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619B1 - Nozzle for cleaner - Google Patents

Nozzle fo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619B1
KR100829619B1 KR1020070015814A KR20070015814A KR100829619B1 KR 100829619 B1 KR100829619 B1 KR 100829619B1 KR 1020070015814 A KR1020070015814 A KR 1020070015814A KR 20070015814 A KR20070015814 A KR 20070015814A KR 100829619 B1 KR100829619 B1 KR 100829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mop plate
mop
plate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8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정배
이동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5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6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6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A nozzle of a cleaner is provided to clean corners effectively and assemble/disassemble a mop board with/from a base by elastically coupling an engaging member to the mop board. A nozzle of a cleaner comprises a mop board(50) wherein a mop is attached, a nozzle main body having a board mounting part for mounting the mop board, and an engaging member(70). The engaging member placed at the nozzle main body is selectively assembled with the mop board, and joined to the side part of the mop board to mount the mop board on the board mounting part. The engaging member is assembled and disassembled with/from the mop board while the mop board is dismounted from the board mounting part. The mop board has at least one engaging groove to insert the portion of the engaging member. The portion of the engaging member is protruded to the board mounting part.

Description

청소기의 노즐{Nozzle for cleaner}Nozzle for clea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노즐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노즐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ozz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 사시도.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걸레판의 상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configuration of the mop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상기 걸레판의 저면 사시도.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op plate;

도 7은 상기 걸레판의 측면도.7 is a side view of the mop plat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 부재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걸레판이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Figure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p plate is coupled to the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베이스 20 : 커버 부재10: base 20: cover member

30 : 파이프 홀더 40 : 흡입 파이프30: pipe holder 40: suction pipe

50 : 걸레판 60 : 에어 가이드50: mop 60: air guide

70 : 걸림 부재 70: locking member

본 발명은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조의 개선에 의해서 슬림화되고, 걸레가 부착되는 걸레판이 간단하고 손쉽게 결합되도록 하는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of a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zzle of a cleaner that is slimmed down by an improvement in structure and that a mop plate to which a mop is attached is simply and easily coupled.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력 발생 수단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이물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the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and the like by using a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hen filters the foreign matters inside the main body.

이러한 청소기에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흡입 노즐이 연결되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흡입 노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바닥면을 청소한다. Such a cleaner is connected to a suction nozzle that is movable along the bottom surface to allow the air containing dust to be sucked. That is, the user cleans the bottom surface while moving the suction nozz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와 같이 흡입 노즐을 사용하여 청소하는 경우 방바닥과 같은 청소시에는 별다는 문제가 없으나, 소파의 밑부분 등과 같은 좁은 틈새의 경우에는 상기 노즐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상기 노즐 외에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좁은 틈새의 청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노즐이 요구된다. When cleaning using the suction nozzl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problem when cleaning the floor, but in the case of a narrow gap such as the bottom of the sofa, the cleaning cannot be performed using the nozzle. In this case, the user should clean the device using a tool other than the nozzl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ozzle that can smoothly clean the narrow gap.

한편, 상기 흡입 노즐에는 걸레가 부착되는 걸레판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닥면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로 할 뿐만 아니라, 바닥면에 부착된 각종 이물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a mop plate to which a mop is attached may be coupled to the suction nozzle. In this case, not only the air containing the dust on the floor is sucked, but also variou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loor can be cleaned.

