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778B1 - Packing Structure Of Base For Home Appliances - Google Patents

Packing Structure Of Base For Home Applia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778B1
KR100827778B1 KR1020020033370A KR20020033370A KR100827778B1 KR 100827778 B1 KR100827778 B1 KR 100827778B1 KR 1020020033370 A KR1020020033370 A KR 1020020033370A KR 20020033370 A KR20020033370 A KR 20020033370A KR 100827778 B1 KR100827778 B1 KR 100827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se plate
base
fastening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3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95796A (en
Inventor
나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778B1/en
Publication of KR20030095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7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7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가전제품의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for large household appliances.

본 발명에 의한 가전제품 포장용 베이스 조립구조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걸이부(130)와 지지구(200)에 형성되는 체결편(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 중앙의 안착부(100a)에는 지지구(200)가 놓여진다. 상기 안착부(100a)의 외측으로는 상기 지지구(200)의 정면과 배면을 둘러싸는 한 쌍의 제 1 날개(110)와, 상기 지지구(200)의 양측면을 둘러싸는 한 쌍의 제 2 날개(120)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 측면걸이부(130)는 상기 한 쌍의 제 2 날개(120)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면걸이부에는 체결홀(132)이 천공된다. 상기 지지구(200)의 상면에는 체결편(24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측면걸이부(130)가 체결홀(132)을 통하여 상기 체결편(240)에 체결되게 한다.
The base assembly structure for home appliance packa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hook portion 130 formed on the side of the base plate 100 and a fastening piece 140 formed on the supporter 200. The support 200 is placed on the seating portion 100a at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100. The outer side of the seating portion (100a) a pair of first wings 110 surrounding the front and back of the support 200, and a pair of second surrounding both sides of the support 200 The wing 120 is formed. The side hook portion 13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each of the pair of second wings 120, the fastening hole 132 is drilled in the side hook portion. A fastening piece 24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0 to allow the side hook portion 130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iece 240 through the fastening hole 132.

가전제품, 포장, 베이스, 측면걸이부, 체결편, 체결홀Home appliances, packaging, base, side hooks, fasteners, fastening holes

Description

가전제품 포장용 베이스 조립구조{Packing Structure Of Base For Home Appliances}Packing Structure Of Base For Home Appliance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포장용기와 베이스를 사용하여 가전제품을 포장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ckaging of home appliances using the packaging container and the ba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포장용기의 베이스플레이트의 전개도.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base plat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포장용기의 베이스 구성을 보인 구조도.Figure 3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base configur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 조립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ase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기 베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전개도.5 is an exploded view of a base plate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ackaging container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베이스플레이트 110. 제 1 날개100. Baseplate 110. First Wings

120. 제 2 날개 130. 측면걸이부120. Second wing 130. Side hooks

132. 체결홀 200. 지지구 132. Fastening hole 200. Support

240. 체결편 240. Fasteners

본 발명은 가전제품의 포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가전제품포장용 베이스의 조립구조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ackaging of home applian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ssembly structure of a base for packaging large home appliances.

가전제품이 생산된 후 소비자에게 판매될 때까지의 과정에서 제품이 손상되지 않고 보관과 운반이 편리하도록 포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을 포장할 때는, 포장박스의 내부에 가전제품이 들어가고 포장박스의 내면과 가전제품의 외면 사이에 스티로폼 등의 완충부재가 위치되게 한다.In the process from the production of the home appliance to the sale to the consumer, it is necessary to package the product so that it is not damaged and is convenient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In general, when packaging a home appliance, the home appliance is put inside the packaging box, and the cushioning member such as styrofoam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aging box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ehold appliance.

