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635B1 -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를 이용한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를 이용한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635B1
KR100826635B1 KR1020070111001A KR20070111001A KR100826635B1 KR 100826635 B1 KR100826635 B1 KR 100826635B1 KR 1020070111001 A KR1020070111001 A KR 1020070111001A KR 20070111001 A KR20070111001 A KR 20070111001A KR 100826635 B1 KR100826635 B1 KR 100826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weight
parts
potassium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김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진 filed Critical 김태진
Priority to KR102007011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D9/02Other in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trac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Fertiliz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를 이용한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고가의 은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최상의 살균력을 얻음과 동시에 농작물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은, 고농도의 은이온을 암모니아, 티오황산나트륨, 티오황산칼륨 또는 아민류 화합물로 착이온 안정화시킨 은이온 수용액 및 질소원, 인산, 칼륨, 마그네슘, 망간, 붕소, 철, 몰리브덴, 아연, 구리, 석회를 포함하는 비료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료 조성물은 농작물의 친환경적 방제가 가능하고, 작물 생장을 촉진하며, 안정적인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은나노에 비해 은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더 높은 살균 효과를 볼 수 있다.
은이온, 복합 비료, 살균, 착이온, 비료성분

Description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를 이용한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 {Sterilizing and fertilizing composition using silver-ion stabilization}
본 발명은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를 이용한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고가의 은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최상의 살균력을 얻음과 동시에 농작물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농약과 비료의 개발로 인한 식량 증식은 인류가 풍족한 생활을 영위하고, 문명이 발달할 수 있게 되었으나, 농약이 인체와 자연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농약 사용을 자제하고 친환경 농약 대체제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친환경 농산물 생산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친환경 농약 대체제로 미생물, 천적, 식물추출물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또한, 은(silver)은 가공이 용이하여 오래전부터 주방도구와 장신구 등 우리 주변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우유 용기에 은화를 넣으면 우유의 보존 기간이 길어지는 현상을 통해 은의 살균력을 경험으로 인지하였다. 최근 은이 약 650 가지 세균을 살균할 수 있고, 항생제의 큰 문제점인 내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생활 전 반에서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귀금속인 은은 고가이므로, 소량의 은으로 높은 살균력을 보일 수 있도록 은입자를 최대한 작게 만들어 표면적과 분산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첫 번째는, 한 개 내지 두 개의 고순도 금속 은봉을 물이나 전해질 수용액에 넣어 은봉 양단에 고전압 직류나 교류를 인가하여 은이온이 포함된 수용액을 얻는 방법으로, 100 ppm 이상 농도의 은이온을 제조하기 어렵고, 은이온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은이온이 서로 뭉쳐 침전으로 석출되어 장기 보관 및 유통의 어려움이 있었다. 두 번째는 질산은(AgNO3)이나 초산은(CH3COOAg)과 같은 은화합물을 물에 용해시키거나, 상기 첫 번째 같은 방법으로 은이온 수용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응집방지제를 녹인 후, 은이온을 환원시켜 나노미터(nm) 크기의 안정화된 은나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은이온 수용액의 불안정성의 문제를 극복하였다. 그 밖에 안정화된 은나노 수용액을 감압 가열하고 세척하여 은나노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과 기계적인 분쇄 방법이 있으나, 재분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은나노는 분산안정제로 PVA(Polyvinylalcohol), PVPD(Polyvinylpyrrolidone) 등을 이용하여 기술적으로 입자를 5 ∼ 50 nm 정도 크기로 제어가 가능하다. 반면 은이온의 크기는 약 0.3 nm 정도로 은나노에 비해 15배 이상 적어 소량으로 은의 살균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지만, 안정화 문제가 극복되어야만 한다.
