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168B1 -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168B1
KR100833168B1 KR1020070008915A KR20070008915A KR100833168B1 KR 100833168 B1 KR100833168 B1 KR 100833168B1 KR 1020070008915 A KR1020070008915 A KR 1020070008915A KR 20070008915 A KR20070008915 A KR 20070008915A KR 100833168 B1 KR100833168 B1 KR 100833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evaluation
achievement
learner
exp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미
Original Assignee
김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미 filed Critical 김경미
Priority to KR1020070008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은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학습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해 사용자를 회원으로 인증하는 제1단계, 상기 인증된 회원이 학습 전 평가의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학습 전 평가의 대상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각 평가 항목별 평가점수인 제1성취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성취도로부터 복수 분야에 대한 상기 회원의 학습 능력을 분석하고, 상기 회원의 제1성취도와 학습 능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단계, 상기 학습 전 평가가 완료되면 회원이 선택하여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분야별로 다단계로 구성된 학습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회원이 선택한 학습 분야 및 단계의 학습 활동이 완료되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게임 형식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평가를 실시하고, 상기 학습 분야 및 단계에서의 평가점수인 제2성취도를 산출하고 저장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회원이 선택한 학습 분야에서의 평가 회수가 설정 회수 이상이면 학습 활동을 완료한 회원의 각 분야별 학습 능력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 총괄 평가를 실시하고, 상기 평가 결과로부터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저장 및 회원에게 전송하고, 전문가와의 상담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회원에게 적합한 전문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문가에 대한 정보 를 회원에게 제공하고, 전문가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담을 위해 회원과 회원이 선택한 전문가를 연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은 종래의 교육 방법과 비교하여 학습자에게 보다 체계적인 학습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교육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인터넷, 교육 방법

Description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Method of Education Using Internet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al Stage of Learning}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방법에 적용되는 인터넷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서 학습자 인증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서 학습자가 교육용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서 학습자의 사전 평가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서 학습자의 분야별 학습 활동 및 평가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서 중간/총괄 평가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자의 학습 활동 전후에 있어서 학습 능력의 변화를 평가 및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전문가와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체계적인 학습 내용 및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컴퓨터와 통신 산업의 발전으로 인터넷 통신망이 각 가정에 보급됨에 따라 각 사업자는 인터넷 사용자에게 쇼핑, 문화, 전자상거래, 교육 등 여러 가지 유용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고, 특히 이러한 다양한 컨텐츠 중 교육용 컨텐츠의 경우 인터넷 사용자(이하 학습자)가 학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자신에게 편리한 지역에서 온라인으로 수강을 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 들어 급속히 확산되어 가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온라인 교육방식은 실제 학원에서 제공되는 교육자료나 교육 프로그램을 일방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온라인을 통한 학습자의 접근이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실제 학원이나 학교에서 교육을 받는 것과 같이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단계별 학습 성취도를 고려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라인 평가를 통해 단계별 학습 성취도가 분석된 경우에도 그 결과가 학습자에게 일방적으로 통보되는 방식이므로 교육 방법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무용한 정보의 전달에 그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학습자가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스스로 학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학습자의 학습 의지가 빈약한 경우이거나 학습자의 연령이 낮은 경우(예를 들어, 유아층) 실제 학원이나 학교, 또는 유치원 등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같은 학습자의 긴장감이나 동기 및 흥미 유발이 어렵기 때문에 교육의 성과를 제대로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의 사전 학습 능력에 따라 단계적인 학습이 가능하고, 학습 활동 전후의 성취도를 평가 및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체계적인 학습 내용 및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습자에게 학습 활동에 대한 동기 및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은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학습하는 인터 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해 사용자를 회원으로 인증하는 제1단계, 상기 인증된 회원이 학습 전 평가의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학습 전 평가의 대상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각 평가 항목별 평가점수인 제1성취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성취도로부터 복수 분야에 대한 상기 회원의 학습 능력을 