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910B1 - Multi funnction drain structure for bidet - Google Patents

Multi funnction drain structure for bid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910B1
KR100825910B1 KR1020060096800A KR20060096800A KR100825910B1 KR 100825910 B1 KR100825910 B1 KR 100825910B1 KR 1020060096800 A KR1020060096800 A KR 1020060096800A KR 20060096800 A KR20060096800 A KR 20060096800A KR 100825910 B1 KR100825910 B1 KR 100825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hole
bidet body
push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30419A (en
Inventor
임채훈
김승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비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비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비데
Priority to KR102006009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910B1/en
Publication of KR20080030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4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9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비데의 물탱크에 잔존한 물을 쉽게 배출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비데를 설치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된 비데용 다기능 배수구조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 drain hole for a bidet which can easily discharge water remaining in a water tank of a bidet, and can install and separate the bidet by simple operation.

본 발명의 구성은 좌변기에 설치되는 비데의 물탱크(1)에 연결되며 측방부에는 비데본체(5) 바닥에 형성된 구멍(6)으로 연통되는 배출공(12a)이 형성된 드레인밸브(10)와, 상기 비데본체(5)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푸시 작동에 따라 상기 드레인밸브(10)의 배출공(12a)과 상기 비데본체(5) 바닥의 구멍(6)을 서로 연통시켜 상기 비데의 물탱크(1)에 채워진 물을 상기 비데본체(5) 바닥의 구멍(6)으로 배출시키는 푸셔(20)와, 상기 푸셔(20)를 원위치 복귀시켜 상기 드레인밸브(10)를 폐쇄하는 복귀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ain valve 10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1 of the bidet installed at the left side of the bidet body and has a discharge hole 12a communicating with the hole 6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idet body 5, A drain hole 10a of the drain valve 10 and a hole 6 at the bottom of the bidet body 5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a pushing operation of the bidet body 5, A pusher 20 for discharging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1 to the hole 6 at the bottom of the bidet body 5 and a returning means for closing the drain valve 10 by returning the pusher 20 to the home position, (30).

본 발명의 효과는 비데를 좌변기에서 뜯어내서 운반할 때 비데의 물탱크에 잔존한 물을 간단한 조작으로 배출하여 버릴 수 있으므로, 사용 등에 있어서 편리하고, 비데 설치시에도 간단한 원터치식 조작만 수행하면 되므로, 비데 설치가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다는데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tank of the bidet can be discharged by simple operation when the bidet is detached from the toilet seat and transported, so that it is convenient in use or the like and only a simple one- , The bidet installation is very quick and easy.

비데, 물탱크, 배수, 장착 Bidet, water tank, drainage, mounting

Description

비데용 다기능 배수구조{Multi funnction drain structure for bidet}{Multi funnction drain structure for bidet}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드레인 밸브의 분해 사시도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 valve, which is the main part of Fig.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단면도FIGS. 3 and 4 show a plan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drain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비데 설치용 브라켓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det mounting brack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이루는 비데본체의 저면도6 is a bottom view of a bidet body constituting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에 의해 비데를 좌변기에 설치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FIGS. 7 and 8 are top plan views conceptually showing a method of installing a bidet in a toilet seat according to an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5. 비데본체 10. 드레인밸브 5. Bidet body 10. Drain valve

20. 푸셔 30. 복귀수단20. Pusher 30. Returning means

40. 브라켓40. Bracket

본 발명은 비데용 다기능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를 기존 설치 장소에서 뜯어내서 운반할 때 비데의 물탱크에 잔존한 물을 간단한 조작으로 배출하여 버릴 수 있고, 간단한 원터치식 조작만으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비데를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된 비데용 다기능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drainage structure for a bid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drainage structure for bidet that can discharge water remaining in a water tank of a bidet by simple operation when the bidet is detached from an existing installation site and transport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drainage structure for bidet so that the bidet can be installed or removed conveniently and quickly.

일반적으로, 좌변기의 후방에는 배설물을 씻어내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가 직립 설치된다. 이때, 좌변기 사용자의 항문을 휴지로 닦지 않고 물로 세정할 수 있는 등의 기능을 가진 비데가 설치된다. 즉, 비데는 통상 저수조의 상면에 설치된다.Generally, a water tank for storing the water to wash the excrement is installed upright on the rear side of the left side. At this time, a bidet having a function of cleaning the anus of the left-handed user with water without wiping off the toilet paper is installed. That is, the bidet is usu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한편, 비데를 수리하거나 이사를 하는 경우 등에는 비데를 좌변기에서 뜯어내게 된다. 비데가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특히, 이사를 하는 경우, 비데를 뜯어 내서 이사할 곳에 다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idet is repaired or moved, the bidet is removed from the toilet. Since the bidet is relatively expensive, it is common to remove the bidet and install it again where it will be moved, especially when moving.

이때, 비데에 내장된 물탱크는 내부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물을 데워서 비데노즐로 공급되도록 하는데, 비데를 뜯어내는 경우 물탱크의 내부에 물이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water tank built in the bidet is heated by the heater installed therein to be supplied to the bidet nozzle. When the bidet is unloaded, the water remains in the water tank.

