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153B1 - 무선 헤드셋 거치대 - Google Patents

무선 헤드셋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153B1
KR100836153B1 KR1020070049459A KR20070049459A KR100836153B1 KR 100836153 B1 KR100836153 B1 KR 100836153B1 KR 1020070049459 A KR1020070049459 A KR 1020070049459A KR 20070049459 A KR20070049459 A KR 20070049459A KR 100836153 B1 KR100836153 B1 KR 100836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set
wireless headset
wireless
suppor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원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9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 로 사용가능 할 뿐 아니라, 휴대 단말에 결합된 상태로 휴대도 가능한 무선 헤드셋 거치대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셋 거치대는 헤드셋이 무선 헤드셋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무선 단말기와 연결되어 이동하는 경우에도, 헤드셋이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헤드셋 고정부가 헤드셋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와 연결되어 휴대할 수 있는 헤드셋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헤드셋 거치대, 휴대형, 충전, 회전, 무선 헤드셋

Description

무선 헤드셋 거치대{Wireless headset hol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거치대의 헤드셋 지지부의 후면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헤드셋이 헤드셋 지지부의 걸림 홈으로 삽입 및 이탈되는 과정에서의 걸림 홈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거치대의 헤드셋 고정부 배면의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거치대의 사시도 및 헤드셋 고정부 배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들에 따른 무선 헤드셋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사용 가능할 뿐 아니라, 무선 단말기에 연결되어 이동 상태에서도 사용 가능한 무선 헤드셋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무선 단말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무선 헤드셋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헤드셋의 보관과 관련된 제품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헤드셋의 거치대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제품들은 용도에 따라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되는 탁상용 거치대와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어 휴대할 수 있는 단순 헤드셋 커버나 이동용 거치대가 구분되어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집이나 사무실 등의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탁상용 거치대를 구입하고, 이동 중의 사용을 위해서는 별도의 커버나 이동용 거치대를 추가적으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된 위치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 중에도 사용 가능한 무선 헤드셋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거치대는 서로 대향하는 두개의 측면부와, 서로 대향하며 상기 두개의 측면부의 대향하는 각 단부들을 연결하는 상면부 및 하면부를 갖는 헤드셋 지지부 및 상기 두개 의 측면부의 일단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두개의 사이드 바와 상기 사이드 바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바를 구비하는 헤드셋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바는 상기 헤드셋 지지부가 소정의 평면에 대해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두개의 측면부와 겹쳐져서 상기 크로스 바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무선 헤드셋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위치에서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셋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무선 헤드셋 거치대(100)는 크게 무선 헤드셋(도 2a의 200)이 고정 지지되는 헤드셋 지지부(110)와 헤드셋 지지부(110)의 양 측면부(111)의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헤드셋 고정부(120)를 구비한다.
