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758B1 - Fishing reel and transmission system of fishing information - Google Patents

Fishing reel and transmission system of fishing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758B1
KR100826758B1 KR1020010080925A KR20010080925A KR100826758B1 KR 100826758 B1 KR100826758 B1 KR 100826758B1 KR 1020010080925 A KR1020010080925 A KR 1020010080925A KR 20010080925 A KR20010080925 A KR 20010080925A KR 100826758 B1 KR100826758 B1 KR 100826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shing
reel
displa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9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48909A (en
Inventor
요시카와마사히로
쿠리야마히로아키
타나베히토시
히토미야스히로
노무라마사카즈
카와베유우조
나카지마히데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84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4500438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6643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62739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928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00111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928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00110A/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20048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9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7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Abstract

[과제] 표시부를 가지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릴에 설치된 검출 수단에 근거한 정보 이외의 각종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Problem] In the fishing reel having a display por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obtain various information other than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ction means provided on the reel.

[해결 수단] 전동 릴은, 낚싯대에 장착된 릴에 있어서, 릴 본체(1)와, 스풀(10)과, 표시 장치(4)와, 통신 제어부(50)와, 통신 인터페이스(interface; I/F)(51) 및 주 제어부(30)를 포함하고 있다. 릴 본체(1)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것이다. 스풀(10)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을 권취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장치(4)는, 릴 본체에 장착되고, 각종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통신 I/F는,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휴대 전화(52)를 접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통신 제어부(50) 및 주 제어부(30)는, 휴대 전화(52)로부터 얻은 정보를 표시 장치(4)에 표시시키는 것이다. [Remedy] The electric reel includes a reel main body 1, a spool 10, a display device 4,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50,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in a reel mounted on a fishing rod. F) 51 and the main control part 30 are included. The reel unit 1 is attached to a fishing rod. The spool 10 is for winding a fishing line rotatably attached to the reel unit 1. The display device 4 is mounted on the reel unit and can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I / F can connect the cellular phone 52 which can collect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0 and the main control unit 30 cause the display device 4 to display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obile phone 52.

낚시용 릴, 낚시 정보, 낚시 정보 전송 시스템, 통신, 표시 장치.Fishing reel, fishing information, fish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communication, display device.

Description

낚시용 릴 및 낚시 정보 전송 시스템{FISHING REEL AND TRANSMISSION SYSTEM OF FISHING INFORMATION}FISHING REEL AND TRANSMISSION SYSTEM OF FISHING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동 릴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re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전동 릴의 제어 블럭도.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reel;

도 3a 및 도 3b는 통신 모드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3A and 3B show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in the communication mode.

도 4는 메인 루틴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main routine;

도 5는 키 입력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5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ents of key input processing;

도 6은 낚시 모드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in fishing mode;

도 7은 각동 동작 모드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7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ents of the angle operation mode processing;

도 8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8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of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도 1에 상당하는 도면.Fig. 9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1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제2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10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1a 및 도 11b는 통신 모드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11A and 11B show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in a communication mode.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도 1에 상당하는 도면.Fig. 12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1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제3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Fig. 13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of the third embodiment.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도 1에 상당하는 도면.14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1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상기 낚시용 릴의 정면도. 15 is a front view of the fishing reel;                 

도 16은 상기 낚시용 릴의 평면도.16 is a plan view of the fishing reel;

도 17은 상기 낚시용 릴의 제2 부재를 개방하였을 때의 측면도.Fig. 17 is a side view when the second member of the fishing reel is opened;

도 18은 상기 낚시용 릴의 제2 부재를 닫았을 때의 측면도.18 is a side view when the second member of the fishing reel is closed;

도 19는 표시부 주변의 확대도.19 is an enlarged view around the display unit;

도 20은 상기 낚시용 릴의 제어 블럭도.20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fishing reel.

도 21은 조석 시간표 모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확대도.21 is an enlarged view of a display unit in the tidal time schedule mode;

도 22는 기상 정보 모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확대도.22 is an enlarged view of a display unit in a weather information mode;

도 23은 배터리 모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확대도.23 is an enlarged view of a display unit in a battery mod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릴 본체 4: 표시 장치1: reel body 4: display device

4a: 제1 부재 4b: 제2 부재4a: first member 4b: second member

5: 표시부 10: 스풀5: display part 10: spool

30: 주 제어부 50, 154: 통신 제어부30: main control unit 50, 154: communication control unit

51: 통신 I/F 52: 휴대 전화51: communication I / F 52: mobile phone

55: 통신 단말 장치 56: 전원 케이블55: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56: power cable

57: 전원 72: 전파 시계57: power source 72: radio clock

73: GPS 74: 통신 단말 장치73: GPS 74: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81: 내부 전지 151: 무선 송수신부81: internal battery 151: wireless transceiver

152: 어군 탐지기 153: GPS152: fish finder 153: GPS

251, 255: 정보 중첩 취출부 251a: 고정 밴드 251 and 255: information overlapping extraction section 251a: fixed band                 

260: 낚시 정보 전송 시스템 ER: 전동 릴260: fish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ER: electric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 특히, 낚싯대에 장착되고 각종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reel, particularly a fishing reel mounted on a fishing rod and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낚시용 릴, 특히 배낚시에 사용되는 릴에는, 카운터로 불리는, 수심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카운터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고 있으며, 릴에 설치된 검출 수단으로 얻은 정보에 근거하여 장비의 수심이나 어군(魚群) 위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장으로부터 어군의 위치가 제공되면 그것을 릴에 설정하고, 카운터에 어군 위치가 표시된다. 또한 릴에 따라서는, 장비가 어군 위치에 배치되면 낚싯줄의 투입이 자동적으로 정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도 있다.A fishing reel, especially a reel used for boat fishing, is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depth of water, called a counter. The counter use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can display the depth of the equipment, the fish group position, and the like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detection means provided in the reel. When the position of the fish group is provided from the captain, it is set on the reel, and the position of the fish group is displayed on the counter.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reel, the fishing line may be stopped automatically when the equipment is placed in the fishing position.

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어군 위치나 장비의 수심 외에 조수간만에 관한 정보나, 그 낚시터에서의 최근의 낚시의 성과나 조류의 방향이나 속도의 정보와 같은 각종의 낚시 정보를 알면 더욱 편리하다. 이러한 정보는, 종래, 배의 선장이나 각종의 낚시 정보지를 통해 낚시꾼들에게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In the case of fishing, it is more convenient to know various fishing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on tidal tide as well as the fishing position and the depth of the equipment, recent fishing performances on the fishing ground, and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and speed of birds. Such information is often provided to anglers through ship captains and various fishing information magazines.

예를 들어, 낚싯배에는, 어군 탐지기나 전지구 측위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등의 낚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정보 수집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선장은, 이러한 정보 수집 장치로 수집한 낚시 정보를 낚시꾼 에게 구두로 제공하고 있다.For example, a fishing boat is equipped with the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which can collect the information regarding fishing, such as a fish finder and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he captain verbally provides the angler with the fish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is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상기 종래의 표시 장치를 가지는 낚시용 릴에서는, 표시되는 정보가 낚시용 릴에 설치된 각종의 검출 수단에 근거하는 정보에 한정된다. 이 때문에, 검출 수단에 근거하는 정보 이외에, 선장으로부터 알게되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의 정보를 낚시꾼이 개인적으로 얻는 것은 곤란하다.In the fishing reel having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the information displayed is limited to the information based on various detection means provided in the fishing reel.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for an angler to personally obtain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such as what is known from a captain,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based on a detection means.

또한, 선장으로부터 알려지는 어군 위치 등의 낚시 정보는, 어군의 이동에 의하여 변화하는 것이 있다. 이 변화를 신속히 아는 것이 낚시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표시 장치를 가지는 낚시용 릴에서는, 표시되는 정보가 낚시용 릴에 설치된 각종의 검출 수단에 근거하는 정보에 한정된다. 이 때문에, 검출 수단에 근거하는 정보 이외에 선장으로부터 알게되는 것과 같은 낚시 정보를 리얼 타임으로 얻는 것은 곤란하다.Moreover, fishing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of a fish group known from the captain, may change with the movement of a fish group. Knowing these changes quickly is important for improving fishing performance. However, in the fishing reel having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the displayed information is limited to information based on various detection means provided on the fishing reel. For this reason,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ction means, it is difficult to obtain fishing information such as that which is known from the captain in real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기를 가지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릴에 설치된 검출 수단에 근거하는 정보 이외의 여러 가지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fishing reel having an indicator to easily obtain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ther than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ction means provided on the ree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기를 가지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낚싯배에 탑재된 정보 수집 수단으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신속히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fishing reel having an indicator to quickly obtain fishing information from an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mounted on a fishing boat.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에 있어서, 릴 본체와, 스풀과, 표시기와, 정보 획득 수단 및 정보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릴 본체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것이다. 스풀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을 권취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기는, 릴 본체에 장착되고, 각종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이다. 정보 획득 수단은, 표시기에 표시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수단이다. 정보 표시 수단은, 정보 획득 수단으로 획득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정보를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수단이다.A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el main body, a spool, a display unit,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nd information display means in a reel mounted on a fishing rod. The reel unit is attached to a fishing rod. The spool is for winding a fishing line that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reel unit. The indicator is a means which is attached to the reel unit and can displa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cquiring means is means capable of acquiring one or a plurality of external information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is means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one or a plurality of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이러한 낚시용 릴에서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나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용 정보 휴대 기기와 같은 정보 단말 장치 또는 배에 탑재된 GPS나 어군 탐지기로부터의 외부 정보가 정보 획득 수단에 의해 획득되어, 표시기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할 수 있으므로, 릴에 설치된 검출 수단에 근거하는 정보 이외의 여러 가지의 정보를 낚시꾼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In such a fishing reel, external information from, for example, a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ersonal information portable device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or a GPS mounted on a boat or a fish finder is obtained by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nd displayed on an indicator. It is possible to be. Here, sinc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can be obtained and displayed, an angler can easily obtain various information other than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ction means provided in the reel.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릴에 있어서, 정보 획득 수단은, 외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정보 단말 장치를 접속시킬 수 있는 단말 장치 접속 수단을 포함하고, 정보 표시 수단은, 정보 단말 장치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를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단말 정보 표시 수단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단말 장치 접속 수단에 접속하면, 정보 단말 장치에서 수집된, 예를 들어 인터넷에 공개된 각종의 정보를 단말 장치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하여 표시기에 표시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정보 단말 장치를 접속시킬 수 있게 하여 정보 단말 장치로 얻어진 정보를 표시기에 표시시킬 수 있게 하였으므로, 릴에 설치된 검출 수단에 근거하는 정보 이외의 여러 가지의 정보를 낚시꾼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In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btaining means includes a terminal device connecting means capable of connecting a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external information. 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has terminal information display means which causes the display to display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In this case, when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connecting mean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for example, published on the Interne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by th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ans.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can be connected so that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o that the fisherman can easily obtain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ther than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ction means provided in the reel. .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릴에 있어서, 정보 단말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수단과,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정보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정보 단말 장치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죠이스틱 등의 조작 부재를 조작하면, 정보 단말 장치 제어 수단에 의해 정보 단말 장치가 제어되고 정보 단말 장치의 조작을 릴 측에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보 단말 장치를 조작하는 일 없이 각종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reel for fishing which concerns on the 3rd aspect of this invention WHEREIN: The control means which can operate a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in the reel of the 2nd aspect of the said invention, and controls a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operation of an operation means.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means.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an operation member such as a joystick is operated,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is controlled by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ans, and th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can be performed on the reel side. For this reason,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without operating a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3 형태의 릴에 있어서, 조작 수단이, 음성에 의해 조작 가능한 음성 조작 수단이고, 정보 단말 장치 제어 수단은, 음성 조작 수단에 의한 조작으로 정보 단말 장치를 제어한다. 이 경우에는, 음성에 의해 정보 단말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낚시를 하고 있을 때에도 손으로 조작하는 일 없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eans is a voice operation means that can be operated by voice,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means is a voice operation means.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by. In this case, since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can be controlled by voice,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even without fishing by hand even when fishing.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릴에 있어서, 정보 단말 장치는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이동 전화이다. 이 경우에는, 널리 보급되어 있는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개인용 휴대 전화 시스템(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에 의한 휴대 전화나 디지탈 휴대 전화 등의 이동 전화를 릴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에 공개된 낚시터 정보나 기상 정보 등을 간단하게 입수할 수 있다.A fishing reel 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el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s a mobile telephon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In this case, a mobile phon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digital mobile phone using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which can be widely connected to the Internet, can be connected to the reel. Information can be obtained easily.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에 있어 서, 릴 본체와, 스풀과, 표시기와, 정보 단말 장치와, 단말 장치 정보 표시 수단과, 조작 수단 및 정보 단말 장치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릴 본체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것이다. 스풀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낚싯줄을 권취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기는, 릴 본체에 장착되고, 각종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이다. 정보 단말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이다. 단말 장치 정보 표시 수단은, 정보 단말 장치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수단이다. 조작 수단은, 정보 단말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수단이다. 정보 단말 장치 제어 수단은,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정보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수단이다.A fishing reel 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el attached to a fishing rod, including a reel unit, a spool, an indicator, a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 terminal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ans, an operation means, and a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means. The reel unit is attached to a fishing rod. The spool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reel unit and winds up a fishing line. The indicator is a means which is attached to the reel unit and can displa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s a terminal device that can collect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Th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ans is obtain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Mean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display. The operation means is a means capable of operating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means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ans.

이 낚시용 릴에서는, 릴에 설치된 정보 단말 장치로 수집된, 예를 들어 인터넷에 공개된 각종의 정보를 단말 장치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기에 표시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릴에 정보 단말 장치를 설치하여 정보 단말 장치로 얻은 정보를 표시기에 표시시킬 수 있게 했으므로, 정보 단말 장치를 릴에 접속하지 않고서 릴에 설치된 검출 수단에 근거하는 정보 이외의 여러 가지의 정보를 낚시꾼이 얻을 수 있다.In this fishing reel, variou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installed in the reel, for example, published on the Interne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the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ans. In this case, since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is installed in the reel so that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ther than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ction means provided in the reel without connecting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to the reel. The angler can get it.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2 또는 제6 형태의 릴에 있어서, 정보 단말 장치는, 인터넷 상에서 공개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널리 보급된 인터넷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낚시꾼의 니즈(needs)에 맞는 정보를 수집하기 쉬워진다. 또한, 릴 제작사의 홈 페이지의 주소를 설정해 둠으로써, 낚시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최신의 제어 프로그램이나 최신의 제품 정보 등의 릴 제작사로부터의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게 된다. In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second or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an collect information disclosed on the Internet. In this case, since the Internet information which is widely spread can be collected, it becomes easy to collect the information which suits the needs of an angler. In addition, by setting the address of the home page of the reel manufacturer, not only the fishing information but also the information from the reel manufacturer such as the latest control program and the latest product information can be downloaded.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릴에 있어서, 스풀에 권취되는 낚싯줄에 연결된 장비의 수심을 계측할 수 있는 수심 계측 수단과, 수심 계측 수단으로 계측된 수심을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수심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장비의 수심도 표시되므로, 한층 더 낚시 정보가 풍부해진다.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el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reel for fishing includes a depth measuring means capable of measuring the depth of equipment connected to a fishing line wound on a spool, and a depth measuring means. And depth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measured depth on the indicator. In this case, since the depth of the equipment is also displayed as in the prior art, the fishing information is further enriched.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6 형태의 릴에 있어서, 표시기는, 도트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이 경우에, 계조(gradation)나 색조 등에 의해 다채로운 표현이 가능하게 되므로, 많은 정보를 보다 표시하기 쉬워진다.A fishing reel according to a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el of the first or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ndicator is a dot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this case, various expressions are possible due to gradation, color tone, or the like, which makes it easier to display a lot of information.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릴에 있어서, 정보 획득 수단은, 하나 또는 복수의 낚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정보 수집 수단을 가지는 낚싯배로 수집된 하나 또는 복수의 낚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정보 표시 수단은 정보 획득 수단으로 획득된 하나 또는 복수의 낚시 정보를 표시기에 표시하는 것이다.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el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nformation obtaining means is collected by a fishing boat having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capable of collecting one or a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one or a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wherein 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is to display on the display one or a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nformation obtaining means.