그런데, 종래에는 비데를 뜯어내더라도 물탱크에 그대로 물이 남아 있는 물을 배출하여 버릴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이사와 같이 비교적 먼 거리를 이동할 때에도 물탱크에 물이 잔존한 상태에서 비데를 옮겨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비데를 좌변기에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로 볼트를 체결해야 하는 것과 같이 비데를 설치할 때 다수 불편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ast, even if the bidet is torn away, there is not provided means for discharging the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tank as it is. Therefore, even when moving a relatively long distance like moving, There was a disadvantage to move. Further,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when the bidet is installed, a number of inconveniences such as a bolt must be separately tightened in order to install the bidet in the left-hand sid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데를 좌변기에서 뜯어내서 운반할 때 비데의 물탱크에 잔존한 물을 간단한 조작으로 배출하여 버릴 수 있으므로, 사용 등에 있어서 편리한 비데용 다기능 배수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ilet which can remove water remaining in a water tank of a bidet by simple operation when the bidet is detached from a toilet, So as to provide a convenient multifunctional drainage structure for a bidet.

또한, 본 발명은 비데 설치시나 분리시에도 간단한 원터치식 조작만 수행하면 되므로, 비데 설치 및 분리가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도록 된 비데용 다기능 배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drainage structure for a bidet, in which bidet installation and separation can be performed very quickly and easily, because only a simple one-touch operation can be performed during installation or removal of the bidet.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변기에 설치되는 비데의 물탱크(1)에 연결되며 측방부에는 비데본체(5) 바닥에 형성된 구멍(6)으로 연통되는 배출공(12a)이 형성된 드레인밸브(10)와, 상기 비데본체(5)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푸시 작동에 따라 상기 드레인밸브(10)의 배출공(12a)과 상기 비데본체(5) 바닥의 구멍(6)을 서로 연통시켜 상기 비데의 물탱크(1)에 채워진 물을 상기 비데본체(5) 바닥의 구멍(6)으로 배출시키는 푸셔(20)와, 상기 푸셔(20)를 원위치 복귀시켜 상기 드레인밸브(10)를 폐쇄하는 복귀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다기능 배수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such a purpose, an exhaust hole 12a communicating with a hole 6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idet body 5 is formed at a side portion thereof, connected to a water tank 1 of a bidet installed at a left- The drain valve 10 and the hole 6 in the bottom of the bidet body 5 are provided in the bidet body 5 in such a manner that the drain valve 10 and the drain valve 10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 pusher 20 which communicates with the bidet 20 and discharges the water filled in the bidet water tank 1 into the hole 6 at the bottom of the bidet body 5 and the drain valve 10 And a returning means (30) that closes the bidet.

상기 드레인밸브(10)는 상기 비데용 물탱크(1)의 유수구와 연통되는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비데본체(5)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6)과 연통되는 배출공(12a)이 형성된 관형상의 밸브하우징(12)과, 일단부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밸브하우징(12)의 배출공(12a)과 마주하는 저면부에는 개폐공(15)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막힘부(16)가 형성된 관형상의 개폐부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푸셔(20)는 상기 비데본체(5)의 바닥면에 좌우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핀부재(22a)가 돌출된 푸시바아(22)와, 상기 비데본체(5)의 바닥면에 기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푸시바아(22)의 핀부재(22a)가 끼워져 슬라이드되는 작동공(24a)이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개폐부재(14)의 막힘부(16)와 마주하는 푸싱핀(24b)이 구비된 회동푸셔(24)(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drain valve 10 is provided with a port formed with a port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port of the bidet water tank 1 and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12a communicating with the hole 6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And a closure part 16 is formed at the other end part of the valve housing 12 and a bottom part facing the discharge hole 12a of the valve housing 12, And the pusher 2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so as to be capable of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has a pin member 22a, A bar 22 and a base end portion of the bidet body 5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and an operating hole 24a is formed at a center portion thereof to slide the pin member 22a of the push bar 22, (24) provided with a pushing pin (24b) facing the clogged portion (16)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20), wherein:

상기 개폐부재(14)는 상기 밸브하우징(12)에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개폐공(15)이 상기 밸브하우징(12) 저면의 배출공(12a)과 어긋나도록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is resiliently biased by a spring incorporated in the valve housing 12 such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15 is offset from the discharge hole 12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alve housing 12. In this case,

상기 푸시바아(22)는 상기 비데본체(5)의 저면부로 노출되는 고정편(23)이 더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푸시바아(22)를 상기 비데본체(5)의 좌우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편(23)이 함께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push bar 22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piece 23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bidet body 5. The push bar 22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idet body 5 The fixing pieces 23 are moved left and right together,