헤드셋 지지부(110)는 소정의 강도를 가진 합성 수지와 같은 재질로 제조되며, 상면부(112), 하면부(113), 및 두개의 측면부(111)를 가지며, 상면부(112)로부 터 하면부(113)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 포켓(114)을 구비한다. 삽입 포켓(114)은 헤드셋 지지부(110)의 정면(110a)에서부터 안쪽으로 함입되어 형성된다. 삽입 포켓(114)은 헤드셋 지지부(110)의 상면부(112) 쪽으로는 외부로 완전히 개방되는 개구를 형성하여 무선 헤드셋(200)이 이를 통해 삽입 포켓(114) 내로 삽입된다. 삽입 포켓(114)은 삽입되는 무선 헤드셋(200)의 측면과 접촉하거나 근접하게 형성되는 측벽면(114a), 무선 헤드셋(200)의 하단부와 접촉하거나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바닥면(114b), 및 삽입되는 무선 헤드셋(200)의 일부분이 걸려서 무선 헤드셋(200)의 하중을 지탱하는 포켓면(114c)을 구비한다. 포켓면(114c)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헤드셋 지지부(100)의 정면(110a) 방향으로 노출되며,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헤드셋 지지부(110)의 후면(110b)으로부터 소정의 크기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포켓면(114c)의 상부에는 무선 헤드셋(200)의 일부분, 예를 들어 무선 헤드셋(200)의 이어피스부와 같이 돌출 형성되는 부분(미도시)이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 홈(114d)이 형성된다. 무선 헤드셋(200)은 헤드셋 지지부(110)의 상면부(112)의 상부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일정 부분이 삽입되어 헤드셋 거치대(100)에 거치되는데, 기본적으로 삽입 포켓(114) 내부에 거치됨과 동시에, 일부분(이하에서는 '헤드셋의 걸림 홈 안착 부분(210)'으로 표시한다)은 걸림 홈(114d) 내부로 삽입 안착된다. 도 4a 및 4b는 이러한 헤드셋의 걸림 홈 안착 부분(210)이 걸림 홈(114d)에 삽입되고 이탈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걸림 홈(114d)은 포켓면(114c)의 상부 중앙부분에 형성된다. 걸림 홈(114d) 은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입구부(114e)와 헤드셋의 걸림 홈 안착 부분(210)이 안착될 헤드셋 안착부(114f)를 구비한다. 입구부(114e)의 개구 폭은 헤드셋 안착부(114f)의 개구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헤드셋의 걸림 홈 안착 부분(210)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된다.
도 4a에서, 사용자가 무선 헤드셋(200)을 헤드셋 거치대(100)에 거치하기 위해 무선 헤드셋(200)의 삽입 포켓(114) 내부로 삽입하면서 상면부(112)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의 힘을 입구부(114e)에 가하게 되면, 입구부(114e)는 이에 따라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다. 이후, 헤드셋의 걸림 홈 안착 부분(210)이 입구부(114e)를 완전히 통과하면, 걸림 홈 안착 부분(210)은 헤드셋 안착부(114f) 위로 안착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거치대(100)에 거치되어 있는 무선 헤드셋(200)을 빼내려고 하는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헤드셋의 걸림 홈 안착 부분(210)을 헤드셋 안착부(114f)로부터 위쪽으로 빼면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입구부(114e)가 점선과 같이 변형된다. 이후, 걸림 홈 안착 부분(210)이 입구부(114e)를 완전히 통과하면, 무선 헤드셋(200)은 거치대(100)로부터 이탈된다.
이처럼, 포켓면(114)의 상부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걸림 홈(114d)은 입구부(114e)의 개구 폭을 헤드셋 안착부(114f)의 개구 폭 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무선 헤드셋(200)이 안정적으로 거치대(100)에 고정 지지되도록 한다. 즉, 입구부(114e)에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일단 헤드셋의 특정 부분, 즉 걸림 홈 안착 부분(210)이 헤드셋 안착부(114f)에 안착된 이후에는, 헤드셋 지지부(110)가 위아래 반전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헤드셋(200)은 거치대(1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3b는 이러한 헤드셋 지지부(110)의 일 측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두개의 측면부(111) 중 어느 하나에는 탁상용 거치대로 사용될 경우 거치된 무선 헤드셋의 충전을 위한 전원 연결 단자(116)가 형성된다. 전원 연결 단자(116)는 USB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인버터를 내장한 형태의 전원 케이블(미도시)과 접속되어 통상의 가정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며, 통상의 USB 데이터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컴퓨터 등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헤드셋 지지부(110)에는 무선 헤드셋(200)이 거치될 경우 무선 헤드셋(200)의 충전용 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무선 헤드셋(200)을 충전하는 충전용 접촉 단자(117)가 형성되어 있다. 충전용 접촉 단자(117)는 삽입 포켓(114)의 포켓면(114c)에 형성된다. 충전용 접촉 단자(117)의 형성 위치는 거치될 무선 헤드셋(200)의 충전용 단자가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정해진다.
