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591B1 - 초속경 및 수경성의 세라믹계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속경 및 수경성의 세라믹계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591B1
KR100831591B1 KR1020070011911A KR20070011911A KR100831591B1 KR 100831591 B1 KR100831591 B1 KR 100831591B1 KR 1020070011911 A KR1020070011911 A KR 1020070011911A KR 20070011911 A KR20070011911 A KR 20070011911A KR 100831591 B1 KR100831591 B1 KR 100831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floor coating
co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종율
유정호
정민구
Original Assignee
빌드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드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빌드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04B22/142Sulfates
    • C04B22/143Calcium-sulf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6Aluminous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02Portla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482Coating or impregnation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60Flooring materials
    • C04B2111/62Self-levell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80Optical properties, e.g. transparency or reflexibility
    • C04B2111/82Coloured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바닥에 시공하는 수경성 세라믹계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포틀랜드 시멘트 0~50 중량부; 알루미나 시멘트 170~230 중량부; 석고 30~150 중량부; 골재 250~500 중량부; 탄산칼슘 50~150 중량부; 재유화형 분말수지 20~150 중량부; 및 안료 5~8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내화성 및 속건성이 개선된 수경성 세라믹계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닥 도장재, 내화성, 초속경, 재유화형 분말수지, 알루미나 시멘트

Description

초속경 및 수경성의 세라믹계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FAST SETTING AND HYDRAULIC CERAMIC BASED OVERLAY}
도 1은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 수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시멘트와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를 분말 형태로 섞은 상태를 나타내는 SEM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시멘트가 수화 반응을 하면서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 수지와 반응함으로써 시멘트 메트릭스 안에 상기 수지가 일체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SEM 사진이다.
본 발명은 실내 바닥에 시공하는 수경성 세라믹계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도 시공이 가능하며, 뛰어난 접착력, 우수한 유동성 및 빠른 경화속도를 나타내며 내화성 및 속건성이 개선된 수경성 세라믹계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지하 주차장과 같은 다중 이용시설의 지하 시설 바닥에 용제형 우레탄 또는 에폭시 바닥재를 이용하여 시공하여 왔었다. 그러나, 용제형 우레탄 또는 에폭시 바닥재는 시공 시에 환기시설을 갖추지 않으면 화재 발생의 위험 및, 작업자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제형 우레탄 또는 에폭시 바닥재가 시공되는 바닥면의 대부분이 일반 콘크리트면이므로, 유기 바닥재와 콘크리트재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시공 후 박리현상이 발생하는 등 유지 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다. 특히, 시공 후 화재 발생 시에 화재 확산 및 유해한 연소가스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어 화재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을 드러냈다.
더구나, 최근 고층 건물 및 대형 다중 이용시설이 증가하면서 친환경 소재 및 내화성이 우수한 건축자재가 어느 때 보다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며, 정부 및 지방자치 단체에서도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이미 법 개정 작업을 진행 및 완결하고 있는 상태다.
