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488B1 - Swing arm type suspension system - Google Patents

Swing arm type suspens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488B1
KR100822488B1 KR1020060070729A KR20060070729A KR100822488B1 KR 100822488 B1 KR100822488 B1 KR 100822488B1 KR 1020060070729 A KR1020060070729 A KR 1020060070729A KR 20060070729 A KR20060070729 A KR 20060070729A KR 100822488 B1 KR100822488 B1 KR 100822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arm
cushion unit
swing
arm
suspen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7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5028A (en
Inventor
치카시 이즈카
타다유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0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4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62K25/286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the shock absorber being connected to the chain-stay via a linkag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62K19/20Joints between frame members welded, soldered, or braz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62K25/283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for cycles without a pedal crank, e.g. motor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 자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하여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ng arm suspension device capable of compacting the device itself and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of layout of peripheral components.

자동 이륜차의 차체에 후륜(9)을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25)을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윙 아암(25)의 요동을 감쇠시키는 쿠션 유닛(30)을 상기 차체와 스윙 아암(25) 사이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에서, 쿠션 유닛(30)을 좌우로 연장시켜 설치하는 동시에, 이 쿠션 유닛(30)과 스윙 아암(25) 사이에 이 스윙 아암(25)의 요동 변위를 쿠션 유닛(30)의 스트로크로 변환하는 링크 기구(31)를 설치하였다.Swinging the vehicle body and the cushion unit 30 which pivotally supports the swing arm 25 pivotally supporting the rear wheel 9 to the vehicle body of the motorcycle, and attenuates the swing of the swing arm 25. In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32 which is attached between the arms 25, the cushion unit 30 extends from side to 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swing arm between the cushion unit 30 and the swing arm 25 is provided. The link mechanism 31 which converts the oscillation displacement of (25) into the stroke of the cushion unit 30 was provided.

이륜차, 현가 장치, 스윙 아암, 쿠션 유닛, 링크 기구 Motorcycle, suspension, swing arm, cushion unit, link mechanism

Description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SWING ARM TYPE SUSPENSION SYSTEM}Swing arm type suspension device {SWING ARM TYPE SUSPENS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motorcycle in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자동 이륜차에서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의 측면도이다. 2 is a side view of a swing arm suspension device in the motorcycle.

도 3은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의 평면 설명도이다.3 is a plan explanatory view of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도 4는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의 전측부를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side of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as viewed obliquely from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의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of a swing arm suspension device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서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의 평면 설명도이다.FIG. 6 is a plan explanatory view of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in FIG. 5. FIG.

도 7은 도 5에서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의 전측부를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side of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of FIG. 5 viewed obliquely from below.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자동 이륜차1: motorcycle

9: 후륜(차륜)9: rear wheel

18: 변속기 케이스(차체)18: Transmission case (body)

25, 125: 스윙 아암25, 125: swing arm

27, 127: 좌 아암 부재27, 127: left arm absent

28, 128: 우 아암 부재28, 128: no arm

28b: 만곡부28b: bend

29, 129: 크로스 멤버29, 129: cross member

30: 쿠션 유닛30: cushion unit

31: 링크 기구(작용 방향 변환 기구)31: link mechanism (action direction change mechanism)

32, 132: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 132: swing arm suspension

36: 드라이브 체인(동력 전달띠)36: Drive chain (power transmission band)

80: 벨 크랭크80: Bell Crank

90: 링크 부재90: link member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에 적합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ng arm suspension device suitable for a motorcycle.

종래,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에서 스윙 아암의 전측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쿠션 유닛을 배치하고, 이 쿠션 유닛의 하부를 스윙 아암의 하부에 부착하는 한편, 쿠션 유닛의 상부는 스윙 아암의 상부에 상부 링크를 통해 부착하며, 상부 링크와 차체에서의 스윙 아암 피봇의 아래쪽을 링크 부재로 연결한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링크 부재는 쿠션 유닛을 따라 스윙 아암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Conventionally, in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the cushion unit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front side of the swing arm up and down, and the lower part of the cushion unit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swing arm, while the upper part of the cushion unit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swing arm. It attaches through an upper link, and there exists what connected the upper link and the lower part of the swing arm pivot in a vehicle body by the link member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The link member is arranged to penetrate the swing arm up and down along the cushion unit.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2615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4-26154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는 링크 기구를 이용한 혁신적인 감쇠를 가능하게 하면서, 스윙 아암, 쿠션 유닛, 및 링크 기구를 유닛화함으로써 차체에 대한 착탈을 용이하게 한 것이지만, 장치 자체의 쿠션 유닛 주위의 상하 두께 및 전후 길이가 증가되기 쉽고, 또한 스윙 아암과 링크 부재와의 틈도 충분히 확보해야 하며, 장치 자체가 대형화되어 주변 부품의 레이 아웃 자유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의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facilitates detachment to and from the vehicle body by uniting the swing arm, cushion unit, and link mechanism while enabling innovative damping using the link mechanism, but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around the cushion unit of the device itself. 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lengths are easily increased, and the gap between the swing arm and the link member must be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improvement of this point is desired because the device itself may be enlarged to affect the layout freedom of peripheral components. .

따라서, 본 발명은 장치 자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하여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ng arm suspension device capable of compacting the device itself and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of layout of peripheral components.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자동 이륜차[예컨대 실시예의 자동 이륜차(1)]의 차체[예컨대 실시예의 변속기 케이스(18)]에 차륜[예컨대 실시예의 후륜(9)]을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예컨대 실시예의 스윙 아암(25, 125)]을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윙 아암의 요동을 감쇠시키는 쿠션 유닛[(예컨대 실시예의 쿠션 유닛(30)]을 상기 차체와 스윙 아암 사이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예컨대 실시예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 132)]에서, 상기 쿠션 유닛을 좌우로 연장시켜 설치하는 동시에, 이 쿠션 유닛과 스윙 아암 사이에 이 스윙 아암의 요동 변위를 상기 쿠션 유닛의 스트로크로 변환하는 작용 방향 변환 기구[예컨대 실시예의 링크 기구(3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provides a wheel (for example the rear wheel 9 of the embodiment) to a vehicle body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case 18 of the embodiment) of a motorcycle (for example, the motorcycle 1 of the embodiment). Pivot support swing arm (e.g., swing arm 25, 125 of the embodiment) to pivot up and down, and a cushion unit (e.g., cushion unit 30 of the embodiment) that attenuates the swing arm swing In a swing arm suspension device (for example, swing arm suspension devices 32 and 132 of the embodiment) which is attached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swing arm, the cushion unit is extended from side to side and install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working direction converting mechanism (for example, the link mechanism 31 of the embodiment) is provided which converts the swing displacement of the swing arm into the stroke of the cushion unit.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쿠션 유닛을 차량 전후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 unit is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vehicle front-back direction.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쿠션 유닛을 상기 스윙 아암의 좌우 폭 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 unit is disposed with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wing arm.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작용 방향 변환 기구가 링크 부재[예컨대 실시예의 링크 부재(90)]와 벨 크랭크[예컨대 실시예의 벨 크랭크(80)]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ing direction changing mechanism is formed by connecting a link member (such as the link member 90 of the embodiment) and a bell crank (such as the bell crank 80 of the embodiment).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스윙 아암[예컨대 실시예의 스윙 아암(25)]이 좌우 아암 부재[예컨대 실시예의 좌우 아암 부재(27,28)]를 크로스 멤버[예컨대 실시예의 크로스 멤버(29)]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 유닛을 상기 크로스 멤버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ng arm (e.g., swing arm 25 of the embodiment) is a cross member (e.g., cross member 29 of the embodiment) of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e.g., left and right arm members 27 and 28 of the embodiment). ], And the cushion unit is disposed above or below the cross member.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좌우 아암 부재의 한쪽[예컨대 실시예의 좌 아암 부재(27)]이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직선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그 주위에는 상기 차체측 엔진과 차륜 사이에 걸치는 동력 전달 띠[예컨대 실시예의 드라이브 체인(36)]가 배치되고, 상기 좌우 아암 부재의 다른쪽[예컨대 실시예의 우 아암 부재(28)]이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만곡하는 갈매기 형상이 되며, 상기 쿠션 유닛의 일단부가 상기 한쪽 아암 부재에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쿠션 유닛의 타단부가 상기 다른쪽 아암 부재의 만곡부[예컨대 실시예의 만곡부(28b)] 내주측에서 상기 작용 방향 변환 기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for example, the left arm member 27 of the embodiment) is linearly installed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A power transmission band (for example, the drive chain 36 of the embodiment) is disposed, and the o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for example, the right arm member 28 of the embodiment) has a curved seagull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and One end of the cushion unit is attached to the one arm member, while the other end of the cushion unit is attached to the action direction converting mechanism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other arm member (for example, the curved portion 28b of the embodiment). It is done.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스윙 아암[예컨대 실시예의 스윙 아암(125)]이 좌우 아암 부재[예컨대 실시예의 좌우 아암 부재(127, 128)]를 크로스 멤버[예컨대 실시예의 크로스 멤버(129)]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 유닛을 상기 크로스 멤버의 내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7, wherein the swing arm (e.g., the swing arm 125 of the embodiment) is a cross member (e.g., the cross member 129 of the embodiment) of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e.g.,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127 and 128 of the embodiment). ], And the cushion unit is disposed inside the cross member.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쿠션 유닛의 상하 폭을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스윙 아암의 상하 폭 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8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width of the cushion unit is within the vertical width of the swing arm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의 전후 좌우 등의 방향은 특별히 기재가 없으면 차량의 방향과 동일하게 한다. 또한, 도면 중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을, 화살표 LH는 차량 좌측을, 화살표 UP는 차량 위쪽을 각각 도시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back, front, left, right, etc.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hall be the same as that of a vehicle unless there is particular description. In the figure, arrow FR shows the front of the vehicle, arrow LH shows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and arrow UP shows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respectively.

