25 내지 50cm로 성형된 한지는 이봉(귀뜸봉)으로 제조되면 이봉(귀뜸봉)이 타들어가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한지에 함유되어 있는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인체에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필터삽입단계(S107)는 상기 한지성형단계(S105)를 통해 성형된 원통형 한지의 일측 내부에 필터를 삽입하는 단계로, 상기 한지성형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원통형 한지의 중간 밑 부분에 쑥 추출물이 함유된 한약재 혼합물을 풀과 함께 쑤어 만든 필터를 삽입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필터는 지름이 8 내지 10mm이고, 길이가 11 내지 15mm를 나타낸다.
상기 필터는 이봉(귀뜸봉)이 타 들어가면서 원통형 내부 벽에서 타 내려오는 이물질이 귓속에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며, 뜨거운 열기가 귓속 내부로 갑작스럽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대류현상과 감압상태를 조절하여 한지에 함유된 한약재의 유효성분이 부드럽고 안전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한약재혼합물도포단계(S109)는 상기 필터삽입단계(S107)를 통해 일측에 필터가 삽입된 원통형 한지의 표면에 한약재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로, 상기 필터삽입단계(S107)를 통해 제조된 필터가 삽입된 원통형 한지의 표면에 한약재 혼합물을 붓 또는 스프레이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3 내지 5회 중복하여 도포하는 단계다.
상기의 한약재혼합물도포단계(S109)를 거치면 원통형 한지의 표면에 한약재 혼합물이 도포되어 이봉(귀뜸봉)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약재 혼합물은 상기 한지함침단계(S10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건조단계(S111)는 상기 한약재혼합물도포단계(S109)를 통해 한약재 혼합물이 도포된 원통형 한지를 건조하는 단계로, 상기 한약재혼합물도포단계(S109)를 통해 한약재 혼합물이 도포된 원통형 한지를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70 내지 130시간 동안 건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이봉(귀뜸봉)은, 이봉(귀뜸봉)이 타면서 이봉(귀뜸봉) 내의 감압으로 인해 귀속에 오래되고 정체된 공기를 순환시켜 굴뚝 현상을 만든다. 이봉(귀뜸봉)에 함유된 유효한 원료성분들이 귀속 깊이 전달되고 노폐물과 함께 기화되어 배출되면서 이봉(귀뜸봉) 내부의 벽에 부착되거나 고체로 변해 배출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정한 시간을 두고 이봉(귀뜸봉)을 여러 번 반복하면 노폐물의 배출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봉(귀뜸봉)의 원료 성분들은 기화되면서 감압작용에 의해 귀속과 귀에 관련된 피부조직에 스며들고 이러한 뜸의 효과로 인한 온도의 변화는 귀속 피부에 전달되어 귀를 포함한 안면에 있는 오관(눈,코입,목)과 속귀신경과 인접한 뇌신경은 척수신경으로 통하는 뇌간에 밀집되어 있어 태우면 높아진 온도의 대류현상과 음압상태의 영향으로 귀주변 조직내의 정체된 물질이 기화되어 이봉(귀뜸봉)을 통해 바깥으로 배출된다.
또한, 이봉(귀뜸봉)을 사용하면 뇌와 근접한 기관의 기혈에 흐름을 왕성하게 하기 때문에 밸런스가 깨진 뇌압의 균형을 찾고, 다양한 원인의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사람들의 불안정한 뇌파가 이봉(귀뜸봉)을 사용한 후에 안정되고 편안한 뇌파로 변화됨을 십여년이 넘는 임상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봉(귀뜸봉) 사용전과 사용후의 뇌파를 측정한 결과 육체와 정서의 이완효과는 물론, 인체의 긴장상태에서 발생되는 델타파가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간의 뇌는 어떤 자극에 대한 각성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뇌파가 발생하는데, 이는 외부에서 전달이 되는 자극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을 하고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안정적인 뇌파인 알파파나 세타파를 갖는 사람도 있고 불안정적인 뇌파인 베타파나 감마파가 발생하는 사람도 있다.
뇌파는 두뇌의 모든 정보 전달이 뉴런에 의해 일어난다. 뉴런과 뉴런 사이의 정보를 서로 주고받는 접합부위를 시냅스라 하며 시냅스 전까지는 전기적 신호로, 시냅스간 정보전달은 신경전달물질이라는 화학물질을 통해 시냅스 후부터 다시 전기적 신호로 전달된다.
