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218B1 -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on to manage features of product line system - Google Patents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on to manage features of product lin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218B1
KR100836218B1 KR1020060124207A KR20060124207A KR100836218B1 KR 100836218 B1 KR100836218 B1 KR 100836218B1 KR 1020060124207 A KR1020060124207 A KR 1020060124207A KR 20060124207 A KR20060124207 A KR 20060124207A KR 100836218 B1 KR100836218 B1 KR 100836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feature
features
family
vari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진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24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2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2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aging the features of system automatically are provided to enhance product quality by processing system components properly and automatically even when a new product feature is added or features of products are varied. An apparatus for managing the features of system automatically includes a feature selection rule manager(110) and a feature model manager(120). The feature selection rule manager analyzes commonness and variability of products, defines features of the products, and defines whether the features of the products are selected. The feature model manager generates product common architecture based on the analysis and the definition, applies the variability of the products to the generated product common architecture, and generates a product feature model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Description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 및 장치{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on to manage features of product line system}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on to manage features of product lin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eature management automation device of a product serie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자산 개발 단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ng feature management of a product li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sset development stag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특징 관리 자동화를 위한 특징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feature table for product feature management auto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제품 개발 단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ng feature management of a product family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duct development stag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 특징 선정 규칙 관리기110: Feature Selection Rule Manager

120 : 특징 모델러 관리기120: Features Modeler Manager

130 : 그래픽 정보 처리기130: graphic information processor

140 : 리파지토리140: repository

150 : 보고서 생성기150: report generator

본 발명은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제품 계열별로 제품 특징을 효과적으로 정의하고 제품 특징을 선택하는 규칙을 정의함으로써,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거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제품 특징을 빠른 시간내 시스템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ng feature management of a product series system. More specifically, by defining rules for effectively defining product characteristics and selecting product characteristics for each product family, a new product or a maintenance product is requir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quickly and systematically grasping a feature.

소프트웨어 제품 계열은 공통의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제품 계열 아키텍처는 특정 소프트웨어 제품 계열 내의 전체 제품들을 대표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제품 개발 시 제품 계열 아키텍처를 요구사항에 따라 재정의하여 제품 아키텍처를 정의하고, 이에 따라 필요 기능의 컴포넌트를 조정, 조립 또는 신규 개발하여 제품의 빠른 생산을 가능케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A software product family can be defined as a set of software products or software systems that have a common similar function, and a product family architecture refers to a software architecture that represents the entire product within a specific software product family. It is a technology tha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ethod to define a product architecture by redefining a series architecture according to requirements, and to adjust, assemble, or newly develop components of required functions accordingly to enable rapid production of a product.

제품 계열 기술에서 가장 중요한 자산은 제품 계열 아키텍처로서 이를 기반으로 하여 제품 아키텍처가 정의된다. 제품 계열 아키텍처로부터 제품 아키텍처를 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특징이 명확하게 표현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제품 계열 아키텍처에서의 제품 특징 표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반 가전 제품의 경우에는 제품 특징이 수천 가지 정도이고 자동차의 경우에는 제품 특징이 수만 가지 정도나 되며, 그 제품 특징간의 의존 관 계 또한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제품 특징 표현 및 그 의존 관계 표현을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The most important asset in product line technology is the product line architecture, on which the product architecture is defin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creation of a product architecture from a product family architecture, the product's characteristics must be clearly expressed. For this reason,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expression of product features in the product family architecture, but in the case of general home appliances, there are thousands of product features, and in the case of automobiles, there are tens of thousands of product features. Since the relationship is also very complicated, the product feature expression and its dependency expression are handled by hand.

