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952B1 - 소음저감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소음저감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952B1
KR100831952B1 KR1020060133664A KR20060133664A KR100831952B1 KR 100831952 B1 KR100831952 B1 KR 100831952B1 KR 1020060133664 A KR1020060133664 A KR 1020060133664A KR 20060133664 A KR20060133664 A KR 20060133664A KR 100831952 B1 KR100831952 B1 KR 10083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reduction
sound insulation
reduction mat
ma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소영
권은정
권중배
박흥숙
Original Assignee
권소영
권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소영, 권은정 filed Critical 권소영
Priority to KR1020060133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빈 공간인 차음부와, 차음부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부 그리고, 차음부의 상측을 차폐하는 차음부재 등으로 구성되는 소음저감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공밥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면과 접하는 다수개의 지지부와, 다수개의 지지부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차음부와, 지지부에 장착되며, 차음부의 상측을 차폐하는 차음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차음부는 크고 작은 요홈으로 형성되며, 요홈은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서 사방으로 연통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슬래브에 상기 소음저감매트를 다단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다단으로 설치된 소음저감매트의 모서리부분에 콘크리트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부재를 장착하는 단계와, 차단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소음저감매트의 상측에 히팅판넬을 장착하는 단계와, 히팅판넬의 상면과 건축물의 벽면과 접촉하도록 소음저감매트를 다단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된 소음저감매트의 상/하단부에 차단부재를 장착하는 단계 및, 히팅판넬과 다단으로 설치된 소음저감매트의 일부분이 연통되어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배기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매트, 건축물, 차음부, 지지부, 스펀지, 방음시공

Description

소음저감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A noise reduction mat and the soundproof construction method of using the same}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소음저감매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소음저감매트의 상면도.
도 3 은 도 2 의 A-A´부 및 B-B´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를 이용하여 방음시공시 적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소음저감매트의 상면도.
도 6 은 도 5 의 I-I´부 와 J-J´부 및 L-L´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방음시공시 적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소음저감매트를 이용하여 방음시공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00´소음저감매트 120..... 제 1 지지부
140..... 제 2 지지부 160..... 지지부
200..... 차음부재 300..... 차음부
320..... 차음유로 340..... 통기유로
500..... 배기구 S....... 슬래브
H....... 히팅판넬 M....... 차단부재
V....... 배기홀 W....... 벽면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벽면 및 바닥에 설치되는 소음저감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빈 공간인 차음부와, 차음부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부 그리고, 차음부의 상측을 차폐하는 차음부재 등으로 구성되는 소음저감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공밥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의 다층으로 축조되는 공동주택 건축물에는 층간에 발생되는 충격이나 소음이 하층 또는 상층으로 쉽게 전달된다.
따라서, 안락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의 조건에 대한 요구가 증폭되어, 층간 소음 및 진동에 대한 문제가 사회화되기도 하였으며, 이에 따라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흡음 및 흡진이 가능한 매트를 건축물 슬래브에 깔고, 이 매트 위에 보일러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의 방음시공이 이미 널리 알려져 시행되고 있으며, 실용신안등록 제 287084호, 제290830호 등에 층간소음 및 충격음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층간 바닥구조를 통해 층간에서 발생되 는 소음이나 충격음이 하층 또는 상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소음저감매트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소음저감매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소음저감매트는 다수개의 에어캡슐로 이루어지는 에어시트(20)와, 상기 에어시트(20)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금속박판(22,24) 및 폴리에틸렌폼(26,28)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금속박판(22,24)은 상기한 폴리에틸렌폼(26,28)의 외측으로 배치 및 적층될 수도 있으며, 전자파 및 수맥파 등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적층 형성된 소음저감매트는 길이가 긴 부재로 제조되어지며, 시공시 다수개의 단위매트로 절취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이러한 절취시에는 일측의 단위매트의 폴리에틸렌폼(28) 일단부가 짧고, 타측단부가 긴 길이를 갖도록 절취하여 이웃하는 다른 단위매트와 부분 조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속하는 경계선이 조성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개의 단위매트가 연결되면, 연결부위의 상면에 테이핑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소음저감매트는 에어시트가 밀폐된 다수개의 에어캡술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에어캡술은 외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에어캡술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유출되었을 때, 차음을 위한 구조적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파손되거나 공기가 유출된 에어캡슐로 인하여 하부로부터 상승되는 습기를 포집할 수 있는 기능이 결여되어, 벽면 부위로 습기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층간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소음저감매트가, 다수개의 빈 공간인 차음부와, 차음부 사이에 형성되는 일체형 지지부로 형성되어 파손의 우려가 방지되는 소음저감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차음부의 