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363B1 -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 Google Patents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363B1
KR100835363B1 KR1020070029827A KR20070029827A KR100835363B1 KR 100835363 B1 KR100835363 B1 KR 100835363B1 KR 1020070029827 A KR1020070029827 A KR 1020070029827A KR 20070029827 A KR20070029827 A KR 20070029827A KR 100835363 B1 KR100835363 B1 KR 100835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uid
heating
oxyge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수
Original Assignee
이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수 filed Critical 이광수
Priority to KR102007002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72Special adap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03Preparation of oxygen from inorganic compounds
    • C01B13/0207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8Level sensors, e.g. water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유체를 가열하여 난방용 배관으로 유출하는 가열부;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난방용 배관을 흐르는 유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기유입부;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더불어 상기 난방용 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제공받되, 이 중에서 공기는 내부에 구비된 공기정화부재와 반응하여 산소를 생성하는 산소발생부; 및 상기 산소발생부로부터 유체와 산소를 제공받아 저장 포집하고, 상기 저장된 유체의 자연 증발에 의해 실내를 가습시킴과 더불어 상기 포집된 산소를 실내로 방출시키며, 상기 유체를 상기 가열부로 다시 유출시키는 저장방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하여 난방 및 가습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산소발생 기능도 수행이 가능하며, 부피가 작고 난방용 배관에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듈화가 가능하고, 실내의 습도 및 온도를 수시로 확인하고 조정할 수 있고 물이 부족할 경우에도 사용자의 즉각적인 식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산소발생, 가습, 보일러.

Description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Boiler having function oxygen genesis and humid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에서 제어부와 구성요소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일러 2: 난방용 배관
3: 제1배관 4: 제2배관
5: 제3배관 6: 제4배관
7: 공기배관 8: 제1배출배관
9: 제2배출배관 10: 가열부
11: 가열통 12: 온도감지센서
13: 히터 14: 공기유출공
15: 전열선 16: 보온재
17: 히터통 20: 공기유입부
21: 블로워유닛 21a: 모터
21b: 팬 22: 케이스
23: 케이스의 유입구 24: 케이스의 유출구
25: 공기정화필터 26: 틀
27: 손잡이 28: 체크밸브
30: 산소발생부 31: 수용통
32: 공기정화부재 40: 저장방출부
41: 저장조 42: 수위감지센서
43: 통공 44: 덮개
45: 파지용 손잡이 46: 유출단
47: 가이드부재 50: 본체
51: 습도감지센서 52: 램프
53: 조절버튼 54: 표시부
60: 제어부 70: 유로전환밸브
71: 제1개폐밸브 72: 제2개폐밸브
80: 전원
본 발명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난방 시설이나 욕탕 등에 더운물을 보내기 위하여 물을 끓이는 장치이다.
종래의 보일러를 보면 연탄, 가스, 및 석유 등과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열로써 보일러 내의 물을 고온으로 가열시켜 가열된 물이 실내 측의 방바닥을 돌아 다시 귀환하는 순환 과정을 되풀이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보일러는, 단순한 난방용으로만 사용이 가능하고 화석연료의 연소열이 높은 열 에너지를 가지고 배출구로 빠져나가게 되므로서 열이용율, 즉 열효율이 지극히 낮으며, 특히 동절기와 같은 건조기에는 매우 건조한 실내의 습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가습기를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 공간적인 부담을 갖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 들어 국내실용신안출원 공고공보 제1987-0001872호와 같은 기술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는 온수 보일러 상부의 유입실 전둘레에 물이 채워지는 가열실과, 증기가 채워지는 증기실을 미세공이나 노즐을 가진 격판으로써 분리형성한 증기 발생장치를 설치하여 유입실에 유입된 고온수로부터의 전도열과 배출구 쪽으로 나가는 구벽탄 연소 폐열을 이용해서 가열실을 가열하여 얻어진 수증기를 증기실로 보내 여기에서 실내측까지 증기호스를 연결 설치하여 가습장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어서, 가습에 대한 효과는 어느 정도 있으나 증기호스 내에 결로 등이 발생하여 가습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종래기술은 장치의 부피가 커서 실내에 설치하기 곤란하고, 실내의 습도 및 온도를 표시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기능이 없어 사용자들이 실내의 습도 및 온도를 확인하거나 조정하기가 사실상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최근 