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229B1 -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계측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229B1
KR100821229B1 KR1020060062471A KR20060062471A KR100821229B1 KR 100821229 B1 KR100821229 B1 KR 100821229B1 KR 1020060062471 A KR1020060062471 A KR 1020060062471A KR 20060062471 A KR20060062471 A KR 20060062471A KR 100821229 B1 KR100821229 B1 KR 100821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eater
agricultural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027A (ko
Inventor
이용범
임동혁
김상철
최홍기
한길수
강창호
안정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안정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안정균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1020060062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229B1/ko
Publication of KR20080004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otan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를 사용하는 농업용 난방기에서 유류의 소모량 계측을 유량계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농업용 난방기에서 가동시 생성되는 순차적 신호분석에 의하여 유류소모량을 산정함으로써 저비용 및 신뢰성을 겸비한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계측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작동시 온실온도 및 난방기의 연통온도의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온도입력부; 상기 농업용 난방기를 제어하는 제어반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단자와, 송풍기를 동작시키는 송풍기단자와, 버너를 동작시키는 버너단자와, 난방기의 과열을 방지하는 과열방지단자와, 난방기의 이상이 감지될 시 이를 외부에 알리는 외부부저단자와, 난방기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수동조절단자와, 팬의 작동/정지를 제어하는 팬리미트단자와,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온도감지단자와, 난방기의 온도를 예열하는 예열단자와, 상기 전원입력단자, 송풍기단자, 버너단자, 과열방지단자, 외부부저단자, 수동조절단자, 팬리미트단자, 외부온도감지단자 및 예열단자에서 발생되는 단자신호와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연소실 내 가스 배출과 유동을 위한 팬가동 모터신호, 점화를 위한 점화트랜스 신호, 연료유입을 위한 전자밸브 작동신호 및 연료 예열신호를 전압과 전류로 입력받는 고압교류회로부하검출부;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점화 작동 중 연료가 정상적으로 연소가 이루어지는 지를 감시하는 화염검출신호를 저압직류로 입력받는 저압직류입력부; 상기 온도입력부, 고압교류회로부하검출부, 저압직류입력부에 입력된 신호로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 여부 및 가동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연료소비율을 이용해 유류소모량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유류소모량이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유류소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저장부; 상기 자료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계측장치의 진단을 위한 시리얼통신부; 및 상기 유류소모량 계측정보를 신뢰성 있고 간편하게 입력받고 출력할 수 있도록 전파식별(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인터페이스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농업용 난방기, 유류 소모량 계측장치, 신호분석

Description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 계측장치{MEASURING DEVICE OF FUEL CONSUMPTION WITH OPERATING SEQUENCE SIGNAL IN AGRICULTURAL HE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 계측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농업용 난방기의 버너 가동신호 순서도,
도 3은 농업용 난방기의 제어반 단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전원부 120 : 온도입력부
130 : 고압교류회로부하검출부 140 : 저압전류입력부
150 : 연산부 160 : 표시부
170 : 자료저장부 180 : 시리얼통신부
190 : 전파식별인터페이스부
200 : 전원입력단자 210 : 송풍기단자
220 : 버너단자 230 : 과열방지단자
240 : 외부부저단자 250 : 수동조절단자
260 : 팬리미트단자 270 : 외부온도감지단자
280 : 예열단자
본 발명은 유류를 사용하는 농업용 난방기에서 유류의 소모량 계측을 유량계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농업용 난방기에서 가동시 생성되는 순차적 신호분석에 의하여 계산된 가동시간정보를 바탕으로 유류소모량을 산정함으로써 저비용 및 신뢰성을 겸비한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농업용 난방기의 유류소모량 측정은 난방기에 부착되어 있는 부레를 이용하여 유류소모량에 따른 눈금의 변화를 읽는 간이측정이나 별도의 유량계를 구비하여 직접 측정하였으나, 종래의 부레의 눈금을 이용한 방법과 유량계를 이용한 측정방법은 그 신호와 데이터의 조작변경이 쉬워 유류소모량의 측정결과를 유류사용의 모니터링과 유통관리에 이용할 경우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부레의 눈금을 이용한 방법의 측정은 오차범위가 커서 정확한 유류소모량을 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농업용 난방기에 별도로 구비되는 유량계는 고가이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유류를 사용하는 농업용 난방기에서 유류의 소모량 계측을 유량계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농업용 난방기에서 가동시 생성되는 순차적 전기신호분석에 의하여 가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계산하여 유류소모량을 산정함으로써 저비용 및 신뢰성을 겸비한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 계측장치를 제공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은, 계측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작동시 