이 경우에는, 낚싯배에 탑재된 정보 수집 수단으로 얻을 수 있는 낚시 정보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한 정보 획득 수단에 의해 획득된다. 획득된 낚시 정보는,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기에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낚싯배의 정보 수집 수단으로 수집된 낚시 정보가 낚시꾼의 릴 낚시용 릴에 표시되므로, 낚싯배에 탑재된 정보 수집 수단으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신속히 얻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shing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mounted on the fishing boat is obtained by the information obtaining means using, for example, wired or wireless. The obtained fish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by 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Here, since the fish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fishing vesse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is displayed on the reel fishing reel of the angler, fishing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mounted on the fishing boat can be quickly obtained.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0 형태의 릴에 있어서, 낚시 정보는, 전원으로부터 전원 케이블을 거쳐서 공급되는 전력에 중첩하여 송신되고, 정보 획득 수단은 정보 수집 수단으로 수집되고 전력에 중첩된 낚시 정보를 취출(取出)한다. 이 경우에는, 전원 케이블을 거쳐서 보내진 전력에 중첩된 낚시 정보가 정보 획득 수단에 의해 취출된다. 취출된 낚시 정보는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기에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낚시 정보가 중첩된 전력으로부터 낚시 정보를 취출하도록 하였으므로, 전원 케이블 이외에 여분의 배선이 불필요하게 되며, 동시에, 낚싯배의 정보 수집 수단으로 수집된 낚시 정보가 표시기에 표시되므로, 낚싯배에 탑재된 정보 수집 수단으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신속히 얻을 수 있다.In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el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sh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be superimposed on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via the power cable, and the information acquiring means is information. The fish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llecting means and superimposed on the electric power is taken out. In this case, fishing information superimposed on the electric power sent via the power cable is taken out by the information acquiring means. The retrieved fish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by 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Here, since fishing information is taken out from the electric power in which fishing information was superimposed, extra wiring other than a power cable is unnecessary, and at the same time, the fish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fishing boat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Fishing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can be obtained quickly.

본 발명의 제12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1 형태의 릴에 있어서, 정보 획득 수단은, 릴 본체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고, 전원 케이블을 접속시킬 수 있는 커넥터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정보 획득 수단을 릴 본체의 외부에 설치하였으므로, 릴을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정보 획득 수단의 장착이 용이하다.In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twel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el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acquiring means is attached to a distal end of the cable extending from the reel unit and can connect a power cable. It has a connector part. In this case, since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is provided outside the reel unit, the reel can be kept compact and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can be easily attached.

본 발명의 제13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2 형태의 릴에 있어서, 정보 획득 수단은 낚싯대에 계지(engagement)할 수 있는 낚싯대 계지부(係止部)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 정보 획득 수단을 릴 본체의 외부에 설치하더라도, 정보 획득 수단이 낚시 동작의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A fishing reel according to a thi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el of the twel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nformation obtaining means has a fishing rod locking portion that can engage the fishing rod. . In this case, even if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is provided outside the reel unit,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shing operation.

본 발명의 제14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0 또는 제11 형태의 릴에 있어서, 정보 표시 수단은, 복수의 낚시 정보 중 임의의 어느 것 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수단을 가진다. 이 경우에, 복수의 낚시 정보 중 임의의 어느 것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낚시 정보를 적확하게 알 수 있다.In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fou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tenth or el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includes a selection means capable of selecting any of a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Have In this cas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can be selected, so that the fishing information can be known accurately.

본 발명의 제15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4 형태의 릴에 있어서, 복수의 낚시 정보는, 낚싯배에 탑재된 어군 탐지기로부터 얻을 수 있는 어군의 위치, 어군의 상황 및 어군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제1 낚시 정보와, 낚싯배에 탑재된 전지구 측위 시스템(GPS)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현재 위치 및 낚시터를 나타내는 제2 낚시 정보이고, 선택 수단은, 제1 낚시 정보와 제2 낚시 정보중 임의의 어느 것을 선택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어군 탐지기로 수집된 물고기에 관한 제1 낚시 정보와 GPS로부터 얻어진 위치에 관한 제2 낚시 정보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A fishing reel according to a fif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el of the fou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includes a position of a fish group, a fish group situation, and the like, which can be obtained from a fish finder mounted on a fishing boat. First fish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sh group and second fish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fishing ground obtained from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unted on the fishing boat, and the selecting means is the first fish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fishing. Any one of the information can be select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display the first fishing information about the fish collected by the fish group detector and the second fishing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btained from the GPS.

본 발명의 제16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0 또는 제11 형태의 릴에 있어서, 정보 표시 수단은, 복수의 낚시 정보를 표시기에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한다. 이 경우에, 복수의 낚시 정보가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되므로, 많은 정보를 한 번에 인식할 수 있다.In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six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tenth or el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displays a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on one screen. In this case, since a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one screen, a lot of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at once.

본 발명의 제17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릴에 있어서, 스풀에 권취되는 낚싯줄에 연결된 장비의 수심을 계측할 수 있는 수심 계측 수단과, 수심 계측 수단으로 계측된 수심을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수심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종래와 같이 장비의 수심도 표시되므로, 한층 더 낚시 정보가 풍부해진다.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seven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el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reel for fishing includes a depth measuring means capable of measuring the depth of equipment connected to a fishing line wound on a spool, and a depth measuring means. And depth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measured depth on the indicator. Since the depth of the equipment is also displayed as before, the fishing information is further enriched.

본 발명의 제18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릴에 있어서, 현재의 일시를 산출하는 일시 산출 수단과, 일시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일시를 표시하는 일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한다.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eigh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el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date and time display means for calculating a current date and time and a date and time calculated by the date and time calculation means are displayed. It further comprises means.

이 낚시용 릴에는, 현재의 일자나 시각(時刻) 등의 일시를 산출하는 일시 산출 수단과, 그 산출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된 일시 표시 수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에 현재의 일시를 표시시키는 것에 의하여, 일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The fishing reel has a date and time calculation means for calculating a date and time such as a current date and time, and a date and time display mean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displaying the calculation result. Therefore, the date and time can be easily recognized by displaying the current date and time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의 제19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8 형태의 릴에 있어서, 정보 획득 수단은, 현재의 일시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일시 취득 수단을 가진다. 이 경우, 현재의 일시를 외부의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것에 의하여 정확한 일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nine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eigh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acquiring means includes date and time acquiring means for acquiring a current date and time from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accurate date and time can be maintained by acquiring the current date and time from an external server.

본 발명의 제20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9 형태의 릴에 있어서, 일시 취득 수단은 외부로부터 발신된 시각 정보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하여 현재의 일시를 취득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발신된 시각 정보를 가지는 무선 신호로서, 전파 시계에 이용되는 표준 전파나, 휴대 전화나 라디오의 시보 등을 이용하여 시각을 자동적으로 보정할 수가 있으므로, 정확한 일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twentie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el of the nine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date / time acquisition means acquires a current date and time by receiving a radio signal having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do. In this case, for example, as a radio signal having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 time can be automatically corrected using a standard radio wave used for a radio clock, a time signal of a mobile phone or a radio, etc. I can keep it.

본 발명의 제21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8 형태의 릴에 있어서, 현재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GPS나 휴대 전화의 위치 정보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현재의 낚시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위치 정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twenty-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position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current position in the reel of the eigh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positional information can be easily recognized by display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fishing ground using, for example, a GPS or a positional information service of the mobile phone.                     

본 발명의 제22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21 형태의 릴에 있어서, 상기에 더하여 현재의 위치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위치 취득 수단을 포함한다.A fishing reel according to a twenty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twenty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 acquiring means for acquiring a current position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o the above.

본 발명의 제23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22 형태의 릴에 있어서, 위치 취득 수단은 외부로부터 발신되는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현재의 위치를 취득한다.A fishing reel according to a twenty-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el of the twenty-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position acquiring means acquires the current position by receiving a radio signal having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do.

본 발명의 제24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21 형태의 릴에 있어서, 상기에 더하여 현재의 일시 및 현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석 시간표를 표시하는 조석 시간표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간조 및 만조의 시각이나 조석의 상태, 조수의 높이 등의 조석 시간표를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조석 시간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A fishing reel according to a twenty-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twenty-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ide timetabl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tidal timetable corresponding to a current date and time and a current position. do. In this case, the tidal timetable can be easily recognized by, for example, displaying a tidal time table such as the time of low tide and high tide, the state of tides, and the height of the tides.

본 발명의 제25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21 형태의 릴에 있어서, 낚시용 릴은 기상 정보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 기상 정보 표시 수단은 현재의 일시 및 현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를 표시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낚시터의 날씨나 파도의 높이 등을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기상 정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A fishing reel according to a twenty-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el of the twenty-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shing reel further includes weather information display means, and the weather information display means includes: Display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weather information can be easily recognized by displaying the weather of the fishing ground, the height of the waves, and the like.

본 발명의 제26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8 형태의 릴에 있어서, 릴 본체에 설치된 내부 전지의 사용 개시 일시를 취득하는 사용 개시 일시 취득 수단과, 사용 개시 일시와 현재의 일시에 근거하여 내부 전지의 사용 경과 일시를 산출하는 사용 경과 일시 산출 수단과, 사용 경과 일시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사용 경과 일시를 표시하는 사용 경과 일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내부 전지를 교환 또는 충전한 사용 개시 일시를 기억하여, 내부 전지의 사용 경과 일시를 표시시키는 것에 의해, 내부 전지의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twenty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sage start date and time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the usage start date and time of the internal battery installed in the reel unit according to the reel of the eigh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use elapsed date and time calculation means for calculating the elapsed use date and time of the internal battery based on the current date and time, and use elapsed date and tim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elapsed use date and time calculated by the use elapsed date and time calculation means. In this case, the state of the internal battery can be easily recognized by storing the use start date and time when the internal battery is replaced or charged, and displaying the elapsed date and time of use of the internal battery.

본 발명의 제27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26 형태의 릴에 있어서, 사용 경과 일시가 소정(所定)의 일시를 초과하면 경고 표시를 하는 경고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내부 전지의 교환이나 충전의 촉진 등의 경고를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내부 전지의 사용 불능 상태를 회피할 수가 있다.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twenty-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arning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warning in the reel of the twenty-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lapsed date of use exceeds a predetermined date and time. . In this case, an unusable state of the internal battery can be avoided by displaying a warning such as replacement of the internal battery or promotion of charging.

본 발명의 제28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 정보 전송 시스템은, 하나 또는 복수의 낚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낚싯배로부터 낚싯배에서 낚시용 릴을 이용해 낚시를 하는 낚시꾼에게 낚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 케이블과, 정보 중첩 수단과, 정보 취출(取出) 수단과, 표시기 및 정보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전원 케이블은, 낚시용 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과 낚시용 릴을 전기적으로 접속해 낚시용 릴에 전원의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정보 중첩 수단은, 전원 케이블의 전원 측에 접속되어, 전원 케이블로부터 낚시용 릴에 공급되는 전력에 낚시 정보를 중첩하기 위한 수단이다. 정보 취출 수단은, 전원 케이블의 낚시용 릴 측 또는 낚시용 릴에 설치되어, 전력에 중첩된 낚시 정보를 취출하는 수단이다. 표시기는, 낚시용 릴 또는 낚시용 릴의 근방에 설치되고 각종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이다. 정보 표시 수단은, 정보 취출 수단으로 취출된 낚시 정보를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수단이다.A fish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 twenty-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transmitting fishing information from a fishing boat capable of collecting one or a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to an angler fishing by using a fishing reel on a fishing boat, And a power supply cable, information superimposing means, information extracting means, indicator and information display means. The power cable electrically connect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a fishing reel and a fishing reel to supply power to the fishing reel. The information superimposing means is means for superimposing fishing information on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cable to the fishing reel from the power cable. The information extracting means is provided on the fishing reel side or the fishing reel of the power cable and is means for extracting fishing information superimposed on the electric power. The indicator is a mean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a fishing reel or a fishing reel and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is a means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the fishing information taken out by the information extraction means.

이 낚시 정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원 케이블이 정보 중첩 수단에 접속되 고, 낚싯배에서 수집된 낚시 정보는, 정보 중첩 수단에 의해 전원 케이블의 전력에 중첩된다. 이 낚시 정보가 전원 케이블을 거쳐서 정보 취출 수단으로 전송되고, 거기에서 낚시 정보가 취출된다. 취출된 낚시 정보는 정보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기에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전원 케이블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낚시 정보를 중첩해 낚시용 릴로 전송하고 있으므로, 전원 케이블 이외에 여분의 배선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낚싯배로 수집된 낚시 정보를 배선이 뒤엉키는 일 없이 낚시꾼에게 전송할 수 있다.In this fish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 power cable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superimposing means, and the fish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fishing boat is superimposed on the power of the power cable by the information superimposing means. This fish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extraction means via a power cable, and fishing information is taken out there. The retrieved fish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by 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Here, since fishing information is superimposed on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cable and transmitted to a fishing reel, extra wiring other than a power supply cable is unnecessary. For this reason, the fish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fishing boat is not entangled in wiring. Can be sent to the angler.

본 발명의 제29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 정보 전송 시스템은, 상기 본 발명의 제28 형태의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표시 수단은, 복수의 낚시 정보 중 임의의 어느 것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낚시 정보 중 임의의 어느 것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낚시 정보를 적확하게 알 수 있다.In the fish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twenty-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ystem of the twenty-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includes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ny of a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In this cas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can be selected, so that the fishing information can be known accurately.

본 발명의 제30 형태에 관련되는 낚시 정보 전송 시스템은, 상기 본 발명의 제29 형태의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낚시 정보는, 낚싯배에 탑재된 어군 탐지기로부터 얻을 수 있는 어군의 위치, 어종, 사이즈, 어군의 상황 및 어군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제1 낚시 정보와, 낚싯배에 탑재된 전지구 측위 시스템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현재 위치 및 낚시터를 나타내는 제2 낚시 정보이고, 선택 수단은, 제1 낚시 정보와 제2 낚시 정보중 임의의 어느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어군 탐지기로 수집된 물고기에 관한 제1 낚시 정보와 GPS로부터 얻어진 위치에 관한 제2 낚시 정보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가 있다.The fish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tie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ystem of the twenty-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includes a position, a species, and a size of a fish group that can be obtained from a fish group detector mounted on a fishing boat. And first fish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situation of the fish group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sh group, and second fish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fishing ground which can be obtained from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mounted on the fishing boat, and the selecting means is the first fishing information and the first fishing information. Any one of 2 fishing information can be selected. In this case, the first fishing information about the fish collected by the fish group detector and the second fishing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btained from the GPS can be selected and displayed.

[제1 실시예] [First Embodiment]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릴인 전동 릴은, 표시부(5)를 가지는 릴이다. 전동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를 조정하기 위한 스타 드래그(3) 및 릴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개폐식의 표시 장치(4)를 포함하고 있다.In FIG. 1, the electric reel which is a fishing reel which concerns on the 1st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a reel which has the display part 5. As shown in FIG. The electric reel adjusts the reel main body 1, the handle 2 for rotating the spool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eel main body 1, and the drag arranged on the reel main body 1 side of the handle 2. And a retractable display device 4 provided above the reel main body 1 and the star drag 3.

릴 본체(1)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것이고, 좌우 한 쌍의 측판(7a, 7b)과 그것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8)로 구성된 프레임(7)과, 프레임(7)의 좌우를 덮는 좌우의 측면 커버(9a, 9b)를 가지고 있다. 핸들(2) 측의 측면 커버(9b)에는, 핸들(2)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측면 커버(9a)에는, 휴대 전화(52)를 장착하기 위한 전화 장착부(9c)가 장착되어 있다. 뒷부분의 연결부(8)의 측판(7a) 측에는 외부 전원 접속용의 커넥터 코드(19)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코드(19)는, 예를 들어, 1 m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고, 선단에 전원 코드 접속용 커넥터(19a)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의 연결부(8)에는 낚싯대 장착용의 장대 장착 다리(8a)가 장착되어 있다.The reel unit 1 is mounted to a fishing rod, and cover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7 and the frame 7 includ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7a and 7b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8 connecting them. The left and right side covers 9a and 9b are provided. A rotating shaft (not shown) of the handle 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ide cover 9b on the handle 2 side. The side cover 9a is also equipped with a telephone mounting portion 9c for mounting the mobile telephone 52. The connector cord 19 for external power supply connection is provided in the side plate 7a side of the connection part 8 of the back part. The connector cord 19 has a length of about 1 m, for example, and a connector 19a for connecting a power cord is provided at the tip. The rod connecting leg 8a for rod attachment is attached to the lower connection part 8.