상기 비데본체(5)는 좌변기에 설치된 브라켓(40)의 결합레일(42)에 슬라드식으로 끼워지는 결합슬롯(5a)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푸시바아(22)의 고정편(23)은 상기 비데본체(5)에 관통된 개구부(5b)(5a)를 통해 상기 비 데본체(5)의 저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브라켓(40)에 형성된 결합홈에 원터치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bidet body 5 has an engagement slot 5a slidably fitted in a coupling rail 42 of a bracket 40 provided at a left side of the body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23 are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ead body 5 through openings 5b and 5a penetrating through the bidet body 5 and are fitted in a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bracket 40 in a one- With features,

상기 푸시바아(22)의 고정편(23)은 상기 푸시바아(22)의 길이 방향 축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푸시바아(22)의 좌우 방향으로 한 쌍으로 배열되고, 상기 비데본체(5)의 저면에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된 개구부(5b)(5a)를 통해 상기 푸시바아(22)의 각 고정편(23)이 상기 비데본체(5)의 저면으로 노출되어 비데본체(5)를 좌변기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40)의 전방 절단부의 안쪽 벽면에 걸려지며, 상기 고정편(23)은 상기 브라켓(40)의 절단부 일측단을 향하는 선단부에 경사부(23a)가 더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fixing bars 23 of the push bars 22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ush bars 22 and are arranged in pair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push bars 22, The fixing pieces 23 of the push bar 22 are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through the openings 5b and 5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And the fixing piece 23 is further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23a at a distal end portion toward one end of the cutout portion of the bracket 40. The inclined portion 23a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ront cutout portion of the bracket 40, Lt; / RTI &

상기 푸시바아(22)의 일측 단부는 상기 비데의 비데본체(5)의 측단부로 개구된 가이드슬롯(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비데본체(5)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푸시바아(22)의 일측 단부에는 널링부(22b)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One end of the push bar 22 is slidably engaged with a guide slot 7 opened to the side end of the bidet body 5 of the bidet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idet body 5 , And a knurling portion (22b) is further formed at one end of the push bar (22)

상기 개폐부재(14)의 타단부측 막힘부(16)는 상기 회동푸셔(24)(20) 선단부의 푸싱핀(24b)과 접촉되는 면에 단면 원호형의 접촉가이드부(16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The other end side clogged portion 16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is formed with a contact guide portion 16a having a circular arc shape in cross section on the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ushing pin 24b of the tip portion of the pivotal pusher 24 In addition,

상기 비데본체(5)의 바닥에 형성된 구멍(6)의 주변에는 상기 구멍(6)의 주변에 수로를 형성하는 벽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밸브(10)는 저면부의 배출공(12a)은 상기 비데본체(5)의 벽체부 내부에 영역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ll portion forming a water channel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hole 6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idet body 5 and the drain hole 10 of the drain valve 10 is formed in the bottom And is located in an area inside the wall portion of the bidet body 5.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드레인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에 의해 비데를 좌변기에 설치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좌변기에 설치되는 비데의 물탱크(1)에 연결된 드레인밸브(10)와, 이 드레인밸브(10)를 개폐시키는 푸셔(20)와, 이 푸셔(2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복귀수단(30)으로 구성된다. 도 1에는 물탱크(1)의 하부 저수조(2)와 상부커버(3)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준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valve which is a main part of FIG. 1, FIGS. 3 and 4 are plan views conceptually showing operation of a drain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view conceptually showing a method of installing a bidet at a toilet seat by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in valve 10 connected to a water tank 1 of a bidet installed at a left side of the toilet seat; a pusher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valve 10; And returning means (30).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wer water tank 2 and the upper cover 3 of the water tank 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밸브(10)는 비데용 물탱크(1)의 입수구(2a)와 연통되는 포트(11a)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비데본체(5)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6)과 연통되는 배출공(12a)이 형성된 관형상의 밸브하우징(12)과, 이 밸브하우징(12)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폐부재(14)는 일단부가 개방됨과 동시에 둘레부에는 밸브하우징(12)의 배출공(12a)과 연통되는 개폐공(15)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막힘부(16)가 형성된 관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2의 부호 S는 온도센서이고, 부호 P는 온도센서(S)가 결합되는 온도센서 삽입공이다. 또한, 부호 8a는 밸브하우징(12)을 급수배관에 연결하는 급수관 연결포트이다.2, the drain valve 10 includes a port 11a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ort 2a of the bidet water tank 1 and having a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Shaped valve housing 12 having a discharge hole 12a communicating with the valve body 6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provided to the valve housing 12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in which one end is opened and an opening and closing hole 15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12a of the valve housing 12 is formed at the periphery thereof and a clogged portion 16 is formed at the other end do. 2, reference symbol S denotes a temperature sensor, and reference symbol P denotes a temperature sensor insertion hole to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S is coupled. Reference numeral 8a denotes a water supply connection port for connecting the valve housing 12 to the water supply pipe.

한편, 상기 드레인밸브(10)를 구성하는 밸브하우징(12)의 내부에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되어, 평소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재(14)의 개폐 공(15)이 밸브하우징(12) 저면의 배출공(12a)과 어긋나도록 탄지된다. 도 3a에 이러한 상태가 도시된다.A spring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valve housing 12 constituting the drain valve 10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15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are normally connected to the valve housing 12)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2a). This state is shown in Figure 3A.