인간의 사고와 행동은 대뇌의 기능에 의해 조절되고 대뇌의 기능은 많은 뇌 신경세포들의 활동에 달려 있으며 이러한 뇌 신경세포들의 활동은 뇌파(EEG)의 형태로 나타난다.
뇌파는 대뇌피질의 신경세포군에서 발생한 뇌전기 활동의 총화를 체외로 도출하고 이를 증폭해서 전위를 종축으로 시간을 횡축으로 해서 두피 상에서 기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파라 하면 두피 전극에서 포착된 두피뇌파(scalp EEG)를 말하며 뇌파측정은 객관적, 비침습적, 연속적으로 간단하게 대뇌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뇌생리학적 연구방법이다.
뇌는 140억 개의 신경세포를 가지고 있는 신경의 집합체이며 수상 돌기를 동반하는 세포체와 축색으로 구성되어있어 한 개의 신경세포는 활동을 할 때는 전압 80∼100mV, 지속 시간 0.5∼수msec로 지속되는 전위가 발생하는데 우리는 이를 활동전위라고 한다.
활동전위가 일어나면 두피에서 전위차가 기록되는데 전위차의 총 합을 뇌파라 하는데, 뇌파를 구성을 하는 요소로는 주파수(frequency), 진폭(ampltude),위상관계(phaserelation), 분포(distribution), 출현 양식(pattern) 및 파형(waveform)등이 있다.
뇌파의 간격 시간을 msec(msec1/1000sec)로 나타내며, 이 지속 시간을 주기라 하는데 주파수란 주기적으로 발생을 하는 파형이 1초에 몇 번이 반복 되는가를 나타내는 값으로 주로 Hz를 널리 사용을 하고 있다.
뇌파를 검사한다는 것은 뇌의 활동수준을 객관적인 지표로 나타내어 뇌의 활동성이 높아지는지 약해지는지를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뇌파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델타파(δ, 0.5~4Hz), 쎄타파(θ, 4~8Hz), 알파파(α, 8~13Hz), 베타파(β, 13~30Hz), 감마파(γ, 30Hz~50Hz)로 분류되며, 본 연구에서는 베타파를 SMR파(12~15Hz, 낮은 베타파), M-베타파(15~20Hz,중간 베타파), H-베타파(20~30Hz, 높은 베타파)로 세분화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알파파를 기준으로 해서 8Hz 미만을 서파(slow wave), 13Hz이상을 속파(fastwave)라고 구분한다.
뇌파에 의해 연구되어 온 자발뇌파는 일반적 생리현상에서 감각등 뇌 활동으로 나타나며, 유발뇌파는 뇌 활동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인위적으로 뇌 활동을 유도하여 관찰할 수 있다. 뇌파의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Delta wave : 0.5~3.99(Hz), 출현부위는 일정하지 않고 100-200㎶ 정도의 진폭으로 크고 불규칙한 서파, 나이와 상관없이 두뇌기능이 완전히 이완된 깊은 수면상태에서 우세하게 나타남. 정상 성인의 각성시 델타파가 나타나면 뇌종양, 뇌염 등의 병적요인의 판단근거. 특히 전방 전두부에서는 안구운동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델타파의 활성이 높게 나타남.
Theta wave : 4~7.99(Hz), 출현부위는 후두부와 측두부에서 기록되며, 10-50㎶ 정도 진폭으로 규칙적인 서파, 어린이의 경우 5-7Hz의 θ파가 출현. 60세 이상의 노령자에서는 약간 많아지며, 일반적으로 몸과 의식이 몽롱한 상태나 졸림과 깨어있음의 중간 상태 또는 깊은 명상시 발생.
무의식 및 창의력의 영역. 꿈과 같은 이미지를 동반하고 그 이미지는 생생한 기억으로 경험. 각성시에 나타나는 쎄타파는 주의각성을 시켜 문제해결의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창조적인 힘으로 연결.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뛰어넘는 영역으로 들어가 번쩍임이나 영감(inspiration)이 발생.
또한, 깊이 내면화되고 조용한 상태의 육체, 감정 및 사고 활동과 관련됨.
Alpha wave : 8~12.99(Hz), 신경생리학적으로 두뇌의 정상성인의 안정, 각성, 폐안 상태의 뇌파 중, 가장 주체가 되는 율동파(배경파).