한편, 헤드셋 지지부(110)의 측면부(111)의 일 단부에는 후에 기술될 헤드셋 고정부(120)의 연결 핀(도 5a의 121a)이 체결되는 연결 홈(119)이 형성된다. 연결 홈(119)에 체결되는 연결 핀(121a)에 의해 헤드셋 고정부(120)는 헤드셋 지지부(110)에 대해 회전 동작이 가능해지며, 정해진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2a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100)가 고정된 위치에서 탁상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헤드셋 고정부(120)는 헤드셋 지지부(11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위치 고정되며, 헤드셋 지지부(110)가 소 정의 평면으로부터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b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100)가 이동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헤드셋 고정부(120)는 평행하는 두개의 사이드 바(121)와 이들 사이드 바(12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크로스 바(122)로 구성된다. 사이드 바(121)의 일 단부(121b)에는 사이드 바(121)를 헤드셋 지지부(110)에 연결시키는 연결 핀(121a)이 형성된다. 사이드 바(121)는 연결 핀(121a)을 회전 축으로 하여 헤드셋 지지부(110)에 대해 회전 동작이 가능하다. 도 2b와 같이 거치대(100)가 이동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사이드 바(121)는 헤드셋 지지부(110)의 두 측면부(111)와 겹쳐진다. 헤드셋 고정부(120)가 헤드셋 지지부(110)의 접촉면(110a) 방향으로 회전하면 크로스 바(122)의 일부는 헤드셋 지지부(110)의 접촉면(110a)과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위치에서 헤드셋 고정부(120)의 위치가 고정된다. 사이드 바(121)는 탁상용으로 사용될 경우 헤드셋 지지부(110)의 기립 상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소정의 경도를 갖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크로스 바(122)는 헤드셋 지지부(110)의 정면(110a)과 접촉하는 지지부 접촉부(122b)와 무선 헤드셋(200)과 접촉하는 헤드셋 접촉부(122a)로 구분된다. 헤드셋 접촉부(122a)는 헤드셋(200)의 외형에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이 사용된다. 이에 반해, 지지부 접촉부(122b)의 경우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헤드셋 지지부(110)와 접촉하게 된다는 점에서,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헤드셋 지지부(110)나 사이드 바(121)와 같이 소정의 경도를 갖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이처럼, 크로스 바(122)의 헤드셋 접촉부(122a)와 지지부 접촉부(122b)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통상 이중 사출 방식의 제조 방법이 사용된다.
크로스 바(122)의 지지부 접촉부(122b)가 헤드셋 지지부(110)의 정면(110a)에 밀착 결합되고, 헤드셋 접촉부(122a)가 헤드셋(200)과 밀착 접촉됨으로써, 무선 헤드셋(200)은 이동 중에도 헤드셋 거치대(100)에 안정적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헤드셋 거치대(100)는 헤드셋 지지부(110) 상단의 연결 부재 결합 구멍(118)에 결합되는 연결 부재(300)를 통해 무선 단말기(400)와 연결된다. 연결 부재(300)로는 무선 단말기(400)와 결합이 용이한 고무줄과 같은 스트랩 형태의 부재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무선 헤드셋(200)이 거치된 상태의 헤드셋 거치대(100)는 무선 단말기(400)와 용이하게 연결되며, 무선 단말기(400)의 이동 중에도 무선 헤드셋(200)의 거치대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헤드셋 고정부(120)의 배면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헤드셋 거치대(100)가 탁상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헤드셋 고정부(120)의 바닥면 쪽을 배면으로 한다.
사이드 바(121)의 일단부(121b)에는 헤드셋 지지부(110)의 측면부(111)에 형성된 연결 홈(119) 내로 삽입되어 사이드 바(121)의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연결 핀(121a)이 형성된다. 연결 핀(121a)은 연결 홈(119) 내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연결 핀(121a)과 연결 홈(119)은 통상적인 회전 결합 부재의 형태를 가지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사이드 바(121)의 길이(d)값은 헤드셋 지지부(110)의 길이(D)값의 40~80%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헤드셋 거치대(100)의 이동 중에도 무선 헤드셋(2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수준에서 적정한 값으로 형성되면 된다.
크로스 바(122)는 사이드 바(121)의 타단부(121c)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크로스 바(122)의 폭(w)은 사이드 바(121)의 길이(d)값의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크로스 바(122)의 폭(w)은 헤드셋 거치대(100)가 이동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무선 헤드셋(2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수준에서 적정한 값으로 형성된다.