들어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산소발생 기능 등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그 기능에는 난방과 가습에만 국한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에 설치하여 난방 및 가습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산소발생 기능도 수행이 가능하며, 부피가 작고 난방용 배관에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듈화가 가능하고, 실내의 습도 및 온도를 수시로 확인하고 조정할 수 있고 물이 부족할 경우에도 사용자의 즉각적인 식별이 가능한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유체를 가열하여 난방용 배관으로 유출하는 가열부;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난방용 배관을 흐르는 유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기유입부;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더불어 상기 난방용 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제공받되, 이 중에서 공기는 내부에 구비된 공기정화부재와 반응하여 산소를 생성하는 산소발생부; 및 상기 산소발생부로부터 유체와 산소를 제공받아 저장 포집하고, 상기 저장된 유체의 자연 증발에 의해 실내를 가습시킴과 더불어 상기 포집된 산소를 실내로 방출시키며, 상기 유체를 상기 가열부로 다시 유출시키는 저장방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방출부는, 상기 산소발생부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와 산소를 저장하고 포집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저장조에 저장되어 자연 증발되는 유체와 포집된 산소가 실내로 방출되도록 복수의 통공을 가지는 덮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를 제공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저장방출부로부터 유체를 유입하여 저장하고 상기 난방용 배관으로 유체를 유출하는 가열통과, 상기 가열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가열통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통에 저장된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열통은, 상기 저장방출부로부터 유체를 유입하도록 하부에 제1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난방용 배관으로 유체를 유출하도록 상부에 제2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2배관과 상기 난방용 배관 사이에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출배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배관, 제2배관, 및 제1배출배관의 결합부에는 유체의 경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통의 하부에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출배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배출배관 상에는 유체를 소통시키거나 차단하는 제1개폐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통의 최상단에는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출공을 가진다. 상기 히터는, 전열선과, 상기 전열선의 외부를 감싸되 상기 전열선의 열전달율을 높이도록 내부에 보온재가 충진된 히터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열선은 상기 히터통의 내 부에서 코일 형상이거나 적어도 한번 굴곡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보온재는 황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유입부는, 블로워유닛이 내장된 케이스와, 상기 블로워유닛을 통해 상기 케이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난방용 배관까지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유출구와 난방용 배관에 연결된 제3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공기배관과, 상기 케이스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공기정화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배관 상에는 상기 난방용 배관을 흐르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체크밸브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공기정화필터는 상기 케이스에 서랍식으로 인입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소발생부는, 유체와 공기를 유입하는 제3배관과 유체와 산소가 유출되는 제4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수용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정화부재는 촉매 또는 분리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촉매는 제올라이트이고, 상기 분리막은 고분자 합성 분리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배관과 난방용 배관 사이에는 유체를 소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2개폐밸브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저장방출부는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조는 상기 산소발생부로부터 유출되는 물과 산소를 제4배관을 통해 공급받아 저장하고 포집하되 상기 제4배관은 유출단이 확관된 형상을 가지며 이 확관된 형상의 유출단에는 유체를 하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에는 파지용 손잡이가 더 구비된다.
