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585B1 - 울림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울림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585B1
KR100833585B1 KR1020070024770A KR20070024770A KR100833585B1 KR 100833585 B1 KR100833585 B1 KR 100833585B1 KR 1020070024770 A KR1020070024770 A KR 1020070024770A KR 20070024770 A KR20070024770 A KR 20070024770A KR 100833585 B1 KR100833585 B1 KR 100833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ringing
sound
elastic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해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4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어 단자를 접속시키는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10)은 단부에 돌출된 적어도 한개의 충돌부(12)를 구비한 탄성걸이부(11)와, 상기 충돌부(12)와 마주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한개의 울림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20)은 일측면에 돌출결합부(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시에 상기 탄성걸이부(11)가 상기 돌출결합부(21)에 결합되며 발생하는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충돌부(12)가 상기 울림부(13)에 충돌하며 상기 울림부에 충돌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울림통, 결합보증.

Description

울림구조를 가지는 커넥터{CONNECTOR WITH STRUCTURE FOR LOCKING SOUND GEN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커넥터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돌출결합부와 탄성걸이부와의 접촉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돌출결합부와 탄성걸이부와의 결합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은 단자간의 결합을 이루어지게 하는 커넥터의 결합시, 커넥터의 결합을 보증하는 결합음을 발생시키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와이어의 단부에 단자(TERMINAL)를 결합하고, 단자들을 수용한 커넥터를 연결시켜 단자들을 접속시켜 통전가능하게 한다. 또한 여러 개의 전선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단자들을 수용한 다극 커넥터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들을 결합시키는 경우 다수 개의 커넥터들을 반복적으로 결합시키다 보니 작업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간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접속불량, 단자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들의 결합시 커넥터의 결합을 보증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로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그 중 하나의 기술로 결합음을 발생시키는 커넥터가 있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락킹수단이 결합시 발생하는 탄성변형에 의해 하우징면을 타격하게 되어 결합음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소음이 많은 작업 공간에서는 결합음이 확실하게 들리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즉 타격음의 발생이 충분치 못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의 하우징에 타격음을 울릴 수 있는 울림구조를 형성하여, 커넥터의 결합시 발생하는 결합음을 울리게 하여 더욱 크고 확실하게 발생하도록 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인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어 단자를 접속시키는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10)은 단부에 돌출된 적어도 한개의 충돌부(12)를 구비한 탄성걸이부(11)와, 상기 충돌부(12)와 마주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한개의 울림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20)은 일측면에 돌출결합부(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시에 상기 탄성걸이부(11)가 상기 돌출결합부(21)에 결합되며 발생하는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충돌부(12)가 상기 울림부(13)에 충돌하며 상기 울림부에 충돌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넥터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돌출결합부와 탄성걸이부와의 접촉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돌출결합부와 탄성걸이부와의 결합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되듯이 본 실시예는 서로 결합되어 단자를 접속시키는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하우징(10)은 단자가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되어 있으며, 단자가 수용될 수 있으며 타 단자와 접속이 가능하다. 상기 제1 하우징(10)은 단자의 결합 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단자의 파손이나 안전사 고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 하우징(10)은 단부에 돌출된 적어도 한개의 충돌부(12)를 구비한 탄성걸이부(11)와, 상기 충돌부(12)와 마주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한개의 울림부(13)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탄성걸이부(11)는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연장형성된 것으로 단부에 돌출된 충돌부(12)를 포함하고 있으며,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울림부(13)도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울림부(13)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그렇게 하는 것이 소리의 울림을 좋게 하여 확실한 결합음을 낼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도 단자가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되어 있으며, 단자가 수용될 수 있으며 타 단자와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로 일부가 수용되어 상호 결합을 하게 된다. 상기 제1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의 일 측면에 돌출결합부(2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돌출결합부(21)는 일반적인 락킹(locking)수단과 같이 돌출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탄성걸이부와 결합하여 하우징간의 결합을 유지하도록 잠그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시에 상기 탄성걸이부(11)가 상기 돌출결합부(21)에 결합되며 발생하는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충돌부(12)가 상기 울림부(13)에 충돌하며 상기 울림부(13)에 충돌음이 발생한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제2 하우징(20)이 상기 제1 하우징(10)측으로 진입하 게 되면, 상기 돌출결합부(21)가 상기 탄성걸이부(11)를 상측으로 밀며 전진하게 되고, 상기 탄성걸이부는 상기 돌출결합부(21)에 의해 밀려 탄성변형이 발생하고, 도 4와 같이 상기 돌출결합부가 완전히 탄성걸이부를 지나게 되면, 상기 탄성걸이부(11)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충돌부(12)가 상기 울림부(13)에 충돌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울림부(13)에 충돌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과 동시에 상기 탄성걸이부와 돌출결합부는 완전히 결합이 이루어져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결합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울림부에서의 충돌음 발생은 단순한 충돌음의 생성뿐만 아니라 충돌음의 울림을 일으킨다. 즉, 중공형의 울림부에 의해 상기 충돌음은 울림부의 내부에서 울리게 되어, 결합시 발생하는 충돌음은 한층 증폭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충돌음보다는 한층 소리를 크게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커넥터의 결합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신뢰성을 높여준다.
한편, 상기 울림부(13)는 도 1과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도 3과 같이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탄성걸이부를 밀며 지나가야 하기 때문에 상기 울림부는 공간적으로 상기 돌출결합부가 지나갈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울림부가 상기 돌출결합부가 지나갈 수 있도록 제1 하우징의 양측에 분리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탄성걸이부(11)와 상기 돌출결합부(21)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마주보는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자연스럽고 하우징 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이 가능하게 하여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커넥터의 하우징에 중공형의 울림통을 구비하도록 하여, 커넥터의 결합시 락킹수단의 충돌에 의한 충돌음을 울림통에 의해 보다 크게 증폭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확실한 결합음을 발생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커넥터의 결합을 보다 확실하게 보증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는 단순한 충돌음보다는 한층 소리를 크게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커넥터의 결합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신뢰성을 높여준다.

