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248B1 -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248B1
KR100836248B1 KR20060118236A KR20060118236A KR100836248B1 KR 100836248 B1 KR100836248 B1 KR 100836248B1 KR 20060118236 A KR20060118236 A KR 20060118236A KR 20060118236 A KR20060118236 A KR 20060118236A KR 100836248 B1 KR100836248 B1 KR 100836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ming call
terminal
service
ring tone
call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18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8197A (ko
Inventor
손희남
이상혁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60118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248B1/ko
Publication of KR20080048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24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와 연결된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착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착신단말기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 상태이면, 발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을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자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자에게 발신할 경우 발신자에게 발신자가 설정한 착신통화연결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60118236
통화연결음, 교환기, RBT, 단말기

Description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ingback ton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이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제공서버 접속 실패에 따른 후속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음 서비스의 활성화/비활성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한 자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자에게 발신할 경우 발신자의 착신통화연결음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소정의 번호로 다이얼링하면 전화기는 디지털 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교환기로 전송한다. 교환기가 호출전류를 착신측에 인가하면 착신측은 링백톤 신호(ring back tone signal), 비지톤 신호(busy tone signal) 또는 네트워크 비지톤 신호(network busy tone signal) 등으로 교환기에 응답을 하게 된다. 그 후 후크-오프신호(hook-off signal)가 상기 교환기에 전송되면, 발신측과 수신측의 통화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교환기는 착시측으로부터 링백톤 신호, 비지톤 신호 또는 네트워크 비지톤 신호를 발신측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발신측은 수신된 신호를 통해 착신측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휴대폰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버튼 또는 송신(Send)버튼을 눌러,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기지국과 무선 통화로가 형성되면 발신측으로 링백톤 신호가 송출되거나, 무선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비지톤 신호가 송출된다.
즉, 링백톤 신호는 발신측이 착신측에 통화를 시도한 경우에 상기 발신측/착 신측 사이의 교환기를 통해 양자간 통화로가 형성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이러한 종래의 전화기 및 휴대폰의 경우 링백톤 신호는 모두 일률적이어 매우 단조롭고 따분하며, 또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시간을 그냥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링백톤 신호를 대체하여 발신자측에 제공되는 통화연결음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서비스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단조로운 링백톤 신호 대신 다양한 음원을 제공 받을 수 있는 것이다.
현재의 통화연결음 서비스는 2가지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첫째로 발신자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한 자에게 전화를 할 경우 발신자는 착신자가 설정한 착신통화연결음을 듣게 되는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가 있다. 둘째로 발신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한 자가 착신자에게 전화를 할 경우 발신자는 발신자가 설정한 발신통화연결음을 듣게 되는 발신통화연결음 서비스가 있다.
현재 발신통화연결음 서비스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가 동시에 동작할 경우 발신통화연결음 서비스가 우선적으로 동작하게 되어 있어 발신자에게 착신통화연결음은 들리지 않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자인 발신자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자에게 발신할 경우 발신자는 통화연결음(음원)을 들을 수 없으며, 링백톤이나 비지톤을 듣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자인 발신자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자에게 발신할 경우 발신자가 설정한 착신통화연결음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화 시 통화 분위기 조성을 위한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와 연결된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착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착신단말기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 상태이면, 상기 발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을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단말기로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착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착신단말기가 착신통화연결 음 서비스 미가입 상태이면, 상기 발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을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로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를 가입한 발신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호 요청에 상응하여 홈위치등록기로 착신위치정보 요청 메시지(Location Request invoke message)를 전송하는 발신교환기-여기서, 착신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는 발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정보를 포함함-; 상기 착신위치정보 요청에 상응하여 착신교환기로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착신교환기로부터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교환기로 착신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홈위치등록기; 및 상기 발신교환기로부터 회선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음원제공서버로 착신통화연결음을 요청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착신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되는 착신통화연결음은 착신단말기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 상태이면 상기 발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이고, 상기 착신단말기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상태이면,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 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통화연결음(예를 들어, 멜로디, 광고 메시지, 특정소리 등)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단말기(150)의 호 요청을 수신한 서비스 시스템(100)은 착신단말기(160)가 착신통화연결음 미가입인 경우, 착신호 처리 이벤트(예를 들어, 착신단말기(160)의 응답 등)가 발생하는 시점까지 발신단말기(150)의 착신통화연결음을 발신단말기(1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및 착 신 단말기(150,160)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에 모두 가입한 경우 서비스 시스템(100)은 착신단말기(160)의 착신통화연결음을 발신단말기(1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단말기(150)의 착신통화연결음 제공시점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교환기(130)가 착신단말기(160)로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된 상태는 가입한 통화연결음 서비스가 활성화 되어 있음을 전제로 할 것이다. 또한, 단말기가 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나 가입한 통화연결음 서비스가 비활성화 되도록 등록된 경우는 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 상태와 동일하게 취급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100)은 발신교환기(110), 홈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120), 착신교환기(130) 및 음원제공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시스템(100)은 통신망을 통해 발신단말기(150) 및 착신단말기(160)와 연결되어 있다.