분석하고, 상기 회원의 제1성취도와 학습 능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단계, 상기 학습 전 평가가 완료되면 회원이 선택하여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분야별로 다단계로 구성된 학습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회원이 선택한 학습 분야 및 단계의 학습 활동이 완료되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게임 형식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평가를 실시하고, 상기 학습 분야 및 단계에서의 평가점수인 제2성취도를 산출하고 저장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회원이 선택한 학습 분야에서의 평가 회수가 설정 회수 이상이면 학습 활동을 완료한 회원의 각 분야별 학습 능력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 총괄 평가를 실시하고, 상기 평가 결과로부터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저장 및 회원에게 전송하고, 전문가와의 상담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회원에게 적합한 전문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문가에 대한 정보를 회원에게 제공하고, 전문가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담을 위해 회원과 회원이 선택한 전문가를 연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 제1성취도는 각 평가 항목의 기본 점수에서 사용자가 틀린 갯수와 문항당 배점의 곱을 감산하여 산출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제2성취 도는 각 평가의 기본 점수에서 상기 회원이 틀린 갯수와 문항당 배점의 곱을 감산하여 얻은 점수를 합산하여 산출하며, 상기 제4단계의 총괄 평가는 제1성취도와 제2성취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2성취도와 제1성취도의 차이가 설정값 이하이면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평가 항목 또는 각 평가의 기본 점수는 해당 평가 항목 또는 평가에서 문제를 전부 맞힌 경우의 점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단계에서 전문가의 검색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분야별 전문가를 거주지, 연령, 성별 및 전문 분야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자에 대해서 점수화하고 상기 각 인자의 점수를 합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단계에서 전문가와의 연결은 회원이 교육용 컨텐츠에 자신의 평가 정보와 질문사항 등을 등록시킨 후 그에 대한 전문가의 답변이 등록되면 이를 확인하는 방식인 온라인 방식과 전화 또는 방문 등을 통하여 전문가와 1:1로 실시간 상담하는 오프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 방법에 적용되는 인터넷 환경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학습자가 사용하는 컴퓨터(10)가 인터넷 통신망(20)을 통하여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운용하는 서버(30)에 접속되어 있고 서버(30)는 학습자에게 제공할 다양한 교육자료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40)와 연결되어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학습자가 인터넷 통신망(20)을 통하여 서버(30)에 접속하면, 서버(30)는 먼저 상기 학습자가 입력한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
S100 단계에서 접속한 학습자가 정당한 학습자인 경우, 서버(30)는 지원 가능한 여러 가지 종류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학습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0).
S200 단계에서 학습자가 교육용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서버(30)는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사전 평가 단계를 수행한다(S300).
S300 단계가 완료되면, 서버(30)는 여러 가지 다양한 분야와 단계로 이루어진 학습 프로그램을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학습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을 선택해서 그에 따른 학습 활동을 자발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고, 각 학습 프로그램이 완료되면 평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0).
S400 단계가 완료되면, 서버(30)는 학습자가 교육용 컨텐츠를 이용하기 전,후의 학습 능력의 변화를 평가 및 분석하기 위한 중간/총괄 평가 단계를 수행한다(S500).
이하에서는 도3 내지 도7을 이용하여 S100 내지 S500의 각 단계를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서 학습자 인증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학습자가 인터넷 통신망(20)을 통해 서버(30)에 접속하여 로그인 하면(S101), 서버(30)는 학습자가 입력한 아이디(이하, ID)를 이용하여 기존 회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
이때, 로그인은 서버(30)에 접속한 학습자 컴퓨터(10)의 화면에 가장 먼저 활성화되는 메인 창의 일측에 있는 로그인 버튼을 학습자가 선택한 후 ID와 패스워드(password, 이하 PW)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S102 단계에서 기존 회원인 경우, 서버(30)는 학습자가 입력한 PW를 이용하여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03)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이면 서버(30)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제시하는 창으로 이동함으로써 인증 단계를 종료하고(S104), 비정상적인 경우이면 ID/PW를 찾는 과정을 수행한 후 S101 단계를 수행한다(S108).
한편, S102 단계에서 기존 회원이 아닌 경우 서버(30)는 회원가입을 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S105), 학습자가 회원가입을 선택하면 회원가입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는 창으로 이동한 후 인증 단계를 종료하고, 회원가입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이면 비회원 창으로 이동한 후 인증 단계를 종료한다(S106,S107).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 한 교육 방법에서 학습자가 교육용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S100 단계에서 학습자가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되면 서버(30)는 다양한 컨텐츠를 제시하는 창을 활성화시켜 학습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201).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30)가 지원하는 컨텐츠의 일예로서 미니홈페이지, 게임, 정보용 및 교육용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S201 단계에서 학습자가 교육용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이면(S202), 서버(30)는 학습자가 컨텐츠 이용에 따른 비용을 지불한 인증 회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3).
S203 단계에서 인증 회원인 경우이면 서버(30)는 교육용 컨텐츠의 메인 창으로 이동한 후 교육용 컨텐츠가 제공하는 모든 메뉴를 학습자가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활성화하고(S204), 인증 회원이 아닌 경우이면 둘러보기만 가능하도록 한다(S205).