현재 농가에서는 살균제나 복합비료를 약 250 ∼ 2,000배로 희석하여 사용하 고 있는 실정이지만, 은나노는 5,000 ppm 이상으로 제조하면 은입자를 50 nm 이하로 제어하기 힘들어 은나노를 제품으로 유통하거나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한국특허 제464901호에는 은 콜로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살균성 미량 요소 비료가 기재되어 있고, 한국특허 제557327호에는 식물 병원균 방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6-109295호에는 나노 고분자-실리카-은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식물은 빛, 물, 이산화탄소가 반드시 필요하며, 성장 및 광합성을 통한 탄소 동화작용에는 비료의 3대 요소인 질소(N), 인(P), 칼륨(K) 이외에도 미량 요소인 마그네슘(Mg), 망간(Mn), 붕소(B), 철(Fe), 몰리브덴(Mo), 아연(Zn), 구리(Cu), 칼슘(Ca)이 반드시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토양과 빗물로부터 제공 받는다. 그러나 수확량 확대를 위해서 인위적으로 토양과 잎을 통해 공급이 필수적이지만, 산성 화합물 형태로 공급하기 때문에 토양의 산성화가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와 자연 환경에 대한 악영향 없이 농작물의 생존과 성장을 크게 위협하는 곰팡이균 및 세균을 방제할 수 있고, 토양과 식물에 알칼리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생장을 촉진시키고, 토양의 산성화를 막을 수 있는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은, 은 기준으로 5,000 ~ 500,000 ppm의 고농도 은이온을 암모니아, 티오황산나트륨, 티오황산칼륨 또는 아민류 화합물로 안정화시킨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 수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10 중량부의 질소원, 0.1 ~ 10 중량부의 수용성 인산, 0.1 ~ 10 중량부의 수용성 칼륨, 0.1 ~ 1.5 중량부의 수용성 마그네슘, 0.01 ~ 0.2 중량부의 수용성 망간, 0.01 ~ 0.1 중량부의 수용성 붕소, 0.01 ~ 0.2 중량부의 수용성 철, 0.00001 ~ 0.001 중량부의 수용성 몰리브덴, 0.01 ~ 0.1 중량부의 수용성 아연, 0.01 ~ 0.1 중량부의 수용성 구리, 및 0.1 ~ 1.5 중량부의 수용성 석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비료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농도 은이온과 비료 원소가 포함된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최소량의 은으로 최대의 농작물의 병해 유발 병원균의 살균과, 농작물의 생장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유해한 화학농약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확량 감소 없이 인체와 자연환경에 해를 주지 않는 친환경 농업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안정적인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은나노에 비해 은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더 높은 살균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토양의 산성화를 막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은, 은 기준으로 5,000 ~ 500,000 ppm의 고농도 은이온을 암모니아, 티오황산나트륨, 티오황산칼륨 또는 아민류 화합물로 안정화시킨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 수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10 중량부의 질소원, 0.1 ~ 10 중량부의 수용성 인산, 0.1 ~ 10 중량부의 수용성 칼륨, 0.1 ~ 1.5 중량부의 수용성 마그네슘, 0.01 ~ 0.2 중량부의 수용성 망간, 0.01 ~ 0.1 중량부의 수용성 붕소, 0.01 ~ 0.2 중량부의 수용성 철, 0.00001 ~ 0.001 중량부의 수용성 몰리브덴, 0.01 ~ 0.1 중량부의 수용성 아연, 0.01 ~ 0.1 중량부의 수용성 구리, 및 0.1 ~ 1.5 중량부의 수용성 석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비료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 수용액은, 은 화합물인 초산은(CH3COOAg) 또는 질산은(AgNO3)을 은 기준으로 5,000 ∼ 500,000 ppm 농도 범위에서 증류수에 용해시킨 수용액에 암모니아수(NH4OH)를 천천히 첨가하여 달성할 수 있다. 이 때 암모니아(NH3) 첨가량은 초산은 또는 질산은 몰수 대비 2배 이상 반응시켜야 한다. 은이온 안정화 방법에서 사용되는 은 화합물로 수용성인 초산은과 질산은 뿐만 아니라, 불용성인 수산화은(AgOH), 염화은(AgCl), 브롬화은(AgBr), 요오드화은(AgI)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은착이온 형성제로는 암모니아 외에, 티오황산나트륨(Na2S2O3), 티오황산칼륨(K2S2O3) 또는 아민류(RNH2, R2NH, R3N, 여기서 R은 알킬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은이온 몰수 대비 2배 이상으로 반응시켜, 각 화합물들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최적의 제조 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은이온의 농도는 5,000 ~ 500,000 ppm이며, 특히 10,000 ~ 40,000 ppm이 농도가 가장 바람직한데, 상기 은이온의 농도가 5,000 ppm 미만이면 최종 사용 시 희석비율이 낮아 제품유통에 문제가 발생하고, 500,000 ppm 이상의 경우, 비료성분이 용해되지 않아 수용액상태로의 제조가 힘들어진다.