발신교환기(110)는 발신 PSTN(일반전화교환망,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발신 이동 교환국(MSC/VLR)을 포함할 수 있다.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한 유선전화 서비스 단말기 사용자는 발신 PSTN을 포함하는 발신교환기(110)를 통해 착신 PSTN과 연결된 유선전화 서비스 단말기 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다. 또한,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기지국/기지국 제어기(BTS/BSC) 및 발신 이동 교환국(MSC/VLR)을 통해 착신 PSTN과 연결된 유선전화 서비스 단말기 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으며, 착신 이동 교환국 및 BTS/BSC를 통해 자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화할 수 있고,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및 타 이동 교환망과 연결된 타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화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명확한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신교환기(110)에 대한 사항은 발신 이동 교환국을 기준으로 설명될 것이다.
홈위치등록기(120)는 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 정보, 가입 정보, 위치 정보 및 인증 기능 등을 포함하는 이동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이다. 또한, 홈위치등록기(120)는 발신 및 착신 이동 교환국과 연결되어 있으며, 방문자위치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와 더불어 신호망 프로토콜(SS7)을 제어한다. 또한, 입중계 호(incoming call)를 완료하고 가입자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위치등록기(120)는 발신 및 착신 단말기(150,160)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발신단말기(150)의 착신통화연결음을 제공할 수 있는 음원제공서버(140)에 착신교환기(130)가 접속하기 위한 라우팅 정보를 착신교환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는 발신 및 착신 이동 교환국가 동일한 홈위치등록기(120)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발신 및 착신 이동 교환국은 서로 다른 홈위치등록기에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홈위치등록기(120)가 수행하는 세부적인 호 처리 절차에 관한 사항은 도 3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착신교환기(130)는 착신 PSTN, PLMN, 타 이동교환망 및 착신 이동 교환국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명확한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착신교환기(130)에 대한 사항은 착신 이동 교환국을 기준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신교환기(130)는 기존의 망 구성 요소로서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또한, 착신교환기(130)는 착신단말기(160)의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하여, 착신단말기(160)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인 경우 음원제공서버(140)와 연동하여 발신단말기(150)의 착신통화연결음을 발신단말기(15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착신단말기(160)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를 가입한 경우 음원제공서버(140)와 연동하여 착신단말기(160)의 착신통화연결음을 발신단말기(15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착신교환기(130)에서 발신단말기(150)로 전송되는 통화연결음은 발신교환기(110)를 경유하여 발신단말기(150)로 전송되는 것으로 이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신교환기(130)가 수행하는 호 처리 절차에 관한 사항은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음원제공서버(140)는 착신교환기(13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발신단말기(150)로 음원제공서버(140)에 저장된 통화연결음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원제공서버(140)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를 통해 음원제공서버(140)에 내장되지 않은 음원을 웹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발신단말기(150)는 유선전화 서비스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고, 착신단말기(160)는 유선전화 서비스 단말기, 타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자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발명의 명확한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신 및 착신 단말기(150, 16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것을 전제로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100)이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210에서, 서비스 시스템(100)은 발신단말기(150)로부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발신단말기(150)는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를 가입한 단말기이며, 가입한 서비스는 활성화 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단계 220에서, 서비스 시스템(100)은 착신단말기(160)의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한다. 물론, 착신단말기(160)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단계 220은 착신단말기(160)의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가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이하 전자의 경우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는 대응되는 후자의 경우도 포함하는 설명임을 당업자는 이해해야 할 것이다.