상기 푸셔(20)는 긴 사각 막대형의 푸시바아(22)와, 이 푸시바아(22)에 의해 회동 작동되는 회동푸셔(24)로 구성된다. 상기 푸시바아(22)는 비데본체(5)의 바닥면에 좌우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핀부재(22a)가 돌출된다. 이러한 푸시바아(22)의 일단부측은 비데본체(5)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슬롯(7)(도 4에 도시됨)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푸시바아(22)의 일단부측은 비데본체(5)의 저면과 측방으로 노출된다. The pusher 20 is comprised of a long rectangular bar push bar 22 and a pivoting pusher 24 which is pivoted by the push bar 22. The push bar 22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so as to be horizontally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a pin member 22a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thereof. One end side of the push bar 22 is slidably engaged with a guide slot 7 (shown in Fig. 4)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idet body 5, while one end side of the push bar 22 And is laterally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

상기 회동푸셔(24)는 비데본체(5)의 바닥면에 기단부가 힌지부(24h)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푸시바아(22)의 핀부재(22a)가 끼워져 슬라이드되는 작동공(24a)이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개폐부재(14)의 막힘부(16)와 마주하는 푸싱핀(24b)이 구비된다. 이때, 회동푸셔(24) 중앙의 작동공(24a)은 원호형 구멍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pivotal pusher 2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by a hinge portion 24h at its proximal end and pivoted at an operating portion And a pushing pin 24b facing the clogged portion 16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is provided at the tip end. At this time, the operation hole 24a at the center of the rotation pusher 24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shaped hole.

한편, 상기 푸시바아(22)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비데본체(5)의 저면부로 노출되는 고정편(23)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푸시바아(22)를 비데본체(5)의 좌우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시킴에 따라 고정편(23)이 함께 좌우로 이동된다. The push bar 22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piece 23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bidet body 5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push bar 22 is inserted into the bidet body 5, The fixing pieces 23 ar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ogether.

도 5는 비데본체(5)의 저면과 비데 설치용 브라켓(40)의 상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의하면, 비데본체(5)는 좌변기에 설치된 브라켓(40)의 결합레일(42)에 슬라드식으로 끼워지는 결합슬롯(5a)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푸시바아(22)의 고정편(23)은 비데본체(5)의 내부 바닥면에서 저면 으로 관통된 개구부(5b)를 통해 비데본체(5)의 저면으로 노출된다.5 is a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and a top surface of the bidet mounting bracket 40. As shown in Fig. 5, the bidet body 5 is configured such that a coupling slot 5a, which is slidably fitted in the coupling rail 42 of the bracket 40 provided at the left side,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ixing piece 23 of the push bar 22 is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through an opening 5b penetrating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to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푸시바아(22)의 고정편(23)은 푸시바아(22)의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열되고, 비데본체(5)의 저면에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된 개구부(5b)를 통해 푸시바아(22)의 각 고정편(23)이 비데본체(5)의 저면에 좌우로 이격되어 배열된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푸시바아(22)의 고정편(23)은 경사부(23a)가 더 형성된다. 즉, 푸시바아(22)의 고정편(23)은 비데본체(5)를 좌변기에 설치하기 위해 미리 좌변기에 고정된 브라켓(40)의 전방 절단부(40b) 방향을 향하는 선단부에 경사부(23a)가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The fixing pieces 23 of the push bars 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push bars 22 and are arranged in pairs so that the opening portions 5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The fixing pieces 23 of the push bar 22 are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so as to be later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urther, the fixing piece 23 of the push bar 22 is further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23a. That is, the fixing piece 23 of the push bar 22 is provided with the inclined portion 23a 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bracket 40 fixed to the left-hand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cut portion 40b in advance so as to install the bidet body 5 at the left-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푸시바아(22)의 일측 단부는 비데본체(5)의 측단부(본 실시예에서는 비데본체(5)의 우측단부)로 개구된 가이드슬롯(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비데본체(5)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바아(22)의 일측 단부 저면에는 널링부(22b)가 더 형성된다.One end portion of the push bar 22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guide slot 7 opened to the side end portion (right end portion of the bidet body 5 in this embodiment) of the bidet body 5, (5). A knurling portion 22b is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one end portion of the push bar 22.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푸셔(20)를 구성하는 푸시바아(22)가 복귀수단(30)(즉, 도 5에 도시된 압축스프링)이 탄성력에 의해 비데본체(5)의 일측방 방향으로 밀려나 있는 상태가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push bar 22 constituting the pusher 20 is normally returned to the position where the return means 30 (i.e., the compression spring shown in Fig. 5) And is pushed in the lateral direction.