릴 본체(1)의 내부에는, 핸들(2)에 연결된 스풀(1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10)의 내부에는, 스풀(10)을 낚싯줄을 감아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측면 커버(9b)의 핸들(2) 측 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레버(11)와, 모터(12)의 온 오프나 변속이나 각종의 통신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한 사방(四方) 스위치 및 푸쉬 스위치가 부착된 죠이스틱(13)이 배치되어 있다. 죠이스틱(13)은, 통상은 중심의 푸 쉬 스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죠이스틱(13)은, 후술하는 낚시 모드일 때에는, 모터(12)의 온 오프나 속도의 증감의 조작을 위해서 사용된다. 또는, 통신 모드일 때에는, 커서의 이동에 의한 메뉴의 선택 및 선택 항목의 확정시에 사용된다.Inside the reel main body 1, the spool 10 connected to the handle 2 is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spool 10, the motor 12 which rotationally drives the spool 10 in the direction which winds up a fishing line is arrange | positioned. In addition, a clutch lever 11 for operating a clutch mechanism (not shown) on the side of the handle 2 side of the side cover 9b and a motor 12 for turning on and off, shifting, various communication operations, and the like. The joystick 13 with a four-way switch and a push switch is arranged. The joystick 13 is normally located in the center push switch. The joystick 13 is used for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motor 12 on / off and speed increase / decrease in the fishing mode mentioned later. Alternatively,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menu is used when the menu is selected by the cursor movement and the selection item is determined.

표시 장치(4)는, 릴 본체(1)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된 카운터 케이스(4a)를 가지고 있다. 카운터 케이스(4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제의 케이스이고, 내부의 공간에 각종의 전기 부품이 수납되어 있다. 표시 장치(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심 표시 제어나 모터 구동 제어 등을 수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리드 온리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 주 제어부(30)를 가지고 있다. 주 제어부(30)에는, 죠이스틱(13), 조작 키부(6)의 각종 키, 스풀(10)의 회전 위치 및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스풀 센서(41), 스풀 센서(41)의 소정 펄스마다 값이 변화하는 스풀 카운터(42) 및 이동 전화인 휴대 전화(52)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부(5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주 제어부(30)에는, 각종의 경보를 출력하기 위한 버저(43), 각종의 표시를 행하기 위한 표시부(5),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45), 모터(12)를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구동하는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 등을 포함한 PWM 구동 회로(44) 및 기타 다른 입출력부가 접속되어 있다. 스풀 센서(41)는, 스풀(10)의 회전 방향에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리드 스위치를 가지고 있어, 리드 스위치의 펄스에 의해 스풀 회전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고, 어느 리드 스위치가 먼저 펄스를 발생시켰는지에 의해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50)에는, 통신 인터페이스(interface; I/F)(51)가 접속되어 있어, 통신 I/F(51)를 매개하여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52)가 접속 가능하다.The display apparatus 4 has the counter case 4a arrange | positioned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on the upper part of the reel main body 1.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 the counter case 4a is a case made of an aluminum alloy, and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re housed in an internal space. 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device 4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a read only that perform depth display control, motor drive control, and the like. Consists of microcomputers, including memory (ROM), input / output (I / O) interfaces, etc. It has the main control part 30. The main controller 30 has a value for each predetermined pulse of the joystick 13, various keys of the operation key section 6, the spool sensor 41 for detecting the rotation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pool 10, and the spool sensor 41. The communication control part 50 for controlling this changing spool counter 42 and the mobile telephone 52 which is a mobile telephone is connected. The main control unit 30 further includes a buzzer 43 for outputting various alarms, a display unit 5 for performing various displays, a storage unit 45 for storing various data, and a motor 12. The PWM drive circuit 44 and other input / output units including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for driving pulse width modulation (PWM) and the like are connected. The spool sensor 41 has two reed switche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pool 10 to detect the spool rotation position and speed by the pulse of the reed switch, and which reed switch first generated the pulse. The direction of rotation can be detected by press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I / F) 51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0, and a mobile phone 52 having an internet connection function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I / F 51.

표시부(5)는, 장비의 수심이나 어군 위치 등의 정보에 부가하여, 외부로부터 입수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도트 매트릭스 방식의 칼라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5)는, 카운터 케이스(4a)가 닫혔을 때 보이지 않는 이면으로부터 인식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바깥쪽에 투명 수지제의 도시하지 않는 렌즈 커버를 가지고 있다. 표시부(5)에는, 후술하는 통신 모드일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의 통신 모드시의 메뉴나 메뉴 조작에 근거하는 낚시 정보가 표시된다.The display unit 5 is a dot matrix type thin film transistor (TFT) liquid crystal display (LC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o information such as the depth of the equipment, the fish group position, etc. It consists of). The display part 5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can be recognized from the back surface which is invisible when the counter case 4a is closed, and has the lens cover which is not shown in the figure which is made of transparent resin on the outer side. In the communication mode mentioned later, in the display part 5, as shown in FIG. 3, fishing information based on the menu and menu operation in various communication modes is displayed.

조작 키부(6)는, 카운터 케이스(4a)의 이면에서 표시부(5)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 키부(6)는, 도 1에서 오른쪽에 배치된 모드 전환 키(COM)와, 상하에 두 단으로 나누어 배치된 10개의 숫자 패드(TN)를 가지고 있다. 모드 전환 키(COM)는, 표시 모드를 통신 모드와 낚시 모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통신 모드라는 것은, 접속된 휴대 전화(52)를 매개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때에 사용되는 모드이고, 낚시 모드라는 것은, 낚시를 할 때에 수심 표시나 스풀(10)의 속도 표시 등의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드이다.The operation key part 6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display part 5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counter case 4a. The operation key part 6 has the mode switch key COM arrange |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in FIG. 1, and the ten numeric pad TN arrange | positioned in two steps up and down. The mode switch key COM switches the display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and the fishing mode. Here, the communication mode is a mode used when connecting to the Internet via the connected mobile phone 52, and the fishing mode is used for various types of water display such as depth display and speed display of the spool 10 when fishing. This mode displays information.

숫자 패드(TN)는, 낚시 모드일 때에는, 어군 메모 설정이나 각종의 학습 모드의 전환 등의 조작에 사용되고, 통신 모드일 때에는, 숫자, 문자, 기호의 입력 등의 조작에 사용된다.In the fishing mode, the numeric pad TN is used for operations such as setting a fish memo and switching various learning modes, and in the communication mode,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and symbols.

다음에, 주 제어부(30)에 의해 행해지는 주된 제어 처리를 도 4 이하에 도시한 제어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Next, the main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main control unit 30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control flowchart shown in FIG. 4 and below.

전동 릴에 외부 전원이 접속되면, 도 4에 도시된 스텝 S1에서 초기 설정을 한다. 여기에서는 각종의 플래그를 리셋트하거나 표시 모드를 낚시 모드에 설정한다.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reel, initial setting is made in step S1 shown in FIG. Here, various flags are reset or the display mode is set to the fishing mode.

스텝 S2에서는, 표시부(5)에 대한 표시 처리를 한다. 여기에서는, 표시 모드에 따라, 낚시 모드일 때에는 산출된 수심 표시나 속도 표시를 한다. 또한, 통신 모드일 때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모드의 초기 화면을 표시한다. 이 통신 모드의 초기 화면에서는, 통신 메뉴로서, 예를 들어 「인터넷 메뉴」, 「홈」, 「유아르엘(Uniform Resource Locator; URL) 입력」, 「북마크」, 「메일」의 5개의 메뉴가 표시된다.In step S2, the display process of the display part 5 is performed. Here, depending on the display mode, the calculated depth display and the speed display are performed in the fishing mode.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initial screen of the communication mod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3A. In the initial screen of this communication mode, five menus, for example, "Internet menu", "Home",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input", "Bookmark", and "Mail" are displayed as a communication menu. do.

여기서, 인터넷 메뉴라는 것은, 휴대 전화(52)의 통신 회사가 준비한 인터넷 접속용의 홈 페이지를 액세스하는 처리를 하는 것이다. 홈이라는 것은, 릴 제작사가 준비한 홈 페이지를 액세스하는 처리를 하는 것이고, 여기로부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를 하는 장소의 낚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릴의 최신의 제어 정보 등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URL 입력은, 숫자 패드(TN)를 이용해 낚시꾼이 좋아하는 홈 페이지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북마크 및 메일은, 마음에 드는 홈 페이지의 등록 및 메일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메뉴는, 휴대 전화(52)의 인터넷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행해진다.Here, an internet menu is a process of accessing the home page for internet connection prepar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of the mobile telephone 52. A home is a process of accessing a home page prepared by a reel manufacturer, and as shown in FIG. 3B, fishing information of a fishing place can be obtained from this.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the latest control information of the reel and the like. The URL input is for inputting a URL for accessing the angler's favorite home page using the numeric pad TN. Bookmarks and e-mails are used to register favorite home pages and to send and receive e-mails. This menu is performed using the Internet connection function of the mobile telephone 52.

스텝 S3에서는, 조작 키부(6)의 각종 키 및 죠이스틱(13)의 조작에 의한 키 입력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키 입력이 있었으면, 스텝 S6으로 이행해, 키 입력 처리를 한다.In step S3, it is determined whether various keys of the operation key part 6 and key input by operation of the joystick 13 existed. If there is a key input in step S3, the flow advances to step S6 to perform key input processing.

스텝 S4에서는, 스풀(10)이 회전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 센서(41)의 출력에 의해 판단한다. 스풀(10)이 회전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 S4 로부터 스텝 S7로 이행한다. 스텝 S7에서는, 통신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통신 모드일 때에는 스텝 S8로 이행하여, 표시 모드를 통신 모드로부터 낚시 모드로 전환시킨다. 통신 모드가 아닐 때 및 스텝 S8의 처리가 종료하면, 스텝 S9의 각 동작 모드 처리로 이행한다.In step S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pool 10 has rotated. This determination is judged by the output of the spool sensor 4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ool 10 is rotating,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4 to step S7. In step S7,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in a communication mode, and when it is in communication mode, the flow advances to step S8 to switch the display mode from the communication mode to the fishing mode. When it is not in communication mode and the process of step S8 is complete | finished, it transfers to each operation mode process of step S9.

스텝 S5에서는, 그 이외의 기타 지령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기타의 지령이 있었으면, 스텝 S5로부터 스텝 S10으로 이행하여, 지령에 따른 기타의 처리를 한다.In step S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are other commands. If there is any other comman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5 to step S10 to perform othe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mmand.

스텝 S6의 키 입력 처리에서는, 도 5의 스텝 S11에서 모드 전환 키(COM)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 S12에서는, 죠이스틱(13)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 S13에서는 기타의 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In the key input process of step S6, it is determined in step S11 of FIG. 5 whether the mode switch key COM has been operated. In step S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joystick 13 has been operated. In step S1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ther key has been operated.

모드 전환 키(COM)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 S11로부터 스텝 S15로 이행하여, 표시 모드가 낚시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낚시 모드일 때에는 스텝 S16으로 이행하여, 표시 모드를 통신 모드로 전환시킨다. 통신 모드일 때에는 스텝 S17로 이행해 표시 모드를 낚시 모드로 전환시킨다. 표시 모드가 통신 모드로 전환되면, 통신 제어부(50)에 의해 휴대 전화(52)를 제어해 인터넷에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도 4의 스텝 S2에서의 표시 처리로 도 3a에 나타내는 초기 화면이 표시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switching key COM has been operate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11 to step S15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 mode is a fishing mode. In the fishing mode, the flow advances to step S16 to switch the display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flow advances to step S17 to switch the display mode to the fishing mode. When the display mode is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mod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cellular phone 52 to connect to the Internet, and the initial screen shown in FIG. 3A is displayed by the display process in step S2 of FIG. Is displayed.

죠이스틱(13)이 조작되면, 스텝 S12로부터 스텝 S18로 이행한다. 스텝 S18에서는, 표시 모드가 낚시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낚시 모드라고 판단하면 스텝 S19로 이행하여, 죠이스틱(13)의 조작된 키에 따른 모터 제어 처리를 한다. 예 를 들어, 죠이스틱(13)의 중심에서 압압하는 조작이 행해지면, 모터(12)를 온 오프하고, 앞으로 쓰러지면 그 동안만 증속 처리하고, 뒤로 쓰러지면 그 동안만 감속 처리한다. 여기에서는 좌우의 스위치는 무효가 된다.When the joystick 13 is operate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12 to step S18. In step S1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play mode is a fishing mode. When it determines with a fishing mode, it transfers to step S19 and performs the mo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operated key of the joystick 13. For example, when an operation for pressing at the center of the joystick 13 is performed, the motor 12 is turned on and off, and if it falls forward, the speed is increased only during that time, and if it falls backward, it is decelerated only during that time. The left and right switches are disabled here.

통신 모드일 때에는, 스텝 S20으로 이행해, 커서의 이동에 의해 메뉴를 제어하는 메뉴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flow advances to step S20 to execute menu control processing for controlling the menu by moving the cursor.

스텝 S20의 메뉴 제어 처리에서는, 죠이스틱(13)의 사방 스위치에 의해 표시부(5) 상에서 커서의 이동을 행하고, 중앙의 스위치의 압압에 의해 메뉴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도 3a의 통신 메뉴에서는, 죠이스틱(13)을 위아래로 쓰러뜨리면, 커서가 메뉴의 항목을 위아래로 이동하고 중앙의 스위치를 압압하는 조작에 의해 메뉴가 선택되고, 통신 제어부(50)를 거쳐 휴대 전화(52)로 정보가 송신되고, 다음의 처리로 이행한다. 전술한 것처럼 홈을 선택하면, 릴 제작사의 홈 페이지가 액세스되고, 그 홈 페이지에서 죠이스틱(13)에 의해 커서를 상하 좌우로 이동해 몇 개의 선택 처리를 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의 낚시터에서의 낚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In the menu control process of step S20, the cursor is moved on the display part 5 by the four-way switch of the joystick 13, and a menu is selected by the pressure of the switch of the center. For example, in the communication menu of FIG. 3A, when the joystick 13 is knocked up and down, the menu is selected by an operation of moving the cursor up and down the items of the menu and pressing the switch in the center,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0.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ellular phone 52 via the process,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process. When the home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the reel manufacturer's home page is accessed, and the joystick 13 moves the cursor up, down, left and right on the home page to perform some selection processing. Fishing information from can be displayed.

스텝 S9의 각 동작 모드 처리에서는, 도 7의 스텝 S41에서 스풀(10)의 회전 방향이 낚시줄을 풀어내는 방향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 센서(41)의 어느 리드 스위치가 먼저 펄스를 방출했는지에 의해 판단한다. 스풀(10)의 회전 방향이 줄을 풀어내는 방향이라고 판단하면 스텝 S41로부터 스텝 S42로 이행한다.In each operation mode process of step S9, it is determined in step S41 of FIG. 7 whether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pool 10 is a direction to loosen a fishing line. This determination is judged by which reed switch of the spool sensor 41 emitted the pulse firs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pool 10 is the direction of unwinding the string, the flow proceeds from step S41 to step S42.

스텝 S42에서는, 스풀 센서(41)의 소정 펄스마다 감소하는 스풀 카운터(42)의 값으로부터 기억부(45)에 기억된 데이터를 독출하고, 풀어내어진 낚시줄의 길이를 산출하고, 줄의 길이로부터 수심(LX)을 산출한다. 이렇게 얻어진 수심(LX)이 스텝 S2의 표시 처리에 의하여 표시된다. 이 때의 표시부(5)의 화면례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낚시 모드의 각 동작 모드 처리에서는, 표시부(5)에 장비의 수심이나 어군 위치나 스풀(10)의 속도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표시부(5)의 오른쪽에 세로로 늘어놓은 12개의 사각으로 표시된 스풀 속도는, 예를 들어, 고속·중속·저속이 상이한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In step S42,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part 45 is read out from the value of the spool counter 42 which decreases for every predetermined pulse of the spool sensor 41,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which has been unwrapped is calculated, and the length of the string The depth LX is calculated from the equation. The water depth LX thus obtained is displayed by the display process of step S2. An exampl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5 at this time is shown in FIG. In each operation mode process of this fishing mode, the display part 5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the depth of a gear, a fish group position, the speed of the spool 10,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pool speeds indicated by twelve squares arranged vertically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unit 5 are displayed in colors different in high speed, medium speed, and low speed, for example.