이러한 은 착이온 형성 반응식을 하기 반응식 1 내지 5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1]
Figure 112007078711241-pat00001
[반응식 2]
Figure 112007078711241-pat00002
[반응식 3]
Figure 112007078711241-pat00003
[반응식 4]
Figure 112007078711241-pat00004
[반응식 5]
Figure 112007078711241-pat00005
또한, 은이온 제조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의 은화합물을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고순도 금속 은봉을, 암모니아, 티오황산나트륨, 티오황산칼륨 또는 아민류(RNH2, R2NH, R3N, 여기서 R은 알킬기) 화합물을 은이온 농도를 몰수로 환산한 양에 비해 2배 이상을 용해시킨 전해액에 넣어 은봉 양단에 고전압 직류나 교류를 인가하여 은 기준으로 5,000 ~ 500,000 ppm의 고농도 은착이온으로 안정화시킨 수용액을 얻을 수 있다. 전해질로 암모니아, 아민화합물, 티오황산화합물로 사용하여, 생성속도를 증진함과 동시에 은이온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비료 성분으로 포함시키기 위한, 0.1 ~ 10 중량부의 질소원은 질산은과 암모니아의 반응으로 생성된 이암민은착이온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질산암모늄(NH4NO3) 또는 요소(CO(NH2)2)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0.1 ~ 10 중량부의 인산과 칼륨은 일인산칼륨(KH2PO4), 이인산칼륨(K2HPO4) 또는 삼인산칼륨(K3PO4)을 사용할 수 있지만, 삼인산칼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 1.5 중량부의 마그네슘은 질산마그네슘(Mg(NO3)2) 또는 황산마그네슘(MgSO4)을 사용할 수 있다. 0.01 ~ 0.1 중량부의 붕소는 붕산(H3BO3), 붕사(NaB4O7) 또는, 붕산암모늄(NH4B5O8)을 사용할 수 있지만, 붕산과 암모니아의 반응 생성물인 붕산암모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0.00001 ~ 0.001 중량부의 몰리브덴은 몰리브덴산소다(Na2MoO4) 또는 몰리브덴산암모늄((NH4)6Mo7O24)을 사용할 수 있지만, 몰리브덴산암모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 1.5 중량부의 수용성 석회는 탄산수소칼슘(Ca(HCO3)2), 황산칼숨(CaSO4), 소석회(Ca(OH)2) 또는 생석회(CaO) 등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소석회나 생석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에 미량이지만 반드시 필요한 망간, 철, 아연, 구리 등은 질산구리(Cu(NO3)2)나 황산구리(CuSO4)와 같이 비료 원소가 질산이온(NO3 -)이나, 황산이온((SO4)2-) 등에 결합된 화합물 형태로 사용하고 있으나, 식물체내 흡수가 용이하고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킬레이트제인 EDTA(NH2CH2CH2NH2), 옥살산이온(OCOOCH2 -), 구연산이온(C6H7O7 -) 등에 결합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료 성분들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부족하면, 식물의 성장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과다할 경우에는 불필요한 제조원가의 상승, 일부 식물에 해가 나타날 우려가 있다.
또한,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대다수의 복합비료는 비료 원소가 질산이온이나 황산이온에 결합된 산성 화합물을 사용하고 있어, 토양의 산성화를 가속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알칼리성인 암모니아 또는 아민을 이용하여 고농도 은이온을 안정화시키고, 여기에 비료 원소를 적정량 추가 용해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산성화된 토양을 중성이나 알칼리성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복합 살균 비료 조성물은 물로 200 ∼ 4,000배 희석하여 최종 10 ∼ 50 ppm 수용액을 농작물에 엽면 시비하거나 또는 토양에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작물 병의 70 ∼ 80%는 곰팡이균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머지는 세균에 의한 병으로 감염이 되었을 경우에는 별다른 구제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은은 세균과 곰팡이균을 모두 살균할 수 있는 친환경 천연물질이다. 실제로 650여 가지 세균에 대한 높은 살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농작물의 병해를 유발하는 다양한 곰팡이균류 살균에도 매우 유효하다.