상기 유체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가열부, 공기유입부, 산소발생부, 및 저장방출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모듈화시키며, 외주면에는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와, 상기 저장방출부 내의 유체부족을 알리는 램프와, 난방 온도의 조절 및 유체배출을 위한 조절버튼과, 온도와 습도를 문자 또는 문양으로 표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 전열선, 블로워유닛, 수위감지센서, 유로전환밸브, 제1 및 제2개폐밸브, 전원, 습도감지센서, 램프, 조절버튼 및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습도감지센서로부터 온도정보 및 습도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상기 표시부에 온도와 습도를 문자 또는 문양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유체의 수위정보를 제공받아 기입력된 수위와 비교하여 상기 기입력된 수위 이하일 경우 상기 램프를 온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입력된 수위 이상일 경우 상기 램프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조절버튼에서 조정된 온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조정된 온도정보에 해당하는 기입력된 가열시간에 따라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열선에 전류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블로워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상기 조절버튼에서 유체배출 신호가 제공되면, 제1배관과 난방용 배관을 소통하던 상기 유로전환밸브가 제1배관과 제1배출배관을 소통하도록 제어하고, 제3배관과 난방용 배관을 소통하던 상기 제2개폐밸브가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제2배출배관 상의 상기 제1개폐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에서 제어부와 구성요소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1)는, 가열부(10), 공기유입부(20), 산소발생부(30), 및 가열부(40)를 포함한다.
먼저, 가열부(10)는 유체(이하, '물'이라 함.)를 가열하여 난방용 배관(2)으로 유출한다.
실시예에서, 가열부(10)는 가열통(11), 온도감지센서(12), 및 히터(13)를 포함한다.
가열통(11)은 저장방출부(40)로부터 물을 유입하여 저장하고 난방용 배관(2)으로 물을 유출한다.
가열통(11)은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형은 원통형, 직육면체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열통(11)의 최상단에는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출공(1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유출공(14)에 의해 난방용 배관(2)으로 물과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난방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통(11)은 저장방출부(40)로부터 물을 유입하도록 하부에 제1배관(3)이 연결되고, 난방용 배관(2)으로 물을 유출하도록 상부에 제2배관(4)이 연결된다.
이 제2배관(4)과 난방용 배관(2) 사이에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출배관(8)이 더 구비되고, 제1배관(3), 제2배관(4), 및 제1배출배관(8)의 결합부에는 물의 경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밸브(70)가 구비된다.
이 유로전환밸브(70)는 삼방밸브로서, 수동식 또는 자동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감지센서(12)는 가열통(11)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 온도감지센서(12)는 제2배관(4)과 인접하도록 가열통(11)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가열통(11)의 하부에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출배관(9)을 더 구비한다.
이 제2배출배관(9) 상에는 물을 소통시키거나 차단하는 제1개폐밸브(71)가 구비된다. 이 제1개페밸브(71)는 이방밸브로서, 수동식 또는 자동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13)는 가열통(11) 내부에 구비되어 가열통(11)에 저장된 물을 가열한다.
이 히터(13)는 전열선(15)과, 이 전열선(15)의 외부를 감싸되 전열선(15)의 열전달율을 높이도록 내부에 보온재(16)가 충진된 히터통(17)으로 이루어진다.
전열선(15)은 히터통(17)의 내부에서 코일 형상이거나 적어도 한번 굴곡된 형상을 가진다.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열선(15)은 히터통(17)의 상부를 향해 코일 형상으로 배열되거나, 상기 히터통(17)의 내부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된다.
전열선(15)이 상기와 같은 형상들을 가지므로 전열선(15)에서 가열통(11)에 저장된 물로 열전달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히터통(17)은 열전달율이 높은 금속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온재(16)는 열전달율을 극대화시키도록 구리, 금, 은, 황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황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유입부(2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난방용 배관(2)을 흐르는 물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실시예에서, 공기유입부(20)는 케이스(22), 공기배관(7), 및 공기정화필터(25)를 포함한다.
케이스(22)는 블로워유닛(21)이 내장된다.
블로워유닛(21)은 모터(21a)와 팬(21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스(22)의 일면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23)가 형성되고 타면은 공기를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24)가 형성된다.
공기배관(7)은 블로워유닛(21)을 통해 케이스(22)로 유입된 공기를 난방용 배관(2)까지 안내하도록 케이스(22)의 유출구(24)와 난방용 배관(2)에 연결된 제3배관(5)을 서로 연결한다.
이 공기배관(7) 상에는 체크밸브(28)가 적어도 하나 더 구비된다.