스텝 S43에서는, 얻어진 수심(LX)이 어군 위치에 일치했는지, 즉, 장비가 어군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 S44에서는, 기타의 낚시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기타 낚시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각 동작 모드 처리를 끝내고 메인 루틴에 돌아온다.In step S4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btained water depth LX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fish group, that is, whether or not the equipment has reached the fish group. In step S44,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fishing mode is other. If it is not in the other fishing mode, the processing of each operation mode ends and returns to the main routine.

수심이 어군 위치에 일치하면 스텝 S43으로부터 스텝 S45로 이행하고, 장비가 어군에 도달한 것을 알리기 위해서 버저(43)를 울린다. 기타 낚시 모드의 경우에는, 스텝 S44로부터 스텝 S46으로 이행하고, 지정된 기타 낚시 모드를 실행한다.If the water depth coincides with the fish group position,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43 to step S45, and the buzzer 43 is sounded to signal that the equipment has reached the fish group. In the case of the other fishing mode, the flow advances from step S44 to step S46, and the designated other fishing mode is executed.

스풀(10)의 회전이 낚싯줄을 권취하는 방향이라고 판단하면, 스텝 S41로부터 스텝 S49로 이행한다. 스텝 S49에서는, 스풀 센서(41)의 소정 펄스마다 증가하는 스풀 카운터(42)의 값으로부터 기억부(45)에 기억된 데이터를 독출하고, 풀어내어진 낚시줄의 길이를 산출하고, 줄의 길이로부터 수심(LX)을 산출한다. 이렇게 얻어진 수심(LX)도 스텝 S2의 표시 처리로 표시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tion of the spool 10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shing line is woun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41 to step S49. In step S49,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part 45 is read out from the value of the spool counter 42 which increases for every predetermined pulse of the spool sensor 41,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which was unwrapped is calculated, and the length of a string is obtained. The depth LX is calculated from the equation. The water depth LX thus obtained is also displayed by the display process of step S2.

스텝 S50에서는, 수심이 선연(船緣) 정지 위치에 일치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선연 정지 위치까지 감아들이지 않은 경우에는 메인 루틴으로 돌아온다. In step S5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water depth matches the leading stop position. If it is not rolled up to the end stop position, it returns to the main routine.                     

선연 정지 위치에 도달하면 스텝 S50으로부터 스텝 S51로 이행한다. 스텝 S51에서는, 장비가 선연에 있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 버저(43)를 울린다. 스텝 S44에서는, 모터(12)를 오프한다. 이것에 의해 물고기가 잡혔을 때에 거둬들이기 쉬운 위치에 물고기가 배치된다. 이 선연 정지 위치는, 예를 들어 수심 6 m 이내에서 소정 시간 이상 스풀(10)이 정지하고 있으면 세팅된다.When the edge stop position is reache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50 to step S51. In step S51, the buzzer 43 sounds in order to signal that the equipment is at the edge. In step S44, the motor 12 is turned off. As a result, when the fish are caught, the fish is placed in a position that is easy to harvest. This edge stop position is set, for example, when the spool 10 stops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within a depth of 6 m.

여기에서는, 통신 모드일 때에는, 휴대 전화(52)를 접속함으로써 죠이스틱(13)의 조작에 의해 인터넷 정보를 표시부(5)에 표시시킬 수가 있다. 또한, 낚시 모드일 때에는, 표시부(5)에 릴에 설치된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장비의 수심이나 어군 위치나 스풀의 속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 등의 정보 단말 장치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정보 단말 장치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표시기에 표시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릴에 설치된 스풀 센서(41) 등의 검출 수단에 근거하는 정보 이외의 여러 가지의 정보를 낚시꾼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Here,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mobile unit 52 can be connected to display the Internet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5 by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13. In the fishing mode, the display unit 5 can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he depth of the equipment, the position of the fish group, the speed of the spool, etc. by the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means provided on the reel.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onnect a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such as a cellular phone so that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Therefore, various information other than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ction means such as the spool sensor 41 provided on the reel can be displayed. The information of the eggplant can be easily obtained by the angler.

〔제1 실시예의 변형예〕Modific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a)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52)를 접속하여 정보를 얻도록 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 케이스(4a)의 내부에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 장치(55)를 내장하여도 된다. 통신 단말 장치(55)는, 주 제어부(30)에 접속되어 있고, 주 제어부(30)에 의해 통신 단말 장치(55)가 제어된다. 이 경우, 휴대 전화를 접속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낚시를 하고 있을 때도 간단하게 여러 가지의 정보를 모을 수가 있다. (a) 에서는 In the first embodiment, the mobile telephone 52 is connected to obtain information. However, as shown in FIG. 8,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55 having an internet connection function inside the counter case 4a. ) May be incorporat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55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3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55 is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 unit 30. 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 need to connect a mobile phon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can be easily collected even when fishing.                     

(b)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칼라 TFT 방식의 LCD를 표시부(5)에 사용하였지만, 흑백 LCD를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b) In the above first embodiment, although a color TFT type LCD is used for the display portion 5, a black and white LCD may be used.

(c)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로서 인터넷 접속 기구를 가지는 휴대 전화를 예시했지만, 통신 단말 장치는 이런 종류의 휴대 전화로 한정되지 않고, PHS 등의 이동 전화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휴대 전화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뎀 등을 탑재하고,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자(provider)에의 접속을 위한 단말 장치로서 이용해도 된다.(c)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mobile telephone having an Internet connection mechanism is illustrated as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but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is not limited to this type of mobile telephone, and cannot be connected to a mobile telephone such as a PHS or the Internet. Mobile phones are also possible. In this case, a modem or the like may be mounted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may be used as a terminal device for connection to a provider.

(d)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낚시용 릴로서 전동 릴을 예로 설명했지만, 낚시용 릴로서는 표시부를 가지는 것이라면, 수동으로 감는 양축 베어링 릴 등의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d)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 electric reel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fishing reel. However, the fishing reel may be any one of a two-axis bearing reel, which is manually wound, and the like as long as the fishing reel has a display portion.

(e) 상기 주 제어부에 마이크로폰 및 음성 인식 유니트를 접속하고, 음성에 의해 정보 단말 장치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e) A microphone and a voice recogni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so as to control 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by voic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2 실시예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동종의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In the description after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members having the same or the same function.

도 9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릴인 전동 릴은, 표시부(5)를 가지는 릴이다. 전동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의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드래그(3) 및 릴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개폐식의 표시 장치(4)를 포함하고 있다. In FIG. 9, the electric reel which is a fishing reel by the 2nd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a reel which has the display part 5. As shown in FIG. The electric reel is the reel main body 1, the handle 2 for spool rotation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of the reel main body 1, and the star drag for drag adjustment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el main body 1 side of the handle 2 (3) and the retractable display device 4 provided on the reel main body 1 is included.                     

릴 본체(1)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것이고, 좌우 한 쌍의 측판(7a, 7b)과 그것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8)로 구성된 프레임(7)과, 프레임(7)의 좌우를 덮는 좌우의 측면 커버(9a, 9b)를 가지고 있다. 핸들(2) 측의 측면 커버(9b)에는, 핸들(2)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뒷부분의 연결부(8)의 측판(7a) 측에는 외부 전원 접속용의 커넥터 코드(19)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코드(19)는, 예를 들어 1 m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고, 선단에 전원 코드 접속용의 커넥터(19a)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의 연결부(8)에는 낚싯대 장착용의 장대 장착 다리(8a)가 장착되어 있다.The reel unit 1 is mounted to a fishing rod, and cover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7 and the frame 7 includ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7a and 7b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8 connecting them. The left and right side covers 9a and 9b are provided. A rotating shaft (not shown) of the handle 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ide cover 9b on the handle 2 side. The connector cord 19 for external power supply connection is provided in the side plate 7a side of the connection part 8 of the back part. The connector cord 19 has a length of about 1 m, for example, and a connector 19a for connecting a power cord is provided at the tip. The rod connecting leg 8a for rod attachment is attached to the lower connection part 8.

릴 본체(1)의 내부에는, 핸들(2)에 연결된 스풀(1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10)의 내부에는, 스풀(10)을 낚싯줄을 감아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측면 커버(9b)의 핸들(2) 측 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레버(11)와, 모터(12)의 온 오프나 변속이나 각종의 통신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한 사방 스위치 및 푸쉬 스위치가 부착된 죠이스틱(13)이 배치되어 있다. 죠이스틱(13)은, 통상은 중심의 푸쉬 스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죠이스틱(13)은, 후술하는 낚시 모드일 때에는, 모터(12)의 온 오프나 속도의 증감의 조작을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통신 모드일 때에는, 커서의 이동에 의한 메뉴의 선택 및 선택 항목의 확정시에 사용된다.Inside the reel main body 1, the spool 10 connected to the handle 2 is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spool 10, the motor 12 which rotationally drives the spool 10 in the direction which winds up a fishing line is arrange | positioned. In addition, a clutch lever 11 for operating a clutch mechanism (not shown) on the side of the handle 2 side of the side cover 9b and a motor 12 for turning on and off, shifting, various communication operations, and the like. The joystick 13 with a four-way switch and a push switch is arranged. The joystick 13 is normally located in the center push switch. The joystick 13 is used for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motor 12 on / off and speed increase / decrease in the fishing mode mentioned later.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menu is used to select a menu and to determine a selected item by moving the cursor.

표시 장치(4)는, 릴 본체(1)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된 카운터 케이스(4a)를 가지고 있다. 카운터 케이스(4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제의 케이스이고, 내부의 공간에 각종의 전기 부품이 수납되어 있다. 카 운터 케이스(4a)의 좌측부에는, 낚싯배에 탑재된 어군 탐지기나 GPS 등의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얻어들이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151)가 장착되어 있다.The display apparatus 4 has the counter case 4a arrange | positioned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on the upper part of the reel main body 1.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 the counter case 4a is a case made of an aluminum alloy, and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re housed in an internal space. On the left side of the counter case 4a, a radio transmitter / receiver 151 for acquiring fishing information from an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such as a fish detector or GPS mounted on a fishing boat is mounted.

표시 장치(4)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심 표시 제어나 모터 구동 제어 등을 수행하는 CPU, RAM, ROM, I/O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 주 제어부(30)를 가지고 있다. 주 제어부(30)에는, 죠이스틱(13), 조작 키부(6)의 각종 키, 스풀(10)의 회전 위치 및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스풀 센서(41), 스풀 센서(41)의 소정 펄스마다 값이 변화하는 스풀 카운터(42) 및 무선 송수신부(151)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부(5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주 제어부(30)에는, 각종의 경보를 출력하기 위한 버저(43), 각종의 표시를 행하기 위한 표시부(5),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45), 모터(12)를 PWM 구동하는 FET 등을 포함한 PWM 구동 회로(44) 및 기타 다른 입출력부가 접속되어 있다. 스풀 센서(41)는, 스풀(10)의 회전 방향에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리드 스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리드 스위치의 펄스에 의해 스풀 회전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고, 어느 리드 스위치가 먼저 펄스를 발생시켰는지에 의해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50)에는, 무선 송수신부(151)가 접속되어 있어, 무선 통신에 의해 낚싯배에 설치된 어군 탐지기(152)나 GPS(153)로부터 낚시 정보를 얻어들일 수 있다. 낚싯배에 탑재된 어군 탐지기(152) 및 GPS(153)는, 통신 제어부(154)에 접속되어 있고, 통신 제어부(154)는, 무선 송수신부(155)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통신 제어부(154) 및 무선 송수신부(155)도 낚싯배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 릴에 장착된 무선 송수신부(151)와 낚싯배에 탑재된 무선 송수신부(155)와의 사이에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어군 탐지기(152)나 GPS(153)로 얻어진 낚시 정보의 데이터를 전동 릴에서 얻어들일 수가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display device 4 includes a main controller 30 composed of a microcomputer including a CPU, a RAM, a ROM, an I / O interface, and the like for performing depth display control, motor drive control, and the like. Have. The main controller 30 has a value for each predetermined pulse of the joystick 13, various keys of the operation key section 6, the spool sensor 41 for detecting the rotation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pool 10, and the spool sensor 41. The communication control part 50 for controlling this changing spool counter 42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art 151 is connected. The main control unit 30 further includes a buzzer 43 for outputting various alarms, a display unit 5 for performing various displays, a storage unit 45 for storing various data, and a motor 12. The PWM drive circuit 44 including the FET for driving the PWM, and other input / output units are connected. The spool sensor 41 has two reed switche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pool 10, detects the spool rotation position and speed by a pulse of the reed switch, and which reed switch first generates a pulse. The direction of rotation can be detected by pressing. The wireless control unit 151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0, and fishing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fish group detector 152 or the GPS 153 provided on the fishing boat by wireless communication. The fish group detector 152 and the GPS 153 mounted on the fishing boat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54,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54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55.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54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55 are also mounted on a fishing boat. And the fishing information obtained by the fish detector 152 or the GPS 153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wireless transceiver 151 mounted on the electric reel and the wireless transceiver 155 mounted on the fishing boat by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Can be obtained from the motorized reel.

표시부(5)는, 장비의 수심이나 어군 위치 등의 정보에 부가하여 외부로부터 입수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도트 매트릭스 방식의 칼라 TFT 액정 디스플레이(LC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5)는, 카운터 케이스(4a)가 닫혔을 때 보이지 않는 이면으로부터 인식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바깥쪽에 투명 수지제의 도시하지 않는 렌즈 커버를 가지고 있다. 표시부(5)에는, 후술하는 통신 모드일 때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모드 시의 메뉴나 메뉴 조작에 근거하는 낚시 정보가 표시된다.The display part 5 is comprised by the color | collar TFT liquid crystal display (LCD) of the dot matrix system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such as the depth of a water, the position of a fish group, etc. of equipment. The display part 5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can be recognized from the back surface which is invisible when the counter case 4a is closed, and has the lens cover which is not shown in the figure which is made of transparent resin on the outer side. In the communication mode mentioned later, in the display part 5, as shown in FIG. 11, fishing information based on the menu and menu operation at the time of a communication mode is displayed.

조작 키부(6)는, 카운터 케이스(4a)의 이면에서 표시부(5)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 키부(6)는, 도 9에서 오른쪽에 배치된 모드 전환 키(COM)와, 상하에 두 단으로 나누어 배치된 10개의 숫자 패드(TN)를 가지고 있다. 모드 전환 키(COM)는, 표시 모드를 통신 모드와 낚시 모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통신 모드라는 것은, 접속된 무선 송수신부(151)를 거쳐서 낚싯배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획득하는 때에 사용되는 모드이고, 낚시 모드라는 것은, 낚시를 할 때에 수심 표시나 스풀(10)의 속도 표시 등의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드이다.The operation key part 6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display part 5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counter case 4a. The operation key part 6 has the mode switch key COM arrange |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in FIG. 9, and ten numeric pad TN arrange | positioned in two steps up and down. The mode switch key COM switches the display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and the fishing mode. Here, the communication mode is a mode used when acquiring fishing information from a fishing boat via the connected radio transceiver 151, and the fishing mode is a depth display and a speed display of the spool 10 when fishing. It is a mode for display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숫자 패드(TN)는, 낚시 모드일 때에는, 어군 메모 설정이나 각종의 학습 모드의 전환 등의 조작에 사용되고, 통신 모드일 때에는, 어군 탐지기(152)나 GPS(153)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획득하는 때에 사용되는 숫자, 문자, 기호의 입력 등의 조작에 사용된다.The numeric pad TN is used for operations such as setting a fish memo and switching various learning modes in the fishing mode, and obtaining fishing information from the fish detector 152 or the GPS 153 in the communication mode. It is used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and symbols.

다음에, 주 제어부(30)에 의해 행해지는 주된 제어 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동작의 흐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 4 및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main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main control part 30 is demonstrated. In addition, since the flow of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전동 릴에 외부 전원이 접속되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스텝 S1에서 초기 설정을 한다. 여기에서는 각종의 플래그를 리셋트하거나 표시 모드를 낚시 모드에 설정한다.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reel, the initial setting is made in step S1 as in the first embodiment. Here, various flags are reset or the display mode is set to the fishing mode.

