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300B1 -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 - Google Patents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300B1
KR100824300B1 KR1020070060126A KR20070060126A KR100824300B1 KR 100824300 B1 KR100824300 B1 KR 100824300B1 KR 1020070060126 A KR1020070060126 A KR 1020070060126A KR 20070060126 A KR20070060126 A KR 20070060126A KR 100824300 B1 KR100824300 B1 KR 100824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frame
average
re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규
윤영기
심준형
김상현
이정란
송인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04B17/18Monitoring during norm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04B17/104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of other parameters, e.g. DC offset, delay or propagation ti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04B17/16Test equipment located at the transmi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DD 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클럭을 수신하는 클럭 수신단계; 송신안테나 측으로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검출하여 송신신호의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송신신호 감시단계; 상기 송신안테나 측으로 출력되는 송신신호가 상기 송신안테나 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반송신호를 검출하여 반송신호의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반송신호 감시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클럭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송신신호 감시단계와 상기 반송신호 감시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송신신호 감시단계와 상기 반송신호 감시단계는 서로 다른 프레임에 대하여 수행됨으로써 TDD방식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으며, 정확한 신호레벨을 파악하면서도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TDD, 송신신호, 반송신호, 안테나 정합, 신호감시, 진단, 감시장치

Description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DETECTING METHOD OF SIGNAL IN TDD TYP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신호감시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2는 도1의 신호감시장치에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3은 TDD방식에서 신호의 프레임을 그래프로 도시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은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신되는 RF신호(이하, '송신신호'라 함)의 세기가 요구되는 정도의 적절한 레벨을 벗어나면, 수신 측에서 신호를 감지하기가 곤란(송신신호가 적절한 레벨 이하인 경우)하거나 수신 측의 통신소자들에 대한 예기치 못한 손상을 초래(송신신호가 적절한 레벨 이상인 경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송신신호의 신호레벨을 감시(진단)한 후 요구되는 정도의 적절한 신호레벨을 가지고 송신신호가 송신될 수 있도록 송신신호의 신호레벨을 조정할 수 있게 송신단 을 구성하고 있다.
기존의 이동통신 방식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방식이 주로 적용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FDD방식에서는 송신신호와 수신신호가 구분되어 있어서 실시간으로 송신신호를 검출하여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런데, 휴대 인터넷 기술인 와이브로(WiBro)에서는 사용 주파수 대역이 넓기 때문에 주파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TDD(Time division duplex, 시분할 듀플렉스)방식이 고려되어 진다. 이러한 TDD방식에서는 하나의 신호 프레임에 송신신호 구간과 수신신호 구간이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FDD방식에서 사용되는 송신신호의 감시기술을 그대로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즉, 송신신호가 5ms 간격으로 불연속적이기 때문에 FDD방식에서처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식으로는 송신구간과 수신구간을 모두 측정하게 되어 그 정확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송신신호구간과 수신신호구간은 5ms 이내에서 변경이 가능하여 구간 변경 시 이를 구분하여 디텍팅하여야 하는 데 기존 FDD방식으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TDD방식에 적용될 수 있는 송신신호의 감시기술이 필요되고 있는 데, 이와 관련하여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6-0014730호(출원인 : 삼성전자주식회사, 발명자 : 서철수, 발명의 명칭 : 송수신 모드를 동시에 활용하는 시분할 복신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체 진단 방법)에 개시된 기술(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이 제시되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송신 경로에서 진단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 경로로 전달한 후 수신 경로를 통해 수신된 진단 신호를 통해 송수신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와이브로에 적용될 TDD방식에서 보다 정확하고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송신신호의 감시기술은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송신안테나의 부정합(단선, 단락 등)은 정합규격 이상의 신호레벨을 가지는 반송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송신안테나 측으로 보내는 송신신호는 어느 정도의 반송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데, 이렇게 송신안테나 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반송신호의 신호레벨이 정합규격 이상인 경우(예 : 송신신호의 신호레벨이 50dBm 이고 정합규격이 20dB일 경우 반송신호의 신호레벨이 30dBm 이상인 경우)에는 송신안테나가 정합되어 있지 않음, 즉, 부정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송신안테나가 부정합된 경우(반송신호가 정합규격 이상인 경우)에는 당연히 송신안테나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신호의 신호레벨이 작을 수밖에는 없는 것이므로 통신반경이 작아지는 등 통신품질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반송신호의 신호레벨을 파악하여 송신안테나의 정합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신호감시장치를 구성시킴으로써 송신안테나의 