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579B1 -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을 허용하는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을 허용하는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579B1
KR100834579B1 KR1020060124369A KR20060124369A KR100834579B1 KR 100834579 B1 KR100834579 B1 KR 100834579B1 KR 1020060124369 A KR1020060124369 A KR 1020060124369A KR 20060124369 A KR20060124369 A KR 20060124369A KR 100834579 B1 KR100834579 B1 KR 100834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list
handoff
registration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수
최성곤
김상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514,890 priority Critical patent/US8320332B2/en
Priority to PCT/KR2006/005341 priority patent/WO2008069356A1/en
Priority to KR1020060124369A priority patent/KR100834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9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adapted for mobile IP [M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에서, 이동체로부터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체가 현재 이동한 이동 에이전트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내부에 미리 설정된 가능성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요청을 처리하고, 상기 정보들의 갱신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체에 즉시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기 전에 접속한 이전 이동 에이전트 및 상기 이동체의 홈 에이전트로 그대로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의 IP 핸드오프 신호 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신호 프로토콜 형태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게 핸드오프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60124369
복수 IP 핸드오프, MS, MNG, MAP, MA, HA, 가능성 리스트, 등록 요청 메시지, 등록 응답 메시지.

Description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시스템{IP HANDOFF PROCESS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ON OF INTERNET PROTOCOLS BETWEEN MOBILE AGENTS IN HETEROGENEOUS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망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 내의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 내의 임시 리스트 테이블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 내의 인접 리스트 테이블을 도시한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 내의 가능성 리스트 테이블을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IP 접속을 허용하는 이동 에이전트와 이동 노드의 홈 에이전트 사이이의 핸드오프 처리를 위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등록 요청에 따른 처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등록 응답에 따른 처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종 망 사이의 복수 IP 접속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기기는 복수의 IP 주소(IP address)를 지닌 이동 단말로써(예: 두 개의 WiBro port) 첫 번째 IP 주소는 IP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두 번째 IP 주소는 첫 번째 주소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를 대비하여 사용하려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동일 매체, 동일 프로토콜의 IP 주소체계를 갖는 복수의 IP 주소를 지닌 이동단말을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또한, 사용자의 기기는 복수의 IP 주소를 지닌 이동 단말로써(예: cellelar 방식의 MIPv6 Address 1과 WiBro MIPv6 Address 2), 첫 번째 주소는 IP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두 번째 주소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사용하려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접속 매체가 다르지만 동일 프로토콜의 IP 주소체계를 갖는 복수의 IP 주소를 지닌 이동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기기는 복수의 IP 주소를 지닌 이동 단말로써(예: cellelar 방식의 MIPv6 주소(Address) 1과 SIP 방식의 MIPv6 Address 2), 셀룰러(cellelar) 방식의 MIPv6이 지원되는 지역에서 SIP 방식의 MIPv6이 지원되는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끊김없는(seamless)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사용하려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접속 매체도 다르고 신호 프로토콜이 다른 복수의 IP 주소를 지닌 이동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한편, 철도나 비행기와 같은 경우, 이동체 내부의 네트워크가 존재하고 그러한 내부 네트워크에 다양한 고정 노드(예로써 실내 온도 및 기압 검출기)와 승객의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을 포함한 휴대폰 등과 접속하여 외부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네트워크(Mobile Network)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는 이동 네트워크가 외부와 접속하기 위한 이동 라우터(MR: Mobile Router)가 있으며, 이 이동 라우터는 이동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 기능을 하는 이동라우터에는 외부와 접속을 위한 노드가 복수로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노드들은 접속 매체, 핸드오프를 위한 신호 프로토콜이 같을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있어 이동 네트워크가 외부의 네트워크와 접속을 하기 위한 이동 라우터가 복수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이동 라우터의 외부 접속 방식은 접속 매체, 핸드오프를 위한 신호 프로토콜이 같을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장거리를 순항하는 대형 여객선과 같이 매우 거대한 이동체의 경우에는 각 층마다 별개의 서브 네트워크를 지닌 이동 네트워크(Mobile Network)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이동 네트워크에는 외부와의 접속을 위한 이동 라우터가 복수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그러한 이동 라우터의 외부 접속 방식은 접속 매체, 핸드오프를 위한 신호 프로토콜이 같을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MN: Mobile Node) 또는 이동 라우터(MR: Mobile Router)에 복수의 IP 주소를 허용하거나 또는 별개의 서브넷(subnet)을 허용하는 경우는 이동 단말 또는 이동 라우터가 소속한 홈 에이전트(Home Agent)의 정책에 의존한다.
이와 같은 경우들에 따른 종래 기술 중 하나로서, US Pat. 6,990,339 B2(Jan. 24, 2006)는 Mobile IPv4 노드와 Mobile IPv6 노드에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mobility 관리 기능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대 노드 (correspondent node : CN)와 이동 노드(MN: mobile node) 사이의 패킷 경로에 홈 에이전트 (Home Agent : HA)와 인접 에이전트(Foreign Agent : FA)가 중간에 위치하여 패킷의 전달 지연이 되거나 핸드오프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HA와 FA가 개입함으로 발생될 수 있는 패킷의 전달지연 및 손실을 방지하고자 NAI(Network Address Inedtifier)와 MN의 방문지 IP 주소(CoA)를 매핑하는 기능을 지닌 UNS(User Name Service)를 도입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에서 MN이 FA를 이동할 때마다 MN의 홈(home) UNS에게 MN이 새로운 FA에서 획득한 IP 주소(CoA)를 보내고, CN에게는 새로운 FA로 이동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여 MN의 home UNS로부터 CN이 MN의 새로운 IP 주소(CoA)를 얻어서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MN이 직접 CN에게 새로운 FA에서 획득한 IP 주소(CoA)를 암호화하여 보내고, 풀 수 있는 key 값은 MN의 home UNS로부터 받아서 IP 주소를 인식하여 패킷을 새로운 IP 주소(CoA)로 전송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상기에서 의도하는 바와 같이 등록 절차나 패킷 경로가 HA나 FA를 거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CN이 UNS와 통신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며, 또한, CN이 먼저 MN에게 접속하려면 MN의 home UNS를 알 수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backward compatibility 문제), 또한, MN에도 UNS 또는 CN에게 그러한 메시지를 인식하고 보낼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야 한다. 그리고 MN의 home UNS가 원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CN이 그러한 새로운 IP 주소를 얻기까지 시간 지연이 길어지게 되어 결국 패킷 전달 지연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이동 네트워크(Mobile Network)가 아닌 이동 노드에 활용이 국한되어 있다.