이와 같은 포장구조는 주로 소형의 가전제품에서 많이 사용되며, 대형가전제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포장이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냉장고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Such a packaging structure is mainly used in small household appliances, large household appliances are packaged in a structure as shown in FIG. Here, the refrigerato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에서 냉장고(1)의 하부는 베이스(10)위에 안착되고, 냉장고의 상부에는 상부완충부재(1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가 개방된 포장박스(15)가 상기 냉장고(1)의 상부로 부터 씌워진다. 그리고, 상기 포장박스(15)의 상면과 양측면 및 상기 베이스(10)의 하면을 둘러 다수개의 포장용 끈(도시되지 않음)으로 묶어서 포장을 완료하게 된다.In FIG. 1, the lower part of the refrigerator 1 is seated on the base 10, and the upper buffer member 12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refrigerator. In this state, the lower packaging box 15 is cover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efrigerator 1. Then, the packaging is completed by tying a plurality of packing strings (not shown) around the top and both sides of the packing box 15 and the bottom of the base 10.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Next,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aid base is demonstrated.

상기 베이스(10)의 최하부에는 보통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20)가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는 폴리프로필렌 시트로 이루어져 있는데,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의 중합체로 이소태틱(isotactic) 구조를 가지며, 메틸기가 같은 방향으로 정연하게 배열되어 있는 구조이다. 폴리프로필렌은 탄력성과 내구성이 우수하여 섬유, 파이프, 일용잡화나 컨테이너 등의 소재로 사용된다. At the bottom of the base 10 is a base plate 20, usually formed of polypropylene. The base plate 20 is made of a polypropylene sheet, polypropylene is a polymer of propylene and has an isotactic structure, the methyl group i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square. Polypropylene is used for textiles, pipes, daily necessities and containers because of its excellent elasticity and durability.

상기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시트가 포장용기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내구성과 탄력성이 있고 복원력이 강하기 때문에 대형가전 제품의 무게를 지탱하는 베이스의 플레이트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폴리프로필렌 시트는 접히는 부분에서는 복원력이 강하여 접착제의 접착력을 이기고 접착 부위에서 떨어져 나가기 쉬운 성질을 갖는다.        When the sheet made of polypropylene is used as a packaging container, it can be used as a material of the base plate to support the weight of large appliances because of its durability, elasticity and strong resilience. By the way, the polypropylene sheet has a strong restoring force in the folded portion to overcom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and have a tendency to fall off from the bonding site.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 상부에는 지지구(16)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구(16)는 일반적으로 목재로 형성된 밑바닥 부분(16a)과 그 상부의 스티로폼으로 된 완충용부재(16b)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구(16)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테입 등에 의해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16 is installed on the base plate 20. The support 16 generally includes a bottom portion 16a formed of wood and a cushioning member 16b of styrofoam on top thereof. The support 16 is fixed to the base plate 20 by tape or the like.

상기 지지구(16)의 완충용부재(16b)는 보통 스티로폼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위에는 상기 냉장고(1)의 하부 양단이 안착된다. 또한 완충용부재(16b)는 목재로 된 밑바닥 부분(16a)에 고정된다.      The buffer member 16b of the support 16 is formed of a styrofoam material, and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efrigerator 1 are seated thereon. The buffer member 16b is also fixed to the bottom portion 16a made of wood.

도 2 는 종래의 베이스의 지지구가 안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구조의 일예를 보여주는 전개도이다.       Figure 2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base plate on which the support of the conventional base is seated.

종래의 베이스플레이트(20)의 구조를 살펴보면, 베이스플레이트(20)는 지지구가 안착되는 부위인 베이스플레이트(20)의 중앙부분, 즉 안착부(20a)는 지지구(16)의 하부에 상응하는 사각형 모양을 이루고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0)에 는 상기 전개도상에서, 안착부(20a)의 좌우측변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날개(22)와 상하측면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 2 날개(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날개(26)의 양측단에는 제 1 날개(22)와의 체결을 위한 연결편(28)이 연장되어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base plate 20, the base plate 20 is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plate 20, that is, the seating portion 20a is a portion on which the support is seated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16 To form a square shape. The base plate 20 is formed with a first wing 22 extending outward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20a and a second wing 26 extending outward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above developed view. The connecting piece 28 for fastening with the first wing 22 is exten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wing 26.