용제형 우레탄 또는 에폭시 바닥재와 같은 유기 바닥재가 드러내는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무기질계 세라믹 시멘트를 이용한 바닥 바름재들이 많이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기질계 세라믹 시멘트를 이용한 바닥재들 구성을 보면 일반적으로 포틀랜트 시멘트가 주성분으로 부가적으로 알루미나 시멘트를 첨가하고 있으나, 이는 경화 후 강도는 향상 될 수는 있으나 초기 경화 속도 및 건조 속도가 느려 후속공정을 하는데 최소 24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무기질계 세라믹 시멘트 바닥재는 기존의 용제형 우레탄 또는 에폭시 바닥재와 비교하여 색상 및 유동성(Flowability)이 떨어지고, 얇게 시공시 갈라짐 현상이 관찰되며, 강도가 저하되고, 초기 경화 및 건조가 늦어서 후속공정이 느리며, 내마모성도 매우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내화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이며 안료 분산이 우수한 초속경 및 수경성의 세라믹계 컬러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바닥 도장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틀랜드 시멘트 0~50 중량부; 알루미나 시멘트 170~230 중량부; 석고 30~150 중량부; 골재 250~500 중량부; 탄산칼슘 50~150 중량부; 재유화형 분말수지 20~150 중량부; 및 안료 5~8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내화성 및 속건성이 개선된 컬러 실내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은 내화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이며 초속경의 수경성 세라믹계 조성물로서 자기수평 컬 러 실내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은 빠른 초기 경화 및 건조를 위해 알루미나 시멘트 및 석고를 기본 결합재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포틀랜트 시멘트를 소량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은 기존의 유기화학 바닥재와 같은 심미성을 발현하기 위해 분산성이 우수한 안료를 사용하고, 물리적 물성(접착력, 내마모성, 휨강도 등)을 증진시키기 위한 재유화형 분말수지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조시에 안료 분산을 위해 혼합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포틀랜드 시멘트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일반 포틀랜드 1종 시멘트이다. 포틀랜드 1종 시멘트는 물과 수화 반응을 하면서 에트링가이트를 생성하는데 이것이 시멘트의 고유 물성인 강도 및 접착력을 발현한다. 포틀랜드 시멘트의 사용량은 0~5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부이다. 포틀랜드 시멘트를 첨가하지 않아도 기본적인 물성이 나오지만, 하중을 많이 받는 현장 바닥에서는 소량 첨가하면 강도 증진 효과를 볼 수 있다. 단.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강도는 증가되나 수축에 의해 구조체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루미나 시멘트는 주성분이 알루미나, 생석회, CaO, 무수규산 등의 응용물인 시멘트를 의미하고, CaO·Al2O3 및 5CaO·3Al2O3이 주요 광물로서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서 알루미나 성분이 상당히 많고, 포틀랜드 시멘트 보다 내식성, 내화성, 급결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알루미나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와 함께 초속경, 속건성의 물성 증진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알루미나 시멘트는 석회석과 보크사이트 또는 반토혈암 등 알루미나 성분이 많은 점토류와 배합하여 1500~1600℃에서 용융한 다음 유출시켜서 냉각한 후 미세한 분말로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알루미나 시멘트의 사용량은 170~23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190 내지 200 중량부이다. 알루미나 시멘트의 사용량이 170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 속도가 느려지고, 230 중량부를 초과하면 급결로 인한 수축으로 갈라짐 현상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석고는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무수석고, 반수석고, 이수석고 등을 사용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무수석고를 사용할 수 있다. 석고의 사용량은 30~15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20 중량부이다. 석고의 사용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초기 건조 및 경화가 늦어지고, 15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도한 팽창으로 구조체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골재는 강도 증진 효과 및 시공 두께를 내기 위한 충진재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인 골재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0.3mm 이하 골재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규사이다. 상기 골재는 수분함량이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골재의 사용량은 250~500 중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70~400 중량부이다. 골재의 사용량이 250 중량부 미만이면 압축강도가 저하되고 시공 두께를 높이기가 어렵고, 5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동성 저하 및 크랙 및 수축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탄산칼슘은 강도 증진 및 초기 건조 속도를 빠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산칼슘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입자 사이즈가 350㎛이하이고, 흡유량이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칼슘 사용량은 50~15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 중량부이다. 탄산칼슘의 양이 50 중량부 미만이면 강도가 저하되고 초기 건조속도가 느려지며, 1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동성 저하, 재료분리(Bleeding) 및 레이턴스(Laitance) 등의 현상이 발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재유화형 분말수지는 접착 보조재 및 물성 증가제로서 수분이 건조되면 시멘트 및 골재사이에 바인더 역할를 해주어 접착력 증가, 내마모성 향상, 크랙 및 박리현상 방지, 휨강도를 강화시켜 준다. 재유화형 분말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에틸렌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라우에이트 및 하기 화학식 1의 화 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1]