출현부위는 두정엽과 후두엽에서 잘 기록되며, 10-150㎶ 정도의 진폭을 가짐. 후두부에서는 9-12Hz, 20-50㎶ 전후의 α파가 잘 나타나며, 정신 및 육체적 긴장이완이나 스트레스 해소, 편안한 상태일 때, 눈을 감았을 때, 집중할 때나 창의적인 사고를 할 때 발생. 집중력과 기억력 향상에 관련됨, 시각중추와 관련되고, 자율신경의 항상성 강화, 명상상태에 들어가기 위한 전 전계, 학습을 위한 주의력 형성의 전 단계로 준비상태를 의미.
Beta wave : 13~29.99(Hz), 일상생활 중 나타나 ‘활동뇌파’라고하며, 각성상태, 활동상태, 스트레스 상태에서 나타나며 청각, 촉각, 정서적 자극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 의사결정, 논리적 추론, 문제해결 등과 관련된 뇌파.
정상적으로 전두부에서 잘 기록되고, 5-10㎶의 낮은 진폭.
긴장하거나 집중되는 정신활동시 뇌 전체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남.
베타파는 SMR파, M-Beta파, H-Beta파로 구분하기도 함.
SMR파는 12~15Hz 대역의 뇌파로 감각운동피질(sensory moter cortex)
부분에서 주로 나타나며 각성 준비상태 또는 운동계의 대기상태로 주의집중과 관련이 있음.(Sterman, 1977).
중간 베타(M-Beta)파는 16~20Hz 대역의 뇌파를 말하며 의식활동 이나 정신활동 학습에 몰두 할 때 우세하게 발현하며, 높은 베타(H-Beta)파는 21~30Hz 대역으로 긴장이나 흥분 상태 혹은 스트레스 상태에서 나타남.
Beta wave : 13~29.99(Hz), 일상생활 중 나타나 ‘활동뇌파’라고하며, 각성상태, 활동상태, 스트레스 상태에서 나타나며 청각, 촉각, 정서적 자극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 의사결정, 논리적 추론, 문제해결 등과 관련된 뇌파.
정상적으로 전두부에서 잘 기록되고, 5-10㎶의 낮은 진폭.
긴장하거나 집중되는 정신활동시 뇌 전체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남.
베타파는 SMR파, M-Beta파, H-Beta파로 구분하기도 함.
SMR파는 12~15Hz 대역의 뇌파로 감각운동피질(sensory moter cortex)
부분에서 주로 나타나며 각성 준비상태 또는 운동계의 대기상태로 주의집중과 관련이 있음.(Sterman, 1977).
중간 베타(M-Beta)파는 16~20Hz 대역의 뇌파를 말하며 의식활동 이나 정신활동 학습에 몰두 할 때 우세하게 발현하며, 높은 베타(H-Beta)파는 21~30Hz 대역으로 긴장이나 흥분 상태 혹은 스트레스 상태에서 나타남.
Gamma wave : 30~50(Hz), 외적 의식으로 불안, 흥분의 강한 스트레스 상태에서 전두엽과 두정엽에서 비교적 많이 발생. 초월적 마음상태 또는 이완으로 벗어난 새로운 의식상태, 신경자원(neural resources)을 활성화시켜 총동원할 때, 즉 정신적으로 총력 집중할 때 발생하는 특징적인 뇌파.
또한, 뇌파의 측정과 분석은 두뇌의 기능을 나타내는 두뇌의 활성 상태는 일반적으로 뇌파 측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뇌파는 뇌의 활동에 따라 일어나는 전류 또는 그것을 도출 및 증폭하여 기록한 것이다. 또한, 두뇌가 생물학적 지능의 위치이며, 뇌파는 뇌의 활동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뇌파로 두뇌 기능을 측정하는 방법은 문화적 영향을 받지 않는 방법으로 사람들을 차별하지 않고 두뇌의 기능을 측정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뇌 기능과 관련한 뇌파적 연구는 뇌 기능의 부위와 관련하여 외부에서 가하는 일정 횟수의 단순한 반복 자극에 의해 구분되는 파형을 통해 뇌 반응 부위를 추적하는 유발전위반응(evoked response potential : ERP) 실험을 통해 주로 이루어진다.
단순하지 않은 과제 수행의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 일정하게 계속 반응하는 뇌의 기능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두뇌에서 방출되는 우세 뇌파의 특성과 뇌의 활성상태를 관련지어 해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뇌전위는 뇌의 활동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좌·우반구의 뇌전위 활성을 비교하여 이를 의식 수준 및 지적 수행과 관련시킬 수 있다.
뇌파연구는 일반적인 곡선 파형으로 나타나는 뇌파를 분석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있다.