상기 제 1 날개(22)는 지지구(16) 정면의 두께(t1)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다. 상기 두께(t1)에 상당하는 지점에서부터 제 1 날개(22)의 외측 단부에는, 지지구(16)의 상면에서 접혀져서 지지구(16)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구조의 연결편(24)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연결편(24)은 스테이플(24a)에 의해 지지구(16)와 체결되어 베이스플레이트(20)를 지지구(16)에 고정시킨다.       The first vane 22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t1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16. From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t1, at the outer end of the first wing 22, the connecting piece 24 of the structure which can be fol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6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6 is the outer side. Extends. The connecting piece 24 is fastened to the support 16 by the staples 24a to fix the base plate 20 to the support 16.

상기 제 2 날개(26)는 지지구(16)의 두꺼운 양측단 부분의 두께(t2)와 상응하는 폭으로 각각 전개도 상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 2 날개(26)의 내측변의 점선부위는 폴리프로필렌 베이스플레이트(20)가 용이하게 점선을 따라 접힐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다.        The second vanes 26 extend up and down on the exploded view, respectively, in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t2 of the thick both end portions of the support 16. The dotted line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wing 26 represents a structure in which the polypropylene base plate 20 can be easily folded along the dotted lin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포장용기의 베이스플레이트(20)와 지지구(16)를 이용한 베이스의 조립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The assembly of the base using the base plate 20 and the support 16 of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made by the following process.

전개도상의 중앙에 형성된 안착부(20a)의 외측의 점선을 따라 지지구(16)를 위치시킨다. 제 1 날개(22)를 접어서 지지구(16)의 전면과 배면을 감싸고, 다시 제 1 날개(22)의 외측 점선을 따라 접어서 지지구(16)의 상면에 연결편(24)을 위치시키고 스테이플(24a)을 이용하여 이를 지지구(16)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제 2 날개(26)를 접어서, 지지구(16) 상면 위에 제 2 날개(26)를 스테이플(도시되지 않 음)로 1차 고정을 시키고, 그 위에 테입(28b)으로 고정시킨다.        The support 16 is positioned along the dotted line on the outside of the seating portion 20a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eveloped view. Fold the first wing 22 to surround the front and back of the support 16, and again fold along the outer dotted line of the first wing 22 to place the connecting piece 2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6 and staple ( Fix it to the support 16 using 24a). Next, the second wing 26 is folded, and the second wing 26 is first fixed with staples (not sho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6, and then fixed with a tape 28b thereon.

각 모서리도 제 2 날개(26)의 양 측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편(28)을 접어서 제 1 날개(22)와 겹쳐지는 부분을 1차로는 스테이플(28a)로 고정하고 2차로는 테입(28b)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각각의 경우에 테입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스테이플(도시되지 않음)로 1차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베이스(10)의 구조가 안정적이 되게 한다.        Each corner also folds the connecting piece 28 formed to extend to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blade 26 to fix the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blade 22 with a staple 28a as a primary and a tape 28b as a secondary. ). In each case, before the fixing by the tape is made, the first fixing is performed by staples (not shown), thereby making the structure of the base 10 stable.

그러나, 이러한 베이스(10)의 구조는, 완충용부재(16b)로 사용되는 스티로폼이 가지는 재질의 특성상 스테이플(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고정이 용이하지 않다. 즉, 스티로폼에 스테이플(도시되지 않음)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고 제 1 날개(22)와 제 2날개(26)의 접힌부위의 복원력에 의해 스테이플들이 스티로폼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base 10 is not easily fixed by staples (not shown) due to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styrofoam used as the buffer member 16b. That is, the staples (not shown) are not firmly fixed to the styrofoam, and the staples are removed from the styrofoam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olded portions of the first wings 22 and the second wings 26.