이로 인하여, 제품 계열 시스템 개발시 제품 계열 시스템의 공통성 및 가변성을 모델링한 정보인 특징 모델을 통해 각 제품별로 특징을 선정하여 제품을 개발하는데, 복잡한 제품 계열 시스템의 경우 그 특징이 너무 많아 어떤 제품에 어떤 특징이 관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따라서, 다양한 제품 특징 표현 및 제품 특징간의 복잡한 의존 관계를 효율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For this reason, when developing a product family system, the product is selected and developed for each product through the feature model, which is information that models the commonality and variability of the product family system.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which features are involved, an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efficiently represent the complex product relationships and complex dependencies between product featur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별로 제품 특징을 정의하는 과정 및 상기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를 정의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이후의 제품 개발 및 유지 보수 과정에서 빠른 시간내에 제품 특징을 시스템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제품 특징 및 상기 제품 특징간의 연관성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e the process of defining the product features for each product and the process of defining whether or not to select the product features, thereby systematically grasping the product features in a short time in the subsequent product development and maintenance process And automatically manag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roduct feature and the product fea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장치는, 제품 계열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분석하여 제품 계열별로 제품 특징을 정의하고 상기 제품 특징에 대한 선택 여부를 정의하는 특징 선정 규칙 관리기; 및 상기 특징 선정 규칙 관리기를 통해 정의된 제품 특징 및 상기 제품 특징에 대한 선택 여부와 상기 제품 계열의 공통성을 기반으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에 상기 제품 계열의 가변성을 반영하여 제품 특징 모델을 생성하는 특징 모델러 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eature management automation device of the product serie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commonality and variability of the product series, defines product characteristics for each product series, and defines whether to select the product features. Selection rule manager; And generating a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based on a product feature defined through the feature selection rule manager and whether or not the product feature is selected and the commonality of the product family, and the variability of the product family in the generated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Characterized by a feature modeler manager for generating a product feature model reflecting the.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은, (a) 입력된 제품 계열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분석하는 단계; (b) 상기 제품 계열의 특징을 분석하여 제품 특징을 정의하고 상기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를 정의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를 통해 정의된 제품 특징 및 상기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와, 상기 (a) 단계를 통해 분석된 제품 계열의 공통성을 기반으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생성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에 상기 (a) 단계를 통해 분석된 제품 계열의 가변성을 반영하여 제품 특징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for automating feature management of a product serie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nalyzing commonality and variability of an input product series; (b) analyzing the features of the product line to define product features and to define whether to select the product features; (c) generating a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based on the product feature defined in step (b) and whether the product feature is selected, and the commonality of the product family analyzed through step (a); And (d) generating a product feature model by reflecting the variability of the product family analyzed through the step (a) in the generated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은, 개발 대상 제품의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제 1 단계; 상기 요구사항 분석 결과, 새로운 제품 특징이 존재하는 경우 새로운 제품 특징을 정의하고 상기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를 정의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를 통해 정의된 제품 특징 및 상기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개발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요구사항에 따라 상기 생성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에 가변성을 반영하여 상기 개발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특징 모델을 생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품 특징 모델로부터 새로운 제품을 생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eature management automation method of the product li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st step of analyzing the requirements of the product to be developed; A second step of defining a new product feature and defining whether the product feature is selected when a new product feature exists as a result of the requirement analysis; A third step of generating a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for the product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product feature defined through the second step and whether the product feature is selected; A fourth step of generating a product feature model for the product to be developed by reflecting variability in the generated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requirement; And a fifth step of generating a new product from the generated product feature mode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eature management automation device of a product serie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장치는, 제품 계열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분석하여 제품 계열별로 제품 특징을 정의하고 상기 제품 특징에 대한 선택 여부를 정의하는 특징 선정 규칙 관리기(110)와, 상기 특징 선정 규칙 관리기(110)를 통해 정의된 제품 특징 및 상기 제품 특징에 대한 선택 여부와 상기 제품 계열의 공통성을 기반으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에 상기 제품 계열의 가변성을 반영하여 제품 특징 모델을 생성하는 특징 모델러 관리기(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 생성을 위한 그래픽을 지원하는 그래픽 정보 처리기(130)와, 상기 제품 특징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되는 리파지토리(140)와, 상기 리파지토리(140)에 저장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제품 특징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 생성기(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feature management automation device of the product li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nalyzing the commonality and variability of the product line to define the product features for each product line and to define whether to select the product feature A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is generated based on the product feature defined through the selection rule manager 110 and the feature selection rule manager 110, whether the product feature is selected, and the commonality of the product family. It includes a feature modeler manager 120 for generating a product feature model by reflecting the variability of the product line in the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Here, the graphic information processor 130 supporting graphics for generating the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the repository 140 storing information on the product feature, and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repository 140. The report generator 150 may further include a report for generating a product feature.