한편, US Pat. 7,065,062 B2(Jun. 20, 2006)는 Mobile IPv4와 Mobile IPv6에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이동성(mobility) 관리 기능을 고안하였다. 이러한 기술은 기존의 CDMA-2000 이동전화에서 유휴중인 이동 단말(Dormant MN)의 복잡한 핸드오프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으로 실제 이동 단말이 유휴중이 아닌 상태, 즉 동작하는 상태에서 결국 새로운 FA로 변경하는 경우 HA와의 등록에 필요한 고속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US Pat. 2005/0163078 A1(Jul. 28, 2005)은 서로 다른 서브넷(subnet)을 지닌 LAN(Local Area Network)들 사이의 핸드오프를 위하여 제정된 IEEE 802.11i의 L2 계층에 대한 선행 인증(pre-authentication) 방식을 확장하여, 인접지역의 AP(Access Point)의 beacon 신호를 감지하여 L2 핸드오프가 실제로 발생하기 이전에 L3 계층(즉 subnet이 달라 IP 주소 변경을 하여야 하는 경우)의 선행 구성(pre-configuration)과 선행 인증(pre-authentication)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은 이동에 따라 IP 핸드오프가 발생할 경우 필요한 IP 주소에 대한 자원을 미리 할당받는 방식이다. 또한, 이러한 방식을 LAN 응용뿐만 아니라 Home RF, Wi-FI 및 공중 이동 통신망인 CDMA, TDMA, GSM, CDMA2000 등과 같은 망에서의 L3 핸드오프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이동 노드(MN)가 이동하여 인접 지역의 AP의 L2 계층 비콘(beacon) 신호를 검출하면 L2 핸드오프가 발생할 것을 대비하여 L2 핸드오프 발생 이전에 미리 L3 계층(즉, IP Address)의 선행 구성과 선행 인증을 수행하다가 L2 핸드오프가 실제로 발생하면 곧바로 이동한 서브넷(subnet)의 IP 주소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L2 핸드오프가 실제 발생하기 이전에 L2 핸드오프의 선행 구성과 선행 인증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이동 노드가 지니고 있어야 하므로 기존의 공중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하는 단말은 사용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서브넷(subnet) 지역에서 이동 노드의 이동에 따라 새로운 AP의 비콘(beacon)을 받을 때마다 새로운 서브넷에 속한 AP의 비콘(beacon)인지 MN이 판단하여야 한다. 결국 새로운 AP의 비콘(beacon)을 받을 때마다 다른 서브넷(subnet)으로의 이동인지 알기 위하여 L3 계층까지 처리해야 하므로 MN의 처리 능력에 대한 대가를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IP 핸드오프 방안으로 SIP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는 방안(IETF의 rfc2543 참조)은 데이터 패킷의 경로와 시그널링 패킷의 경로를 분리한다는 점은 본 발명에서 참조하는 발명과 유사하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새로운 IP 주소로 변경할 때마다 SIP Redirect server가 등록을 해 주어야 하므로 MN이 자신의 홈 네트워크에서 멀리 이는 경우에는 핸드오프 시간 지연이 길어질 수 있으며, MN이 이동 중에 IP 주소 변경에 의하여 TCP 세션의 연속성을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세션의 연속성 유지를 위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차원에서 종래에 TCP 세션이 지속되는 동안에 MN이 새로운 IP 주소로 변경하는 경우 MN의 원(original) IP 주소, MN의 현재 IP 주소와 현재의 TCP세션을 사용하는 관련 호스트(correspondent host)의 원(original) IP 주소로 구성된 정보에 의한 처리방안이 있다.(ITSUMO (Internet Technologies Supporting Universial Mobile Operation) project의 SIPeye agent 참조)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모든 MN와 관련 호스트(correspondent host)에 SIPeye 에이전트(agent)를 구현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동(Mobile) IPv6을 사용하는 경우, hierarchial MIPv6 등록 방안을 도입하는 경우에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MN이 방문한 망의 에이전트의 IP 주소를 알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동 IPv4의 Regional Registration 문제를 여전히 지니고 있다.
한편, 종래에 위성을 이용한 고속 핸드오프 방식이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음성 통화를 위한 내용으로 IP 패킷을 위한 내용, 즉 IP 핸드오프를 위한 내용은 아니며, 위성을 사용하는 데 따른 고 비용이 필요하다는 문제를 안고 있으 며, 정지위성과 같은 위성을 사용하는 경우는 지상의 노드와 위성 사이의 시간 지연이 심각하고, 데이터 패킷의 경로와 핸드오프 신호 패킷의 경로가 동일하여 HOL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의 문제점에 따라 이동 단말 또는 이동 라우터에 복수의 IP 주소를 지니거나 서로 다른 주소 체계를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이동 네트워크가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을 위하여 복수의 이동 라우터를 사용하는 경우의 지원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IP 주소를 지닌 이동 단말이나 복수의 이동 라우터를 지닌 이동 네트워크에서 IP 신호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끊김없는(seamless) 핸드오프를 제공하기 위한 IP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신호 프로토콜 형태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하여 신속한 핸드오프를 처리하고, 핸드오프에 관련된 신호 메시지의 형태와 내용을 변경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IP 핸드오프 신호 방식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IP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이동 에이전트 플랫 폼에서, 이동체에 서로 다른 복수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다수의 이동 에이전트들 사이의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복수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갖는 이동체로부터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체가 현재 이동한 이동 에이전트를 통해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들의 갱신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한 이동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이동체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기 전에 접속한 이전 이동 에이전트 및 상기 이동체의 홈 에이전트로 그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시스템은, 이동 노드와 이동 라우터를 포함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게 복수 IP를 동시 접속 허용하는 다수의 이동 에이전트와, 상기 이동체가 방문한 이동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이동체의 복수의 IP 접속을 위한 핸드오프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즉시 등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상기 이동체의 홈 에이전트 및 이전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을 위한 이동 네트워크 안에 있는 MR(Mobile Router)의 인터페이스와 MN(Mobile Node)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분을 하지 않으며, 대신에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지닌 MN이나 MR의 경우는 그룹을 지어(Grouping) 처리하므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지닌 이동 단말과 동일하게 취급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이동 노드(MN: Mobile Node)가 MIPv6 와 WiFi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지닐 수 있으며, 이동 네트워크(Mobile Network)에도 외부와 접속하는 이동 라우터(MR: Mobile Router)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동 네트워크에 있는 하나의 MR에도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지니고 있을 수가 있다. 이러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핸드오프 신호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예로써 MIPv6) 또는 서로 다른 핸드오프 신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예로써 MIPv6과 WiFi)를 사용할 수도 있음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데이터 패킷의 경로와 핸드오프(handoff)를 위한 신호 패킷의 경로는 분리된 형태를 사용하며, 데이터 패킷의 경로와 핸드오프(handoff)를 위한 신호 패킷의 경로의 분리 방안으로 고공 비행체(HAAP: High Altitude Aeronautical Platform)를 사용하거 나 가상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이동 라우터/이동 네트워크에 대한 복수의 IP 주소 허용 여부, 이러한 경우에서 서로 다른 subnet의 허용 여부, 복수 IP에 대한 서로 다른 핸드오프 신호 프로토콜 허용 여부는 모두 홈 에이전트(Home Agent 이하, HA라 칭함)의 정책에 따른다. 그리고 이동 네트워크의 외부 접속을 위한 이동 라우터에 대하여 복수의 IP 주소 허용 여부, 이러한 경우에서 서로 다른 subnet의 허용 여부, 복수 IP에 대한 서로 다른 핸드오프 신호 프로토콜 허용 여부 및 동시 사용 여부는 모두 HA의 정책에 따른다. 마찬가지로 이동 네트워크의 외부 접속을 위한 이동 라우터의 복수 허용 여부도 HA의 정책에 따른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수 IP 허용, 허용된 복수 IP에 대한 서로 다른 핸드오프 신호 프로토콜 허용이 된 경우, 이동 단말 및 이동 라우터가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였을 때, 한 번의 핸드오프 요청에 의하여 상기 이동 노드 또는 이동 네트워크에 허용된 모든 복수 IP 핸드오프를 허용하거나 또는 개별적인 IP 핸드오프만의 허용 등은 상기 이동 단말 및 이동 네트워크의 HA(Home Agent)의 정책에 따른다.