따라서, 제 2 날개(26)를 테입(26a)으로 지지구(16)의 완충용부재(16b)에 부착시키지만 테입의 부착력이 약하고 베이스플레이트(20a)의 복원력이 강하여 테입고정부위가 벌어지게 되어 조립곤란의 문제가 발생한다.Therefore, the second wing 26 is attached to the buffer member 16b of the support 16 with the tape 26a, but the adhesive force of the tape is weak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base plate 20a is strong, so that the tape fixing part is opened. Problems with assembly arise.

이와 같이 되면 포장 박스(15)를 냉장고 위로부터 씌우는 과정에서 상기 포장박스(15)가 베이스플레이트(20)의 제 2 날개(26)의 벌어진 부위에 걸려 작업에 곤란이 있고, 포장박스(20)등의 파손 우려가 있다. In this case,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packaging box 15 from above the refrigerator, the packaging box 15 is caught in the open area of the second wing 26 of the base plate 20, and thus, the operation is difficult. There is a risk of damage.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제품 포장용기의 베이스플레이트의 조립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의 복원력으로 인한 조립의 곤란을 제거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iminate the difficulty of assembly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base plate in the assembly of the base plate of the electronics packaging contain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제품의 포장의 용이성을 도모하고 가전제품의 포장과정에서의 부품의 훼손을 방지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packaging of electronic products and to prevent the damage of components during the packaging process of home applianc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전제품 포장용 베이스의 조립구조는 상면에 가전제품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지지구; 상기 지지구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편; 상기 지지구가 상부에 놓여지는 안착부의 서로 대응되는 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의 둘레를 둘러싸는 제 1 및 제 2 날개를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체결편과 대응되는 날개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이 삽입되는 체결홀이 천공된 측면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base for packaging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upport that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home appliance; A fastening piec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A base plate having first and second wings extending from corresponding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support is placed, and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It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wing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iece, the fastening hole for inserting the fastening pie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perforated side hoo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편은 상기 지지구의 상면 양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외측면은 상단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어지고, 내측면은 지지구의 상면에 수직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iec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he outer surface is inclined inward toward the upper en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홀과 체결편이 각각 복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fastening pieces are form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 포장용기의 베이스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ase structure of an electronic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실시예의 베이스플레이트의 전개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evelopment of the base plat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의 최하부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00)가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 위에는 지 지구(200)가 설치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base plate 100 formed of polypropylen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ase, and the earth 200 is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00.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전개도상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중앙에는 지지구(200)의 모양과 넓이에 상응하고 상기 지지구(200)가 안착되는 사각형 모양의 안착부(10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100a)의 도면상의 좌우측변에는 각각 외측으로 지지구(200)의 전면과 배면의 두께(T1) 만큼 연장된 제 1 날개(110)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developed view of the base plate 100,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10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100 is formed in the square-shaped seating portion (100a)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width of the support 200 is seated It i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100a on the drawing, first wings 110 are formed to extend outwardly by the thickness T1 of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support 200.

상기 제 1 날개(110)의 끝단은 지지구(20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도록 접혀질 수 있는 긴 연결편(112)을 이루고 있다. 상기 연결편(112)은 점선을 따라 접혀지고 지지구의 상면에서 스테이플에 의해 지지구(200)에 체결되어 진다. The end of the first wing 110 forms an elongated connecting piece 112 that can be fold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0. The connecting piece 112 is folded along a dotted line and fastened to the support 200 by stapl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베이스플레이트(100)의 도면상의 안착부(100a)의 상하측변으로는 제 1 날개(110)와는 달리 지지구(200) 양측단의 두꺼운 부분의 두께(T2)보다 약간 작은 폭으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장방형의 제 2 날개(120)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상에서 상기 각각의 제 2 날개(120) 양측단으로는 상기 제 1 날개(110)와의 체결을 위한 연결편(122)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편(122)은 모서리 부분에서 테입에 의해 제 1 날개(110)의 양끝단과 체결되어 진다.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100a on the drawing of the base plate 100, unlike the first wing 110, each of the support plates 200 extends outwardly with a width slight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thick portions at both ends. Thus, a rectangular second wing 120 is formed. In the drawing, connecting portions 122 for fastening with the first wings 110 ar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second wings 120, and the connecting pieces 122 are formed by tapes at edge portions thereof. It is fastened to both ends of 110).

