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314B1 - 포장용 밴드 결속구 - Google Patents

포장용 밴드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314B1
KR100832314B1 KR1020070046262A KR20070046262A KR100832314B1 KR 100832314 B1 KR100832314 B1 KR 100832314B1 KR 1020070046262 A KR1020070046262 A KR 1020070046262A KR 20070046262 A KR20070046262 A KR 20070046262A KR 100832314 B1 KR100832314 B1 KR 100832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edge
binding
packag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6026A (ko
Inventor
박인주
Original Assignee
박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주 filed Critical 박인주
Priority to KR102007004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3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5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4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separate securing members
    • B65D63/16Joints using buckles, wedges, or like locking members attached to the end of th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65B13/027Hand-held tools for applying straps having preformed connecting means, e.g. cable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의 결속이 쐐기핀을 눌러주는 것만으로 극히 간편하게 이루어져 밴딩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됨과 아울러 최초 밴딩장력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포장 밴딩품질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포장용 밴드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밴드가 삽입되는 밴드통로가 상ㆍ하층으로 관통형성된 하우징과 2개의 쐐기핀으로 구성되는 밴드결속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ㆍ하층의 밴드통로 양측에 각각 쐐기핀 설치를 위한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핀홀은 쐐기핀이 밴드를 구속하지 않는 해제부와 밴드를 압착 결속하는 잠금부가 경사부를 통하여 높낮이 차를 두고 연통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 밴드 결속구{A BAND FASTNER FOR PACKAG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밴드 결속 직전 상태도
도 5는 도 2의 밴드 결속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7은 종래 기술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밴드결속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포장용 밴드 결속구 2: 밴드
10: 하우징 11,12: 밴드통로 13: 핀홀
131: 해제부 133: 잠금부 135: 경사부
137: 단차부 30: 쐐기핀 31: 손잡이부
본 발명은 포장용 밴드의 매듭을 짓는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밴드의 결속이 쐐기핀을 눌러주는 것만으로 극히 간편하게 이루어져 밴딩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됨과 아울러 최초 밴딩장력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포장 밴딩품질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포장용 밴드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 포장과정에서 포장형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밴드로 묶어주는 밴딩과정이 따르며 밴딩의 마무리는 밴드의 양 선단을 결속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밴드의 선단 결속은 밴드 자체를 수작업으로 묶어 매듭을 짓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량 포장현장에서는 대개 별도의 밴드 결속구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밴드 결속구의 종래 기술 중 하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2)가 삽입되는 밴드통로(111)(112)가 상ㆍ하층으로 형성된 하우징(110)과 별도의 2개 쐐기핀(130)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하우징의 밴드통로(111)(112)를 거쳐 외부로 노출된 밴드의 선단부 상에 쐐기핀(130)을 끼워넣은 다음 내측에서 밴드(2)를 당겨주면 쐐기핀(130)이 밴드를 타고 밴드통로(111)(112)로 끼어들면서 결속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측'은 밴드에서 물품을 둘러싸고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100)은 밴드(2)의 결속고정시 밴드를 물품의 내 측으로 당겨야 하므로 물품을 둘러싸고 부분의 길이가 길어져 밴딩장력이 이완되고 이에 따라 진동발생시 포장상태가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리 형성된 쐐기핀을 끼워 넣은 뒤 다시 덮개(미도시)를 끼워 마감해야 되므로 공수가 낭비되고 취급 및 사용이 대단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밴드의 결속이 쐐기핀을 눌러주는 것만으로 극히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됨과 아울러 최초 밴딩장력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포장 밴딩품질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포장용 밴드 결속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밴드 결속구는
밴드가 삽입되는 밴드통로가 상ㆍ하층으로 관통형성된 하우징과 2개의 쐐기핀으로 구성되는 밴드결속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ㆍ하층의 밴드통로 양측에 각각 쐐기핀 설치를 위한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핀홀은 쐐기핀이 밴드를 구속하지 않는 해제부와 밴드를 압착 결속하는 잠금부가 경사부를 통하여 높낮이 차를 두고 연통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포장용 밴드 결속구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포장용 밴드 결속구(1)는 밴드(2)가 삽입되는 밴드통로가 상ㆍ하층으로 관통형성된 하우징(10)과 2개의 쐐기핀(30)으로 구성되는 밴드결속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상ㆍ하층의 밴드통로(11)(12) 양측에 각각 쐐기핀(30) 설치를 위한 핀홀(13)이 형성되며, 상기 핀홀(13)은 쐐기핀(30)이 밴드(2)를 구속하지 않는 해제부(131)와 밴드를 압착 결속하게 되는 잠금부(133)가 경사부(135)를 통하여 높낮이 차를 두고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핀홀(13)은 상기 잠금부(133)가 밴딩이 이완되는 방향으로 밴드(2) 인장시 쐐기핀(2)의 이동이 방지되는 인장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쐐기핀(30)은 양 선단에 손잡이부(31)가 형성되고, 상기 핀홀(13)은 외측으로 쐐기핀의 손잡이부(31) 수용을 위한 단차부(137)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상ㆍ하층 밴드통로(11)(12)에 형성되는 핀홀(13)은 대각선 상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쐐기핀(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압착부(33)가 풀림방지를 위하여 요철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밴드 결속구(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을 이용한 물품의 밴딩 결속은 먼저 밴드(2)의 일단(2a)을 하우징(10)에 고정한다.
하우징(10)에 대한 밴드 일단(2a)의 고정은 하층 밴드통로(12)에 설치된 쐐기핀(30)을 핀홀의 해제부(13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밴드를 삽입 관통시켜 일단(2a)을 외부로 노출시킨 다음 쐐기핀(30)을 눌러주면 쐐기핀이 상기 경사부(135)를 타고 잠금부(133)로 이동됨으로 이루어진다. 즉 쐐기핀(30)을 눌러주는 것으로 밴드가 하우징에 고정된다.
이처럼 밴드 일단(2a)이 먼저 고정된 상태에서 밴드의 타단(2b)을 하우징(10)의 상층 밴드통로(11)에 삽입 관통시킨 다음 적정장력을 갖도록 충분히 당겨준 상태에서 쐐기핀을 눌러주면 쐐기핀(30)이 잠금부(133)에 박히면서 밴딩 결속 매듭이 간단히 이루어진다(도 4 및 도 5 참조).
그리고 핀홀(13)의 잠금부(133)는 밴드(2)가 이완되는 쪽으로는 이동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최초 포장시의 밴딩장력을 계속적으로 유지시켜준다.
따라서 포장 밴딩상태가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되고 최초의 포장상태를 유지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밴드 결속구는 밴드의 결속이 쐐기핀을 눌러주는 것만으로 극히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됨과 아울러 최초 밴딩장력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묶음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포장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밴드(2)가 삽입되는 밴드통로가 상ㆍ하층으로 관통형성된 하우징(10)과 2개의 쐐기핀(30)으로 구성되는 밴드결속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상ㆍ하층의 밴드통로(11)(12) 양측에 각각 쐐기핀(30) 설치를 위한 핀홀(13)이 형성되며, 상기 핀홀(13)은 쐐기핀(30)이 밴드(2)를 구속하지 않는 해제부(131)와 밴드를 압착 결속하게 되는 잠금부(133)가 경사부(135)를 통하여 높낮이 차를 두고 연통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밴드 결속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홀(13)은 상기 잠금부(133)가 밴딩이 이완되는 방향으로 밴드(2) 인장시 쐐기핀(2)의 이동이 방지되는 인장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밴드 결속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쐐기핀(30)은 양 선단에 손잡이부(31)가 형성되고,
    상기 핀홀(13)은 외측으로 쐐기핀의 손잡이부(31) 수용을 위한 단차부(13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밴드 결속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쐐기핀(30)은 밴드 압착부(33)가 풀림방지를 위하여 요철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밴드 결속구.
KR1020070046262A 2007-05-12 2007-05-12 포장용 밴드 결속구 KR100832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262A KR100832314B1 (ko) 2007-05-12 2007-05-12 포장용 밴드 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262A KR100832314B1 (ko) 2007-05-12 2007-05-12 포장용 밴드 결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026A KR20070056026A (ko) 2007-05-31
KR100832314B1 true KR100832314B1 (ko) 2008-05-28