그러나, 종래의 흡입 노즐은 상기 걸레판이 일 방향으로만 상기 노즐에 결합 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결합시 상기 걸레판의 결합 방향을 확인한 후에 상기 걸레판을 결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uction nozzl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op plate is coupled to the nozzle only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user has to check the engagement direction of the mop plate when the user needs to combine the mop pla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게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의 개선에 의해서 슬림화되어 좁은 틈새의 청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for the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nozzle of a cleaner that can be slimmed down by an improvement in structure and can be easily cleaned in a narrow gap.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걸레가 부착되는 걸레판과 베이스를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nozzle of a cleaner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engage or separate the base and the mop plate attached to the mop.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고도 걸레판과 베이스를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nozzle of a cleaner that allows the user to combine or detach the mop plate and the base with little force.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은 걸레가 부착되는 걸레판; 상기 걸레판이 안착되기 위한 판 안착부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본체에 제공되어 상기 걸레판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걸레판이 상기 판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레판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zzle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a mop plate is attached to the mop; A nozzle body on which a plate seating part for seating the mop plate is formed; And a locking member provided on the nozzle body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mop plate, wherein the lock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mop plate while the mop plate is seated on the plate seating part. .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청소기의 노즐은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레판; 및 상기 노즐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걸레판의 측면부에 의해서 탄성 운동되어 상기 걸레판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걸림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걸레판과 노즐 본체의 결합 또는 분리는 상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nozzle of th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nozzle body; A mop plate selectively coupled to the nozzle body; And a locking member provided on the nozzle body and elastically moved by the side portion of the mop plate to engage or separate from the mop plate, wherein the mop plate and the nozzle body are coupled or separat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do.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청소기의 노즐은 적어도 하나의 걸림 부재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 및 상기 걸림 부재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걸레판이 포함되고, 상기 걸레판은 좌우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노즐 본체에 정방향 및 상기 걸레판을 상하로 뒤집은 역방향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정방향은 걸레가 부착되는 면이 하측을 향하는 방향인 청소기의 노즐.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zzle of a cleaner includes: a nozzle body in which at least one catching member is formed; And a mop plate formed with at least one catching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catching member is selectively inserted, and the mop plate is formed to be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and reverses the nozzle body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mop plate upside down. Combinable,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nozzle of the cleaner is a direction in which the surface to which the mop is attached downwar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노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ozzl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즐(1)은, 저면 외관을 이루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20)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된다. 1 and 2, the nozz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base 10 forming a bottom appearance and a cover member 20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base 10. .

그리고, 상기 노즐(1)은 상기 노즐(1)의 내부로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에어 가이드(60)와, 상기 노즐(1)의 후측으로 이동된 공기가 유입되는 파이프 홀더(30)와, 일측이 상기 파이프 홀더(30)에 결합되고, 타측이 청소기 본체(미도시)와 연결된 연장관(미도시)과 결합되는 흡입 파이프(40)가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nozzle 1 includes an air guide 60 for guiding the flow of air containing dust sucked into the nozzle 1 and a pipe into which the air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nozzle 1 is introduced. Holder 30, and the suction pipe 40 is coupled to the pipe holder 30, one side is coupled to the extension pi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not shown).

또한, 상기 노즐(1)은 후측 하단부에 상기 노즐(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이동 바퀴(92)가 제공되고, 전측 하단부에 상기 노즐(1)의 이동을 돕는 복수의 보조 바퀴(94)가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nozzle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92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nozzle 1 at the rear lower end,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wheels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nozzle 1 at the front lower end. 94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노즐(1)의 전단부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노즐(1)을 보호하는 범퍼(80)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범퍼(80)는 상기 노즐(1)의 효과적인 보호를 위하여 탄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The front end of the nozzle 1 is provided with a bumper 80 that protects the nozzle 1 from external impact. In this case, the bumper 80 may have an elastic material for effective protection of the nozzle 1.

그리고, 상기 노즐(1)의 하측에는 바닥면의 청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레가 부착되는 걸레판(50)이 결합된다. And,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1 is coupled to the mop plate 50 is attached to the mop for effective cleaning of the bottom surface.

이러한 상기 걸레판(50)은 다수의 걸림 부재(70)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10)에 결합 가능하며, 상하 방향 어느 쪽으로도 상기 노즐(1)에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p plate 50 may be coupled to the base 10 by a plurality of locking members 70, and may be coupled to the nozzle 1 in either up or down direc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노즐(1)의 경우 바닥면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상기 걸레에 의해서 바닥면을 닦을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nozz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air containing the dust on the bottom surface is sucked, but also the bottom surface can be cleaned by the mop.