형상이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사방으로 연통되는 요홈으로 형성되는 소음저감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차음부의 상측에 차음부재를 더 구비하여 차음성능을 향상시키는 소음저감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구조의 소음저감매트가 다양한 형상으로 필요에 따라 다수겹 적층하여 사용되는 소음저감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소음저감매트를 다수개 적층하여 슬래브에 설치되는 구조형과, 천장 및 벽면에 장착되는 일반형으로 형성하고, 이러한 소음저감매트를 이용하여 방음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 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면과 접하는 다수개의 지지부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부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차음부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며, 상기 차음부의 상측을 차폐하는 차음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차음부는 크고 작은 요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요홈은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서 사방으로 연통되는 곡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대적으로 큰 반지름을 가지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 보다 작은 반지름을 가지며, 상기 제 1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음부는 상대적으로 큰 요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지지부의 외주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차음유로와, 상기 차음유로와 제 2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차음유로보다 작은 크기의 요홈을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는 통기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음부는 상기 지지부의 배면에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음부재는 통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음부와 지지부는 고무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재질은 표면거칠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거칠기는
Figure 112006096135521-pat00001
값이 25S 이상 100S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음저감매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은,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내벽에 설치되며, 차음부와 지지부 및 상기 차음부를 차폐하는 차음부재 등으로 구성되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저감매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에 있어서, 건축물의 슬래브에 상기 소음저감매트를 다단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다단으로 설치된 소음저감매트의 모서리부분에 콘크리트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부재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차단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소음저감매트의 상측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층의 상면 및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소음저감매트를 다단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된 소음저감매트의 상/하단부에 상기 차단부재를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층과 다단으로 설치된 소음저감매트의 일부분이 연통되어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배기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래브에 장착되는 소음저감매트와 천장 및 벽면에 장착되는 소음저감매트는, 상기 지지부의 면적과 상기 차음부의 갯수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구는 적어도 2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래브에 소음저감매트를 다단으로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제일 상단을 설치한 뒤 이음새 부분에 방수처리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소음저감매트의 구조에 대해 상 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소음저감매트의 상면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A-A´부 및 B-B´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의 소음저감매트(100)는,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 형상의 매트에 하방으로 다수개의 함몰된 요홈형상을 형성하고 상면을 통기성 재질인 차단부재(200)를 통해 차폐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직사각 형상의 매트에는 소정의 반지름을 가지는 요홈이 폐곡선을 이루도록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와 같은 요홈으로 인하여 매트의 폐곡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돌출된 부분은 건축면과 접하는 다수개의 지지부(160)를 형성하게 되고, 함몰 형성된 요홈은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하는 차음부(300)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차음부(300)와 지지부(160)는 표면거칠기의
Figure 112006096135521-pat00002
값이 25S 이상 100S 미만의 고무재질, 특히 방진용고무로 형성되어,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엠보싱(Embossing)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지지부(160)는 상대적으로 큰 반지름을 가지는 제 1 지지부(120)와, 다수개의 제 1 지지부(120) 사이에 형성되며, 조금 작은 크기의 반지름을 가지는 제 2 지지부(1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음부(300)는 반원형상의 차음유로(320)와 일부분이 라운드지 도록 형성되는 통기유로(340)로 구성되며, 이러한 형상은 아래에서 제 1 지지부(120) 및 제 2 지지부(140)의 형상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지지부(120)와 제 2 지지부(140)는 그 형상이 대략 상면이 차폐된 분화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지지부(120)와 제 2 지지부(1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요홈은 외측으로 갈수록 함몰된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지지부(120)의 경우 도 3 에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인접한 제 1 지지부(120)와 함께 연결되어 반원 형상의 차음유로(320)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제 2 지지부(140)의 경우에는 인접 제 2 지지부(140)와의 거리 및 반지름이 작아서 일부분만 라운드 지도록 형성된 통기유로(34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차음부(300) 및 지지부(160)의 상면에는 차음부재(200)가 장착된다.