상기 도 1과 같이 구성된 특징 관리 자동화 장치는 자산 개발 단계 및 제품 개발 단계에서 이용되며, 먼저 자산 개발 단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eature management automation devic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is used in the asset development stage and the product development stage. First, the feature management auto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sset development stag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는 자산 개발 단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ng feature management of a product li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sset development stage.

우선, 상기 특징 모델러 관리기(120)는 입력된 제품 계열의 데이터 구조 정보, 비즈니스 흐름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라 칭함) 정보를 분석하여 리파지토리(140)에 저장하는데(S210), 이 때, 제품 계열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도 리파지토리(140)에 저장한다.First, the feature modeler manager 120 analyzes data structure information, business flow information, and user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UI') information of an inputted product series and stores it in the repository 140 (S210). At this time, the common and variability of the product series is analyzed and the analysis result is also stored in the repository 140.

그 다음, 상기 특징 선정 규칙 관리기(110)는 상기 리파지토리(140)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제품 계열을 정의하고(S221), 상기 제품 계열에 포함된 제품들의 특징을 분석하여 제품 특징을 정의하는데(S222), 이 때, 제품 특징별로 해당 제품 특징이 어떤 제품 계열에 속하는지도 함께 정의된다.Next, the feature selection rule manager 110 defines the input product line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repository 140 (S221), and analyzes the features of the products included in the product line to analyze the product feature. In the definition (S222), at this time, the product feature is defined along with which product family the product feature belongs to.

여기에서, 상기 정의되는 제품 특징에는 각 제품에 공통적인 특징들도 있고, 각 제품별로 고유한 특징들도 있으며, 각 제품 특징에는 특징 ID와 특징명, 그리고 소속 제품 계열의 ID가 할당된다.Here, the defined product features include features that are common to each product, features that are unique to each product, and feature IDs, feature names, and IDs of affiliated product lines are assigned to each product feature.

그 다음, 상기 특징 선정 규칙 관리기(110)는 각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를 정의(결정)한다(S223). Next, the feature selection rule manager 110 defines (determines) whether each product feature is selected (S223).

여기에서, 상기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 정의는, 상기 제품 특징이 필수적인 특징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면 CCD의 이미지가 디지털 폼으로 변형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는 특징은 디지털 카메라의 필수 기능에 해당되며, 따라서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한 이미지 캡쳐 기능, CCD를 통한 디지털 변환 기능, 메모리 저장 기능은 디지털 카메라의 제품 특징으로 반드시 선택되어야 하므로,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각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를 정의하는 것이다.Here, the definition of whether or not to select the product feature is to determine whether the product feature is an essential featur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igital camera, when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the image of the CCD is transformed into a digital form and stored in the memo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camera are essential functions of the digital camera. Therefore, the image capture function, the digital conversion function through the CCD, and the memory storage function for this operation must be selected as the product features of the digital camera. It is to define whether the feature is selected.

