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189B1 -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189B1
KR100822189B1 KR1020010068136A KR20010068136A KR100822189B1 KR 100822189 B1 KR100822189 B1 KR 100822189B1 KR 1020010068136 A KR1020010068136 A KR 1020010068136A KR 20010068136 A KR20010068136 A KR 20010068136A KR 100822189 B1 KR100822189 B1 KR 100822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unnel
focus
electron gun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5715A (ko
Inventor
최종훈
이헌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189B1/ko
Publication of KR20030035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4Eliminating deleterious effects due to thermal effects, electrical or magnetic fields; Preventing unwanted e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03Electrodes
    • H01J2229/4817Accelera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01J29/503Three or more guns, the axes of which lay in a common plane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패널과 봉착되는 펀넬과; 펀넬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전극과, 스크린전극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포커스전극들과, 포커스전극들 중 캐소오드로부터 최종 위치에 있는 포커스전극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최종 가속전극을 구비하는 전자총과; 펀넬의 콘부에 장착되어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와; 펀넬의 네크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벨로시티 모듈레이터;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벨로시티 모듈레이터와 대응되며 전자총의 메인 렌즈를 형성하는 포커스전극과 최종 가속전극 중 적어도 하나를 벨로시티 모듈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맴돌이 전류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복수개로 분할하거나, 포커스전극과 최종 가속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절개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도 1은 통상적인 음극선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음극선관의 일부절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일부절제 측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제3포커스전극 및 최종 가속전극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제3포커스전극 및 최종 가속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6..편향요크 17..벨로시티 모듈레이터
31..캐소오드 32..제어전극
33..스크린전극 34,35,36..포커스전극
37..최종 가속전극 51,61..절개부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 착되어 형광막을 여기시키는 전자총의 구조가 개선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통상적인 음극선관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음극선관은 형광막(11)이 형성된 패널(12)과, 상기 패널(12)과 봉착되는 것으로, 네크부(13)에 전자총(20)이 봉입된 펀넬(15)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펀넬(15)의 콘부(14)에는 전자총(20)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요크(1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네크부(13)의 외주면에는 편향 요크(16)에 의한 전자빔의 편향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영상신호의 미분값이 인가되는 벨로시티 모듈레이터(velocity modulator, 17)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패널(12)의 내부에는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8)가 장착되어 있으나 단색 화상용 음극선관의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패널(12)과 펀넬(15)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네크부에 장착되는 전자총(20)은 도 2에 자세히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총(20)은 열전자를 방출하기 위한 캐소오드(21), 제어전극(22) 및 스크린 전극(23)으로 이루어진 삼극부와, 상기 스크린 전극(23)과 인접되게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2,3포커스 전극(24)(25)(26)과, 상기 제3포커스 전극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최종 가속전극(27)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총(20)을 구성하는 캐소오드(21)와 각 전극들(22)(23)(24)(25)(26)(27)의 양측에는 매립 고정부가 형성되어 한 쌍의 비드 글라스(2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총(20)이 장착된 음극선관은, 캐소오드(21)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전자총(20)을 구성하는 각 전극들(22)(23)(24)(25)(26)(27) 사이 에 형성된 전자렌즈를 통과하면서 집속 및 가속된다. 이와 같이 집속 및 가속된 전자빔은 형광막(11, 도1참조)의 주사위치에 따라 편향 요크(16)에 의해 선택적으로 편향되어 형광막(11)을 여기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형광막(11)이 여기됨으로써 형성되는 화상의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의 차이를 보다 명확하게 하여주기 위하여, 벨로시티 모듈레이터(17)의 2극 코일에 영상신호에 따라 그 미분값에 비례하는 전류를 인가하여 전자빔의 편향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영상신호에 따라 그 미분값에 의해 비례하는 전류는 음극선관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회로로부터 얻어진다.
