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429B1 -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 - Google Patents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429B1
KR100827429B1 KR1020070026484A KR20070026484A KR100827429B1 KR 100827429 B1 KR100827429 B1 KR 100827429B1 KR 1020070026484 A KR1020070026484 A KR 1020070026484A KR 20070026484 A KR20070026484 A KR 20070026484A KR 100827429 B1 KR100827429 B1 KR 100827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ipe
jig
cap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령
Original Assignee
이운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령 filed Critical 이운령
Priority to KR1020070026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7Manufacturing of the fuel inlet or connecting elements to fuel inlet, e.g. pipes or vent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구성하기 위한 메인파이프와 서브파이프와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고정시킬 수 있는 용접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 프레임과, 메인파이프에 결합된 캡이 형합되어 장착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캡장착수단과, 상기 캡장착수단에 장착된 캡을 가압하여 상기 캡장착수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캡고정지그부와, 파이프거치대와, 파이프지그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파이프 파지수단와, 제1브라켓거치대와,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가 상기 제1브라켓거치대에 고정되도록 파지하기 위한 제1브라켓지그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1브라켓 파지수단와,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에 연결된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를 거키시키기 위한 제2브라켓거치대와,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가 상기 제2브라켓거치대에 고정되도록 파지하기 위한 제2브라켓지그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2브라켓 파지수단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70026484
용접, 용접대, 연료주입관, filler

Description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WELD WORKING FRAME FOR WELDING FILLER PIPE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연료 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캡고정지그부 및 파이프 파지수단의 확대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파이프 파지수단의 확대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브라켓 파지수단의 확대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2브라켓 파지수단의 확대 정면도,
도 7은 캡과, 메인파이프와, 서브파이프가 연결된 자동차 연료주입관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4 : 제1브라켓 15 : 메인파이프
17 : 서브파이프 19 : 캡
21 : 캡장착수단 23 : 캡지그
25 : 캡피스톤 27 : 파이프지그
28 : 파이프거치대 29 : 파이프피스톤
31 : 제1브라켓지그 32 : 제1브라켓거치대
33 : 제1브라켓피스톤 34 : 제2브라켓거치대
35 : 제2브라켓지그 37 : 제2브라켓피스톤
41 : 캡고정지그부 43 : 파이프 파지수단
45 : 제1브라켓 파지수단 47 : 제2브라켓 파지수단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구성하기 위한 메인파이프와 서브파이프와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고정시킬 수 있는 용접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자동차 연료주입관의 사시도이다. 자동차의 연료주입구에서 연료탱크까지의 튜브로서, 크게 메인파이프(Main Pipe, 15), 서브파이프(Sub Pipe, 17), 캡(Cap, 19), 브라켓(Bracket)의 4개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파이프(15)는 주유 건에서 연료탱크까지 연료를 공급하는 파이프이며, 서브파이프(17)는 주유시 휘발유 및 유증기의 범람(Overflow)을 방지하는 파이프이며, 메인파이프와 서브파이프는 용접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캡(19)은 주유 건의 안내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다. 도 6에는 브라켓이 미도시되어 있지만, 브라켓은 연료주입관을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할 뿐만 아니로 메인파이프(15)와 서브파이프(17)를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로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차 연료주입관 은 상기의 메인파이프(15)와, 서브파이프(17)와, 캡(19)과, 브라켓을 제작한 후 각각을 용접결합하여 완성된다.
메인파이프(15) 및 서브파이프(17)는 3차원 형상으로서 복잡하게 굴곡되어 있고, 이들은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형상이 복잡해서 용접작업을 한번 만에 끝낼 수가 없었으며, 종래에는 브레이징 용접과 재작업(Rework) 용접 두 단계로 실시하였다. 브레이징 용접은 반자동으로 토치(Torch)를 이송하여 캡과 메인파이프를 용접한 후, 상기 메인파이프와 서브파이프 및 브라켓을 용접하였다. 용접작업은 자동차 연료주입관의 모델별로 2곳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작업자가 작업물을 지그(Jig)에 수작업으로 고정하여 공급되어 이루어진다. 지그는 원형의 턴테이블(Turn Table)에 120도 간격으로 3개가 설치되어 있어 토치에 의해 용접되는 동안 작업물을 고정하고 있다.
토치의 이동 및 와이어의 공급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3개의 지그를 가진 턴테이블도 자동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토치의 불꽃이 지그에 닿아 지그의 변형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작업물의 고정을 위해 앞쪽은 개방 구조로 되어 있어 외부 공기의 온도변화 등에 영향을 받고 있다.