정합상태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시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TDD방식에서는 하나의 신호 프레임에 송신신호 구간과 수신신호 구간이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FDD방식에서 사용되는 반송신호의 감시기술을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는 TDD방식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감시방법에 관한 기술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TDD방식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신호 감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은, 시스템 클럭을 수신하는 클럭 수신단계; 송신안테나 측으로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검출하여 송신신호의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송신신호 감시단계; 상기 송신안테나 측으로 출력되는 송신신호가 상기 송신안테나 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반송신호를 검출하여 반송신호의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반송신호 감시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클럭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송신신호 감시단계와 상기 반송신호 감시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송신신호 감시단계와 상기 반송신호 감시단계는 서로 다른 프레임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신호 감시단계가 수행되는 프레임과 상기 반송신호 감시단계가 수행되는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구간만큼 이격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신호 감시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프레임에 대하여 각각 구한 송신신호의 신호레벨들을 평균하는 평균산출단계; 및 상기 평균산출단계에서 산출된 평균에 따른 신호레벨을 상기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보고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송신호 감시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프레임에 대하여 각각 구한 반송신호의 신호레벨들을 평균하는 평균산출단계; 및 상기 평균산출단계에서 산출된 평균에 따른 신호레벨을 상기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보고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레임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구간만큼 이격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은, 시스템 클럭을 수신하는 A단계; 송신안테나 측으로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검출하여 송신신호의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B단계; 상기 송신안테나 측으로 출력되는 송신신호가 상기 송신안테나 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반송신호를 검출하여 반송신호의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C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송신안테나 측으로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분기시키는 B1단계; 상기 B1단계에서 분기된 분기신호를 볼티지(Voltage)로 검출하는 B2단계; 상기 A단계에서 수신된 시스템 클럭에 따라 임의의 프레임의 송신구간에서 상기 디텍팅단계를 거쳐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다수의 볼티지에 따른 다수의 신호레벨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는 B3단계;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B3단계를 거쳐 산출된 복수의 평균들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는 B4단계; 및 상기 B4단계에서 산출된 평균에 따른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B5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송신안테나 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반송신호를 분기시키는 C1단계; 상기 C1단계에서 분기된 분기신호를 볼티지(Voltage)로 검출하는 C2단계; 상기 A단계에서 수신된 시스템 클럭에 따라 임의의 프레임의 송신구간에서 상기 디텍팅단계를 거쳐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다수의 볼티지에 따른 다수의 신호레벨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는 C3단계;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C3단계를 거쳐 산출된 복수의 평균들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는 C4단계; 및 상기 C4단계에서 산출된 평균에 따른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보고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B3단계와 상기 C3단계는 서로 교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럭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B3단계와 상기 C3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B3단계와 상기 C3단계는 서로 다른 프레임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B3단계가 수행되는 프레임과 상기 C3단계가 수행되는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구간만큼 이격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이 수행되는 신호감시장치(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신호감시장치(100)는, 대역통과필터(200)를 거쳐 오는 송신신호를 검출한 후 검출된 송신신호의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역할과, 송신안테나(TxA) 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반송신호를 검출한 후 검출된 반송신호의 신호레벨을 상위단 으로 보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신호감시장치(100)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분기수단(110), 보고수단(1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기수단(110)은, 대역통과필터(200)로부터 출력되어 오는 송신신호와 송신안테나(TxA) 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반송신호를 분기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송신신호에 대한 분기신호는 제1 출력포트(111)로 출력시키고, 반송신호에 대한 분기신호는 제2 출력포트(112)로 출력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분기수단(110)은 방향성 결합기(Directional Coupl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고수단(120)은, 분기수단(110)으로부터 분기된 분기신호의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디텍터(121), 저장요소(122), 중앙처리기(123) 등을 포함한다.