그 다음, 상기 특징 선정 규칙 관리기(110)는 상기 제품 특징에 하위 특징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S224), 하위 특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하위 특징의 연결 규칙 타입에 따라 하위 특징의 선택 여부를 정의(결정)하며(S225), 상기 하위 특징 연결 규칙 타입은 다음의 표 1과 같다.Next, the feature selection rule manager 110 checks whether a subfeature exists in the product feature (S224) and, if a subfeature exists, defines whether to select a subfeature according to a connection rule type of the subfeature ( (S225), the sub feature connection rule type is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06090923733-pat00001
Figure 112006090923733-pat00001

상기 하위 특징 연결 규칙 타입이 '01' 인 경우 해당 하위 특징이 모든 제품 계열 내 제품들에 공통적인 타입인 것을 의미하고, '02' 인 경우 서로 다른 수준의 특징과 상호 배타적인 타입인 것을 의미하며, '03' 인 경우 양립 가능 선택이 가능한 타입인 것을 의미한다. If the sub-feature linking rule type is '01', it means that the sub-feature is a type common to all the products in the product series, and '02' means that the feature is mutually exclusive with different levels. In case of '03', it means that the compatible selection is possible.

그 다음, 미정의된 하위 특징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상기와 같은 하위 특징의 선택 여부 정의를 계속한다(S226).Subsequently, definition of whether to select such a subfeature is continued until there is no undefined subfeature (S226).

즉, 상기 S221~S226 단계는 제품 특징이 어떤 제품에 속하는지 정의하고, 제품 특징과 상기 제품 특징에 영향을 받는 하위 특징에 대한 선택 여부를 정의하는 단계(S220)로서, 이와 같은 제품 특징 정의 및 상기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 정의 단계(S220)를 통해 상기 리파지토리(140)에는 도 3과 같은 특징 테이블이 구축된다.That is, the steps S221 to S226 define which product the product feature belongs to and define whether to select the product feature and the sub-features affected by the product feature (S220). A feature table as shown in FIG. 3 is constructed in the repository 140 through the step of defining whether to select the product feature (S22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특징 관리 자동화를 위한 특징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feature table for product feature management auto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특징 테이블에는 특징 ID, 특징명, 하위 특징 유무, 하위 특징 연결 규칙 타입, 소속 제품 계열 ID, 특징 선택 여부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eatur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feature ID, feature name, sub feature existence, sub feature linking rule type, belonging product series ID, and feature selection.

한편, 상기와 같은 제품 특징 정의 및 상기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 정의 단계(S220)가 완료되면, 상기 리파지토리(140)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보고서 생성기(150)를 통해 제품 특징 보고서를 생성하여(S230), 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duct feature definition and the step of defining the product feature selection step (S220) is completed, the product feature report is generated through the report generator 150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repository 140 ( S230),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is to the user.

그 다음, 상기 특징 모델러 관리기(120)는 상기 리파지토리(140)에 저장된 제품 계열의 정보, 즉, 상기 특징 선정 규칙 관리기(110)를 통해 정의된 제품 특징 및 상기 제품 특징에 대한 선택 여부와 상기 제품 계열의 공통성을 기반으로 그래픽 정보 처리기(130)를 통해 제품 계열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를 생성한다(S240).Next, the feature modeler manager 120 select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family stored in the repository 140, that is, a product feature defined through the feature selection rule manager 110, whether the product feature is selected, and the product. Based on the commonality of the series, a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capable of representing the entire product family is generated through the graphic information processor 130 (S240).

그 다음, 상기 특징 모델러 관리기(120)는 상기 생성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에 제품 계열의 고유 사양을 나타내는 가변성을 반영하여 공통성과 가변성이 반영된 제품 특징 모델을 생성하는데(S250), 이 때 상기 제품 계열의 가변성은 상기 제품 계열 분석 단계(S210)를 통해 상기 리파지토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분석 결과로부터 추출된다.Next, the feature modeler manager 120 generates a product feature model that reflects commonality and variability by reflecting variability indicating unique specifications of the product series in the generated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S250). The variability of is extracted from the analysis result stored in the repository 140 through the product family analysis step (S210).