본 실시예에서는 학습자가 교육용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S203 내지 S205의 단계는 학습자가 유료인 다른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서 학습자의 사전 평가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S200 단계에서 학습자가 교육용 컨텐츠를 선택하고 인증 회원인 경우 서 버(30)는 교육용 컨텐츠의 메인 창을 활성화하고(S301), 학습자가 사전 평가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2).
이때, 사전 평가라 함은 교육용 컨텐츠를 이용하기에 앞서 학습자의 전체적인 학습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며, 평가 항목은 일예로서 학습자의 연령 및 일상적인 활동 능력과 복수 분야에 대한 학습 능력에 관한 검사를 포함한다.
학습자의 연령이 낮은 유아의 경우 예시된 사전 평가 항목 중 연령 및 일상적인 활동 능력은 보호자가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전 평가 대상이라 함은 신규 등록한 회원인 경우, 기존 회원 중 교육용 컨텐츠를 처음 선택한 경우 또는 이전 사전 평가시 평가를 완료하지 않고 접속을 중단한 경우 등 당해 학습자에 대한 사전 평가 결과가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지 않은 모든 경우를 의미한다.
S302 단계에서 학습자가 사전 평가 대상인 경우 서버(30)는 사전 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창을 활성화하여 학습자가 사전 평가 항목별로 제시되는 문답에 따라 평가를 수행하도록 한다(S303,S304).
S304 단계가 완료되면 서버(30)는 사전 평가 전체 항목에 대한 평가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완료된 경우이면 평가 결과를 분석 및 저장한 후 사전 평가 단계를 종료하고(S305,S306), S305 단계에서 완료되지 않은 경우이면 S304 단계로 리턴하여 사전 평가를 계속 수행한다.
S306 단계에서 사전 평가 결과의 분석은 서버(30)가 각 평가 항목에 대한 성취도 점수를 계산한 후 그 결과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분석 정보 를 검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각 평가 항목 중 문답식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분야의 학습 능력에 대한 성취도 점수는 해당 분야의 기본 성취도에서 학습자가 틀린 갯수와 문항당 배점의 곱을 뺀 값이 된다. 이때, 기본 성취도라 함은 문제를 전부 맞힌 경우에 얻을 수 있는 점수이거나 각 분야마다 미리 정해져 있는 점수를 의미한다.
즉, 예를 들어 수학 분야의 기본 성취도가 100점이고, 학습자가 2점짜리 문제를 5개 틀린 경우 학습자의 수학 분야에서의 성취도 점수는 90점이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상기 복수 분야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능력이 분석되어 진다.
상기 분석된 결과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고 학습자가 확인을 원하는 경우 각 분야별로 성취도 점수, 백분율 또는 막대 그래프 등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브라우저(browser)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분석 결과는 학습자의 미니홈페이지에도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교육용 컨텐츠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S302 단계에서 학습자가 사전 평가 대상이 아닌 경우이면 서버(30)는 사전 평가 단계를 거치지 않고 후술할 각 분야별 학습 활동 및 평가 단계를 수행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서 학습자의 각 분야별 학습 활동 및 평가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 다.
S300 단계에서 사전 평가 단계가 완료되면, 서버(30)는 학습자가 본격적인 학습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 활동 메인 창을 활성화한다(S401).
S401 단계에서 활성화되는 학습 활동 메인 창은 각 학습 분야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각 메뉴는 선택된 학습 분야의 학습 단계를 선택할 수 있는 서브 메뉴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자신이 활동하고자 하는 학습 분야와 학습 단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402,S403).
학습 활동 메인 창에서 제공하는 여러 가지 학습 분야는 사전 평가 항목 중 복수의 학습 분야와 일치 또는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예로서 조형, 독서, 과학, 수학, 창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학습 분야의 학습 단계는 제공하는 학습 활동의 내용이나 난이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10단계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이때, 각 단계는 학습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단계적인 학습 활동을 유도할 경우 이전 단계의 학습 활동이 완료되어야 접근이 가능하거나 이전 단계의 학습 활동 후 평가의 성취도 점수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학습 분야 및 단계의 선택이 완료되면, 서버(10)는 선택된 학습 분야 및 단계에 해당하는 학습 창을 활성화시킨 후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40)에서 검색하여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 활동을 수행하도록 한 다(S404).
