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532B1 -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의선불카드 요금 지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의선불카드 요금 지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532B1
KR100832532B1 KR1020060071446A KR20060071446A KR100832532B1 KR 100832532 B1 KR100832532 B1 KR 100832532B1 KR 1020060071446 A KR1020060071446 A KR 1020060071446A KR 20060071446 A KR20060071446 A KR 20060071446A KR 100832532 B1 KR100832532 B1 KR 100832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user
service
information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9893A (ko
Inventor
임선환
김상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59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의 선불카드 요금 지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금 지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의 계좌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과금서버, 수신되는 상기 요금의 지불권한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지불권한허락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요금지불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 상기 요금지불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지불권한허락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요금지불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 및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요금지불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로부터 해당 계좌정보를 인출하여 요금지불을 처리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60071446
개방, 게이트웨이, 과금, 요금, 택시, 지불, 결제, 문자, 계좌, 선불카드

Description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의 선불카드 요금 지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yment service of pre-paid card used-fare based on open interface using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선불카드를 통해 개방형 API에 기초한 택시 요금 지불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방형 API에 기초한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와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택시 요금 지불 시스템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를 통해 개방형 API에 기초한 택시 요금 지불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택시요금 지불 시스템의 개방형 API에 기초한 계좌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택시요금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요금을 지불할 수 있는 택시요금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가 날로 발전하면서 버스, 택시 등의 영업용 차량 또는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목적지까지 보다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들은 대중교통 수단의 이용함에 따라 현금이나 해당 교통수단이 지원하는 요금 시스템에 따라 교통카드 또는 정액권 등을 통해 요금을 지불하고 있다.
최근 들어, 사용자들은 시내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할 때에는 현금이나 교통카드 등을 통해 이용요금을 지불하며, 택시의 경우 현금으로 이용요금을 지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여러 대중교통 수단 중에서 택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현금 이외에는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여 택시요금을 지불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현금이 없거나 거스름 돈이 없는 경우에는 택시를 이용하기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일반 택시에 비하여 택시요금이 많이 나오는 소수의 고급 택시에 신용카드 결제기가 설치되어 택시요금을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사용자들의 신용카드를 이용한 택시요금 결제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 경 우, 택시 사업자들은 신용카드 수수료 등으로 인하여 소액의 택시요금의 경우 신용카드 결제를 꺼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통신 단말기와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요금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설치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와 신용카드를 소지한 사용자들이 택시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신용카드정보를 알고 있거나 신용카드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방법은 신용카드정보가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공개될 가능성이 있어, 개인 정보의 유출 가능성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 사업자에 접속한 후 택시요금을 입력하고 인증 절차를 거쳐 택시요금을 과금한 후에, 무선통신 사업자로부터 청구되는 단말기 이용요금에 과금한 택시요금을 합산하여 청구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일정 기간 과금된 택시요금이 한 번에 청구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요금 납부에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방법은 해당 통신 사업자를 통해 과금이 처리되고 과금된 요금이 징수됨에 따라, 통신 사업자를 거쳐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에 따른 수수료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인터넷에서의 대금을 지불하는 방법은 신용카드를 사용하거나, 무통장 은행입금, 자신의 통장을 통한 계좌이체를 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도 거래상의 불안함과 쉽게 자신의 개인정보를 노출시키기 것을 꺼리는 부분 등으로 인하여 활성화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 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택시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택시요금을 지불할 수 있는 택시요금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택시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기존의 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택시요금을 지불할 수 있는 택시요금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택시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지불하는 택시요금으로 인한 금전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택시요금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금 지불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의 계좌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과금서버; 수신되는 상기 요금의 지불권한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지불권한허락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요금지불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상기 요금지불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지불권한허락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요금지불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 및 개방형 API를 통해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요금지불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로부터 해당 계좌정보를 인출하여 요금지불을 처리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는 개방형 API를 통해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 및 상기 요금지불요청신호를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의 요금 지불 시스템은,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지불권한요청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문메시지센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요금지불 처리에 따른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의 각 계좌정보를 상기 과금서버에 업데이트한다.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요금지불 처리에 따른 결과정보를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는 상기 요금지불 처리 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 및/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는 상기 요금지불 처리 결과정보를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요금지불 처리 결과정보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상기 문자메시지 센터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문자메시지 센터는 상기 요금지불 처리 결과정보를 상기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 및/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요금지불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의 요금 지불 처리 절차를 제어하는 개방형 서비스 지불 응용서버; 및 상기 요금지불 처리에 따른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의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의 계좌정보에 대한 관리 절차를 제어하는 개방형 서비스 계좌관리 응용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형 서비스 지불 응용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에게 요금 지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지불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자의 가입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금지불요청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불권한허락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요금지불요청정보에 따라 요금 지불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지불로직을 포함한다.