판단 결과 착신단말기(160)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 상태이면, 서비스 시스템(100)은 단계 230을 진행하여 발신단말기(150)의 착신통화연결음을 발신단말기(150)로 전송한다. 여기서, 발신단말기(150)의 착신통화연결음을 발신단말기(150)로 전송하기 위한 상세한 과정은 도 3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또한, 판단결과 착신단말기(160)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상태이면, 서비스 시스템(100)은 단계 240을 진행하여 착신단말기(160)의 착신통화연결음을 발신단말기(1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착신단말기(160)의 착신통화연결음을 발 신단말기(150)로 전송하기 위한 상세한 과정은 도 3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단계 250에서, 서비스 시스템(100)은 착신호 처리 이벤트(예를 들어, 페이징 응답이 없는 경우(이하, '노 페이징(No Paging)' 이라 함), 무응답(No Answer), 응답(Answer), 전원오프, 음영지역존재, 통화 중 상태 등)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착신호 처리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착신통화연결음을 착신호 처리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까지 발신단말기(15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착신호 처리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면, 서비스 시스템(100)은 단계 260을 진행하여 통화연결음 전송 중단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발생한 착신호 처리 이벤트가 착신단말기(160)의 응답(Answer)인 경우, 서비스 시스템(100)은 단계 270을 진행하여 발신단말기(150)와 착신단말기(160) 간 통화를 연결한다. 또한, 발생한 착신호 처리 이벤트가 무응답(No Answer)인 경우 서비스 시스템(100)은 발신단말기(150)에게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계 305에서, 발신단말기(150)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한 발신교환기(110)는 홈위치등록기(120)로 착신위치정보 요청 메시지(Location Request invoke message)를 전송한다. 여기서, 착신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는 발신단말기(150)가 가입한 서비스 정보(예를 들어,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정보 등)를 포함한다. 물론, 서비 스 정보는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외에 발신단말기(150)가 가입한 다른 서비스(예를 들어, 발신통화연결음 서비스 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310에서, 착신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홈위치등록기(120)는 회선구성을 위해 해당 착신교환기(130)로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발신단말기(150)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가 가입 상태이고 착신단말기(160)는 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 상태이면, 라우팅 정보는 발신단말기(150)의 착신통화연결음을 제공할 수 있는 음원제공서버(140)에 착신교환기(130)가 접속하기 위한 라우팅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315에서, 착신교환기(130)는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를 홈위치등록기(120)로 전송하고, 단계 320에서, 홈위치등록기(120)는 착신 위치정보 요청에 상응하는 착신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발신교환기(110)로 전송한다.