각 작업물의 이송은 이송용 작업대에 걸쳐진 상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의 바퀴로 이동하고 있다. 작업자는 작업대에 걸쳐진 작업물을 하나씩 꺼내어 지그에 고정하고 작업이 완료된 것도 다시 작업대에 걸쳐서 이송용 작업대에 작업물이 다 채워지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된다.
브레이징 용접공정에서는 필연적으로 코너 부위 등에서 용접이 누락되는 부 분이 발생된다. 따라서 재작업(Rework) 용접은 브레이징 용접 공정에서 용접이 누락된 부위를 보완하는 용접공정이다.
종래의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제조하기 위한 용접공정에서는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형성하는 메인파이프 및 서브파이프의 형상이 복잡하여 메인파이프와, 서브파이프와, 브라켓을 일체로 완벽하게 고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용접공정이 완벽하지 못하여 불량이 필연적으로 발생하였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자동차 연료주입관의 용접공정을 브레이징 용접공정과 재작업(Rework) 용접공정으로 2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따라서 불필요한 작업이 발생되어 자동차 연료주입관의 생산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메인파이프와, 서브파이프와, 브라켓의 브레이징 용접시 지그를 이용하여 작업물을 고정하고 용접부위에 대해 토치를 이송시켜 용접하는 방식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지그에 열이 가해지고 있으며, 토치의 불꽃 길이 제어가 쉽지아니하여 마감부분은 토치를 이용하여 용접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재작업 용접공정에 의하여 마감부분을 용접하므로 이중으로 열이 가해져서 균일한 용접 품질을 얻어내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번의 용접공정으로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파이프와 서브파이프와 브라켓을 일체로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는 용접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 프레임과, 메인파이프에 결합된 캡이 형합되어 장착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캡장착수단과, 상기 캡장착수단에 장착된 캡을 가압하여 상기 캡장착수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캡고정지그부와,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메인파이프에 연결된 상기 서브파이프를 거치시키기 위한 파이프거치대와,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가 상기 파이프거치대에 고정되도록 파지하기 위한 파이프지그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파이프 파지수단와,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 연결된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를 거치시키기 위한 제1브라켓거치대와,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가 상기 제1브라켓거치대에 고정되도록 파지하기 위한 제1브라켓지그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1브라켓 파지수단와,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에 연결된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를 거키시키기 위한 제2브라켓거치대와,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가 상기 제2브라켓거치대에 고정되도록 파지하기 위한 제2브라켓지그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2브라켓 파지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용접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캡고정지그부는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캡지그와, 상기 캡지그가 상기 캡을 가압하도록 캡지그를 회동시키기 위한 캡피스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용접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지그부는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파이프지그와, 상기 파이프지그가 상기 메인파이프와 서브파이프를 파지하도록 상기 파이프지그를 회동시키기 위한 파이프피스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의 용접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지그부는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1브라켓지그와, 상기 제1브라켓지그가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를 파지화도록 상기 제1브라켓지그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1브라켓피스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용접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지그부는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2브라켓지그와, 상기 제2브라켓지그가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를 파지하도록 상기 제2브라켓지그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2브라켓피스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용접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지그는 한 쌍이고, 각각은 상기 제2브라켓의 양단을 파지하며, 상기 제2브라켓피스톤은 한 쌍이고, 각각은 상기 제2브라켓지그의 각각을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연료 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캡고정지그부 및 파이프 파지수단의 확대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파이프 파지수단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브라켓 파지수단의 확대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2브라켓 파지수단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용접작업대는 프레임(22)과, 캡장착수단(21)과, 캡고정지그부(41)와, 파이프파지수단(43)과, 제1브라켓파지수단(45)과, 제2브라켓파지수단(47)을 포함한다.
프레임(220은 상기 캡장착수단(21)과, 캡고정지그부(41)과, 파이프파지수단(43)과, 제1브라켓파지수단(45)과, 제2브라켓파지수단(47)을 고정시킨다.
캡장착수단(21)은 자동차 연료주입관(10)의 메인파이프(15)에 결합된 캡(19)이 형합되도록 장착시킨다.
