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883B1 -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883B1
KR100833883B1 KR1020060100661A KR20060100661A KR100833883B1 KR 100833883 B1 KR100833883 B1 KR 100833883B1 KR 1020060100661 A KR1020060100661 A KR 1020060100661A KR 20060100661 A KR20060100661 A KR 20060100661A KR 100833883 B1 KR100833883 B1 KR 100833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language
channel
digital broadcasting
voice langu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563A (ko
Inventor
김회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0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883B1/ko
Publication of KR20080034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6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language selection, e.g. for the menu or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셋탑 박스와 같은 디지털 방송기기에서, 채널 선국된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언어를 검출하여 검출된 음성 언어만을 음성 언어 설정 메뉴의 선택 리스트로 세팅함과 더불어, 디지털 방송기기에 디폴트 설정된 주음성 언어를 확인하여 상기 선국된 채널의 음성신호를 주음성 언어로 디코딩 출력하고, 상기 음성 언어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검출된 음성 언어만을 선택 리스트로 설정한 음성 언어 설정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선택된 음성 언어를 디지털 방송기기의 주음성 언어로 변경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성 언어 설정 메뉴를 통해 현재 선국된 채널의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되지 않은 음성 언어를 선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디지털 방송기기, 디지털 방송신호, 채널정보, 음성정보, 설정 화면

Description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Method for displaying voice information each channel in digital broadcas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기기의 내부 구성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패킷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 언어 설정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튜너 11: 디먹스
12: 오디오 버퍼 13: 비디오 버퍼
14: 데이터 버퍼 15: MPEG 디코더
16: 마이컴 17: 오에스디 생성부
18: 메모리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기기에서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음성정보를 파악하여 수신된 음성정보만을 음성 언어 설정 화면에서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은 제작이나 전송과정이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과 다르기 때문에, 상기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디지털 방송기기인 디지털 텔레비전을 구입하거나, 기존 아날로그 텔레비전에 셋탑 박스(Set-Top Box)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상기 셋탑 박스는 방송국에서 암호화 상태로 송출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암호를 해독해 외부연결 기기인 텔레비전으로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기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은 화면 구현방식에 따라 플라즈마 텔레비전(PDP), LCD 브라운관 텔레비전, 프로젝션 텔레비전 등으로 나눌 수 있고, 기존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고화질과 고음질을 구현하기 때문에, 그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은 기존 아날로그 텔레비전에 비해 잡음과 화면 겹침 현상이 적고, 전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 오류를 자동적으로 교정함과 더불어, 신호를 압축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방송보다 많은 양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 다양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디지털 방송기기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한 방송 채널을 선택 지정하는 경우, 해당 방송 채널을 선국하고,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원래의 오디오 및 비디오로 디코딩 처리하여 다양한 안내 메시지 또는 메뉴 영상 등과 함께 화면으로 표시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기기는,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정보(SI: Service Information)들을 저장한 후, 해당 서비스 정보를 판독함과 더불어, 현재 방송 중이거나 또는 방송 예정인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방송 채널, 음성 다중방송,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등과 같은 EPG 정보와, 날씨, 타 채널 정보, 증권, 교통 정보 등과 같은 부가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은, 음성 다중방송을 통해 단일의 방송 프로그램에 다양한 국가의 언어를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셋업 메뉴를 선택하여 현재 디지털 방송기기에 디폴트 설정된 주음성 언어를 자신이 희망하는 언어로 변경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기기에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옵션 정보에 따라 셋업 메뉴의 음성정보 즉, 음성 언어 리스트가 디폴트(Default)값으로 설정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신호의 음성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음성 언어 까지도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가능하도록 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채널을 통해 수신되지 않는 음성 언어를 디지털 방송기기의 주음성 언어로 변경 선택하는 경우, 디지털 방송기기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음성 