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254B1 - 슬라이드형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254B1
KR100829254B1 KR1020060104363A KR20060104363A KR100829254B1 KR 100829254 B1 KR100829254 B1 KR 100829254B1 KR 1020060104363 A KR1020060104363 A KR 1020060104363A KR 20060104363 A KR20060104363 A KR 20060104363A KR 100829254 B1 KR100829254 B1 KR 100829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sing
point
ro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7357A (ko
Inventor
정선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254B1/ko
Publication of KR2008003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케이싱과; 상면의 소정부위가 상기 제1케이싱의 하면에 위치하는 제2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 또는 제2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기어레일 및 제2기어레일과; 상기 제1케이싱 또는 제2케이싱 중 나머지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일측 치형이 상호 맞물리고 회전중심을 가로질러 대응하는 타측 치형이 상기 제1기어레일 및 제2기어레일에 각각 맞물리는 제1기어 및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기어레일 및 상기 제2기어레일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기어의 고정된 제1지점 및 상기 제2기어의 고정된 제2지점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 모듈, 토션스프링, 스프링, 기어, 레일

Description

슬라이드형 단말기{SLIDING TYPE MOBILE TERMINAL}
도1은 실시예1의 개략도.
도2는 실시예1의 부분 개략도.
도3은 실시예1의 제1케이싱이 내려간 상태의 개략도.
도4는 실시예1의 제1케이싱이 절반 정도 올라간 상태의 개략도.
도5는 실시예1의 제1케이싱이 완전히 올라간 상태의 개략도.
도6은 실시예2의 주요부의 개략도.
도7은 도6의 AA'의 단면도.
도8은 실시예3의 스프링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제1기어레일 120:제2기어레일
210:제1기어 220:제2기어
310:가이드통 320:지지로드
330:스프링
410:제1연결부 412:제1끼움로드
414:슬라이딩로드
420:제2연결부 422:제2끼움로드
424:안내로드
530:토션스프링 532:제1코일부
533:연결부 534:제2코일부
536:제1연장부 538:제2연장부
본 발명은 슬라이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제1케이싱을 일정거리 이상 슬라이딩 시키면 제1케이싱이 자동적으로 슬라이딩 되어 제2케이싱을 개폐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슬라이드 모듈로서, 토션스프링이 설치되는 금속판과, 금속판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레일 구현한 것이 있는데, 이는 금속판의 면적이 넓어 안테나의 방사를 방해하여 안테나의 방사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모듈의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그 작동이 용이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모듈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안테나의 방사성능이 개선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1케이싱과; 상면의 소정부위가 상기 제1케이싱의 하면에 위치하는 제2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 또는 제2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기어레일 및 제2기어레일과; 상기 제1케이싱 또는 제2케이싱 중 나머지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일측 치형이 상호 맞물리고 회전중심을 가로질러 대응하는 타측 치형이 상기 제1기어레일 및 제2기어레일에 각각 맞물리는 제1기어 및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기어레일 및 상기 제2기어레일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기어의 고정된 제1지점 및 상기 제2기어의 고정된 제2지점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유닛은, 일측이 상기 제1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으로부터 내부로 외부와 연통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가이드통과; 일측이 상기 제2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 선단이 상기 수용홈에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통과 상대 직선운동하는 지지로드; 및, 상기 수용홈에 실장되어, 일측이 상기 수용홈의 바닥부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로드의 선단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제1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갈라져 제2지점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일자형의 슬라이딩로드 및 제1끼움로드와; 상기 제2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로부터 갈라져 제1지점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로드의 소정부위를 감싸며 안내하는 일자형의 안내로드와, 상기 제1끼움로드와 평행하게 소정부위가 겹쳐지며 미끄럼 운동하는 일자형의 제2끼움로드; 및, 일측이 상기 제1끼움로드에 끼워지고 타측이 상기 제2끼움로드에 끼워져 일측단이 상기 제1끼움로드의 말단에 지지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2끼움로드의 말단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유닛은, 원형으로 감긴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에서 연장되어 말단이 상기 제1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코일부에서 연장되어 말단이 상기 제2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장부를 갖는 토션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을 이은 선분은 상기 제1기어레일 및 제2기어레일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의 지름은 동일하고;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는 일 회전시 상기 제1기어레일 및 제2기어레일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 가능한 크기를 갖기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도1은 실시예1의 개략도를, 도2는 실시예1의 부분 개략도를, 도3은 실시예1의 제1케이싱이 내려간 상태의 개략도를, 도4는 실시예1의 제1케이싱이 절반 정도 올라간 상태의 개략도를, 도5는 실시예1의 제1케이싱이 완전히 올라간 상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은 제1케이싱(도면 미도시)과 제2케이싱(도면 미도시)을 갖는다. 제2케이싱(도면 미도시)은 제1케이싱(도면 미도시)의 하부에 위치하는데, 제2케이싱(도면 미도시) 상면의 소정부위가 제1케이싱(도면 미도시) 하면과 접촉하도록 위치한다.