스텝 S2에서는, 표시부(5)에 대한 표시 처리를 한다. 여기에서는, 표시 모드에 따라서, 낚시 모드일 때에는 산출된 수심 표시나 속도 표시를 한다. 또한, 통신 모드일 때에는,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모드의 초기 화면을 표시한다. 이 통신 모드의 초기 화면에서는, 통신 메뉴로서 예를 들어,「어군 탐지기 정보」, 「GPS 정보」의 두 개의 메뉴가 표시된다. 이러한 두 개의 낚시 정보를 죠이스틱(13)의 조작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In step S2, the display process of the display part 5 is performed. Here, depending on the display mode, the calculated depth display and the speed display are performed in the fishing mode. In the communication mode, as shown in Fig. 11A, an initial screen of the communication mode is displayed. In the initial screen of this communication mode, two menus, for example, "fish detector information" and "GPS information", are displayed as a communication menu. These two fishing information can be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13.

여기서, 어군 탐지기 정보라는 것은, 어군 탐지기(152)로부터 얻을 수 있는 낚시 정보의 처리를 하는 것이다. GPS 정보라는 것은, GPS(153)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위치 정보의 표시를 하는 것이고, 여기로부터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를 하는 장소의 어군의 정보나 수온 등의 낚시 정보를 얻을 수 있다.Here, the fish group detector information is processing of fish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sh group detector 152. The GPS information indicate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PS 153. From this, as shown in FIG. 11B, fishing information such as fish group information and water temperature of a fishing place can be obtained.

스텝 S3에서는, 조작 키부(6)의 각종 키 및 죠이스틱(13)의 조작에 의한 키 입력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키 입력이 있었으면, 스텝 S6으로 이행해, 키 입력 처리를 한다. In step S3, it is determined whether various keys of the operation key part 6 and key input by operation of the joystick 13 existed. If there is a key input in step S3, the flow advances to step S6 to perform key input processing.                     

스텝 S4에서는, 스풀(10)이 회전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 센서(41)의 출력에 의해 판단한다. 스풀(10)이 회전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 S4로부터 스텝 S7로 이행한다. 스텝 S7에서는, 통신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통신 모드일 때에는 스텝 S8로 이행하여, 표시 모드를 통신 모드로부터 낚시 모드로 전환시킨다. 통신 모드가 아닐 때 및 스텝 S8의 처리가 종료하는 경우에는, 스텝 S9의 각 동작 모드 처리로 이행한다.In step S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pool 10 has rotated. This determination is judged by the output of the spool sensor 4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ool 10 is rotating,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4 to step S7. In step S7,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in a communication mode, and when it is in communication mode, the flow advances to step S8 to switch the display mode from the communication mode to the fishing mode. When it is not in communication mode and when the process of step S8 complete | finishes, it transfers to each operation mode process of step S9.

스텝 S5에서는, 그 외의 기타 지령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기타의 지령이 있었으면, 스텝 S5로부터 스텝 S10으로 이행하여, 지령에 따른 기타의 처리를 한다.In step S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are other commands. If there is any other comman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5 to step S10 to perform othe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mmand.

스텝 S6의 키 입력 처리에서는, 도 5의 스텝 S11에서 모드 전환 키(COM)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 S12에서는, 죠이스틱(13)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 S13에서는 기타의 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In the key input process of step S6, it is determined in step S11 of FIG. 5 whether the mode switch key COM has been operated. In step S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joystick 13 has been operated. In step S1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ther key has been operated.

모드 전환 키(COM)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 S11로부터 스텝 S15로 이행하여, 표시 모드가 낚시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낚시 모드일 때에는, 스텝 S16으로 이행하여 표시 모드를 통신 모드로 전환시킨다. 통신 모드일 때에는 스텝 S17로 이행해 표시 모드를 낚시 모드로 전환시킨다. 표시 모드가 통신 모드로 전환되면, 통신 제어부(50)에 의해 무선 송수신부(151)를 제어해 낚싯배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도 4의 스텝 S2에서의 표시 처리로 도 11a에 나타내는 초기 화면이 표시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switching key COM has been operate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11 to step S15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 mode is a fishing mode. In the fishing mode, the flow advances to step S16 to switch the display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flow advances to step S17 to switch the display mode to the fishing mode. When the display mode is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mod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radio transceiver 151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fishing boat, and the initial screen shown in FIG. 11A by the display process in step S2 of FIG. 4. Is displayed.

죠이스틱(13)이 조작되면, 스텝 S12로부터 스텝 S18로 이행한다. 스텝 S18에 서는, 표시 모드가 낚시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낚시 모드라고 판단하면 스텝 S19로 이행하여, 죠이스틱(13)의 조작된 키에 따른 모터 제어 처리를 한다. 예를 들어, 죠이스틱(13)의 중심에서 압압 조작이 행해지면, 모터(12)를 온 오프하고, 앞으로 쓰러지면 그 동안만 증속 처리하고, 뒤로 쓰러지면 그 동안만 감속 처리한다. 여기에서 좌우의 스위치는 무효가 된다.When the joystick 13 is operate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12 to step S18. In step S1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play mode is a fishing mode. When it determines with a fishing mode, it transfers to step S19 and performs the mo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operated key of the joystick 13. For example, when the 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the center of the joystick 13, the motor 12 is turned on and off, and if it falls forward, the speed is increased only during that time, and if it falls backward, the speed is reduced only during that time. Here, the left and right switches are invalid.

통신 모드일 때에는, 스텝 S20으로 이행해, 커서의 이동에 의해 메뉴를 제어하는 메뉴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flow advances to step S20 to execute menu control processing for controlling the menu by moving the cursor.

스텝 S20의 메뉴 제어 처리에서는, 죠이스틱(13)의 사방 스위치에 의해 표시부(5) 상에서 커서의 이동을 행하고, 중앙의 스위치의 압압에 의해 메뉴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도 11a의 통신 메뉴에서는, 죠이스틱(13)을 위아래로 쓰러뜨리면, 커서가 메뉴의 항목을 위아래로 이동하고 중앙의 스위치를 압압하는 조작에 의해 메뉴가 선택되고, 통신 제어부(50)를 거쳐서 무선 송수신부(151)로부터 정보가 수신되어 다음의 처리로 이행한다. 그리고, 죠이스틱(13)에 의해 커서를 상하 좌우로 이동해 몇 개의 선택 처리를 하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낚시터에서의 어군 탐지기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In the menu control process of step S20, the cursor is moved on the display part 5 by the four-way switch of the joystick 13, and a menu is selected by the pressure of the switch of the center. For example, in the communication menu of FIG. 11A, when the joystick 13 is knocked up and down, the menu is selected by an operation of moving the cursor up and down the items of the menu and pressing the center switch,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0.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51 via the process to proceed to the next process. When the cursor is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by the joystick 13, and a few selection processes are performed, fishing information from the fish group detector in the fishing field as shown in Fig. 11B can be displayed.

스텝 S9의 각 동작 모드 처리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Since each operation mode process of step S9 is the same as that of 1st Exampl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여기에서는, 통신 모드일 때에는, 죠이스틱(13)의 조작에 의해 어군 탐지기(152)나 GPS(153) 등의 낚시 정보의 수집 장치로 획득된 낚시 정보를 표시부(5)에 표시시킬 수가 있다. 또한, 낚시 모드일 때에는, 표시부(5)에 릴에 설 치된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장비의 수심이나 어군 위치나 스풀의 속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송수신부(151)에 의해 낚싯배에 탑재된 정보 수집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수집된 낚시 정보를 표시기에 표시 가능하게 했으므로, 릴에 설치된 스풀 센서(41) 등의 검출 수단에 근거하는 정보 이외에 낚싯배에 탑재된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신속히 얻을 수 있다.Here,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display unit 5 can display the fishing information obtained by the fishing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such as the fish finder 152 or the GPS 153 by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13. In the fishing mode, the display unit 5 can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he depth of the equipment, the position of the fish group, the speed of the spool, etc. by the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means installed in the reel. In this way, the radio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51 made it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mounted on the fishing boat so that the collected fishing information could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o that the detection means such as the spool sensor 41 installed on the reel.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on which it is based, fishing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mounted on the fishing boat can be obtained quickly.

〔제2 실시예의 변형예〕Modifications of the Second Embodiment

(a)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칼라 TFT 방식의 LCD를 표시부(5)로 사용했지만, 흑백 LCD를 사용해도 된다.(a) In the second embodiment, although a color TFT type LCD is used as the display portion 5, a black and white LCD may be used.

(b)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낚싯배의 정보 수집 수단으로서 어군 탐지기나 GPS를 개시하였지만, 예를 들어, 낚싯배가 인터넷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얻어진 인터넷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낚싯배가 해저 등의 지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얻어진 지형 정보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b)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sh finder and the GPS are disclosed as the fishing boat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However, for example, when the fishing boat has the function of collecting the Internet information, the obtained interne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You may be able to. In addition, when the fishing boat can collect terrain information such as the seabed, the terrain information obtained may be displayed.

(c) 상기 제2 실시예에서도, 낚시용 릴로서 전동 릴을 예로 설명했지만, 낚시용 릴로서는 표시부를 가지는 것이면, 수동으로 감는 양축 베어링 릴 등의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c)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 electric reel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fishing reel. However, the fishing reel may be any one of a two-axis bearing reel, which is wound manually, as long as it has a display portion.

(d)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어군 탐지기(152)로부터의 낚시 정보와 GPS(153)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표시부(5)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했지만, 두 개의 정보를 표시부(5)에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shing information from the fish group detector 152 and the fishing information from the GPS 153 are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 but two pieces of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 I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e) 장비에 음파 반사 부재를 장착하고, 장비의 위치를 통신 모드 시에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e) The sound wave reflecting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equipmen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equipmen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communication mode.

〔제3 실시예〕[Example 3]

도 1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릴인 전동 릴(ER)은, 표시부(5)를 가지는 릴이다. 전동 릴(ER)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의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3) 및 릴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개폐식 표시 장치(4)를 포함하고 있다.In FIG. 12, the electric reel ER which is a fishing reel by on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a reel which has the display part 5. As shown in FIG. The electric reel ER is for the reel main body 1, the handle 2 for spool rotation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of the reel main body 1, and the drag adjustment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el main body 1 side of the handle 2. And a retractable display device 4 provided above the star drag 3 and the reel unit 1.

릴 본체(1)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것이고, 좌우 한 쌍의 측판(7a, 7b)과 그것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8)로 구성된 프레임(7)과, 프레임(7)의 좌우를 덮는 좌우의 측면 커버(9a, 9b)를 가지고 있다. 핸들(2) 측의 측면 커버(9b)에는, 핸들(2)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reel unit 1 is mounted to a fishing rod, and cover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7 and the frame 7 includ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7a and 7b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8 connecting them. The left and right side covers 9a and 9b are provided. A rotating shaft (not shown) of the handle 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ide cover 9b on the handle 2 side.

뒷부분의 연결부(8)의 측판(7a) 측에는 외부 전원 접속용의 커넥터 코드(19)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코드(19)는, 예를 들어 1 m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고, 선단에 정보 중첩 취출부(251)가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 코드(19)는, 전원(57)(도 13)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릴 내부에 공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낚시 정보나 각종의 정보를 표시 장치(4)와 정보 중첩 취출부(251)에 송수신 가능한 코드이다. 정보 중첩 취출부(251)는, 전원 케이블(56)(도 13)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중첩된 낚시 정보를 얻어내는 것과 동시에, 전동 릴(ER) 측으로부터 각종의 정보를 낚싯배 측의 정보 수집 장치로 송신하기 위해 전력에 그 정보를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낚시 정보라는 것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낚싯배에 탑재된 어군 탐지기(152)나 GPS(153) 등의 정보 수집 장치로 수집된 정보이다. 정보 중첩 취출부(251)에는 전원 케이블(56)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9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보 중첩 취출부(251)에는, 낚싯대에 고정하기 위한 낚싯대 계지 수단으로서의 고정 밴드(251a)가 장착되어 있다. 하부의 연결부(8)에는 낚싯대 장착용의 장대 장착 다리(8a)가 장착되어 있다.The connector cord 19 for external power supply connection is provided in the side plate 7a side of the connection part 8 of the back part. The connector cord 19 has a length of about 1 m, for example, and the information superimposition taking-out part 251 is attached to the front-end | tip. The connector cord 19 can supply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57 (FIG. 13) to the inside of the reel, and at the same time, display the fishing information and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4 and the information overlapping extracting unit 251. Code that can be sent and received. The information superimposition taking-out part 251 obtains the fishing information superimposed on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cable 56 (FIG. 13), and collects the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electric reel ER side. The information can be superimposed on power for transmission. The fishing information referred to here is information collected by an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such as a fish group detector 152 or a GPS 153 mounted on a fishing boat as shown in FIG. In the information superimposition extraction part 251, the connector 19a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cable 56 is provide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uperimposition taking-out part 251 is equipped with the fixing band 251a as a fishing rod latching means for fixing to a fishing rod. The rod connecting leg 8a for rod attachment is attached to the lower connection part 8.

릴 본체(1)의 내부에는, 핸들(2)에 연결된 스풀(1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10)의 내부에는, 스풀(10)을 낚싯줄을 감아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측면 커버(9b)의 핸들(2) 측 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레버(11)와 모터(12)의 온 오프나 변속이나 각종의 통신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한 사방 스위치 및 푸쉬 스위치가 부착된 죠이스틱(13)이 배치되어 있다. 죠이스틱(13)은, 통상은 중심의 푸쉬 스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죠이스틱(13)은, 후술하는 낚시 모드일 때에는, 모터(12)의 온 오프나 속도의 증감의 조작을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통신 모드일 때에는, 커서의 이동에 의한 메뉴의 선택 및 선택 항목의 확정시에 사용된다.Inside the reel main body 1, the spool 10 connected to the handle 2 is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spool 10, the motor 12 which rotationally drives the spool 10 in the direction which winds up a fishing line is arrange | positioned. Further, on the side of the handle 2 side of the side cover 9b, the clutch lever 11 for operating the clutch mechanism (not shown) and the motor 12 are turned on and off, shifting, various communication operations, and the like. The joystick 13 to which a switch and a push switch are attached is arrange | positioned. The joystick 13 is normally located in the center push switch. The joystick 13 is used for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motor 12 on / off and speed increase / decrease in the fishing mode mentioned later.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menu is used to select a menu and to determine a selected item by moving the cursor.

표시 장치(4)는, 릴 본체(1)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된 카운터 케이스(4a)를 가지고 있다. 카운터 케이스(4a)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제의 케이스이고, 내부의 공간에 각종의 전기 부품이 수납되어 있다. The display apparatus 4 has the counter case 4a arrange | positioned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on the upper part of the reel main body 1. As shown in FIG. The counter case 4a is a case made of an aluminum alloy, as shown in FIG. 12, and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re housed in an internal space.

표시 장치(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심 표시 제어나 모터 구동 제어 등을 수행하는 CPU, RAM, ROM, I/O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로 구성된 주 제어부(30)를 가지고 있다. 주 제어부(30)에는, 죠이스틱(13), 조작 키부(6)의 각종 키, 스풀(10)의 회전 위치 및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스풀 센서(41), 스풀 센서(41)의 소정 펄스마다 값이 변화하는 스풀 카운터(42) 및 정보 중첩 취출부(251)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부(5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주 제어부(30)에는, 각종의 경보를 출력하기 위한 버저(43), 각종의 표시를 행하기 위한 표시부(5),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45), 모터(12)를 PWM 구동하는 FET 등을 포함한 PWM 구동 회로(44) 및 기타 다른 입출력부가 접속되어 있다. 스풀 센서(41)는, 스풀(10)의 회전 방향에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리드 스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리드 스위치의 펄스에 의해 스풀 회전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고, 어느 리드 스위치가 먼저 펄스를 발생시켰는지에 의해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 the display device 4 includes a main controller 30 composed of a microcomputer including a CPU, a RAM, a ROM, an I / O interface, and the like for performing depth display control, motor drive control, and the like. Have. The main controller 30 has a value for each predetermined pulse of the joystick 13, various keys of the operation key section 6, the spool sensor 41 for detecting the rotation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pool 10, and the spool sensor 41. The communication control part 50 for controlling this changing spool counter 42 and the information superimposition taking-out part 251 is connected. The main control unit 30 further includes a buzzer 43 for outputting various alarms, a display unit 5 for performing various displays, a storage unit 45 for storing various data, and a motor 12. The PWM drive circuit 44 including the FET for driving the PWM, and other input / output units are connected. The spool sensor 41 has two reed switche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pool 10, detects the spool rotation position and speed by a pulse of the reed switch, and which reed switch first generates a pulse. The direction of rotation can be detected by pressing.

