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713B1 - 스플리터 모듈 및 스플리터 모듈을 포함하는 광단자함 - Google Patents

스플리터 모듈 및 스플리터 모듈을 포함하는 광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713B1
KR100829713B1 KR1020080030723A KR20080030723A KR100829713B1 KR 100829713 B1 KR100829713 B1 KR 100829713B1 KR 1020080030723 A KR1020080030723 A KR 1020080030723A KR 20080030723 A KR20080030723 A KR 20080030723A KR 100829713 B1 KR100829713 B1 KR 100829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plitter module
terminal box
splitter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대
Original Assignee
조한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대 filed Critical 조한대
Priority to KR1020080030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4Screw-lock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6Protective cov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8Overhead instal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의 분기 특히, PON(Passive Optical Network)형 FTTH(Fiber to the Home) 구축에 적합한 스플리터 모듈 및 스플리터 모듈을 포함하는 광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스플리터 모듈은 모듈의 입출력 단면에 광어댑터가 미리 설치되어 있고, 단자함에 착탈식으로 설치됨으로서 광케이블과 세대 인입용 광옥외선의 결합시 수요에 따라 적절한 분기(m:N) 수를 갖는 스플리터 모듈을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스플리터를 포함한 광결합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는다.
광단자함, 스플리터, 모듈, 광케이블, 광옥외선