도1을 참조하면 제1케이싱(도면 미도시)의 좌측 및 우측에는 기어와 맞물리는 제1기어레일(110) 및 제2기어레일(120)이 구비된다.
도1을 참조하면 제2케이싱(도면 미도시)에는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는 일측 치형이 상호 맞물리고 회전중심을 가로질러 대응하는 타측 치형이 제1기어레일(110) 및 제2기어레일(120)에 각각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는 동일한 지름을 갖되,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가 일회전시 제1기어레일(110) 및 제2기어레일(12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 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에 따른 탄성유닛은 가이드통(310)과 지지로드(320) 및 스프링(330)을 포함한다. 가이드통(310)은 일측이 제1기어(210)의 고정지점인 제1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한편, 도2를 참조하면, 가이드통(310)은 내부에 수용홈(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용홈(도면부호 미부여)은 가이드통(310)의 타측단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로드(320)는 일측이 제2기어(220)의 고정지점인 제2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을 잇는 선분은 제1기어레일(110) 및 제2기어레일(12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선택된다.
한편, 도2를 참조하면 지지로드(320)는 타측 선단이 상기 수용홈(도면부호 미부여)에 인입되어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의 회전 운동시 가이드통(310) 내부에서 가이드통(310)과 상대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된다.
도2를 참조하면 가이드통(310)에는 스프링(330)이 실장된다. 스프링(330)은 상기 수용홈(도면부호 미부여)에 실장되는데, 일측이 상기 수용홈(도면부호 미부여)의 바닥부에 지지되고 타측이 지지로드(320)의 선단에 지지되어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의 회전 운동시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실시예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을 참조하면 제1케이싱(도면 미도시)이 제2케이싱(도면 미도시)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가장 아래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테면 제1케이싱(도면 미도시)이 제2케이싱(도면 미도시)을 완전히 덮고 있는 경우에는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가 제1기어레일(110) 및 제2기어레일(120)의 최상단에 위치한다.
도4를 참조하면, 도3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케이싱(도면 미도시)을 밀어올리게 되면 제1기어레일(110) 및 제2기어레일(120)이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와 상대운동을 하면서 1기어레일(110) 및 제2기어레일(120)이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한다.
이때, 도2를 참조하면 지지로드(320)의 선단이 상기 수용홈(도면부호 미부여)의 내부로, 즉 상기 수용홈(도면부호 미부여)의 바닥부쪽으로 슬라이딩 운동하 게된다. 따라서, 스프링(330)이 압축되고 스프링(330)에는 탄성에너지가 저장되며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탄성 복원력은 사용자가 제1케이싱(도면 미도시)을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상쇄되어 제1기어레일(110) 및 제2기어레일(120)과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의 상대운동이 계속된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을 이은 선분은 제1기어레일(110) 및 제2기어레일(120)의 중앙부에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가 위치하는 경우 최단거리를 유지하도록 선택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4의 상태를 임계점으로 하여 사용자가 제1케이싱(도면 미도시)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330)에 저장된 탄성에너지에 의하여 스프링(330)이 가이드통(310)의 바닥부 및 지지로드(320)의 선단부에 추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1기어레일(110) 및 제2기어레일(120)이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에 대하여 위쪽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5를 참조하면 제1케이싱(도면 미도시)이 제2케이싱(도면 미도시)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가장 윗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테면 제1케이싱(도면부호 미부여)이 제2케이싱(도면부호 미부여)을 완전히 개방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가 제1기어레일(110) 및 제2기어레일(120)의 최하단에 위치한다.