언어를 뮤트(Mute)시키고, 디폴트 설정된 음성 언어로 상기 채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셋업 메뉴를 통해 상기 선국된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언어를 일일이 찾아 변경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기기에서, 채널 선국된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언어를 검출하여 검출된 음성 언어만을 음성 언어 설정 메뉴의 선택 리스트로 설정함과 더불어, 상기 음성 언어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검출된 음성 언어만을 선택 리스트로 설정한 음성 언어 설정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선택된 음성 언어를 디지털 방송기기의 주음성 언어로 변경 설정하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은, 채널 선국된 디지털 방송신호에서 음성정보를 검출하는 1단계와, 상기 검출된 음성정보를 음성 언어 설정 메뉴에 선택 리스트로 세팅하는 2단계, 및 디지털 방송기기에 디폴트 설정된 주음성 언어를 확인하여 상기 채널의 음성신호를 설정된 주음성 언어로 디코딩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음성 언어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정보 선택 리스트가 세팅된 음성 언어 설정 화면을 출력하고, 변경 설정되는 음성 언어를 디지털 방송기기의 주음성 언어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음성정보는,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국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주음성 언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지정되는 디폴트 언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채널 선국된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성 언어를 검출하여 검출된 음성 언어를 음성 언어 설정 메뉴에 선택 리스트로 설정하는 1단계와, 디지털 방송기기에 디폴트 설정된 주음성 언어를 확인하여 상기 채널의 음성신호를 주음성 언어로 디코딩 출력하는 2단계, 및 상기 음성 언어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 언어 설정 화면을 출력하여 변경 설정되는 음성 언어를 디지털 방송기기의 주음성 언어로 설정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기기의 내부 구성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패킷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기기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탑 박스(STB)와 하드 디스크 레코더(HDD-Recorder) 등이 일체화된 디지털 방송기기에는, 튜너(10), 디먹스(11), 오디오 버퍼(12), 비디오 버퍼(13), 데이터 버퍼(14), MPEG 디코더(15), 마이컴(16), 오에스디 생성부(17) 및 메모리(18) 등이 포함 구성된다.
상기 마이컴(16)에서는, 사용자가 임의의 한 방송 채널을 선택 지정하는 경우, 상기 튜너(10)와 디먹스(11)를 동작 제어하여, 해당 방송 채널을 선국하고, 상기 디먹스(11)는,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데이터 스트림을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등으로 분리 출력하게 된다.
상기 MPEG 디코더(15)는, 상기 오디오 버퍼(12), 비디오 버퍼(13), 데이터 버퍼(14) 등에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원래의 오디오 및 비디오로 디코딩 처리하고,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7)는, 상기 마이컴(16)의 동작 제어에 따라, 다양한 안내 메시지 또는 메뉴 화면 등을 생성한 후, 텔레비전과 같은 외부 연결기기의 화면으로 출력 표시하게 된다.
상기 마이컴(16)은,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정보(SI: Service Information)들을 메모리(18)에 저장한 후, 그 서비스 정보를 판독 함과 더불어,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7)를 동작 제어하여, 현재 방송 중이거나 또는 방송 예정인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한 부가 정보 및 이피지(EPG) 정보를 이용한 부가 화면 등을 텔레비전 화면을 통해 출력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EG 2규격으로 이루어져 각 패킷당 188 바이트(Byte) 단위로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각 패킷에는 4바이트 단위의 헤더 정보와 비디오와 오디오 및 부가정보 데이터로 이루어진 페이로드(Payload)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헤더 정보에는 PID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해당 페이로드 데이터의 데이터 내용이나, 데이터의 성격을 알려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PID 정보에 의해 상기 페이로드 정보에 부가정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방식은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와 같은 북미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식과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DVB-T)와 같은 유럽 디지털 텔레비전 방식으로 대별되는 바, 상기 북미 디지털 텔레비전 방식에서는 부가정보 데이터를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로 사용하게 되고, 유럽 디지털 텔레비전 방식의 경우에는 SI(System Information) 정보를 사용하여 방송 프로그램 관련 부가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마이컴(16)은,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방송기기에 디폴트 설정된 방송 채널의 주음성 언어를 변경하기 위하여 음성 언어 설정 메뉴가 선택 요청된 경우, 상기 튜너(10)와 디먹스(11) 및 MPEG 디코더(15)를 동작 제어하여, 디지털 방송신호의 주신호인 영상 및 음성 스트림과 다양한 서비스 정보(SI: Service Information)들을 분리한 후, 디지털 방송신호의 영상 및 음성 스트림은 텔레비전과 같은 외부 연결기기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분리된 서비스 정보들은 메모리(18)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16)은, 상기 메모리(18)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음성정보 예를 들어, 한국어, 영어, 중국어, 프랑스어, 일본어 등의 다국어를 음성 언어 설정 메뉴에 선택 리스트로 세팅한 후,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7)를 동작 제어하여 음성 언어 설정 화면을 텔레비전과 같은 외부 연결기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 표시한다.