디텍터(121)는 분기수단(110)에 의해 분기된 분기신호를 볼티지(Voltage, V, V')로 검출하여 출력시킨다.
저장요소(122)는 신호의 볼티지(Voltage) 별 신호레벨(dBm)에 대한 비교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다음의 표1은 비교테이블에 대한 일예이다.
[표 1]
출력값(dBm) Detector(Voltage)
43.0 4.00 측정치
42.9 3.99 계산치
42.8 3.98 계산치
42.7 3.97 계산치
: :
: :
42.1 3.91 계산치
42.0 3.90 측정치
41.9 2.90 계산치
41.8 2.80 계산치
: :
: :
21.0 1.80 측정치
20.9 1.79 계산치
20.8 1.78 계산치
20.7 1.77 계산치
: :
: :
20.0 1.70 측정치
19.9 1.69 계산치
: :
: :
18.0 1.50 측정치
표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볼티지(Voltage) 각각은 각각의 신호레벨(dBm)에 대응되어 있다. 표1에 따른 볼티지(Voltage)와 신호레벨(dBm)에 대한 대응관계는 실험에 의해 측정되거나 계산된 것으로, 예를 들어, 디텍터(121)를 통해 출력되는 볼티지(V/V')가 4인 경우의 신호레벨은 43으로 측정되었으며, 디텍터(121)를 통해 출력되는 볼티지(V/V')가 3.9인 경우의 신호레벨은 42로 측정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신호레벨 0.1dB단위는 1dB를 10등분하여 계산한 값이다.
중앙처리기(123)는 디텍터(121)로부터 출력되는 볼티지(V/V')를 저장요소(122)에 저장된 비교테이블에 비교시켜 송신신호/반송신호의 신호레벨을 파악하고, 하나의 프레임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다수의 볼티지(V/V')에 따라 파악된 다수의 신호레벨에 대한 하나의 프레임 당 송신신호의 신호레벨에 대한 평균을 산출한 후,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얻어진 각각의 평균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여 복 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산출된 평균을 송신신호/반송신호에 대한 신호레벨로 판단하여 이 값을 상위단으로 보고한다. 여기서 신호레벨에 대한 평균을 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참고로 도1에서는 신호감시장치(100)와 대역통과필터(200)가 서로 별개의 구성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신호감시장치와 대역통과필터가 일체화된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비교테이블에 의해 송신신호와 반송신호의 신호레벨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만일 반송신호가 분기된 후 중앙처리기(123)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회로의 특성을 송신신호가 분기된 후 중앙처리기(123)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회로와 같게 설계하는 경우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중앙처리기(123)에는 반송신호 보상 테이블을 더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신호감시장치(100)에서 이루어지는 송신신호 감시방법에 대하여 도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편의상 순서를 붙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클럭 수신<S210>
중앙처리기(123)는 미도시된 시스템 클럭 발생기로부터 시스템 클럭을 수신한다. 여기서 시스템 클럭은 프레임의 시작점을 알려주는 신호이다. 일반적으로 TDD방식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이 송신구간과 수신구간이 나뉘어 있으며, 송신구간과 수신구간 사이에는 TTG 및 RTG라는 갭이 존재한다. 그리고 송신구간, 수신구간, TTG 및 RTG는 규격화되어 있어서 정확한 시간길이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의 시작점을 알게 되면, 송신구간과 수신구간을 정확히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송신신호 감시<S220>
신호감시장치(100)는 송신신호의 신호레벨을 판단하고 판단된 송신신호의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한다. 이러한 단계 S220은 다음과 같이 더 구체적인 단계로 나뉘게 된다.
2-1 송신신호 분기<S221>
분기수단(110)은 대역통과필터(200)로부터 송신안테나(TxA) 측으로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분기시킨다. 그리고 송신신호에 대하여 분기된 분기신호는 제1 출력포트(111)를 통해 출력된다.