상기 개방형 서비스 계좌관리 응용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에게 개방형 응용 서비스를 통한 요금 지불 내역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계좌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요금 지불 내역의 열람을 요청하면, 상기 요금 지불 내역 및 각각의 해당 계좌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계좌관리로직을 포함한다.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개방형 서비스 지불 응용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로부터 해당 계좌정보를 인출하여 요금지불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상기 개방형 서비스 지불 응용서버에 제공하는 지불처리부; 상기 지불처리부의 요금지불 결과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에 저장된 해당 계좌정보들을 업데이트하는 계좌관리부; 상기 개방형 서비스 지불 응용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지불권한허락정보 및/또는 상기 요금지불 처리 결과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변환하여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를 제어하는 단문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금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정보,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계좌정보, 상기 사용자정보, 상기 사용자의 계좌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의 각 계좌별 요금지불 내역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계좌정보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해당 금액의 충전이 가능한 선불카드정보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 지불 방법은,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요청에 따라 각각에 대응하는 계좌정보를 과금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요금지불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지불권한요청정보를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및 단문메시지 센터를 통해 단문 메시지로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지불권한허락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제어하여 상기 과금서버에 저장된 해당 계좌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요금지불요청신호에 따라 요금지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 지불 방법은, 상기 요금지불 처리에 따른 결과정보를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과금서버에 저장된 해당 계좌정보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지불 방법은, 상기 요금지불 처리에 따른 결과정보를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및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를 통해 단문 메시지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또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송 단계 및 상기 요금지불 처리단계에서는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접속 및 해당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지불 방법은, 상기 서비 스 제공자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요금지불 내역을 요청하는 신호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요금지불내역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제어하여, 상기 과금서버에 저장된 해당 계좌정보로부터 요금지불내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요금지불내역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지불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는, 해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요금지불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망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요금지불에 대한 계좌 정보를 관리하는 과금서버를 통해 요금지불 처리를 수행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개방형 서비스 지불 수단; 및 상기 요금지불 처리에 따른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의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의 계좌정보에 대한 관리 절차를 제어하는 개방형 서비스 계좌관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형 서비스 지불 응용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에게 요금지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지불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자의 가입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금지불요청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 기로부터 상기 지불권한허락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요금지불요청정보에 따라 요금지불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지불로직을 포함한다.
