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165B1 -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165B1
KR100827165B1 KR1020010086619A KR20010086619A KR100827165B1 KR 100827165 B1 KR100827165 B1 KR 100827165B1 KR 1020010086619 A KR1020010086619 A KR 1020010086619A KR 20010086619 A KR20010086619 A KR 20010086619A KR 100827165 B1 KR100827165 B1 KR 100827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ain
workflow
management
unit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6415A (ko
Inventor
노학균
윤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10086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1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19Ensuring fulfilment of SL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09Determining service level performance parameters or violations of service level contracts, e.g. violations of agreed response time or mean time between failures [MTB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 및 명령의 유형에 따라 관련된 관리 영역을 지정하여 서비스의 구성을 관리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서비스 상품의 오더를 받아 해당 서비스를 도메인으로 규정하는 도메인 정의부, 서비스 상품별로 각 관리 영역의 범위 및 순서를 정하고 조건에 따른 워크플로우의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프로세스 정의부, 상기 도메인 정의부와 상기 프로세스 정의부에서 정의된 서비스 상품의 도메인과 프로세스에 따라 프로세스를 작업 유형으로 분류하고 액티비티를 생성하는 오더 생성부, 상기 액티비티의 작업을 제어하고, 이를 위하여 전체 워크플로우를 여러 단계의 서브 워크플로우로 분할하여 생성하는 프로세스 제어부, 상기 프로세스 제어부에서 생성된 서브 워크플로우가 해당 관리 영역에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서브 프로세스 제어부, 상기 서브 프로세스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서브 워크플로우를 수행하여 해당 관리 영역을 연동하고 제어하는 관리부를 구비하여, 인터넷 접속 서비스의 서비스 공급에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프로세스 정의에 의한 유연한 관리 영역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workflow based on domain in variable internet access services}
도 1은 인터넷 접속 서비스의 단 대 단 서비스 제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본 발명은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 및 명령의 유형에 따라 관련된 관리 영역을 지정하여 서비스의 구성을 관리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접속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망 구성과 그에 따른 관리 영역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먼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해서는 첫째, 가입자 댁내에 회선 구성 및 모뎀(2) 설치 작업이 필요하며 이는 댁내 작업 관리(M1)로 분류된다.
둘째, ADSL 서비스는 근본적으로 일반 전화의 가입자 회선을 이용하는 것이 어서 가입자 선로가 집중되는 전화국 사내의 장치인 분배 선반(4)을 활용한다.
그리고, 음성과 데이터를 분리하여 동시에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분배 선반(4)으로부터 ADSL 가입자 집중 장치(6)와 전화 교환기(8)로 점퍼 구성을 하여야 한다.
상기 부분은 전화국 사내 관리(M2) 영역과 가입자 장치 관리(M3) 영역으로 분류된다.
셋째, ADSL 인터넷 서비스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을 이용하여 ADSL 가입자 집중장치(6)와 접속 라우터(12) 간에 전송 경로를 제공하므로, 두 장치 간에 소요되는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ATM 교환기(10)를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 부분은 ATM 망 관리(M4) 영역으로 분류된다.
넷째, ADSL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는 전화 접속에 의한 PPP(Point-to-Point Protocol)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인증을 거쳐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것은 인증 서버(14)라는 별도의 시스템으로 운용하며 이 부분은 인증 관리(M5) 영역으로 분류된다.
다섯째, ADSL 서비스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하여 접속 라우터(12)를 경유하여야 하는데, 이 부분은 접속 라우터 관리(M6) 영역이다.
그리고, 여섯째, ADSL 서비스 구성 관리 시스템의 가입자 및 시설 원부 구축을 위한 가입자/시설 원부 관리(M7-도시 생략) 영역이 존재한다.
D/U(Dial/Up) 서비스의 경우는 전화 접속에 의한 PPP 서비스로 사용자 인증을 거쳐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것 또한 인증 서버라는 별도의 시 스템을 운용하며 이 부분은 인증 관리(M5) 영역만이 필요하다.