이러한 방법은 편향 요크(16)의 수평편향자계와 같은 방향으로 장착되는 벨로시티 모듈레이터(17)의 2극 코일로서 전자빔의 순간적인 주사속도를 제어하여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벨로시티 모듈레이터가 설치되는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전자총의 포커스 전극 및 최종 가속전극은 원통형의 모양을 가지고 있으므로, 벨로시티 모듈레이터에서 발생시키는 고주파 전류에 의해 전극들에서 맴돌이 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맴돌이 전류는 코일에 의해 발생시키는 자계를 역방향으로 발생시키게 되므로 벨로시티 모듈레이터의 전류에 대한 전자빔의 편향감도를 떨어지게 하는 요인이 된다. 결과적으로 전자빔의 편향력 저하로 인하여 화상의 해상도가 저하된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음극선관용 전자총이 미국특허 5,703,43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벨로시티 모듈레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멤돌이 전류를 억제함으로써, 편향감도의 저하에 따른 화상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과 봉착되는 펀넬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전극과, 상기 스크린전극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포커스전극들과, 상기 포커스전극들 중 캐소오드로부터 최종 위치에 있는 포커스전극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최종 가속전극을 구비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콘부에 장착되어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와; 상기 펀넬의 네크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벨로시티 모듈레이터;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벨로시티 모듈레이터와 대응되며 상기 전자총의 메인 렌즈를 형성하는 포커스전극과 최종 가속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벨로시티 모듈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맴돌이 전류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복수개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전극의 각각에는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과 봉착되는 펀넬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전극과, 상기 스크린전극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과, 상기 포커스전극들 중 캐소오드로부터 최종 위치에 있는 포커스전극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최종 가속전극을 구비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콘부에 장착되어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와; 상기 펀넬의 네크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벨로시티 모듈레이터;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벨로시티 모듈레이터와 대응되며 상기 전자총의 메인 렌즈를 형성하는 포커스전극과 최종 가속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벨로시티 모듈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맴돌이 전류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전극의 전자빔 입사측 또는 출사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막(11, 도1참조)이 형성된 패널(12, 도1참조)과, 상기 패널(12)에 봉착되는 것으로 네크부(13)와 콘부(14)를 가진 펀넬(15)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네크부(13)의 내부에는 전자총(30)이 장착되고, 상기 콘부(14)의 외주면에는 전자총(30)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요크(1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네크부(13)의 외주면에는 전자총(30)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의 편향속도를 제어하여 화상의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을 명확하게 하여주기 위한 벨로시티 모듈레이터(17)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총(30)은 펀넬(15)의 네크부(13)에 설치된 것으로,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31), 제어전극(32) 및 스크린전극(33)과, 상기 스크린전극(33)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2,3포커스전극(34)(35)(36)과, 상기 캐소오드(31)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제3포커스전극(36)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주렌즈를 형성하는 최종 가속전극(37)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총(30)을 구성하는 전극들(32)(33)(34)(35)(36)(37)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자총(30)을 구성하는 전극들(32)(33)(34)(35)(36)(37) 중 벨로시티 모듈레이터(17)와 대응되는 제3포커스전극(36)은 두 개씩 분할된 분할 전극들(36a)(36b)로 이루어져 있다. 최종 가속전극(37)도 마찬가지로 두 개씩 분할된 분할 전극들(37a)(37b)로 이루어져 있다. 각 분할 전극들(36a)(36b)(37a)(37b)은 소정간격 이격되게 비드 글라스(38)에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 전극들(36a)(36b)(37a)(37b) 중에서, 캐소오드(31)로부터 방출된 세 전자빔이 각각 통과할 수 있도록 인라인으로 배열된 세 개의 전자빔 통과공들이 형성된 분할 전극(37a)이 있을 수 있고, 세 전자빔이 공통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나의 공통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분할 전극(36a)(36b)(37b)도 있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3포커스전극(36) 및 최종 가속전극(37)을 각각 분할함으로써, 벨로시티 모듈레이터(17)에 의해 이들 전극에 발생되는 멤돌이 전류가 억제된다. 즉, 멤돌이 전류가 폐곡선을 이루지 못하고 차단된다.
상기 분할 전극들(36a)(36b)(37a)(37b)에는 각각 동일한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분할 전극들(36a)(36b)(37a)(37b) 사이에 형성되는 렌즈들의 배율이 동일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제3포커스전극(36) 및 최종 가속전극(37) 모두가 분할 전극들(36a)(36b)(37a)(37b)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3포커스전극(36) 및 최종 가속전극(37) 중 적어도 하나만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3포커스전극(26) 및 최종 가속전극(37)을 각각 두 개씩 분할되어 있으나, 두 개 이상의 분할도 가능하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포커스전극 및 최종 가속전극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포커스전극(36) 및 최종 가속전극(37)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3포커스전극(36)에는 캐소오드(31, 도3참조)로부터 방출된 세 전자빔이 공통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공통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최종 가속전극(37)에는 세 전자빔이 각각 통과할 수 있도록 세 개의 전자빔 통과공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원통형의 제3포커스전극(36) 및 최종 가속전극(37)의 각 중앙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51)는 외주면을 따라 소정폭으로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51)는 편향 요크(16)의 수평편향자계와 동일한 방향에 설치되는 벨로시티 모듈레이터(17)에 대응되는 각각의 위치에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51)는 한 쌍 이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제3포커스전극(36) 및 최종 가속전극(37) 중 적어도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포커스전극(36)의 입사측 가장자리 및 최종 가속전극(37)의 출사측 가장자리에 소정폭을 가지며 인입되게 일부 절개되어 절개부(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절개부(61)는 제3포커스 전극(36)의 출사측 가장자리 및, 최종 가속전극(37)의 입사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절개부(61)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편향 요크(16)의 수평편향자계와 동일한 방향에 설치되는 벨로시티 모듈레이터(17)에 대응되는 각각의 위치에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절개부(61)는 제3포커스전극(36) 및 최종 가속전극(37) 중 적어도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극선관은 전자총(30)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편향 요크(16)에 의해 편향되어 형광막에 랜딩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화상의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의 차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벨로시티 모듈레이터(17)에 전자빔의 편향을 지연시키기 위한 전류가 인가된다. 