상기 개방형 서비스 계좌관리 응용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에게 개방형 응용 서비스를 통한 요금지불 내역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계좌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요금지불 내역의 열람을 요청하면, 상기 요금지불 내역 및 각각의 해당 계좌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계좌관리로직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지불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서비스 제공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른 요금지불요청에 대해 인터넷망에 위치하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의 요금 처리를 위한 계좌정보를 관리하는 과금서버로부터 해당 계좌정보를 인출하여 요금지불을 처리하는 지불처리부; 상기 지불처리부의 요금지불 결과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에 저장된 해당 계좌정보들을 업데이트하는 계좌관리부; 및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의 제어에 따라 요금지불을 허락하기 위한 지불권한허락정보 및/또는 요금지불 결과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변환하여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센터를 제어하는 단문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는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에 위치하는 과금서버에 서비스 제공자의 계좌정보 및 사용자의 선불카드정보를 등록하고 개방형 API 및 단문 메시지 API를 통해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선불카드로 서비스 제공자에게 과금된 요금을 지불하고 지불 결과에 따른 정보를 상기 계좌 및 선불카드 정보에 업데이트하고 서비스 제공자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요금지불 내역을 제공함으로써, 택시를 이용하는 서비스 사용자들이 상용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통해 손쉽게 요금을 결제할 수 있고 안전한 과금 처리 대행이 가능하며 선불카드를 하나의 계좌로 인식하여 선불카드 가입자가 신뢰성 있고 인증된 서비스 제공자나 컨텐츠 제공자를 통하여 본인이 원하는 금액만큼 지속적으로 충전을 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통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해당 요금을 지불하기 위하여,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불 서비스에 다이얼링을 한 후 인터넷 망에 연결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로직이 과금 지불을 위한 개방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 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호출하여 자신의 선불카드 번호 즉, 자신의 계좌로부터 요금을 지불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온/오프라인(On/Off-line)에서 구입할 수 있는 선불카드를 하나의 계좌로 인식하고 선불카드 가입자(사용자)가 신뢰성 있고 인증된 서비스 제공자나 컨텐츠 제공자를 통하여 본인이 원하는 금액만큼 지속적으로 충전을 하여 요금지불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개방형 API란 통신 서비스 로직과 통신망 사이의 규격화된 공개 인터페이스를 말하는데, 하부 전달 망 특성과 형태에 관계없이 다양한 통합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로서, "Parlay Group(http://www.parlay.org)" 주도로 "CORBA" 기반의 개방형 API와 웹 서비스 기반의 개방형 API로 표준화 되고 있다. "Parlay Group"은 IT 기반 응용 프로그램에서 안전하고 손쉽게 호출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Parlay X API"를 발전시켰는데, 이것은 통신망 프로토콜에 대한 세부적인 지식이 없는 IT 응용 개발자가 통신망 자원을 간단하게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선불카드를 통해 개방형 API에 기초한 택시 요금지불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택시 요금지불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700)를 이용하여 인터넷망(50)을 통해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에 접속하여 해당 금액의 선불카드 구매 및 그 정보의 저장 관리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개방형 서 비스 응용서버(500)는 개방형 서비스 프레임워크(300)를 통해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선불카드 구매 및 구매 내역 정보의 저장을 요청한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사용자가 요청한 해당 금액의 선불카드 구매를 처리하여 그 결과를 과금서버(200)에 저장한다. 이때 과금서버(200)에는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115)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과금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자정보, 서비스 제공자의 계좌정보, 사용자정보, 사용자의 계좌정보, 및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의 각 계좌별 요금지불 내역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선불카드 구매 및 구매 내역 정보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를 거쳐 사용자 컴퓨터(7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직원) 또는 서비스 사업자는 서비스 제공자 각각의 계좌정보를 과금서버(200)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택시 요금지불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110,115), 사용자 컴퓨터(700)를 이용하여 인터넷 망(50)을 통해 접속 가능한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 인터넷망(50)과 이동통신망(100)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가 이동통신망(100)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개방형 서비스 프레임워크(300), 이동통신망(100)에 위치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계좌정보 및 사용자의 선불카드정보를 포함하는 요금지불 관련정보를 저장하는 과금서 버(200),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문메시지 센터(140), 및 기지국(120)과 단문메시지 센터(140) 간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교환기(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택시 요금지불 시스템에 의한 택시 요금지불은 다음과 같다.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택시 요금지불을 위해 이동통신망(100)의 사업자가 제공하는 개방형 서비스 프레임워크(300)로부터 개방형 서비스 API 웹 서비스를 도입한 개방형서비스 응용서버(500)에 접속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110)는 택시 요금지불 요청정보를 전송할 때, 자신의 할당된 전화번호 및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115)에 대한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요금지불 요청정보를 수신한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500)는 개방형 서비스 프레임워크(300)에 접속하여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로의 접속에 필요한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에 접속한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에게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115)로 지불권한의 허락을 요청하는 신호를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의 제어에 따라 지불권한 허락 요청신호를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115)로 전송하도록 단문메시지 센터(140)를 제어한다. 단문 메시지 센터(140)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 이(400)로부터 전송된 지불권한 허락 요청신호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교환기(130)를 통해 기지국(120)을 거쳐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115)로 전송되도록 한다.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11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설정된 인증정보가 포함되는 지불권한 허락 정보를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에게 전송한다. 이에 따라,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로 요금지불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이동통신망(100) 내에 위치하는 과금 서버(107)에 저장된 서비스 제공자의 계좌정보 및 사용자의 선불카드정보를 인출한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인출한 정보들을 기초로,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에서 요청한 요금지불을 처리한다. 이때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처리한 요금지불 처리결과를 과금서버(200)의 서비스 제공자의 계좌정보 및 사용자의 선불카드정보에 업데이트한다. 또한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요금지불 처리결과를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로 리포팅(reporting)한다.