또한, xDSL-VPN(Digital Subscriber Line's variations-Virtual Private Network) 서비스는 ADSL을 이용하여 해당 기업의 VPN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xDSL-VPN 서비스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해당 기업의 VPN까지 터널링이 지원되거나, 인터넷망을 통하여 Entum망을 거쳐 해당 기업의 VPN까지 터널링이 지원되어야 한다.
여기서 Entum망은 기업 전산 환경 구축을 위한 모든 작업과 관리를 아웃소싱하여 기업이 고유의 생산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업 인터넷 토탈 솔루션 제공 서비스를 지원하는 별도의 망이다.
그리하여, 인터넷망을 통하여 해당 기업의 VPN까지 터널링을 할 경우에는 일반 인터넷망의 인증 관리(M5) 영역이 필요하고, 인터넷망을 통하여 Entum망을 거쳐 해당 기업의 VPN까지 터널링을 할 경우에는 Entum망의 인증을 받기 위하여 VPN 인증 서버(16)를 통한 VPN 인증 관리(M8) 영역이 필요하다.
또한, xDSL-VPN 서비스는 ADSL을 이용하므로, ADSL 서비스 구성 관리 시스템의 가입자 및 시설 원부 구축을 위한 가입자/시설 원부 관리(M7) 영역이 필요하다.
무선 인터넷(Wireless Internet) 서비스의 경우는 ADSL 회선을 통한 접속 회선 설치의 경우 ADSL 서비스와 같다.
그러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공공 장소에 무선 랜 접속을 위한 액세스 포인터(Access Pointer)(18)를 설치하고, 무선 인증 서버(20) 또한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업장은 무선 인증 서버(20)의 인증이 필요하고, 또한 액세스 포인터(18)의 관리가 필요하므로, 이를 위해 무선 인증 관리(M9) 영역과 액세스 포인터 관리(M10) 영역으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터(18)를 이용하여 무선 인증을 받아야 하므로 무선 인증 관리(M9) 영역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일부 관리 영역만 관장하는 구성 관리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수용하기에는 추가적으로 복잡한 관리 영역이 구성되어야 함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고객의 서비스 오더를 받아서 수작업으로 영업 전산 시스템에 입력하면 구성 관리 시스템으로 그 오더를 전달하여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특정 서비스만을 고려한 구성 관리 시스템은, 각 관리 영역의 작업 관리를 자동으로 하지 못하고 수작업에 의존하여 처리함으로써 오더 처리의 지연 뿐 아니라 오더 자체의 누락이 발생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가 갖는 관리 영역을 도메인으로 그룹 지어 해당 도메인 내에서 관리 영역의 제어를 서비스 오더 유형별로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서비스 상품의 오더를 받아 해당 서비스를 도메인으로 규정하는 도메인 정의부, 서비스 상품별로 각 관리 영역의 범위 및 순서를 정하 고 조건에 따른 워크플로우의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프로세스 정의부, 상기 도메인 정의부와 상기 프로세스 정의부에서 정의된 서비스 상품의 도메인과 프로세스에 따라 프로세스를 작업 유형으로 분류하고 액티비티를 생성하는 오더 생성부, 상기 액티비티의 작업을 제어하고, 이를 위하여 전체 워크플로우를 여러 단계의 서브 워크플로우로 분할하여 생성하는 프로세스 제어부, 상기 프로세스 제어부에서 생성된 서브 워크플로우가 해당 관리 영역에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서브 프로세스 제어부, 상기 서브 프로세스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서브 워크플로우를 수행하여 해당 관리 영역을 연동하고 제어하는 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의 구성을 관리하는 워크플로우(Workflow) 관리 장치를 나타내며, 서비스 상품의 오더를 받아 해당 서비스를 도메인으로 규정하는 도메인 정의부(110), 서비스 상품별로 각 관리 영역의 범위 및 순서를 정하고 특별한 조건에 따른 전체 프로세스 제어의 순서를 정의하는 프로세스 정의부(120), 서비스 상품의 오더 유형 및 접속 서비스에 따라 미리 정의된 작업 유형으로 분류하는 오더 생성부(130), 오더를 각 관리 영역별로 워크플로우를 관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여러 단계의 서브 워크플로우로 분할하여 생성하는 프로세스 제어부(140), 각 관리 영역의 연동 및 관리를 제어하는 서브 프로세스 제어부(150), 해당 관리 영역을 연동하고 제어하는 관리부(160)를 구비한다.
