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079B1 -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079B1
KR100821079B1 KR1020010080619A KR20010080619A KR100821079B1 KR 100821079 B1 KR100821079 B1 KR 100821079B1 KR 1020010080619 A KR1020010080619 A KR 1020010080619A KR 20010080619 A KR20010080619 A KR 20010080619A KR 100821079 B1 KR100821079 B1 KR 10082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high voltage
test
surface degrad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0219A (ko
Inventor
박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079B1/ko
Publication of KR2003005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0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71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thermally exci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4Resins; rubber; lea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용 애자에 사용되는 폴리머 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폴리머 재료가 표면에 피복되어 있는 시편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시편에 오손액과 전압의 인가 및 중지를 반복하여 시험환경을 변화시키는 시험장치부와, 상기 시험장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험환경의 변화에 따른 상기 시편의 표면의 변화를 촬영하는 화상 촬영부와, 상기 화상 촬영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시편에 고압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 회로부와, 상기 시편의 표면열화 측정을 제어하는 제어 판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자연환경에 근접한 동일한 조건에서, 자동으로 폴리머 재료의 시편의 표면열화 진행상태와 회복력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 지 관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데이터의 사실에 근거한 객관적 분석이 가능하여, 경험과 지식에 의존한 주관적인 평가가 지닌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제어판넬부, 고전압발생 회로부, 시험장치부, 오손액, 방전

Description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the surface weakness of the insulating polimer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의 운전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서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에 설치된 시편에 오손액이 분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시편가 전극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서 시편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실화상과 열화상의 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인가전압과 리크전류 입력부를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전압과 리크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데이터의 파형과 시편의 화상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제어판넬부
b : 고전압발생 회로부
c : 시험장치부
c1, c2 : 시편
d : 화상촬영부
e : 데이터 분석부
본 발명은 옥외용 폴리머 절연재료로 사용되는 실리코운 고무의 표면열화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실리코운 고무의 휠라(Filler) 함유율과 설치환경의 차이에 의한 커버재료의 표면열화 진행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자연환경에 근접한 환경 하에서 오손액의 분사, 전압의 인가시간 및 휴지시간 자동제어, 실화상과 열화상 촬영을 통한 표면분석, 데이터 로그를 이용한 리크전류의 실시간 분석 및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데이터 공유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기형 애자는 오랜 기간동안 가공 전선로의 절연재료로서 사용되고 있으나, 장기간 사용하는 동안에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자기 절연층에 균열 또는 관통공이 생겨서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이 저하되어 전기적 특성이 열화되거나 또는 인장세기가 저하되어 기계적특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자기형 애자의 열화원인으로는 온도의 영향으로 인한 애자 각부의 반복적인 팽창수축, 시멘트의 화학팽창, 전기적 스트레스 및 코로나 영향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송전전압의 증가에 따른 애자중량의 증대로 인하여, 송전선 철탑의 강도를 증가시켜야 하며 그 결과 건설비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고압송전선로의 송전전압 승압에 따라 건설비, 자재비 및 유지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송전선로의 경량화, 콤팩트화, 및 비용저감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자기애자와 유리애자의 대체소자로서 고분자 유기 절연재료인 폴리머 절연애자가 개발되고 있다
즉, 이러한 폴리머 절연애자는 경량성, 양호한 오손 플래쉬 오버 전압특성 및 뛰어난 강도 등의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재료특성을 이용하여 상간 스페이서, 절연 암, 어레스타의 커버 등에 사용해서 콤팩트한 송전선의 실현과 유지경비저감 등을 목표로 하는 옥외 전기기기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유기 절연재료 중 하나는 상온에서도 약간의 유동성을 띠는 무색 또는 희미한 황색의 실리코온 고무(silicone rubber)가 공지되어 있다. 실리코온 고무는 탄성고체 또는 규소고무라고 칭해지고 실리코온 오일보다 분자량이 크다. 그리고, 생고무에 가황제로서 과산화벤조일, 디큐밀페르옥시드 등의 과산화물이 첨가되어 있는 가황고무는 생고무에 비하여 인장강도와 신장률이 낮지만 내열성과 탄성율이 양호하므로 내열성 또는 발수성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되고 또한 전기 절연재료 등으로 널리 쓰인다.