Claims (5)

  1. 서로 결합되어 단자를 접속시키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단부에 돌출된 적어도 한개의 충돌부를 구비한 탄성걸이부와, 상기 충돌부와 마주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한개의 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일측면에 돌출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시에 상기 탄성걸이부가 상기 돌출결합부에 결합되며 발생하는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충돌부가 상기 울림부에 충돌하며 상기 울림부에 충돌음을 발생하도록 하는, 울림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울림부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 구조를 가지는, 울림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울림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울림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이부와 상기 돌출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마주보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울림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이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서 길게 연장되어, 변형시에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 울림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KR1020070024770A 2007-03-14 2007-03-14 울림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KR10083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770A KR100833585B1 (ko) 2007-03-14 2007-03-14 울림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770A KR100833585B1 (ko) 2007-03-14 2007-03-14 울림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585B1 true KR100833585B1 (ko) 2008-05-30

Family

ID=3966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770A KR100833585B1 (ko) 2007-03-14 2007-03-14 울림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5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4414A (ko) * 1985-10-18 1987-05-09 히데오 스즈끼 이방성 자기기록매체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20000011386A (ko) * 1998-07-03 2000-02-25 미야즈 쥰이치로 커넥터플러그
KR20020025017A (ko) * 2000-09-27 2002-04-03 요시다 다다히로 버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4414A (ko) * 1985-10-18 1987-05-09 히데오 스즈끼 이방성 자기기록매체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20000011386A (ko) * 1998-07-03 2000-02-25 미야즈 쥰이치로 커넥터플러그
KR20020025017A (ko) * 2000-09-27 2002-04-03 요시다 다다히로 버클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 1020000011386
공개 1020020025017
공개 2019870004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1371B2 (ja) コネクタラッチ
US7004781B2 (en) Terminal
US674305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8142456A (ja) コネクタ
US803385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2142089A (ja) コネクタ部材
JP2020119692A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KR101238058B1 (ko) 로크 기능이 형성된 전기 커넥터
KR100833585B1 (ko) 울림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JPH09306582A (ja) コネクタ
JP4475122B2 (ja) コネクタ
KR20100037044A (ko) 전기 커넥터용 로우 프로파일 쇼팅 바아
KR10082684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90030799A (ko) 전기 커넥터
KR102429481B1 (ko) 커넥터
JP2017216210A (ja)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の実装構造
JP2006324132A (ja) コネクタ
US20220231459A1 (en) Electrical connecto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JP2012084402A (ja) 端子半挿入検知構造
KR20200024507A (ko) 커넥터
KR200410014Y1 (ko) 커넥터
JP2006324135A (ja) コネクタ
KR101473485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KR20100002949A (ko) 커넥터하우징
JP2005190860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