2-2. 디텍팅<S222>
디텍터(121)는 분기수단(110)에 의해 분기된 후 제1 출력포트(111)를 통해 출력되는 분기신호를 볼티지(V)로 검출하여 출력시킨다.
2-3. 제1 평균산출<S223>
중앙처리기(123)는 입력된 시스템 클럭을 기준으로 하여 임의의 프레임의 송신구간에서 디텍터(121)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다수의 볼티지(V) 각각을 비교테이블에 비교시켜 해당 볼티지(V)들에 따른 신호레벨들을 판단한 후, 판단된 신호레벨들의 평균을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에서 55회의 볼티지(V)를 검출하고, 각각의 볼티지(V)에 따른 신호레벨을 판단한 후, 판단된 신호레벨들 의 평균을 산출하는 예를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텍터(121)로부터 출력되는 볼티지(V)가 3.98인 경우, 중앙처리기(123)는 3.98의 볼티지(V)를 표1의 테이블에 비교시켜 3.98의 볼티지(V)에 대응하는 신호레벨은 42.8dBm임을 파악하고, 이를 해당 볼티지(V)에 따른 송신신호의 신호레벨로 판단하며, 이러한 과정을 하나의 프레임 당 55회 반복하고, 얻어진 55개의 신호레벨의 평균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단계 S240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데 이에 대하여 TDD방식에서 시간 축 상에서의 프레임 대한 그래프인 도3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프레임을 제1 프레임이라 가정하였을 때, 제1 프레임과 네 개의 프레임 구간만큼 이격된 제5 프레임에 대하여 단계 S223이 수행되며, 제2 내지 제4 프레임에 대해서는 단계 S223이 수행되지 않는다. 물론, 제5 프레임 후에는 제9 프레임, 제13 프레임,...에 대하여 단계S223이 수행될 것이다.
2-4. 제2 평균산출<S224>
단계 S223에 의해 복수의 프레임(복수의 프레임 각각은 4개의 프레임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에 대한 평균들이 모두 산출되면,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산출된 각각의 평균들의 평균을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0개의 프레임마다 한 번씩 단계 S224를 수행하도록 구현하고 있다. 즉, 임의의 프레임을 제1 프레임이라 할 때, 제1, 제5, 제9, 제13, 제17 프레임에 대하여 단계 S223을 통해 얻어진 평균들에 대한 평균을 구하는 것이다. 물론, 차후에는 제21, 제25, 제29, 제33, 제37 프레임에 대하여 단계 S224가 수행될 것이다.
2-5. 보고<S225>
중앙처리기(123)는 단계 S224를 통해 산출된 평균을 상위단으로 보고한다.
3. 반송신호 감시<S230>
한편, 신호감시장치(100)는 반송신호의 신호레벨을 판단하고 판단된 반송신호의 신호레벨도 상위단으로 보고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단계 S230도 다음과 같이 더 구체적인 단계로 나뉘게 된다.
3-1. 반송신호 분기<S231>
분기수단(110)은 대역통과필터(200)를 거쳐 송신안테나(TxA) 측으로 출력된 후 송신안테나(TxA) 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반송신호를 분기시킨다. 그리고 반송신호에 대하여 분기된 분기신호는 제2 출력포트(112)를 통해 출력된다.
3-2. 디텍팅<S232>
디텍터(121)는 분기수단(110)에 의해 분기된 후 제2 출력포트(112)를 통해 출력되는 분기신호를 볼티지(V')로 검출하여 출력시킨다.