이 체크밸브(28)는 난방용 배관(2)을 흐르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정화필터(25)는 케이스(22)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케이스(22)의 유입구(23)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이 공기정화필터(25)는 정전필터 또는 정전필터를 포함한 기능성 필터들의 집합군일 수도 있다.
이 공기정화필터(25)는 상기 케이스(22)에 서랍식으로 인입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틀(26)에 구비된 공기정화필터(25)를 손잡이(27)를 잡고 케이스(22)로부터 인입출시키게 된다. 상기한 방식으로서 사용자가 공기정화필터(25)를 직접 교환하거나 공기정화필터(25)에 묻은 먼지 등을 손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산소발생부(30)는 공기유입부(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더불어 난방용 배관(2)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제공받되, 이 중에서 공기는 내부에 구비된 공기정화부재(32)와 반응하여 산소를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산소발생부(30)는 물과 공기를 유입하는 제3배관(5)과 물과 산소가 유출되는 제4배관(6)을 서로 연결하는 수용통(3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통(31)의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정화부재(32)는 촉매 또는 분리막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촉매는 제올라이트이고, 분리막은 고분자 합성 분리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산소발생부(30)는 산소를 생성하면서 질소도 생성하게 되는데, 여기서 생성된 질소는 별도의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산소발생부(30)의 구조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 상세한 기술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3배관(5)과 난방용 배관(2) 사이에는 물을 소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2개폐밸브(72)가 더 구비된다.
이 제2개페밸브(72)는 이방밸브로서, 수동식 또는 자동식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저장방출부(40)는 산소발생부(30)로부터 물과 산소를 제공받아 저장 포집하고, 저장된 물의 자연 증발에 의해 실내를 가습시킴과 더불어 포집된 산소를 실내로 방출시키며, 물을 가열부(10)로 다시 유출시킨다.
실시예에서, 저장방출부(40)는 저장조(41), 수위감지센서(42), 및 덮개(44)를 포함한다.
먼저, 저장조(41)는 제4배관(6)으로부터 유출되는 물과 산소를 저장하고 포집한다.
저장조(41)는 내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물의 저장이 가능하고 제4배관(6)은 유출단(46)이 확관된 형상을 가진다. 이 확관된 형상의 유출단(46)에는 별도로 물을 하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47)가 구비될 수도 있다.
수위감지센서(42)는 저장조(41)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덮개(44)는 저장조(41)의 상부를 커버하되 저장조(41)에 저장되어 자연 증발되는 물과 포집된 산소가 실내로 방출되도록 복수의 통공(43)을 가진다.
이 덮개(44)는 내부가 식별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거나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덮개(44)에는 파지용 손잡이(45)가 더 구비된다.
이 저장방출부(40)는 저장조(41) 내의 물이 부족할 경우 저장조(41)에 사용자가 직접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저장조(41) 내의 물공급을 위해 별도의 자동펌핑 시스템을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1)가 자동으로 동작되는 경우, 본체(50)와 제어부(60)를 더 포함한다.
먼저, 본체(50)는 가열부(10), 공기유입부(20), 산소발생부(30), 및 저장방출부(40)를 내부에 수용하여 모듈화시킨다.
예를 들면, 난방용 배관(2)으로부터 제1 및 제2 개폐밸브(71,72), 유로전환밸브(70)를 분리시키면 본 발명의 모듈화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듈화가 가능하므로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기존의 난방용 배관(2)에도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 본체(50)의 외주면에는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51), 저장방출부(40) 내의 물부족을 알리는 램프(52), 난방 온도의 조절 및 유체배출을 위한 조절버튼(53), 온도와 습도를 문자 또는 문양으로 표출하는 표시부(54)가 구비된다.
여기서 표시부(54)는 세그먼트 방식 또는 엘씨디 방식이다.
상기 제어부(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감지센서(12), 전열선(15), 블로워유닛(21), 수위감지센서(42), 유로전환밸브(70), 제1 및 제2개폐밸 브(71,72), 전원(80), 습도감지센서(51), 램프(52), 조절버튼(53) 및 표시부(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제어부(60)가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각각 제어하는 방식은 하기와 같다.