Description

스플리터 모듈 및 스플리터 모듈을 포함하는 광단자함 {Splitter Module and Optical Distribution Box using Splitter}
본 발명은 스플리터(Splitter) 모듈 및 스플리터 모듈을 포함하는 광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출력부 단면에 광결합을 위한 광어댑터가 형성되어 있는 스플리터 모듈을 광단자함 내에 착탈식으로 설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용량이 증대되고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매체로서 광통신 시스템이 널이 이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특히 댁내까지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FTTH(Fiber to the Home)네트워크가 실현되고 있다.
FTTH는 그 구성방법에 따라서 AON(Active Optical Network) 및 PON(Passive Optical Network)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일반 주택과 같이 수요자가 분산되어 있거나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스플리터를 이용하여 광신호를 분기, 배분하는 PON 형식이 선호되고 있다.
종래의 광단자함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광옥외선(4)이 광옥외선 인입구(2)를 통해 인입되면 현장조립식 커넥터(1)에 의해 성단되어 스플리터측 커넥터와 광결합 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스플리터(1)는 출력측으로 리본 팬아웃(7)되고, 입력측으로는 광케이블(11)과 융착슬리브(13)에서 융착결합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광단자함은 스플리터(1)와 광케이블(11)이 융착결합되게 되므로 스플리터를 교체하거나, 광연결을 수정해야 하는 경우 융착기를 사용해야만 하게 되므로 작업이 난이하고,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비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어댑터가 설치된 스플리터 모듈을 광단자함에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광결합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스플리터 모듈의 편리한 착탈을 위하여 영구자석 또는 나사결합, 벨크로, 스냅-핏(snap-fit), 끼워맞춤의 방법으로 광단자함에 착탈하기 위한 나사부, 벨크로부, 스냅-핏 돌기, 끼워맞춤용 돌기를 적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플리터 모듈 및 광단자함을 이용하면 광단자함 내에 광어댑터가 입출력 단면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착탈식 스플리터 모듈을 설치함으로서 광케이블과 세대 인입용 광옥외선의 결합시 수요에 따라 적절한 분기 수를 갖는 스플리터 모듈을 착탈식으로 설치하게 하여, 광결합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플리터 모듈(100) 및 스플리터 모 듈이 설치된 광단자함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플리터 모듈(100)은 스플리터 모듈 패키지(101) 내에 1:N 분기형의 스플리터(102)가 1개 또는 2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패키지(101)의 양단부에 위치한 입력측 및 출력측에 각각 입력측 광어댑터(110) 및 출력측 광어댑터(120)설치 된다. 스플리터는 일반적으로 2내지 32 분기(1:2 ~1:32) 형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 사용되는 광섬유는 단일모드광섬유(single mode fiber) 혹은 다중모드광섬유(multi mode fiber)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PON의 특성상 단일모드광섬유가 바람직하다.
광어댑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타입의 것이라도 무관하며, 특히 SC, LC, ST, FC, MU 타입의 광어댑터가 바람직하다.
입력/출력측 광어댑터(110, 120)과 스플리터(102)는 피그테일형의 광커넥터(112) 혹은 리본 팬아웃부(103) 형의 광커넥터(123)에 의해 광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광결합은 또한 융착접속, 평판도파로 등 공지의 광결합방법이라면 무엇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스플리터 모듈 패키지(101)는 부품들을 일체의 패키지화 하는 것으로 공지의 광소자 패키지기술을 적용하여 제작할 수 있고, 특히 광섬유, 광코드 등의 고정을 위하 여 에폭시(Epoxy)와 같은 자외선(UV) 혹은 열경화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스플리터 모듈(100)은 공장에서 미리 제조되어 1:N 혹은 m:N 분기용으로 현장에서 바로 착탈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4는 스플리터 모듈(100)의 측면을 나타낸 것으로, 패키지의 하부면에 광단자함 내에서 착탈을 위한 영구자석(1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광단자함의 대응되는 면에는 철판이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스플리터 모듈(100)의 편리한 착탈을 위하여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대신 나사결합, 벨크로, 스냅-핏(snap-fit), 끼워맞춤의 방법으로 광단자함에 착탈하기 위한 나사부, 벨크로부, 스냅-핏 돌기, 끼워맞춤용 돌기를 필요에 따라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플리터 모듈(100)을 장착한 스플리터 모듈 광단자함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광단자함은 광케이블(22, 24)가 인입되는 광케이블 인입구(23),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광케이블 클램프(30), 광케이블의 인장선(31)을 고정하는 인장선 클램프(35), 광케이블 여장 처리부(33)을 포함한다.
상기 광단자함은 조가선(20)에 조가선 클램프(21)을 이용하여 고정되거나, 전주용 고정 클램프(43)을 이용하여 전주에 고정될 수 있으며, 클램프를 벽면 취부용으로 교체하면 벽면 취부도 가능하다.
스플리터 모듈(100)은 광단자함의 내부의 일면 상에 기계적으로 착탈하여 사용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사 결합, 끼워 맞춤, 스냅-핏(snap-fit), 자석결합, 벨크로 방법 등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광단자함에도 각각의 착탈방법에 적합한 구조, 예를 들어, 나사구, 벨크로부, 끼워맞춤부, 스냅-핏 삽입홈 등이 설치되어야 함은 자명한 것이다.
광케이블에서 분기된 간선측 광섬유(36)는 입력측 광커넥터(111)를 부착하는 성단처리가 되어야 하는데, 이 때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피그테일, 점퍼코드, 다심광커넥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성단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의 기술에 불과하므로 자세히 설명하지 아니한다.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 융착작업은 필요 없게 되므로 융착슬리브가 거치되는 오거나이저(40)는 필요치 아니하고, 광섬유 여장처리부(41)에 여장처리를 한 후 바로 스플리터 모듈(100)의 어댑터(110)과 광결합을 할 수 있다.
피그테일, 점퍼코드, 다심광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 성단용 코드(피그테일 등)과 간선측 광섬유를 결합하기 위하여 오거나이저(40)에 융착슬리브를 거치하고 융착결합한다.
광옥외선(26)은 광단자함의 광옥외선 인입구(25)를 통해 인입되고,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클램프, 인입구 끼워맞춤, 인장선 고정, 아라미드 얀 고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광옥외선 광섬유도 앞에서 설명한 광케이블과 동일한 방법 중 하나에 의하여 성단처리될 수 있고, 성단 처리된 출력측 광커넥터(121)와 출력측 광어댑터(120)에 의해 스플리터와 광결합이 이루어진다.
간선측 광섬유 및 광옥외선 광섬유 모두 기계적 보호를 위하여 보호튜브를 사용하거나, 타이트 버퍼 처리된 광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광단자함 커넥터부
도 2는 종래의 광단자함 스플리터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플리터 모듈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플리터 모듈 탈착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광단자함
1. 현장조립식 커넥터
2. 광옥외선 인입구
3. 광옥외선 고정부
4. 광옥외선
5. 광단자함 외함
6. 스플리터
7. 스플리터 팬아웃부
8. 스플리터 코드부
9. 여장정리부
10. 광단자함 뒷면 외함
11. 광케이블
12. 색인표
13. 융착슬리브
20. 조가선
21. 조가선 클램프
22, 24. 간선 광케이블
25. 광옥외선 인입구
26. 광옥외선
30. 광케이블 클램프
31. 인장선
32. 광케이블 여장
33. 광케이블 여장처리부
35. 인장성 클램프
36. 간선측 광섬유
37. 광옥외선 광섬유
40. 오거나이저
41, 42. 광섬유 여장처리부
43. 전주용 고정 클램프
100. 스플리터 모듈
101. 스플리터 모듈 패키지
102. 스플리터
103. 팬아웃부
110. 입력측 광어댑터
111. 입력측 광커넥터
112. 입력측 스플리터 광어댑터
120. 출력측 광어댑터
123. 출력측 스플리터 광어댑터
124. 스플리터 모듈 영구자석