그래서 뇌파분석에 있어 뇌파를 진폭 대 시간의 항목에서 기술되는 일반적인 뇌전위 신호를 의미하는 시간 도메인(time domain)으로부터 진폭대 주파수의 측면에서 기술되는 시그널(signal)을 의미하는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으로 전환하여 주파수에 따라 진폭을 나타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시간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의 전환에 주로 사용하는 수학적 방법은 고속 푸리에 변환 (fast Fourier Transform : FFT)이다. 이것은 어떤 시그널이 사인과 코사인의 다양한 주파수, 진폭, 위상들의 조합으로서 기술되게 하여 원 시그널에 존재하는 사인과 코사인파(cosine wave)를 나타내는 많은 수의 수적인 계수를 생성하며, Cooley-Turkey의 알고리즘에 따라 컴퓨터로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뇌파에 나타난 사인파와 코사인파를 각 주기에 따라 진폭량으로 비교하도록 뇌전위 스펙트럼(EEG spectrum)을 나타내고 주파수 성분을 정량화함으로써 뇌전위 신호 사이의 관계를 판단할 수 있다.
뇌전위 스펙트럼의 장점은 상당량의 데이터가 몇 가지 기술용어(descriptors)로 요약될 수 있으며, 시그널에서 선택된 형태가 정량적으로 조사될 수 있고, 시그널들 사이의 관계가 시각적 판단보다 더 정확하게 보여진다는 것이다.
또한, 뇌파 분석 지수는 측정된 뇌파를 통하여 뇌기능을 분석하는데 뇌기능지수는 각 파장대별 뇌파(δ파,θ파,α파,β파 등)를 서로 조절함으로써 두뇌의 기능 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한 수치들이다.
뇌파를 측정하여 뇌기능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뇌의 영역을 자율신경계 자기조절능력, 뇌의 발달정도를 나타내는 기초율동지수 분석, 뇌의 각성정도를 알 수 있는 주의 지수, 뇌의 활성상태를 파악하는 활성지수, 정서적인 균형정도를 파악하는 정서지수,육체적,정신적 스트레스정도를 파악하는 스트레스 지수, 좌뇌와 우뇌의 균형 상태를 파악하는 좌우뇌 균형 분석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뇌기능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주는 기준을 뇌기능지수라고 한다,
뇌파분석지수와 관련된 각각의 뇌기능지수의 종류와 특성을 알아보면 아래와 같다.
① 자기조절지수(SRQ:Self Regulation Quotient), 자기조절지수(Self-regulation Quotient)는 뇌의 건강과 활동력의 가장 기본적인 척도로 활용되고 있다. 뇌는 각성 시에 휴식 상태, 주의력 상태, 집중력 상태의 세가지 상태를 자율적으로 조절하면서 활동 리듬을 통제한다.
② 기초율동지수(BRQ:Basic Rhythm Quotient), 기초율동지수(Basic Rhythm Quotient)는 알파(α)파의 안정된 폐안 시에 지배적으로 나타나는데, 알파(α)파의 주파수는 뇌의 활동 속도를 말한다. 알파(α)파의 주파수가 정해진 연령 기준보다 느리면 뇌의 활동 속도가 느리다고 판단할 수 있다.
③ 주의지수(ATQ:Attention Quotient), 주의지수(Attention Quotient)는 뇌의 각성 정도와 질병이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나타내는 지수로 세타(θ)파의 활성도를 12~15Hz 대의 SMR 파의 활성도로 나눈값으로 계산되는데, 질병이나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면역력과 관련이 있다.
④ 활성지수(ACQ:Activity Quotient), 활성지수(Activity Quotient)는 좌뇌와 우뇌의 알파(α)파의 활성도, 저 베타(β)파 활성도 및 좌우 뇌의 전체적인 활성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정신적 활동과 사고 능력 및 행동 성향을 판단하는 지수로 사용되고 있다.
⑤ 정서지수(EQ:Emotion Quotient), 정서지수(Emotion Quotient)는 정서적 안정, 불안정 상태를 나타내는 지수로 좌우 뇌의 알파(α)파 진폭의 차이와 상호 연관성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⑥ 항스트레스지수(ASQ:Anti-Stress Quotient), 항스트레스지수(Anti-Stress Quotient)는 내외적 환경요인으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피로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스트레스의 저항력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항스트레스지수는 델타(δ)파와 고 베타(β)파의 상호 연관성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⑦ 좌우 뇌균형지수(CQ:correlation Quotient), 좌우 균형지수(Correlation Quotient)는 좌뇌와 우뇌의 균형을 보는 지수로 균형은 진포의 대칭과 위상의 대칭성이 있다. 10%정도의 차이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대칭성은 진폭의 대칭을 보는 것이고, 동시성은 위상의 대칭성을 보는 것이다.