먼저, 제어부(60)는 상기 온도감지센서(12) 및 습도감지센서(51)로부터 온도정보 및 습도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표시부(54)에 온도와 습도를 문자 또는 문양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60)는 상기 수위감지센서(42)로부터 유체의 수위정보를 제공받아 기입력된 수위와 비교하여 기입력된 수위 이하일 경우 램프(52)를 온시키도록 제어한다. 반면, 수위감지센서(42)로부터 유체의 수위정보를 제공받아 기입력된 수위와 비교하여 기입력된 수위 이상일 경우 램프(52)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60)는 조절버튼(53)에서 조정된 온도정보를 제공받아 조정된 온도정보에 해당하는 기입력된 가열시간에 따라 전원(80)으로부터 전열선(15)에 전류가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60)는 전열선(15)을 온오프시킨다.
제어부(60)는 블로워유닛(21)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60)는 조절버튼(53)에서 유체배출 신호가 제공되면, 제1배관(3)과 난방용 배관(2)을 소통하던 유로전환밸브(70)가 제1배관(3)과 제1배출배관(8)을 소통하도록 제어하고, 제3배관(5)과 난방용 배관(2)을 소통하던 제2개폐밸브(72)가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제2배출배관(9) 상의 상기 제1개폐밸브(71)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1)의 기능 및 동작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열선(15) 및 블로워유닛(21)을 온시키면, 전열선(15)의 발열에 의해 가열통(11) 내의 물이 가열되고, 이 가열된 물은 블로워유닛(21)의 온에 의한 공기배관(7)의 공기유입 즉, 공기압 때문에 난방용 배관(2)을 순환하게 된다.
즉, 공기배관(7)에서 제3배관(5)으로 공기를 지속적으로 유입하게 되면, 가열통(11)에서 난방용 배관(2)으로 물이 유입되고, 이 난방용 배관(2)으로 유입된 물은 실내를 난방시킨 후, 제3배관(5)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3배관(5)으로 유입된 물은 공기배관(7)으로 유입된 공기와 함께 수용통(31)으로 유입되고, 이 중에서 공기는 수용통(31) 내부의 공기정화부재(32: 예를 들면, 제올라이트)에 의해 산소를 생성하게 된다.
수용통(31)에서 유출된 물과 산소는 제4배관(6)을 통해 저장조(41)로 저장되고 포집되며, 덮개(44)의 통공(43)을 통해 물의 수증기(물이 난방용 배관(2)을 순환하고 난 후에도 어느 정도의 잠열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충분한 양의 수증기 발생이 가능함.)가 방출되고 이와 동시에 저장조(41) 내부에 포집된 산소도 방출되게 된다.
상기 수용통(31)에 저장된 물은 제1배관(3)을 따라 다시 가열통(11)으로 유입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는 동안에, 제어부(60)는 온도감지센서(12) 및 습도감지센서(51)로부터 온도정보 및 습도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표시부(54)에 온도와 습 도를 문자 또는 문양으로 표출되도록 하고, 수위감지센서(42)로부터 유체의 수위정보를 제공받아 기입력된 수위와 비교하여 기입력된 수위 이하일 경우 램프(52)를 온시켜 저장조(41)에 사용자가 물을 채우도록 알린다.