이에 따라,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요금지불 처리결과를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110,115)에 전송하도록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에게 요청한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요청된 요금지불 처리결과를 전송하도록 단문메시지 센터(140)를 제어한다.
단문메시지 센터(140)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의 제어에 따라 요금 지불 처리결과를 단문 메시지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교환기(130)와 기지국(120)을 거쳐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110,115)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방형 API에 기초한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와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도 1의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요금지불을 제어 및 관리하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1(520)과,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의 계좌(선불카드)를 관리하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2(540)로 구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바와 같이, 개방형 서비스 응용 서버1(520)은 지불서비스 사용자UI(522), 고객 데이터베이스(524), 및 지불로직(526)을 포함한다.
지불서비스 사용자UI(522)는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110,115)에게 택시요금 지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524)는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자의 가입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지불 로직(526)은 서비스 제공자(110)가 요금지불을 요청하면,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에게 개방형 서비스 지불 API를 통해 지불 대행을 요청한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의 지불 처리부(520)는 지불 로직(526)이 요청한 택시요금 지불 기능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과금 서버(200)에 업데이트한다. 이때 지불로직(526)은 택시요금 지불 수행 결과를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의 휴대용 통신단말기(110,115)에게 전송하도록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에게 요청한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의 단문메시지 처리부(460)는 인터페이스(480)를 통해 단문메시지 센터(140)에 접속하여, 지불로직(526)의 요청에 따라 택시요금 지불 수행결과를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의 휴대용 통신단말기(110,115)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단문메시지 센터(140)는 택시요금 지불 수행결과를 단문메시지로 변환하여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의 휴대용 통신단말기(110,115)에게 전송한다.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2(540)는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110,115)에게 개방형 응용 서비스를 통한 택시 요금지불 내역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2(540)는 계좌관리 사용자 UI(542), 고객 데이터베이스(544), 및 계좌관리로직(546)을 포함한다.
계좌관리 사용자 UI(542)는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110,115)에게 요금지불 내역을 검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544)는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110,115)의 서비스 가입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계좌관리로직(546)은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110,115)가 개방형 서비스를 통해 인터넷망(50)에 접속하여 요금지불 내역의 열람을 요청하면,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에게 개방형 서비스 계좌 관리 API를 통해 지불 내역 검색을 요청한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의 계좌 관리부(440)는 계좌 관리 로직(546)의 요청에 따라 과금 서버(200)에 저장된 서비스 제공자의 계좌정보 및 사용자의 선불카드정보를 통해 택시요금 지불 내역정보를 인출하여 계좌 관리 로직(546)에게 전달한다. 계좌 관리 로직(546)으로 전달된 택시요금 지불 내역정보는 계좌 관리 사이트 사용자 UI(217)를 통해 사용자 및 서비스 판매업자(201)에게 제공된다. 또한 택시요금 지불 내역정보는 단문 메시지 센터(140)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택시 요금지불 시스템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선불카드를 통해 개방형 API에 기초한 택시 요금지불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인터넷망(50)을 통해 접속한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로부터 계좌정보 및 선불카드의 등록 요청신호를 수신하게 되면(S110),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에 접속하여 계좌 및 선불카드의 등록을 제어한다(S114). 이에 따라,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요청된 계좌 및 선불카드 정보를 과금서버(200)에 각각 등록한다(S116).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110)는 서비스 제공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요금지불 요청신호를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로 전송한다(S210). 이때 요금지불 요청신호에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 외에, 사용자의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선불카드정보와 서비스 제공자의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계좌정보가 포함된다.