이하에서는 상기 노즐(1)과 걸레판(5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nozzle 1 and the mop plate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상부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appearance of the ba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0)의 하측에는 상기 걸레판(50)이 안착될 수 있는 판 안착부(160)가 형성되며, 상기 판 안착부(160)에는 상기 걸레판(50)의 안착이 가이드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안착 가이드부(162)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a plate seating portion 160 on which the mop plate 50 is seated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base 10, and the plate seating portion 160 has the mop plate ( A plurality of seating guides 162 are formed to guide the seating of 50.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에는 상기 걸레판(50)이 상기 판 안착부(160)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 부재(70)가 결합되는 다수 개의 결합부(15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base 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150 to which the locking member 70 is coupled to fix the mop plate 50 in a state in which the mop plate 50 is seated on the plate seating part 160.

상세히, 상기 결합부(150)는 상기 걸림 부재(70)가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단(152)과, 상기 걸림 부재(70)의 일부분이 상기 판 안착부(160)로 돌출되어 상기 걸레판(50)과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통홀(156)과, 상기 걸림 부재(70)의 하측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단(154)이 형성된다. In detail, the coupling part 150 includes a locking end 152 for fixing the locking member 70, and a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70 protrudes to the plate seating part 160 to provide the mop plate 50. )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56 to enable coupling with the support end 154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70.

따라서, 상기 걸림 부재(70)가 상기 결합부(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판 안착부(160)에 상기 걸레판(50)이 안착되면, 상기 걸림 부재(70)와 상기 걸레판(50)의 걸림 작용이 수행되어 상기 걸레판(50)은 상기 노즐(1)에 고정된다. Therefore, when the rag plate 50 is seated on the plate seating portion 160 in a state in which the catching member 7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50, the catching member 70 and the rag plate 50 are provided. The locking action of) is performed so that the mop plate 50 is fixed to the nozzle 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걸레판의 상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걸레판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상기 걸레판의 측면도이다.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configuration of the mop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op plate, Figure 7 is a side view of the mop plate.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걸레판(50)은 상기 베이스(10)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0)에 결합시 결합 방향에 제한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 to 7, the mop plat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10,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no restriction in the coupling direction when coupled to the base (10).

즉, 본 발명에 따른 걸레판(50)은 상하를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the mop plat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base 10 in an upside down state.

상세히, 상기 걸레판(50)은 외관을 이루는 바디부(510)와, 상기 바디부(510)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레판(50)이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걸레판(50)을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한 쌍의 탈거 레버(520)가 형성된 다. In detail, the mop plate 50 is formed on the body portion 510 forming the exterior and the rear side of the body portion 510 so that the user in the state in which the mop plate 50 is coupled to the base 10. A pair of removal levers 520 is formed to easily separate the mop plate 50.

더욱 상세히, 상기 탈거 레버(520)는 사용자가 왼발 또는 오른발 모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 쌍이 구비된다. In more detail, the release lever 520 is provided with a pair so that the user can use both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한편, 상기 바디부(510)의 하측에는 상기 걸레(50)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레 부착부(530)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510 is provided with a mop attachment portion 530 so that the mop 50 is detachable.

여기서, 상기 걸레 부착부(530)는 벨크로(velcro) 또는 '찍찍이'라고도 불리는 매직 테이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Here, the mop attachment portion 530 is preferably made of a Velcro (velcro) or a magic tape also referred to as 'sticky'.

그리고, 상기 바디부(510)에는 상기 안착 가이드부(162)가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홀(5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레판(50)의 결합시 상기 안착 가이드부(162)가 상기 관통홀(51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레판(50)의 안착 위치가 가이드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12 through which the seating guide part 162 penetrates is formed in the body part 510. Therefore, when the seating plate 50 is coupled, the seating guide part 16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12 to guide the seating position of the seating plate 50.

또한, 상기 바디부(510)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 부재(70)가 결합되는 걸림홈(514)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locking groove 514 to which the locking member 70 is coupled is formed at a side of the body part 510.