제1케이싱(도면 미도시)을 끌어내려 제2케이싱(도면 미도시)을 덮는 경우는 상기한 작동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실시예1은 종래의 슬라이딩모듈에 비하여 안테나의 방사성능면에서 유 리한 장점이 있다. 즉, 종래의 슬라이딩모듈은 토션스프링이 고정되는 금속판이 부가됨으로써 안테나의 방사를 방해하는 단점이 있었는데, 실시예1은 이러한 금속판을 제거하고 금속판보다 면적이 작은 두개의 기어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2
도6은 실시예2의 주요부의 개략도를, 도7은 도6의 AA'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실시예2는 실시예1에 따른 탄성유닛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2에 따른 탄성유닛은 제1연결부(410)와 제2연결부(420) 및 스프링을 포함한다. 제1연결부(410)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상기 제1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6을 참조하면 제1연결부(410)에는 제1끼움로드(412) 및 슬라이딩로드(414) 가 연장 형성된다. 제1끼움로드(412) 및 슬라이딩로드(414)는 제1연결부(410)로부터 갈라져 제2지점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일자형의 막대 형상인데, 슬라이딩로드(414)는 제1끼움로드(412)를 가운데 두고 상하로 2개가 연장 형성된다.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2는 제2연결부(420)를 갖는다. 제2연결부(420)는 실시예2에서 설명한 상기 제2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6을 참조하면 제2연결부(420)에는 제2끼움로드(422) 및 안내로드(424)가 연장 형성된다. 제2끼움로드(422) 및 안내로드(424)는 제2연결부(420)로부터 갈라 져 제1지점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7을 참조하면 제2끼움로드(422)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가 회전 운동함에 따라 제1끼움로드(412)와 소정부위가 겹쳐지며 제1끼움로드(412)에 대하여 왕복운동을 하도록 일자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7을 참조하면 안내로드(424)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가 회전 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로드(414)의 소정부위를 감싸며 안내하도록 일자형의 막대형상이되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6을 참조하면 제1끼움로드(412) 및 제2끼움로드(422)에는 스프링(430)이 끼워진다. 스프링(430)은 압축 스프링으로서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압축되어 탄성에너지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에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2의 작동은 실시예1에 준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3
도8은 실시예3의 탄성유닛을 나타낸다.
실시예3는 실시예1에 따른 탄성유닛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8을 참조하면 실시예3인 탄성유닛은 토션스프링(530)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토션스프링(530)은 제1코일부(532)와 제2코일부(534)를 갖는 다. 제1코일부(532)와 제2코일부(534)는 토션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감긴 형태로 형성된다. 제1코일부(532)와 제2코일부(534)는 상호 연결부(533)에 의해 연결된다.
도8을 참조하면 제1코일부에는 제1연장부(536)가 연장 형성된다. 제1코일부(532)의 제1연장부(536) 말단은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실시예1에서 설명한 상기 제1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8을 참조하면 제2코일부에는 제2연장부(538)가 연장 형성된다. 제2코일부(534)의 제2연장부(538) 말단은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실시예1에서 설명한 상기 제2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을 참조하면 실시예1에서 설명한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이 가까워지면 제1코일부(532) 및 제2코일부(534)에 토션에너지가 저장되어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에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이 가장 가까워진 상태인 임계상태를 지나면서 사용자가 실시예1에서 설명한 제1케이싱(도면 미도시)에 가한 힘을 제거하게 되면 제1코일부(532) 및 제2코일부(534)에 저장된 토션에너지가 방출되면서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면서 자동적으로 제1케이싱(도면 미도시)을 밀어 올리거나 끌어 내리게 된다.
본 발명은 2개의 기어레일 및 2개의 기어를 구비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한 장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어의 면적이 작아 안테나의 방사를 크게 방해하지 않으므로 안테나의 방사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정도 이상 제1케이싱을 슬라이딩 시키면 스프링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제1케이싱이 자동적으로 슬라이딩되어 제1케이싱을 개폐시키는 효과가 있기도 하다.