그러나 자신의 관할 지역을 방문한 외부의 이동 단말 또는 이동 네트워크가 요청하는 핸드오프 요청을 받은 이동 에이전트(MA: Mobile Agent)는 항상 자신이 소속된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 Mobile Agent Platform)에게 핸드오프 요청 메시지를 그대로 전달하며, 자신이 소속한 MAP으로부터 오지 않고 다른 이동 에이전트(MA)로부터 오는 핸드오프 응답 메시지는 기존 방식으로 처리를 하되 항상 자신이 소속한 MAP에게 그대로 전달하는 것으로 미리 약속을 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IP가 허용된 이동 단말이나 이동 라우터, 복수의 이동라우터가 허용된 이동 네트워크, 복수의 IP를 지닌 복수의 이동라우터를 지닌 이동 네트워크가 IP 핸드오프를 요청할 때 한꺼번에 허용된 모든 IP들의 핸드오프를 동시에 요청하거나 또는 각각의 IP에 대한 핸드오프를 개별적으로 요청하든지의 결정은 이동 단말 및 이동 라우터와 이들이 소속된 HA 사이의 정책에 따라 결정하며, 이러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주에는 속하지 않는다. 이러한 HA는 자신에게 등록한 이동 단말 및 이동 라우터에 대하여 단일 IP 핸드오프 허용, 복수 IP 허용인 경우에서 동일 방식의 IP 핸드오프 허용, 서로 다른 매체 허용(IEEE 802.11 b/g, etc), 서로 다른 핸드오프 신호 방식 허용(예: SIP과 Mobile IP)을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방식에 적합한 핸드오프 등록 요청에 대한 방식과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 단말 및 이동라우터의 IP 핸드오프 허용을 위한 데이터를 HA의 내부에 지니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수의 IP 핸드오프가 허용된 이동 단말 및 이동 라우터가 이동하면서 IP 핸드오프를 방문지역의 FA를 통하여 HA에게 요청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 및 이동 라우터와 외부 접속을 위한 복수의 노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하여 IP 핸드오프를 요청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 이러한 외부 접속을 위한 복수의 노드들을 편의상 이동 노드 그룹(Mobile Node Group 이하, MNG라 칭함)으로 약칭하며, 이러한 MNG에 속하며 외부 접속을 위한 이동 노드 및 이동 라우터를 이동체(MS : Mobile Station)로 약칭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인터넷 망의 구조 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망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노드 및 이동 라우터를 포함하는 이동체(이하, MS라 칭함)(101)와, 복수의 IP 접속을 허용하는 이동 에이전트(Mobile Agent 이하, MA라 칭함)(MA1(113), MA2(112), MA3(111))와, 상기 복수의 이동 에이전트(111~113)를 관할하는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obile Agent Platform 이하, MAP라 칭함) 및 홈 에이전트(이하, HA라 칭함)(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MA3(111)은 MS(101)이 MA2(112)의 관할지역으로부터 이동한 후에 현재 방문한 이동 에이전트를 나타내며, MA1(113)과 MA3(111)은 MS(101)에 대하여 외부 에이전트(FA : Foreign Agent)로서 동작한다.
상기 MA2(112)는 MS(101)가 MA3(111)의 관할지역으로 이동하기 이전에 접속한 이동 에이전트이다.
상기 MS(101)이 MA1(113)에게 가입자로 등록한 경우에는 MA1(113)은 MS(101)의 HA가 된다.
상기 HA(130)은 MAP(120)의 관할 구역 밖의 다른 MA에 MS(101)이 가입자로 등록된 경우의 HA이다. 여기서 HA(130)는 MAP(120)의 관할지역인 141안의 어떤 MA가 될 수도 있지만 편의상 MAP(120)의 관할지역 밖으로 표시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IP 네트워크(141)는 MAP(120)이 관할하는 지역이 되며, IP 네트워 크(142)는 MAP(121)이 관할하는 지역이 되고, 이러한 IP 네트워크(141)와 IP 네트워크(142)는 서로 인접한 네트워크이지만 인터넷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거나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는 편의상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를 경유한 것으로 표시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이동 에이전트와 이동체 및 이동체의 홈 에이전트 사이의 핸드오프 등록 요청 및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핸드오프 처리 절차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서 핸드오프 처리를 위해 상기 MAP는 내부에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 임시 리스트 테이블, 인접 리스트 테이블, 가능성 리스트 테이블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각 테이블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 내의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MAP 내부에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 구비하며, 상기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은 사용하는 프로토콜 종류별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토콜 종류 즉, 프로토콜 타입(type) A(301), 프로토콜 타입 B(302), 프로토콜 타입 C(303), 프로토콜 타입 D(304), ... 프로토콜 타입 n(310)은 MAP의 관할 구역 안에 있는 MS들의 방문자 리스트를 MS가 사용하는 프로토콜 종류별로 분류한 테이블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프로토콜 타입 A(301)는 이동 IPv4 핸드오프 또는 IEEE 802.11e 핸드오프 절차를 따르는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로 간주할 수 있고, 프로토콜 타입 B(302)는 이동 IPv6 핸드오프 절차를 따르는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로 간주할 수 있고, 프로토콜 타입 C(303)는 NEMO 핸드오프 절차를 따르는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프로토콜 타입 D(304)는 SIP 절차 또는 IETF의 MONAMI6 워킹 그룹(Work Group)에서 논의 중인 BID를 사용하는 절차를 따르는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로 간주할 수도 있으며, 프로토콜 타입 n(310)은 IEEE WiMAX 절차를 따르는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 세부 내용은 상기 도 2의 각 프로토콜 타입들을 대표하여 프로토콜 타입 n(310)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310)에서 첫 번째 열(column)(311)은 MAP의 관할 구역 안에 있는 방문자(즉, MS)등을 나타내고, 두 번째 열(312)은 MS의 등록 요청 및 허용에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된 기본 파라미터들이며, 이러한 내용은 위탁주소(CoA : Care-of Address), 홈 에이전트(Home Agent), 생존시간(Lifetime), 외부 에이전트(Foreign Agen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열(311, 312)은 기존의 MAP이 사용하는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의 양식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310)에서 세 번째 열(313)은 첫 번째 열(311)에 있는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에 있는 MS가 멀티 IP 핸드오프 요청인지 판단을 위한 이동 노드 그룹(MNG)들 중의 하나이며, MNG 내부의 MS들 사이 또는 프로토콜 사이의 핸드오프가 허용된 노드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세 번째 열(313)에서 첫 번째 방문자(Visitor #1)와 세 번째 방문 자(Visitor #3)는 이동 노드 그룹(MNG)들 중의 하나이며 MNG 내부의 MS들 사이 또는 프로토콜 사이의 핸드오프가 허용된 노드임을 나타내고 두 번째 방문자(Visitor #2)는 허용되지 않는 MS임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열(314)은 상기 세 번째 열(313)이 허용 표시로 된 경우의 가능성 리스트(capability list)의 위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프로토콜 타입 n의 경우 3번째 행의 Visitor #3과 4번째 행의 Visitor #4는 같은 그룹인 R2에 속하는 것(4 번째 열(314)의 R2)을 나타내고 있어 Visitor #3과 Visitor #4를 사용하는 이동 단말 또는 이동 네트워크에게 2개의 IP가 동시에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각 프로토콜 단위로 구분되어 생성된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들은 모두 프로토콜 타입 n(310)과 같은 형태로서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 내의 임시 리스트 테이블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MAP 내부에 임시 리스트 테이블 구비하며, 상기 임시 리스트 테이블은 사용하는 프로토콜 종류별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토콜 종류 즉, 프로토콜 타입 A(401), 프로토콜 타입 B(402), 프로토콜 타입 C(403), 프로토콜 타입 D(404), ... 