[실시예 1]Example 1

도 1에 도시하는 자동 이륜차(1)는 승무원용 발판부인 저상(低床)부(2)를 갖는 스쿠터형 차량이며, 그 전륜(3)은 좌우 프론트 포크(4)에 피봇 지지되고, 각 프론트 포크(4)는 핸들 스템(5)을 통해 차체 프레임(6)의 전단 상부의 헤드 파이프(7)로 조향 가능하게 피봇지지 되며, 핸들 스템(5)의 상부에는 전향용 핸들(8)이 부착된다. The motorcycle 1 shown in FIG. 1 is a scooter-type vehicle having a lower portion 2, which is a crew step, and the front wheel 3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left and right front forks 4, and each front The fork 4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head stem 7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frame 6 via the handle stem 5, and the turning handle 8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handle stem 5. do.

차체 프레임(6)은 복수 종의 강재를 용접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헤드 파이프(7)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11)과, 다운 프레임(11) 하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저상부(2) 내측 엔진(15)의 위쪽을 통과하는 메인 프레임(12)과, 메인 프레임(12)의 후측부로부터 비스듬히 위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시트 프레임(13)을 주로 하여 이루어진다.The body frame 6 is formed by integrally joining a plurality of kinds of steels by welding or the like, and includes a down frame 11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the head pipe 7 backward and from the bottom of the down frame 11 backward. It consists mainly of the main frame 12 which extends and passes the upper part of the engine 15 inside the bottom part 2, and the seat frame 13 which extends obliquely upward and rearward from the rear part of the main frame 12. As shown in FIG.

자동 이륜차(1)의 원동기인 상기 엔진(15)은, 예컨대 수냉식 4-스트로크 단 기통 엔진이며, 크랭크축을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하여 배치되고, 크랭크 케이스(16)의 전단부로부터 대략 전방에 실린더(17)를 세워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크랭크 케이스(16)의 후방에는 변속기 케이스(18)가 연이어 설치되고, 이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에는 후륜(차륜)(9)을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25)의 전단부가 좌우 방향을 따른 피봇 축(26)을 통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다. The engine 15, which is the prime mover of the motorcycle 1, is, for example, a water-cooled four-stroke short-cylinder engine, and is disposed with the crank shaft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s substantially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crankcase 16. 17) It has a structure installed upright. A transmission case 18 is continuous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rankcase 16, and a front end portion of the swing arm 25 pivotally supporting the rear wheels (wheels) 9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transmission case 18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pivotally supported up and down via the pivot axis 26 accordingly.

스윙 아암(25)은, 좌우의 아암 부재(27, 28)의 전측부 내측을 크로스 멤버(29)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그 후단부에 후륜(9)이 피봇 지지된다. 크로스 멤버(29) 바로 아래쪽에는 후륜(9)의 상하 운동을 수반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감쇠)하는 쿠션 유닛(30)이 배치된다. 쿠션 유닛(30)은 완충용 코일 스프링(30a) 및 그 내측에 배치되는 튜브식 댐퍼(30b)로 이루어지고(도 3 참조), 그 길이 방향(스트로크 방향)을 차폭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하여 배치된다. 이 쿠션 유닛(30)에 스윙 아암(25)의 상하 요동 변위가 링크 기구(작용 방향 변환 기구)(31)를 통해 좌우 변위로 변환되어 입력된다. 이들 스윙 아암(25), 쿠션 유닛(30), 및 링크 기구(31)를 주로 하여 자동 이륜차(1)에서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가 구성되어 있다. The swing arm 25 is made by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27 and 28 with the cross member 29, and the rear wheel 9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rear end. Immediately below the cross member 29, a cushion unit 30 is disposed to absorb (attenuate) the vibration and shock associated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ear wheel 9. The cushion unit 30 is composed of a buffer coil spring 30a and a tubular damper 30b disposed therein (see Fig. 3), and is disposed with its longitudinal direction (stroke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vehicle width direction. . The up-and-down swinging displacement of the swing arm 25 is converted into the left-right displacement via the link mechanism (acting direction conversion mechanism) 31, and is input to this cushion unit 30. The swing arm type suspension device 32 in the motorcycle 1 is mainly composed of the swing arm 25, the cushion unit 30, and the link mechanism 31.

변속기 케이스(18) 내에는 크랭크 샤프트와 동축 배치된 드라이브 풀리(21)와, 크랭크 샤프트 후방의 전동축과 동축 배치된 드리븐 풀리(22)와, 이들 양 풀리에 감긴 무단형 드라이브 벨트(23)를 주로 하는 무단 변속기(20)가 수용된다. 이 무단 변속기(20)를 통해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 동력이 무단계로 변속되면서, 원심 클러치(도시 생략) 및 최종 감속 기구(76)(도 3 참조)를 통한 후, 변속기 케이스(18) 후단부 좌측의 드라이브 스프로킷(34)에 출력된다. In the transmission case 18, a drive pulley 21 coaxially disposed with the crankshaft, a driven pulley 22 coaxially disposed with the transmission shaft behind the crankshaft, and an endless drive belt 23 wound around both pulleys are mounte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20 is mainly accommodated. While the rotational power of the crankshaft is shifted steplessly through this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20, and then through the centrifugal clutch (not shown) and the final deceleration mechanism 76 (see FIG. 3), the left side of the rear end of the transmission case 18 It is output to the drive sprocket 34.

드라이브 스프로킷(34)과 후륜(9) 좌측의 드리븐 스프로킷(35)에는 무단형 드라이브 체인(동력 전달 띠)(36)이 감기고, 이 드라이브 체인(36)을 통해 엔진(15)과 후륜(9) 사이에서의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드라이브 스프로킷(34)은 스윙 아암(25)의 피봇 축(26)과 동축 배치되어 있다.An endless drive chain (power transmission band) 36 is wound around the drive sprocket 34 and the driven sprocket 35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wheel 9, and the engine 15 and the rear wheel 9 are driven through the drive chain 36.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m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the drive sprocket 34 is coaxially arranged with the pivot axis 26 of the swing arm 25.