캡고정지그부(41)는 캡지그(23)와 캡피스톤(25)을 포함한다. 캡지그(23)는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캡피스톤(25)은 캡지그(23)가 캡장착수단(21)에 장착된 캡(19)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캡지그(23)를 회동시킨다. 즉 캡피스톤(25)이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면 캡지그(23)는 회동을 하여 캡(19)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파이프파지수단(43)은 파이프거치대(28)와, 파이프지그부를 포함한다. 파이프거치대(28)는 메인파이프(15)와 서브파이프(17)를 거치시킨다. 파이프지그부는 파이프지그(27)와, 파이프피스톤(29)을 포함한다. 파이프지그(27)는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며, 파이프피스톤(29)은 파이프지그(27)가 파이프거치대(28)에 거치된 메인파이프(15)와 서브파이프(17)를 파지할 수 있도록 파이프지그(27)를 회동시킨다. 즉 파이프피스톤(29)이 직선운동을 하면 파이프지그(27)가 회동운동을 하여 메인파이프(15)와 서브파이프(17)를 파지시킨다.
제1브라켓파지수단(45)은 제1브라켓거치대(32)와, 제1브라켓지그부를 포함한 다.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메인파이프(15)와, 서브파이프(17)와, 제1브라켓(14)과, 제2브라켓(16)이 용접되어야 한다. 제1브라켓거치대(32)는 메인파이프(15)와 서브파이프(17)와 제1브라켓(14)이 용접될 수 있도록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브라켓지그부는 제1브라켓지그(31)와 제1브라켓피스톤(33)을 포함한다. 제1브라켓지그(31)는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제1브라켓피스톤(33)은 제1브라켓지그(31)가 제1브라켓거치대(32)에 거치된 메인파이프(15)와 서브파이프(17)와 제1브라켓(14)를 파지할 수 있도록 제1브라켓지그(31)를 회동시킨다. 즉 제1브라켓피스톤(33)이 직선운동을 하면 제1브라켓지그(31)가 회동운동을 하여 상기 메인파이프(15)와 서브파이프(17)와 제1브라켓(14)를 파지하여 제1브라켓거치대(32)에 고정시킨다.
제2브라켓파지수단(47)은 제2브라켓거치대(34)와, 제1브라켓지그부를 포함한다. 제2브라켓거치대(34)는 메인파이프(15)와 서브파이프(17)와 제2브라켓(16)이 용접될 수 있도록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브라켓지그부는 제2브라켓지그(35)와 제2브라켓피스톤(37)을 포함한다. 제2브라켓지그(35)는 한쌍으로 구성되어 있어며, 각각의 제2브라켓지그(35)는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제2브라켓피스톤(37)은 한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제2브라켓지그(35)가 제2브라켓거치대(34)에 거치된 메인파이프(15)와 서브파이프(17)와 제2브라켓(16)을 파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제2브라켓지그(35)를 회동시킨다. 즉 한쌍의 제2브라켓피스톤(37)이 직선운동을 하면 각각의 제2브라켓지그(35)가 회동운동을 하여 상기 메인파이프(15)와 서브파이프(17)와 제2브라켓(16)을 파지하여 제2브라켓거치대(34)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캡(19)이 용접된 메인파이프(15)를 캡(19)이 캡장착수단(21)에 형합되고, 파이프거치대(28)와, 제1브라켓거치대(32)와, 제2브라켓거치대(34)에 놓여지도록 거치시킨다. 또한 서브파이프(17)가 메인파이프(15)에 연결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파이프거치대(28)와, 제1브라켓거치대(32)와, 제2브라켓거치대(34)에 놓여지도록 거치시킨다. 그리고 제1브라켓(14)과, 제2브라켓(16)을 메인파이프(15)와 서브파이프(17)에 연결되도록 각각 제1브라켓거치대(32)와 제2브라켓거치대(34)에 거치시킨다. 캡피스톤(25)으로 캡지그(23)을 회동시켜 캡(19)을 고정시키며, 파이프피스톤(29)으로 파이프지그(27)를 회동시켜 메인파이프(15)와 서브파이프(17)를 파지시킨다. 그리고 제1브라켓피스톤(33)과 제2브라켓피스톤(37)으로 제1브라켓지그(31)과 제2브라켓지그(35)를 회동시켜, 제1브라켓(14)과 제2브라켓(16)과 메인파이프(15)와 서브파이프(17)를 파지시켜 고정시킨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용접작업대를 사용하여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구성하는 메인파이프와 서브파이프와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완벽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의 메인파이프와 서브파이프와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완벽하게 고정될 경우 로봇 용접기 등에 의하여 용접을 할 수 있으므로 결점없이 한번의 용접과정으로 용접을 마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제조하기 위한 메인파이프와 서브파이프와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고정시킬 수 있는 용접작업대를 제공하여 한번의 용접공정으로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6)

  1. 프레임과,
    메인파이프에 결합된 캡이 형합되어 장착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캡장착수단과,