한편, 이렇게 생성된 제품 특징 모델은 자산으로 구축되어 제품 개발시 특징 관리 자동화에 이용되는데, 이하 제품 개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product feature model generated as such is used as an asset to be used for automating feature management during product development. Hereinafter, the method for automating featur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roduct development is as follows.

도 4는 제품 개발 단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ng feature management of a product family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duct development stage.

우선, 제품 요구사항이 입력되면, 상기 특징 모델러 관리기(120)는 입력된 제품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리파지토리(140)에 저장한다(S410).First, when a product requirement is input, the feature modeler manager 120 analyzes the input product requirement and stores the analysis result in the repository 140 (S410).

그 다음, 상기 제품 요구사항 분석 결과, 기 구축된 특징 모델의 이용만으로 요구사항을 다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 즉, 새로운 제품 특징이 존재하는 경우(S420), 상기 특징 선정 규칙 관리기(110)를 통해 새로운 제품 특징 및 상기 제품 특징에 대한 선택 여부를 정의한다(S430).Next, as a result of the product requirement analysis, when the requirements cannot be satisfied by only using the built-in feature model, that is, when a new product feature exists (S420), the feature selection rule manager 110 Through the new product feature and the selection of the product feature is defined (S430).

이 때, 상기 제품 특징에 하위 특징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하위 특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하위 특징의 연결 규칙 타입에 따라 하위 특징의 선택 여부를 정의하며, 이 과정은 상기 도 2와 관련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a subfeature exists in the product feature, and if a subfeature exists, whether or not a subfeature is selected according to a connection rule type of the subfeature is defined. This process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Since it has been describ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 다음, 상기 추가 정의된 제품 특징 및 선택 여부를 기반으로 그래픽 정보 처리기(130)를 통해 개발 대상 제품에 한정적인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를 생성한다(S440).Next, a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that is limited to the product to be developed is generated through the graphic information processor 130 based on the additionally defined product feature and selection (S440).

그 다음, 제품 요구사항에 맞게 상기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에 개발 대상 제품의 고유 사양을 나타내는 가변성을 반영하여(S450), 개발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특징 모델을 생성한다(S460).Then, the product feature model for the product to be developed is generated by reflecting the variability indicating the unique specification of the product to be developed in the product series common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product requirements (S450).

마지막으로, 상기 생성된 제품 특징 모델로부터 새로운 제품을 생성한다(S470).Finally, a new product is generated from the generated product feature model (S47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에 따르면, 제품별로 함께 개발되어야 하는 제품 특징과 상기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가 쉽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효과적으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라 개발자가 제품 개발 및 유지 보수 과정에서 제품 특징을 빠른 시간내 시스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에서 제품에 따라 가변적인 부분을 수정하여 고유의 제품 특징 모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품 특징이 제품 계열 자산에 없는 경우에도 간단하게 추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eature management autom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duct features to be developed together for each product and whether the selection of the product features are effectively defined so that it can be easily identified, the developer according to the product development and maintenance accordingly In the process, product characteristics can be quickly and systematically identified. In addition, in the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product-variable parts can be modified to create unique product feature models, and can be easily added even when product features are not in the product family asset.

한편, 상기에서는 제품 계열 분석 단계(S210), 공통 아키텍처 생성 단계(S240), 제품 요구사항 분석 단계(S410), 및 제품 생성 단계(S470)가 상기 특징 모델러 관리기(12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 각 단계는 별도의 모듈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oduct family analysis step S210, the common architecture generation step S240, the product requirement analysis step S410, and the product generation step S470 are performed by the feature modeler manager 120. Each of these steps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modul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which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별 제품 특징 정의 및 상기 제품 특징의 선택을 자동화함으로써, 제품 계열 시스템을 개발 및 유지보수할 경우, 수많은 제품 특징을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관리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새로운 제품 특징이 추가되거나 또는 제품 특징이 변경되더라도 이에 따른 여러 시스템 구성요소의 영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발되는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veloping and maintaining a product series system by automating product featur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the product feature, numerous product features do not need to be managed manually by hand. Accordingly, even if a new product feature is added or the product feature is changed, the effects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can be easily understood,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developed product.