상기 마이컴(16)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선택되는 음성 언어를 디지털 방송기기의 주음성 언어로 변경 설정하고, 채널 선국된 디지털 방송신호의 음성 스트림을 변경 설정된 주음성 언어로 MPEG 디코더(15)를 통해 디코딩하여 텔레비전과 같은 외부 연결기기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기기의 동작 과정을 첨부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 언어 설정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기기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한 방송 채널을 선택 지정하게 되면(S10), 상기 마이컴(16)은 상기 튜너(10)와 디먹스(11), MPEG 디코더(15)를 동작 제어하여, 디지털 방송신호의 주신호인 영상 및 음성 스트림과 다양한 서비스 정보(SI: Service Information)들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서비스 정보들은 메모리(18)에 저장한다.
상기 마이컴(16)은, 상기 메모리(18)에 저장된 서비스 정보 중에 음성정보를 검출하여(S11), 상기 검출된 음성정보를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언어 설정 메뉴에 음성 언어 선택 리스트로 변경 설정하고(S12), 현재 디지털 방송기기에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폴트 설정된 음성 언어(1. 한국어)를 확인하여(S13), 채널 선국된 디지털 방송신호의 영상 및 음성 스트림을 상기 MPEG 디코더(15)를 통해 디코딩하여 텔레비전과 같은 외부 연결기기를 통해 출력한다(S14).
이후,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기기에 설정된 방송 채널의 주음성 언어를 변경하기 위하여 음성 언어 설정 메뉴를 선택한 경우(S15), 상기 마이컴(16)은 오에스디 생성부(17)를 동작 제어하여, 현재 선국된 방송 채널에 포함된 음성정보의 음성 언어 리스트가 설정된 음성 언어 설정 화면을 텔레비전과 같은 외부 연결기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 표시한다(S16).
이때, 상기 마이컴(16)은,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방송기기의 주음성 언어가 변경 선택되었는지 확인하고(S17), 주음성 언어가 변경 선택되지 않는 경우, 일정 시간을 계수하여(S18), 일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음성 언어 설정 메뉴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기기의 주음성 언어가 변경 선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17)에서, 확인결과 디지털 방송기기의 주음성 언어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한국어에서 2. 영어로 변경 선택된 경우에는, 변경된 주음성 언어를 통해 선국된 채널의 음성신호를 상기 MPEG 디코더(15)를 통해 디코딩하여 텔레비전과 같은 외부 연결기기를 통해 출력한다(S19).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은, 예를 들어 셋탑 박스와 같은 디지털 방송기기에서, 채널 선국된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언어를 검출하여 검출된 음성 언어만을 음성 언어 설정 메뉴의 선택 리스트로 설정함과 더불어, 디지털 방송기기에 디폴트 설정된 주음성 언어를 확인하여 상기 선국된 채널의 음성신호를 주음성 언어로 디코딩 출력하고, 상기 음성 언어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검출된 음성 언어만을 선택 리스트로 설정한 음성 언어 설정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선택된 음성 언어를 디지털 방송기기의 주음성 언어로 변경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성 언어 설정 메뉴를 통해 현재 선국된 채널의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되지 않은 음성 언어를 선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언어를 선택 변경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에 있어서,
    채널 선국된 디지털 방송신호에서 음성정보를 검출하는 1단계와;
    상기 검출된 음성정보에 포함된 음성 언어만을 음성 언어설정메뉴의 선택 리스트에 세팅하는 2단계;
    상기 음성 언어설정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정보에 포함된 음성 언어만으로 선택 리스트가 세팅된 음성 언어설정화면을 출력하는 3단계;
    상기 음성 언어설정화면을 통해 변경 설정되는 음성 언어를 디지털 방송기기의 주음성 언어로 설정하는 4단계; 및
    상기 채널의 음성신호를 상기 설정된 주음성 언어로 디코딩 출력하는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는,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국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음성 언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지정되는 언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언어를 선택 변경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
    채널 선국된 디지털 방송신호에서 음성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음성정보에 포함된 음성 언어만을 음성 언어설정화면의 선택 리스트에 세팅하여 출력하는 화면 생성수단; 및
    음성 언어설정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정보에 포함된 음성 언어만으로 선택 리스트가 세팅된 음성 언어설정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음성 언어설정화면을 통해 변경 설정되는 음성 언어를 디지털 방송기기의 주음성 언어로 설정하여, 상기 채널의 음성신호를 상기 설정된 주음성 언어로 디코딩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는,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국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음성 언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지정되는 언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장치.