⑧ 브레인 지수(BQ:Brain Quotient), 브레인 지수(Brain Quotient)는 위에서 설명한 모든 지수들을 바탕으로 해서 뇌의 기능을 종합 평가하는 지수로 절대적이지 않으며 자신의 노력에 의해 발달될 수 있다. 브레인지수는 IQ나 EQ와 달리 직접 뇌파를 측정하고 뉴로피드백 훈련을 적용 시켜봄으로서 뇌의 반응과 조절능력을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폭넓은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 지수이다.
상기 뇌기능 지수중 본 발명과 연관성이 있는 방법은 주파수 계열 스펙트럼 분석법으로서 기존의 밴드별 독립 분석법이 아니라 상호 연관성에 의한 서파화와 속파화 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또한 폐안과 개안시의 뇌파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기초율동(basic rhythm)의 주파수를 파악하고, 뉴로피드백에 의한 뇌의 자기조절정도 (degree of self- regulation)를 측정함으로써 뇌의 동적상태(dynamic state)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단순히 시계열 분석만 하거나 파워스펙트럼에만 의존하는 기존의 분석법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자기조절 지수(SRQ : Self-Regulation Quotient)는 기본 상태(Basic State), 뇌 컨디션(Brain-Condition), 분산도(Deviation), 가중치(Weight),훈련모드(Neurofeedback Training Mode)를 바탕으로 뇌의 자기조절 능력을 수치화 한 것 으로, 기본 상태는 개인의 성격, 심리상태, 생활태도, 학습 능력, 업무능력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뇌 컨디션은 세 가지 기분상태의 점수를 모두 더한 총점으로써 측정한 날의 뇌의 자기조절능력을 나타내며, 분산도는 기본 상태 점수 차이를 나타내며 세 점수의 분산 정도를 나타내는 표준편차와 최고 점수와 최저점수의 최대차이이다. 가중치는 연속적으로 같은 상태를 만들어내는 정도, 훈련모드는 가장 낮은 점수와 가장 낮은 가중치를 가진 상태를 말한다. 자기조절지수는 휴식(알파파), 주의력(SMR파), 집중력(저 베타)의 세 가지 기본상태에 대한 뇌의 자율조절 능력 평가 로서 구할 수 있다.
기본상태 측정시 색칠되어 지는 % 점수를 모두 더한 총점이 자기 조절지수 이다(Kamiya, 1972; Sterman,1977; Lubar, 1976).
주의 지수(ATQ : Attention Quotient)는 주의비율과, 긴장도, 산만도를 수치화 한 것으로, 미국 테네시대학교의 Lubar(1995)교수는 학습장애아들에 세타파가 SMR파가 매우 강하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세타파가 높아지면 주의집중도가 떨어진다고 보고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주의지수는 세타파의 활성도를 SMR파의 활성도로 나눈 수치이다. 주의비율은 세타(θ)파대 SMR파의 비율이며, 15에서 45세사이의 성인이나 고등학생이 대략 2 : 1이며, 중학생이나 50대는 3 : 1정도, 초등학생이나 60대는 4 : 1, 유아는 5 : 1정도, 5 : 1이라함은 세타(θ)파가 SMR파보다 5배 강하다는 뜻이다. 긴장도(Tension)는 육체적, 정신적 긴장정도를 나타내며, 이 수치가 높으면 육체적으로 근육 등이 긴장되어 있거나, 정신적으로 경직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산만하면 안정이 안 되어 있기 때문에 긴장도가 높게 나타난다. 주로 델타(δ)파에서 많이 표출된다, 바람직한 수치는 10이하이다.
산만도(Instability)는 정신적으로 불안정하여 산만한 상태를 나타내며, 이 수치가 높으면 정신적으로 잡념이 많고 산만하며 심리적으로 불안정하여 과격한 행동을 할 수 있다. 자리에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고 계속 온 몸을 움직이거나 틱 장애 등을 보이게 되며 높은 베타(fast β)파에서 많이 표출된다. 바람직한 수치는 1이하이며, 정신적으로 안정된 학생들은 0.5~1사이에 분포되어 있다. 주의지수는 12~15Hz 대의 SMR파에 대한 세타(θ)파의 비율 분석을 통해 구할 수 있다(Lubar, 1984).