도메인 정의부(110)는 사용자의 상품 청약 내용이 영업 전산 시스템으로부터 다양하게 수신되면 이때 수신되는 오더(원시 데이터)가 어떤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속하는 지에 따라 해당 접속 서비스를 도메인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도메인은 서비스 상품별로 미리 지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ADSL 접속 서비스에 속하는 상품의 오더가 영업 전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면 이는 ADSL 접속 서비스에 속하는 도메인에 속한다.
반면, ADSL 접속 서비스에 속하지 않는 다른 상품의 오더가 입력되면 이것은 ADSL 접속 서비스만 속하는 관리 영역에서는 ADSL 접속 서비스의 해지를 의미한다.
또한, 일부 관리 영역은 여러 서비스에 속해 있는데 이를 식별하기 위하여 도메인은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다.
예를 들어 ADSL 접속 서비스나 이더넷(Ethernet) 접속을 같은 인증 서버에서 취급한다고 하더라도 각각의 인증 방법은 각각 별도이므로 도메인 구분인 반드시 필요하다.
프로세스 정의부(120)는 서비스 상품별로 각 관리 영역의 범위 및 순서를 정하고 특별한 조건에 따른 전체 워크플로우의 프로세스 제어 순서를 정의한다.
워크플로우 프로세스는 일련의 단위 업무, 즉 액티비티(Activity)로 구성되며, 프로세스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액티비티 정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액티비티 정의에서는 액티비티의 구성 요소인 참여자(사람, 에이전트(Agent) 등의 객체), 자원, 내용(액티비티 수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혹은 액티비티의 수행 사항의 지시 내용)을 정의한다.
액티비티가 모두 정의되면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경로, 즉 액티비티 수행 경로(Routing Path)를 정의하고, 경로 결정 시 사용될 관계 데이터들을 정의한다.
프로세스 처리에 사용되는 데이터들이 정의되면, 각각의 액티비티에서 어떠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수행할 것인가 하는 연관 관계를 정의한다.
액티비티와 이들의 수행 경로, 그리고 액티비티 수행 시 사용될 데이터들의 정의를 마치면 하나의 워크플로우 프로세스가 완성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정의는 도메인에 따라 오더 유형, 오더의 현재 상태, 수행 타입, 다음 행위, 조건으로 이루어진다.
오더 유형은 신규 가입, 해지, 전입, 전출, 기타 변경, 이용 정지, 부활 등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오더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예는 시작, 변경, 이용 정지, 부활, 해지 등으로, 각 관리 영역별, 오더 유형별로 관리 영역에 대한 전체 흐름의 제어와 그 결과 대기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오더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예로서, 신규 작업 생성, 신규 청약 전송, 신규 청약 결과 대기, 신규 원부 관리, 신규 결과 통보, 해지 작업 생성, 해지 청약 전송, 해지 청약 결과 대기, 해지 청약 원부 관리, 해지 결과 통보, 종료 등이 있다.
수행 타입은 오더 유형 및 현재 상태에 따라 수행될 작업 과정의 수행 경로를 정의한 것으로, 이의 종류로는 순차적 라우팅, 병렬적 라우팅이 있다.
여기서 병렬적 라우팅에는 And-split, Or-split, Selective-split, And-merge, Or-merge, Selective-merge가 있다.