온실온도 및 난방기의 연통온도의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온도입력부; 상기 농업용 난방기를 제어하는 제어반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단자와, 송풍기를 동작시키는 송풍기단자와, 버너를 동작시키는 버너단자와, 난방기의 과열을 방지하는 과열방지단자와, 난방기의 이상이 감지될 시 이를 외부에 알리는 외부부저단자와, 난방기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수동조절단자와, 팬의 작동/정지를 제어하는 팬리미트단자와,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온도감지단자와, 난방기의 온도를 예열하는 예열단자와, 상기 전원입력단자, 송풍기단자, 버너단자, 과열방지단자, 외부부저단자, 수동조절단자, 팬리미트단자, 외부온도감지단자 및 예열단자에서 발생되는 단자신호와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연소실 내 가스 배출과 유동을 위한 팬가동 모터신호, 점화를 위한 점화트랜스 신호, 연료유입을 위한 전자밸브 작동신호 및 연료예열신호를 전압과 전류로 입력받는 고압교류회로부하검출부;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점화 작동 중 연료가 정상적으로 연소가 이루어지는 지를 감시하는 화염검출신호를 저압직류로 입력받는 저압직류입력부; 상기 온도입력부, 고압교류회로부하검출부, 저압직류입력부에 입력된 신호로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 여부 및 가동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연료소비율을 이용해 유류소모량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유류소모량이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유류소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저장부; 상기 자료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계측장치의 진단을 위한 시리얼통신부; 및 상기 유류소모량 계측정보를 신뢰성 있고 간편하게 입력받고 출력할 수 있도록 전파식별(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인터페이스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되는 유류소모량을 산정하는 알고리즘은, 상기 입력된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가동시점과 정지시점을 판단하여 메모리에 기록하고 적산한 누적가동시간을 A,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연료소비율을 B, 유류소모량을 C라 할 때, C = A × B 라는 계산식이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 계측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 계측장치의 농업용 난방기의 버너 가동신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 계측장치의 농업용 난방기의 제어반 단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 계측장치의 구성은, 상기 계측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작동시 온실온도 및 난방기의 연통온도의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온도입력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농업용 난방기를 제어하는 제어반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단자(200)와, 송풍기를 동작시키는 송풍기단자(210)와, 버너를 동작시키는 버너단자(220)와, 난방기의 과열을 방지하는 과열방지단자(230)와, 난방기의 이상이 감지될 시 이를 외부에 알리는 외부부저단자(240)와, 난방기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수동조절단자(250)와, 팬의 작동/정지를 제어하는 팬리미트단자(260)와,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온도감지단자(270)와, 난방기의 온도를 예열하는 예열단자(280)와, 상기 전원입력단자(200), 송풍기단자(210), 버너단자(220), 과열방지단자(230), 외부부저단자(240), 수동조절단자(250), 팬리미트단자(260), 외부온도감지단자(270) 및 예열단자(280)에서 발생되는 단자신호와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연소실 내 가스 배출과 유동을 위한 팬가동 모터신호, 점화 를 위한 점화트랜스 신호, 연료유입을 위한 전자밸브 작동신호 및 연료예열신호를 고전압의 인가상태와 부하전류의 흐름을 전압과 전류로 입력받는 고압교류회로부하검출부(1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점화 작동 중 연료가 정상적으로 연소가 이루어지는 지를 감시하는 화염검출신호를 저압직류로 입력받는 저압직류입력부(140)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입력부(120), 고압교류회로부하검출부(130), 저압직류입력부(140)에 입력된 신호로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 여부 및 가동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연료소비율을 이용해 유류소모량을 연산하는 연산부(1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산부(150)에서 연산된 유류소모량이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부(150)가 구비되며, 상기 연산부(150)에서 연산된 유류소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저장부(17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자료저장부(170)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계측장치의 진단을 위한 시리얼통신부(180)가 구비되며, 상기 유류소모량 계측정보를 신뢰성 있고 간편하게 입력받고 출력할 수 있도록 전파식별(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인터페이스부(190)로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연산부(150)에서 연산되는 유류소모량을 산정하는 알고리즘은, 상기 입력된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가동시점과 정지시점을 판단하여 메모리(미도시)에 기록하고 적산한 누적가동시간을 A,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연료소비율을 B, 유류소모량을 C라 할 때, C = A × B 라는 계산식이 성립되어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유류소모량을 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료소비율은 농업용 난방기의 모델에 따라 연료소비율이 정해져 있음으로 유류소모량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에 상기 연료소비율을 적용하여 상기 연산부(150)에서 유류소모량을 산정하게 되며,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모델에 따라 연료소비율이 상이한 것은 일반적이다.