항스트레스 지수(SRQ : Stress Resistance Quotient)는 내외적 환경 요인으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피로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뇌파는 흥분하거나 불안정한 경우 비동기화 현상에 의해 빠른 베타파가 활성화 되며 안정을 취하고 있을 때에는 대뇌피질의 다수 세포가 거의 동시에 활동하는 동기화 현상에 알파파와 더 느린 주파수의 델타,세타(δ,θ) 파 등의 서파가 우세하게 나타난다. 육체적 스트레스는 인체의 긴장과 불안, 흥분 상태를 나타내고 정신적 스트레스는 심리적인 긴장과 불안, 흥분 상태를 나타낸다. 항 스트레스지수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지수를 뜻하는 것으로 높을수록 좋다.
항스트레스지수는 델타(δ)파와 높은베타(fast β)파에 의해 구할 수 있다(Peniston, 1993). 상기 언급한 뇌기능 분석지수중 자기조절 지수(SRQ : Self-Regulation Quotient), 주의 지수(ATQ : Attention Quotient), 항스트레스 지수(SRQ : Stress Resistance Quotient)등을 본 발명에서는 발명의 취지 및 임상실험환경등에 맞춰 가감하여 진행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는 이봉(귀뜸봉)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이봉(귀뜸봉)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한약재 혼합물의 제조
산수유, 인동초, 꾸지뽕잎, 차전자, 생강, 감초, 모강, 밤, 대추, 마늘 및 쑥은 각각 흐르는 수돗물로 깨끗이 씻은 후 65℃에서 건조시키고, 건조된 상기 한약재들을 각각 10g씩을 혼합하고 증자기를 이용하여 200℃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증숙하고, 증숙된 한약재를 볶음솥에 투입하고 90℃의 온도에서 10분간 볶는 것을 5회 반복한 후에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80분간 건조하고, 건조된 한약재에 40g에 정제수 800g을 혼합하고 100℃의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추출액에서 고형분을 걸러낸 후에, 고형분이 걸러진 추출액에 참기름 7g 및 들기름 3g을 혼합한 다음 28brix 농도로 농축하여 한약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닥나무 수제한지를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한약재 혼합물에 32시간 동안 함침한 후에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건조하고, 건조된 한지를 밑지름 7mm, 윗지름 15mm 및 길이 40cm의 원통형으로 말고 이음부분을 풀로 접착시켜 원통형 한지로 제조하고, 제조된 원통형 한지의 일측면(밑지름 쪽)에 지름이 9mm이며, 길이가 12mm인 필터를 삽입하고, 필터가 삽입된 원통현 한지에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한약재 혼합물을 붓으로 4회를 도포한 후에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120시간 동안 건조하여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이봉(귀뜸봉)의 긴장도 완화, 산만도 완화, 주의 지수 및 항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이봉(귀뜸봉)의 긴장도 완화, 산만도 완화, 주의 지수 및 항스트레스 지수는 10 내지 18세의 청소년 60명을 대상으로 진행 하였으며, 임상대상자는 실험군 30명, 비교군 30명으로 본 실험의 취지를 설명하고 진행하였으며,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프로그램은 뇌기능분석프로그램인 BQ-Test이고, 뇌파측정을 위해 2ChannelSystem 이동식 뇌파 측정기를 컴퓨터에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뇌파측정기는 GrassSystem(USA)의 좌 ·우 뇌파 알파파,베타파,세타파 값에 대한 상관계수가 .916(p<.001)으로 나타나 신뢰도가 입증된바 있다.