상기 제 2 날개(120)의 상하측변의 외측으로는 측면걸이부(1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측면걸이부(130)의 상세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제 2 날개(120)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측면걸이부(130)는 세로축(A)에 각각 대칭이 되도록 제 2 날개(12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상하의 측면걸이부(130) 각각에는 사각형 모양의 체결홀(132)이 2개씩 세로축(A)을 중심으로 좌우에 천공되어 있다. 상기 체결홀(132)에는 지지구(200)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편(240)이 체결되어 지는데 그 체결편(240)의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Side hook portion 13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blade 120,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ide hook portion 130 is as follows. The side hook portions 130 extending outward from the second blade 120 of the base plate 100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blade 120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A, respectively.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ide hook portions 130 has two rectangular fastening holes 132 perforated left and right about the vertical axis A. The fastening hole 24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iece 24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0,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piece 240 is described below.

이와같이 지지구(200)가 설치되고 있는 이유는 베이스가 대형가전제품의 무게를 이기고 포장용기가 제품의 보관이나 운반중에 그 무게로 인하여 훼손되어 노출되거나 가전제품 자체가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훼손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지지구(200)의 상부를 구성하는 완충용부재의 내부소재는 탄력성이 있고 충격흡수가 용이하며 가벼운 스티로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reason why the support 200 is installed is that the base overcomes the weight of a large household appliance and the packaging container is damaged due to its weight during storage or transportation of the product, or the household appliance itself is damaged due to an external impact. It is to prevent. Therefore, the inner material of the buffer member constitu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200 is generally formed of a flexible styrofoam material that is elastic, easy to absorb shock.

도 4의 지지구(200)는 냉장고의 하단부가 놓여질 수 있어야 하므로 냉장고의 하단부의 모양인 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하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의 면적보다 약간 더 큰 면적이다. 냉장고의 하면 양측단이 위치하는 지지구(200)의 도면상 상하측단부는 상대적으로 두껍게 구성된다. The support 200 of FIG. 4 has a rectangular shape in the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refrigerator because the lower end of the refrigerator can be placed therein and is slightly larger than the area of the lower end so that the lower end can be seated. The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of the supporter 200 in which both side end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are positioned are relatively thick.

도 6에서 상기 체결편(240)은, 측단면도에서 외측면(240a)이 상부로 내측으로 치우쳐서 좁아지는 곡면을 이루고, 상기 측면걸이부(130)를 잡아당겨 체결홀(132)에 체결편(240)이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체결편(240)의 내측면(240b)과 좌우측면은 지지구(200)의 상면과 수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일단 체결편(240)에 측면걸이부(130)가 체결되는 경우에는 체결편(240)으로부터 측면걸이부(130)가 잘 빠지지 않는 구조이다.  In FIG. 6, the fastening piece 240 forms a curved surface narrowing by shifting the outer surface 240a upwardly inward in a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pulling the side hook portion 130 to the fastening hole 132. 24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fastened. In addition, since the inner surface 240b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stening piece 240 ar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0, the fastening piece when the side hook portion 13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iece 240 once. Side hook portion 130 from the 240 does not fall well.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베이스의 조립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의 안착부(100a)에는 지지구(200)의 두꺼운 부분이 전개도상의 상하측단에 위치하도록 안착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제 1 날개(110)는 접혀져서 지지구(200)의 정면과 배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 1 날개(110)의 끝단에 형성된 연결편(112)이 점선을 따라 접혀져서 지지구(20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 1 날개(110)의 연결편(112)은 스테이플에 의해 지지구(200)에 체결된다.In the seating portion 100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thick portion of the support 200 is seated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eveloped view. The first wing 110 of the base plate 100 is folded to surround the front and back of the support 200, the connecting piece 112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wing 110 is folded along the dotted line. It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arth (200). The connecting piece 112 of the first wing 110 is fastened to the support 200 by staples.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제 2 날개(120)는 상하 양측면이 점선을 따라 접혀져서 지지구(200)의 양측면을 둘러싸고, 상하의 제 2 날개(120)의 외측에 형성된 측면걸이부(130)의 체결홀(132)을 지지구(200)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편(240)에 체결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제 2 날개(120)의 양측에 형성된 연결편(122)을 제 1 날개(110)가 있는 부위와 겹쳐지게 하여 1차로 스테이플로 고정시키고 2차로 테입을 부착하여 고정시킨다. 이 경우 테입부착 부위는 제 2 날개(120)의 연결편(122)을 제 1 날개(200)에 부착시키는 모서리에 한정된다.The second wing 120 of the base plate 100 is folded along the dotted line on both sides, and surrounds both sides of the support 200, and fastening of the side hook portion 130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wing 120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hole 132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iece 24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0. The connecting pieces 12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lade 120 of the base plate 100 are overlapped with the portion where the first blade 110 is located, and thus, stapled firstly and secondly, tape is attached and fixed. In this case, the tape attachment portion is limited to an edge for attaching the connecting piece 122 of the second blade 120 to the first blade 200.