상기 차음부재(200)는 통기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건축면에 본 발명에 의한 소음저감매트(100)가 설치될 때, 상기 차음부(300)로 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통기성이 좋은 스펀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소음저감매트(100)의 제 1 지지부(120) 및 제 2 지지부(140)의 하면에서 상기 차음부(300)와 동일한 형상이 상방으로 함몰 되도록 형성하여 소음저감매트(100)의 하중이 감소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형상 및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소음저감매 트(100)는 건축면에 설치될 때,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된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를 이용하여 방음시공시 적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에 의한 소음저감매트(100)는 단일매트의 시공은 물론 다수개를 적층시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2단, 3단, 4 단 등으로 상기 소음저감매트(100)를 적층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적층하는 방법도 건축면과 상기 차음부재(200)가 직접 접하도록 장착할 수도 있고, 건축면과 상기 차음부재(200)가 직접 접하지 않도록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2단 이상의 소음저감매트(100)를 적층시킬 경우, 각 단의 소음저감매트(100)에 형성된 차음부재(200)가 서로 접하여 차음부(300)가 하나의 원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원형의 차음유로(32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차음부재(200)가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되어 다수개 반원형상의 차음유로(32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4에 도시된 소음저감매트(100)의 일실시 예는 건축면의 슬래브에 장착되는 소음저감매트(100)로 “구조형”이라 칭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소음저감매트의 상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제 1 지지부(도 2 에서 도면부호 120)와 제 2 지지부(도 2 에서 도면부호 140)의 내부에 하방으로 함몰된 요홈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은 차음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보다 하중을 덜 받는 곳에 설치되며,“일반형”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이러한 일반형 소음저감매트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6 은 도 5 의 I-I´부 와 J-J´부 및 L-L´부 단면도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소음저감매트(100) 즉, 일반형 소음저감매트(100´)는 전술한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와 그 구성이 대동소이하므로 전술한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와 동일한 명칭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인 일반형 소음저감매트(100´)는 전술한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의 제 1 지지부(도 2 에서 도면부호 12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요홈이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의 제 2 지지부(140)에도 요홈이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즉, 일반형 소음저감매트 (100´)를 상방에서 바라보면, 전술한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의 지지부(도 2 에서 도면부호 160)에 개별적으로 조금 작은 지름을 가지는 원형의 요홈이 함몰 형성되며, 이러한 요홈은 중앙부가 제일 깊은 함몰 깊이를 가지며 외주로 갈수록 지지부(160)의 상면과 동일 높이를 가지도록 함몰 깊이가 줄어들게 된다.
이를 도 6 에 도시된 단면을 통해 살펴보면, 도 5 의 I-I´부 단면에서는 제 1 지지부(120´)의 중앙부분 즉, 상면에서 바라볼 때, 원의 내주에 형성된 원형 요 홈은 대략 타원형상의 차음유로(320)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지지부(120´)와 제 1 지지부(120´) 사이의 요홈은 전술한 구조형과 마찬가지로 반원 형상의 차음유로(32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J-J´부 단면에서는 전술한 구조형에서 형성된 통기유로(340)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통기유로(340)가 형성되며, 이에 추가로 차음유로(320)가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이 추가적으로 더 형성되는 차음유로(320)는 전술한 구조형의 제 2 지지부(도 2 에서 도면부호 140)의 내측에 원형 요홈이 더 형성됨으로 인한 구성이다.
한편, 도 5 의 L-L´부 단면을 살펴보면, 차음유로(320)와 통기유로(340)에 유입되는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120´)의 일부분이 절개 형성되어 내측 및 외측의 차음유로(320) 및 외측의 차음유로(320)와 인접한 통기유로(340)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형상 및 구조를 가지는 일반형 소음저감매트(100´)도 전술한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된다.
즉,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2단, 3단, 4 단 등으로 상기 일반형 소음저감매트(100´)를 적층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적층하는 방법도 건축면과 상기 차음부재(200)가 직접 접하도록 장착할 수도 있고, 건축면과 상기 차음부재(200)가 직접 접하지 않도록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2단 이상의 일반형 소음저감매트(100´)를 적층시킬 경우, 각 단의 일 반형 소음저감매트(100´)에 형성된 차음부재(200)가 서로 접하여 차음부(300)가 단일원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원형의 차음유로(32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차음부재(200)가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되어 다수개 반원형상의 차음유로(32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실시 예의 소음저감매트(100)을 이용하여 건축면에 방음시공을 하는 방법 및 이로 인한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소음저감매트를 이용하여 방음시공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음저감매트를 이용하여 방음시공을 하는 방법은, 우선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슬래브(S)에 상기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를 다단으로 설치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를 다단으로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를 적층하며, 이하에서는 두 개의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를 적층하는 것으로 설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를 다단으로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의 차음부재(200)가 상방을 향하도록 제 1 단을 설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 1 단의 차음부(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의 상부가 제거된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제 1 단의 상측에는 제 2 단을 상기 차음부 재(200)가 서로 겹치도록 장착하며, 이때 상기 제 2 단의 차음부(300)는 제 1 단의 차음부(300)와 대응되도록 설치하여 제 1 단의 차음부(300)와 제 2 단의 차음부(300)가 하나의 원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차음부재(200)는 상기 제 1 단 및 제 2 단의 지지부(160)에 의해 눌려지는 부분이 통기성을 가지게 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차음부(300)의 상면을 차폐하는 부분은 본래의 형상을 유지하며, 유입되는 진동 및 소음을 1차적으로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슬래브(S)에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가 설치되면, 상기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의 모서리 부분에 콘크리트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부재(M)를 장착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상기 차단부재(M)는 상기 평판형상의 매트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차단부재(M)를 