프로토콜 타입 n(410)은 MAP의 관할 구역 안에 있는 MS들에 대한 임시 리스트(temp list)를 MS가 사용하는 프로토콜 종류별로 분류한 테이블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프로토콜 타입 A(401)는 이동 IPv4 핸드오프 또는 IEEE 802.11e handoff 절차를 따르는 임시 리스트 테이블로 간주할 수 있고, 프로토콜 타입 B(402)는 이동 IPv6 핸드오프 절차를 따르는 임시 리스트 테이블로 간주할 수 있고, 프로토콜 타입 C(403)는 NEMO 핸드오프 절차를 따르는 임시 리스트 테이블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예들 들어 프로토콜 타입 D(404)는 SIP 절차 또는 IETF의 MONAMI6 워크 그룹(Work Group)에서 논의 중인 BID를 사용하는 절차를 따르는 임시 리스트 테이블로 간주할 수도 있으며, 프로토콜 타입 n(410)은 IEEE WiMAX 절차를 따르는 임시 리스트 테이블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임시 리스트 테이블 세부 내용은 상기 도 3의 각 프로토콜 타입들을 대표하여 프로토콜 타입 n(410)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임시 리스트 테이블(410)에서 첫 번째 열(column)(411)은 MAP의 관할 구역 안에 있는 방문자(즉, MS) 등을 나타낸 것이며, 두 번째 열(412)은 MS의 등록 요청 및 허용에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된 기본 파라미터들이며, 이러한 내용은 CoA(Care-of Address), Home Agent, Lifetime, Foreign Agen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열(411, 412)은 기존의 MAP이 사용하는 임시 리스트 테이블의 양식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임시 리스트 테이블(410)에서 세 번째 열(413)은 첫 번째 열(411)에 있는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에 있는 MS가 멀티 IP 핸드오프 요청인지 판단을 위한 이동 노드 그룹(MNG)들 중의 하나이며, MNG 내부의 MS들 사이 또는 프로토콜 사이의 핸드오프가 허용된 노드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목적이다. 따라서 상기 세 번째 열(413)에서 세 번째 방문자(Visitor #3)는 이동 노드 그룹(MNG)들 중의 하나이며, MNG 내부의 MS들 사이 또는 프로토콜 사이의 핸드오프가 허용된 노드임을 나타내고, 첫 번째 방문자(Visitor #1)와 두 번째 방문자(Visitor #2)는 허용되지 않는 노드임을 나타낸다.
상기 임시 리스트 테이블(410)에서 네 번째 열(414)은 상기 세 번째 열(413)이 허용 표시로 된 경우의 가능성 리스트(capability list)의 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도 3의 각 프로토콜별로 구분되어 생성된 임시 리스트 테이블들은 모두 프로토콜 타입 n(410)과 같은 형태로서 세 번째와 네 번째 열(413 및 414)을 제외하면 기존의 MAP이 사용하는 임시 리스트 테이블의 양식과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 내의 인접 리스트 테이블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MAP 내부에 인접 리스트(Border list) 테이블 구비하며, 상기 인접 리스트 테이블은 사용하는 프로토콜 종류별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토콜 종류 즉, 프로토콜 타입 A(501), 프로토콜 타입 B(502), 프로토콜 타입 C(503), 프로토콜 타입 D(504), ... 프로토콜 타입 n(510)은 MAP의 관할 구역 안에 있는 MS들에 대한 인접 리스트를 MS이 사용하는 프로토콜 종류별로 분류한 테이블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프로토콜 타입 A(501)는 이동 IPv4 핸드오프 또는 IEEE 802.11e 핸드오프 절차를 따르는 인접 리스트 테이블로 간주할 수 있으며, 프로토콜 타입 B(502)는 Mobile IPv6 핸드오프 절차를 따르는 인접 리스트 테이블로 간주할 수 있고, 프로토콜 타입 C(503)는 NEMO 핸드오프 절차를 따르는 인접 리스트 테 이블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프로토콜 타입 D(504)는 SIP 절차 또는 IETF의 MONAMI6 Work Group에서 논의 중인 BID를 사용하는 절차를 따르는 인접 리스트 테이블로 간주할 수도 있으며, 프로토콜 타입 n(510)은 IEEE WiMAX 절차를 따르는 인접 리스트 테이블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인접 리스트 테이블 세부 내용은 상기 도 4의 각 프로토콜 타입들을 대표하여 프로토콜 타입 n(510)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인접 리스트 테이블(510)에서 첫 번째 열(column)(511)은 MAP의 관할 구역 안에 있는 방문자(즉, MS) 등을 나타낸 것이며, 두 번째 열(512)은 MS의 등록 요청 및 허용에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된 기본 파라미터들이며, 이러한 내용은 CoA(Care-of Address), Home Agent, Lifetime, Foreign Agen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열(511, 512)은 기존의 MAP이 사용하는 인접 리스트 테이블의 양식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인접 리스트 테이블(510)에서 세 번째 열(513)은 첫 번째 열(511)에 있는 방문자 리스트 테이블에 있는 MS가 멀티 IP 핸드오프 요청인지 판단을 위한 이동 노드 그룹(MNG)들 중의 하나이며 MNG 내부의 MS들 사이 또는 프로토콜 사이의 핸드오프가 허용된 노드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목적이다. 따라서 상기 세 번째 열(513)에서 첫 번째 방문자(Visitor #1)와 두 번째 방문자(Visitor #2)는 이동 노드 그룹(MNG)들 중의 하나이며 MNG 내부의 MS들 사이 또는 프로토콜 사이의 핸드오프가 허용된 노드임을 나타내고 세 번째 방문자(Visitor #3)는 허용되지 않 는 노드임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상기 인접 리스트 테이블(510)에서 네 번째 열(514)은 상기 세 번째 열(513)이 허용 표시로 된 경우의 가능성 리스트(capability list)의 위치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도 4의 각 프로토콜별로 구분되어 생성된 인접 리스트 테이블들은 모두 프로토콜 타입 n(510)과 같은 형태로서 세 번째와 네 번째 열(513 및 514)을 제외하면 기존의 MAP이 사용하는 인접 리스트 테이블의 양식과 동일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 내의 가능성 리스트 테이블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MAP는 내부에 서로 다른 프로토콜 사이의 핸드오프 또는 동일 프로토콜을 사용하더라도 같은 MNG에 속하는 MS들 사이의 핸드오프의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가능성 리스트(capability list) 테이블(610)을 구비한다.
상기 가능성 리스트 테이블(610)에서 첫 번째 열은 상기 MNG가 동일한 집단임을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MNG에 소속된 MS들 중의 하나가 생성한 고유 번호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IP 핸드오프를 위한 IETF의 MONAMI6 WG의 경우 BID를 나타낸다. 그리고 두 번째 열은 상기 MNG에 소속된 MS들 중에서 현재 MAP의 관할 구역 안에서 사용 중인 활성화 된 MS(active MS)의 수효를 나타내며, 세 번째 열은 MNG에 속하는 MS들에 대한 특성이 레코드 형태로 저장됨을 나타낸다.