즉, 상기 걸림홈(514)이 상기 바디부(510)의 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걸레판(50)은 상하 방향이 뒤집어진 경우에도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as the locking groove 514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510, the mop plate 50 may be coupled to the base 10 even whe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reversed.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홈(514)이 상기 바디부(510)의 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걸레판(50)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locking groove 514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510, the user can easily couple the mop plate 50.

즉, 상기 걸레판(50)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걸레판(50)을 바닥면에 놓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또는 노즐)를 하측 방향으로만 가압하면 되고, 반대로 상기 걸레판(50)을 상기 베이스(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탈거 레 버(520)를 밟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되므로,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고도 상기 걸레판(50)과 베이스(10)를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in order to couple the mop plate 50, the user only needs to press the base (or nozzle) in the downward direction while the mop plate 50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and conversely, the mop plate 50 Since the base 10 is lifted upward in a state where the depressing lever 520 is stepped on to separate it from the base 10, the mop plate 50 and the base 10 can be lifted by the user with little force. ) Can be easily combined or separated.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동작으로 상기 걸레판(50)과 베이스(10)를 결합 또는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mop plate 50 and the base 10 can be combined or separated or combined with a minimum of operation.

여기서, 상기 걸레판(50)의 결합 방향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즉,상기 걸레판(50)의 양 방향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걸레판(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상하 구조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Here, in order not to limit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mop plate 50, that is, to enable the bidirectional coupling of the mop plate 50, the mop plate 50 is as shown in FIG. From the side view, the vertical structure is formed identically.

또한, 상기 걸레판(50)의 양 방향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탈거레버(520), 관통홀(512) 및 걸림홈(514)은 상기 걸레판(50)의 세로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enable bidirectional coupling of the mop plate 50, the stripping lever 520, the through hole 512 and the locking groove 514 is based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mop plate 50; It is formed to be symmetrical.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걸레판이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p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as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걸림 부재(70)는 상기 베이스(10)에 제공되며, 상기 걸레판(50)이 상기 베이스(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레판(50)과 결합된다. 8 and 9, the locking member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base 10, and the mop plate 50 in a state in which the mop plate 50 is seated on the base 10. ) Is combined.

상세히, 상기 걸림 부재(70)는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는 베이스 결합부(730)와, 상기 베이스 결합부(730)에서 연장되어 상기 걸레판(50)과 걸림 작용을 수행하는 걸림부(720)와, 상기 걸림부(72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10)의 지지단(154) 안착되는 베이스 안착단(710)이 형성된다. In detail, the locking member 70 includes a base coupling portion 730 coupled to the base 10, and a lock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se coupling portion 730 to engage with the mop plate 50. 720 and a base seating end 710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cking part 720 to be seated on the support end 154 of the base 10.

더욱 상세히, 상기 베이스 결합부(730)는 대략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 부분이 상기 베이스(10)의 걸림단(152)에 걸린다. In more detail, the base coupling portion 7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inverted " U " shape so that a portion of the base coupling portion 730 is caught by the locking end 152 of the base 10.

상기 걸림부(720)는 상기 베이스 결합부(730)가 상기 걸림단(152)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판 안착부(160)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720)는 상기 베이스 결합부(730)에 대해서 탄성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탄성 운동에 의해서 상기 걸레판(50)과 걸림 작용을 수행한다.The locking portion 720 protrudes to the plate seating portion 160 while the base coupling portion 730 is caught by the locking end 152. In addition, the engaging portion 720 is configured to enable the elastic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ase coupling portion 730, and performs the engaging action with the mop plate 50 by the elastic movement.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걸레판(50)과 상기 베이스(또는 노즐)의 결합 및 분리 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coupling and separating the rag plate 50 and the base (or nozz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먼저, 상기 걸레판(50)을 바닥면에 놓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First, the base 10 is moved downward in the state where the mop plate 50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그러면, 상기 안착 가이드부(162)가 상기 관통홀(512)에 삽입되고, 상기 걸레판(50)이 상기 판 안착부(160)에 안착된다. 이렇게 상기 걸레판(50)이 상기 판 안착부(16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레판(50)은 상기 걸림부(720)를 가압하게 된다. Then, the seating guide part 16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12, and the mop plate 50 is seated on the plate seating part 160. In the process in which the mop plate 50 is seated on the plate seating part 160, the mop plate 50 presses the catching part 720.