Claims (6)

  1. 제1케이싱과,
    상면의 소정부위가 상기 제1케이싱의 하면에 위치하는 제2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 또는 제2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기어레일 및 제2기어레일과,
    상기 제1케이싱 또는 제2케이싱 중 나머지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일측 치형이 상호 맞물리고 회전중심을 가로질러 대응하는 타측 치형이 상기 제1기어레일 및 제2기어레일에 각각 맞물리는 제1기어 및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기어레일 및 상기 제2기어레일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기어의 고정된 제1지점 및 상기 제2기어의 고정된 제2지점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일측이 상기 제1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으로부터 내부로 외부와 연통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가이드통과,
    일측이 상기 제2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 선단이 상기 수용홈에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통과 상대 직선운동하는 지지로드, 및
    상기 수용홈에 실장되어, 일측이 상기 수용홈의 바닥부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로드의 선단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형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제1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갈라져 제2지점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일자형의 슬라이딩로드 및 제1끼움로드와,
    상기 제2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로부터 갈라져 제1지점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로드의 소정부위를 감싸며 안내하는 일자형의 안내로드와, 상기 제1끼움로드와 평행하게 소정부위가 겹쳐지며 미끄럼 운동하는 일자형의 제2끼움로드, 및
    상기 일측이 상기 제1끼움로드에 끼워지고 타측이 상기 제2끼움로드에 끼워져 일측단이 상기 제1끼움로드의 말단에 지지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2끼움로드의 말단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원형으로 감긴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에서 연장되어 말단이 상기 제1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코일부에서 연장되어 말단이 상기 제2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장부를 갖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을 이은 선분은 상기 제1기어레일 및 제2기어레일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의 지름은 동일하고,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는 일 회전시 상기 제1기어레일 및 제2기어레일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 가능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
KR1020060104363A 2006-10-26 2006-10-26 슬라이드형 단말기 KR100829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363A KR100829254B1 (ko) 2006-10-26 2006-10-26 슬라이드형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363A KR100829254B1 (ko) 2006-10-26 2006-10-26 슬라이드형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357A KR20080037357A (ko) 2008-04-30
KR100829254B1 true KR100829254B1 (ko) 2008-05-14

Family

ID=3957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363A KR100829254B1 (ko) 2006-10-26 2006-10-26 슬라이드형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2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173A (ko) * 2003-09-09 2005-03-15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라이딩 개폐되는 이동통신단말기
EP1553749A1 (en) 2004-01-09 2005-07-13 SK Teletech Co., Ltd. Sliding mobile phone with camer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173A (ko) * 2003-09-09 2005-03-15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라이딩 개폐되는 이동통신단말기
EP1553749A1 (en) 2004-01-09 2005-07-13 SK Teletech Co., Ltd. Sliding mobile phone with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357A (ko)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2522B2 (ja) Usbコネクタを有する電子装置
US7111361B2 (en) Hinge assembly
CN110611726A (zh) 柔性屏移动终端铰链及柔性屏移动终端
KR100829254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CN202269100U (zh) 铰接横杆机构及收放式拇指驱动器装置
PL2142732T3 (pl) Zespół klucza i obudowy
EP2410720A1 (en) Tilt slid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75126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US2010012495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sliding and rotating cover
JP2009105867A (ja) 移動通信端末機のスライドヒンジ装置
KR100945480B1 (ko) 휴대 단말기
KR20070058733A (ko)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캠형 슬라이드 힌지 모듈
JP2008205606A (ja) スライド式携帯端末
KR100914855B1 (ko) 핸드폰덮개용 개폐유닛
KR100592889B1 (ko) 단면캠을 이용한 반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32874A (ko) 이중 오픈 타입의 휴대 단말기
KR20070067355A (ko) 슬라이드 및 폴더가 선택 사용 가능한 휴대폰 모듈
KR100997242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기기
KR10110712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CN102858117A (zh) 滑动机构
KR100959253B1 (ko) 핸드폰덮개용 개폐유닛
KR101067346B1 (ko) 슬라이드식 단말기용 스프링 모듈
KR100726832B1 (ko) 휴대폰 슬라이딩 힌지용 핀
KR20070037972A (ko) 비틀림 스프링 구조
KR101277958B1 (ko) 홀더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