Family

ID=3827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262A KR100832314B1 (ko) 2007-05-12 2007-05-12 포장용 밴드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3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969U (ja) * 1991-09-05 1993-03-23 守 武石 防塵マスク
KR19990073371A (ko) * 1999-07-06 1999-10-05 허장현 두개의캠을이용한철선결속구
KR200184525Y1 (ko) * 1999-11-10 2000-06-01 동아전자부품주식회사 체결스트립용 체결헤드
US6640394B1 (en) 2002-04-11 2003-11-04 Avery Dennison Corporation Tamper-proof tie
KR200413687Y1 (ko) * 2006-01-18 2006-04-10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수동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969U (ja) * 1991-09-05 1993-03-23 守 武石 防塵マスク
KR19990073371A (ko) * 1999-07-06 1999-10-05 허장현 두개의캠을이용한철선결속구
KR200184525Y1 (ko) * 1999-11-10 2000-06-01 동아전자부품주식회사 체결스트립용 체결헤드
US6640394B1 (en) 2002-04-11 2003-11-04 Avery Dennison Corporation Tamper-proof tie
KR200413687Y1 (ko) * 2006-01-18 2006-04-10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수동 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026A (ko)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030B2 (en) Cable tie having detachable tail
US20070033772A1 (en) Releasable in-line cable tie
KR100832314B1 (ko) 포장용 밴드 결속구
KR200483892Y1 (ko) 케이블 타이
KR200420687Y1 (ko)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타이
KR20130049846A (ko) 케이블 타이
KR101074209B1 (ko) 사면 보강 철근과 호스의 고정용 클램프
KR101951334B1 (ko) 케이블 타이 장치
JP6513821B2 (ja) 切開型ケーブルタイ
KR20080003053U (ko) 포장용 케이블 타이
KR200337769Y1 (ko) 포장용 금속밴드
KR200338686Y1 (ko) 봉인용 타이 밴드
KR20100000984U (ko) 포장용 밴드 결속구
KR20130051034A (ko) 케이블 타이
KR20100096608A (ko) 포장용 밴드 결속기구
KR200302543Y1 (ko) 포장용 끈 결속구
JPH08133331A (ja) 十文字荷造りバンド具
KR20110013853A (ko) 재사용 케이블 타이
CN207791253U (zh) 一种打包带防偏装置
KR19990022328U (ko) 포장끈연결을위한클립
KR100817809B1 (ko) 결속용 타이
KR920003423Y1 (ko) 포장용 결속밴드
KR100787478B1 (ko) 다용도 끈
JP2009214929A (ja) 補強装置
KR20170021498A (ko) 재사용 가능한 다용도 금속 케이블 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