실린더 헤드(17a)의 전방에는 라디에이터(39)가 배치되고, 라디에이터(39)의 위쪽에는 에어클리너 케이스(40)가 배치되며, 이 에어클리너 케이스(40) 후측부에 접속된 스로틀 보디(41)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흡기관(42)이 실린더 헤드(17a) 상부의 흡기 포트에 접속된다. 또한, 실린더 헤드(17a) 하부의 배기 포트에는 배기관(43)이 접속되고, 이 배기관(43)이 실린더 헤드(17a) 아래쪽에서 만곡하여 크랭크 케이스(16)의 아래쪽을 후방을 향해 통과시킨 후, 엔진(15) 후방에서 비스듬히 위쪽 후방으로 상승하여 차체 후측부 우측에 배치된 소음기(44)에 접속된다. A radiator 39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ylinder head 17a, and an air cleaner case 40 is disposed above the radiator 39, and the throttle body 41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air cleaner case 40 is disposed. The intake pipe 42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the back is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above the cylinder head 17a. Further, an exhaust pipe 43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under the cylinder head 17a, and the exhaust pipe 43 is bent below the cylinder head 17a to pass the bottom of the crankcase 16 toward the rear, and then It rises obliquely upward from the rear of the engine 15, and is connected to the silencer 44 arrange | positioned at the vehicle body rear side right side.

차체 프레임(6) 및 엔진(15)은 합성 수지제의 차체 커버(46)로 덮혀 있다. 차체 커버(46)는 헤드 파이프(7)의 전방으로부터 양측에 걸치는 범위를 덮는 프론트 카울(47)과, 헤드 파이프(7)의 후방을 덮는 내측 커버(48)와, 프론트 카울(47)의 아래쪽으로 연속하여 엔진(15)의 하측부 양측을 덮는 언더 카울(49)과, 내측 커버(48)의 아래쪽에 연속하여 엔진(15) 상부를 덮는 플로어 커버(50)와, 시트(53)의 아래쪽 양측에 설치되어 차체 후측부 양측을 덮는 리어사이드 커버(51)를 주로 하여 이루어진다. The vehicle body frame 6 and the engine 15 are covered with a vehicle body cover 46 made of synthetic resin. The body cover 46 includes a front cowl 47 covering a range from the front of the head pipe 7 to both sides, an inner cover 48 covering the rear of the head pipe 7, and a lower side of the front cowl 47. An under cowl 49 covering both lower side portions of the engine 15 in succession, a floor cover 50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engine 15 successively under the inner cover 48,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at 53. It is mainly provided with the rear side cover 51 provided in both sides and covering both sides of a vehicle body rear part.

시트 프레임(13) 및 리어사이드 커버(51)에는 운전자용 전 시트부와 후측부 탑승자용 후 시트부를 일체로 설치한 시트(53)가 지지된다. 이 시트(53)는 그 전단부의 힌지 축(54)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전 시트부 아래쪽의 물품 수용 박스(55)를 개폐하는 동시에, 후 시트부 아래쪽 연료 탱크(56)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물품 수용 박스(55)는 그 전측부가 크랭크 케이스(16)의 후측부 위쪽에, 후측부가 스윙 아암(25)의 전측부 위쪽에 위치하고, 그 바닥부의 후측은 스윙 아암(25)의 요동시에서의 간극을 확보하도록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 설치된다.The seat frame 13 and the rear side cover 51 are supported by a seat 53 in which the front seat part for the driver and the rear seat part for the rear passenger are integrally provided. This seat 53 rotates up and down about the hinge axis 54 of the front end part,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article storage box 55 below the front seat part and accessing the fuel tank 56 below the rear seat part. To make it possible. The article storage box 55 has its front side located above the rear side of the crankcase 16, and its rear side above the front side of the swing arm 25, and the rear side of its bottom portion at the time of swinging of the swing arm 25. It is installed to be inclined rearward upward to secure a gap in the.

차체 프레임(6)에서의 다운 프레임(11)은, 헤드 파이프(7)의 상부로부터 좌우에 분기되어 비스듬히 아래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다운 파이프(58)와, 헤드 파이프(7)의 하부로부터 좌우에 분기되어 상부 다운 파이프(58)보다 약간 급경사로 비스듬히 아래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다운 파이프(59)를 주로 하여 이루어진다.The down frame 11 in the vehicle body frame 6 has an upper down pipe 58 branching from the top of the head pipe 7 to the left and right and extending obliquely to the rear rear, and from the bottom of the head pipe 7 to the left and right. It consists mainly of the lower down pipe 59 which is branched and extends obliquely downwardly rearward at a slight steep slope than the upper down pipe 58.

헤드 파이프(7)의 하부와 상부 다운 파이프(58)의 상부 중간부 사이에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 거싯 파이프(60)가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이 거싯 파이프(60)를 통해 하부 다운 파이프(59)의 상단부가 헤드 파이프(7)의 하부에 접합된다. 또한, 도면 중 부호 61은 하부 다운 파이브(59)의 상부, 거싯 파이프(60)의 전측부, 및 헤드 파이프(7)의 하부에 걸치는 거싯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head pipe 7 and the upper middle part of the upper down pipe 58 is provided the gusset pipe 60 arrange | position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and through this gusset pipe 60 the lower down pipe 59 is carried out. The upper end of is joined to the lower part of the head pipe 7.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61 denotes a gusset plate that extends 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down pipe 59, the front portion of the gusset pipe 6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pipe 7.

하부 다운 파이프(59)의 아래쪽에는 동일하게 비스듬히 아래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 엔진 행거 브래킷(62)이 연속해 있고, 이 전 엔진 행거 브래킷(62)의 하단부에는 전측부 하측 엔진 행거(63)가 체결되며, 이 전측부 하측 엔진 행거(63)의 후단부가 엔진(15)의 크랭크 케이스(16)의 전측부 하측에 체결되어 이것을 지지한 다.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down pipe 59, the all engine hanger bracket 62 which extends equally obliquely downward rearward is continuous, and the lower side engine hanger 63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is former engine hanger bracket 62. The rear end of the front side lower engine hanger 63 is fasten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crankcase 16 of the engine 15 to support it.

메인 프레임(12)은 좌우 상부 다운 파이프(58) 및 하부 다운 파이프(59)에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65)를 주로 하여 이루어진다. 메인 파이프(65)는 차체 중앙부로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그 중간부가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약간 만곡하여 설치된다. 이 메인 파이프(65)의 전단부가 하부 다운 파이프(59)의 하부에 후방으로부터 접합되는 동시에, 그 전측부에는 상부 다운 파이프(58)의 하단부가 위쪽으로부터 접합된다. The main frame 12 mainly consists of a pair of left and right main pipes 65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upper down pipe 58 and the lower down pipe 59. The main pipe 65 is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as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and the middle pipe 65 is slightly curved to protrude upward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The front end of the main pipe 65 is joined to the lower part of the lower down pipe 59 from the rear,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down pipe 58 is joined to the front side from the upper side.

메인 파이프(65)[메인 프레임(12)]는 엔진(15)의 실린더 헤드(17a) 위쪽으로부터 변속기 케이스(18) 후단부의 스윙 아암 피봇 지지부(18a) 위쪽까지 연장되어 있고, 이 메인 파이프(65)의 후단부에는 이에 연속하도록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 엔진 행거브 래킷(66)이 설치된다. 이 후 엔진 행거 브래킷(66)의 하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후측부 상측 엔진 행거(67)가 설치되고, 이 후측부 상측 엔진 행거(67)의 하단부가 변속기 케이스(18)의 후측부 상측에 연결되어 이것을 지지한다. The main pipe 65 (main frame 12) extends from above the cylinder head 17a of the engine 15 to above the swing arm pivot support 18a of the rear end of the transmission case 18. The main pipe 65 At the rear end of the), the engine hanger racket 66 is installed after extending rearwardly so as to be continuous thereto. Thereafter, the rear upper engine hanger 67 protruding downward is installed below the engine hanger bracket 66, and the lower end of the rear upper engine hanger 67 is connected to the upper rear side of the transmission case 18. To support this.