요금지불 요청신호를 수신한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지불권한의 허락요청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15)에 전송하도록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에게 요청한다(S220).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지불권한의 허락요청신호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115)에 전송하도록 단문 메시지 센서(140)에 요청한다(S230). 이에 따라, 단문 메시지 센터(140)는 지불권한의 허락요청신호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115)에게 전송한다(S240).
사용자 단말기(115)는 지불권한 허락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지불권한 허락정보를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에게 전송한다(S250). 이에 따라,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로 요금지불을 요청한다(S260).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이동통신망(100) 내에 위치하는 과금 서버(107)에 저장된 서비스 제공자의 계좌정보 및 사용자의 선불카드정보를 인출한다(S270).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인출한 정보들을 기초로,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에서 요청한 요금지불을 처리한다(S280). 이때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처리한 요금지불 처리결과를 과금서버(200)의 서비스 제공자의 계좌정보 및 사용자의 선불카드정보에 업데이트한다(S290). 또한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요금지불 처리결과를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로 전송한다(S295).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요금지불 처리결과를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110,115)에 전송하도록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에게 요청한다(S310).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요청된 요금지불 처리결과를 전송하도록 단문메시지 센터(140)를 제어한다(S315).
이에 따라, 단문메시지 센터(140)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의 제어에 따라 요금지불 처리결과를 단문 메시지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교환기(130)와 기지국(120)을 거쳐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110,115)로 전송한다(S320,S325).
각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110) 및 사용자 단말기(115)는 단문 메시지 센터(140)로부터 전송된 요금지불처리결과를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S332,S334).
한편,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해당 계좌 또는 선불카드의 비밀번호가 등록된 해당 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밀번호 오류 메시지를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110) 및 사용자 단말기(115)로 전송한다. 또한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해당 계좌 또는 선불카드 정보가 미등록된 계좌인 경우, 미등록 계좌 메시지를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110) 및 사용자 단말기(115)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택시요금 지불 시스템의 개방형 API에 기초한 계좌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서비스 제공자(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15)로부터 요금지불내역 요청신호를 수신하면(S410,S415),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계좌 및 비밀번호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110)에게 요청하고(S420) 선불카드 및 비밀번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5)에게 요청한다(S430).
서비스 제공자(110)는 입력되는 계좌 및 비밀번호 정보를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에게 전송한다(S440). 또한 사용자는 입력되는 선불카드 및 비밀번호 정보를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로 전송한다(S445).
이에 따라,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개방형 서비스를 통해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에게 요금지불 내역 검색을 요청한다(S450).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과금 서버(200)에 저장된 서비스 제공자의 계좌정보 및 사용자의 선불카드정보를 통해 택시요금 지불 내역정보를 인출한다(S460). 따라서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는 인출한 요금지불 내역정보를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로 전송한다(S470).