실험은 상기 언급한 뇌기능 분석지수중 주의 지수(ATQ : Attention Quotient), 항스트레스 지수(SRQ : Stress Resistance Quotient)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임상대상자는 남자가 34명 여자가 26명이며, 남자 중 18명이 실험군이고 16명이 비교군이며, 여자 중 12명이 실험군이고 14명이 비교군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1회 실험시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이봉(귀뜸봉)을 3회 사용하였는데, 임상대상자의 귀가 상부로 향하도록 눕게 한 후 이봉(귀뜸봉)을 귀굿멍에 투입하여 밀착시키고 이봉(귀뜸봉)의 상부를 점화하여 20cm정도를 태우고 남은 이봉(귀뜸봉) 내의 빠져나온 불순물의 양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또한, 사후검사는 임상실험후 2주후에 실시하였다.}
<표 1>
Figure 112014121250325-pat00001
위 표에 1에 나타낸 것처럼, 실험군 긴장도에서는 긴장도 좌(p=.050), 긴장도 우(p=.055)로 나타나 신뢰구간 p(≤0.05)에서 긴장도 좌우 모두에서 개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군 긴장도의 임상실험 전 평균값이(좌=24.47 우=26.92), 임상실험 후(좌=23.77 우=22.98)로 사후 평균값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산만도에서는 산만도좌(p=.008) 산만도우(p=.015)로 나타나 신뢰구간 p(≤0.05)에서 높은 수준의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실험군 산만도의 임상실험 전 평균값이(좌=1.70 우=1.60), 임상실험 후(좌=0.88 우=0.93)로 사후 평균값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군 주의 지수에서 실험군의 평균값이 임상시험전 평균값이(좌=58.53, 우=60.67), 임상실험 후(좌=66.48 우=67.26)로 평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항스트레스 지수에서 실험군의 평균값이 임상시험전 평균값이(좌=55.83, 우=63.01), 임상실험 후(좌=70.65 우=75.15)로 평균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주의 지수는 뇌의 각성 정도와 질병이나 스트레스, 육체적 피로에 대한 저항력을 나타내고, 항 스트레스 지수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 능력을 나타내므로 높을수록 개선 효과가 좋으며 긴장도와 산만도는 낮아질 수록 개선효과가 좋고 바람직한 상태이다. 긴장도는 10점과 가까울수록 산만도는 1이하가 바람직하다.
반면, 이봉(귀뜸봉)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 30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신뢰구간 p(≤0.05) 수준에서 보았을 때 비교군은 긴장도, 산만도, 주의지수, 항스트레스에서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검토해 보았을 때 항스트레스 지수의 경우 평균상의 다소 증가가 나타났지만 유의한 수준으로 이어지지 않았고 육체적,정신적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긴장도, 산만도 및 주의지수의 경우에는 거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아래 도 2 내지 4에 나타낸 것처럼 실험군 중 3인의 좌, 우뇌파를 측정해본 결과 산만도, 긴장도, 주의지수와 관련이 깊은 세타(θ)파와 항스트레스지수와 관련 깊은 델타(δ)파와 높은베타(fast β)파 수치가 실험전과 실험후 수치가 눈에 띄게 변화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상기 실험군의 데이터를 분석한 바와 같이 산만도, 긴장도, 주의지수 및 항스트레스지수에 대한 개선효과가 우수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S101 ; 한지함침단계
S103 ; 제1건조단계
S105 ; 한지성형단계
S107 ; 필터삽입단계
S109 ; 한약재혼합물도포단계
S111 ; 제2건조단계

Claims (5)

  1. 한지를 쑥 추출물이 함유된 한약재 농축액 100 중량부 및 깨기름 0.01 내지 0.02 중량부로 이루어진 한약재 혼합물에 함침하는 한지함침단계;
    상기 한지함침단계를 통해 한약재 혼합물이 도포된 한지를 건조하는 제1건조단계;
    상기 제1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한지를 원통형으로 말고 이음부위를 접착하는 한지성형단계;
    상기 한지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원통형 한지의 일측 내부에 필터를 삽입하는 필터삽입단계;
    상기 필터삽입단계를 통해 일측에 필터가 삽입된 원통형 한지의 표면에 한약재 혼합물을 도포하는 한약재혼합물도포단계; 및
    상기 한약재혼합물도포단계를 통해 한약재 혼합물이 도포된 원통형 한지를 건조하는 제2건조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필터는 상기 쑥 추출물이 함유된 한약재 혼합물을 풀과 함께 쑤어 제조된 것이고, 그 크기는 지름이 8 내지 10mm이며, 길이가 11 내지 15mm인 것이고,
    상기 쑥 추출물이 함유된 한약재 농축액은 산수유, 인동초, 꾸지뽕잎, 차전자, 생강, 감초, 모강, 밤, 대추, 마늘 및 쑥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혼합물을 증숙하고 볶는 과정을 5 내지 10회 반복한 후에 건조시킨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깨기름은 참기름 및 들기름이 7:3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의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지성형단계는 상기 제1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한지를 밑지름이 5 내지 10mm이며, 윗지름은 12 내지 25mm이고, 길이가 25 내지 50cm인 원통형으로 말고 이음부위를 풀로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의 제조방법.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3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KR1020140179782A 2014-12-12 2014-12-12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 KR101525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82A KR101525447B1 (ko) 2014-12-12 2014-12-12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82A KR101525447B1 (ko) 2014-12-12 2014-12-12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447B1 true KR101525447B1 (ko) 2015-06-03

Family

ID=5350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782A KR101525447B1 (ko) 2014-12-12 2014-12-12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4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275B1 (ko) * 2018-11-30 2019-04-22 박하린 불면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원통형 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0576A (ko) 2018-12-10 2020-06-18 (주)코로나바이오 일라이트와 쑥을 이용한 이비인후과 질환 치료보조용 뜸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695A (ko) * 1994-07-14 1996-02-23 김용민 뜸쑥 및 뜸쑥의 제조방법