아울러, 제어부(60)는 조절버튼(53)에서 조정된 온도정보를 제공받아 이 조정된 온도정보에 해당하는 기입력된 가열시간에 따라 전원(80)으로부터 전열선(15)에 전류가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만일,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1)의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하거나 상기 본체(50)의 공간 이동이 필요할 경우, 물을 모두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할 때, 제어부(60)는 조절버튼(53)에서 유체배출 신호가 제공되면, 제1배관(3)과 난방용 배관(2)을 소통하던 유로전환밸브(70)가 제1배관(3)과 제1배출배관(8)을 소통하도록 제어하고, 제3배관(5)과 난방용 배관(2)을 소통하던 제2개폐밸브(72)가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제2배출배관(9) 상의 상기 제1개폐밸브(71)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이 후, 유로전환밸브(70), 제1 및 제2개폐밸브(71,72)를 모두 난방용 배관(2) 등으로부터 분리시켜 본체(50)가 난방용 배관(2)으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본 보일러(1)가 여름에 시원한 냉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열부(10)의 히터(전열선(15))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저장방출부(40)의 저장조(41)에 직접 얼음 및 드라이아이스와 같은 냉각수단을 넣어서 물을 순환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실내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난방 및 가습 기능 뿐만 아니라 산소발생 기능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부피가 작고 난방용 배관에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듈화가 가능하고,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하거나 공간 이동시에 아주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의 습도 및 온도를 수시로 확인하고 조정할 수 있고, 물이 부족할 경우에도 사용자의 즉각적인 식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19)

  1. 유체를 가열하여 난방용 배관으로 유출하는 가열부;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난방용 배관을 흐르는 유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기유입부;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더불어 상기 난방용 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제공받되, 이 중에서 공기는 내부에 구비된 공기정화부재와 반응하여 산소를 생성하는 산소발생부; 및
    상기 산소발생부로부터 유체와 산소를 제공받아 저장 포집하고, 상기 저장된 유체의 자연 증발에 의해 실내를 가습시킴과 더불어 상기 포집된 산소를 실내로 방출시키며, 상기 유체를 상기 가열부로 다시 유출시키는 저장방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방출부는, 상기 산소발생부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와 산소를 저장하고 포집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저장조에 저장되어 자연 증발되는 유체와 포집된 산소가 실내로 방출되도록 복수의 통공을 가지는 덮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저장방출부로부터 유체를 유입하여 저장하고 상기 난방용 배관으로 유체를 유출하는 가열통과, 상기 가열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가열통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통에 저장된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통은,
    상기 저장방출부로부터 유체를 유입하도록 하부에 제1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난방용 배관으로 유체를 유출하도록 상부에 제2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2배관과 상기 난방용 배관 사이에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출배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배관, 제2배관, 및 제1배출배관의 결합부에는 유체의 경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통의 하부에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출배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배출배관 상에는 유체를 소통시키거나 차단하는 제1개폐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통의 최상단에는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기 위해 적 어도 하나의 공기유출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전열선과, 상기 전열선의 외부를 감싸되 상기 전열선의 열전달율을 높이도록 내부에 보온재가 충진된 히터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은 상기 히터통의 내부에서 코일 형상이거나 적어도 한번 굴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는 황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는,
    블로워유닛이 내장된 케이스와, 상기 블로워유닛을 통해 상기 케이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난방용 배관까지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유출구와 난방용 배관에 연결된 제3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공기배관과, 상기 케이스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공기정화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관 상에는 상기 난방용 배관을 흐르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체크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필터는 상기 케이스에 서랍식으로 인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발생부는,