그 결과, 합성수지로 만든 절연애자를 옥내용 애자 또는 부싱 등에 사용하고 있으나 옥외용 절연애자에 대한 실용화는 달성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이는 기계적 강도를 부담하는 코어재료와 표면절연을 부담하는 커버재료로 구분되어 있는 옥외용 폴리머 절연애자에 있어서 상기 커버재료가 표면열화현상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옥외용 폴리머 절연애자의 커버재료의 표면열화는 태양광, 비바람, 분진 등의 환경적 요인과, 코로나 및 국부아크 등의 전기적요인의 복합적인 현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복합열화원인으로 작용하는 트래킹, 즉 도전성 또는 흡습성이 있는 방전흔적 또는 부식현상의 기초적 메카니즘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옥외용 폴리머 절연애자를 설치환경 하에서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험단계에서는 이를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실제 설치환경과 유사한 측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환경적, 경제적 제약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옥외에서 실제로 폴리머 절연재료를 취부하여 시간경과 후 커버재료의 표면열화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나, 이는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고 또한 절연애자의 표면열화 현상의 환경, 재질 및 시간경과의 상관관계를 해석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옥외용 전력설비의 경량화 및 콤팩트화에 크게 기여하기 위해서는 옥외용 폴리머 절연애자의 표면열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자연환경에 근접한 실험환경의 구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옥외용 절연애자로 적용가능한 폴리머 재료를 찾기 위하여 폴리머 절연애자가 설치되는 환경에 근접한 실험환경을 형성하도록 오손액을 분사함으로써 일기변화를 강제로 연출하여 휠라 함유율이 상이한 시편의 방전열화 상태를 해석하고 비교할 수 있는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옥외용 애자에 사용되는 폴리머 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는 상기 폴리머 재료가 표면에 피복되어 있는 시편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시편에 오손액과 전압의 인가 및 중지를 반복하여 시험환경을 변화시키는 시험장치부와, 상기 시험장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험환경의 변화에 따른 상기 시편의 표면의 변화를 촬영하는 화상 촬영부와, 상기 화상 촬영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시편에 고압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 회로부와, 상기 시편의 표면열화 측정을 제어하는 제어 판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는 오손액 분사 및 건조시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판넬부(a)를 갖는다. 제어판넬부(a)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제1배선용차단기(NFB1; a1)가 제공된다. 제1배선용차단기(a1)를 통해서 제공되는 주전원은 릴레이(a2)에 의해서 감지되고 제어된다. 제어판넬부(a)에는 제어전원을 보호하기 위한 열동형 과전류 계전기(a3)와, 하기에서 설명되는 고전압발생 회로부(b)와 시험 장치부(c)의 동작을 감시하고 제어하며 데이터 분석부(e부)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령을 내리는 프로그램가능한 논리제어장치(PLC; a4)(이하, '논리제어장치'라 함)가 제공된다.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는 전압조정 및 저압을 6600V로 승압시키는 고전압발생 회로부(b)를 갖는다. 고전압발생 회로부(b)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2배선용차단기(NFB2; b1)와, 출력전압을 가감하기 위하여 저압측 전압을 미세 조정하는 유도전압 조정기(b2)와, 저압측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변류기(CT1, CT2; b3, b4)와, 변류기(CT1, CT2)에서 검출한 전류에 따라서 보호회로를 구성하도록 작동하는 과전류 계전기(OCR; b5)와, 저압측 전압을 6600V로 승압하기 위한 주상변압기(b6)와, 전압 검출용 분압저항(Rv; b7)와, 전류제한저항(Ro; b8)와, 전류검출저항(R1, R2; b9, b10)으로 구성된다.
또한,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에는 발생된 고전압을 시편에 인가하여 오손액을 분사하면서 방전시험을 실시하는 시험 장치부(c)가 제공된다. 시험장치부(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열화 측정시험에 사용되는 두개의 시편(c1, c2)과, 시편을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시편 지지대(c3)와, 시편에 분사할 오손액을 저장하는 상부탱크(c4)와, 상부탱크(c4)와 시편(c1, c2) 사이에서 오손액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수동밸브(c5, c6)와, 논리제어장치(a4)의 제어에 의하여 오손액 분사 타이밍을 결정하여 온/오프 제어하는 전자밸브(c7, c8)와, 오손액을 시편에 분사하는 분사노즐(c9, c10)과, 시편에 분사한 뒤 낙하되는 오손액을 집수하는 하부탱크(c11)와, 하부탱크(c11)에 집수된 오손액을 상부탱크(c4)로 공급하는 순환펌프(c12)와, 상부탱크(c4)의 수위를 감지하여 오손액의 범람을 방지하고 순환펌프의 구동제어에 요구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레벨계(c13)와, 공급되는 오손액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c1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에는 시편 표면의 실화상과 열화상을 촬영하여 하기에 설명되는 데이터 분석부(e)에 송출하는 화상 촬영부(d)를 갖는다. 화상 촬영부(d)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편(c1, c2)의 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d1)와 실화상 카메라(d2)가 제공된다.