또한, 메인 파이프(65)의 전측부로서 상부 다운 파이프(58)와의 접합부에는 전측부 상측 엔진 행거(68)가 체결되고, 이 전측부 상측 엔진 행거(68)의 하단부가 엔진(15)의 크랭크 케이스(16)의 전측부 상측에 체결되어 이를 지지한다. 이 전측부 상측 엔진 행거(68) 및 상기 각 엔진 행거(63, 67)를 이용하고, 엔진(15)이 차체 프레임(6)에 현가되어 있다. In addition, as the front side of the main pipe 65, the front side upper engine hanger 68 is fastened to the joint with the upper down pipe 58, and the lower end of the front side upper engine hanger 68 is cranked by the engine 15. It is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16 and supports it. Using this front side upper engine hanger 68 and each said engine hanger 63 and 67, the engine 15 is suspended in the vehicle body frame 6. As shown in FIG.

시트 프레임(13)은 좌우 메인 파이프(65)의 만곡부 근방으로부터 비스듬히 위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시트 파이프(70)와, 좌우 메인 파이프(65)의 후단부 로부터 비스듬히 위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리어 파이프(71)를 주로 하여 이루어진다. 시트 파이프(70)는 그 중간부가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비스듬히 전방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설치되고, 또한 그 후단부가 연속됨으로써 좌우 일체로 설치된다. 이 시트 파이프(70)의 후측부와 리어 파이프(71)의 후측부는 리어사이드 플레이트(72)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시트 파이프(70)의 굴곡부에는 메인 파이프(65)의 후단부로부터 비스듬히 위쪽 후방에 급경사로 연장되는 리어 거싯 파이프(73)의 상단부가 아래쪽으로부터 접합된다. The seat frame 13 includes left and right seat pipes 70 extending obliquely upward and rearward from the vicinity of the bent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main pipes 65, and left and right rear pipes extending obliquely upward and back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left and right main pipes 65 ( 71). The seat pipe 70 is bent and installed so that its middle part protrudes obliquely forward and upward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and is also integrally installed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rear end thereof being continuous. The rear side of the seat pipe 70 and the rear side of the rear pipe 71 are coupled via a rear side plate 72. Further, the upper end of the rear gusset pipe 73 extending obliquely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main pipe 65 obliquely to the bent portion of the seat pipe 70 is joined from the bottom.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는 차체측인 엔진(15)의 변속기 케이스(18)에 후륜(9)을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25)의 전단부를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25)의 요동을 감쇠시키는 쿠션 유닛(30)의 일측을 스윙 아암(25)에 부착하는 동시에 다른 쪽을 링크 기구(31)를 통해 엔진(15)의 후단부 하측[피봇 축(26)보다 하측]에 부착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32 swings up and down the front end of the swing arm 25 pivotally supporting the rear wheel 9 on the transmission case 18 of the engine 15 on the vehicle body side. The rear end of the engine 15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ushion unit 30, which is attached to the swing arm 25, and is attached to the swing arm 25 while allowing the attachment of the swing arm 25. It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lower than the pivot shaft 26).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 내에서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는 무단 변속기(20)의 출력을 감속하는 리덕션 기어 쌍으로서의 최종 감속 기구(76)가 수용된다.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 좌측에는 스윙 아암(25)의 좌 아암 부재(27)의 선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는 원통형의 좌 피봇 축(26L)이 돌출 설치되는 한편,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 우측에는 스윙 아암(25)의 우 아암 부재(28)의 선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는 우 피봇 축(26R)이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3 together, the final deceleration mechanism 76 as a reduction gear pair for decelerating the output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20 is accommodat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center portion within the rear end of the transmission case 18.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end of the transmission case 18, a cylindrical left pivot shaft 26L which pivotally supports the front end of the left arm member 27 of the swing arm 25 is protruded, while the transmission case 18 The right pivot axis 26R for pivotably supporting the front end of the right arm member 28 of the swing arm 25 is fixed to the rear end right side of the swing arm 25.

좌 피봇 축(26L) 내에는 최종 감속 기구(76)의 출력축(엔진 출력축)(77)이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고, 이 출력축(77)의 차폭 방향 내측[변속기 케이스(18) 내에의 돌출 부분]에는 최종 감속 기구(76)의 최종 전동 부재인 파이널 기어(78)가 부착되며, 차폭 방향 외측[변속기 케이스(18) 외에의 돌출 부분]에는 상기 드라이브 스프로킷(34)이 부착된다. 이 출력축(77)[나아가서는 좌 피봇 축(26L)]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가 홀더(37)를 통해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 좌측에 지지되어 있다.An output shaft (engine output shaft) 77 of the final deceleration mechanism 76 is pivotally supported in the left pivot shaft 26L so as to protru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nner side (transmission case 18) of the output shaft 77. Portion] is attached to the final gear 78, which is the final transmission member of the final deceleration mechanism 76, and the drive sprocket 34 is attached to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uter side (projection portion other than the transmission case 18).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uter end of this output shaft 77 (the left pivot axis 26L further) is supported by the holder 37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end of the transmission case 18.

좌 아암 부재(27)의 후단부와 그 차폭 방향 내측의 후륜(9)의 허브부 사이에는 상기 드리븐 스프로킷(35)이 배치되고, 이 드리븐 스프로킷(35)과 좌 아암 부재(27) 전단부의 차폭 방향 외측의 드라이브 스프로킷(34)에 상기 드라이브 체인(36)이 감긴다. 이로 인해, 스윙 아암의 평면에서 봤을 때 좌 아암 부재(27)는 그 선단부인 좌 피봇 삽입 관통부(27a)의 후방에서 드라이브 체인(36)을 피하도록 차폭 방향 외측으로 변위한 후, 드리븐 스프로킷(35)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후륜(9) 좌측을 피봇 지지한다. 한편, 우 아암 부재(28)는 그 선단부인 우 피봇 삽입 관통부(28a)로부터 거의 직선적으로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륜(9) 우측을 피봇 지지한다.The driven sprocket 35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left arm member 27 and the hub portion of the rear wheel 9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nner side, and the vehicle width of the driven arm of the driven arm sprocket 35 and the left arm member 27. The drive chain 36 is wound around the drive sprocket 34 on the outside in the direction. For this reason, the left arm member 27 is displaced outwardly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so as to avoid the drive chain 36 from the rear of the left pivot insertion through portion 27a, which is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swing arm, and then the driven sprocket ( It extends outwar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35) to pivotally support the left side of the rear wheel 9. On the other hand, the right arm member 28 extends rearward almost linearly from the right pivot insertion through portion 28a, which is its front end, to pivotally support the right side of the rear wheel 9.

또한, 스윙 아암의 측면에서 봤을 때는 좌 아암 부재(27)는 좌 피봇 삽입 관통부(27a)로부터 후륜(9)의 차축 위치까지 거의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드라이브 체인(36)을 통해 좌 아암 부재(27)에 입력되는 압축 하중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 우 아암 부재(28)는 변속기 케이스(18) 후단부와 후륜(9) 전단부 사이(자신의 길이 방향 중앙부보다 앞 근처)에 위치하는 부위를 위쪽으로 돌 출시키도록 측면에서 봤을 때 만곡한 소위 갈매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In addi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wing arm, the left arm member 27 extends almost linearly from the left pivot insertion through portion 27a to the axle position of the rear wheel 9. Thereby,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on load input to the left arm member 27 via the drive chain 36 is ensured. On the other hand, the right arm member 28 is curved when viewed from the side to release th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transmission case 18 and the front end of the rear wheel 9 (near the front of its longitudinal center portion) upward. A so-called gull is shaped.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 아암 부재(28)에서의 변속기 케이스(18)와 후륜(9) 사이에 위치하는 만곡부(28b)의 차폭 방향 내측에는 좌우 아암 부재(27, 28)를 일체로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29)가 배치된다. 이 크로스 멤버(29)는 그 우단부를 만곡부(28b)의 차폭 방향 내측에 결합하고, 스윙 아암의 측면에서 봤을 때 만곡부(28b)와 대개 중복되는 형상인 채로 좌 아암 부재(27) 근방까지 연장된 후, 아래쪽으로 서서히 변화되어 좌 아암 부재(27)의 전측부 차폭 방향 내측에 좌단부를 결합한다. 이러한 크로스 멤버(29)는 좌우 아암 부재(27, 28)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중공 형상 구조물이 되고, 그 양단부는 좌우 아암 부재(27, 28)와의 결합부에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하도록 스윙 아암의 평면에서 봤을 때 특히 후측을 만곡시켜 후방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점차 퍼져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27 and 28 are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curved portion 28b positioned between the transmission case 18 and the rear wheel 9 of the right arm member 28. Cross members 29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ross member 29 is coupled to the right end of the cross section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curved portion 28b, and extends to the vicinity of the left arm member 27 while being generally overlapped with the curved portion 28b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wing arm. Then, it gradually changes downward and engages the left end portion in the front side vehicle width direction inner side of the left arm member 27. Like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27 and 28, the cross member 29 is a hollow structure made of, for example, an aluminum alloy, and both ends thereof swing to relieve stress concentration at the engaging portion with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27 and 28.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arm, the rear side is formed to spread gradually by bending backwards, in particular.