Claims (9)

1개 또는 2개 이상의 1: N분기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스플리터 모듈로서, 광커넥터와 광결합을 위한 광어댑터가 입력측 및 출력측 단면에 설치되어 일체로 패키지되고, 광단자함과 착탈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터 모듈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어댑터는 SC, LC, ST, FC, MU 타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터 모듈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내지 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터 모듈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나사 결합, 끼워 맞춤, 스냅-핏(snap-fit), 자석결합, 벨크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터 모듈
청구항1 내지 4중 어느 한 항의 스플리터 모듈을 내부에 포함하는 광단자함 으로서, 광단자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광케이블 인입구, 광케이블 고정부, 광케이블 인장선 고정부, 광케이블 여장 처리부, 간선측 광섬유 여장처리부, 1 또는 2 이상의 광옥외선 인입구, 광옥외선 고정부를 포함하고; 간선측 광섬유 및 광옥외선 광섬유는 단말부에 광커넥터가 부착되도록 성단 처리되고, 상기 광단자함 내에는 성단 처리된 상기 간선측 광섬유 및 광옥외선 광섬유의 광커넥터에 대응되어 결합 가능한 광어댑터를 갖는 상기 스플리터 모듈이 상기 광단자함 내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터 모듈 광단자함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조가선, 전주 또는 벽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스플리터 모듈 광단자함을 고정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터 모듈 광단자함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선측 광섬유 및 광옥외선 광섬유는 보호튜브 또는 타이트버퍼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터 모듈 광단자함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성단 처리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다심광커넥터, 점퍼코드, 또는 피그테일 중 하나를 이용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터 모듈 광단자함
삭제
KR1020080030723A 2008-04-02 2008-04-02 스플리터 모듈 및 스플리터 모듈을 포함하는 광단자함 KR100829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723A KR100829713B1 (ko) 2008-04-02 2008-04-02 스플리터 모듈 및 스플리터 모듈을 포함하는 광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723A KR100829713B1 (ko) 2008-04-02 2008-04-02 스플리터 모듈 및 스플리터 모듈을 포함하는 광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713B1 true KR100829713B1 (ko) 2008-05-14