통신 제어부(50)에는, 정보 중첩 취출부(251)가 접속되어 있어, 통신 제어부(50)가 정보 중첩 취출부(251)를 제어하여 전력으로부터 얻어내진 낚시 정보를 표시부(5)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formation superimposition extraction unit 251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0,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information superimposition extraction unit 251 to display the fish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electric power on the display unit 5. Make sure

낚싯배에 탑재된 어군 탐지기(152) 및 GPS(153)는, 낚싯배 측의 통신 제어부(154)에 접속되어 있고, 통신 제어부(154)는, 낚싯배 측의 정보 중첩 취출부(255)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제어부(154)는, 어군 탐지기(152) 및 GPS(153)에서 수집한 낚시 정보를 정보 중첩 취출부(255)로 보낸다. 또한, 정보 중첩 취출부(251)로 취출된 전동 릴(ER)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선택된 낚시 정보를 정보 중첩 취출부(255)에 보낸다. 정보 중첩 취출부(255)는, 전원(57)에 접속되어 있고, 전원(57)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통신 제어부(154)로부터 송신된 낚시 정보를 중첩하여 전동 릴(ER)로 송신한다. 이 결과, 어군 탐지기(152)나 GPS(153)로 얻어진 낚시 정보의 데이터를 전동 릴(ER)에서 얻어낼 수가 있다. 이러한 통신 제어부(50, 154), 정보 중첩 취출부(251, 255), 전원 케이블(56), 표시부(5) 및 주 제어부(30)에 의해 낚시 정보 전송 시스템(260)이 구성되어 있다.The fish detector 152 and the GPS 153 mounted on the fishing boat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54 on the fishing boat side,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54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overlapping extraction unit 255 on the fishing boat side.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54 sends the fish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fish group detector 152 and the GPS 153 to the information overlapping extraction unit 255. Moreover, the fishing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formation from the electric reel ER taken out by the information superimposition taking-out part 251 is sent to the information superimposition take-out part 255. FIG. The information superimposition extraction part 255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57, superimposes the fish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control part 154 on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57, and transmits it to the electric reel ER. As a result, data of fishing information obtained by the fish group detector 152 or the GPS 153 can be obtained by the electric reel ER. The fish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260 is constituted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s 50 and 154, the information superimposition extracting units 251 and 255, the power cable 56, the display unit 5, and the main control unit 30.

표시부(5)는, 장비의 수심이나 어군 위치 등의 정보에 부가하여 외부로부터 얻어들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도트 매트릭스 방식의 칼라 TFT 액정 디스플레이(LC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5)는, 카운터 케이스(4a)가 닫혔을 때 보이지 않는 이면으로부터 인식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바깥쪽에 투명 수지제의 도시하지 않는 렌즈 커버를 가지고 있다. 표시부(5)에는, 후술하는 통신 모드일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모드시의 메뉴나 메뉴 조작에 근거하는 낚시 정보가 표시된다.The display part 5 is comprised by the color | collar TFT liquid crystal display (LCD) of the dot matrix system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such as the depth of a water, the position of a fish group, and the like. The display part 5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can be recognized from the back surface which is invisible when the counter case 4a is closed, and has the lens cover which is not shown in the figure which is made of transparent resin on the outer side. In the communication mode mentioned later, in the display part 5, as shown in FIG. 3, the fishing information based on the menu and menu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mode is displayed.

조작 키부(6)는, 카운터 케이스(4a)의 이면에서 표시부(5)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 키부(6)는, 도 1에서 오른쪽에 배치된 모드 전환 키(COM)와, 상하에 두 단으로 나누어 배치된 10개의 숫자 패드(TN)를 가지고 있다. 모드 전환 키(COM)는, 표시 모드를 통신 모드와 낚시 모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통신 모드라는 것은, 접속된 정보 중첩 취출부(251)를 거쳐서 낚싯배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획득하는 때에 사용되는 모드이고, 낚시 모드라는 것은, 낚시를 할 때에 수심 표시나 스풀(10)의 속도 표시 등의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드이다.The operation key part 6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display part 5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counter case 4a. The operation key part 6 has the mode switch key COM arrange |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in FIG. 1, and the ten numeric pad TN arrange | positioned in two steps up and down. The mode switch key COM switches the display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and the fishing mode. Here, the communication mode is a mode used when acquiring fishing information from a fishing boat via the connected information superimposition extraction unit 251, and the fishing mode is a speed display of the depth display and the spool 10 when fishing. This mode display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display.

숫자 패드(TN)는, 낚시 모드일 때에는, 어군 메모 설정이나 각종의 학습 모드의 전환 등의 조작에 사용되고, 통신 모드일 때에는, 어군 탐지기(152)나 GPS(153)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숫자, 문자, 기호의 입력 등의 조작에 사용된다.The numeric pad TN is used for operations such as setting a fish memo and switching various learning modes in the fishing mode, and obtaining fishing information from the fish detector 152 or the GPS 153 in the communication mode. Used to enter numbers, letters, and symbols.

다음에, 주 제어부(30)에 의해 행해지는 주된 제어 처리를 설명한다. 동작의 흐름은 제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도 4 및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main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main control part 30 is demonstrated. Since the flow of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전동 릴에 전원(57)이 접속되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 S1에서 초기 설정을 한다. 여기에서는 각종의 플래그를 리셋트하거나 표시 모드를 낚시 모드에 설정한다.When the power source 57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reel, initial setting is made in step S1 as shown in FIG. Here, various flags are reset or the display mode is set to the fishing mode.

스텝 S2에서는, 표시부(5)에 대한 표시 처리를 한다. 여기에서는, 표시 모드에 따라서, 낚시 모드일 때에는 산출된 수심 표시나 속도 표시를 한다. 또한, 통신 모드일 때에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모드의 초기 화면을 표시한다. 이 통신 모드의 초기 화면에서는, 통신 메뉴로서 예를 들어,「어군 탐지기 정보」, 「GPS 정보」의 두 개의 메뉴가 표시된다. 이러한 두 개의 낚시 정보를 죠이스틱(13)의 조작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In step S2, the display process of the display part 5 is performed. Here, depending on the display mode, the calculated depth display and the speed display are performed in the fishing mode.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initial screen of the communication mod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1A. In the initial screen of this communication mode, two menus, for example, "fish detector information" and "GPS information", are displayed as a communication menu. These two fishing information can be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13.

여기서, 어군 탐지기 정보라는 것은, 어군 탐지기(152)로부터 얻을 수 있는 낚시 정보의 처리를 하는 것이다. GPS 정보라는 것은, GPS(153)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위치 정보의 표시를 하는 것이고, 여기로부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를 하는 장소의 어군의 정보나 수온 등의 낚시 정보를 얻을 수 있다.Here, the fish group detector information is processing of fish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sh group detector 152. The GPS information is a display of the position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PS 153. From this, as shown in Fig. 11B, it is possible to obtain fishing information such as fish group information and water temperature of a fishing place.

스텝 S3에서는, 조작 키부(6)의 각종 키 및 죠이스틱(13)의 조작에 의한 키 입력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키 입력이 있었으면, 스텝 S6으로 이행해, 키 입력 처리를 한다. In step S3, it is determined whether various keys of the operation key part 6 and key input by operation of the joystick 13 existed. If there is a key input in step S3, the flow advances to step S6 to perform key input processing.                     

스텝 S4에서는, 스풀(10)이 회전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 센서(41)의 출력에 의해 판단한다. 스풀(10)이 회전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 S4로부터 스텝 S7로 이행한다. 스텝 S7에서는, 통신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통신 모드일 때에는 스텝 S8로 이행하고, 표시 모드를 통신 모드로부터 낚시 모드로 전환시킨다. 통신 모드가 아닐 때 및 스텝 S8의 처리가 종료하면, 스텝 S9의 각 동작 모드 처리로 이행한다.In step S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pool 10 has rotated. This determination is judged by the output of the spool sensor 4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ool 10 is rotating,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4 to step S7. In step S7,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in a communication mode, and when it is in communication mode, the flow advances to step S8 to switch the display mode from the communication mode to the fishing mode. When it is not in communication mode and the process of step S8 is complete | finished, it transfers to each operation mode process of step S9.

스텝 S5에서는, 그 외의 기타 지령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기타의 지령이 있었으면, 스텝 S5로부터 스텝 S10으로 이행하여, 지령에 따른 기타의 처리를 한다.In step S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are other commands. If there is any other comman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5 to step S10 to perform othe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mmand.

스텝 S6의 키 입력 처리에서는, 도 5의 스텝 S11에서 모드 전환 키(COM)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 S12에서는, 죠이스틱(13)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 S13에서는 기타의 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In the key input process of step S6, it is determined in step S11 of FIG. 5 whether the mode switch key COM has been operated. In step S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joystick 13 has been operated. In step S1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ther key has been operated.

모드 전환 키(COM)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 S11로부터 스텝 S15로 이행하여, 표시 모드가 낚시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낚시 모드일 때에는 스텝 S16으로 이행하여, 표시 모드를 통신 모드로 전환시킨다. 통신 모드일 때에는 스텝 S17로 이행해 표시 모드를 낚시 모드로 전환시킨다. 표시 모드가 통신 모드로 전환되면, 통신 제어부(50)에 의해 정보 중첩 취출부(251)를 제어해 낚싯배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도 4의 스텝 S2에서의 표시 처리로 도 11a에 나타내는 초기 화면이 표시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switching key COM has been operate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11 to step S15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 mode is a fishing mode. In the fishing mode, the flow advances to step S16 to switch the display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flow advances to step S17 to switch the display mode to the fishing mode. When the display mode is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mod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information overlapping extraction unit 251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fishing boat, and the initial processing shown in FIG. 11A by the display process in step S2 of FIG. 4. The screen is displayed.

죠이스틱(13)이 조작되면, 스텝 S12로부터 스텝 S18로 이행한다. 스텝 S18에 서는, 표시 모드가 낚시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낚시 모드라고 판단하면 스텝 S19로 이행하여, 죠이스틱(13)의 조작된 키에 따른 모터 제어 처리를 한다. 예를 들어, 죠이스틱(13)의 중심에서 압압하는 조작이 행해지면, 모터(12)를 온 오프하고, 앞으로 쓰러지면 그 동안만 증속 처리하고, 뒤로 쓰러지면 그 동안만 감속 처리한다. 여기에서는 좌우의 스위치는 무효가 된다.When the joystick 13 is operate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12 to step S18. In step S1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play mode is a fishing mode. When it determines with a fishing mode, it transfers to step S19 and performs the moto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operated key of the joystick 13. For example, when an operation for pressing at the center of the joystick 13 is performed, the motor 12 is turned on and off, and if it falls forward, only the speed is increased during that time, and if it falls backward, only the speed is decelerated. The left and right switches are disabled here.

통신 모드일 때에는, 스텝 S20으로 이행해, 커서의 이동에 의해 메뉴를 제어하는 메뉴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flow advances to step S20 to execute menu control processing for controlling the menu by moving the cursor.

스텝 S20의 메뉴 제어 처리에서는, 죠이스틱(13)의 사방 스위치에 의해 표시부(5) 상에서 커서의 이동을 행하고, 중앙의 스위치의 압압에 의해 메뉴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도 11a의 통신 메뉴에서는, 죠이스틱(13)을 위아래로 쓰러뜨리면, 커서가 메뉴의 항목을 위아래로 이동하고 중앙의 스위치를 압압하는 조작에 의해 메뉴가 선택되고, 통신 제어부(50)를 거쳐서 정보 중첩 취출부(251)로부터 낚시 정보가 취출되어 다음의 처리로 이행한다. 그리고 죠이스틱(13)에 의해 커서를 상하 좌우로 이동해 몇 개의 선택 처리를 하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낚시터에서의 어군 탐지기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In the menu control process of step S20, the cursor is moved on the display part 5 by the four-way switch of the joystick 13, and a menu is selected by the pressure of the switch of the center. For example, in the communication menu of FIG. 11A, when the joystick 13 is knocked up and down, the menu is selected by an operation of moving the cursor up and down the items of the menu and pressing the center switch,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0. Fishing information is taken out from the information superimposition taking-out part 251 via the process, and it transfers to the next process. When the cursor is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by the joystick 13 and some sel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fishing information from the fish group detector in the fishing field as shown in Fig. 11B can be displayed.

스텝 S9의 각 동작 모드 처리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Since each operation mode process of step S9 is the same as that of 1st Exampl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여기에서는, 통신 모드일 때에는, 죠이스틱(13)의 조작에 의해 어군 탐지기(152)나 GPS(153)로부터 획득된 낚시 정보를 전원 케이블(56)을 거쳐서 표시부(5)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낚시 모드일 때에는, 표시부(5)에 릴에 설치된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장비의 수심이나 어군 위치나 스풀의 속도 등의 정보를 표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케이블(56)에 의해 낚싯배에 탑재된 정보 수집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수집된 낚시 정보를 릴에 설치된 표시기에 표시 가능하게 했으므로, 전동 릴(ER)에 설치된 스풀 센서(41) 등의 검출 수단에 근거하는 정보 이외에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신속히 얻을 수 있다. 또, 유선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 갑판 상에 배선이 뒤엉키지 않고 용이하게 낚시 정보를 얻을 수 있다.Here,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display unit 5 can display the fish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sh group detector 152 or the GPS 153 by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13 via the power cable 56. In the fishing mode, the display unit 5 can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he depth of the equipment, the position of the fish group, the speed of the spool, etc. by the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means provided on the reel. In this way, the power supply cable 56 enabled communication with th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mounted on the fishing boat so that the collected fishing information could be displayed on the indicator installed on the reel. Thus, the spool sensor 41 provided on the electric reel ER.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ction means such as), fishing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can be obtained quickly. In addition, when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wire, fishing information can be easily obtained without entangled wiring on the deck.

〔제3 실시예의 변형예〕[Modification of Third Embodiment]

(a)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전원 케이블(56)을 거쳐서 전동 릴(ER) 측으로부터도 정보를 전송하는 양방향 정보 전송을 수행하였지만, 정보 수집 장치 측으로부터 낚시 정보를 한 방향으로 전송하는 것도 무방하다.(a) In the third embodiment, although the bidirec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is also performed, which transmits information from the electric reel ER side via the power cable 56,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fishing information in one direction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side. It's okay.

(b) 상기 제3 실시예에서도, 칼라 TFT 방식의 LCD를 표시부(5)로 사용했지만, 흑백 LCD를 사용해도 된다.(b) In the above third embodiment, although the color TFT type LCD is used as the display portion 5, a black and white LCD may be used.

(c)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낚싯배의 정보 수집 수단으로서 어군 탐지기나 GPS를 개시하였으나, 예를 들어, 낚싯배가 인터넷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얻어진 인터넷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조수위, 기상 정보 등의 낚시 정보를 인터넷으로 수집하여, 그들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낚싯배가 해저 등의 지형 정보나 수온이나 조류의 방향 등을 수집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얻어진 지형 정보나 수온이나 조류의 방향 등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c)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ish finder and the GPS are disclosed as the fishing boat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However, for example, when the fishing boat has the function of collecting the Internet information, the obtained interne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You may be able to. For example, fishing information, such as tide level and weather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on the Internet and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fishing boat can collect terrain information such as the seabed, water temperature, or the direction of birds, the obtained terrain information, water temperature, or the direction of birds may be displayed.                     

(d)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어군 탐지기(152)로부터의 낚시 정보와 GPS(153)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표시부(5)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하였으나, 두 개의 정보를 표시부(5)에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ishing information from the fish finder 152 and the fishing information from the GPS 153 are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 but two pieces of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e) 장비에 음파 반사 부재를 장착하여, 장비의 위치를 통신 모드 시에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e) It is also possible to equip the equipment with a sound wave reflection memb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equipmen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communication mode.

(f) 상기 제3 실시예에서도, 전동 릴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수동 릴에 전원 케이블을 접속하여 낚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낚시용 릴과는 별도로 표시기를 설치하고, 그것을 낚시용 릴의 근방에 배치하고, 그 표시기에 전원 케이블을 접속하여 낚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f) In the above third embodiment, the electric reel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fishing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by connecting the power cable to the manual reel.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indicator separately from the fishing reel, arrange it in the vicinity of the fishing reel, and connect the power cable to the indicator to display the fishing information.