한편, 상기 드레인밸브(10)를 구성하는 밸브하우징(12)과 개폐부재(14) 사이에는 스프링(미도시)이 개재되어, 평소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비데본체(5)의 우측단 방향으로 밀려난 상태가 되도록 탄지되어, 개폐부재(14)의 개폐공(15)이 밸브하우징(12) 저면의 배출공(12a)과 어긋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밸브(10)의 배출공(12a)이 폐쇄된 상태가 되므로, 비데의 물탱크(1) 내 부에 있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A spring (not shown) is interposed between the valve housing 1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constituting the drain valve 10 so that the drain valve 10 is normally opened to the right side of the bidet body 5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15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are displaced from the exhaust hole 12a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valve housing 12. [ Therefore, as shown in FIG. 3, since the discharge hole 12a of the drain valve 10 is closed, water in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 of the bidet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반면, 상기 푸셔(20)를 구성하는 푸시바아(22)의 일단부를 비데본체(5)의 안쪽 방향으로 눌러주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푸셔(24)가 기단부의 힌지부(24h)와 중앙의 작동공(24a) 및 푸시바아(22)의 핀부재(22a)에 의해 전진회동되면서 회동푸셔(24) 선단부의 푸싱핀(24b)이 상기 드레인밸브(10)의 개폐부재(14) 타단부에 구비된 막힘부(16)를 안쪽으로 눌러주기 때문에, 개폐부재(14)의 개폐공(15)이 밸브하우징(12) 저면의 배출공(12a)과 만나면서 드레인밸브(10)의 배출공(12a)이 개방되며, 이로 인해, 비데용 물탱크(1) 내부에 채워져 있는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ush bar 22 constituting the pusher 20 is pushed inwardly of the bidet body 5, as shown in Fig. 3B, the pivoting pusher 24 is pushed by the hinge portion 24h And the pushing pin 24b at the distal end of the pivoting pusher 24 is pushed forward by the central operating hole 24a and the pin member 22a of the push bar 22,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15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come into contact with the exhaust hole 12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alve housing 12 and the drain valve 10 is closed, The discharge hole 12a is opened so that the water filled in the bidet water tank 1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따라서, 본 발명은 비데를 수리하거나 이사를 하기 위하여 좌변기에서 비데를 떼어내는 경우에 푸셔(20)를 비데본체(5)의 안쪽을 밀어 넣는 푸시 동작을 하게 되면, 드레인밸브(10)를 개방하여 비데의 물탱크(1)에 채워졌던 물을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운반과 같은 취급이 간편하고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pushing the pusher 20 into the bidet body 5 by pushing the inside of the bidet body 5 when the bidet is removed from the left-hand side to repair or move the bidet, the drain valve 10 is opened It is possible to discard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1 of the bidet, so that the handling such as transportation is simple and easy.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드레인밸브(10)의 부품인 개폐부재(14)의 타단부측 막힘부(16)는 푸셔(20)의 부품인 회동푸셔(24) 선단부의 푸싱핀(24b)과 접촉되는 면에 단면 원호형의 접촉가이드부(16a)가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도 3a와 도 3b에 접촉가이드부(16a)가 도시된다.The clogging portion 16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which is a component of the drain valve 10 is connected to the pushing pin 24b 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rotation pusher 24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usher 20, And a contact guide portion 16a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is further formed on the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16a. 3A and 3B show the contact guide portion 16a.

이에 따라, 회동푸셔(24)의 푸싱핀(24b)이 개폐부재(14)의 막힘부(16)를 누르는 순간에, 단면 원호형의 접촉가이드부(16a)를 따라 푸싱핀(24b)이 보다 원활하게 슬립되면서 개폐부재(14)를 안쪽을 누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개폐부재(14)의 누름 작동이 보다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푸싱핀(24b)과 막힘부(16) 사이의 접촉 마찰력을 줄여 개폐부재(14)의 막힘부(16)가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ly, when the pushing pin 24b of the pivoting pusher 24 presses the clogged portion 16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the pushing pin 24b moves along the arc-shaped contact guide portion 16a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is smoothly slipp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can be pressed inwardly and thereby the push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becomes smooth. The frictional force is reduced to prevent the clogged portion 16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from being easily worn out,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product.