쿠션 유닛(30)은 변속기 케이스(18)와 후륜(9) 사이로서 스윙 아암(25)의 크로스 멤버(29) 바로 아래쪽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그 좌단부가 스윙 아암(25)의 좌 아암 부재(27)의 차폭 방향 내측에 맞닿도록 하여 부착되는 동시에, 우단부가 링크 기구(31)를 통해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 하측에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쿠션 유닛(30)의 전체 길이는 대개 스윙 아암(25)의 좌우 폭 내에 수용되고 있다.The cushion unit 30 is disposed between the transmission case 18 and the rear wheel 9 so as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immediately below the cross member 29 of the swing arm 25, the left end of which is left of the swing arm 25. The right end portion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ase 18 via the link mechanism 31 while being attached to abut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nner side of the arm member 27. In this state, the entire length of the cushion unit 30 is usually accommodated with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wing arm 25.

이러한 쿠션 유닛(30)의 우단부에 후륜(9)의 상하 운동, 즉 스윙 아암(25)의 상하 요동 변위를 링크 기구(31)를 통해 좌우의 변위로 변환하여 입력함으로써, 쿠 션 유닛(30)이 스트로크하여 후륜(9)의 상하 운동을 수반하는 충격이나 진동이 코일 스프링(30a)의 신축에 변화되는 동시에 댐퍼(30b)의 신축에 의해 감쇠되어 서서히 흡수된다.The cushion unit 30 conver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ear wheel 9, that is, the vertical swing displacement of the swing arm 25, into the left and right displacements through the link mechanism 31 to the right end of the cushion unit 30. Shock and vibration accompany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ear wheel 9 are changed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oil spring 30a, and are attenuat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damper 30b and gradually absorbed.

링크 기구(31)는 스윙 아암(25)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벨 크랭크(80)와, 이 벨 크랭크(80)와 변속기 케이스(18) 사이에 걸치는 링크 부재(90)를 포함해 이루어진다. The link mechanism 31 includes a bell crank 80 that is swingably supported by the swing arm 25, and a link member 90 that extends between the bell crank 80 and the transmission case 18.

벨 크랭크(80)는 우 아암 부재(28)에서의 우 피봇 삽입 관통부(28a)의 비스듬히 아래쪽 후방에 형성된 벨 크랭크 지지부(28c)에 피봇 지지되는 것으로, 상측만큼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요동축(81)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된다.The bell crank 80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bell crank support 28c formed at an oblique bottom rear side of the right pivot insertion through 28a in the right arm member 28, and is an inclined swing shaft which is inclined to be located forward by the upper side. It is possible to swing around 81.

벨 크랭크(80)는 상기 요동축(81)이 삽입 관통되는 축 삽입 관통부(82)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이면서 차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아암부(83)와, 축 삽입 관통부(82)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이면서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아암부(84)를 갖는다. 각 아암부(83, 84)는 요동축(81)을 따른 평면에서 봤을 때 대개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또한 제2 아암부(84)는 제1 아암부(83)보다 길게 설치된다.The bell crank 80 is formed from the first arm portion 83 extending obliquely rearward and inwar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shaft insertion through portion 82 through which the swing shaft 81 is inserted, and from the shaft insertion through portion 82. It has the 2nd arm part 84 which is obliquely rear and extends outwar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Each arm part 83 and 84 is installed so that it may become substantially right angle at the planar view along the oscillation axis 81, and the 2nd arm part 84 is provided longer than the 1st arm part 83. FIG.

제1 아암부(83)의 선단부인 제1 연결부(85)에는 앞이 내려가게 경사지는 링크 부재(90)의 후단부가 상기 요동축(81)과 평행한 제1 연결축(87)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제2 아암부(84)의 선단부인 제2 연결부(86)에는 쿠션 유닛(30)의 우단부가 상기 요동축(81)과 평행한 제2 연결축(88)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first connecting portion 85, which i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arm portion 83, swings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shaft 87 in whic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link member 90, which is inclined downward, is parallel to the swing shaft 81. Possibly connected. On the other hand, the right end portion of the cushion unit 30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86, which is the tip portion of the second arm portion 84,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shaft 88 parallel to the swing shaft 81. .

여기서, 제2 아암부(84) 및 쿠션 유닛(30)의 우단부는 우 아암 부재(28)의 만곡부(28b)의 내주측(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우 아암 부재(28)는 쿠션 유닛(30) 및 벨 크랭크(80)를 피하도록 갈매기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상태에서 쿠션 유닛(30)은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좌 아암 부재(27)의 상하 폭 내에 수용되고, 또한 벨 크랭크(80)도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좌 아암 부재(27)의 상하 폭 내에 대개 수용되고 있다. Here, the right ends of the second arm portion 84 and the cushion unit 30 are loc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low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28b of the right arm member 28. In other words, the right arm member 28 has a seagull shape to avoid the cushion unit 30 and the bell crank 80. In this state, the cushion unit 30 is accommodated withi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left arm member 27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and the bell crank 80 is also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left arm member 27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It is usually accommodated inside.

링크 부재(90)의 전단부는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 하측[피봇 축(26)보다 아래쪽)에 설치된 아암 연결부(90a)에 차폭 방향과 평행한 아암 연결축(90b)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front end of the link member 90 is swingably movable through an arm connecting shaft 90b parallel to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the arm connecting portion 90a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transmission case 18 (below the pivot shaft 26). Connected.

그리고, 후륜(9)의 상하 운동에 따라 스윙 아암(25)이 상하로 요동하면 차체측에 연결된 링크 부재(90)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벨 크랭크(80)가 요동축(81)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쿠션 유닛(30)을 스트로크시킨다. 또한, 링크 부재(90)의 전후 단부는 제1 연결부(85) 및 아암 연결축(90b)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Then, when the swing arm 25 swing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ear wheel 9, the bell crank 80 swings about the swing shaft 81 by an input from the link member 90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side. To stroke the cushion unit 30. Further,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ink member 90 are configured to be swing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85 and the arm connecting shaft 90b.

이 때, 쿠션 유닛(30)의 스트로크시의 반력(쿠션 하중)을 받는 링크 부재(90)가 차체측에서의 피봇 축(26)보다 아래쪽이 되는 위치에 연결된다. 따라서, 피봇 축(26)의 위쪽에 쿠션 하중을 받는 프레임 부재 등은 필요하지 않다.At this time, the link member 90 which receives the reaction force (cushion load) at the time of the stroke of the cushion unit 30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which becomes lower than the pivot shaft 26 in the vehicle body side. Therefore, a frame member or the like that receives a cushion load on the pivot shaft 26 is not necessary.

또한, 쿠션 유닛(30)을 그 길이 방향을 차폭 방향에 따르게 하여 스윙 아암(25)의 크로스 멤버(29) 아래쪽에 배치함으로써, 이 쿠션 유닛(30)을 그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이나 전후 방향을 따르게 하여 배치한 경우에 비해, 스윙 아암 현가 장치의 쿠션 유닛(30) 주위의 전후 길이 및 상하 두께를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hion unit 30 is disposed below the cross member 29 of the swing arm 25 with its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cushion unit 30 has its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front-rear directio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it is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front-back length and the up-and-down thickness around the cushion unit 30 of a swing arm suspension apparatus can be suppressed.