    상기 캡장착수단에 장착된 캡을 가압하여 상기 캡장착수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캡고정지그부와,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메인파이프에 연결된 상기 서브파이프를 거치시키기 위한 파이프거치대와,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가 상기 파이프거치대에 고정되도록 파지하기 위한 파이프지그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파이프 파지수단와,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 연결된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를 거치시키기 위한 제1브라켓거치대와,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가 상기 제1브라켓거치대에 고정되도록 파지하기 위한 제1브라켓지그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1브라켓 파지수단와,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에 연결된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를 거키시키기 위한 제2브라켓거치대와,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가 상기 제2브라켓거치대에 고정되도록 파지하기 위한 제2브라켓지그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2브라켓 파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고정지그부는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캡지그와, 상기 캡지그가 상기 캡을 가압하도록 캡지그를 회동시키기 위한 캡피스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지그부는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파이프지그와, 상기 파이프지그가 상기 메인파이프와 서브파이프를 파지하도록 상기 파이프지그를 회동시키기 위한 파이프피스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지그부는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1브라켓지그와, 상기 제1브라켓지그가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를 파지화도록 상기 제1브라켓지그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1브라켓피스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지그부는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2브라켓지그와, 상기 제2브라켓지그가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메인파이프와 상기 서브파이프를 파지하도록 상기 제2브라켓지그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2브라켓피스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지그는 한 쌍이고, 각각은 상기 제2브라켓의 양단을 파지하며,
    상기 제2브라켓피스톤은 한 쌍이고, 각각은 상기 제2브라켓지그의 각각을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
KR1020070026484A 2007-03-19 2007-03-19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 KR100827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484A KR100827429B1 (ko) 2007-03-19 2007-03-19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484A KR100827429B1 (ko) 2007-03-19 2007-03-19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429B1 true KR100827429B1 (ko) 2008-05-06

Family

ID=3964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484A KR100827429B1 (ko) 2007-03-19 2007-03-19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4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3009A (zh) * 2013-12-04 2014-04-30 安徽巨一自动化装备有限公司 油箱加油口盖座板与侧围外板间焊接工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474A (en) * 1899-01-18 1899-10-24 August Grap Keg-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474A (en) * 1899-01-18 1899-10-24 August Grap Keg-refrig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3009A (zh) * 2013-12-04 2014-04-30 安徽巨一自动化装备有限公司 油箱加油口盖座板与侧围外板间焊接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58541B (zh) 一种波纹管外圈焊接设备及其使用方法
CN203936549U (zh) 一种汽车仪表板横梁中部部件焊接夹具
CN101376200A (zh) 总车架焊接夹具
KR20130021565A (ko) 대형관 타입의 파이프 자동 용접 시스템
KR102655413B1 (ko) 배관용접용 모듈식 지그기구
CN103286430B (zh) 一种汽车侧边梁总成自动焊接装置
CN110014249B (zh) 一种连接法兰和金属管道的焊接方法和设备
KR20120027933A (ko) 타워 서포트 캡 용접 장치 및 용접 방법
KR100827429B1 (ko) 자동차 연료주입관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대
CN204524579U (zh) 自行车前三角架机器人焊接工作站
CN217832422U (zh) 一种汽车支架件自动焊接装置
CN115106711A (zh) 一种环纵焊缝自动焊接装置
CN206632526U (zh) 减震器自动化焊接装置及减震器
CN105598623A (zh) 一种焊接椅背铁台生产工艺
CN206084195U (zh) 全自动多工位金属堆焊装置
CN115255702A (zh) 一种自动化焊接设备及其焊接工艺
CN211866824U (zh) 氧气焊接智能工装
CN210334893U (zh) 基于前防撞横梁与拖车套筒的焊接夹具
KR20040083857A (ko) 유로폼의 프레임용 자동 용접장치
CN105364273A (zh) 用于镍基板式拼接的实芯焊丝气保焊方法
CN210209387U (zh) 钢结构网架支托自动铆焊一体机
CN110666306A (zh) 一种高精密五轴氩弧焊机
CN220330459U (zh) 一种管状件自动焊接工装
CN211867011U (zh) 一种排气管焊接台
CN220679790U (zh) 一种消声器的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