한편, 본 발명에 의해 비데를 좌변기에 미리 설치된 통상의 브라켓(40)에 간편하게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det can be easily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ventional bracket 40 previously provided at the left sid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비데 설치용 브라켓(40)은 대략 직사각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중앙부에는 전방에 사각 개방부(43a)가 형성된 직사각 안착부(43)가 형성되고, 이 안착부(43)의 좌우측 내벽면에는 결합레일(42)이 전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직사각 안착부(43)의 좌우 외측으로는 사각홈(45)이 구비된다. 이 사각홈(45)의 전방에는 사각으로 개방된 형태의 절단부(47a)를 갖는 걸림턱(47)이 구비된다. 또한, 브라켓(40)의 좌우단에도 결합레일(42)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4, the conventional bidet mounting bracket 4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lock shape. In the center portion thereof, a rectangular seating portion 43 having a rectangular opening portion 43a is formed in front, (42) are provided to exten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the left and right inner wall surfaces of the front wall (43). In addition, rectangular recesses 45 are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outside of the rectangular seating portion 43. A hooking step 47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quare groove 45 and has a cut-out portion 47a shaped like a square. Also, the brackets 40 are provided with coupling rails 42 at their left and right ends.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바아(22)는 비데본체(5)의 저면부로 노출되는 고정편(23)이 더 구비되며, 푸시바아(22)를 비데본체(5)의 좌우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시킴에 따라 고정편(23)이 함께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The push bar 22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piece 23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bidet body 5 and the push bar 22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idet body 5. [ So that the fixing pieces 23 are moved left and right together.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본체(5)의 저면 중앙부에는 브라켓(40)의 중앙 안착부(43)에 형합되는 결합블록(8)이 형성되고, 이 결합블록(8)의 좌우측에는 브라켓(40)의 중앙 안착부(43) 좌우 벽체부에 형성된 결합레일(42)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는 중앙결합슬롯(5a)이 형성된다. 또한, 비데본체(5)의 저면 좌우측으로는 브라켓(40)의 좌우측 결합레일(42)에 끼워지는 좌우측 결합슬롯(5a) 이 형성된다.4, a coupling block 8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to be engaged with the center seating portion 43 of the bracket 40, A central engaging slot 5a is formed which slidably engages with the engaging rail 42 formed on the right and left wall portions of the center seating portion 43 of the bracket 40. [ Left and right coupling slots 5a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to be fitted to the left and right coupling rails 42 of the bracket 40, respectively.

따라서,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여 비데의 주요부인 비데본체(5)를 브라켓(40)에 끼워서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푸셔(20)를 구성하는 푸시바아(22)와 고정편(23)이 복귀수단(30)(즉,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지되어 평상시에는 비데본체(5)의 일측단(즉, 우측단)으로 밀려난 상태에 있다. 6A and 6B,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fitting the bidet body 5,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bidet, to the bracket 40. The push bar 22 and the fixing piece 23 Is bia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means 30 (that is, the compression spring) and normally pushed to one end (i.e., the right end) of the bidet body 5.

이러한 상태에서 비데본체(5)의 중앙 결합슬롯(5a)과 좌우 결합슬롯(5a)을 브라켓(40)의 중앙 결합레일(42)과 좌우 결합레일(42) 위치에 맞추어 비데본체(5)를 브라켓(40)의 후단부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바아(22)의 고정편(23) 선단부가 브라켓(40)의 전단 걸림턱(47)의 절단부(47a)를 통해 내부로 진행하다가 걸림턱(47)의 내측단에 닿아서 외측으로 밀려난다. In this state, the central coupling slot 5a and the left and right coupling slots 5a of the bidet body 5 are aligned with the positions of the central coupling rail 42 and the left and right coupling rails 42 of the bracket 40, 6, the distal end of the fixing piece 23 of the push bar 22 is inserted into the cutout 47a of the front end stopping projection 47 of the bracket 40, And reaches the inner end of the latching jaw 47 and is pushed outward.

이어서, 비데본체(5)를 계속 브라켓(40)의 후단부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밀려 낫던 푸시바아(22)의 고정편(23)이 다시 푸셔 복귀수단(30)(즉,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원터치식으로 브라켓(40)의 전단 걸림턱(47) 안쪽벽에 걸려지기 때문에, 비데본체(5)를 좌변기에 기 설치된 브라켓(40)에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When the bidet body 5 is continuously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end of the bracket 40, the fastening piece 23 of the pushed push bar 22 returns again to the pusher returning means 30 (that is, The bite body 5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40 provided at the left-hand side of the left-hand side of the bracket 40, It can be installed easily with one touch.

결국, 본 발명은 브라켓(40)의 전단부에서 비데본체(5)를 밀어넣기 식으로 결합하여 비데본체(5)를 좌변기에 설치하게 된다.As a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det body 5 is pushed in from the front end of the bracket 40, and the bidet body 5 is installed at the left side.

한편, 비데를 좌변기에서 떼어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푸셔(20)의 푸시바아(22) 일단부를 비데본체(5)의 안쪽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브라켓(40)의 전방 걸림턱(47) 안쪽벽에 걸려져 있던 푸시바아(22)의 고정편(23)의 걸 려진 상태가 해제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비데본체(5)를 브라켓(40)의 전방으로 인출하여 분리하면, 비데를 좌변기에서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pushes one end of the push bar 22 of the pusher 20 in the direction of the inside of the bidet body 5 when the user wants to remove the bidet from the left side lid, The hooked state of the fixing piece 23 of the push bar 22 hanging on the inner wall is released. In this state, when the bidet body 5 is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bracket 40 and separated, It can be removed easily.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비데의 주요 부품을 내장한 비데본체(5)를 좌변기에 이미 설치된 브라켓(40)에 원터치식으로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비데의 장착 및 분리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한 등의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idet body 5 incorporat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bidet can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bracket 40 already provided in the left-hand side by one-touch operation, And so on.