특히,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사용기간, 사용횟수, 사용환경에 따라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연료소비율이 떨어지게 되며, 이는 동일한 양의 연료를 사용하더라도, 연료소비율이 떨어지는 것은 통상적인 열기관에 공통적으로 적용됨은 물론이다.
한편,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 계측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도 2는 농업용 난방기의 버너의 가동신호의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으로 농업용 난방기 버너의 가동신호는, 연소실 내 가스배출과 유동을 위한 팬 가동모터 신호, 점화를 위한 점화 트랜스신호, 그리고 연료유입을 위한 점화 트랜스신호, 그리고 연료분사방식이 2스테이지(stage)로 되어 있는 난방기의 경우 2차 전자밸브 작동신호가 발생하고,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램프 및 리셋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버너의 특성에 따라 가동신호는 일정한 순서를 가지게 되는데, 상기 농업용 난방기 버너의 가동신호의 특성을 살펴보면,
a) 전원의 인가를 나타내는 전원스위치신호가 발생하는 단계(10);
b) 연소실 내 가스배출과 유동을 위한 팬 가동모터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20);
c) 점화를 위한 점화 트랜스신호가 발생하는 단계(30);
d) 연료유입을 위한 동작신호를 위한 제1차 전자밸브 동작신호가 발생하는 단계(40);
e) 연료유입을 위한 동작신호를 위한 제2차 전자밸브 동작신호가 발생하는 단계(50);
f) 농업용 난방기의 버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램프 및 리셋신호가 발생하는 단계(60);
g) 농업용 난방기의 버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램프 및 리셋신호가 발생하는 단계(70); 로 나누어지는데,
이때, 상기 a)전원의 인가를 나타내는 전원스위치신호가 발생하는 단계(10); b)연소실 내 가스배출과 유동을 위한 팬 가동모터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20); c)점화를 위한 점화 트랜스신호가 발생하는 단계(30); 가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또한, d)연료유입을 위한 동작신호를 위한 제1차 전자밸브 동작신호가 발생하는 단계(40); 는 전원이 인가된 후 30초 이내에 발생되게 되고, e)연료유입을 위한 동작신호를 위한 제2차 전자밸브 동작신호가 발생하는 단계(50);는 1차전자밸브의 동작신호가 발생한 10초 내외에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농업용 난방기 버너의 가동신호의 특성 신호를 상기 온도입력부(120), 고압교류회로부하검출부(130), 저압전류입력부(140)에서 감지하여 난방기의 가동여부를 알 수 있으며, 역으로 신호가 소멸되어 감지되지 않을 시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버너의 동작이 멈춘 것으로 간주하여 순차적인 가동신호 분석에 의해 난방기의 가동시간을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측정된 누적가동시간에 연료소비율을 곱하면 유류소모량을 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정상적인 가동 여부는 상기 고압교류회로부하검출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확인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가동시간은 상기 고압교류회로부하검출부(130)의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에 의해 연산 될 수 있고, 상기 저압전류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농업용 난방기 연료의 정상적인 연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 농업용 난방기 버너의 가동 신호 특성은 200,000kcal/hr 이상의 농업용 난방기의 경우를 살펴본 것이며, 200,000kcal/hr 이하의 농업용 난방기의 버너의 가동신호 특성에도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기계식 버너의 가동 신호를 살펴본 것이며, 알시(RC)소자를 사용하는 전자식 버너의 가동신호의 특성에도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농업용 난방기의 제어반 단자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어반에는 전원입력단자(200), 송풍기단자(210), 버너단자(220), 과열방지단자(230), 외부부저단자(240), 수동조절단자(240), 팬리미트단자(250), 외부온도감지단자(260), 예열단자(27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반에서 발생하는 제어반 단자 신호를 220V~380V의 고전압으로 고압교류회로부하검출부(130)에서 입력받아 상기 버너의 가동신호와 연산부(150)에서 누적가동시간을 측정하여 연료소비율을 곱하여 유류소모량을 연산하게 된다.