And-split은 분기가 일어나는 곳 이후의 흐름이 동시에 수행되어 해당 관리 영역과의 청약 전달이 모두 수행된 이후에 And-merge 되어 업무가 진행되는 경우를 의미하고, Or-split/Or-merge는 여러 가지 대안 흐름 중에서 하나 이상이 완료되면 이후의 업무를 진행시키는 것이다.
또한, And-split/Selective-merge는 분기가 일어나는 곳 이후의 흐름이 동시에 수행되었으나 특정 관리 영역에서만 완료되었을 때 업무를 진행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행위는 각 프로세스 정의의 순서에 있어서 수행 타입에 따라 다음의 조건이 맞는지를 확인하여 다음 행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상태로 오더의 프로세스를 진행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조건은 각 프로세스 정의의 순서에 있어서 특정한 조건 구문을 명시함으로써 해당 순서에서 조건에 따라 정해진 다음 행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오더 생성부(130)는 영업 전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오더를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한 프로세스 정의부(120)의 프로세스의 정의에 따라 프로세스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오더 유형을 부여하고 각종 조건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황을 판단하여 각 조건에 대한 변수 값을 할당한다.
이렇게, 영업 전산 시스템으로부터의 원시 오더를 워크플로우 관리가 가능하도록 오더 변환함으로써 프로세스 제어부(140)로 하여금 상황에 맞는 제어 명령을 각 관리 영역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더 생성부(130)는 해당 청약이 어느 영역에 속하는 지 도메인 정의부(110)를 참조하여 도메인을 규정한다.
이러한 오더 생성부의(130) 작용을 거치면 오더는 프로세스 제어부(140)에 의해 각 관리 영역별로 워크플로우를 관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액티비티로 생성된다.
프로세스 제어부(140)는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이 프로세스 정의에 정해진 대로, 오더 생성부(130)가 설정해 놓은 도메인, 오더의 유형 및 조건 값들에 따라, 작업의 순차적, 분열, 합병 등을 통해 조율하면서 정상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영업 전산 시스템으로부터 받은 오더가 완료될 때까지 여러 단계의 서브 워크플로우로 분할하여 각 서브 워크플로우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서브 워크플로우를 생성한다.
서브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것은 순차적, 병렬적으로 생성이 가능하다.
이렇게 생성된 서브 워크플로우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서브 프로세스 제어부(150)에서 관련 명령을 검색하여 각 관리 영역의 연동 및 제어를 담당하는 해당 관리부(160)를 제어하여 수행된다.
그리하여 서브 프로세스 제어부(150)는 해당 관리부(160)로 적절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시켜, 해당 연동 관리부(160)로 하여금 해당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관리부(160)는 가입자 댁내에 회선 구성 및 모뎀 설치 작업을 관리하는 댁내 작업 관리부(210), ADSL 가입자 집중 장치를 관리하는 가입자 장치 관리부(220),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을 관리하는 인증 관리부(230), 전화 교환기를 관리하는 전화국 사내 관리부(240), ATM 교환기를 관리하는 ATM 망 관리부(250), 각 망으로 접속을 시키는 접속 라우터를 관리하는 접속 라우터 관리부(260), 가입자 및 시설 원부 구축을 관리하는 가입자/시설 원부 관리부(270), VPN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을 관리하는 VPN 인증 관리부(280), 무선으로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을 관리하는 무선 인증 관리부(290), 무선 랜 접속을 위한 액세스 포인터를 관리하는 액세스 포인터 관리부(300)로 구성된다.