이때, 상기 푸시바아(22)의 고정편(23)은 상기 브라켓(40)의 걸림턱(47) 내측단과 접촉되는 선단부에 경사부(23a)가 더 형성되어 구성되므로, 고정편(23)이 경사부(23a)를 따라 보다 원활하게 밀려났다가 브라켓(40)의 걸림턱(47) 안쪽벽에 걸려질 수 있으므로, 비데본체(5)를 브라켓(40)에 장착하는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fixing piece 23 of the push bar 22 is further formed with the inclined portion 23a at the distal end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end of the engaging step 47 of the bracket 40, The operation of attaching the bidet body 5 to the bracket 40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since it can be pushed more smoothly along the inclined portion 23a and hooked on the inner wall of the latching jaw 47 of the bracket 4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또한, 상기 푸시바아(22)는 비데본체(5)의 일단부측에 널링부(22b)가 더 형성된다. 도 4에 푸시바아(22)의 널링부(22b)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푸시바아(22)를 누를 때 널링부(22b)의 마찰력에 의해 손가락이 푸시바아(22)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푸시바아(22)를 눌러서 비데본체(5)를 분리해 내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Further, the push bar 22 is further formed with a nulling portion 22b at one end side of the bidet body 5. Figure 4 shows the nulling portion 22b of the push bar 22. Therefore, when the operator pushes the push bar 22 with the finger, the finger can be prevented from sliding on the push bar 22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knurled portion 22b, )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한편, 상기 비데본체(5)의 바닥에 형성된 물배출 구멍(6)의 주변에는 수로를 형성하는 벽체부(6a)가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밸브(10)의 저면부의 배출공(12a)은 상기 물배출 구멍(6)의 벽체부(6a) 내부 영역에 위치된다.A wall portion 6a for forming a water channel is formed around the water discharge hole 6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idet body 5 and the discharge hole 12a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drain valve 10 And is located in an area inside the wall portion 6a of the water discharge hole 6. [

따라서, 상기 푸셔(20)의 푸시바아(22)를 눌러서 드레인밸브(10)를 개방하여 비데용 물탱크(1)의 내부에서 물을 배출할 때, 배출되는 물이 비데본체(5)의 물배 출 구멍(6) 주위에 형성된 벽체부(6a)에 막혀서 주변으로 넘치지 않고 그대로 물 배출용 구멍(6)으로 배출되므로, 비데본체(5)의 내부에 배출수가 넘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When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idet water tank 1 by opening the drain valve 10 by pressing the push bar 22 of the pusher 20, And is discharged into the water discharge hole 6 without being overflowed to the periphery. Therefore, various problems that may occur due to overflow of water into the inside of the bidet body 5 can be solved There is also an effect to preven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비데를 좌변기에서 뜯어내서 운반할 때 비데의 물탱크에 잔존한 물을 간단한 조작으로 배출하여 버릴 수 있으므로, 사용 등에 있어서 편리함과 더불어, 비데 설치시나 분리시에도 간단한 원터치식 조작만 수행하면 되므로, 비데 설치 및 분리가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도록 된 비데용 다기능 배수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tank of the bidet can be discharged by simple operation when the bidet is torn off from the left side of the toilet, so that it is convenient in use and the like, The multifunctional drainage structure for a bidet can be provided which can be quickly and easily installed and separated.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좌변기에 설치되는 비데의 물탱크(1)에 연결되며 측방부에는 비데본체(5) 바닥에 형성된 구멍(6)으로 연통되는 배출공(12a)이 형성된 드레인밸브(10)와, 상기 비데본체(5)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푸시 작동에 따라 상기 드레인밸브(10)의 배출공(12a)과 상기 비데본체(5) 바닥의 구멍(6)을 서로 연통시켜 상기 비데의 물탱크(1)에 채워진 물을 상기 비데본체(5) 바닥의 구멍(6)으로 배출시키는 푸셔(20)와, 상기 푸셔(20)를 원위치 복귀시켜 상기 드레인밸브(10)를 폐쇄하는 복귀수단(30)을 포함하고, A drain valve 10 connected to a water tank 1 of a bidet installed at a toilet seat and having a discharge hole 12a communicating with a hole 6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idet body 5 at a side portion thereof, 5 so that the discharge hole 12a of the drain valve 10 and the hole 6 at the bottom of the bidet body 5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pushing operation so that the water tank 1 of the bidet, A pusher 20 for discharging the water filled in the bidet body 5 to the hole 6 in the bottom of the bidet body 5 and a returning means 30 for closing the drain valve 10 by returning the pusher 20 to the home position and, 상기 드레인밸브(10)는 상기 비데용 물탱크(1)의 유수구와 연통되는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비데본체(5)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6)과 연통되는 배출공(12a)이 형성된 관형상의 밸브하우징(12)과, 일단부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밸브하우징(12)의 배출공(12a)과 마주하는 저면부에는 개폐공(15)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막힘부(16)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하우징(12)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푸셔(20)는 상기 비데본체(5)의 바닥면에 좌우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핀부재(22a)가 돌출된 푸시바아(22)와, 상기 비데본체(5)의 바닥면에 기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푸시바아(22)의 핀부재(22a)가 끼워져 슬라이드되는 작동공(24a)이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개폐부재(14)의 막힘부(16)와 마주하는 푸싱핀(24b)이 구비된 회동푸셔(24)를 포함하고,The drain valve 10 is provided with a port formed with a port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port of the bidet water tank 1 and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12a communicating with the hole 6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And a closure part 16 is formed at the other end part of the valve housing 12 and a bottom part facing the discharge hole 12a of the valve housing 12,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14) provided inside the valve housing (12)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e pusher (2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And a pin member 22a of the push bar 2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The push bar 2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idet body 5, An operating hole 24a to be inserted and slid is formed, and a clogging portion 16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And a pivoting pusher 24 provided with a pushing pin 24b facing the pushing pin 24b, 상기 푸시바아(22)의 일단부측은 상기 비데본체(5)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슬롯(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비데본체(5)의 측방으로 노출되고, 상기 푸시바아(22)의 일단부측에는 널링부(22b)가 더 형성되며,One end side of the push bar 22 is slidably coupled to a guide slot 7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idet body 5 and exposed to the side of the bidet body 5, A knurling portion 22b is further formed at one end side of the ring- 상기 개폐부재(14)의 타단부측 막힘부(16)는 상기 회동푸셔(24) 선단부의 푸싱핀(24b)과 접촉되는 면에 단면 원호형의 접촉가이드부(16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다기능 배수구조.The other end side clogged portion 16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 is formed with an arc-shaped contact guide portion 16a on the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ushing pin 24b of the tip portion of the rotation pusher 24 Multifunction drainage structure for bidet. 삭제delete
KR1020060096800A 2006-09-30 2006-09-30 Multi funnction drain structure for bidet KR1008259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800A KR100825910B1 (en) 2006-09-30 2006-09-30 Multi funnction drain structure for bid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800A KR100825910B1 (en) 2006-09-30 2006-09-30 Multi funnction drain structure for bid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419A KR20080030419A (en) 2008-04-04
KR100825910B1 true KR100825910B1 (en) 2008-04-28