Claims (11)

제품 계열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분석하여 제품 계열별로 제품 특징을 정의하고 상기 제품 특징에 대한 선택 여부를 정의하는 특징 선정 규칙 관리기; 및A feature selection rule manager defining product characteristics for each product series by analyzing commonality and variability of the product series and defining whether to select the product feature; And 상기 특징 선정 규칙 관리기를 통해 정의된 제품 특징 및 상기 제품 특징에 대한 선택 여부와 상기 제품 계열의 공통성을 기반으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에 상기 제품 계열의 가변성을 반영하여 제품 특징 모델을 생성하는 특징 모델러 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장치.A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is generated based on the product feature defined through the feature selection rule manager, whether the product feature is selected, and the commonality of the product family, and the variability of the product family in the generated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And a feature modeler manager for generating a product feature model by reflectio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품 특징에 대한 정보는 리파지토리의 특징 테이블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장치.And the information on the product feature is recorded in the feature table of the repository.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특징 테이블에 기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품 특징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 생성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장치.And a report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port on the product feature based on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feature table. (a) 입력된 제품 계열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분석하는 단계;(a) analyzing the commonality and variability of the input product line; (b) 상기 제품 계열의 특징을 분석하여 제품 특징을 정의하고 상기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를 정의하는 단계;(b) analyzing the features of the product line to define product features and to define whether to select the product features; (c) 상기 (b) 단계를 통해 정의된 제품 특징 및 상기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와, 상기 (a) 단계를 통해 분석된 제품 계열의 공통성을 기반으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를 생성하는 단계; 및(c) generating a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based on the product feature defined in step (b) and whether the product feature is selected, and the commonality of the product family analyzed through step (a); And (d) 상기 생성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에 상기 (a) 단계를 통해 분석된 제품 계열의 가변성을 반영하여 제품 특징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and (d) generating a product feature model by reflecting the variability of the product series analyzed through the step (a) in the generated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step (b), 상기 (a) 단계를 통해 분석된 제품 계열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기반으로 상기 제품 계열을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Method for automating the feature management system of the product li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fining the product line based on the commonality and variability of the product line analyzed through the step (a).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step (b), 상기 제품 특징이 어떤 제품에 속하는지 정의하고 상기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를 정의하는 단계;Defining which product the product feature belongs to and defining whether the product feature is selected; 상기 제품 특징에 영향을 받는 하위 특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하위 특징의 연결 규칙 타입에 따라 상기 하위 특징의 선택 여부를 정의하는 단계; 및Defining whether to select the subfeature according to a connection rule type of the subfeature when there is a subfeature affected by the product feature; And 상기 제품 특징에 대하여, 특징 ID, 특징명, 하위 특징 유무, 하위 특징 연결 규칙 타입, 소속 제품 계열 ID, 특징 선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And allocating at least one information of a feature ID, a feature name, a sub feature presence, a sub feature connection rule type, a belonging product series ID, and whether the feature is selected for the product feature. Features of Management Automated Metho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특징의 연결 규칙 타입은,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nection rule type of the subfeature is 모든 제품 계열 내 제품들에 공통적인 타입, 서로 다른 수준의 특징과 상호 배타적인 타입, 양립 가능 선택이 가능한 타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A method for automating feature management of a product fami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 least one of a type common to products in all product lines, different levels of features and mutually exclusive types, and compatible types. 삭제delete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품 특징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And generating a report on the product feature and displaying the report to a user. 개발 대상 제품의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analyzing requirements of the product to be developed; 상기 요구사항 분석 결과, 새로운 제품 특징이 존재하는 경우 새로운 제품 특징을 정의하고 상기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를 정의하는 제 2 단계;A second step of defining a new product feature and defining whether the product feature is selected when a new product feature exists as a result of the requirement analysis; 상기 제 2 단계를 통해 정의된 제품 특징 및 상기 제품 특징의 선택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개발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를 생성하는 제 3 단계;A third step of generating a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for the product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product feature defined through the second step and whether the product feature is selected; 상기 요구사항에 따라 상기 생성된 제품 계열 공통 아키텍처에 가변성을 반영하여 상기 개발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특징 모델을 생성하는 제 4 단계; 및A fourth step of generating a product feature model for the product to be developed by reflecting variability in the generated product family common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requirement; And 상기 생성된 제품 특징 모델로부터 새로운 제품을 생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And a fifth step of generating a new product from the generated product feature model.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in the second step, 상기 새로운 제품 특징에 영향을 받는 하위 특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하위 특징의 연결 규칙 타입에 따라 상기 하위 특징의 선택 여부를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계열 시스템의 특징 관리 자동화 방법.And if the sub feature affected by the new product feature is present, defining whether the sub feature is selected according to a connection rule type of the sub feature.
KR1020060124207A 2006-12-08 2006-12-08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on to manage features of product line system KR1008362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207A KR100836218B1 (en) 2006-12-08 2006-12-08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on to manage features of product lin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207A KR100836218B1 (en) 2006-12-08 2006-12-08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on to manage features of product lin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218B1 true KR100836218B1 (en) 2008-06-09