본 발명에서는 은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최대의 살균 효과가 나타나도록 고농도 은이온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기존의 은나노보다 진일보한 방법으로 그 적용 대상도 농작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산업과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시한 안정화된 고농도 은이온의 살균 효과는 일반적인 세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il ATTC 8739),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TC 6538)과 곰팡이균인 누룩곰팡이(Aspergillus niger ATTC 9642), 푸른곰팡이(Penicillium pinophilum ATTC 11797),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 ATCC 15233), 진균(Gliocladium virens ATCC 9645), 토양사상균(Chaetomium globosum ATCC 6205)을 한국소비과학연구센타와 FITI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시험 평가하였다. 또한 은나노와 은이온에 대한 살균 효과 비교는 진균계 자낭문류에 속 하는 수도도열병(Magnaporthe grisea), 박과작물덩굴마름병(Didymella bryoniae), 고추탄저병(Glomerella cingulata), 가지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그램음성의 간상세균인 박과작물시들음병(Erwinia tracheiphila), 크로미스타계의 난균문에 속하는 고추역병(Phytophthora capsici)의 저지원(Clean zone) 시험으로 평가하였다.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증류수 1 L에 31.5 g의 질산은을 녹여 20,000 ppm 농도의 은이온 수용액을 제조한 후, 25% 암모니아수 35 g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반응시켜 안정화된 고농도 은이온 수용액을 제조한 후, 2,000배로 희석하여 10 ppm 이암민은착이온의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의 항균력을 Shake Flask 방법(KS M 0146-2003)으로 시험 평가하였다. 제조된 0.2 중량% 이아민은착이온은 6개월이 경과된 후에도 무색투명한 안정화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의 평가 결과를 도 1, 도 2 및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시험균주 균주 1: 황색포도상구균 균주 2 : 대장균
접종균 농도(CFU/ml) 1.5×105 1.3×105
증가율(F) 46배 49배
Ma 1.5×105 1.3×105
Mb 6.9×105 6.4×105
Mc 〈 10 〈 10
감소율(%) 99.9 99.9
비이온계면활성제 종류 TWEEN 80 (0.05%)
주) 〈 = 미만, CFU = Colony Forming Unit
시험조건: 시험균액을 37±1 ℃에서 24시간 진탕 배양 후 균주 측정(진탕 횟수 120회/분)
시험시료 농도: 원액
중화용액: 인산완충용액(ph = 7.0 ± 0.2)
감소율(%): [(Mb - Mc) / Mb] × 100
증가율(F): Mb / Ma (31.6배 이상)
Ma: 대조시료의 초기 균주 (평균치)
Mb: 24시간 배양 후 대조 시료의 균수 (평균치)
Mc: 24시간 배양 후 시험 시료의 균수 (평균치)
실시예2
실시예 1의 20,000 ppm 이암민은착이온을 1,000배 희석하여 제조한 20 ppm 용액을 플라스틱판에 코팅하여 누룩곰팡이(Aspergillus niger ATTC 9642), 푸른곰팡이(Penicillium pinophilum ATTC 11797),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 ATCC 15233), 진균(Gliocladium virens ATCC 9645), 토양사상균(Chaetomium globosum ATCC 6205)에 대한 방미도 시험 평가를 FITI시험연구원에 의뢰하였다.