이에 따라,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서비스 제공자(110)의 등록된 계좌에 대한 요금지불(요금적립) 내역정보를 서비스 제공자(110)에게 전송한다(S480). 또한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사용자 단말기(115)의 등록된 계좌에 대한 요금지불 내역정보를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400) 및 단문메시지센터(140)를 거쳐 사용자 단말기(115)에게 전송한다(S490,S492,S494).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5)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로부터 전송된, 등록된 계좌에 대한 요금지불 내역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서비스 제공자(110) 및 사용자 단말기(115)로부터 제공된 계좌 또는 선불카드 번호가 미등록된 경우, 계좌 또는 선불카드 미등록 안내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자(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15)에게 전송한다. 또한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500)는 서비스 제공자(110) 및 사용자 단말기(115)로부터 제공된 해당 계좌 또는 선불카드의 비밀번호에 오류가 있는 경우, 비밀번호 오류 안내메시지를 서비스 제공자(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15)에게 전송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 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에 위치하는 과금서버에 서비스 제공자의 계좌정보 및 사용자의 선불카드정보를 등록하고 개방형 API 및 단문 메시지 API를 통해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선불카드로 서비스 제공자에게 과금된 요금을 지불하고 지불 결과에 따른 정보를 상기 계좌 및 선불카드 정보에 업데이트하고 서비스 제공자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요금지불 내역을 제공함으로써, 택시를 이용하는 서비스 사용자들이 상용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통해 손쉽게 요금을 결제할 수 있고 안전한 과금 처리 대행이 가능하며 선불카드를 하나의 계좌로 인식하여 선불카드 가입자가 신뢰성 있고 인증된 서비스 제공자나 컨텐츠 제공자를 통하여 본인이 원하는 금액만큼 지속적으로 충전을 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의 계좌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과금서버;
    수신되는 요금의 지불권한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지불권한허락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요금지불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상기 요금지불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지불권한허락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요금지불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 및
    개방형 API를 통해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요금지불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로부터 해당 계좌정보를 인출하여 요금지불을 처리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지불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는 개방형 API를 통해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 및 상기 요금지불요청신호를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지불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지불권한요청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문메시지센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지불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요금지불 처리에 따른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의 각 계좌정보를 상기 과금서버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지불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요금지불 처리에 따른 결과정보를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는 상기 요금지불 처리 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 및/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지불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는 상기 요금지불 처리 결과정보를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요금지불 처리 결과정보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상기 문자메시지 센터를 제어하며,
    상기 문자메시지 센터는 상기 요금지불 처리 결과정보를 상기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 및/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지불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요금지불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의 요금지불 처리 절차를 제어하는 개방형 서비스 지불 수단; 및
    상기 요금지불 처리에 따른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의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의 계좌정보에 대한 관리 절차를 제어하는 개방형 서비스 계 좌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지불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서비스 지불 수단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에게 요금지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지불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자의 가입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금지불요청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불권한허락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요금지불요청정보에 따라 요금지불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지불로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지불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서비스 계좌관리 수단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에게 개방형 응용 서비스를 통한 요금지불 내 역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계좌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요금지불 내역의 열람을 요청하면, 상기 요금지불 내역 및 각각의 해당 계좌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계좌관리로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지불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개방형 서비스 지불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로부터 해당 계좌정보를 인출하여 요금지불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상기 개방형 서비스 지불 수단에 제공하는 지불처리부;
    상기 지불처리부의 요금지불 결과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에 저장된 해당 계좌정보들을 업데이트하는 계좌관리부;
    상기 개방형 서비스 지불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지불권한허락정보 및/또는 상기 요금지불 처리 결과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변환하여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를 제어하는 단문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지불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정보,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계좌정보, 상기 사용자정보, 상기 사용자의 계좌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의 각 계좌별 요금지불 내역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지불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좌정보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해당 금액의 충전이 가능한 선불카드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지불 시스템.
  13.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요청에 따라 각각에 대응하는 계좌정보를 과금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요금지불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지불권한요청정보를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및 단문메시지 센터를 통해 단문 메시지로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지불권한허락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제어하여 상기 과금서버에 저장된 해당 계좌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요금지불요청신호에 따라 요금지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지불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지불 처리에 따른 결과정보를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과금서버에 저장된 해당 계좌정보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지불 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지불 처리에 따른 결과정보를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및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를 통해 단문 메시지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또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지불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 및 상기 요금지불 처리단계에서는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접속 및 해당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지불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요금지불 내역을 요청하는 신호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요금지불내역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제어하여, 상기 과금서버에 저장된 해당 계좌정보로부터 요금지불내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요금지불내역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지불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서버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정보,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계좌정 보, 상기 사용자정보, 상기 사용자의 계좌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의 각 계좌별 요금지불 내역정보를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지불 방법.