CH2=CHOC(=O)CCH3R1R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을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하게, 재유화형 분말수지로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제조된 바닥 도장재의 색도, 접착력 향상(EVA.에 비해 약 10~20%) 및 유연성 향상(EVA에 비해 약 10%)면에서 유리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Vinyl ester of versatic acid ethylene vinyl acetate, VA/VeoVA)이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는 입경이 75㎛~85㎛이고, 비중이 0.45~0.6이며, 유리전이온도가 15~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재유화형 분말수지는 유기물로써 무기계인 시멘트와 반응을 거의 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종류의 재유화형 분말수지는 수지 중의 아세테이트 음이온(CH3COO-)이 시멘트의 Ca++ 금속 이온과 수화반응을 하기 때문에 무기물과의 반응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의 접착력, 내마모성, 휨강도, 크랙 및 박리 현상방지 같은 물리적 물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효 과를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바잘트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와 시멘트와의 반응성은 열중량 분석기기(TG) 및 전자주사 현미경(SEM)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 수지의 구조는 도 1과 같으며, 시멘트가 수화반응을 하는 과정에서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의 음이온 아세테이트(CH3COO-)가 시멘트의 금속이온인 Ca++과 반응하여 칼슘아세테이트[Ca(CH3COO)2(s)]로 화학적 결합을 하며, 이로 인해 본원 발명에 따른 우수한 물성이 나타난다.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가 시멘트와 반응하는 것은 열질량 분석기기(Thermogravimetric Analysis(TG))와 전자주사 현미경(SEM)으로 측정 가능하다.
열질량 분석기기로 데이타를 분석하면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가 시멘트와 반응을 하면서,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의 측정양이 처음 첨가한 양에 비해 줄어 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칼슘 아세테이트의 반응 결과를 간접적으로 나타낸다. 좀더 확실한 결과는 높은 온도로 태웠을 때의 탄산칼슘량으로 확인 가능하다 (표 1).
Figure 112007010912903-pat00001
표 1에서, A는 시멘트 대비 재유화형 분말 수지를 0 중량%, B는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를 10 중량%, C는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를 20 중량% 첨가한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을 나타낸다. B와 C의 경우, 200~400℃에서 분해되는 폴리머량(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에 해당)이 처음 첨가된 양인 10 중량% 및 20 중량% 보다 각각 적음을 알 수 있다. 또한, 700~850℃에서 분해되는 탄산 칼슘량은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를 첨가한 배합이 무첨가 배합보다 높게 나옴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수화반응 중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가 시멘트와 화학적 결합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의 SEM 사진을 도 2 및 도 3에 나타냈다.
도 2는 시멘트와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를 분말 형태로 섞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은 시멘트가 수화 반응을 하면서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 수지와 반응을 함으로써 시멘트 메트릭스 안에 상기 수지가 일체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시멘트 속에 무기계와 유기계가 동시에 존재하게 됨으로써 부착강도, 휨강도, 내마모성 등 물리적 물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재유화형 분말수지의 사용량은 20~15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50~130 중량부이다. 재유화형 분말수지의 사용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기대 이상의 접착력, 내마모성 등의 물리적 물성이 나오지 않고, 15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가 지연되고 압축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안료는, 바닥 도장재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안료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안료는 일반적으로 바닥재로 많이 선호되는 녹색, 적색, 황색 안료를 사용하며, 이 중 녹색은 녹색 산화철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크롬 옥사이드 그린은 추후 실내 공기를 중금속으로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요즘은 녹색 산화철계 또는 유기 녹색 안료를 선호한다. 안료 비중은 3.2~3.5이고 입도가 미분일수록 분산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료의 사용량은 색상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5~8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부이다. 안료의 사용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원하는 색상이 나오지 않고,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색상은 선명하나 유동성이 저하되고, 안료 블리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은 시공 환경에 따라 물성을 조정하기 위하여 건조 촉진제; 유동화제; 분산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함량은 통상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건조 촉진제 0.01~5 중량부, 유동화제 0.1~10 중량부, 및 분산제 0.05~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건조 촉진제는 보다 안정적인 수화물을 생성토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의 안정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건조 촉진제는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건조 촉진제의 예는 물유리, 무수석고, 글리세린, 트리에탄올 아민 및 황산알루미늄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한다.