〔제4 실시예〕[Example 4]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채용한 낚시용 릴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구동에 의해 스풀 회전을 하는 전동 릴에 있어서,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의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3) 및 릴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개폐식의 표시 장치(4)를 포함하고 있다.The fishing reel employing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de of the reel main body 1 and the reel main body 1 in the electric reel that rotates the spool by a motor drive as shown in FIG. 14. The handle 2 for spool rotation arranged in the main body, and the star drag 3 for drag adjustment arranged on the reel main body 1 side of the handle 2 and the opening / closing 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el main body 1 ( 4) is included.

릴 본체(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과 그것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8)로 구성된 프레임(7)과, 프레임(7)의 좌우를 덮는 좌우의 제1 측면 커버(9a) 및 제2 측면 커버(9b)를 가지고 있다. 제2 측면 커버(9b)에는 핸들(2)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릴 본체(1) 후방에 배치된 연결 부재(8)의 제1 측면 커버(9a) 측 뒷부분에는, 외부 전원 접속용의 커넥터(19a)가 선단에 장착된 릴 코드(19)가 연장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reel main body 1 includes a frame 7 including a pair of left and right first side plates 7a and second side plates 7b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8 connecting them. And the left and right first side cover 9a and the second side cover 9b cover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7.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2nd side cover 9b.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side cover 9a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8 disposed behind the reel main body 1, a reel cord 19, on which a connector 19a for external power supply connection is mounted, is extended.

릴 본체(1)의 내부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축에 장착된 스풀(1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10)의 내부에는, 스풀(10)을 낚싯줄을 감아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릴 본체(1)의 핸들(2) 측 측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클러치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레버(11)가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1)의 핸들(2) 측 측면의 클러치 레버(11)의 전방에는, 모터(12)를 온, 오프하기 위한 모터 스위치(350)와, 모터(12)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속도 변경 레버(360)가 설치되어 있다.Inside the reel main body 1, as shown in FIG. 14, the spool 10 attached to the spool shaft is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spool 10, the motor 12 which rotationally drives the spool 10 in the direction which winds up a fishing line is arrange | positioned. Moreover, the clutch lever 11 for operating the clutch mechanism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of the handle 2 side of the reel main body 1. As shown in FIG. In front of the clutch lever 11 on the side of the handle 2 side of the reel unit 1, a speed for chang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switch 350 and the motor 12 for turning the motor 12 on and off; The change lever 360 is provided.

표시 장치(4)는,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위쪽에 릴 본체(1)와 일체로 설치된 제1 부재(4a)와, 제1 부재(4a)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부재(4b)와, 제1 부재(4a)와 제2 부재(4b)를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4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4 to 18, the display device 4 is provided on the first member 4a and the first member 4a which ar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reel main body 1 above the reel main body 1. It is comprised by the 2nd member 4b provided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and the connection member 4c which slidably connects the 1st member 4a and the 2nd member 4b.

제1 부재(4a)는,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양측부 위쪽에 릴 본체(1)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1 부재(4a)의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고 있어, 이 수납 공간에는, 도 20에 도시된 제어부(30) 등의 각종의 전기 부품이 수납되어 있다. 제어부(30)에는, 모터 스위치(350), 속도 변경 레버(360), 후술하는 조작 키부(6), 통신 제어부(70), 내부 전지(81)에 접속되는 배터리 제어부(80), 표시부(5), 모터(12)를 구동하는 PWM 구동 회로(331) 및 기타 다른 입출력부가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4 thru | or 18, the 1st member 4a is integrally shape | molded with the reel main body 1 on the upper side of both sides of the reel main body 1. A storage space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member 4a, and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the controller 30 shown in FIG. 20 ar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he control unit 30 includes a motor switch 350, a speed change lever 360, an operation key unit 6 described later,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70, a battery control unit 80 connected to an internal battery 81, and a display unit 5. ), A PWM driving circuit 331 for driving the motor 12, and other input / output units are connected.

또한, 제1 부재(4a)의 전단부는 연결 부재(4c)를 장착하기 위하여 일부가 위 쪽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부재(4a)의 윗면은, 양측부와도 동일한 높이의 평탄면으로 되어 있고, 연결 부재(4c) 장착용 돌출 부분부터 후방을 향해 기울어져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first member 4a has a shape in which a part thereof protrudes upward in order to mount the connecting member 4c.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ember 4a is a flat surface having the same height as both side portions, and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protruding portion for attaching the connecting member 4c to be inclined downward.

제2 부재(4b)는, 제1 부재(4a)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부재(4b)의 장착 부분은 제1 부재(4a)의 돌출 부분에 합치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부재(4a) 및 제2 부재(4b)의 장착 부분에는 연결 부재(4c)가 장착되어 있다. 제2 부재(4b)는, 제1 부재(4a)와 대향하는 면에 배치된 표시부(5)와, 표시부(5)의 근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스위치로 된 조작 키부(6)를 가지고 있다. The 2nd member 4b is attached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1st member 4a.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4b is shaped to conform to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first member 4a. The connection member 4c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part of the 1st member 4a and the 2nd member 4b. The 2nd member 4b has the display part 5 arrange | positioned at the surface which opposes the 1st member 4a, and the operation key part 6 which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display part 5 and consists of several switches.

연결 부재(4c)는, 요동축(X)을 가지는 금속제의 샤프트이고, 제1 부재(4a)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고 제2 부재(4b)에 대해서는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연결 부재(4c)는, 비틀림 스프링 등에 의한 도시하지 않는 위치 결정 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제2 부재(4b)의 개폐 위치를 단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4c is a metal shaft having a swing shaft X, and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second member 4b without being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4a. Moreover, the connection member 4c includes the positioning mechanism not shown by a torsion spring etc., and can determine the opening / closing position of the 2nd member 4b in steps.

표시부(5)는, 도 19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의 수심이나 변속 단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표시부(5)는, 예를 들어 릴을 기동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현재의 일시를 표시하는 일시 표시 모드로 이행한다. 일시 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부(5)는, 오전(Ante Meridiem; AM) 또는 오후(Post Meridiem; PM)와 네 자리수의 시분을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AM 또는 PM 표시에 의한 12 시간 표시와 24 시간 표시가 전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현재의 일시는 후술하는 전파 시계(72)(도 20 참조)에 의해 일시를 취득하고, 제어부(30)에 의한 시계 기능에 의해 일시의 산출 및 표시를 한다.The display unit 5 is for displaying the depth of water and the gear stage of the equipment, as enlarged in FIG. 19. 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starting the reel,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5 shifts to the temporary display mode in which the current date and time are displayed. In the temporary display mode, the display unit 5 displays an hour (Ante Meridiem; AM) or an afternoon (Post Meridiem (PM)) and a four-digit hour and minute. Here, it is possible to switch between the 12-hour display and the 24-hour display by the AM or PM display. In addition, the current date and time are acquired by the radio time signal 72 (refer FIG. 20) mentioned later, and the date and time are calculated and displayed by the clock function by the control part 30. FIG.

또한, 후술하는 모드 스위치(MD)(도 19 참조)에 의해, 표시 모드를 조석 시간표 모드, 기상 정보 모드, 배터리 모드로 변경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mode switch MD (see FIG. 19) described later can change the display mode to the tidal timetable mode, the weather information mode, and the battery mode.

조석 시간표 모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의 일시, 현재의 위치로서 위도, 경도, 지역 등을 표시한다. 그리고 현재의 일시 및 현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석 시간표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석 상태(대조, 중조, 소조, 장조, 약조), 간조 시각, 만조 시각, 그것들의 조위, 일출 시각, 일몰 시각 등을 표시한다.In the tidal time schedule mode, as shown in Fig. 21, the latitude, longitude, area, etc. are displayed as the current date and time and the current position. Then, the tidal timetab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date and time and the current position is displayed. Specifically, the tidal state (high tide, mid tide, low tide, major high, low tide), low tide time, high tide time, their tide, sunrise time, sunset time, and the like are displayed.

기상 정보 모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의 일시, 현재의 위치로서 위도, 경도, 지역 등을 표시한다. 그리고 현재의 일시 및 현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날씨, 파고, 소정 시간 간격의 강수 확률, 최고 기온, 최저 기온, 풍향, 풍속 등을 표시한다. 또한, 현재의 기상 정보 뿐만이 아니라, 예를 들어, 수시간 간격의 일기 예보나, 나아가 현재의 위치에 있어서의 광역 정보나, 다른 지역의 정보를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게다가 이러한 기상 정보 외에, 강수량, 일조 시간, 습도, 기압, 태풍 정보, 주의보, 경보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위치는 후술하는 GPS(73)(도 20 참조)에 의해 위치를 취득하고, 제어부(30)에 의해 위치의 산출 및 표시를 한다. 또한, 각종의 기상 정보는, 후술하는 인터넷 등에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74)(도 20 참조)에 의해 취득한다.As shown in Fig. 22, the weather information mode displays latitude, longitude, area, and the like as the current date and time and the current position.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date and time and the current location is displayed. Specifically, weather, digging, precipitation probability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maximum temperature, minimum temperatur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the like are displayed. In addition to the current weather information, for example, weather forecasts of several hours apart, wide area inform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and information of other regions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to such weather information, information such as precipitation, sunshine time, humidity, air pressure, typhoon information, warnings, and alarms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current position acquires a position by GPS 73 (refer FIG. 20) mentioned later, and the control part 30 calculates and displays a position. In addition, various weather information is acquir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4 (refer FIG. 20)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etc. which are mentioned later.

배터리 모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의 일시, 내부 전지(81)(도 20 참조)의 잔량, 내부 전지(81)의 사용 개시 일시, 내부 전지(81)의 사용 경과 일 시, 내부 전지(81)의 예상 교환 일시 등을 표시한다. 또한, 내부 전지(81)의 사용 경과 일시가 소정의 일시를 초과하면, 내부 전지(81)의 교환이나 충전의 촉진 등을 낚시꾼에게 재촉하는 경고 표시를 한다. 또한, 내부 전지(81)의 사용 개시 일시는, 내부 전지(81)에 접속된 배터리 제어부(80)(도 20 참조)에 의해, 내부 전지(81)의 상태를 검출하고, 제어부(30)에 의해 현재의 일시의 정보를 감안해 내부 전지(81)의 예상 교환 일시의 산출 및 표시를 한다.As shown in FIG. 23, the battery mode includes the current date and tim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internal battery 81 (see FIG. 20), the start date and time of use of the internal battery 81, and the elapsed date and time of use of the internal battery 81. The expected replacement date and the like of the internal battery 81 are displayed. If the elapsed date and time of use of the internal battery 81 exceeds a predetermined date and time, a warning display prompts the angler to replace the internal battery 81, promote the charging, or the like. In addition, the use start date and time of the internal battery 81 detects the state of the internal battery 81 by the battery control unit 80 (refer to FIG. 20) connected to the internal battery 81, and sends the control unit 30 to the control unit 30. Thus, the estimated replacement date and time of the internal battery 81 are calculated and display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date and time information.

또한, 배터리 모드에 있어서 내부 전지(81)의 상태를 검지하는 것이 아니라, 각 모드에 들어간 횟수나 시간을 카운트하여, 내부 전지(81)가 가지고 있는 포인트를 감산하는 형식으로 잔량 또는 예상 교환 일시 등을 예측·연산해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전지 상태의 검출 수단이 불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battery mode, the state of the internal battery 81 is not detected, but the number of times and the time of entering each mode is counted, and the remaining points or the expected replacement date and time are subtracted in such a manner as to subtract the points possessed by the internal battery 81. May be predicted, calculated, and displayed. In this case, the battery state detection means becomes unnecessary.

조작 키부(6)는, 도 14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의 아래쪽에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메뉴 스위치(MN)와, 모드 스위치(MD)와, 바닥 메모 스위치(SM)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S. 14 and 19, the operation key unit 6 includes a menu switch MN, a mode switch MD, and a floor memo switch SM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5. Have

메뉴 스위치(MN)은 각종의 메뉴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다. 모드 스위치(MD)는 각종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표시 상태를 일시 표시 모드, 조석 시간표 모드, 기상 정보 모드, 배터리 모드로 각각 설정 가능하다. 또한, 모터(12)의 회전 제어로서 장력 일정 모드와 스피드 일정 모드가 전환된다. 바닥 메모 스위치(SM)는, 장비가 바닥에 도달했을 때에 눌러지는 스위치이고, 그 때의 수심이 바닥으로서 설정된다.The menu switch MN is a switch for setting various menus. The mode switch MD is a switch for setting various modes, and the display state can be set to a temporary display mode, a tidal time schedule mode, a weather information mode, and a battery mod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stant tension mode and the constant speed mode are switched as the rotation control of the motor 12. The floor memo switch SM is a switch pressed when the equipment reaches the floor, and the depth at that time is set as the floor.

모터 스위치(350)는, 속도 변경 레버(360) 근방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속도 변경 레버(360)의 요동축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압압 조작(이동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모터(12)의 온, 오프를 하고 있다.The motor switch 350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speed change lever 360 to move the swing shaft of the speed change lever 360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motor 12 is turned on and off by performing a pressing operation (moving opera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속도 변경 레버(360)는, 요동축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의 증속 위치로 요동시키면 모터(12)가 증속하고, 후방의 감속 위치로 요동시키면 모터(12)가 감속한다. 속도 변경 레버(360)는, 증속 위치 및 감속 위치의 어느 쪽인가에 위치하고 있어도, 항상 중립 위치로 압박되어 있다.The speed change lever 360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sw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swing shaft, and when the motor is moved to the forward speed increasing position, the motor 12 is increased, and the motor 12 is decelerated when the motor is moved to the rear deceleration position. . The speed change lever 360 is always pressed to the neutral position even if the speed change lever 360 is located in either the acceleration position or the deceleration position.

통신 제어부(7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 무선 송수신부(71)(도 14 내지 도 16 참조), 전파 시계(72), GPS(73) 및 통신 단말 장치(74)에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0,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70 includes a control unit 30,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71 (see FIGS. 14 to 16), a radio time signal 72, a GPS 73,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 74).

무선 송수신부(71)는, 복수의 영역의 주파수의 전파를 송수신 가능한 유니트이고, 외부에 노출하는 안테나 등을 가지고 있다. 덧붙여 무선 송수신부(71)는, 전파 시계(72), GPS(73) 및 통신 단말 장치(74)에 각각 대응하는 전파를 송수신 가능하다.The radio transceiver 71 is a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of a plurality of areas, and has an antenna or the like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radio transceiver 71 can transmit and receive radio waves corresponding to the radio time signal 72, the GPS 73,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4, respectively.

전파 시계(72)는, 무선 송수신부(71)에 의해 표준 전파로 시각 정보를 수신하여, 이 시각 정보를 제어부(30)로 송신하고, 제어부(30)는 현재의 시각을 자동 보정한다. 또한, 시각의 수정 주기는, 예를 들어 한시간 간격이나 기동시로만 하는 등으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The radio time signal 72 receives time information by the standard radio wave by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71, transmits the tim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30, and the control unit 30 automatically corrects the current time. In addition, the correction period of the time can be arbitrarily set, for example, at an interval of one hour or at startup.

GPS(73)는, 전지구 측위 시스템이라 불리는 위치 정보 취득 시스템이고,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것에 의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위도, 경도)를 취득한다. 이 위치 정보를 제어부(30)로 송신해, 제어부(30)는 미리 설정된 지역 정보 와 조합해, 현재의 위치를 산출해 표시한다. 또한, 현재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등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The GPS 73 is a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called a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acquires current positional information (latitude and longitude) by receiving radio waves from satellites. The pos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 and the control unit 30 calculates and displays the current position in combination with the preset area information. In addition, a map or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통신 단말 장치(74)는, 휴대 전화나 모뎀 기능을 탑재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의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단말 장치이고, 각종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덧붙여 전파 시계(72), GPS(73) 및 통신 단말 장치(74)는 릴에 내장되어 있어도 되고, 별체로 장착하여도 된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4 is a terminal device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equipped with a cellular phone or a modem func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 addition, the radio time signal 72, the GPS 73,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4 may be incorporated in a reel, or may be separately attached.

이 수심 표시 장치(4)에서는, 표시부(5)로 현재의 일시를 표시시킬 수가 있으므로, 일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In the depth display device 4, the display unit 5 can display the current date and time, and thus the date and time can be easily recognized.