S404 단계가 완료되면 서버(30)는 학습 활동이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405), 완료되지 않은 경우이면 S404 단계로 리턴하여 현재 수행 중인 학습 활동이 계속 유지되도록 하고 완료된 경우이면 학습 활동 후 평가를 위한 창을 활성화시켜 학습자가 해당 학습 분야 및 단계에 대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S406).
상기 해당 학습 분야 및 단계에 대한 학습 활동 후 평가는 종래의 문답식 또는 체크리스트 형식의 평가가 아니라 각 단계마다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평가 게임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학습자가 평가를 받는다는 인식없이 자발적으로 퍼즐 맞추기 또는 퀴즈 형식의 게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평가가 시작되면 학습자에게 게임 방법을 설명하는 팁(tip)이 텍스트나 음향으로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 방법은 평가 방식이 재미있는 게임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 활동 및 평가 과정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406 단계가 완료되면, 서버(30)는 해당 학습 분야 및 단계에 대한 학습 활동 후 평가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완료되지 않은 경우이면 S406 단계로 리턴하여 현재 수행 중인 평가가 유지되도록 하고, 완료된 경우이면 평가 결과를 분석 및 저장한다(S407,S408).
S408 단계에서 해당 학습 분야 및 단계에 대한 학습 활동 후 평가에 대한 결과 분석 및 저장은 서버(30)가 상기 평가에 대한 성취도 점수를 계산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평가 결과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해당 학습 분야 및 단계에 대한 평가는 1회에 한해서 성취도 점수가 계산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학습 활동 후 평가에 대한 성취도 점수는 그 평가에 구비된 각 게임의 기본 성취도에서 학습자가 기록한 감산 성취도를 뺀 값을 적산하여 얻어진다. 이때, 기본 성취도라 함은 한 문제도 틀리지 않은 경우 해당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점수 또는 해당 게임마다 미리 정해져 있는 점수를 의미하고, 감산 성취도라 함은 해당 게임에서 틀린 갯수와 문항당 배점의 곱을 의미하며, 상기의 과정으로 구한 성취도 점수가 그 평가에 대해 미리 정해진 최소 성취도 점수보다 작은 경우이면 최소 성취도 점수가 그 평가의 성취도 점수로 기록된다.
즉, 예를 들어 수학 분야의 제3단계 학습 활동 후 평가가 2개의 평가 게임으로 구성되고, 제1평가 게임의 기본 성취도 및 문항당 배점이 각각 50점 및 1점이고 제2평가 게임의 기본 성취도 및 문항당 배점이 각각 50점 및 2점일 때, 학습자가 제1평가에서 10개, 제2평가에서 10개 틀린 경우 수학 분야의 제3단계 학습 활동 후 평가에 대한 학습자의 성취도 점수는 (50-10)+(50-20)=70점이 된다.
이때, 수학 분야의 제3단계의 학습 활동 후 평가의 최소 성취도 점수가 80점이라면 학습자의 성취도 점수는 80점으로 기록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구해진 각 학습 분야 및 단계의 성취도 점수는 데이터베이 스(40)에 저장된 후 후술할 중간/총괄 평가의 자료로 활용되며, 학습자가 확인을 원할 경우 성취도 점수, 백분율 또는 막대 그래프 등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브라우저(browser)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성취도 점수는 학습자의 미니홈페이지에도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교육용 컨텐츠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각 분야별 학습 단계의 진행 단계에 따른 성취도 점수의 변동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S408 단계가 완료되면 서버(30)는 해당 학습 분야에서의 학습 활동 후 평가의 횟수가 5 또는 10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09), 평가 횟수가 5 또는 10인 경우이면 중간/총괄 평가를 위한 창으로 이동하고 분야별 학습 활동 및 평가 단계를 종료한다(S410).
한편, S409 단계에서 평가 횟수가 5 또는 10이 아닌 경우이면 학습자가 다른 분야나 단계의 학습 활동을 계속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11), 학습자가 계속을 선택한 경우이면 S402 단계로 리턴하고 중지를 선택한 경우이면 분야별 학습 활동 및 평가 단계를 종료한 후 교육용 컨텐츠의 메인 창을 활성화시킨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서 중간/총괄 평가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S400 단계로부터 중간/총괄 평가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서버(30)는 중간/총괄 평가를 위한 메인 창을 활성화시킨 후(S501), 학습자에 대한 중간/총괄 평가를 수행한다(S502).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평가와 총괄 평가는 각 학습 분야에서 각각 5번째와 10번째 평가가 이루어진 후에 실시되는 것으로, 이는 사전 평가에서 얻은 해당 분야의 성취도 점수와 학습 활동 후 해당 분야에서의 각 단계별 성취도 점수를 비교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각 학습자가 교육용 컨텐츠를 이용하기 전,후의 학습 능력 발달 정도, 장점이 있는 학습 분야, 개발이 필요한 학습 분야 등을 체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학습 내용 및 방향에 대한 체계적인 지표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이다.