또,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는 측정 데이터 및 실화상과 열화상을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e)를 더 포함한다. 데이터 분석부(e)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편(c1, c2)에 인가되는 전압과 리크전류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데이터 로거(e1), 데이터 로거(e1)와 다른 퍼스널 컴퓨터(PC)를 통신 네트워크화 하여 데이터를 공유하게 하는 이서네트(ethernet; e2)와, 이서네트(e2)에 접속되어 데이터 로거(e1)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정밀 분석하기 위한 퍼스널 컴퓨터(PC; e3)와, 열화상과 실화상을 실시간으로 보고 비디오 테이프에 수록하기 위한 모니터(e4, e5)와, 열화상을 분석할 수 있는 열화상 처리장치(e6)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고전압발생 회로부(b)와, 시험장치부(c)와, 데이터 분석부(e)를 신호전송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신호전송회로를 통해서 제어 판넬부(a)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배선용차단기(NFB1; a1)가 통전된 상태에서 논리제어장치(PLC; a4)로부터 전압인가를 명하는 출력이 발생되면 릴레이(a2)가 동작된다. 이때, 열동형 과전류 계전기(a3)가 동작하지 않으면 AC 220V의 전압이 고전압발생 회로부(b)의 통전상태의 제2배선용차단기(b1)와 유도전압 조정기(b2)를 거쳐 주상변압기(b6)의 저압측(1차측)에 공급된다. 주상변압기(b6)는 AC 220V의 전압을 AC 6600V의 전압으로 승압시킨다. 이와 같이 승압된 AC 6600V의 고전압은 시험장치부(c)의 시편 지지대(c3)에 장착되어 있는 전극을 통해서 두개의 시편(c1, c2)에 인가되어 방전시험을 시작한다. 이때, 시편(c1, c2)에 인가되는 전압은 유도전압 조정기(b2)에 의해서 조정된다.
한편, 논리제어장치(a4)는 내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시편(c1, c2)에 대한 전압인가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편(c1, c2)에 대한 오손액의 분사여부를 제어한다.
또한, 논리제어장치(a4)는 수동/자동 모드 절환에 의한 작동모드 선택, 과전류 릴레이(b5)의 동작 시 측정장치의 비상정지, 레벨계(c13)의 수위측정신호에 따른 순환 펌프(c12)의 가동제어, 전압인가횟수의 카운트 및 누적시간 계산, 데이터 로거(e1)의 데이터 수집 타이밍을 결정하는 트리거 신호발생 등의 자동제어와 시스템 보호에 필요한 제반 기능들을 수행한다.
논리제어장치(a4)에 의하여 자동모드가 선택되면, 시험장치부(c)의 분위기가 자연환경에 유사한 시험분위기를 유지하도록 오손액 분사와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하고, 이러한 시험분위기 하에서 시편의 표면열화정도 및 회복정도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오손액의 분사시간과 시편의 건조시간은 논리제어장치(a4) 내의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설정에 의하여 최장 999 시간까지 자유자재로 조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논리제어장치(a4)는 기본 싸이클(통상 30초 내지 1분)을 설정하여 처음 수 초동안은 전자밸브(c7, c8)를 오픈하여 오손액을 분사하다가, 전압인가에 의한 단락사고를 피하기 위하여 수 초간을 대기한다. 그리고, 일정시간동안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유도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오손액을 다시 분사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시편의 표면열화 상태를 자동으로 계속 측정한다.
전자밸브(c7, c8)의 개폐시간 및 전압인가시간도 논리제어장치(a4) 내의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설정에 의하여 조정가능하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고전압발생 회로부(b)는 시험에 필요한 AC 6600V의 고전압을 발생시키고 측정에 알맞은 전압/전류로의 변환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고전압 발생 회로부(b)의 주상변압기(b6)를 통해서 AC 6600V로 승압된 전압은 시편(c1, c2) 각각에 인가된다. 이때, 전압인가에 따른 방 전시험 데이터를 데이터 로거(e1)에서 수집하기 위하여, 고전압발생 회로부(b)에는 1:5000으로 전압을 변환하는 50㏁/10㏀의 전압 검출용 분압저항(Rv; b7)과, 전류를 제한하는 40㏀의 전류제한저항(Ro; b8)와, 시편(c1, c2)에 통전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50Ω의 전류검출저항(R1, R2; b9, b10)이 제공되고, 이들 각각에 의해서 검출되는 전압치와, 제1전류값과, 제2전류값의 데이터는 데이터 로거(e1)에 수집된다.
또한, 시편(c1, c2)의 양단에 연결된 고압전극과 저압전극 사이의 단락사고 등의 이상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변류기(CT1, CT2; b3, b4)에서 검출된 전류값에 따라서 과전류 릴레이(OCR; b5)가 동작하고, 그 결과를 논리제어장치(a4)에 피드백시켜 주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보호회로를 구성한다.