〔제4 실시예의 변형예〕[Modifications of the fourth embodiment]

(a) 상기 제4 실시예에서는, 낚시용 릴로서 개폐식의 전동 릴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폐식이 아닌 형태의 케이스 부재를 가지는 전동 릴이나 수동 릴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a) 했지만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fishing reel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retractable electric ree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also applies to an electric reel or a manual reel having a case member of a non-opening type. Applicable

(b) 상기 제4 실시예에서는, 표시부(5)는 도트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표시를 하고 있었지만, 세그먼트 방식의 액정 표시를 하도록 해도 된다.(b) 에서는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display unit 5 performs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dot matrix system, but may perform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segment system.

(c) 상기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부재(4a)는, 릴 본체(1)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었지만, 별체로 설치해도 된다.(c)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first member 4a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reel unit 1, but may be provided separately.

(d) 상기 제4 실시예에서는, 전파 시계(72), GPS(73) 및 통신 단말 장치(74)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전파 시계(72), GPS(73) 및 통신 단말 장치(74)의 어느 한 쪽이 설치되고 있어도 되고, 전파 시계(72), GPS(73) 및 통신 단말 장치(74)의 모두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전파 시계(72) 대신에 통신 단말 장치(74)인 휴대 전화나 라디오의 시보 등을 이용한 시각 보정을 해도 무방하고, GPS(73) 대신에 통신 단말 장치(74)인 휴대 전화의 위치 정보 서비스 등을 이용해 위치 정보를 취득해도 무방하다.(d) In the fourth embodiment, although the radio time signal 72, the GPS 73,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4 are provided, the radio time clock 72, the GPS 73,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4 are provided. Either one may be provided and all of the radio time signal 72, the GPS 73,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4 may not be provided. For example, the time correc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mobile phone, which is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4, or a time signal of a radio, instead of the radio clock 72, and a mobile phone, which is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4, instead of the GPS 73.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acquired using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or the like.

본 발명에 의하면, 릴에 정보 단말 장치를 접속 가능하게 하여 정보 단말 장치로 얻어진 정보를 표시기에 표시 가능하게 했으므로, 릴에 설치된 검출 수단에 근거하는 정보 이외의 여러 가지의 정보를 낚시꾼이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can be connected to the reel and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angler can obtain various information other than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ction means provided on the reel.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낚싯배의 정보 수집 수단으로 수집된 낚시 정보가 낚시꾼의 릴 낚시용 릴에 표시되므로, 낚싯배에 탑재된 정보 수집 수단으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신속히 얻을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fish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fishing vesse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is displayed on the reel fishing reel of the angler, fishing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mounted on the fishing boat can be quickly obtained.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전원 케이블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낚시 정보를 중첩해 낚시용 릴에 전송하고 있으므로, 전원 케이블 이외에 여분의 배선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낚싯배로 수집된 낚시 정보를 배선이 뒤엉키는 일 없이 낚시꾼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shing information is superimposed on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cable and transmitted to the fishing reel, extra wiring other than the power supply cable is unnecessary. For this reason, the fish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fishing boat can be transmitted to the angler without tangling the wiring.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표시 장치를 가지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표시부에 현재의 일시를 표시시키는 것에 의하여, 일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ishing reel having a display device, the date and time can be easily recognized by displaying the current date and time on the display unit.

Claims (30)

낚싯대에 장착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In the fishing reel mounted on the fishing rod, 상기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와,A reel body mounted to the fishing rod,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권취용 스풀과,A fishing line winding spool rotatably mounted on the reel unit,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되고, 각종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표시기와,An indicator mounted on the reel unit and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상기 표시기에 표시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정보 획득 수단 및Information acquiring means capable of acquiring information from one or a plurality of external sources for displaying on the indicator; 상기 정보 획득 수단으로 획득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정보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정보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낚시용 릴.And information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one or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nformation obtaining means on the display.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정보 획득 수단은, 상기 외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정보 단말 장치를 접속할 수 있는 단말 장치 접속 수단을 포함하고,The information acquiring means includes a terminal device connecting means capable of connecting a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the external information, 상기 정보 표시 수단은, 상기 정보 단말 장치로부터 얻은 정보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단말 장치 정보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낚시용 릴.And 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comprises terminal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ans for causing the display to display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정보 단말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수단과,Operating means capable of operating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정보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정보 단말 장치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낚시용 릴.An fishing reel further comprising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ans. 제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조작 수단은, 음성에 의해 조작 가능한 음성 조작 수단이고,The operation means is audio operation means that can be operated by voice, 상기 정보 단말 장치 제어 수단은, 상기 음성 조작 수단에 의한 조작에 의해 상기 정보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낚시용 릴.And 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means controls 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by an operation by the voice operation means. 제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이동 전화인 낚시용 릴.The said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is a fishing reel which is a mobile telephone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낚싯대에 장착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In the fishing reel mounted on the fishing rod, 상기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와,A reel body mounted to the fishing rod,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권취용 스풀과, A fishing line winding spool rotatably mounted on the reel unit,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되고, 각종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표시기와,An indicator mounted on the reel unit and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정보 단말 장치와,A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상기 정보 단말 장치로부터 얻은 정보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단말 장치 정보 표시 수단과,Terminal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sai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on said display unit; 상기 정보 단말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수단과,Operating means capable of operating th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정보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정보 단말 장치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낚시용 릴.A fishing reel including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ans. 제2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6,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인터넷 상에서 공개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낚시용 릴.Th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s a fishing reel that can collect information published on the Internet. 제1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상기 스풀에 권취되는 낚싯줄에 연결된 장비의 수심을 계측할 수 있는 수심계측 수단과, Wound on the spool Depth measurement means for measuring the depth of the equipment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상기 수심 계측 수단으로 계측된 수심을 상기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수심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낚시용 릴.And a depth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depth measured by the depth measurement means on the indicator. 제1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상기 표시기는, 도트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인 낚시용 릴.The said indicator is a fishing reel which is a dot-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정보 획득 수단은, 하나 또는 복수의 낚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정보 수집 수단을 가지는 낚싯배에서 수집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낚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The information obtaining means may obtain the one or more fish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fishing boat having an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capable of collecting one or a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상기 정보 표시 수단은, 상기 정보 획득 수단으로 획득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낚시 정보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낚시용 릴.And 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displays the one or more fish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formation obtaining means on the display. 제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낚시 정보는, 전원으로부터 전원 케이블을 거쳐서 공급되는 전력에 중첩하여 송신되고,The fish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superimposed o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via the power cable, 상기 정보 획득 수단은, 상기 정보 수집 수단에서 수집되고 상기 전력에 중첩된 상기 낚시 정보를 취출하는 낚시용 릴.And the information obtaining means extracts the fish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and superimposed on the electric power. 제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상기 정보 획득 수단은, 상기 릴 본체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고,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cable extending from the reel unit, 상기 전원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부를 가지고 있는 낚시용 릴.A fishing reel having a connector portion for connecting the power cable. 제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정보 획득 수단은, 낚싯대에 계지할 수 있는 낚싯대 계지부(係止部)를 가지고 있는 낚시용 릴.The said information acquiring means is a fishing reel which has a fishing rod locking part which can be hooked on a fishing rod. 제10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상기 정보 표시 수단은, 상기 복수의 낚시 정보 중 임의의 어느 것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가지는 낚시용 릴.And 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has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any of the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제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복수의 낚시 정보는, 상기 낚싯배에 탑재된 어군 탐지기로부터 얻을 수 있는 어군의 위치, 어군의 상황 및 어군의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제1 낚시 정보와, 상기 낚싯배에 탑재된 전지구 측위 시스템(GPS)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현재 위치 및 낚시터를 나타내는 제2 낚시 정보이고,The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includes first fish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fish group, the situation of the fish group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sh group obtained from the fish group detector mounted on the fishing boat, and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unted on the fishing boat. Second fish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and fishing spot obtained from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제1 낚시 정보와 상기 제2 낚시 정보 중 임의의 어느 것을 선택할 수 있는 낚시용 릴.And the selection means is capable of selecting any one of the first fish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fishing information. 제10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상기 정보 표시 수단은, 상기 복수의 낚시 정보를 상기 표시기에 한 화면으로 표시하는 낚시용 릴.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is a fishing reel for displaying the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on the display on one screen.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스풀에 권취되는 낚싯줄에 연결된 장비의 수심을 계측할 수 있는 수심 계측 수단과, Depth measurement means capable of measuring the depth of the equipment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wound on the spool, 상기 수심 계측 수단으로 계측된 수심을 상기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수심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낚시용 릴.And a depth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depth measured by the depth measurement means on the indicator.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현재의 일시(日時)를 산출하는 일시 산출 수단과,Date and time calculation means for calculating a current date and time, 상기 일시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일시를 표시하는 일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낚시용 릴.And fishing dat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date and time calculated by said date and time calculation means. 제1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정보 획득 수단은, 상기 현재의 일시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일시 취득 수단을 가지는 낚시용 릴.And the information obtaining means includes date and time obtaining means for obtaining the current date and time from the outside. 제1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일시 취득 수단은 외부로부터 발신된 시각 정보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현재의 일시를 취득하는 낚시용 릴.And the date and time acquisition means obtains the current date and time by receiving a radio signal having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제1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8, 현재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낚시용 릴.Fishing reel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current position. 제2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현재의 위치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위치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는 낚시용 릴.And a position acquiring means for acquiring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outside. 제2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위치 취득 수단은 외부로부터 발신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현재의 위치를 취득하는 낚시용 릴.And said position acquiring means for acquiring said current position by receiving a radio signal having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제2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현재의 일시 및 상기 현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석 시간표를 표시하는 조석 시간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낚시용 릴.A tidal timetable displaying a tidal timetab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date and time and the current location Fishing reel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means. 제2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낚시용 릴은 기상 정보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The fishing reel further includes a weather information display means, 상기 기상 정보 표시 수단은 상기 현재의 일시 및 상기 현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를 표시하는, The weather information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date and time and the current location; 낚시용 릴.Fishing reels. 제1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된 내부 전지의 사용 개시 일시를 취득하는 사용 개시 일시 취득 수단과, 상기 사용 개시 일시와 상기 현재의 일시에 근거하여 상기 내부 전지의 사용 경과 일시를 산출하는 사용 경과 일시 산출 수단과, 상기 사용 경과 일시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사용 경과 일시를 표시하는 사용 경과 일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낚시용 릴.Usage start date and time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the usage start date and time of the internal battery installed in the said reel main body; And a usage elapsed date and tim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usage elapsed date and time calculated by the use elapsed date and time calculation means. 제2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사용 경과 일시가 소정의 일시를 초과하면 경고 표시를 하는 경고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낚시용 릴.Fishing fishing reel further comprising a warning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warning when the elapsed date and time of use exceeds a predetermined date and time. 하나 또는 복수의 낚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낚싯배로부터 상기 낚싯배에서 낚시용 릴을 이용해 낚시를 하는 낚시꾼에게로 상기 낚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낚시 정보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fish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the fishing information from a fishing boat that can collect one or a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from the fishing boat to the angler fishing using the fishing reel on the fishing boat, 상기 낚시용 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과 상기 낚시용 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낚시용 릴에 상기 전원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과,A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shing reel and the fishing reel A power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supply power of the power to the fishing reel; 상기 전원 케이블의 상기 전원 측에 접속되고, 상기 낚시 정보를 상기 전원 케이블로부터 상기 낚시용 릴에 공급되는 전력에 중첩시키기 위한 정보 중첩 수단과,Information superimposing means connected to said power supply side of said power cable, said information superimposing means for superimposing said fishing information on the power supplied from said power cable to said fishing reel; 상기 전원 케이블의 상기 낚시용 릴 측 또는 상기 낚시용 릴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에 중첩된 상기 낚시 정보를 취출하는 정보 획득 수단과,Information obtaining means provided on the fishing reel side or the fishing reel of the power cable and extracting the fishing information superimposed on the electric power; 상기 낚시용 릴 또는 상기 낚시용 릴의 근방에 설치되고, 각종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기 및 An indicator installed near the fishing reel or the fishing reel and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상기 정보 획득 수단으로 취출된 낚시 정보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정보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낚시 정보 전송 시스템.And fishing information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the fishing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information obtaining means. 제2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정보 표시 수단은, 상기 복수의 낚시 정보 중 임의의 어느 것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가지는 낚시 정보 전송 시스템.And 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has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any of the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제2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복수의 낚시 정보는, 상기 낚싯배에 탑재된 어군 탐지기로부터 얻을 수 있는 어군의 위치, 어종, 크기, 어군의 상황 및 어군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제1 낚시 정보와, 상기 낚싯배에 탑재된 전지구 측위 시스템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현재 위치 및 낚시터를 나타내는 제2 낚시 정보이고,The plurality of fishing information, the first fish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fish group, the species, size, the situation of the fish group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sh group obtained from the fish group detector mounted on the fishing boat, and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mounted on the fishing boat Second fish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and fishing spot obtained from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제1 낚시 정보와 제2 낚시 정보중 임의의 어느 것을선택할 수 있는 낚시 정보 전송 시스템.And the selection means can select any one of the first fish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fishing information.
KR1020010080925A 2000-12-18 2001-12-18 Fishing reel and transmission system of fishing information KR1008267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84196A JP4500438B2 (en) 2000-12-18 2000-12-18 Fishing reel
JPJP-P-2000-00384196 2000-12-18
JPJP-P-2001-00066431 2001-03-09
JP2001066431A JP2002262739A (en) 2001-03-09 2001-03-09 Fishing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electric reel
JPJP-P-2001-00192890 2001-06-26
JP2001192892A JP2003000111A (en) 2001-06-26 2001-06-26 Fishing reel
JP2001192890A JP2003000110A (en) 2001-06-26 2001-06-26 Displaying device for fishing reel
JPJP-P-2001-00192892 2001-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909A KR20020048909A (en) 2002-06-24
KR100826758B1 true KR100826758B1 (en) 2008-04-30

Family

ID=2748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925A KR100826758B1 (en) 2000-12-18 2001-12-18 Fishing reel and transmission system of fishing information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26758B1 (en)
CN (1) CN1359616A (en)
TW (1) TW50308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0666A (en) * 2009-12-22 2011-07-07 Shimano Inc Fish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attaching tool
JP5707074B2 (en) * 2010-09-17 2015-04-22 株式会社シマノ Electric reel
JP6204041B2 (en) * 2013-03-22 2017-09-27 株式会社シマノ Double bearing reel
CN104236552A (en) * 2014-09-30 2014-12-24 金华雅奇电子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fishing map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513A (en) * 1996-05-08 1997-11-18 Shimano Inc Measuring device of water depth for fishing reel
JPH1156187A (en) * 1997-08-26 1999-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ishing device
JP2001178325A (en) * 1999-12-27 2001-07-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el having gps function
KR20010094941A (en) * 2000-04-05 2001-11-03 시마노 요조 Display device for fishing re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513A (en) * 1996-05-08 1997-11-18 Shimano Inc Measuring device of water depth for fishing reel
JPH1156187A (en) * 1997-08-26 1999-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ishing device
JP2001178325A (en) * 1999-12-27 2001-07-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el having gps function
KR20010094941A (en) * 2000-04-05 2001-11-03 시마노 요조 Display device for fish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03082B (en) 2002-09-21
KR20020048909A (en) 2002-06-24
CN1359616A (en)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5440B2 (en) Fishing reel, fishing data display device, and fishing data display system
US7523881B2 (en) Fishing reel, fish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fishing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101025931B1 (en) Drift buoy for marine observation
US201402496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rolling Motor
US10406920B2 (en) Gauge type bicycle computer
US20060191185A1 (en) Downrigger System with Responsive Depth Setting
JPH1118615A (en) Marine movable body and management system for marine movable body
US20040124297A1 (en) Fishing indicator device
KR100826758B1 (en) Fishing reel and transmission system of fishing information
US20020053617A1 (en) Fishing reel
JP2008184050A (en) Approach system to buoy of ship and its method
IES990730A2 (en) A meteorological and hydrographical forecast system and method
CA2294256C (en) Fishing indicator device
JP2003000111A (en) Fishing reel
CN103271009A (en) Wireless telescopic fishing rod voice alarm capable of realizing line return alarming and adjustable in sensitivity
JP2005229925A (en) Display apparatus of fishing reel
KR200189413Y1 (en) The bite sensible system of fish-hook
JP3977788B2 (en) Fishing reel
JP3833130B2 (en) Fishing reel
JP2005348684A (en) Fishing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2005160420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fishing information
CA2900591C (en) Systems and methods to track movement of animals
JP2005160420A5 (en)
JP2002253088A (en) Fishing tackle and relative position recognition system therefor
AU710129B2 (en) Fishing indic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