* 방미도(ASTM G 21) 시험 결과: 0 등급
0 등급: 자라지 못함
1 등급: 시편 위 10% 이하로 자라남
2 등급: 시편 위 10 ∼ 30% 이하로 자라남
3 등급: 시편 위 30 ∼ 60% 이하로 자라남
4 등급: 시편 위 60% 이상 자라남
실시예 3
실시예 1의 20,000 ppm 이암민은착이온을 500배, 1,000배, 2,000배 희석하여 40 ppm, 20 ppm, 10 ppm으로 사용하였다. 은나노는 증류수 1 L에 은나노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고분자 분산제로 PVA(Polyvinylalcohol) 50 g과 질산은 1.6 g을 용해시키고, 에탄올 50 ml를 첨가하여 40 ℃에서 24시간 환류하는 과정을 통해 1,000 ppm으로 제조한 후, 25배, 50배, 100배 희석하여 40 ppm, 20 ppm, 10 ppm 농도로 사용하였으며,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분석한 은나노 입자의 크기는 20 nm 정도였다. 상기 제조한 안정화된 은이온과 은나노의 농작물 병해 유발 원인균인 수도도열병, 박과작물덩굴마름병, 박과작물시들음병, 고추역병, 고추탄저병,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저지원 시험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조 화학농약은 살균제로 효과가 뛰어난 Azoxystrobin (Methyl (E)-2{2-[6-(2-cyanophenoxy)pyrimidin-4-yloxy]phenyl}-3-methoxyacrylate)를 사용하였다. 저지원 시험은 안정화된 은이온, 은나노, Azoxystrobin을 멸균수 1 ml에 현탁하여 페트리디쉬에 분주하여 풍건하였으며, TSA 고체배지(Tryptic soyagar, Difco)를 이용하여, 상기한 농작물 병해 유발 균주를 28 ℃에서 항균 배양한 후 104 cell/ml 농도로 혼합하여 페트리디쉬 중앙에 접종하 여, 28 ℃, 2일간 배양한 후, 저지원의 유무로 각 균주에 대한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안정화된 은이온의 경우 박과작물덩굴마름병, 고추역병, 잿빛곰팡이병에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수도도열병, 고추탄저병, 박과작물시들음병 균주에 대해서는 40 ppm에서만 Azoxystrobin와 비슷한 저지원이 형성되었다. 반면 은나노를 사용한 경우에는 저지원이 뚜렷하게 형성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도 4 내지 도 1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20,000 ppm 이암민은착이온 용액 1 L에 0.05 중량부 수용성 붕소, 0.0005 중량부 수용성 몰리브덴을 포화시킨 용액을 1,000배로 희석하여 고추탄저병이 진행 중인 전남 담양군 담양읍 백동리, 전남 함평군 월야면 정산리, 전북 고창군 공음면 예전리 등 3곳에 2일 간격으로 3회 충분히 살포하여 고추탄저병의 치료와 고추작물의 성장촉진제를 관찰하였다. 최종 살포 후 10일이 경과 되었을 때 고추탄저병은 완전히 치유되었으며, 살포하지 않은 고추작물에 비해 5 ~ 10% 정도 줄기와 잎의 생장 촉진효과가 있다.
도 1은 안정화된 은이온 20 ppm의 황색포도상구균 항균 시험 결과이다.
도 2는 안정화된 은이온 20 ppm의 대장균 항균 시험 결과이다.
도 3은 안정화된 은이온 20 ppm의 곰팡이 방미도 시험 결과이다.
도 4는 Azoxystrobin과 안정화된 은이온의 수도도열병원균 저지원 시험 결과이며, 좌상 기준 시계방향으로 Azoxystrobin, 은이온 40, 20, 10 ppm이다.
도 5는 Azoxystrobin과 안정화된 은이온의 박과작물덩굴마름병원균 저지원 시험 결과이며, 좌상 기준 시계방향으로 Azoxystrobin, 은이온 40, 20, 10 ppm이다.
도 6은 Azoxystrobin과 안정화된 은이온의 고추역병원균 저지원 시험 결과이며, 좌상 기준 시계방향으로 Azoxystrobin, 은이온 40, 20, 10 ppm이다.
도 7은 Azoxystrobin과 안정화된 은이온의 박과작물시들음병원균 저지원 시험 결과이며, 좌상 기준 시계방향으로 Azoxystrobin, 은이온 40, 20, 10 ppm이다.
도 8은 Azoxystrobin과 안정화된 은이온의 고추탄저병원균 저지원 시험 결과이며, 좌상 기준 시계방향으로 Azoxystrobin, 은이온 40, 20, 10 ppm이다.
도 9는 Azoxystrobin과 안정화된 은이온의 잿빛곰팡이병원균 저지원 시험 결과이며, 좌상 기준 시계방향으로 Azoxystrobin, 은이온 40, 20, 10 ppm이다.
도 10은 Azoxystrobin과 은나노의 수도도열병원균 저지원 시험 결과이며, 좌상 기준 시계방향으로 Azoxystrobin, 은나노 40, 20, 10 ppm이다.
도 11은 Azoxystrobin과 은나노의 박과작물덩굴마름병원균 저지원 시험 결과 이며, 좌상 기준 시계방향으로 Azoxystrobin, 은나노 40, 20, 10 ppm이다.