이에 따라,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의 요동 스페이스가 확보하기 쉬워지고, 그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자동 이륜차(1)와 같이 시트(53) 아래에 대형 물품 수용 박스(55)를 갖는 차량에서는 이 물품 수용 박스(55)의 용적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As a result, the swinging space of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32 can be easily secured,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layout of the peripheral components can be improved. In particular, the vehicle having the large article storage box 55 under the seat 53 like the motorcycle 1 is preferable because the volume of the article storage box 55 can be increas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는 자동 이륜차(1)의 차체[변속기 케이스(18)]에 후륜(9)을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25)을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윙 아암(25)의 요동을 감쇠시키는 쿠션 유닛(30)을 상기 차체와 스윙 아암(25) 사이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쿠션 유닛(30)을 좌우로 연장시켜 설치하는 동시에, 이 쿠션 유닛(30)과 스윙 아암(25) 사이에 이 스윙 아암(25)의 요동 변위를 쿠션 유닛(30)의 스트로크로 변환하는 링크 기구(31)를 설치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32 in the above embodiment vertically swings the swing arm 25 pivotally supporting the rear wheel 9 on the vehicle body (transmission case 18) of the motorcycle 1. A cushion unit 30 which pivotally supports the swing and attenuates the swing of the swing arm 25 is attached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swing arm 25 to extend the cushion unit 30 from side to side. At the same time, a link mechanism 31 for converting the swing displacement of the swing arm 25 into the stroke of the cushion unit 30 is provided between the cushion unit 30 and the swing arm 25.

이 구성에 의하면, 쿠션 유닛(30)을 좌우로 연장시켜 스윙 아암(25)의 상하 요동에 따라 링크 기구(31)를 통해 스트로크 시킴으로써, 쿠션 유닛(30)을 상하나 전후로 연장시키는 경우에 비해 장치 자체의 상하 두께나 전후 길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시트(53) 아래에 대형 물품 수용 스페이스를 갖는 자동 이륜차(1)에 대한 적용에 적합하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ushion unit 30 is extended from side to side and stroked through the link mechanism 31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swing of the swing arm 25, so as to extend the cushion unit 30 up or down, and back and forth. Since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and the front and rear lengths thereof can be suppressed, the degree of freedom of layout of the peripheral parts can be improved,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motorcycle 1 having a large article accommodation space under the seat 53.

또한,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에서는 쿠션 유닛(30)을 차량 전후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한 것으로 장치 자체의 전후 길이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In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32, the cushion unit 30 is dispos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vehicl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front-rear length of the device itself can be further suppressed.

또한,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에서는 쿠션 유닛(30)을 스윙 아 암(25)의 좌우 폭 내에 배치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좌우 폭을 억제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32,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device itself can be suppressed by disposing the cushion unit 30 with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wing arm 25.

또한,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에서는 링크 기구(31)가 링크 부재(90)와 벨 크랭크(80)를 연결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이 링크 기구(31)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신뢰성 향상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32, the link mechanism 31 is formed by connecting the link member 90 and the bell crank 80,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nk mechanism 31,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and cost. We can save.

또한,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에서는 스윙 아암(25)이 좌우 아암 부재(27, 28)를 크로스 멤버(29)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쿠션 유닛(30)을 크로스 멤버(29)의 아래쪽에 배치함으로써, 스윙 아암(25)에서의 크로스 멤버(29) 근방의 강성이 높은 부위에 쿠션 유닛(30)이 배치되며, 이 쿠션 유닛(30)의 부착 강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32, the swing arm 25 is formed by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27 and 28 to the cross member 29, and the cushion unit 30 is connected to the cross member 29. By arrange | positioning below, the cushion unit 30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igh rigidity site | part of the cross member 29 in the swing arm 25, and the attachment rigidity of this cushion unit 30 can be improved.

여기서,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는 좌 아암 부재(27)가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직선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그 주위에는 차체측의 엔진(15)과 후륜(9) 사이에 걸치는 드라이브 체인(36)이 배치되는 한편, 우 아암 부재(28)가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만곡하는 갈매기 형상이 되고, 쿠션 유닛(30)의 좌단부가 좌 아암 부재(27)에 부착되는 동시에, 이 쿠션 유닛(30)의 우단부가 우 아암 부재(28)의 만곡부(28b) 내주측에서 링크 기구(31)에 부착되는 것이기도 하다. Here,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32 is a left arm member 27 is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and a drive that extends between the engine 15 and the rear wheel 9 on the body side around the vehicle. While the chain 36 is arranged, the right arm member 28 becomes a curved seagull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and the left end of the cushion unit 30 is attached to the left arm member 27, and the cushion The right end of the unit 30 may be attached to the link mechanism 31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urved portion 28b of the right arm member 28.

이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직선형을 이루는 좌 아암 부재(27)로부터 갈매기 형상을 이루는 우 아암 부재(28)에 걸쳐 쿠션 유닛(30)이 배치되고, 우 아암 부재(28b)의 만곡부(28b) 내주측에서 쿠션 유닛(30)과 링크 기구(31)가 연결됨으로써, 스윙 아암(25) 주위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쿠션 유닛(30)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장치 자체를 콤팩트한 유닛화를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cushion unit 30 is arrange | positioned from the left arm member 27 which forms a straight line view from the side of a vehicle, and the right arm member 28 which forms a chevron shape, and the curved part of the right arm member 28b is provided. (28b) By connecting the cushion unit 30 and the link mechanism 31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the cushion unit 30 can be efficiently disposed using the space around the swing arm 25 effectively, and the device itself can be Compact unit can be achieved.

또한,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에서는 쿠션 유닛(30) 및 벨 크랭크(80)의 상하 폭을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스윙 아암(25)의 좌 아암 부재(27)의 상하 폭 이내로 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상하 두께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고,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더 높일 수 있다. In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32,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cushion unit 30 and the bell crank 80 are set withi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left arm member 27 of the swing arm 25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of the device itself can be further suppressed,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layout of peripheral components can be further increased.

[실시예 2]Example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스윙 아암의 좌우 아암 부재를 모두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직선적으로 설치하고, 이들 좌우 아암 부재를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 내에 차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쿠션 유닛을 배치한 점이 주로 다른 것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ushion unit extend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n a cross member connecting both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of the swing arm in a straight side view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and extending in the cross membe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with respect to the first embodiment. Are mainly different,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132)는 차체측인 엔진(15)의 변속기 케이스(18)에 후륜(9)을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125)의 전단부를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125)의 요동을 감쇠시키는 쿠션 유닛(30)의 일측을 스윙 아암(125)에 부착하는 동시에 다른 쪽을 링크 기구(31)를 통해 엔진(15)의 후단부 하측에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5,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132 swings up and down the front end of the swing arm 125 pivotally supporting the rear wheel 9 on the transmission case 18 of the engine 15 on the vehicle body side. The rear end of the engine 15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ushion unit 30, which is attached to the swing arm 125, and is attached to the swing arm 125 while allowing the attachment of the swing arm 125. It is made by attaching to the lower side.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윙 아암(125)은 좌우의 아암 부재(127, 128)의 전측부 내측을 크로스 멤버(129)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좌 아암 부재(127)의 선단부[좌 피봇 삽입 관통부(127a)]는 변속기 케이스(18) 후단부 좌측의 좌 피봇 축(26L)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는 한편, 우 아암 부재(128)의 선단 부[우 피봇 삽입 관통부(128a)]는 변속기 케이스(18) 후단부 우측의 우 피봇 축(26R)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다. 이들 좌우 아암 부재(127, 128)는 스윙 아암의 평면에서 봤을 때 및 측면에서 봤을 때, 좌우 피봇 삽입 관통부(127a, 128a)로부터 후륜(9)의 차축 위치까지 거의 직선적으로 뒤쪽으로 연장되어 후륜(9)을 피봇 지지한다.Referring to FIG. 6, the swing arm 125 is formed by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127 and 128 with the cross member 129. The front end of the left arm member 127 (left pivot insertion penetrating portion 127a) is pivotally supported on the left pivot axis 26L on the left end of the transmission case 18, while the left arm member 128 is pivotally supported. The front end portion (right pivot insertion through portion 128a) is pivotally supported on the right pivot shaft 26R on the right end of the rear case of the transmission case 18. These left and right arm members 127 and 128 extend rearward almost linearly from the left and right pivot insertion through portions 127a and 128a to the axle position of the rear wheel 9 when viewed from the plane and from the side of the swing arm. Pivot (9).