단계 325에서, 발신교환기(110)는 착신교환기(130)로 회선연결 요청 메시지(IAM:Initial Address Message)를 전송한다. 회선연결 요청 메시지는 착신번호 및 발신번호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발신단말기(150)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착신교환기(130)는 착신호 절차(예를 들어, 페이징(Paging) 절차 등)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착신교환기(130)는 착신단말기(160)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Paging Request Message)를 전송하여 착신단말기(16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착신교환기(130)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페이징 응답 메시 지(Paging Response Message)를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경우 착신단말기(160)가 통화가능지역을 이탈(예를 들어,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등)한 경우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교환기(130)가 수행하는 페이징 처리 절차와 음원제공서버(140) 접속 절차를 포함하는 통화연결음 전송 절차(단계 340)는 별도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착신교환기(130)가 음원제공서버(140)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도 착신호 절차는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제공서버(140) 접속을 위한 가용 중계선(Bearer Channel)이 없기 때문에 착신교환기(130)가 음원제공서버(140) 접속에 실패하는 경우에도 페이징 응답에 따른 처리 절차 및 트래픽(Traffic) 할당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착신교환기(130)는 발신교환기(110)로 통화연결음을 전송할 수 없으므로 기존의 링백톤(RBT)를 전송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착신교환기(130)가 통화연결음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음원제공서버(140)가 전송하는 착신통화연결음은 착신교환기(130)가 착신단말기(160)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부터 발신단말기(15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착신교환기(130)는 착신단말기(160)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즉시 또는 동시에 단계 340의 통화연결음 전송절차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통화연결음은 착신교환기(130)가 착신단말기(160)로부터 페이징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발신단말 기(150)로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착신교환기(130)가 착신단말기(160)로부터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예를 들어, 착신단말기(160) 통화가능지역을 이탈한 경우 등) 착신교환기(130)는 단계 340을 수행하지 않고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발신단말기(1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착신교환기(130)가 착신단말기(160)로부터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착신교환기(130)는 회선연결 요청 메시지(IAM)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번호와 착신번호 및 발신단말기(150)의 위치정보 등을 이용하여 회선연결완료 메시지(ACM: Address Complete Message)를 발신교환기(110)로 전송한 후 단계 340을 수행한다. 여기서 회선연결완료 메시지는 착신단말기(160)와 발신단말기(150)의 회선구성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말한다.
단계 340의 통화연결음 전송절차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계 341에서, 착신단말기(160)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를 가입한 경우, 착신교환기(130)는 착신단말기(160) 프로필(Profile)에 저장된 음원제공서버(140) 접속을 위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회선연결 요청 메시지(IAM)를 음원제공서버(140)로 전송한다. 또한, 착신단말기(160)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인 경우, 단계 310에서 수신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회선연결 요청 메시지(IAM)를 음원제공서버(140)로 전송한다. 여기서, 회선연결 요청 메시지는 착신번호, 발신번호, 착신단말기(160)의 위치정보 및 발신단말기(150)의 통화연결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착신단말기(160)의 위치정보는 방문자위치등록기(VLR)에 저장된 셀(Cell) 정보일 수 있다.
단계 342에서, 음원제공서버(140)는 착신번호 및 발신번호를 분석하여 정상등 록 가입자이면 회선연결완료 메시지(ACM)를 착신교환기(130)로 전송한다.
단계 343에서, 음원제공서버(140)는 착신교환기(130)로 음원제공서버(140)와 착신교환기(130) 간 통화로 구성을 위한 착신응답 메시지(ANM: Answer Message)를 전송한다.
단계 344에서, 음원제공서버(140)는 단계 340에서 수신한 정보에 따른 통화연결음(음원)을 발신교환기(110)로 전송한다. 즉, 착신단말기(160)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를 가입한 경우 음원제공서버(140)는 미리 설정된 착신단말기(160)의 착신통화연결음을 발신단말기(150)로 전송한다. 또한, 착신단말기(160)가 착신통화연결음 미가입인 경우 음원제공서버(140)는 미리 설정된 발신단말기(150)의 착신통화연결음을 발신단말기(150)로 전송한다.