측면걸이부(130) 중앙은 점선부위를 기준으로 상하로 접혀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측면걸이부(130)의 상반부는 체결편(240)에 체결된 채 ㄱ자로 꺽여져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Since the center of the side hook portion 13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up and down on the basis of the dotted line, the upper half of the side hook portion 130 is bent to the fastening piece 240, the structure is bent Doing.

이처럼 폴리프로필렌의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일단 체결편(240)에 체결홀(132)을 체결한 경우에는 체결홀(132)이 걸쳐진 내측면(240b)이 지지구(200)의 상면에 수직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측면걸이부(130)가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astening hole 132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iece 240, the base plate 100 of polypropylene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0. Therefore, the side hook portion 130 is not easily separated.

상기 체결홀(132)과 체결편(240)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그 모양이나 형성되는 위치 역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fastening hole 132 and the fastening piece 240 may be formed in plural as necessary, and the shape or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 132 and the fastening piece 240 may be variously modified.

본 발명의 귄리범위는 상기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해지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claim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s obvious that you can adapt.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제 2 날개의 조립시 측면에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측면걸이부에 형성된 체결홀과 지지구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편에 의한 구조적 조립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테이프의 접촉성이 떨어짐으로 인해 제 2 날개가 벌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tape on the side when assembling the second wing, and since the structural assembly is performed by the fastening piece formed on the fastening hole formed on the side hook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he contact of the tape This fall prevents the second wings from opening.

또한, 테이프에 의한 고정부위가 대폭 감소하고, 종전 베이스플레이트의 복원력에 의해 부착부위가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으로 인한 작업의 곤란을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fficulty of the work due to the problem that the fixing portion by the tape is greatly reduced, and the attachment portion is separa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nventional base plate.

더 나아가 포장용기의 베이스 조립구조가 안정적이 되기 때문에 박스를 씌워서 냉장고등의 대형 가전제품을 포장하는 과정에서 제 2 날개의 벌어진 부분으로 인한 포장의 곤란이나 포장용기등의 제품 훼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since the base assembly structure of the packaging container becomes stabl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packaging damage or damage to the product such as the packaging container due to the open part of the second wing in the process of packaging a large household appliance such as a refrigerator by covering a box. Will be.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기의 베이스의 조립은 간편함과 안정성, 그리고, 가전제품의 포장의 용이성과 안정성을 부여하고 가전제품의 포장에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
The assembly of the bas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implicity and stability, ease and stability of packaging of household appliances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manpower and costs required for packaging of household appliances.