Family

ID=3977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207A KR100836218B1 (en) 2006-12-08 2006-12-08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on to manage features of product lin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21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9473B2 (en) 2011-05-19 2013-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 for software product line development environ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568A (en) * 2003-04-24 2004-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elf-completion type quality control system for production line at vehicle factory
KR20060004702A (en) * 2003-05-26 2006-01-12 모빌콤 오스트리아 악티엔게젤샤프트 & 코 카게 System for managing products and the parts thereof and associated data processing device
KR20060068162A (en) * 2004-12-16 2006-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oduct line based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568A (en) * 2003-04-24 2004-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elf-completion type quality control system for production line at vehicle factory
KR20060004702A (en) * 2003-05-26 2006-01-12 모빌콤 오스트리아 악티엔게젤샤프트 & 코 카게 System for managing products and the parts thereof and associated data processing device
KR20060068162A (en) * 2004-12-16 2006-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oduct line based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9473B2 (en) 2011-05-19 2013-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 for software product line development environ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28772B (en) Test method and device
La Rosa et al. Questionnaire-based variability modeling for system configuration
EP21107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tracing of a computerized process using a relationship model
US200601555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nd managing business performance
JP2007264768A (en) System development support program, apparatus and method
Biffl et al. Semantic integration of heterogeneous data sources for monitoring frequent-release software projects
CN114625448A (en) Flow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combining RPA and AI,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5292473A (en) Extended selective recommendation and deployment in low code schemes
Rokis et al. Exploring Low-Code Development: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liveira et al. Using REO on ETL conceptual modelling: a first approach
US10949758B2 (en) Data management externalization for workflow definition and execution
CN116501415B (en) Command execu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11049048B2 (en) Managing reusable business process modeling (BPM) assets
US20100030732A1 (e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process reference maps from links described in a business process model
KR100836218B1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on to manage features of product line system
US8140305B2 (en) Convers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CN114004505A (en) BPM platfor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business process based on BPM platform
JP2003140895A (en) Test system having recombinable software
CN112508535A (en) Jbpm-based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approval workflow
CN116860227B (en) Data develop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g data ETL script arrangement
CN115543323B (en) Page development method and device
US11921688B2 (en) Environment construction support device and environment construction support method
EP4261678A1 (en) Generation of a technical instruction
Rodríguez et al. Model‐based assisted migration of oracle forms applications: The overall process in an industrial setting
JP2007034807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