유동화제는 시멘트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유동화제는 분자 속에 한 개 이상의 극성 그룹을 가지고 있는 중합체를 의미하며, 화학 구조상 시멘트 입자를 분산시키는 성능이 뛰어나고 감수성능이 우수하며, 아울러 응결지연 및 과다한 공기연행이나 강도저하 등의 부작용 없이 단위 혼수량을 대폭 감수시킬 수 있는 혼화제를 말한다. 상기 조건에 따르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유동화제의 예는 리그노술폰산염, 하이드록시 폴리 카르본산, 나프탈렌 포름 알데하이드 술폰산염 및 멜라민 포름 알데하이드 술폰산염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친환경 소재인 하이드록시 폴리 카르본산이 선호된다.
분산제는 조성물의 응집력에 의해 콘크리트면과 접하는 표면적을 가장 작게 하려는 성질로서 나타나는 계면 장력을 저하시켜 접촉각을 작게 함으로써 분산성능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한다. 분산제는 계면활성을 보이는 이온의 유무에 따라 양이온계, 음이온계 및 양쪽성 이온계로 분류되며, 다양한 종류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한 분산제는 비이온계의 에스테르형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100 중량부; 및 물 12~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수경성의 세라믹계 바닥 도장재를 제공한다. 상기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및 물을 혼합하는 것은 통상의 혼합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혼합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3분 이상 수행하는 것이 안료 분산을 통한 조성물의 선명한 색상 발현에 유리하다. 바닥 도장재의 색상은 색도계를 기준으로 [L숫자 A숫자]로 표시하며, L은 밝기를 나타내고, A는 (+)일 경우 붉은 계열, (-)일 경우 녹색계열을 나타낸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도장재는 L이 55 내지 65이고, 녹색일 경우 A-이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러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의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을 분말 상태로 혼합한 후 22 중량부의 물과 함께 KS L 5109에 규정하는 방법에 따라 혼합기를 이용하여 600rpm으로 3분간 혼합하여, 바닥 도장재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10912903-pat00002
실시예 2
재유화형 분말수지를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대신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바닥 도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시간을 3분에서 7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성으로 바닥 도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포틀랜드 시멘트의 양을 3 중량부에서 10 중량부로 늘리고; 알루미나 시멘트의 양을 22 중량부에서 10 중량부로 줄인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바닥 도장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1-3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바닥 도장재의 물성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1. 유동성, 분산성 및 응결 속도 측정
KS F 4041에 따라 플로우(mm)를 측정하여 유동성을 확인하였다. 분산성능 확인을 위하여 KS F 4041에 따라 1mm 및 10mm 시편을 제작하여 두께별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응결 측정을 위하여 KS L 5108에 규정하는 방법으로 비카침을 이용하여 초결 및 종결을 측정하였다.
2. 함수율 측정
건조시간 및 3~4시간 후 후속 공정 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편 제작 후에 함수율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50*50*50mm의 압축강도 측정용 몰드를 이용하여 시편 제작 후 4시간 후 탈형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시편을 2개 군으로 나누어 1개 군은 수분이 증발하지 못하도록 밀폐시켜 실내 보관하고 다른 1군은 밀폐하지 않은 상태로 상온(20℃ 60%)에서 28일 보관하였다. 잉여수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60℃ 건조기에서 24시간 보관 후 무게를 측정하여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3. 내화학성 측정
내화학성 측정은 50*50*50mm의 압축강도 측정용 몰드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상온에서 28일간 양생시킨 후 H2SO4 (10%, w/v), HCl (5%, w/v), Na2SO4 (5%, w/v) 및 CaCl2 (10%, w/v) 용액에 각각 7일간 침지 시킨 후 압축강도 및 체적변화를 측정하였다.