Claims (3)

상면에 가전제품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지지구; The support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home appliance; 상기 지지구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편;A fastening piec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상기 지지구가 상부에 놓여지는 안착부의 서로 대응되는 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의 둘레를 둘러싸는 제 1 및 제 2 날개를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A base plate having first and second wings extending from corresponding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support is placed, and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상기 체결편과 대응되는 날개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이 삽입되는 체결홀이 천공된 측면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포장용 베이스 조립구조. The base assembly structure for packaging appliances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extending outward from the wing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iece, the fastening hole into which the fastening piece is inserted comprises a side hook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은 상기 지지구의 상면 양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외측면은 상단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어지고, 내측면은 지지구의 상면에 수직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포장용 베이스 조립구조.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piece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he outer surface is inclined inward toward the upper e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aging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ssembly structur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과 체결편이 각각 복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포장용 베이스 조립구조.The base assembly structure of claim 1 or 2, wherein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fastening pieces are respectively formed.
KR1020020033370A 2002-06-14 2002-06-14 Packing Structure Of Base For Home Appliances KR1008277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370A KR100827778B1 (en) 2002-06-14 2002-06-14 Packing Structure Of Base For Home Applia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370A KR100827778B1 (en) 2002-06-14 2002-06-14 Packing Structure Of Base For Home Applian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796A KR20030095796A (en) 2003-12-24
KR100827778B1 true KR100827778B1 (en) 2008-05-07

Family

ID=3238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370A KR100827778B1 (en) 2002-06-14 2002-06-14 Packing Structure Of Base For Home Applian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77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085U (en) * 1998-08-21 2000-03-15 구자홍 Product packaging structure
KR20010048440A (en) * 1999-11-26 2001-06-15 구자홍 Packing structure for lower portion of refrigerator
KR20020023569A (en) * 2000-09-23 2002-03-29 심우중 Packing device for products
KR20030063718A (en) * 2002-01-23 2003-07-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acking structure for home appliances
KR200322755Y1 (en) * 2003-04-04 2003-08-14 주식회사 아스텍 Packing base for appliances
JP2004104953A (en) * 2002-09-12 2004-04-02 Toshiba Corp Channel bas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085U (en) * 1998-08-21 2000-03-15 구자홍 Product packaging structure
KR20010048440A (en) * 1999-11-26 2001-06-15 구자홍 Packing structure for lower portion of refrigerator
KR20020023569A (en) * 2000-09-23 2002-03-29 심우중 Packing device for products
KR20030063718A (en) * 2002-01-23 2003-07-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acking structure for home appliances
JP2004104953A (en) * 2002-09-12 2004-04-02 Toshiba Corp Channel base
KR200322755Y1 (en) * 2003-04-04 2003-08-14 주식회사 아스텍 Packing base for appli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796A (en)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120B1 (en) Tapeless type eco packaging box
WO2003042070A1 (en) Eggs packing container using paperboard
KR100827778B1 (en) Packing Structure Of Base For Home Appliances
JP2009241937A (en) Packing device
JPH0811865A (en) Packaging case
JP6264564B2 (en) Packaging box
JPH11255264A (en) Box with synthetic resin bag
JP4012191B2 (en) Packing equipment
US2656093A (en) Means for closing bags
KR20110095636A (en) Folding basket type packing box
JPH05294380A (en) Packed article
JPH0231374Y2 (en)
KR200420846Y1 (en) Fastfood packaging box
CN220032650U (en) Packaging box and product
JP2013233935A (en) Packaging container
CN210364773U (en) Packing box with self-locking function
PL59257Y1 (en) Omnibus package for consumer packages of round shape
KR20110121268A (en) Packaging box
JPS6128754Y2 (en)
KR20180034293A (en) assembly container one touch clip receive box
JPH0650336Y2 (en) Packaging box
KR200420658Y1 (en) A Box For Containning The Food
KR200428409Y1 (en) Packaging box
GB1517312A (en) Container
JPH07205956A (en) Locking mechanism for bent piece of corrugated fiberboard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