Family

ID=3965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723A KR100829713B1 (ko) 2008-04-02 2008-04-02 스플리터 모듈 및 스플리터 모듈을 포함하는 광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71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3042A2 (ko) * 2009-10-29 2011-05-05 주식회사 오앤티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KR101093439B1 (ko) * 2010-07-27 2011-12-19 주식회사 유림텍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KR101377266B1 (ko) * 2012-05-10 2014-03-21 주식회사 로제 광케이블 접속분기함 및 광선로 감시 시스템
KR200472023Y1 (ko) * 2013-02-19 2014-04-01 빛샘전자주식회사 커넥터형 접속함체
KR101413748B1 (ko) * 2012-06-11 2014-07-01 주식회사 로제 광케이블 접속분기함 및 광선로 감시 시스템
KR20170003772A (ko) * 2015-06-30 2017-01-10 태양정보통신(주) 다양한 환경에 설치가 용이한 ftth용 광스플리터 모듈
CN112711106A (zh) * 2019-10-24 2021-04-27 特拉维夫迈络思科技有限公司 分波光缆
CN113325520A (zh) * 2021-04-30 2021-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光连接设备及局域网路系统
CN116047691A (zh) * 2023-01-09 2023-05-02 广州白云国际机场建设发展有限公司 机场围界安保设施通信光缆同缆多环的施工方法、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557Y1 (ko) 2001-10-30 2002-02-06 주식회사 에이엔티 상하회전식 광분배함
JP2004133137A (ja) * 2002-10-09 2004-04-30 Japan Recom Ltd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KR20050009469A (ko) * 2003-07-16 2005-01-25 황화수 치료용 밴드
JP2005300895A (ja) * 2004-04-12 2005-10-27 Fujikura Ltd 光接続箱
KR200426037Y1 (ko) * 2006-06-02 2006-09-19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단자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557Y1 (ko) 2001-10-30 2002-02-06 주식회사 에이엔티 상하회전식 광분배함
JP2004133137A (ja) * 2002-10-09 2004-04-30 Japan Recom Ltd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KR20050009469A (ko) * 2003-07-16 2005-01-25 황화수 치료용 밴드
JP2005300895A (ja) * 2004-04-12 2005-10-27 Fujikura Ltd 光接続箱
KR200426037Y1 (ko) * 2006-06-02 2006-09-19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단자함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3042A2 (ko) * 2009-10-29 2011-05-05 주식회사 오앤티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WO2011053042A3 (ko) * 2009-10-29 2011-10-20 주식회사 오앤티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KR101093439B1 (ko) * 2010-07-27 2011-12-19 주식회사 유림텍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KR101377266B1 (ko) * 2012-05-10 2014-03-21 주식회사 로제 광케이블 접속분기함 및 광선로 감시 시스템
KR101413748B1 (ko) * 2012-06-11 2014-07-01 주식회사 로제 광케이블 접속분기함 및 광선로 감시 시스템
KR200472023Y1 (ko) * 2013-02-19 2014-04-01 빛샘전자주식회사 커넥터형 접속함체
KR20170003772A (ko) * 2015-06-30 2017-01-10 태양정보통신(주) 다양한 환경에 설치가 용이한 ftth용 광스플리터 모듈
KR101697949B1 (ko) 2015-06-30 2017-01-20 태양정보통신(주) 다양한 환경에 설치가 용이한 ftth용 광스플리터 모듈
CN112711106A (zh) * 2019-10-24 2021-04-27 特拉维夫迈络思科技有限公司 分波光缆
CN113325520A (zh) * 2021-04-30 2021-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光连接设备及局域网路系统
CN116047691A (zh) * 2023-01-09 2023-05-02 广州白云国际机场建设发展有限公司 机场围界安保设施通信光缆同缆多环的施工方法、结构
CN116047691B (zh) * 2023-01-09 2024-03-01 广州白云国际机场建设发展有限公司 机场围界安保设施通信光缆同缆多环的施工方法、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713B1 (ko) 스플리터 모듈 및 스플리터 모듈을 포함하는 광단자함
US10133019B2 (en)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device
CN101268396B (zh) 包括对准套塞的光纤插座和插头组件
US10473873B2 (en) Fiber optic enclosure with cable management drawer
AU2015230758B2 (en) Removable fiber optic splice tray
US7512304B2 (en) Drop terminal with anchor block for retaining a stub cable
US11561357B2 (en) Fiber optic connection modules
CN103620465A (zh) 在光纤子单元内包含限制的光纤的多芯光纤电缆分支总成
CN104169770A (zh) 用于包含热缩元件的尾纤模块的应变消除
MY138625A (en) distributor system and method for fibre optic cables
JP2008501152A5 (ko)
US9971093B2 (en) Optical fiber splitter modules
US20100142888A1 (en) Compact fiber distribution hub
US20090034916A1 (en) Fiber optic cable with in-line fiber optic splice
US7738758B1 (en) Compact optical splitter module
KR100829714B1 (ko) 광선로종단장치
KR100870637B1 (ko) 현장 조립용 광섬유 일체형 광어댑터
KR100441661B1 (ko) 팬아웃코드
EP1939658A2 (en) Overpackaging and routing apparatus for optical fiber power splitter devices
CN208297790U (zh) 一种光纤出纤保护组件
AU2014101389B4 (en)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device
CN110908054A (zh) 一种输入端去光缆化的光分路器
KR101165060B1 (ko) 무여장 처리 광분배반의 구조
KR20010036773A (ko) 팬아웃 블럭 및 그 제조 방법
CN111198422A (zh) 一种输出端去光缆化的光分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