상기 가능성 리스트 테이블(610)에서 첫 번째 행(601)은 그룹(Group) R1에 해당하는 MS들을 나타낸 것으로 MS의 수효는 X1, X2, ..., X7 까지 모두 7개이며, 이 중에서 현재 사용 중인 MS(즉, MAP을 통하여 통신하는 MS)의 수효는 2개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두 번째 행(602)은 그룹 R2에 해당하는 MS들을 나타낸 것으로 MS의 수효는 X1, X2, ..., X6 까지 모두 6개이며, 이 중에서 현재 사용 중인 MS의 수효는 1개임을 나타낸다. 또한, 세 번째 행(603)은 그룹 R3에 해당하는 MS들을 나타낸 것으로 MS의 수효는 X1, X2, ..., X6 까지 모두 6개이며, 이 중에서 현재 사용 중인 MS의 수효는 1개임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행(604)은 그룹 R4에 해당하는 MS들을 나타낸 것으로 MS의 수효는 X1, X2, ..., X5 까지 모두 5개이며, 이 중에서 현재 사용 중인 MS의 수효는 3개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X1, ..., 의 대문자 표시(A,B,C,...)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나타내며, 대문자 표시는 프로토콜이 서로 다르더라도 IP 핸드오프가 허용되는 상태임을 나타내고, 소문자 표시는 같은 프로토콜 사이의 핸드오프만이 허용됨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R4 그룹(604)의 경우에 노드 X1과 X2는 서로 프로토콜이 다르더라도 IP 핸드오프가 허용되지만 X3과 X4 및 X5는 서로 상호 간의 IP 핸드오프만이 허용된다. 그리고 X1로의 핸드오프는 허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SIP 기반의 이동 전화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하다가 WiMAX 기반의 데이터 통신으로의 전환을 허용하지 않는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가능성 리스트(610)의 X1, X2, ... 와 같은 각 MS들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레코드의 일례로서, 611블록은 상기 도 5a에서 그룹 R1(501)의 X2인 MS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레코드로서 X2인 MS가 사용하는 프로토 콜은 프로토콜 타입 B이다. X2인 MS의 상태는 현재 활성화되어 동작중이고(status: active), X2인 MS의 핸드오프에 필요한 기본 파라미터(basic parameter)인 CoA, Home Address, Lifetime, Home agent 내용을 포함하며, 추가 파라미터로서 R1 그룹 내부의 다른 MS들과의 사이에서 서로 다른 프로토콜이더라도 IP 핸드오프가 허용(inter-protocol handoff capability: yes) 및 동일한 프로토콜인 경우에 MS 사이의 핸드오프도 허용(IP handoff capability: yes) 여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 파라미터는 모두 허용된 상태임을 나타낸다.
또한, 612 블록은 상기 도 5a에서 그룹 R4(604)의 X4인 MS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레코드로서 X4인 MS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프로토콜 타입 d 이며, X4인 MS의 상태는 현재 비 활성화되어 사용 중이 아니며(status: not active; 즉, MAP의 핸드오프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는 X4인 MS의 핸드오프에 필요한 기본 파라미터인 CoA, Home Address, Lifetime, Home agent 내용(basic parameter)을 포함하며, 상기 611 블록과 같은 추가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R1 그룹 내부의 다른 노드들과의 사이에서 서로 다른 프로토콜인 경우는 IP 핸드오프가 비 허용(inter-protocol handoff capability: no)된 상태이고, 동일한 프로토콜인 경우에 노드 사이의 핸드오프는 허용(inter-port IP handoff capability: yes)된 상태임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는 방식 이외에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의 핸드오프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절차를 거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그룹 R1의 X1에서 X3로의 핸드오프는 직접하지 못하고 반드시 X2를 거치도록 제약을 두 는 방식등과 같은 내용은 각 MS의 특성과 기능 및 관리의 정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응용의 문제이며 본 내용의 범주는 아니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은 방문자 리스트, 임시 리스트 및 인접 지역 리스트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새롭게 추가된 가능성 리스트를 이용하여 복수 IP 핸드오프 처리를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IP 접속을 허용하는 이동 에이전트와 이동 노드의 홈 에이전트 사이이의 핸드오프 처리를 위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201단계에서 MS(101)는 복수의 IP 접속을 위한 핸드오프 등록 요청 메시지(Registration Request M_CoA=MA3 IP Addresses)를 제 3이동 에이전트(MA3)(111)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의 신호 프로토콜 형태와 방식은 IETF의 MONAMI6 Work Group에서 논의 중인 BID(Binding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draft-wakikawa-mobileip-multiplecoa-05.txt 참조)의 형태를 지니거나 또는 MS와 MS의 HA 사이에 약속된 다른 형태의 핸드오프 신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면 202단계에서 상기 MA3(111)은 MAP(120)로 상기 MS(101)로부터 수신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MS(101)의 홈 에이전트(HA)가 MAP(120)의 관할 구역 안에 있다면 203 및 204단계에서 MAP(120)은 상기 MA3(111)을 통해 받은 MS(101)의 복수의 IP 접속을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즉시 등록 응답(Registration reply)메시지를 상기 MA3(111)을 통해 상기 MS(101)로 전송한다.
그런 다음 205단계에서 MAP(120)는 MS(101)의 HA인 MA1(113)에게 MA3(111)을 통해 받은 복수의 IP 접속을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 내용을 변경하지 않고 전달하고, 206단계에서 MA2(112)에게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를 그대로 전달한다.
이후, 207단계에서 MAP(120)는 MA1(113)로부터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응답 메시지 내부의 생존 기간(Lifetime)에 따라 MAP(120)의 내부에 보관중인 상기 MS(101)에 대한 생존 기간(Lifetime) 정보를 수정한다. 그런 다음 208단계에서 MAP(120)은 상기 수신된 등록 응답 메시지를 MS(101)에게 전달하지 않고 대신에 MA2(112)에게 전달한다.
만약, MS(101)의 홈 에이전트(Home Agent)가 MAP(120)의 관할 구역 밖에 있는 경우, 209단계에서 MAP(120)은 복수의 IP 접속을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MS(101)의 HA(130)에게 전달하고, 210단계에서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MS(101)이 방문한 MA인 MA3(111)에게 전달한다. 이러한 경우 211단계에서 상기 MA3(111)은 등록 응답 메시지가 MAP(120)이 아닌 다른 MA에서 온 것임을 인식하고 응답 메시지(122)를 MAP(120)에게 전달한다.
이와 같은 핸드오프 처리 절차 중 MAP 내에서 MA로부터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 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등록 요청에 따른 처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701단계에서 MAP(120)은 이동 에이전트(MA3)(111)로부터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MAP은 상기 MA3(111)이 보내는 메시지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은 상기 MA3(111)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이미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도 2,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방문자 리스트, 임시리스트, 인접 리스트 테이블에서 MA3(111)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리스트를 검색하거나 갱신하게 된다.
이후, 702단계에서 MA로부터 받은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가 MS의 복수 IP 핸드오프 등록 요청 내용인지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 결과,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가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가 아닌 경우 712단계에서 기존의 MAP에서의 등록 요청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 반면,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가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인 경우, 703단계에서 MAP(120)는 해당 이동 노드(MS)(101)에 대한 엔트리가 방문자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707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704단계를 수행한다.