특히, 연산된 유류소모량은 자료저장부(170)에 저장되고 사용자는 전파식별(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리더기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유류소모량 계측정보를 신뢰성 있고 간편하게 출력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설명 및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 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농업용 난방기의 유류소모량 계측을 부레의 눈금 및 유량계를 이용하지 않고 난방기에서 생성되는 순차적 신호분석에 의거 유류소모량을 산정하므로 조작가능성이 배제되어 유류소모량의 측정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높일 수 있으며, 유류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고가의 유량계를 농업용 난방기에 따로 구비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농업용 난방기의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파식별(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되어 유류소모량의 정보를 손쉽게 입출력하여 유류소비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농업용 난방기의 제어반의 연결단자에 연결되어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과 중지시 생성되는 동작신호를 분석하여 유류소모량을 계측하는 계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측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작동시 온실온도 및 난방기의 연통온도의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온도입력부;
    상기 농업용 난방기를 제어하는 제어반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단자와, 송풍기를 동작시키는 송풍기단자와, 버너를 동작시키는 버너단자와, 난방기의 과열을 방지하는 과열방지단자와, 난방기의 이상이 감지될 시 이를 외부에 알리는 외부부저단자와, 난방기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수동조절단자와, 팬의 작동/정지를 제어하는 팬리미트단자와,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온도감지단자와, 난방기의 온도를 예열하는 예열단자와, 상기 전원입력단자, 송풍기단자, 버너단자, 과열방지단자, 외부부저단자, 수동조절단자, 팬리미트단자, 외부온도감지단자 및 예열단자에서 발생되는 단자신호와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연소실 내 가스 배출과 유동을 위한 팬가동 모터신호, 점화를 위한 점화트랜스 신호, 연료유입을 위한 전자밸브 작동신호 및 연료예열신호를 전압과 전류로 입력받는 고압교류회로부하검출부;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점화 작동 중 연료가 정상적으로 연소가 이루어지는 지를 감시하는 화염검출신호를 저압직류로 입력받는 저압직류입력부;
    상기 온도입력부, 고압교류회로부하검출부, 저압직류입력부에 입력된 신호로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 여부 및 가동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연료소비율을 이용해 유류소모량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유류소모량이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유류소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저장부;
    상기 자료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계측장치의 진단을 위한 시리얼통신부; 및
    상기 유류소모량 계측정보를 신뢰성 있고 간편하게 입력받고 출력할 수 있도록 전파식별(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인터페이스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 계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되는 유류소모량을 산정하는 알고리즘은,
    상기 입력된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가동시점과 정지시점을 판단하여 메모리에 기록하고 적산한 누적가동시간을 A, 상기 농업용 난방기의 연료소비율을 B, 유류소모량을 C라 할 때,
    C = A × B
    라는 계산식이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 계측장치.