장착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나면, 상기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의 상측에 난방층(H)을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난방층(H)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일정두께의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온수관을 매설하고 시멘트와 모래를 교반시켜 미장을 하는 방법과 히팅판넬을 장착하는 방법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전술한 난방층(H)의 형성방법 시에는 상기 차단부재(M)에 의해 시멘트와 모래의 혼합물이 상기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난방층(H)을 형성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난방층(H)의 상면과 상기 건축물의 벽면(W)이 접촉하도록 상기 일반형 소음저감매트(100´)를 다단으로 설치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일반형 소음저감매트(100´)를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일반형 소음저감매트(100´)의 상/하단에 상기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의 상면에 장착된 차단부재(M)와 동일한 차단부재(M)를 대략“
Figure 112006096135521-pat00003
”와 같은 형상으로 장착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일반형 소음저감매트(100´)의 내측으로 습기 및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일반형 소음저감매트(100´)가 건물의 벽면(W)에 설치되고 나면 건물의 천장에도 상기 일반형 소음저감매트(100´)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 소음저감매트(100,100´)는 다수개를 연결하여 원하는 건축면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연결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소음저감매트(100,100´)의 연결부위에는 방수처리를 함으로써 습기 및 이물질이 소음저감매트(100,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건축물의 슬래브 및 천장 그리고 벽면(W)에 소음저감매트(100,100´)의 장착이 완료되면, 소음저감매트(100,100´)의 내측으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배기구(500)를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배기구(500)는 상기 히팅판넬(M)과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가 연통되도록 상기 히팅판넬(M)과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파이프를 삽입하여 형성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히팅판넬(M)의 일부를 상기 파이프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제거하고, 상기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에 형성된 다수의 차음부(300)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상기 파이프를 상기 차음부(300)의 상측까지 삽입시켜 공기가 상기 파이프를 통해 상기 차음부(300) 및 차음유로(320)를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과 벽면(W)에 설치된 일반형 소음저감매트(100´)가 연결 되는 부분에도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배기홀(V)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배기홀(V)은 각 천장과 벽면(W)이 접하는 모서리마다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다층 건축물의 내벽 즉, 슬래브와 천장 및 벽면(W)에 소음저감매트(100, 100´)가 설치되고 나면, 상층 또는 하층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공기에 포함되어 상기 소음저감매트(100, 100´)로 유입된다.
즉, 상층 또는 하층에서 발생 된 소음 및 진동은 상기 차음부재(200)를 따라 공기와 함께 상기 소음저감매트(100, 100´) 내측으로 상기 통기유로(340)를 통해 차음유로(320)로 유입되며, 상기 차음유로(320)로 유입되는 동안에 차음부재(200)에 의해 일부분이 차단된다.
그리고 나머지 소음 및 진동은 상기 차음유로(320)의 내측에서 저감되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차음유로(320)의 형상이 반원 또는 타원 그리고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고무재질 특히 방진고무로 형성됨으로써 입사각과 반사각이 다방면으로 형성되고 재질의 특성에 의하여 음향에너지의 일부가 상기 차음유로(320)의 내측에서 점성마찰에 의해 손실되며 표면거칠기가 거칠어 엠보싱 형상을 형성하여 유입된 소음 및 진동의 손실을 가중시킨다.
또한, 구조형 소음저감매트(100)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부(160)의 면적을 증가시켜 형성되고, 일반형 소음저감매트(100´)는 차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음부(300)의 갯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소음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차음부 즉, 차음유로와 통기유로의 형상을 원형 또는 타원형이 아니라 육면체 또는 팔면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차음부재로 사용된 스펀지를 대신하여 통기가능한 소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나 이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음저감매트는 차음부와 지지부 및 이를 차폐하는 차음부재로 이루어져 그 구성이 단순하므로 설계 및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차음부와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중에 의한 차음부의 파손이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소음저감매트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지지강도를 보강한 구조형과 차음성능을 향상시킨 일반형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방음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수개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적층 방법도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므로 방음성능을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시공에 특별한 기술이 필요치 않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기간이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삭제
  2. 건축면과 접하는 다수개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서 사방으로 연통되는 곡면형상의 크고 작은 요홈으로 구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지지부 사이에 함몰형성되는 차음부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며, 상기 차음부의 상측을 차폐하는 차음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는,
    상대적으로 큰 반지름을 가지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 보다 작은 반지름을 가지며, 상기 제 1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는,
    상대적으로 큰 요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지지부의 외주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차음유로와;
    상기 차음유로와 제 2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차음유로보다 작은 크기의 요홈을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는 통기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매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는,
    상기 지지부의 배면에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매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재는,
    통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매트.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와 지지부는,
    고무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매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재질은 표면거칠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매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거칠기는,
    Figure 112006096135521-pat00004
    값이 25S 이상 100S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매트.