KR1020060100661A 2006-10-17 2006-10-17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 KR100833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661A KR100833883B1 (ko) 2006-10-17 2006-10-17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661A KR100833883B1 (ko) 2006-10-17 2006-10-17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563A KR20080034563A (ko) 2008-04-22
KR100833883B1 true KR100833883B1 (ko) 2008-06-02

Family

ID=3957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661A KR100833883B1 (ko) 2006-10-17 2006-10-17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897B1 (ko) * 2010-04-14 2012-01-13 박정우 디지털 방송을 위한 연동형 데이터 방송 기반의 멀티 오디오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708A (ko) * 1997-09-26 1999-04-15 전주범 원터치 음성다중 모드 선택장치 및 방법
KR19990071261A (ko) * 1998-02-28 1999-09-15 윤종용 디지털 텔레비젼의 방송언어 변환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39678A (ko) * 2002-11-04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오디오 언어 선택 방법
KR20050119331A (ko) * 2004-06-16 2005-12-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언어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708A (ko) * 1997-09-26 1999-04-15 전주범 원터치 음성다중 모드 선택장치 및 방법
KR19990071261A (ko) * 1998-02-28 1999-09-15 윤종용 디지털 텔레비젼의 방송언어 변환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39678A (ko) * 2002-11-04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오디오 언어 선택 방법
KR20050119331A (ko) * 2004-06-16 2005-12-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언어 설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563A (ko) 200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0404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WO2007086860A1 (en) Closed-captioning system and method
KR20070017826A (ko)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978267B2 (en) Broadcasting receiver, broadcasting transmitter, broadcas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028257A1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KR20100003810A (ko)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727385B1 (ko) 캡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747500B1 (ko) 신호처리장치 및 신호처리방법
KR100833883B1 (ko)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채널별 음성정보 표시방법
KR20070014333A (ko) 방송 에이전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41454B1 (ko)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자동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060105344A (ko) 2튜너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다분할 화면 epg 구현방법
KR20080054181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
KR101025212B1 (ko)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시 선호 채널 팝업창 표시 시스템 및방법
KR10078518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등급제한 시스템의 자동 지역화장치 및 방법
KR20100107138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epg 시간 보정방법 및 장치
KR100836582B1 (ko) 디지털 방송기기에서의 부가정보 관리방법
US20090064263A1 (en) Broadcast-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data by a broadcast-receiving apparatus
KR100949958B1 (ko) 디지털 티브이의 epg 제공 방법
KR20090091537A (ko) 디지털 티브이의 음량 자동 조절 방법 및 그 디지털 티브이
KR100442272B1 (ko) 디지털 서브타이틀의 아날로그 출력장치 및 방법
KR100574113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67206A (ko) 아날로그 채널 프로그램 안내 방법
KR20070050419A (ko) 캡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EP10704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