크로스 바(122)의 지지부 접촉부(122b)의 헤드셋 지지부 접촉면(122d)에는 지지부 접촉부(122b)와 헤드셋 지지부(110)의 고정 결합을 위한 걸림 돌기(122c)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헤드셋 접촉부(122a)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의 걸림 돌기(122c)가 형성된다. 걸림 돌기(122c)는 도 3에 도시된 헤드셋 지지부(110)의 고정 홈(115) 내부로 삽입된 후 고정된다.
걸림 돌기(122c)와 고정 홈(115)의 결합에 의해 지지부 접촉부(122b)는 헤드셋 지지부(110)에 밀착 고정되고, 그 결과 무선 헤드셋(200)은 헤드셋 고정부(120)에 의해 헤드셋 거치대(100)의 이동 중에도 안정적 거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 접촉부(122b)가 헤드셋 지지부(110)에 밀착 결합되면, 헤드셋 접촉부(122a) 역시 헤드셋(200)과 밀착되므로, 헤드셋 접촉부(122a) 역시 무선 헤드셋(200)의 안정적 거치 상태 유지에 도움을 준다.
변형예
이하에서는 크로스 바(122)의 몇가지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크로스 바(122)를 구비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100)의 사시도 및 헤드셋 고정부(120) 배면의 사시도이다.
도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크로스 바(122)는 무선 헤드셋(200)이 헤드셋 거치대(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무선 헤드셋(200)의 하단부가 크로스 바(122)에 의해 완전히 덮히도록 형성된다. 지지부 접촉부(122b)가 보다 넓은 부분에서 헤드셋 지지부(110)와 밀착 고정되고, 특히 무선 헤드셋(200)의 하단부가 크로스 바(122)를 가로질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무선 헤드셋(200)을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도 6b에서, 4개의 걸림 돌기(122c)들이 크로스 바(122)의 지지부 접촉부(122b)에 형성된다. 특히 2개의 걸림 돌기(122c)들은 헤드셋 지지부(110)의 하면부(113)로부터의 직선거리(L2)가 무선 헤드셋(200) 하단부의 헤드셋 지지부(110)의 하면부(113)로부터의 직선거리(L1) 보다 작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헤드셋 고정부(120)의 크로스 바(122)가 무선 헤드셋(200)의 하단부를 완전히 덮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는 무선 헤드셋(200)의 하단부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무선 헤드셋(200) 이동 중에 수직 방향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헤드셋(200)이 거치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걸림 돌기(122c)는 도 6c와 같이 무선 헤드셋(200) 하단부의 폭(WT) 범위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걸림 돌기(122c) 중 적어도 하나가 이와 같이 무선 헤드셋(200) 하단부의 폭 범위 내에 위치할 경우, 무선 헤드셋의 수직 방향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복수의 크로스 바(122)가 구비된 무선 헤드셋 거치대(100)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크로스 바(122)가 복수개 구비될 경우, 각 크로스 바(122)들이 무선 헤드셋(20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무선 헤드셋(200)은 이동 중에도 보다 안정적인 거치 상태를 유치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크로스 바(122) 중 최하단부에 위치하는 크로스 바(122)의 경우, 무선 헤드셋(200)의 하단부를 완전히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변형예와 같이 무선 헤드셋의 수직 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의 거치대로, 고정된 위치에서 탁상용으로 사용 가능할 뿐 아니라, 무선 단말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 중에도 무선 헤드셋이 거치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한다.