그러면, 상기 걸림부(720)는 상기 판 안착부(1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걸레판(50)이 상기 판 안착부(160)에 완전하게 안착되면, 상기 걸림홈(514)과 상기 걸림부(720)가 정렬된다. 그러면, 탄성 변형된 상기 걸림부(72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걸림홈(514)에 삽입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상기 걸레판(50)과 상기 베이스(10)가 결합된다. Then, the locking portion 720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late seating portion 160. When the rag plate 50 is completely seated in the plate seating part 160, the locking groove 514 and the locking part 720 are aligned. Then, as the elastically deformed locking portion 7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514, the mop plate 50 and the base 10 are finally combined.

한편,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걸레판(50)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탈거 레버(520)를 사용자가 밟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상기 걸레판(50)은 상기 걸림부(720)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걸림부(720)가 상기 판 안착부(16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걸림부(720)가 상기 걸림홈(514)으로부터 탈거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eparate the base 10 and the mop plate 50, the base 10 is lifted upward while the user presses the removal lever 520. Then, the mop plate 50 presses the catching part 720, and the catching part 720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late seating part 160. It is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514.

그리고, 상기 걸레판(50)이 상기 판 안착부(160)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면, 상기 걸레판(50)과 상기 베이스(10)가 완전하게 분리된다. When the mop plate 5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plate seating part 160, the mop plate 50 and the base 10 are completely separated.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걸레판을 베이스(또는 노즐)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걸레판을 바닥면에 놓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를 하측 방향으로만 가압하면 되고, 반대로 상기 걸레판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탈거 레버를 밟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되므로,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고도 상기 걸레판과 베이스를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proposed, in order to couple the mop plate to the base (or the nozzle), it is only necessary to press the base downward in the state where the mop plate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n the contrary, the mop plate from the base Since the base is to be lifted upward while pressing the removal lever to separat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combine or separate the mop plate and the base with little force.

또한, 걸레판에 걸림홈에 베이스에 제공되는 걸림 부재가 탄성 작용에 의해서 결합되므로,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걸레판과 베이스가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ngaging member provided in the base to the engaging groove on the mop plate is coupled by the elastic a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op plate and the base can be coupled by a simple structure.

Claims (8)