변속기 케이스(18)와 후륜(9) 사이에는, 좌우 아암 부재(127, 128)를 일체로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129)가 배치된다. 이 크로스 멤버(129)는 스윙 아암의 측면에서 봤을 때 좌우 아암 부재(127, 128)와 대개 중복되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이들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것으로, 좌우 아암 부재(127, 128)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중공 형상 구조물로 된다. 이러한 크로스 멤버(129)의 양단부는 스윙 아암을 평면에서 봤을 때 특히 후측을 만곡시켜 후방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점차 퍼져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Between the transmission case 18 and the rear wheel 9, a cross member 129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127 and 128 is disposed. The cross member 129 is provi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127 and 128 so as to be generally overlap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wing arm. It becomes a hollow structure made of an aluminum alloy. Both ends of the cross member 129 are formed so as to gradually spread by swinging the rear side and extending rearward when the swing arm is viewed in plan.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쿠션 유닛(30)은 크로스 멤버(129)의 내부로써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그 좌단부가 좌 아암 부재(127) 내에 들어가도록 하여 부착되는 동시에, 우단부가 링크 기구(31)를 통해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 하측에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쿠션 유닛(30) 및 링크 기구(31)는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약간 좌측에 위치하고, 또한 쿠션 유닛(30)의 전체 길이는 스윙 아암(125)의 좌우 폭 내에 수용되고 있다.Referring to FIG. 7 together, the cushion unit 30 is disposed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side the cross member 129, and the left end portion is attached to enter the left arm member 127 while the right end portion is attached. It is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transmission case 18 via the link mechanism 31. In this state, the cushion unit 30 and the link mechanism 31 are located slightly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overall length of the cushion unit 30 is accommodated with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wing arm 125.

우 아암 부재(128)에서의 우 피봇 삽입 관통부(128a)의 비스듬히 아래쪽 후방이면서 약간 차폭 방향 내측에는 링크 기구(31)의 벨 크랭크(80)를 상측만큼 전 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요동축(81)을 통해 피봇 지지하는 벨 크랭크 지지부(128c)가 형성된다. 이 벨 크랭크 지지부(128c) 및 우 아암 부재(128)의 차폭 방향 외측에는 쿠션 유닛(30) 및 링크 기구(31)의 착탈용 개구(128d)가 형성되어 있다.Oscillating shaft inclined so that the bell crank 80 of the link mechanism 31 is located as far forward as the upper side of the right pivot insertion through portion 128a at the right arm member 128 and at an obliquely lower rear side. A bell crank support 128c is pivoted through 81.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uter side of this bell crank support part 128c and the right arm member 128, the opening-and-closing opening 128d of the cushion unit 30 and the link mechanism 31 is formed.

그리고, 후륜(9)의 상하 운동에 따라 스윙 아암(125)이 상하로 요동하면, 차체측에 연결된 링크 부재(90)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벨 크랭크(80)가 요동축(81)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쿠션 유닛(30)을 스트로크시키고, 후륜(9)의 상하 운동을 수반하는 충격이나 진동이 감쇠되어 서서히 흡수된다. Then, when the swing arm 125 swing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motion of the rear wheel 9, the bell crank 80 is driven about the swing shaft 81 by the input from the link member 90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side. By rocking, the cushion unit 30 is stroked, and the shock and vibration associated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ear wheel 9 are attenuated and gradually absorb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실시예에서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132)에서는 좌우로 연장하는 쿠션 유닛(30)을 스윙 아암(125)에서의 크로스 멤버(129)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쿠션 유닛(30) 주위의 전후 길이를 억제하는 동시에 상하 두께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스윙 아암(125)에서의 크로스 멤버(129)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쿠션 유닛(30)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자체의 요동 스페이스를 한층 더 확보하기 쉬우며, 그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 장치 자체의 콤팩트한 유닛화를 도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132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ushion unit 30 extending left and right is disposed inside the cross member 129 in the swing arm 125.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periphery of the cushion unit 30 can be suppressed, and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can be suppressed, and the cushion unit 30 can be effectively utilized by utiliz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ross member 129 in the swing arm 125. Since the device can be efficiently disposed, it is easier to secure the swing space of the device itself, and the layout degree of freedom of the peripheral parts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compact unit of the device itself can be achiev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제1 실시예에서 좌우로 연장하는 쿠션 유닛(30)을 스윙 아암(25)의 크로스 멤버(29) 아래쪽이 아니라 위쪽에 배치한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때, 스윙 아암(25)의 우 아암 부재(28)를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만곡시켜 그 만곡부 내주측(위쪽)에 쿠션 유닛(30)을 배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크로스 멤버(29)에 의해 쿠션 유 닛(30)이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for example, even if the cushion unit 30 extending left and right in the first embodiment is disposed above the cross member 29 of the swing arm 25, but not above. good. At this time, the structure which bent so that the right arm member 28 of the swing arm 25 may protrude downward and arrange | positions the cushion unit 30 in the inner peripheral side (upper part) of the curved part may be sufficient. In this case, the cushion unit 30 is protected by the cross member 29.

또한, 좌우로 연장하는 쿠션 유닛(30)을 변속기 케이스(18)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배치하고, 그 일측을 변속기 케이스(18)에 부착하는 동시에 다른쪽을 링크 기구(31)를 통해 스윙 아암(25)에 부착한 구성이어도 좋다.Further, the cushion unit 30 extending from side to side is disposed above or below the transmission case 18, and one side thereof is attached to the transmission case 18, and the other side of the swing arm 31 is attached via the link mechanism 31. 25) may be attached.

또한, 스윙 아암(25, 125)을 엔진(15)이 아니라 차체 프레임(6)으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거나, 또는 엔진(15) 및 차체 프레임(6)의 양방에서 피봇 지지하는 구성이어도 좋다.The swing arms 25 and 125 may pivotally support the body frame 6 instead of the engine 15, or may be pivotally supported by both the engine 15 and the body frame 6.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례이며, 엔진 형식이나 차체 프레임의 세부 구성이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 이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in the said embodiment is an example of this invention, The detailed structure of an engine type and a vehicle body frame is not limited to each said embodiment, Of course,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Of course it is possible.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쿠션 유닛을 좌우로 연장시켜 스윙 아암의 상하 요동에 따라 작용 방향 변환 기구를 통해 스트로크 시킴으로써, 쿠션 유닛을 상하나 전후로 연장시키는 경우에 비해 장치 자체의 상하 두께나 전후 길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the cushion unit is extended from side to side and stroked through the action direction shif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wing of the swing arm, so that the cushion unit can be extended up or down or back and forth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ushion unit is extended up or down. Since the length can be suppressed, the degree of freedom of layout of peripheral components can be improved.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장치 자체의 전후 길이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device itself can be further suppressed.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장치 자체의 좌우 폭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device itself can be suppressed.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작용 방향 변환 기구를 간단히 구성하여 신뢰성의 향상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it is possible to simply configure the acting direction changing mechanism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reduce the cost.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스윙 아암에어서의 크로스 멤버 근방의 강성이 높은 부위에 쿠션 유닛이 배치되고, 이 쿠션 유닛의 부착 강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invention of Claim 5, a cushion un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igh rigidity part of the cross member vicinity in a swing arm, and the attachment rigidity of this cushion unit can be improved.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직선형을 이루는 한쪽 아암 부재로부터 갈매기 형상을 이루는 다른쪽 아암 부재에 걸쳐 쿠션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다른쪽 아암 부재의 만곡부 내주측에서 쿠션 유닛과 작용 방향 변환 기구가 연결됨으로써, 스윙 아암 주위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쿠션 유닛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장치 자체의 콤팩트한 유닛화를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6, a cushion unit is disposed from one arm member that is straight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arm member that forms a chevron shape, and the cushion unit is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other arm member. By connecting the overacting direction changing mechanism, the cushion unit can be efficiently disposed by effectively utilizing the space around the swing arm, and the compact unit of the device itself can be achieved.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스윙 아암에서의 크로스 멤버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쿠션 유닛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콤팩트한 유닛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7, the cushion unit can be efficiently disposed by effectively utiliz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ross member in the swing arm, and the compact unit of the device itself can be achieved.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장치 자체의 상하 두께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고,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8,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of the device itself can be further suppressed,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layout of peripheral components can be increased.