S502 단계에서 중간 또는 총괄 평가가 완료되면, 서버(30)는 평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 후 학습자가 확인을 원할 경우 그 내용을 학습자의 브라우저(browser)에 나타낸다(S503). 또한, 서버(30)는 평가 결과를 학습자의 미니홈페이지에도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교육용 컨텐츠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서버(30)는 학습 활동 후 해당 분야에서의 각 단계별 성취도 점수를 사전 평가에서 얻은 해당 분야의 성취도 점수와 비교하여 그 차이의 변화가 일정 수준 이하이거나 감소하는 경우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평가 결과 저장시 함께 저장한다.
S503 단계가 완료되면 서버(30)는 평가 결과를 확인한 학습자가 전문가와의 상담을 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원하지 않는 경우이면 평가 절차를 종료하고 교육용 컨텐츠의 메인 창을 활성화시킨다(S504).
한편, S504 단계에서 학습자가 전문가와의 상담을 원하는 경우 서버(30)는 거주지, 연령, 성별, 성격 및 전문 분야 등 여러 인자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각 분야별 전문가를 점수화하고, 그 중 학습자에게 최적인 전문가를 적어도 1명 검색하여 검색된 전문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전문 분야, 검색 단계에서의 점수, 온라인/오프라인 접속여부 등)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면, 이를 제공받은 학습자가 상담하고자 하는 전문가를 선택한다.(S505)
이때, 전문가 검색시 고려되는 각 인자의 가중치를 서로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으며 각 인자에 대한 점수의 합이 높은 순서대로 전문가를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유아인 경우 상기 인자 중 전문 분야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유아 교육에 대한 전문가가 검색될 수 있는 확률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S505 단계에서 학습자가 전문가를 선택하면 서버(30)는 온라인 상담을 할 것인지 오프라인 상담을 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6).
이때, 온라인 상담이라 함은 학습자가 자신의 미니홈페이지나 교육용 컨텐츠에 마련된 상담코너에 자신의 평가 정보와 질문사항 등을 등록시킨 후 나중에 그에 대한 답변이 등록되면 이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오프라인 상담이라 함은 전화 또는 방문 등을 통하여 전문가와 1:1로 실시간 상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S506 단계에서 학습자가 온라인 상담을 선택한 경우이면 상담내용 등록 과정을 수행한 후 절차를 종료하고(S507), 오프라인 상담을 선택한 경우 학습자와 전문 가를 직접 연결시킨 후 절차를 종료한다(S508).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은 학습자의 학습 활동 전,후의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각 분야별 학습 활동에 따른 학습 능력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각 분야의 전문가와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교육 방법과 비교하여 학습자에게 보다 체계적인 학습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학습 활동 과정에서 실시되는 평가를 게임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교육의 성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Claims (5)

  1.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학습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해 사용자를 회원으로 인증하는 제1단계,
    상기 인증된 회원이 학습 전 평가의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학습 전 평가의 대상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각 평가 항목별 평가점수인 제1성취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성취도로부터 복수 분야에 대한 상기 회원의 학습 능력을 분석하고, 상기 회원의 제1성취도와 학습 능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단계,
    상기 학습 전 평가가 완료되면 회원이 선택하여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분야별로 다단계로 구성된 학습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회원이 선택한 학습 분야 및 단계의 학습 활동이 완료되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게임 형식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평가를 실시하고, 상기 학습 분야 및 단계에서의 평가점수인 제2성취도를 산출하고 저장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회원이 선택한 학습 분야에서의 평가 회수가 설정 회수 이상이면 학습 활동을 완료한 회원의 각 분야별 학습 능력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 총괄 평가를 실시하고, 상기 평가 결과로부터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저장 및 회원에게 전송하고, 전문가와의 상담요청 신호가 입력 되면 상기 회원에게 적합한 전문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문가에 대한 정보를 회원에게 제공하고, 전문가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담을 위해 회원과 회원이 선택한 전문가를 연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제1성취도는 각 평가 항목의 기본 점수에서 사용자가 틀린 갯수와 문항당 배점의 곱을 감산하여 산출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제2성취도는 각 평가의 기본 점수에서 상기 회원이 틀린 갯수와 문항당 배점의 곱을 감산하여 얻은 점수를 합산하여 산출하며,
    상기 제4단계의 총괄 평가는 제1성취도와 제2성취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2성취도와 제1성취도의 차이가 설정값 이하이면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평가 항목 또는 각 평가의 기본 점수는 해당 평가 항목 또는 평가에서 문제를 전부 맞힌 경우의 점수인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전문가의 검색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분야별 전문가를 거주지, 연령, 성별 및 전문 분야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자에 대해서 점수화하고 상기 각 인자의 점수를 합산하여 이루어지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전문가와의 연결은 회원이 교육용 컨텐츠에 자신의 평가 정보와 질문사항 등을 등록시킨 후 그에 대한 전문가의 답변이 등록되면 이를 확인하는 방식인 온라인 방식과 전화 또는 방문 등을 통하여 전문가와 1:1로 실시간 상담하는 오프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인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