Family

ID=3953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800A KR100825910B1 (en) 2006-09-30 2006-09-30 Multi funnction drain structure for bid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91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666B1 (en) 2010-12-29 2012-09-19 주식회사 엔씨엠 Device for drainage of bidet water tank
KR102074263B1 (en) 2018-11-30 2020-02-06 주식회사 나누텍 Drainage system of bidet water tan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796Y1 (en) * 2003-09-26 2003-12-11 요요전자 주식회사 Bidet Fixing Structure
JP3539535B2 (en) * 1997-07-11 2004-07-07 東陶機器株式会社 Water drain valv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sanitary washing device
KR200366508Y1 (en) * 2004-07-31 2004-11-09 (주) 아이젠 device for drain of water tank in bid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9535B2 (en) * 1997-07-11 2004-07-07 東陶機器株式会社 Water drain valv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sanitary washing device
KR200335796Y1 (en) * 2003-09-26 2003-12-11 요요전자 주식회사 Bidet Fixing Structure
KR200366508Y1 (en) * 2004-07-31 2004-11-09 (주) 아이젠 device for drain of water tank in bid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666B1 (en) 2010-12-29 2012-09-19 주식회사 엔씨엠 Device for drainage of bidet water tank
KR102074263B1 (en) 2018-11-30 2020-02-06 주식회사 나누텍 Drainage system of bidet water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419A (en) 200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99370A1 (en) Sanitary cleaning device
KR101930719B1 (en) Sanitary washing device
KR100825910B1 (en) Multi funnction drain structure for bidet
JP2006283400A (en) Sanitary washing toilet seat device and toilet device
KR20100009046U (en) Bidet with nozzle washing cover
KR100526826B1 (en) Refrigerator
JP4980696B2 (en) Nut holding tool
KR101947575B1 (en) button structure of bidet
JP2004251012A (en) Warm water washing toilet seat device
JP5263950B2 (en) Dishwasher
JP4265588B2 (en) Water treatment equipment
JP5338020B2 (en) Nozzle device and sanitary washing device using it
JP3484263B2 (en) Water drain valv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sanitary washing device
JP2007297813A (en) Nozzle device and sanitary washing apparatus employing it
JP2007239248A5 (en)
KR100582283B1 (en)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JP4104434B2 (en) Flush toilet cleaning equipment
JP4849108B2 (en) Toilet bowl
JP2017048550A (en) Device for washing private parts
JP2017048564A (en) Device for washing private parts
JP3644929B2 (en) Bottom pouring liquid container
JP2988873B2 (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soap dispenser
JP2006326512A (en) Spray apparatus
JP4524885B2 (en) Liquid leakage prevention mechanism for adhesive discharge gun
JP3847141B2 (en) Sanitary washing device drain valve opening / clos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