도 12는 Azoxystrobin과 은나노의 박과작물 시들음 병원균 저지원 시험 결과이며, 좌상 기준 시계방향으로 Azoxystrobin, 은나노 40, 20, 10 ppm이다.
도 13은 Azoxystrobin과 은나노의 고추탄저병원균 저지원 시험 결과이며, 좌상 기준 시계방향으로 Azoxystrobin, 은나노 40, 20, 10 ppm이다.
도 14는 Azoxystrobin과 은나노의 잿빛곰팡이병원균 저지원 시험 결과이며, 좌상 기준 시계방향으로 Azoxystrobin, 은나노 40, 20, 10 ppm이다.

Claims (4)

  1. 은 기준으로 5,000 ~ 500,000 ppm의 고농도 은이온을 암모니아, 티오황산나트륨, 티오황산칼륨 또는 아민류 화합물로 안정화시킨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 수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 10 중량부의 질소원, 0.1 ~ 10 중량부의 수용성 인산, 0.1 ~ 10 중량부의 수용성 칼륨, 0.1 ~ 1.5 중량부의 수용성 마그네슘, 0.01 ~ 0.2 중량부의 수용성 망간, 0.01 ~ 0.1 중량부의 수용성 붕소, 0.01 ~ 0.2 중량부의 수용성 철, 0.00001 ~ 0.001 중량부의 수용성 몰리브덴, 0.01 ~ 0.1 중량부의 수용성 아연, 0.01 ~ 0.1 중량부의 수용성 구리, 및 0.1 ~ 1.5 중량부의 수용성 석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비료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 수용액은 질산은, 초산은, 수산화은, 염화은, 브롬화은, 또는 요오드화은 중의 하나로 선택되며, 은 기준으로 5,000 ~ 500,000 ppm의 농도를 갖는 은이온 수용액에 암모니아, 티오황산나트륨, 티오황산칼륨 또는 아민류(RNH2, R2NH, R3N, 여기서 R은 알킬기) 화합물을 은이온 몰수 대비 2배 이상으로 반응시켜 은착이온 형태로 변환 및 안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 수용액은 한 개 또는 두 개의 고순도 금속 은봉을, 암모니아, 티오황산나트륨, 티오황산칼륨 또는 아민류(RNH2, R2NH, R3N, 여기서 R은 알킬기) 화합물을 은이온 농도를 몰수로 환산한 양에 비해 2배 이상 용해한 전해액에 넣어 은봉 양단에 고전압 직류나 교류를 인가하여 은 기준으로 5,000 ~ 500,000 ppm의 고농도 은착이온으로 안정화시킨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원은 암모니아, 질산암모늄 또는 요소이고, 인산원 및 칼륨원은 일인산칼륨, 이인산칼륨 또는 삼인산칼륨이며, 마그네슘원은 질산마그네슘 또는 황산마그네슘이고, 붕소원은 붕산, 붕사 또는 붕산암모늄이며, 몰리브덴원은 몰리브덴산 소다 또는 몰리브덴산 암모늄이고, 수용성 석회원은 탄산수소칼슘, 황산칼슘, 소석회 또는 생석회이며, 철원, 아연원, 구리원은 질산이온, 황산이온 또는 킬레이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
KR1020070111001A 2007-11-01 2007-11-01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를 이용한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 KR100826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001A KR100826635B1 (ko) 2007-11-01 2007-11-01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를 이용한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001A KR100826635B1 (ko) 2007-11-01 2007-11-01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를 이용한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635B1 true KR100826635B1 (ko) 2008-05-02

Family

ID=3964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001A KR100826635B1 (ko) 2007-11-01 2007-11-01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를 이용한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6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3482A (zh) * 2012-01-12 2012-09-05 东莞市保得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高浓度水溶性粉状肥料
CN105152733A (zh) * 2015-10-29 2015-12-16 黄尚勋 一种硼架桥的聚合水溶肥料的制造方法
WO2017222148A1 (ko) * 2016-06-22 2017-12-28 주식회사 메디뉴트롤 상용 다액형 양액 비료 대체형 비침전 1액형 양액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7222149A1 (ko) * 2016-06-22 2017-12-28 주식회사 메디뉴트롤 상용 다액형 양액 비료 대체형 비침전 1액형 양액 비료용 수용성 분말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998A (ko) * 2002-11-15 2004-05-22 안정오 비료 조성물 및 그 비료
KR20040069419A (ko) * 2003-01-29 2004-08-06 김철홍 두채류 재배용 제제의 제조방법