  9.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내벽에 설치되며, 차음부와 지지부 및 상기 차음부를 차폐하는 차음부재 등으로 구성되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저감매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에 있어서,
    건축물의 슬래브에 상기 소음저감매트를 다단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다단으로 설치된 소음저감매트의 모서리부분에 콘크리트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부재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차단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소음저감매트의 상측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층의 상면 및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소음저감매트를 다단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된 소음저감매트의 상/하단부에 상기 차단부재를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층과 다단으로 설치된 소음저감매트의 일부분이 연통되어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배기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음저감매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에 장착되는 소음저감매트와 천장 및 벽면에 장착되는 소음저감매트는, 상기 지지부의 면적과 상기 차음부의 갯수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매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적어도 2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매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에 소음저감매트를 다단으로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제일 상단을 설치한 뒤 이음새 부분에 방수처리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매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KR1020060133664A 2006-12-26 2006-12-26 소음저감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KR100831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664A KR100831952B1 (ko) 2006-12-26 2006-12-26 소음저감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664A KR100831952B1 (ko) 2006-12-26 2006-12-26 소음저감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952B1 true KR100831952B1 (ko) 2008-05-23

Family

ID=3966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664A KR100831952B1 (ko) 2006-12-26 2006-12-26 소음저감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9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535B1 (ko) * 2013-10-17 2014-12-01 (주)건설기술원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1991089B1 (ko) * 2019-01-24 2019-06-19 (주)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는 바닥 시공방법
KR102384726B1 (ko) 2021-03-11 2022-04-08 삼성물산 주식회사 부분 단면 확장부가 포함된 소음저감 슬래브, 이를 포함하는 천장구조 및 소음저감 슬래브가 포함된 천장의 시공방법
KR20240022233A (ko) 2022-08-11 2024-02-20 조성건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634Y1 (ko) * 2005-10-07 2006-01-10 (주)삼세대시공 공기주머니를 갖는 방진단열바닥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634Y1 (ko) * 2005-10-07 2006-01-10 (주)삼세대시공 공기주머니를 갖는 방진단열바닥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535B1 (ko) * 2013-10-17 2014-12-01 (주)건설기술원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1991089B1 (ko) * 2019-01-24 2019-06-19 (주)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는 바닥 시공방법
KR102384726B1 (ko) 2021-03-11 2022-04-08 삼성물산 주식회사 부분 단면 확장부가 포함된 소음저감 슬래브, 이를 포함하는 천장구조 및 소음저감 슬래브가 포함된 천장의 시공방법
KR20240022233A (ko) 2022-08-11 2024-02-20 조성건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878B1 (ko) 공기층으로 소음을 유도하는 층간소음 방지장치
KR100831952B1 (ko) 소음저감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KR102412980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방진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0647908B1 (ko) 다중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소음 저감형 건식 바닥 시스템
KR20140134051A (ko) 복층구조의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
JP2017535705A (ja) 建築資材
KR200406673Y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KR100684686B1 (ko) 층간차음재
KR102077086B1 (ko) 건물 바닥충격음 방지구조체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20200029884A (ko) 방음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101448010B1 (ko) 바닥 시공재
KR100634178B1 (ko) 건축용 온돌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100734182B1 (ko)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KR100827841B1 (ko)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경량패널 및 이를 이용한차음바닥구조
KR102053497B1 (ko) 바닥재 시공방법
KR200391133Y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20200076322A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방진패널 및 이를 이용하여 방진구조를 시공하는 방법
KR20110110688A (ko)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온돌패널 및 그 조립체
KR100875573B1 (ko) 층간 흡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CN206987246U (zh) 一种室内隔音天花板
KR200386447Y1 (ko) 소음 및 진동 방지용 바닥 방진판
KR20160046062A (ko) 댐핑패널과 바닥구조물 및 댐핑패널의 제조방법
KR100629309B1 (ko) 액체용기에 의한 진동소음 방지구조
KR20160115615A (ko) 난방 배관용 흡음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