4. 휨강도 및 내마모성 측정
휨강도는 KS F 4041의 방법에 따라 시료를 40*40*160mm 몰드에 천천히 부어 상온에서 양생시킨 후 24시간 경과 후 탈형하고 재령 28일까지 상온에서 양생하였으며, 내마모성은 KS F 2813에 의해 측정하였다.
5. 색도 측정
색도는 영품 시엠텍의 칼라 리더기 CR-10으로 측정하였으며, 색도는 [L숫자 A숫자]로 표시된다. L은 밝기를 나타내고, A는 (+)일 경우 붉은 계열, (-)일 경우 녹색계열을 나타낸다.
상기 물성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10912903-pat00003
비교예의 바닥 도장재와 비교하여, 실시예 1 내지 3의 바닥 도장재는 초기 경화를 측정하는 초결과 종결이 매우 단축되었고, 특히 내화학성 중 10% H2SO4에서 물성이 현저히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특정 함량의 알루미나 시멘트를 사용함으로써 초기경화 뿐만 아니라 내화학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의 난연성 시험
실시예 2의 바닥 도장재를 KS F2271 (1998)에 따라 난연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하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도장재의 난연성이 난연 1등급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7010912903-pat00004
기재시험*: 온도차는 기준온도 750℃ 이상이면 (+), 750℃ 이하면 (-)로 표기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 수경성 세라믹계 자기수평 컬러 실내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은 내화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이며, 타설 후 3~4 시간 후 보행이 가능한 초속경 및 속건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은 안료 분산성이 우수하여 용제형 우레탄, 에폭시 바닥재와 유사한 수준으로 색상이 뚜렷히 표현되며, 접착력, 휨강도와 같은 물리적 물성들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은 기존에 판매되는 시멘트계 바닥 마감재 보다 한 단계 높은 물성과 선명한 색상을 발휘하며, 특히 용제용 우레탄 또는 에폭시 바닥재와 비교하여 친환경이고 개선된 내화성을 가진다.

Claims (8)

  1. 포틀랜드 시멘트 0~50 중량부; 알루미나 시멘트 170~230 중량부; 석고 30~150 중량부; 골재 250~500 중량부; 탄산칼슘 50~150 중량부; 재유화형 분말수지 20~150 중량부; 및 안료 5~8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유화형 분말수지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라우에이트 및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화학식 1]
    CH2=CHOC(=O)CCH3R1R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을 나타낸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이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바잘트 산 에틸렌 비닐 에스테르는 입경이 75㎛~85㎛이고, 비중이 0.45~0.6이며, 유리전이온도가 1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건조 촉진제 0.01~5 중량부; 유동화제 0.1~10 중량부; 또는 및 분산제 0.05~5 중량부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건조 촉진제가 물유리, 무수석고, 글리세린, 트리에탄올 아민 및 황산알루미늄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고; 유동화제가 리그노술폰산염, 하이드록시 폴리 카르본산, 나프탈렌 포름 알데하이드 술폰산염 및 멜라민 포름 알데하이드 술폰산염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며; 분산제가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이온계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색도계를 기준으로 L이 55 내지 65 이고, 녹색일 경우 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경성 세라믹계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100 중량부; 및 물 12~30 중량부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 바닥 도장재.