KR1020060062471A 2006-07-04 2006-07-04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계측장치 KR100821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471A KR100821229B1 (ko) 2006-07-04 2006-07-04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471A KR100821229B1 (ko) 2006-07-04 2006-07-04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계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027A KR20080004027A (ko) 2008-01-09
KR100821229B1 true KR100821229B1 (ko) 2008-04-10

Family

ID=3921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471A KR100821229B1 (ko) 2006-07-04 2006-07-04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22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527B1 (ko) 2010-08-06 2010-11-10 정성열 난방기의 실제 가동시간 계측장치를 통한 실제 가동시간 계측방법
KR101027986B1 (ko) 2011-01-25 2011-04-13 주식회사하이테크21 난방기용 면세유 사용량 측정 및 검증장치
KR101044258B1 (ko) 2009-03-16 2011-06-28 (주)맥스텍 엔진의 고유진동수 감지를 통한 사용유량 계측시스템
KR101054505B1 (ko) 2011-07-06 2011-08-04 (주)신영전자 농가 열원기의 사용량 계측장치
KR101055257B1 (ko) * 2008-07-14 2011-08-09 대한민국 난방기의 가동시간 계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68420B1 (ko) 2011-03-25 2011-09-28 (주)에스티엠 유류사용 기기의 가동시간계측에 따른 연료소모량 측정 장치
KR101177228B1 (ko) 2009-11-04 2012-08-24 안정균 연소 버너의 가동 정보 제공 장치
KR101204412B1 (ko) * 2011-06-02 2012-11-26 (주)더원테크노피아 사용효율이 우수한 난방기용 면세유 사용량 측정 및 검증장치
KR101494893B1 (ko) * 2014-04-03 2015-03-02 이선우 난방기 가동시간 계측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통신기반 시설재배 하우스 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048B1 (ko) * 2011-02-16 2011-04-11 (주) 광명에이텍 Svt분석에 의한 난방기 계측용 스마트계측장치 및 방법
CN111811855A (zh) * 2020-07-09 2020-10-23 京威汽车设备有限公司 一种燃油加热器性能综合检测设备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0336A (ja) * 2002-02-15 2003-08-27 Noritz Corp 燃料使用量の算出方法および温水暖房熱源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0336A (ja) * 2002-02-15 2003-08-27 Noritz Corp 燃料使用量の算出方法および温水暖房熱源機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257B1 (ko) * 2008-07-14 2011-08-09 대한민국 난방기의 가동시간 계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44258B1 (ko) 2009-03-16 2011-06-28 (주)맥스텍 엔진의 고유진동수 감지를 통한 사용유량 계측시스템
KR101177228B1 (ko) 2009-11-04 2012-08-24 안정균 연소 버너의 가동 정보 제공 장치
KR100993527B1 (ko) 2010-08-06 2010-11-10 정성열 난방기의 실제 가동시간 계측장치를 통한 실제 가동시간 계측방법
KR101027986B1 (ko) 2011-01-25 2011-04-13 주식회사하이테크21 난방기용 면세유 사용량 측정 및 검증장치
KR101068420B1 (ko) 2011-03-25 2011-09-28 (주)에스티엠 유류사용 기기의 가동시간계측에 따른 연료소모량 측정 장치
KR101204412B1 (ko) * 2011-06-02 2012-11-26 (주)더원테크노피아 사용효율이 우수한 난방기용 면세유 사용량 측정 및 검증장치
KR101054505B1 (ko) 2011-07-06 2011-08-04 (주)신영전자 농가 열원기의 사용량 계측장치
KR101494893B1 (ko) * 2014-04-03 2015-03-02 이선우 난방기 가동시간 계측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통신기반 시설재배 하우스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027A (ko) 200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229B1 (ko) 농업용 난방기의 가동신호 분석에 의한 유류소모량계측장치
CN100468905C (zh) 状态诊断
US20110012738A1 (en)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nd gas supply system
RU2006141648A (ru) Система диагностики и защиты компрессора
US20060275719A1 (en) Warm air furnace baselining and diagnostic enhancements using rewritable non-volatile memory
JP2002311070A (ja) 機器使用状況情報提供装置及び機器使用状況情報提供装置を備えた分電盤
WO2013005027A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analysing the performance of a heating or cooling system
CN107401795A (zh) 加湿装置、防干烧控制方法、空调器和存储介质
US6962435B2 (en) Condition diagnosing
KR100789280B1 (ko) 전류신호 분석에 의한 난방기의 가동시간 계측장치
JP2005257310A (ja) ガスメータ
WO2019189754A1 (ja) 状態推定装置と方法と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5291986A (ja) ガス遮断装置
JP4129114B2 (ja) ガスメータおよびガス供給に係る異常判定方法
KR100993527B1 (ko) 난방기의 실제 가동시간 계측장치를 통한 실제 가동시간 계측방법
JP2568377Y2 (ja) 燃焼装置の寿命予測装置
KR100717119B1 (ko) 풍압센서를 이용한 공기비례제어식 보일러에서의 풍압센서이상 감지방법
US20130110413A1 (en) Estimating gas usage in a gas burning device
JP2008267740A (ja) ガス遮断装置
JP2005265529A (ja) ガス遮断装置
WO2008084217A1 (en) Boiler performance indicator
JP3535823B2 (ja) 燃焼機器
KR101089686B1 (ko) 난방기의 실제 연소 가동시간 계측장치를 통한 실제 연소 가동시간 계측방법
JP4935576B2 (ja) ガス遮断装置
CN111024168A (zh) 用于超声波检测计量装置的防盗气系统及气体超声流量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