KR1020070008915A 2007-01-29 2007-01-29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 KR100833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915A KR100833168B1 (ko) 2007-01-29 2007-01-29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915A KR100833168B1 (ko) 2007-01-29 2007-01-29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168B1 true KR100833168B1 (ko) 2008-06-10

Family

ID=3976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915A KR100833168B1 (ko) 2007-01-29 2007-01-29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1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918B1 (ko) 2010-10-14 2012-12-04 주식회사 케이엔소프트 액션 이북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N106202976A (zh) * 2016-08-15 2016-12-07 宁波高科美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学习质量与时间的评估测定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305A (ko) * 2000-10-17 2002-04-25 김영이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 특성별 교육방법 및 장치
KR20020050684A (ko) * 2000-12-21 2002-06-27 최덕수 교육성취도의 지역별 비교평가 및 배경변인과 학업성취도관계의 반복적 분석을 통한 교육평가의 비즈니스모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305A (ko) * 2000-10-17 2002-04-25 김영이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 특성별 교육방법 및 장치
KR20020050684A (ko) * 2000-12-21 2002-06-27 최덕수 교육성취도의 지역별 비교평가 및 배경변인과 학업성취도관계의 반복적 분석을 통한 교육평가의 비즈니스모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918B1 (ko) 2010-10-14 2012-12-04 주식회사 케이엔소프트 액션 이북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N106202976A (zh) * 2016-08-15 2016-12-07 宁波高科美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学习质量与时间的评估测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 et al. Understanding students’ engagement in MOOCs: An integration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ory of relationship quality
De-Marcos et al. Social network analysis of a gamified e-learning course: Small-world phenomenon and network metrics as predictors of academic performance
Hernández-Lara et al. Student interactions in online discussion forums: their perception on learning with business simulation games
Huddle et al. Taking apart the art: the risk of anatomizing clinical competence
Levac et al. Usual and virtual reality video game-based physiotherapy for children and youth with acquired brain injuries
Clem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survey
Liao et al. Factors affecting students’ continued usage intention toward business simulation games: an empirical study
Vermunt et al. Building the foundations for measuring learning gain in higher education: a conceptual framework and measurement instrument
Maxey et al. Leveraging the Delphi technique to enrich knowledge and engage educational policy problems
Moon et al. In-game actions to promote game-based math learning engagement
Spyridonis et al. A serious game to improve engagement with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Rivas et al. Do MOOCs make you more marketable? An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value of MOOCs relative to traditional credentials and experience
Kyriakides et al. Integrating generic and content-specific teaching practices in exploring teaching quality in primary physical education
Al-Azawei et al. Evaluating the effect of Arabic engineering students’ learning styles in blended programming courses
Katsini et al. A human-cognitive perspective of users’ password choices in recognition-based graphical authentication
Arias‐Aranda Simulating reality for teaching strategic management
US2015005657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amified productivity enhancing systems
Chen et al. An effective method for incentivizing groups implemented in a collaborative problem-based learning system to enhance positive peer interac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Zainol et al. Application of relationship investment model in predicting student engagement towards HEIs
Ošlejšek et al. Visual feedback for players of multi-level capture the flag games: Field usability study
Demir et al. Measuring theoretical orientations of counselor trainees in Turkey: The role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variables
Troy et al. Leadership assessments: a history and overview of empiric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KR100833168B1 (ko) 학습 발달 과정에 연동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방법
Souza-Pereira et al. Software quality: Application of a process model for quality-in-use assessment
Engelberg et al. The role of empathy in case management: a pilot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