단계 350에서, 착신호 처리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착신교환기(130)는 단계 360의 통화연결음 전송 중단 절차를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호 처리 종료 이벤트는 착신단말기(160)가 착신교환기(130)의 페이징 요청 (Paging Request) 에 대해 페이징 응답(Paging Response)이 없는 경우(예를 들어, 착신단말기(160)가 음역지역에 존재하는 경우(통화권 이탈)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호 처리 종료 이벤트는 착신단말기(160)가 페이징 응답은 하였으나,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착신단말기(160)가 응답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착신교환기(130)는 단계 360의 통화연결음 전송 중단 절차를 진행한 후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발신단말기(1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사서함 서비스는 착신교환기(130)가 홈위치등록기(120)로부터 음성사서함 제공서버의 라우팅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신교환기(130)는 무응답(Time-out) 처리를 한 후, 홈위치등록기(120)로 중계를 요구(Route Request)하여 홈위치등록기(120)가 발신교환기(110)로 라우팅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착신호 처리 종료 이벤트는 착신단말기(160)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응답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착신교환기(130)는 발신교환기(110)로 통화로 구성을 위한 착신 응답 메시지(ANM: Answer Message)를 발신교환기(110)로 전송한 후, 통화연결음 전송 중단을 위해 단계 360을 수행한다. 단계 360의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계 361에서, 착신교환기(130)는 음원제공서버(140)로 해제 메시지(REL: Release Message)를 전송한다.
단계 362에서,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음원제공서버(140)는 착신통화연결음 전송을 중단하고, 해제완료 메시지(RLC: Release Complete Message)를 착신교환기(130)로 전송한다.
단계 365에서, 발신교환기(110)와 착신교환기(130) 간 통화로를 통해 발신단말기(150)와 착신단말기(160)간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음 제공 불능에 따른 후속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계 410에서, 착신교환기(130)는 발신교환기(110)로부터 회선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420에서, 착신교환기(130)는 통화연결음 전송 불능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통화연결음 전송 불능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단계 430을 진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신 또는 착신 단말기(150,160)의 착신통화연결음이 발신단말기(150)로 전송될 것이다. 통화연결음 전송 불능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단계 440을 진행하여, 착신교환기(130)는 기존에 착신교환기(130)에서 전송하던 링백톤(RBT)을 발신단말기(150)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화연결음 전송이 불가능한 상태는 다양한 경우가 예상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착신교환기(130)가 음원제공서버(140) 접속을 위한 회선연결 요청 메시지(IAM) 전송 시 관련 신호점이 다운(DOWN) 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또한, 음원제공서버(140) 접속을 위한 가용 중계선(Bearer Channel)이 없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또한, 착신교환기(140)는 음원제공서버(140) 접속 (즉, 착신 응답 메시지(ANM) 수신) 후에 음원제공서버(140)로부터 해제 메시지(REL message)를 수신하는 경우 그 즉시 기존에 착신교환기(130)가 전송하던 RBT를 발신자에게 전송해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저장한 가입 자 DB는 가입 정보에 따라 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정보를 홈위치등록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가입 정보는 통화연결음 서비스 등록 정보일 수 있으며, 또한, 등록된 통화연결음 서비스의 삭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520에서, 홈위치등록기는 교환기로 상기 가입정보를 포함하는 권한자료명령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가입 정보는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음원제공서버 접속을 위한 라우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교환기는 VLR(Visitor Location Register)에 수신한 가입정보를 가입자 프로필에 저장한 후, 홈위치등록기로 권한자료명령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음 서비스의 활성화/비활성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610에서, 교환기는 홈위치등록기로 통화연결음 서비스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해 부가기능요구 메시지(Feature Request)를 전송한다. 여기서, 통화연결음 서비스는 발신 또는 착신 통화연결음 서비스일 수 있다. 또한, 부가기능요구 메시지는 통화연결음 서비스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에 따른 파라미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Feature 값이 "*55" 인 경우 홈위치등록기는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활성화 요청으로 인식하여 가입된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Feature 값이 "*550" 인 경우 홈위치등록기는 통화연결음 서비스 비활성화 요청으로 인식하여 가입된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물 론, Feature 값은 부가 서비스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의 Feature 값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620에서, 홈위치등록기는 요청된 서비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키고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630에서, 홈위치등록기는 설정된 통화연결음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권한자료명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연결음 서비스 정보는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음원제공서버 접속을 위한 라우팅 정보 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교환기가 권한자료명령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홈위치등록기로 전송함으로써 통화연결음 서비스의 활성화/비활성화 과정이 종료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자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자에게 발신할 경우 발신자에게 발신자가 설정한 착신통화연결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자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자에게 발신할 경우 발신자에게 착신자가 설정한 착신통화연결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시 통화 분위기 조성을 위한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와 연결된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착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착신단말기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 상태이면, 상기 발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을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단말기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상태이면,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을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착신호 처리 종료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착신호 처리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되는 착신통화연결음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호 처리 종료 이벤트는 상기 착신단말기의 전원오프, 노 페이징(No Paging), 무응답(No Answer), 응답(Answer), 음영지역존재 및 통화 중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착신통화연결음 전송 불능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상태에 따른 착신통화연결음을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링백톤(RBT)을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단말기로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착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착신단말기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 상태이면, 상기 발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을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단말기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상태이면,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을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7.