KR100403829B1 (ko) * 2000-08-30 2003-11-01 고운맘 구강쑥뜸구
KR100839663B1 (ko) * 2007-04-18 2008-06-19 김지문 이비인후과 질환 치료보조용 원통형 뜸봉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695A (ko) * 1994-07-14 1996-02-23 김용민 뜸쑥 및 뜸쑥의 제조방법
KR100403829B1 (ko) * 2000-08-30 2003-11-01 고운맘 구강쑥뜸구
KR100839663B1 (ko) * 2007-04-18 2008-06-19 김지문 이비인후과 질환 치료보조용 원통형 뜸봉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귀뜸봉, 네이버 블로그 [URL: http://blog.naver.com/9900song/150045645378] (2009.04.07.) *
귀뜸봉, 네이버 블로그 [URL: http://blog.naver.com/9900song/150045645378] (2009.04.07.)*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275B1 (ko) * 2018-11-30 2019-04-22 박하린 불면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원통형 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0576A (ko) 2018-12-10 2020-06-18 (주)코로나바이오 일라이트와 쑥을 이용한 이비인후과 질환 치료보조용 뜸봉
KR102222486B1 (ko) * 2018-12-10 2021-03-04 (주)코로나바이오 일라이트와 쑥을 이용한 이비인후과 질환 치료보조용 뜸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ijayalakshmi et al. Estimation of effects of alpha music on EEG components by time and frequency domain analysis
Ajjimaporn et al. Effects of 8 weeks of modified hatha yoga training on resting-state brain activity and the p300 ERP in patients with physical disability-related stress
Saletu et al. Hypno-analgesia and acupuncture analgesia: a neurophysiological reality?
Balt et al. The effect of infraslow frequency neurofeedback on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in adults with anxiety and related diseases
Esfahani et al. Closed-loop auditory stimulation of sleep slow oscillations: basic principles and best practices
KR101525447B1 (ko) 뇌파안정 효과를 나타내어 집중력 강화 및 산만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이봉(귀뜸봉) 및 그 제조방법
Gaur et al. EEG Brain Wave Dynamic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on Eff ect of Yoga on Mind Relaxation
Litscher High-tech laser acupuncture is Chinese medicine
Valverde Neurotechnology as a tool for inducing and measuring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in transpersonal psychotherapy
Khajuria et al. Investigating the brain activity correlates of humming bee sound during Bhramari pranayama
Litscher Bioengineering assessment of acupuncture, part 6: monitoring—neurophysiology
Overcash et al. Cranial electrotherapy stimulation in patients suffering from acute anxiety disorders
Chung et al. The efficacy of respiratory regulation on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ppraised by heart rate variability
Song et al. The effect of a binaural beat combined with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triggers on brainwave entrainment
Kim et al. Use of pupil size to determine the effect of electromagnetic acupuncture on activation level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WI441624B (zh) 結合穴位電刺激與體感覺誘發電位分析之評估系統
Rakovic et al. Electroencephalographic (EEG) correlates of some activities which may alter consciousness: the transcendental meditation technique, musicogenic states, microwave resonance relaxation, healer/healee interaction, and alertness/drowsiness
Pop-Jordanova et al. Applied neuroscience: Why and how biofeedback methodology work?
Karuppathal et al. Brainwave entrainment through external sensory stimulus: a therapy for insomnia
Qin et al. Cognitive components characteristic of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in upper limb amputees with evoked tactile sensation
RU2311205C2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психофизиолог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человека и способ релаксации, используемый в нем
Kouzak et al. Biofeedback in Clinical Psychology: Modalities and Perspectives
Doletskii et al. The effect of music and aromatherapy on the electrical activity of athlete's brain
El Kanbi et al. EEG and computational aspects of how aging affects sleep slow waves
Jarjees The causality between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Central Neuropathic Pain (CNP), and the effectiveness of neuromodulation strategies on cortical excitability and CNP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