  19. 해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요금지불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망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요금지불에 대한 계좌 정보를 관리하는 과금서버를 통해 요금지불 처리를 수행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개방형 서비스 지불 수단; 및
    상기 요금지불 처리에 따른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의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의 계좌정보에 대한 관리 절차를 제어하는 개방형 서비스 계좌관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지불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서비스 지불 수단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에게 요금지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지불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자의 가입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금지불요청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지불권한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불권한허락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요금지불요청정보에 따라 요금지불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지불로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지불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서비스 계좌관리 수단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에게 개방형 응용 서비스를 통한 요금지불 내역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계좌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요금지불 내역의 열람을 요청하면, 상기 요금지불 내역 및 각각의 해당 계좌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계좌관리로직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지불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
  22. 서비스 제공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른 요금지불요청에 대해 인터넷망에 위치하는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사용자의 요금 처리를 위한 계좌정보를 관리하는 과금서버로부터 해당 계좌정보를 인출하여 요금지불을 처리하는 지불처리부;
    상기 지불처리부의 요금지불 결과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에 저장된 해당 계좌정보들을 업데이트하는 계좌관리부; 및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의 제어에 따라 요금지불을 허락하기 위한 지불권한허락정보 및/또는 요금지불 결과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변환하여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센터를 제어하는 단문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형 서비스 응용서버는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지불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KR1020060071446A 2005-12-07 2006-07-28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의선불카드 요금 지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2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8809 2005-12-07
KR1020050118809 2005-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893A KR20070059893A (ko) 2007-06-12
KR100832532B1 true KR100832532B1 (ko) 2008-05-27

Family

ID=3835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446A KR100832532B1 (ko) 2005-12-07 2006-07-28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의선불카드 요금 지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949B1 (ko) * 2010-12-17 2013-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t 웹 서비스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6969B2 (en) 2005-12-06 2011-02-15 Visa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loading and reloading portable consumer devices
US20090063355A1 (en) * 2007-08-31 2009-03-05 Nizam Antoo Method and system using reloadable portable consumer devices
KR101033006B1 (ko) * 2008-04-14 2011-05-09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업무 택시 카드 서비스 시스템
KR101403027B1 (ko) * 2009-11-18 2014-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의 신용기능이 부가된 체크카드의 계좌 관리를 위한 개방형 서비스 응용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809A (ko) * 2004-06-15 2005-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809A (ko) * 2004-06-15 2005-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11880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949B1 (ko) * 2010-12-17 2013-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t 웹 서비스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893A (ko) 200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6649B2 (ja) トランザクション方法および販売システム
KR100832532B1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의선불카드 요금 지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291039A (ja) 電子財布決済システム
KR101101173B1 (ko) 계좌를 이용한 결제 중계 방법
MXPA06006882A (es) Sistema y metodo para facilitar el pago via una red de comunicaciones empleando un valor acreditado a un cliente de la red de comunicaciones.
JPH06243150A (ja) 電話回線を利用したクレジットによるサービス提供方式
JP4302277B2 (ja) 情報表示型携帯電話所有者に対する課金代行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01008834B1 (ko) Sim의 생성 및 제어가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서비스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JP5209093B2 (ja) 課金システム及び方法
JP4009855B2 (ja) 駐車場のタイマー通知システムおよびタイマー通知方法
KR100530014B1 (ko) 웹투폰 무선인터넷 직접 접속시스템 및 방법
WO2017090966A1 (ko) 송금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2001350930A (ja) インターネットによる公共料金・納税支払システムおよび支払方法
KR20040095934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과금 시스템 및 과금 방법
CN108846730A (zh) 用于处理请求的方法和装置
KR20060059526A (ko)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1256B1 (ko) 인터넷에서의 지역 과금 수집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인증방법
JP2001230887A (ja) 携帯端末事業者内装置、課金処理方法、及び課金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099402A (ja) 認証代理サー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90946B2 (ja) 課金管理装置、課金管理プログラム及び課金管理システム
JP4816672B2 (ja) 公衆電話機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100407906B1 (ko) 자동응답시스템을 이용한 콘텐츠 이용료 과금 대행 방법및 시스템
KR1008602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ic 칩 기반 서비스 사용에 대한 특정요금제 가입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RU15939U1 (ru) Система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платных услуг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варианты)
KR100321749B1 (ko) 통신을 이용한 통신이용료 제어 및 고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