KR20050000265A (ko) * 2003-06-23 2005-01-03 나노바이오주식회사 나노 실버와 알리신이 함유된 액상 복합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464901B1 (ko) 2002-07-16 2005-01-06 권종근 은 콜로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살균성 미량요소비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901B1 (ko) 2002-07-16 2005-01-06 권종근 은 콜로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살균성 미량요소비료
KR20040042998A (ko) * 2002-11-15 2004-05-22 안정오 비료 조성물 및 그 비료
KR20040069419A (ko) * 2003-01-29 2004-08-06 김철홍 두채류 재배용 제제의 제조방법
KR20050000265A (ko) * 2003-06-23 2005-01-03 나노바이오주식회사 나노 실버와 알리신이 함유된 액상 복합비료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3482A (zh) * 2012-01-12 2012-09-05 东莞市保得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高浓度水溶性粉状肥料
CN105152733A (zh) * 2015-10-29 2015-12-16 黄尚勋 一种硼架桥的聚合水溶肥料的制造方法
WO2017222148A1 (ko) * 2016-06-22 2017-12-28 주식회사 메디뉴트롤 상용 다액형 양액 비료 대체형 비침전 1액형 양액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7222149A1 (ko) * 2016-06-22 2017-12-28 주식회사 메디뉴트롤 상용 다액형 양액 비료 대체형 비침전 1액형 양액 비료용 수용성 분말의 제조방법
KR101826256B1 (ko) 2016-06-22 2018-02-06 주식회사 메디뉴트롤 상용 다액형 양액 비료 대체형 비침전 1액형 양액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26261B1 (ko) 2016-06-22 2018-02-06 주식회사 메디뉴트롤 상용 다액형 양액 비료 대체형 비침전 1액형 양액 비료용 수용성 분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ureshi et al. Nano-fertilizers: a novel way for enhancing nutrient use efficiency and crop productivity
Khan et al. Application of nanofertilizer and nanopesticides for improvements in crop production and protection
US9096477B2 (en) Electrochemically treated nutrient solutions
US20140065306A1 (en) Nanostructured calcium-silver phosphate composite powders, process for obtaining the powders and bactericidal and fungicidal applications thereof
MXPA04006687A (es) La composicion liquida para acelerar el crecimiento de plantas, que incluye nanoparticulas de dioxido de titanio.
AU2023200403A1 (en) Material for enhancing attributes of a topical or surface treatment composition
KR100826635B1 (ko) 고농도 은이온 안정화를 이용한 살균 복합 비료 조성물
de Moraes et al. The potential of nanomaterials associated with plant growth-promoting bacteria in agriculture
JP2011507834A (ja) 植物病原体の防除及び作物肥料としての使用のための組成物
US20240164385A1 (en) A synergistic plant growth stimulant composition comprising potassium mono/diformate and metal ion compounds to enhanced metabolic activities in plants
KR20070077961A (ko) 식물의 건강한 생육촉진용 액상조성물
Salas-Leiva et al. Use of magnesium nanomaterials in plants and crop pathogens
Tailor et al. Outlooks of nanotechnology in organic farming management
KR100634334B1 (ko) 고 활성칼슘 및 필수미량원소를 이용한 액상 복합비료조성물
AU2014339255B2 (en) Synergistic compositions with plant protection agents
Garg et al. Nanomaterials in agricultural research: an overview
CN105794845A (zh) 一种微生物农药及其制备方法
Goyal et al. Biogenic synthesis of nanoparticles for sustainable crop production: A review
KR20090049966A (ko) 농작물의 영양공급 및 생육촉진과 병해충예방을 위한조성물
US10820588B2 (en) Compositionally and morphologically controlled nanostructures for delivery of micronutrients and suppression of disease in agriculture
CN106748216A (zh) 一种抗逆促生长的叶面肥及其制备方法
Wijesekara et al. New Opportunities and Future Prospects
Šebesta et al. Enhancement of stress tolerance of crop plants by ZnO nanoparticles
Francesconi et al. Inorganic nanomaterials usable in plant protection strategies
JP7064165B2 (ja) 抗菌性農薬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