따라서 704단계에서 MAP(120)는 수신한 MS의 등록 요청 메시지에 의하여 내부의 방문자 리스트에 있는 MS의 엔트리들을 내부에 저장된 가능성 리스트에 의하여 MS가 요청한 프로토콜 종류, 수효별로 파라미터(CoA, 각 노드의 사용 여부 등)를 갱신한다. 이때, MAP(120)는 MS가 요청한 복수의 IP 핸드오프 등록 응답 메시지 에 포함된 MS의 엔트리들을 방문자 리스트에서 임시리스트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MS의 엔트리들은 방문자 리스트에서 삭제한다.
이후, 705단계에서 MAP(120)는 MS가 요청한 IP 복수 핸드오프(multihandoff) 등록 요청에 대한 등록 응답 메시지를 MS(101)의 HA(120)를 대신하여 MS(101)가 속한 MA3(111)을 통하여 MS(101)에게 전송한다. 그런 다음 706단계에서 MAP(120)는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를 변경 없이 홈 에이전트(130)로 전송한다.
반면, 상기 707단계에서 MAP(120)은 상기 MS(101)이 방문자 리스트에 없는 경우 내부에 보유한 가능성 리스트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존재하지 않은 경우 709단계로 진행하고, 존재하는 경우 7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08단계에서 MAP(120)는 수신한 MS의 등록 요청 메시지에 의하여 내부의 방문자 리스트에 있는 MS의 엔트리들을 내부에 저장된 가능성 리스트에 의하여 MS가 요청한 프로토콜 종류, 수효 별로 파라미터(CoA, 각 노드의 사용 여부 등)를 수정하고, MS(101)가 요청한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MS의 엔트리들을 임시 리스트에 추가한 다음 705단계를 진행하여 해당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MS(101)의 엔트리가 내부에 보유한 가능성 리스트에 없는 경우, 709단계에서 MAP(120)는 상기 MS(101)가 인접지역(border area)에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인접 지역에 상기 MS(101)의 엔트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705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710단계에서 상기 엔트리가 인접 지역 리스트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기 인접 지역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MAP(120) 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이후 과정들을 수행한다.
상기 인접 지역 리스트에 상기 MS(101)의 엔트리가 존재하면, 711단계에서 MAP(120)는 상기 방문자 리스트에 있는 MS의 엔트리들을 내부의 저장된 가능성 리스트를 갱신하고, 복수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MS의 엔트리들을 인접 리스트에서 임시 리스트로 이동한 후 705단계로 이동하여 이후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인접 리스트에서 상기 MS의 엔트리들은 삭제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핸드오프 처리 절차 중 MAP 내에서 MA로부터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등록 응답에 따른 처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801단계에서 MAP(120)는 MS의 HA인 이동 에이전트(MA) 즉, MA1(113)로부터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802단계에서 MAP(120)는 MA1(113)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MS의 복수 IP 핸드오프 등록 응답 내용인지 판단한다.
상기 702단계에서 MA로부터 받은 메시지가 MS의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응답 메시지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응답 메시지가 아닌 경우 815단계에서 기존의 MAP에서의 등록 요청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
반면,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응답 메시지인 경우, 803단계에서 MAP(120)는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 IP 핸드오프 등록 요청에 따른 위탁주소(Care of Address 또는 CoA prefix, 이하 CoA로 약칭)들 중에서 거부된 것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CoA가 존재하지 않으면, 806단계로 진행하고, CoA가 존재하면, 804단계에서 MAP(120)는 등록 거부된 CoA가 MAP 내부의 임시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등록응답 메시지에는 각 복수 IP주소의 홈 주소(home address)와 IP 핸드오프 허용 여부, CoA, 생존 시간(lifetime), 프로토콜 종류 등이 포함되며, 상기 등록 되며, 이러한 804단계는 상기 홈 주소(home address)들에 의하여 판별될 수 있다.
상기 804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등록 거부된 CoA가 상기 임시리스트 내 존재하는 경우, 805단계에서 MAP(120)는 내부의 임시리스트에 있는 상기 MS의 CoA들 중에서 상기 수신된 등록 응답 메시지에 있는 등록 거부 CoA들에 해당하는 엔트리들을 삭제한 다음 내부에 저장된 가능성 리스트 중에서 MS의 CoA들에 해당하는 엔트리의 내용을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의 내용에 의하여 수정한 후 806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등록 거부된 CoA가 상기 임시리스트 내 존재하는 경우, 814단계에서 MAP(120)는 받은 등록 응답 메시지의 내용이 모두 등록 거부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모두 등록 거부인 경우 8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806단계로 진행하여 MAP(120)는 이후 과정들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804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등록 거부된 CoA가 상기 임시리스트 내 존재하지 않는 경우, 806단계에서 MAP(120)는 상기 수신된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내용 중에서 비 등록(de-registration(lifetime=0))에 해당하는 CoA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CoA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809단계로 진행하고, CoA들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807단계에서 MAP(120)는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내용 중에서 de-registration(lifetime=0)에 해당하는 CoA들에 대하여 MAP 내부에 저장된 방문자 리스트와 임시리스트의 엔트리를 찾아서 제거한다. 그런 다음 808단계에서 MAP(120)는 해당 CoA를 포함했던 FA에게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고, 내부의 가능성 리스트를 수정한다.
이후, 809단계에서 MAP(120)는 상기 수신한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내용에서 등록 거부되거나 de-registration에 해당하는 CoA들을 제외한 나머지 CoA에 해당하는 엔트리가 내부의 임시리스트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나머지 CoA가 상기 임시 리스트에 존재하면, 810단계에서 MAP(120)는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내용에서 등록 거부되거나 de-registration에 해당하는 CoA들을 제외한 나머지 CoA에 해당하는 엔트리를 내부의 임시리스트에서 내부의 방문자 리스트로 프로토콜 타입별로 이동시키고, 임시리스트에서 제거한다. 이때, MAP(120)는 등록 거부되거나 등록응답 메시지의 내용에 의하여 파라미터를 수정(lifetime update 등)한 후 내부의 가능성 리스트를 수정한 후 8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9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나머지 CoA에 해당하는 엔트리가 내부의 임시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811단계에서 MAP(120)는 상기 나머지 CoA에 해당하는 엔트리들 중에서 등록 허용에 해당하는 CoA에 해당하는 새로운 엔트리를 생 성하여 내부의 방문자 리스트에 프로토콜 타입별로 추가하고, 등록 응답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 해당하는 엔트리를 생성하여 내부의 가능성 리스트에 추가한다.