Claims (8)

자동 이륜차(1)의 차체(18)에 차륜(9)을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25, 125)을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고, 상기 스윙 아암(25, 125)의 요동을 감쇠시키는 쿠션 유닛(30)을 상기 차체(18)와 스윙 아암(25, 125) 사이에 부착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 132)에서, A cushion that pivotally supports swing arms 25 and 125 pivotally supporting the wheels 9 on the vehicle body 18 of the motorcycle 1 and attenuates swings of the swing arms 25 and 125. In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32, 132 having the unit 30 attached between the vehicle body 18 and the swing arms 25, 125, 상기 쿠션 유닛(30)을 좌우로 연장시켜 설치하고, 상기 쿠션 유닛(30)과 스윙 아암(25, 125) 사이에 상기 스윙 아암(25, 125)의 요동 변위를 상기 쿠션 유닛(30)의 스트로크로 변환하는 작용 방향 변환 기구(3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The cushion unit 30 extends from side to side, and the swing displacement of the swing arms 25 and 125 is stroked between the cushion unit 30 and the swing arms 25 and 125. A swing arm susp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working direction converting mechanism (31) for converting the gas into a gas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유닛(30)을 차량 전후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shion unit (30) is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vehicle front-back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유닛(30)을 상기 스윙 아암(25, 125)의 좌우 폭 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ushion unit (30) is disposed with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wing arms (25, 12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방향 변환 기구(31)는 링크 부재(90)와 벨 크랭크(80)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The swing arm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ctuation direction changing mechanism (31) is formed by connecting a link member (90) and a bell crank (8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25, 125)은 좌우 아암 부재(27, 28; 127, 128)를 크로스 멤버(29, 129)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 유닛(30)을 상기 크로스 멤버(29, 129)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The swing arm (25, 125) of claim 1 or 2 is formed by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27, 28; 127, 128) with cross members (29, 129), and the cushion unit (30). ) Is arranged above or below the cross member (29, 129) swing arm type suspension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아암 부재(27, 28; 127, 128)의 한쪽은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직선적으로 설치되고, 그 주위에는 상기 차체측 엔진과 차륜 사이에 걸치는 동력 전달 띠(36)가 배치되며, 상기 좌우 아암 부재(27, 28; 127, 128)의 다른쪽은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만곡하는 갈매기 형상이 되며, 상기 쿠션 유닛(30)의 일단부는 상기 한쪽 아암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쿠션 유닛(30)의 타단부는 상기 다른쪽 아암 부재의 만곡부 내주측에서 상기 작용 방향 변환 기구(31)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6. The power transmission band (36)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one of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27, 28; 127, 128) is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and a power transmission band (36) is disposed between the body-side engine and the wheel around the vehicle. ) Is arranged, the o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27, 28; 127, 128 becomes a curved seagull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and one end of the cushion unit 30 is attached to the one arm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cushion unit (30) is attached to the action direction converting mechanism (31)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other arm mem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25, 125)은 좌우 아암 부재(27, 28; 127, 128)를 크로스 멤버(29, 129)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 유닛(30)을 상기 크로스 멤버(29, 129)의 내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The swing arm (25, 125) of claim 1 or 2 is formed by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arm members (27, 28; 127, 128) with cross members (29, 129), and the cushion unit (30). ) Is arranged inside the cross member (29, 129) swing arm type suspens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유닛(30)의 상하 폭을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스윙 아암(25, 125)의 상하 폭 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The swing arm suspens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cushion unit (30) are withi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swing arms (25, 125)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KR1020060070729A 2005-07-29 2006-07-27 Swing arm type suspension system KR1008224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0899 2005-07-29
JP2005220899A JP4684788B2 (en) 2005-07-29 2005-07-29 Swing arm suspen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028A KR20070015028A (en) 2007-02-01
KR100822488B1 true KR100822488B1 (en) 2008-04-15

Family

ID=3767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729A KR100822488B1 (en) 2005-07-29 2006-07-27 Swing arm type suspension system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684788B2 (en)
KR (1) KR100822488B1 (en)
CN (1) CN100500503C (en)
DE (1) DE102006034773B4 (en)
IT (1) ITTO20060465A1 (en)
TW (1) TW200720143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610118U (en) * 2020-06-22 2021-04-11 光陽工業股份有限公司 Straddle-type vehicle with liquid cooling device
DE102021102300A1 (en) 2021-02-02 2022-08-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rive arrangement for a motorcycle and motorcy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081A (en) 1999-08-04 2001-02-20 Suzuki Motor Corp Scooter type motorcycle
JP2004026154A (en) 2003-08-29 2004-01-29 Honda Motor Co Ltd Swing arm type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2496A1 (en) * 1981-12-18 1983-06-29 Yamaha Motor Co., Ltd. Shock absorbing device for the rear wheel of a two-wheeled vehicle
JPS58194678A (en) * 1982-05-11 1983-1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Rear suspension for motorcycle
JPH0534317Y2 (en) * 1986-10-14 1993-08-31
JPH058786A (en) * 1991-07-01 1993-01-19 Honda Motor Co Ltd Rear wheel supporting device for motorcycle
JPH05105170A (en) * 1991-10-18 1993-04-27 Suzuki Motor Corp Rear swing arm for motorcycle
JPH10244985A (en) * 1997-03-04 1998-09-14 Kawasaki Heavy Ind Ltd Rear wheel suspension device for motorcy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081A (en) 1999-08-04 2001-02-20 Suzuki Motor Corp Scooter type motorcycle
JP2004026154A (en) 2003-08-29 2004-01-29 Honda Motor Co Ltd Swing arm type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96252B (en) 2008-05-01
KR20070015028A (en) 2007-02-01
TW200720143A (en) 2007-06-01
JP4684788B2 (en) 2011-05-18
DE102006034773A1 (en) 2007-02-08
DE102006034773B4 (en) 2010-08-12
ITTO20060465A1 (en) 2007-01-30
CN1903650A (en) 2007-01-31
CN100500503C (en) 2009-06-17
JP2007030826A (en)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688B2 (en) Motorcycle frame
JP4837531B2 (en) Rear wheel suspension structure
JP4291184B2 (en) Motorcycle engine mounting structure
KR100558424B1 (en) Swing arm type suspension system
JP3989378B2 (en) Scooter type vehicle frame structure
KR100822488B1 (en) Swing arm type suspension system
WO2006003759A1 (en) Two-wheeled motor vehicle
JP4133282B2 (en) Arrangement structure of air cleaner for scooter type vehicle
JP2004249774A (en) Motorcycle
JP2006044640A (en) Riding type vehicle and rear arm mounting method
JP5295590B2 (en) Motorcycle fuel pump arrangement structure
US9815521B2 (en) Exhaust system of saddle-ride type vehicle
EP1526068A2 (en) Scooter type vehicle
KR100801130B1 (en) Low level vehicles
CN216034900U (en) Saddle-ride type vehicle
JP4129918B2 (en) Rear suspension
JP5386274B2 (en) Motorcycle
JP3362160B2 (en) Motorcycle rear arm
JP6161977B2 (en) Motorcycle
JP4055720B2 (en) 4-cycle engine mounted on snow vehicles
JP2528623B2 (en) Scooter type motorcycle equipped with a 4-cycle engine
JP3643130B2 (en) Motorcycle body frame
JP4123747B2 (en) Snow vehicle equipped with 4-cycle engine
JP4664328B2 (en) Scooter type motorcycle
JP2006123654A (en) Saddle rid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