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로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를 가입한 발신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호 요청에 상응하여 홈위치등록기로 착신위치정보 요청 메시지(Location Request invoke message)를 전송하는 발신교환기-여기서, 착신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는 발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정보를 포함함-;
    상기 착신위치정보 요청에 상응하여 착신교환기로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착신교환기로부터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교환기로 착신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홈위치등록기; 및
    상기 발신교환기로부터 회선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음원제공서버로 착신통화연결음을 요청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착신교환기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되는 착신통화연결음은 착신단말기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 상태이면 상기 발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이고, 상기 착신단말기가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 상태이면,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기는 착신통화연결음 서비스가 가입 상태이고 상기 착신단말기는 통화연결음 서비스 미가입 상태이면, 상기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는 상기 발신단말기의 착신통화연결음을 제공할 수 있는 음원제공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통화연결음은 상기 착신교환기가 상기 착신단말기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부터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교환기는 착신호 처리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음원제공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되는 착신통화연결음을 중단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KR20060118236A 2006-11-28 2006-11-28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836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8236A KR100836248B1 (ko) 2006-11-28 2006-11-28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8236A KR100836248B1 (ko) 2006-11-28 2006-11-28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197A KR20080048197A (ko) 2008-06-02
KR100836248B1 true KR100836248B1 (ko) 2008-06-09

Family

ID=3980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18236A KR100836248B1 (ko) 2006-11-28 2006-11-28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2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697B1 (ko) * 2017-07-03 2021-03-17 주식회사 케이티 비즈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076A (ko) * 2002-10-18 2003-01-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 미가입자에 대한 발신시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076A (ko) * 2002-10-18 2003-01-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 미가입자에 대한 발신시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197A (ko) 2008-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4858B1 (en) Personal dial tone service with personalized call waiting
US84782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al time ringback tone, and terminal thereof
EP20304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ingback tone personalization
IL150781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mages for identifying the caller in a mobile telephony network
US80817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all monitoring service for multiple telecommunications units
US200201070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ving a multimedia mail message without ringing a wireless phone
KR19990036392A (ko) 원격 장치에 특징 발신 호출을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
JP5072177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上で非通知電話を転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40100927A (ko) 이동 피호출 가입자가 이용 가능하게 될 때 호출 가입자가받는 통지
KR20060051926A (ko) 팩스 재시도 차단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CN101626558B (zh) 一种移动手机免打扰系统
KR20040102834A (ko)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방법
KR100836248B1 (ko)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0525482C (zh) 智能网方式中个性化回铃音呼叫保护的方法及装置
KR100454957B1 (ko)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유선 전화 단말기에서 부재중수신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법
JP2003525531A (ja) 音声メッセージングシステム
KR100467356B1 (ko) 지능망을 이용한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757010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07907B1 (ko) 국제 로밍 통화연결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3304A (ko) 통신시스템에서 착신 가입자의 상태에 따른 착신호 제어서비스 방법
KR20040078176A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20040039546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완료호 자동 연결 서비스 방법
KR10049309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시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KR2004009353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상태 서비스 방법
KR20040103690A (ko)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