걸레가 부착되는 걸레판; A mop plate to which the mop is attached; 상기 걸레판이 안착되기 위한 판 안착부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 및 A nozzle body on which a plate seating part for seating the mop plate is formed; And 상기 노즐 본체에 제공되어 상기 걸레판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 부재가 포함되며, A locking member provided on the nozzle body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mop plate,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걸레판이 상기 판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레판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 The locking member is a nozzle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mop plate in a state that the mop plate is seated on the plate moun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걸레판이 상기 판 안착부에 안착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어, 상기 걸레판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청소기의 노즐. The locking member is a nozzle of the cleaner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process of seating or separating the mop plate is seated or separated from the plate mounting portion,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mop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걸레판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the cleaner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op plate at least one locking groove for inserting a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걸림 부재는 일부가 상기 판 안착부로 돌출되는 청소기의 노즐. The catching member nozzle of the cleaner is a part protruding to the plate mounting portion. 노즐 본체;Nozzle body; 상기 노즐 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레판; 및 A mop plate selectively coupled to the nozzle body; And 상기 노즐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걸레판의 측면부에 의해서 탄성 운동되어 상기 걸레판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걸림 부재가 포함되고, A locking member provided on the nozzle body and elastically moved by the side portion of the mop plate to be engaged or separated from the mop plate, 상기 걸레판과 노즐 본체의 결합 또는 분리는 상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청소기의 노즐. The nozzle or the cleaner of the cleaner plate is coupled or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적어도 하나의 걸림 부재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 및 A nozzle body in which at least one catching member is formed; And 상기 걸림 부재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걸레판이 포함되고, A mop plate is formed in which at least one locking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locking member is selectively inserted is formed; 상기 걸레판은 좌우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노즐 본체에 정방향 및 상기 걸레판을 상하로 뒤집은 역방향 결합 가능하며, The mop plate is formed to be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and can be coupled to the nozzle body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inverting the mop plate up and down, 상기 정방향은 걸레가 부착되는 면이 하측을 향하는 방향인 청소기의 노즐. The nozzle of the cleaner is a direction in which the surface to which the mop is attached facing downward.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걸림 부재는 The locking member 상기 노즐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nozzle body; 상기 걸레판과 결합되는 걸림부가 포함되는 청소기의 노즐. The nozzle of the cleaner including a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mop plate.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걸레판은, 상기 걸레판이 상기 노즐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탈거 레버가 포함되는 청소기의 노 즐. The mop plate is a nozzle of a cleaner including a pair of removal levers to allow the user to easily separate in the state that the mop plate is coupled to the nozzle body.
KR1020070015814A 2007-02-15 2007-02-15 Nozzle for cleaner KR1008296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814A KR100829619B1 (en) 2007-02-15 2007-02-15 Nozzle fo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814A KR100829619B1 (en) 2007-02-15 2007-02-15 Nozzle fo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619B1 true KR100829619B1 (en) 2008-05-16

Family

ID=3966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814A KR100829619B1 (en) 2007-02-15 2007-02-15 Nozzle fo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61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282U (en) * 1993-11-02 1995-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Inlet of a mop vacuum cleaner
KR19990074954A (en) * 1998-03-16 1999-10-05 구자홍 Mop and board removal device of vacuum cleaner
KR19990075171A (en) * 1998-03-18 1999-10-15 구자홍 Mop plate detachable structure of vacuum cleaner
KR20000001453A (en) * 1998-06-11 2000-01-15 구자홍 Floorcloth board removal device of inlet of cotton floorcloth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282U (en) * 1993-11-02 1995-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Inlet of a mop vacuum cleaner
KR19990074954A (en) * 1998-03-16 1999-10-05 구자홍 Mop and board removal device of vacuum cleaner
KR19990075171A (en) * 1998-03-18 1999-10-15 구자홍 Mop plate detachable structure of vacuum cleaner
KR20000001453A (en) * 1998-06-11 2000-01-15 구자홍 Floorcloth board removal device of inlet of cotton floorcloth vacuum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7494B2 (en) Electrostatic cloth attachment for vacuum head
KR100895129B1 (en) Nozzle for cleaner
KR20090058917A (en) Vacuum cleaner
KR101356530B1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20190135851A (en) Stand for Cleaner and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RU2005141224A (en) A VACUUM CLEANER
KR100829619B1 (en) Nozzle for cleaner
KR101455037B1 (en) Push stick of mop for cleaning a floor
JP6387519B2 (en) Dust collector
TW201400073A (en) Nozzle device for vacuum cleaner
JP3623632B2 (en) 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with wiping function
JP2007185222A (en) Vacuum cleaner
US7571513B2 (en) Carpet cleaner with pressed-down suction
KR101370821B1 (en) Vacuum cleaner for using in upright type and canister type
JP2010082237A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and suction head for the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the same
KR102277145B1 (en) Vacuum cleaner
KR100904325B1 (en) Nozzle for cleaner
JP3041713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849547B1 (en) Nozzle for cleaner
KR101208552B1 (en) A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101052111B1 (en) Vacuum cleaner
KR101286818B1 (en) Handle for vaccum cleaner
KR100617238B1 (en) Mounting structure for paper filter in vacuum cleaner
JPS6217020Y2 (en)
KR20100040112A (en) Nozzle for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