이러한 서브 프로세스 제어부(150)는 서브 프로세스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데, 이러한 서브 프로세스 장치는 복수 개로 운용될 수 있으며, 각 서브 프로세스 장치는 고유의 장치 번호와 함께 각 번호별로 담당하는 관리 영역의 리스트를 보유하여서 해당 서브 프로세스 제어부(150)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서브 프로세스 장치별 관리 영역 할당은,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이 초기화될 때 정해지며 이것은 필요에 따라 효율적 운용을 위해 가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브 프로세스 제어부(150)로부터 호출된 각 연동 관리부(160)는 특정 관리 영역에 속할 수도 있지만 공통 또는 다중 관리 영역에 속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도메인 정보, 청약 유형을 받아서 해당 도메인에 해당되는 오더 유형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의 서비스 공급에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프로세스 정의에 의한 유연한 관리 영역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나날이 다양화되고 복잡해지며 가입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의 구성 관리가 환경 변화에 유연하고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현 가능하게 된다.

Claims (12)

  1. 서비스 상품의 오더를 받아 해당 서비스를 도메인으로 규정하는 도메인 정의부,
    서비스 상품별로 각 관리 영역의 범위 및 순서를 정하고 조건에 따른 워크플로우의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프로세스 정의부,
    상기 도메인 정의부와 상기 프로세스 정의부에서 정의된 서비스 상품의 도메인과 프로세스에 따라 프로세스를 작업 유형으로 분류하고 액티비티를 생성하는 오더 생성부,
    상기 액티비티의 작업을 제어하고, 이를 위하여 전체 워크플로우를 여러 단계의 서브 워크플로우로 분할하여 생성하는 프로세스 제어부,
    상기 프로세스 제어부에서 생성된 서브 워크플로우가 해당 관리 영역에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서브 프로세스 제어부,
    상기 서브 프로세스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서브 워크플로우를 수행하여 해당 관리 영역을 연동하고 제어하는 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플로우의 프로세스 정의는 도메인에 따라 오더 유형, 오더의 현재 상태, 수행 타입, 다음 행위, 조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 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더 유형은 신규 가입, 해지, 전입, 전출, 기타 변경, 이용 정지, 부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더의 현재 상태는 신규 작업 생성, 신규 청약 전송, 신규 청약 결과 대기, 신규 원부 관리, 신규 결과 통보, 해지 작업 생성, 해지 청약 전송, 해지 청약 결과 대기, 해지 청약 원부 관리, 해지 결과 통보, 종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타입은 오더 유형 및 현재 상태에 따라 수행될 작업 과정의 수행 경로를 정의한 것으로, 이의 종류로는 순차적 라우팅, 병렬적 라우팅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행위는 각 프로세스 정의의 순서에 있어서 수행 타입에 따라 다음 의 조건이 맞는지를 확인하여 다음 행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상태로 오더의 프로세스를 진행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각 프로세스 정의의 순서에 있어서 특정한 조건 구문을 명시함으로써 해당 순서에서 조건에 따라 정해진 다음 행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비티는,
    상기 워크플로우의 프로세서의 단위 업무로,
    액티비티의 참여자, 자원, 내용과, 액티비티의 수행 경로, 경로 결정 시 사용될 관계 데이터, 각각의 액티비티에서 어떠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수행할 것인가 하는 연관 관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워크플로우의 생성은 순차적 생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워크플로우의 생성은 병렬적 생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로세스 제어부는,
    고유의 장치 번호와 함께 각 번호별로 담당하는 관리 영역의 리스트를 보유하는 서브 프로세스 장치에 의해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가입자 댁내에 회선 구성 및 모뎀 설치 작업을 관리하는 댁내 작업 관리부,
    ADSL 가입자 집중 장치를 관리하는 가입자 장치 관리부,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을 관리하는 인증 관리부,
    전화 교환기를 관리하는 전화국 사내 관리부,
    ATM 교환기를 관리하는 ATM 망 관리부,
    각 망으로 접속을 시키는 접속 라우터를 관리하는 접속 라우터 관리부,
    가입자 및 시설 원부 구축을 관리하는 가입자/시설 원부 관리부,
    VPN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을 관리하는 VPN 인증 관리부,
    무선으로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을 관리하는 무선 인증 관리부,
    무선 랜 접속을 위한 액세스 포인터를 관리하는 액세스 포인터 관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KR1020010086619A 2001-12-28 2001-12-28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KR100827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619A KR100827165B1 (ko) 2001-12-28 2001-12-28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619A KR100827165B1 (ko) 2001-12-28 2001-12-28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415A KR20030056415A (ko) 2003-07-04