그런 다음 812단계에서 MAP(120)는 상기 MS(101)가 인접지역에 있는 경우 인접 MAP(도 1 참조)에게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를 전달한 후 713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등록 응답 메시지를 MS가 현재 방문한 이동 에이전트에게 그대로 전달한 후 동작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 개 이상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지닌 이동 노드 또는 한 개 이상의 이동 라우터를 지닌 이동 네트워크가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하여 IP 주소를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IP 주소를 사용하거나 IP 신호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끊김없는 핸드오프(seamless handoff)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신호 프로토콜 형태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함으로서 기존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치에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신속한 핸드오프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핸드오프에 관련된 신호 메시지의 형태를 변경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방식의 IP 핸드오프 신호 방식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을 위한 아동 라우터(MR : Mobile Router)의 인터페이스와 이동 노드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분을 하지 않으며, 대신에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지닌 MN나 복수의 MR을 지닌 이동 네트워크의 경우는 그룹을 지어(Grouping) 처리하므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지닌 이동 단말과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노드 또는 이동 네트워크가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하여 IP 주소를 변경하는 경우, 복수의 IP 주소를 사용하거나 IP 신호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끊김없는 핸드오프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신호 프로토콜 형태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함으로서 기존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치에 그대로 활용하고, 신속한 핸드오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에서, 이동 라우터를 포함하는 이동체에 서로 다른 복수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다수의 이동 에이전트들 사이의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갖는 이동체로부터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체가 현재 이동한 이동 에이전트를 통해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들의 갱신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한 이동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이동체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기 전에 접속한 이전 이동 에이전트 및 상기 이동체의 홈 에이전트로 그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홈 에이전트로부터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응답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 응답 처리에 따라 상기 이동 에이전트로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를 그대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생존 시간에 따라 미리 저장된 상기 이동체에 대한 생존 시간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체가 미리 설정된 방문자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체가 방문자 리스트에 존재하면 상기 이동체의 엔트리들을 갱신하여 갱신된 상기 이동체 엔트리들을 상기 방문자 리스트에서 임시 리스트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체가 상기 방문자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가능성 리스트에 상기 이동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가능성 리스트에 존재하면, 상기 이동체의 엔트리들을 상기 가능성 리스트에서 상기 임시 리스트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가능성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인접지역 리스트에 상기 이동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체가 상기 인접지역 리스트에 존재하면, 상기 이동체의 엔트리들을 상기 인접지역 리스트에서 상기 임시리스트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응답을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이동체가 등록 요청한 위탁주소들 중 등록 거부된 위탁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 거부된 위탁주소가 임시 리스트 내에 존재하면, 내부의 임시 리스트에서 상기 등록 거부된 위탁주소에 대한 엔트리를 삭제하는 단계와,
    내부에 미리 설정된 가능성 리스트에서 상기 이동체가 등록 요청한 위탁주소들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응답을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체가 등록 요청한 위탁주소들 중 등록 거부된 위탁주소가 없으면, 비 등록의 위탁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비 등록의 위탁주소가 존재하면, 내부의 미리 설정된 방문자 리스트 및 상기 임시 리스트에서 해당 엔트리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비 등록 위탁 주소를 포함했던 외부 이동 에이전트로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응답을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비 등록 위탁주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체가 등록 요청한 나머지 위탁주소에 대한 엔트리가 상기 임시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 리스트에 상기 나머지 위탁주소에 대한 엔트리가 존재하면, 상기 나머지 위탁주소에 대한 엔트리를 상기 임시 리스트에서 상기 방문자 리스트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임시 리스트에서 상기 나머지 위탁주소에 대한 엔트리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IP 핸드오프를 위한 등록 응답을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나머지 위탁주소에 대한 엔트리가 상기 임시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 면, 상기 나머지 위탁주소에 대한 새로운 엔트리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새로운 엔트리를 상기 방문자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 대한 엔트리를 생성하여 상기 가능성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11. 제6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성 리스트는 이동 노드 그룹에 속하는 이동체들에게 서로 다른 프로토콜 사이의 핸드오프 또는 동일 프로토콜을 사용하더라도 같은 이동 노드 그룹에 속하는 이동체들 사이의 핸드오프의 허용 여부를 나타내며, 동일 이동 노드 그룹을 나타내는 고유번호, MAP 관할 지역 내의 이동체 수효 및 동일 이동 노드 그룹에 속하는 이동체들에 대한 특성을 레코드 형태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성 리스트 내에 포함된 상기 이동체들에 대한 특성에 대한 레코드는 이동체가 사용하는 프로토콜 형태, 현재 사용중인지 여부, 핸드오프를 위한 기본 파라미터, 서로 다른 프로토콜 사이의 IP 핸드오프 허용 여부 및 이동체들 사이 의 핸드오프 허용 여부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13. 제6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리스트는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의 관할 구역 내의 이동체들이 사용하는 프로토콜 종류별로 분류된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14. 제6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리스트는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의 관할 구역 내의 이동체들이 사용하는 프로토콜 종류별로 분류된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은 관할 구역 내에서 서비스를 받는 이동체, 기본 파라미터, 복수 IP 핸드오프 요청 여부 및 이동 노드 그룹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지역 리스트는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의 인접 지역에 위치한 이동체들이 사용하는 프로토콜 종류별로 분류된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은 서비스를 받는 이동체, 기본 파라미터, 복수 IP 핸드오프 요청 여부, 이동 노드 그룹 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16. 이동 노드와 이동 라우터를 포함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게 복수 IP를 동시 접속 허용하는 다수의 이동 에이전트와,
    상기 이동체가 방문한 이동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이동체의 복수의 IP 접속을 위한 핸드오프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즉시 등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상기 이동체의 홈 에이전트 및 이전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에이전트는 상기 이동체의 복수 IP 동시 접속을 허용하며, 상기 동시 접속을 허용하는 복수 IP는 동일한 서브넷에서의 복수 IP, 서로 다른 서브넷을 사용한 복수의 IP 및 서로 다른 신호 프로토콜을 사용한 복수 IP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은 내부에 방문자 리스트, 임시 리스트, 인접 리스트 및 가능성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들을 이용하여 등록 요청 및 등록 응답을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은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체가 상기 방문자 리스트, 상기 가능성 리스트 또는 상기 인접 지역에 존재하면,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이동체에 대한 엔트리들을 임시 리스트로 이동시킨 후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은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서 상기 복수 IP 핸드오프 등록 요청에 대한 등록 거부된 위탁주소를 검색하여 검색된 등록 거부된 위탁주소에 대한 엔트리를 상기 임시 리스트에서 삭제하고, 상기 등록 거부된 위탁주소가 없으면, 비 등록 위탁주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비 등록 위탁주소를 상기 방문자 및 임시 리스트에서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은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서 등록 거부 및 비 등록 위탁주소를 제외한 나머지 위탁주소들이 상기 임시 리스트에 존재하면, 상기 나머지 위탁주소에 대한 엔트리를 상기 임시 리스트에서 삭제한 후 상기 방문자 리스트로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MAP)은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서 등록 거부 및 비 등록 위탁주소를 제외한 나머지 위탁주소들이 상기 임시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체에 대한 새로운 위탁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방문자 리스트에 추가하며,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 대한 엔트리를 생성하여 상기 가능성 리스트에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시스템.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성 리스트는 이동 노드 그룹에 속하는 이동체들에게 서로 다른 프로토콜 사이의 핸드오프 또는 동일 프로토콜을 사용하더라도 같은 이동 노드 그룹에 속하는 이동체들 사이의 핸드오프의 허용 여부를 나타내며, 동일 이동 노드 그룹을 나타내는 고유번호, MAP 관할 지역 내의 이동체 수효 및 동일 이동 노드 그룹에 속하는 이동체들에 대한 특성을 레코드 형태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성 리스트 내에 포함된 상기 이동체들에 대한 특성에 대한 레코드는 이동체가 사용하는 프로토콜 형태, 현재 사용중인지 여부, 핸드오프를 위한 기본 파라미터, 서로 다른 프로토콜 사이의 IP 핸드오프 허용 여부 및 이동체들 사이의 핸드오프 허용 여부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을 허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시스템.