    유체와 공기를 유입하는 제3배관과 유체와 산소가 유출되는 제4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수용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정화부재는 촉매 또는 분리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제올라이트이고, 상기 분리막은 고분자 합성 분리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배관과 난방용 배관 사이에는 유체를 소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2개폐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방출부는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조는 상기 산소발생부로부터 유출되는 물과 산소를 제4배관을 통해 공급받아 저장하고 포집하되 상기 제4배관은 유출단이 확관된 형상을 가지며 이 확관된 형상의 유출단에는 유체를 하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파지용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17. 제 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18. 제 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 공기유입부, 산소발생부, 및 저장방출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모듈화시키며, 외주면에는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와, 상기 저장방출부 내의 유체부족을 알리는 램프와, 난방 온도의 조절 및 유체배출을 위한 조절버튼과, 온도와 습도를 문자 또는 문양으로 표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 전열선, 블로워유닛, 수위감지센서, 유로전환밸브, 제1 및 제2개폐밸브, 전원, 습도감지센서, 램프, 조절버튼 및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습도감지센서로부터 온도정보 및 습도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상기 표시부에 온도와 습도를 문자 또는 문양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유체의 수위정보를 제공받아 기입력된 수위와 비교하여 상기 기입력된 수위 이하일 경우 상기 램프를 온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입력된 수위 이상일 경우 상기 램프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조절버튼에서 조정된 온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조정된 온도정보에 해당하는 기입력된 가열시간에 따라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열선에 전류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블로워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상기 조절버튼에서 유체배출 신호가 제공되면, 제1배관과 난방용 배관을 소통하던 상기 유로전환밸브가 제1배관과 제1배출배관을 소통하도록 제어하고, 제3배관과 난방용 배관을 소통하던 상기 제2개폐밸브가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제2배출배관 상의 상기 제1개폐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19. 삭제
KR1020070029827A 2007-03-27 2007-03-27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KR100835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827A KR100835363B1 (ko) 2007-03-27 2007-03-27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827A KR100835363B1 (ko) 2007-03-27 2007-03-27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363B1 true KR100835363B1 (ko) 2008-06-04

Family

ID=3977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827A KR100835363B1 (ko) 2007-03-27 2007-03-27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3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880A (ko) 2016-10-20 2018-05-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산소제조기능을 갖는 순산소 가열로 및 그의 작동방법
CN110090141A (zh) * 2019-03-30 2019-08-06 岳西县天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富氧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680Y1 (ko) 2001-05-29 2001-10-15 주식회사 옥시큐어 가습기가 부착된 산소발생 냉온정수기
KR20020027439A (ko) * 2002-03-09 2002-04-13 손영석 하이테크 디지털 다기능의 보일러
KR20030041932A (ko) * 2003-05-02 2003-05-27 이정호 4계절용 다목적 냉난방기
KR20040030372A (ko) * 2002-10-02 2004-04-09 김선일 환경친화적인 다기능 보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680Y1 (ko) 2001-05-29 2001-10-15 주식회사 옥시큐어 가습기가 부착된 산소발생 냉온정수기
KR20020027439A (ko) * 2002-03-09 2002-04-13 손영석 하이테크 디지털 다기능의 보일러
KR20040030372A (ko) * 2002-10-02 2004-04-09 김선일 환경친화적인 다기능 보일러
KR20030041932A (ko) * 2003-05-02 2003-05-27 이정호 4계절용 다목적 냉난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880A (ko) 2016-10-20 2018-05-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산소제조기능을 갖는 순산소 가열로 및 그의 작동방법
CN110090141A (zh) * 2019-03-30 2019-08-06 岳西县天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富氧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1829B2 (ja) 蒸気生成器システムを有する蒸気浴槽
TW2004033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potable water from atmosphere
JP2009537714A (ja) 多目的の断熱的な飲用水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
CN103300721A (zh) 反渗透空气能热泵饮水机
CA2349634A1 (en) Gas water heater
KR101130814B1 (ko) 냉온수 정수 기능과 항습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 공조기
KR100835363B1 (ko) 산소발생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
JP2013534610A (ja) 自体蒸気圧を利用した自動給水式蒸気発生装置
JP2007225251A (ja) 浄水器付き電気温水器
WO2004030787A2 (en) Multi-function boiler
RU2011105070A (ru) Встроенное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я с тепловым аккумулятором
KR100700313B1 (ko) 휴대용스팀난방장치
RU211896U1 (ru)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FI82303B (fi) Luftfuktare.
CN210511883U (zh) 地脚线
KR102599051B1 (ko) 수분 공급 수조의 온도 측정을 통해 예열 모드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열 모드 수행 방법
CN202537175U (zh) 反渗透空气能热泵饮水机
KR102660138B1 (ko) 기수 분리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고효율 증기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220417653U (zh) 一种节能温开水设备
KR200424906Y1 (ko) 온수 겸용 전기 보일러
CN201203269Y (zh) 一种小功率蓄热高强度放热的高焓器
CN210801580U (zh) 一种方便清除水垢的燃气热水器
KR20110039948A (ko) 전기 보일러장치
KR200383138Y1 (ko) 전기 보일러
KR100607978B1 (ko) 전기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