3-3. 제1 평균산출<S233>
중앙처리기(123)는 입력된 시스템 클럭을 기준으로 하여 임의의 프레임의 송신구간에서 디텍터(121)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다수의 볼티지(V') 각각을 비교테이블에 비교시켜 해당 볼티지(V')들에 따른 신호레벨들을 판단한 후, 판단된 신호레벨들의 평균을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S223에서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에서 55회의 볼티지(V')를 검출하고, 각각의 볼티지(V')에 따른 신호레벨을 판단한 후, 판단된 신호레벨들의 평균을 산출하는 예를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텍터(121)로부터 출력되는 볼티지(V')가 1.78인 경우, 중앙처리기(123)는 1.78의 볼티지(V')를 표1의 테이블에 비교시켜 1.78의 볼티지(V')에 대응하는 신호레벨은 20.8dBm임을 파악하고, 이를 해당 볼티지(V')에 따른 반송신호의 신호레벨로 판단하며, 이러한 과정을 하나의 프레임 당 55회 반복하고, 얻어진 55개의 신호레벨의 평균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단계 S233은 단계 S223과 교번하여 수행되면서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데 이에 대하여 도3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과 하나의 프레임 구간만큼 이격된(제2 프레임 구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제3 프레임에서 단계 S233이 수행되고, 제3 프레임과 네 개의 프레임 구간만큼 이격된 제7 프레임에서 단계 S233이 반복되며, 제4 내지 제6 프레임에 대해서는 단계 S233이 수행되지 않는다. 물론, 제7 프레임 후에는 제11 프레임, 제15 프레임, ...에 대하여 단계S240이 수행될 것이다.
3-4. 제2 평균산출<S234>
단계 S233에 의해 복수의 프레임(복수의 프레임 각각은 4개의 프레임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에 대한 평균들이 모두 산출되면,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산출된 각각의 평균들의 평균을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단계 S234는 20개의 프레임마다 한 번씩 수행하도록 구현하고 있다. 즉, 제3, 제7, 제11, 제15, 제19 프레임에 대하여 단계 S233을 통해 얻어진 평균들에 대한 평균을 구하는 것이다. 물론, 차후에는 제23, 제27, 제31, 제35, 제39 프레임에 대하여 단계 S234가 수행될 것이다.
3-5. 보고<S235>
중앙처리기(123)는 단계 S234을 통해 산출된 평균을 상위단으로 보고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단계 S223과 S233이 서로 교번적으로 이루어지고, 단계 S223이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S233이 이루어지는 프레임이 하나의 프레임 구간만큼 떨어진 서로 다른 프레임 상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이유는, 동일 시간 구역에서 단계 S223과 S233이 동시적으로 수행되거나 개개의 프레임마다 연속하여 송신신호와 반송신호를 검출하여 평균을 산출하게 되면, 중앙처리기(123)에 과도한 부하가 발생하여 시스템 마비를 가져올 개연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확성을 유지하는 한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건너뛰면서 단계 S223과 S233을 교번하여 수행되도록 하면서도 단계 S223이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단계 233이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일정 구간만큼(일 프레임 구간만큼) 이격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송신신호 및 반송신호의 신호레벨에 대한 판단의 정확성을 유지하면서도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참고로 단계 S223이 이루어지는 프레임들 상호간 또는 단계 S233이 이루어지는 프레임들 상호간은 도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4개의 프레임 구간만큼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TDD방식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신호 감시방법이 제공된다.
둘째, 더 나아가 일정한 시간 구간의 갭(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구간)을 두고 송신신호와 반송신호를 교번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셋째, 더욱이 시스템 클럭 발생기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시스템 클럭을 기준으로 하여 하나의 프레임에서 송신구간을 명확히 인식하여 송신신호와 반송신호를 디텍팅하기 때문에 송신구간과 수신구간이 변경된 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신호 감시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8)

  1. 시스템 클럭을 수신하는 클럭 수신단계;
    송신안테나 측으로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검출하여 송신신호의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송신신호 감시단계;
    상기 송신안테나 측으로 출력되는 송신신호가 상기 송신안테나 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반송신호를 검출하여 반송신호의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반송신호 감시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클럭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송신신호 감시단계와 상기 반송신호 감시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송신신호 감시단계와 상기 반송신호 감시단계는 서로 다른 프레임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신호 감시단계가 수행되는 프레임과 상기 반송신호 감시단계가 수행되는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구간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신호 감시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프레임에 대하여 각각 구한 송신신호의 신호레벨들을 평균하는 평균산출단계; 및
    상기 평균산출단계에서 산출된 평균에 따른 신호레벨을 상기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보고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신호 감시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프레임에 대하여 각각 구한 반송신호의 신호레벨들을 평균하는 평균산출단계; 및
    상기 평균산출단계에서 산출된 평균에 따른 신호레벨을 상기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보고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레임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구간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
  6. 시스템 클럭을 수신하는 A단계;
    송신안테나 측으로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검출하여 송신신호의 신호레벨을 상 위단으로 보고하는 B단계;