KR1020060124369A 2006-12-08 2006-12-08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을 허용하는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834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14,890 US8320332B2 (en) 2006-12-08 2006-12-08 IP handoff process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on of internet protocols between mobile agents in heterogeneous network
PCT/KR2006/005341 WO2008069356A1 (en) 2006-12-08 2006-12-08 Ip handoff process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on of internet protocols between mobile agents in heterogeneous network
KR1020060124369A KR100834579B1 (ko) 2006-12-08 2006-12-08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을 허용하는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369A KR100834579B1 (ko) 2006-12-08 2006-12-08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을 허용하는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4579B1 true KR100834579B1 (ko) 2008-06-02

Family

ID=3949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369A KR100834579B1 (ko) 2006-12-08 2006-12-08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을 허용하는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20332B2 (ko)
KR (1) KR100834579B1 (ko)
WO (1) WO20080693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7174B2 (en) * 2005-10-19 2010-12-07 Yamaha Corporation Tone generation system controlling the music system
KR100763522B1 (ko) * 2006-11-15 2007-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방법
WO2008069356A1 (en) * 2006-12-08 2008-06-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p handoff process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on of internet protocols between mobile agents in heterogeneous network
EP2103034A1 (en) * 2006-12-14 2009-09-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based handover control mechanism
KR100879988B1 (ko) * 2007-03-28 200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ip 망에서의 핸드오버시간 단축방법 및 그 시스템
JP5103524B2 (ja) * 2007-07-13 2012-12-1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システムのサービス妨害からの保護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8848659B2 (en) * 2008-05-12 2014-09-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cking network resources
GB2508355B (en) * 2012-11-28 2021-02-17 Nomad Digital Ltd Communication metho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6223A1 (en) 2000-03-08 2001-11-29 Malki Karim El Hierarchical mobility management for wireless networks
KR20020093459A (ko) * 2001-06-09 2002-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모빌 ip 기능을 제공하는 에이전트 라우팅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50002543A (ko) * 2003-06-30 2005-01-07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IPv6 환경에서의 그룹이동성 보장 방법
KR20050071772A (ko) * 2004-01-02 2005-07-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KR20050108859A (ko) * 2004-05-14 2005-11-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데이터 서비스 장치간의 핸드오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60011354A (ko) * 2004-07-30 2006-02-03 주식회사 에어큐브 와이브로와 같은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다이아미터 기반의 동적 아이피 할당을 이용한 모바일아이피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0021B2 (ja) * 2000-02-21 2008-03-12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サービス提供方法
US7469142B2 (en) * 2000-04-28 2008-12-23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ell handover in wireless networks using multiple protocols
GB2367980B (en) * 2000-10-09 2004-03-17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e hosts
KR100551867B1 (ko) * 2000-12-28 2006-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노드의 외부 에이전트 핸드오프 통지 및 제어방법
US7065062B2 (en) * 2001-02-16 2006-06-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IP mobility management at dormant hand-over in CDMA IP-based cellular packet-data network
US7193985B1 (en) * 2001-06-14 2007-03-20 Utstar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oreign agent selections in a mobile internet protocol network
US20030193952A1 (en) * 2002-02-04 2003-10-16 O'neill Alan Mobile node handoff methods and apparatus
US20040105413A1 (en) * 2002-07-02 2004-06-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ight inter-working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UMTS)
KR100483007B1 (ko) * 2002-12-24 2005-04-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US7046647B2 (en) * 2004-01-22 2006-05-16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Mobility architecture using pre-authentication, pre-configuration and/or virtual soft-handoff
US7840217B2 (en) * 2004-07-23 2010-11-23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chieving route optimization and location privacy in an IPV6 network
US7596120B2 (en) * 2004-12-07 2009-09-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ultiple mode terminal supporting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nd handoff method thereof
JP2006197107A (ja) 2005-01-12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異種網間接続方法及び異種網間接続システム
US8102811B2 (en) * 2005-03-07 2012-01-24 Lg Electronics Inc. Providing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information to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885231B2 (en) * 2005-04-14 2011-02-0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configuring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in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US7633915B1 (en) * 2005-09-12 2009-12-15 Sprint Spectrum L.P. Use of positioning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o trigger a packet-data-network re-registration when detecting multiple radio signals of sufficient strength
US8180349B1 (en) * 2005-12-01 2012-05-15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handoff controller-mediated handoff of a mobile node
US20070189218A1 (en) * 2006-02-11 2007-08-16 Yoshihiro Oba Mpa with mobile ip foreign agent care-of address mode
EP2074755A4 (en) * 2006-08-31 2012-07-11 Telcordia Tech Inc METHOD FOR REDUCING TROMBONE ROUTING IN AN IMS / MMD NETWORK
KR100757898B1 (ko) * 2006-09-29 2007-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수의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들이 존재하는 네트워크에서 이동 노드에 대한 아이피 핸드오프 제공 방법
KR100763522B1 (ko) * 2006-11-15 2007-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방법
KR100785851B1 (ko) * 2006-12-08 2007-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 환경에서의 ip 핸드 오프 방법
WO2008069356A1 (en) * 2006-12-08 2008-06-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p handoff process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on of internet protocols between mobile agents in heterogeneous network
KR100862192B1 (ko) * 2006-12-11 2008-10-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ip 핸드오프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6223A1 (en) 2000-03-08 2001-11-29 Malki Karim El Hierarchical mobility management for wireless networks
KR20020093459A (ko) * 2001-06-09 2002-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모빌 ip 기능을 제공하는 에이전트 라우팅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50002543A (ko) * 2003-06-30 2005-01-07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IPv6 환경에서의 그룹이동성 보장 방법
KR20050071772A (ko) * 2004-01-02 2005-07-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KR20050108859A (ko) * 2004-05-14 2005-11-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데이터 서비스 장치간의 핸드오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60011354A (ko) * 2004-07-30 2006-02-03 주식회사 에어큐브 와이브로와 같은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다이아미터 기반의 동적 아이피 할당을 이용한 모바일아이피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46469A1 (en) 2010-02-25
WO2008069356A1 (en) 2008-06-12
US8320332B2 (en) 201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579B1 (ko) 이종 망 사이의 복수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을 허용하는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EP1289223B1 (en) Micro-mobility network routing system and method
US8077686B2 (en) Multiple packet data network support over trusted access
KR101086349B1 (ko)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제어방법 및 시스템과 관련된네트워크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8463926B2 (en) Technique for providing support for a plurality of mobility management protocols
US11356973B2 (e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sition managing apparatus
JP4451325B2 (ja) 移動ノード、基地局、ルータおよび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
JP4971468B2 (ja) 移動体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インタフェース選択
US8442006B2 (en) Wireless LAN mobility
TW200950413A (en) Method and system for system discovery and user selection
WO2009116246A1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モバイルノード及びアクセスルータ
US20100268804A1 (en) Address allocation method, address allocation system, mobile node, and proxy node
JP2008141374A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リロケーション制御装置
US20040166861A1 (en) Handover of mobile node to a new access router
EP2071807A1 (en) Advanced Mobile IP system employing distributed home agents
JP4739143B2 (ja)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を構成するルータ、通信システム、ルータ、移動ip端末並びにホームエージェント
US201500099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 mobility of a mobile network
Hasan et al. Enhancement of Return Routability Mechanism for Optimized‐NEMO Using Correspondent Firewall
US20100100639A1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protocol handoff of mobile node under multiple mobile agent platform environment
JP4351123B2 (ja) ユーザ識別子の管理方法、モバイルipエージェント及びホームエージェント
Sargento et al. Seamless Mobility Architecture Supporting Ad-Hoc Environments
Hsu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wo-tier MANETs with seamless roaming and load-balancing routing cap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