즉, 영상 신호에 따라 그 미분값에 비례한 전류를 벨로시티 모듈레이터(17)에 인가함으로써 코일에 교번되는 극성 또는 자장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대응되는 금속인 전자총(30)의 제3포커스전극(36) 및 최종 가속전극(37)은 각각 분할되거나, 이들에 절개부(51)(61)가 형성됨으로써, 멤돌이 전류의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3포커스 전극(36)의 멤돌이 전류의 발생에 따른 열의 발생 및 전류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벨로시티 모듈레이터(17)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벨로시티 모듈레이터와 대응되는 측의 전극들을 각각 복수개로 분할하거나,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전극에 멤돌이 전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벨로시티 모듈레이터의 성능저하 및 화상의 해상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과 봉착되는 펀넬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전극과, 상기 스크린전극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포커스전극들과, 상기 포커스전극들 중 캐소오드로부터 최종 위치에 있는 포커스전극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최종 가속전극을 구비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콘부에 장착되어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와;
    상기 펀넬의 네크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벨로시티 모듈레이터;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벨로시티 모듈레이터와 대응되며 상기 전자총의 메인 렌즈를 형성하는 포커스전극과 최종 가속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벨로시티 모듈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맴돌이 전류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복수개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전극의 각각에는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삭제
  3.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과 봉착되는 펀넬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전극과, 상기 스크린전극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들과, 상기 포커스전극들 중 캐소오드로부터 최종 위치에 있는 포커스전극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최종 가속전극을 구비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콘부에 장착되어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와;
    상기 펀넬의 네크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벨로시티 모듈레이터;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벨로시티 모듈레이터와 대응되며 상기 전자총의 메인 렌즈를 형성하는 포커스전극과 최종 가속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벨로시티 모듈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맴돌이 전류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전극의 전자빔 입사측 또는 출사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벨로시티 모듈레이터에 대응하는 전극면의 중앙부에 외주면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5. 삭제
KR1020010068136A 2001-11-02 2001-11-02 음극선관 KR100822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136A KR100822189B1 (ko) 2001-11-02 2001-11-02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136A KR100822189B1 (ko) 2001-11-02 2001-11-02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715A KR20030035715A (ko) 2003-05-09
KR100822189B1 true KR100822189B1 (ko) 2008-04-16

Family

ID=2956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136A KR100822189B1 (ko) 2001-11-02 2001-11-02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1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6847A (en) * 1979-05-02 1980-11-15 Hitachi Ltd Electron gun for cathode-ray tube
JPH08115684A (ja) * 1994-10-14 1996-05-0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銃
JPH11162372A (ja) * 1997-11-28 1999-06-18 Sony Corp 電子銃
KR20010018992A (ko) * 1999-08-24 2001-03-15 김순택 음극선관
JP2001084923A (ja) * 1999-07-14 2001-03-30 Sony Corp 電子銃および陰極線管受像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6847A (en) * 1979-05-02 1980-11-15 Hitachi Ltd Electron gun for cathode-ray tube
JPH08115684A (ja) * 1994-10-14 1996-05-0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銃
JPH11162372A (ja) * 1997-11-28 1999-06-18 Sony Corp 電子銃
JP2001084923A (ja) * 1999-07-14 2001-03-30 Sony Corp 電子銃および陰極線管受像機
KR20010018992A (ko) * 1999-08-24 2001-03-15 김순택 음극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715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189B1 (ko) 음극선관
KR97000856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2그리드
JPH07161310A (ja) カラー受像管用電子銃
US6348759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electron gun
KR100319100B1 (ko) 음극선관
SU1347873A3 (ru) Цветна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а трубка
KR100228159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KR100813827B1 (ko) 전자총과 이를 이용한 음극선관
KR10075130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6939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94500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86909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6687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주렌즈부 구조
KR10035544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5000274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26569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51306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86910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18655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869099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S62234849A (ja) 電子銃
KR10044723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74879B1 (ko) 사중극 전자렌즈 형성용 전극과 이를 이용한 다이나믹 포커스전자총
KR20040092161A (ko) 음극선관
JPH10275570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