Claims (18)

  1. 무선 헤드셋을 고정 지지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로,
    서로 대향하는 두개의 측면부와, 서로 대향하며 상기 두개의 측면부의 대향하는 각 단부들을 연결하는 상면부 및 하면부를 갖는 헤드셋 지지부; 및
    상기 두개의 측면부의 일단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두개의 사이드 바와 상기 사이드 바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바를 구비하는 헤드셋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바는 상기 헤드셋 지지부가 소정의 평면에 대해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두개의 측면부와 겹쳐져서 상기 크로스 바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무선 헤드셋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위치에서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 지지부는 상기 상면부로부터 하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무선 헤드셋이 삽입되는 삽입 포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포켓은, 상기 무선 헤드셋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헤드셋의 측면부와 접촉하는 측벽면과 상기 무선 헤드셋의 하중을 지탱하는 포켓면을 구비하며,
    상기 포켓면의 상부에는 상기 무선 헤드셋의 일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무선 헤드셋을 지지하는 걸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보다 넓은 폭을 갖는 헤드셋 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의 폭은 상기 걸림 홈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무선 헤드셋의 일부분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바의 길이(d)값은 상기 측면부의 길이(D)값의 40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크로스 바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무선 헤드셋과 접촉되는 헤드셋 접촉부와 상기 헤드셋 지지부와 접촉되는 지지부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셋 접촉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크로스 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사이드 바 각각의 타단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사이드 바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 고정부는 하나의 크로스 바를 가지며, 상기 크로스 바의 폭(w)값은 상기 사이드 바의 길이(d)값의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의 폭(w) 값은 상기 무선 헤드셋의 하단부가 상기 크로스 바를 가로질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 고정부는 둘 이상의 크로스 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크로스 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무선 헤드셋의 하단부를 완전히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13. 제7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접촉부는 상기 헤드셋 지지부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걸림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셋 지지부는, 상기 헤드셋 고정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 돌기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홈을 구비하고,
    상기 크로스 바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 돌기와 하나 이상의 고정 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헤드셋 지지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 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헤드셋 지지부의 하면부로부터의 직선거리가 상기 무선 헤드셋의 하단부의 상기 헤드셋 지지부의 하면부로부터의 직선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 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헤드셋 지지부의 폭 방향에서 상기 무선 헤드셋의 하단부의 폭(WT)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 지지부는 상기 측면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무선 헤드셋의 충전을 위한 전원 연결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 지지부는 상기 무선 헤드셋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헤드셋의 충전 단자와 접촉하는 충전용 접촉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 지지부는 상기 무선 헤드셋 거치대와 무선 단말기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결합되는 연결 부재 결합 구멍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거치대.
KR1020070049459A 2007-05-22 2007-05-22 무선 헤드셋 거치대 KR100836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459A KR100836153B1 (ko) 2007-05-22 2007-05-22 무선 헤드셋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459A KR100836153B1 (ko) 2007-05-22 2007-05-22 무선 헤드셋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153B1 true KR100836153B1 (ko) 2008-06-09

Family

ID=3977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459A KR100836153B1 (ko) 2007-05-22 2007-05-22 무선 헤드셋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1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7733A (ko) * 2003-12-29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7733A (ko) * 2003-12-29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680B2 (en) Foldable stand for display device
KR20130094402A (ko) 데스크 탑 유형 유니버셜 도크
US20120211626A1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CN220487941U (zh) 一种支撑座及风扇
US20110216898A1 (en) Telephone having rotatable hook to support handset
CN107157038A (zh) 一种表带的连接结构及智能手表
CN205806838U (zh) 支架
CN111425732A (zh) 一种电视机用底座及电视机
KR100836153B1 (ko) 무선 헤드셋 거치대
CN209516705U (zh) 无线充电器
CN219436323U (zh) 一种平面滑环、旋转导电组件及伸缩数据线组件
KR102120293B1 (ko)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CN215185992U (zh) 充电用支架
CN212691378U (zh) 一种支撑装置
US20060007665A1 (en) Desktop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KR20045443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탠드
KR101310248B1 (ko) 거치대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101359677B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CN214002450U (zh) 多功能线盒
CN209675556U (zh) 插排设备
CN215873036U (zh) 一种喂食器
CN211046512U (zh) 苹果设备二合一辅助充电支架
CN219655624U (zh) 增高架
CN217239914U (zh) 一种具有锁定功能的电力轨道插座
CN213629623U (zh) 一种具有隐藏式线束管理结构的自锁显示器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