    상기 송신안테나 측으로 출력되는 송신신호가 상기 송신안테나 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반송신호를 검출하여 반송신호의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C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송신안테나 측으로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분기시키는 B1단계;
    상기 B1단계에서 분기된 분기신호를 볼티지(Voltage)로 검출하는 B2단계;
    상기 A단계에서 수신된 시스템 클럭에 따라 임의의 프레임의 송신구간에서 상기 디텍팅단계를 거쳐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다수의 볼티지에 따른 다수의 신호레벨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는 B3단계;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B3단계를 거쳐 산출된 복수의 평균들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는 B4단계; 및
    상기 B4단계에서 산출된 평균에 따른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B5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송신안테나 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반송신호를 분기시키는 C1단계;
    상기 C1단계에서 분기된 분기신호를 볼티지(Voltage)로 검출하는 C2단계;
    상기 A단계에서 수신된 시스템 클럭에 따라 임의의 프레임의 송신구간에서 상기 디텍팅단계를 거쳐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다수의 볼티지에 따른 다수의 신호레벨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는 C3단계;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C3단계를 거쳐 산출된 복수의 평균들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는 C4단계; 및
    상기 C4단계에서 산출된 평균에 따른 신호레벨을 상위단으로 보고하는 보고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B3단계와 상기 C3단계는 서로 교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B3단계와 상기 C3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B3단계와 상기 C3단계는 서로 다른 프레임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3단계가 수행되는 프레임과 상기 C3단계가 수행되는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구간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
KR1020070060126A 2007-06-19 2007-06-19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 KR100824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126A KR100824300B1 (ko) 2007-06-19 2007-06-19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126A KR100824300B1 (ko) 2007-06-19 2007-06-19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300B1 true KR100824300B1 (ko) 2008-04-23

Family

ID=3957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126A KR100824300B1 (ko) 2007-06-19 2007-06-19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3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611A (ko) * 2004-02-27 2005-08-31 유파인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시분할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용 중계기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611A (ko) * 2004-02-27 2005-08-31 유파인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시분할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용 중계기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78737B (zh) 射频测试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JP5003824B2 (ja) 電力検出回路、送信装置および電力検出方法
US75989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ransponder performance
US201102791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radio frequency power
US20130054169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determining the place of origin of passive intermodulation products
US9261577B2 (en) Estimating user device loc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8737195B2 (en) Reference signal collision detection
CN102025433A (zh) 信号检测方法、装置和基站
CN112737704A (zh) 射频天线测试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0824300B1 (ko) Tdd방식에서의 신호 감시방법
CN102571217B (zh) 一种射频设备,以及驻波比检测的装置和方法
KR100894454B1 (ko) Tdd방식에서의 반송신호 감시방법
KR100894552B1 (ko) Tdd방식에서의 송신신호 감시방법
KR100827098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검출 장치 및 방법
US20050209806A1 (en) Failure detecting device
US8354848B2 (en) Obstacle detecting system and obstacle detecting device
US7035394B2 (en) Tone detector judging a detection of a predetermined tone signal by comparing a characteristic quantity of the tone signal with characteristic quantities of other signals
CN115967454A (zh) 一种改进检验效率的无线通讯模组检验方法及系统
US20150230116A1 (en)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vswr determination device, and vswr determination method
KR100863226B1 (ko) Tdd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용 신호감시장치 및신호감시방법
US8686741B2 (en) Excessive noise ratio deriving device, noise figure deriving device,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2158273A (zh) 终端校准的实现方法和装置、以及终端
CN101489237B (zh) 无线通信系统中的分布式频谱感测系统和方法
CN108365899A (zh) 一种信道化测频的带宽拼接系统及方法
US10345420B2 (en) Method, a calibration unit and a system for determining system errors and power values for the calibration of a network analy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