KR1020070011911A 2007-02-06 2007-02-06 초속경 및 수경성의 세라믹계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KR100831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911A KR100831591B1 (ko) 2007-02-06 2007-02-06 초속경 및 수경성의 세라믹계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911A KR100831591B1 (ko) 2007-02-06 2007-02-06 초속경 및 수경성의 세라믹계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591B1 true KR100831591B1 (ko) 2008-05-23

Family

ID=3966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911A KR100831591B1 (ko) 2007-02-06 2007-02-06 초속경 및 수경성의 세라믹계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59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92280A (zh) * 2010-02-10 2010-08-04 吉林中路新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建筑材料的激活剂
KR101054042B1 (ko) 2008-01-31 2011-08-04 (주)나노씨앤씨 자기수평 수용성 난연바닥제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2219435A (zh) * 2011-06-03 2011-10-19 浏阳市金仁竹木工艺品有限公司 一种用于木质线条印花工艺的装饰表层浆料
KR101165352B1 (ko) 2010-04-27 2012-07-18 주식회사 휴먼스 유리타일용 경량 단열재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유리타일용 경량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타일
KR101485120B1 (ko) * 2013-05-07 2015-02-25 주식회사 화승티엔씨 고효율 광촉매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4471B1 (ko) * 2017-03-09 2017-11-06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콘크리트 보호 마감재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재
KR101989558B1 (ko) 2019-02-13 2019-06-14 김재용 바닥재용 친환경 컬러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151A (ja) * 1990-06-20 1992-02-19 Denki Kagaku Kogyo Kk 急硬セメント組成物及び急硬モルタル組成物
JPH04132648A (ja) * 1990-09-21 1992-05-06 Denki Kagaku Kogyo Kk 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組成物
JPH04300231A (ja) * 1991-03-28 1992-10-23 Denki Kagaku Kogyo Kk 急硬性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151A (ja) * 1990-06-20 1992-02-19 Denki Kagaku Kogyo Kk 急硬セメント組成物及び急硬モルタル組成物
JPH04132648A (ja) * 1990-09-21 1992-05-06 Denki Kagaku Kogyo Kk 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組成物
JPH04300231A (ja) * 1991-03-28 1992-10-23 Denki Kagaku Kogyo Kk 急硬性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042B1 (ko) 2008-01-31 2011-08-04 (주)나노씨앤씨 자기수평 수용성 난연바닥제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1792280A (zh) * 2010-02-10 2010-08-04 吉林中路新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建筑材料的激活剂
KR101165352B1 (ko) 2010-04-27 2012-07-18 주식회사 휴먼스 유리타일용 경량 단열재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유리타일용 경량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타일
CN102219435A (zh) * 2011-06-03 2011-10-19 浏阳市金仁竹木工艺品有限公司 一种用于木质线条印花工艺的装饰表层浆料
KR101485120B1 (ko) * 2013-05-07 2015-02-25 주식회사 화승티엔씨 고효율 광촉매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4471B1 (ko) * 2017-03-09 2017-11-06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콘크리트 보호 마감재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재
KR101989558B1 (ko) 2019-02-13 2019-06-14 김재용 바닥재용 친환경 컬러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4061B2 (en) Self-desiccating, dimensionally-stable hydraulic cement compositions with enhanced workability
DK2807130T3 (en) Fire-protection-mortar
US20180050963A1 (en) Flexible cementitious waterproofing slurry
JP6283659B2 (ja) 寸法の安定したジオ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方法
KR100831591B1 (ko) 초속경 및 수경성의 세라믹계 바닥 도장재용 조성물
Hanif et al.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incorporating glass cenospheres–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CA3124895C (en) Highly water-resistant, flexible cementitious coating
AU2015239675B2 (en) Quick-drying building material composition based on a mineral hybrid binder
DE102013200122A1 (de) Wasserbeständiges Bindemittel auf Basis von Calciumsulfat
EP2943447B1 (de) Wasserbeständiges bindemittel auf basis von anhydrit
CN104973840B (zh) 一种防火粘结砂浆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110178209A1 (en) Manufacturing hydraulic cement aggregates for use in insulating and heat reflecting products
DE102013018288A1 (de) Wasserbeständiges Bindemittel auf Basis von ß-CaSO4-0.5 H2O
KR10104697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재로서 레이들 슬래그 결정성장반응을 이용한 마감재 조성물
WO2014108434A1 (de) Wasserbeständiges bindemittel auf basis von alpha-calciumsulfat-hemihydrat
KR10198980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친환경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마감 방법
KR0167094B1 (ko) 합성고분자-시멘트계 자기평탄성 몰탈 조성물
KR101086851B1 (ko) 방수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326080A (zh) 具有隔熱能力之水泥組成物及含有其之填補劑
US20230295043A1 (en) Use of polyol for reducing shrinkage of construction chemical compositions
JP2001097784A (ja) 軽量セメント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