KR100827165B1 true KR100827165B1 (ko) 2008-05-02

Family

ID=3221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619A KR100827165B1 (ko) 2001-12-28 2001-12-28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616B1 (ko) * 2004-06-10 2006-11-1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마크업 랭귀지 기반의 단일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070038492A1 (en) * 2005-08-12 2007-02-15 Microsoft Corporation Model for process and workflow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598A (ko) * 1997-12-31 1999-07-26 포만 제프리 엘 무상태 환경(stateless environment)을 위한 워크플로우 메커니즘
KR20010027323A (ko) * 1999-09-13 2001-04-06 서평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연동장치 관리 시스템
KR20010053864A (ko) * 1999-12-02 2001-07-02 이계철 계층구조 비동기식 전송 모드 통신망에서 최적경로 제공을위한 주 라우팅 장치 및 방법
KR20010078513A (ko) * 1999-12-20 2001-08-21 이계철 이종 통신망 관리에 대한 구성정보 현황 통합 표현 방법
KR20010091168A (ko) * 2000-03-13 2001-10-23 박종섭 통합 인터넷 프로토콜망에서 통합 가입자 서버의 기능적모델링을 통한 통합 가입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598A (ko) * 1997-12-31 1999-07-26 포만 제프리 엘 무상태 환경(stateless environment)을 위한 워크플로우 메커니즘
KR20010027323A (ko) * 1999-09-13 2001-04-06 서평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연동장치 관리 시스템
KR20010053864A (ko) * 1999-12-02 2001-07-02 이계철 계층구조 비동기식 전송 모드 통신망에서 최적경로 제공을위한 주 라우팅 장치 및 방법
KR20010078513A (ko) * 1999-12-20 2001-08-21 이계철 이종 통신망 관리에 대한 구성정보 현황 통합 표현 방법
KR20010091168A (ko) * 2000-03-13 2001-10-23 박종섭 통합 인터넷 프로토콜망에서 통합 가입자 서버의 기능적모델링을 통한 통합 가입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415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49324B (zh) 操作带有代理的开放api网络的方法和装置
US727264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provisioning virtual routers
CA2347304C (en) Broadband network service delivery method and device
EP1169834B1 (en) System controlling use of a communication channel
USRE42694E1 (en) Method and system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services
JP2004127315A (ja) 協調的セッションを実現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0701162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hybrid conferencing
WO2002098075A1 (fr) Systeme de communication par internet, procede de communication par internet, serveur de commande de session, adaptateur de communication, serveur de relais de communication et programme
CN101409685A (zh) 基于虚拟局域网映射的转发方法及接入设备
CN103095574A (zh) 网络系统的管理方法、网络系统以及管理服务器
WO2001035655A2 (en) A method for controlling one or more multipoint control units with one multipoint control unit
JP2007208711A (ja) 管理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4348724A (zh) 一种支持多租户的数据转发方法和装置
KR100814401B1 (ko) 유니캐스트 기반의 VoIP 시스템에서의 멀티캐스트 처리방법 및 시스템
CN1606312B (zh) 与sip和web系统协同工作的服务提供系统及其方法
WO2002063816A2 (en)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network traffic based upon application information
David et al. The ISDN Bandwagon is coming, but who will be there to climb aboard?: Quandaries in the economics of data communication networks
CN107911243B (zh) 网络优化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827165B1 (ko) 인터넷 접속 서비스별 도메인 기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US20050111440A1 (en) Network communications having endpoint device with automatic connection to IPBX
JPH0727498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文書管理方法
Cisco Cisco Systems Users Magazine
JP2006033106A (ja) サービス提供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
Cisco Packet, Fourth Quarter 1996
Cisco Cisco Systems Users Magaz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