그리고, 시험 장치부(c)에 의해서, 시편(c1, c2)이 시편지지대(c3)에 지지된 상태에서 표면열화 실험이 실시되는 동안 얻어진 결과는 제어 판넬부(a)와 데이터 분석부(e)에 제공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폴리머 재료인 시편(c1, c2)은 연한 성질을 구비하므로 그 자체로는 시편지지대(c3)에 장착된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아크릴 보드와 함께 볼트에 의해서 시편지지대(c3)에 고정된다.
시편(c1, c2) 상하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로 제작된 고압전극과 저압전극이 시편지지대(c3)에 제공된다.
이때, 분사노즐(c9, c10)을 통해서 분사되는 오손액이 잘 흘러내리도록 하고 또한 고압전극과 저압전극 사이에서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편(c1, c2)은 바닥면에 대해 45°의 경사각으로 취부된다.
분사노즐(c9, c10)을 통해서 오손액이 분사된 후 고압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시편(c1, c2)에 잔존해 있는 물기를 중심으로 아크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오손액 분사와 전압인가를 반복적으로 실시하고, 또한 오손액 분사와 시편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하면, 시편(c1, c2)은 방전에 의한 표면열화와 건조에 의한 회복을 반복한다. 결과적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시편(c1, c2)의 표면열화 정도가 깊어진다.
즉, 논리제어장치(a4)의 분사지령에 의해 전자밸브(c7, c8)가 개방되면 상부탱크(c4)에 저장되어 있는 오손액은 분사노즐(c9, c10)을 통해 시편(c1, c2)에 분사된다. 그리고, 분사된 오손액은 시편(c1, c2)로부터 흘러내려 하부탱크(c11)에 집수된 후 순환펌프(c12)에 의해 상부탱크(c4)로 공급된다. 이때, 순환 펌프(c12)는 레벨계(c13)에 의해서 측정되는 오손액의 저장수위에 따라서 작동과 정지를 반복한다. 즉, 저수위가 측정되면 순환펌프(c12)는 기동하는 반면, 고수위가 측정되면 순환펌프(c12)는 정지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오손액의 분사와 건조가 반복되는 동안, 화상 촬영부(d)는 시편(c1, c2) 표면에서 발생하는 실화상과 열화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 데이터를 데이터 분석부(e)에 송출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화상 촬영부(d)의 열화상 카메라(d1)와 실화상 카메라(d2)는 실시간으로 폴리머 재료의 시편(c1, c2) 표면을 촬영한다.
이때, 촬영되는 실화상은 제1모니터(e4)에 디스플레이된다. 제1모니터(e4)는 티브이(TV)와 비디오 데크 기능을 겸비하고 있으므로, 비디오 테이프에 실화상 을 기록하고자 할 때에는 비디오 데크의 녹화기능을 활용하여 실화상을 기록하며, 기록된 실화상은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세분석 자료로서 활용되도록 보존된다.
그리고, 열화상 카메라(d1)에 의해서 촬영되는 열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분석부(e)의 열화상 처리장치(e6)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모니터(e4)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제2모니터(e5)에서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될 수도 있고, 플로피 디스켓에 내용을 덤프하여 퍼스널 컴퓨터(PC; e3)에서 방산열량과 온도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데이터 분석부(e)에서는 시편(c1, c2)에서 발생되는 전압과 리크전류의 변화량을 분석하고 또한 화상정보를 분석하며,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변압기(b6)의 고압측(2차측)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전압 검출용 분압저항 Rv(b7)을 통하여 데이터 분석부(e)의 데이터 로거(e1)에 수집되고, 시편(c1, c2)을 통전하고 있는 전류는 전류검출저항(R1/R2; b9, b10)에 의해서 검출된다. 데이터 로거(e1)에서는 수집되는 데이터 및 검출되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도 하고 논리제어장치(a4)로부터의 트리거 신호 또는 사용자의 지령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기도 한다.
데이터 로거(e1)는 데이터를 1ms 단위까지 세분화하여 수집할 수 있으나, 고밀도로 수집할수록 데이터 수집량이 방대해지므로 이서네트(e2)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e3) 또는 다른 퍼스널 컴퓨터(PC)에 내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데이터 편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시험장치부(c)에서의 시험에 의해서 얻어지고 데이터 로거(e1)에 수집된 데이터와 열화상 카메라(d1) 및 실화상 카메라(d2)에 의해서 촬영된 화상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난다.
즉,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데이터 로거(e1)에 수집되는 전압/전류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e3)에서 편집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전압과 리크전류의 변화를 파형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하여, 전압인가 시간, 예를 들어 약 8초동안 전압과 전류의 변화관계를 알 수 있고 또한 장시간 경과에 따른 시편의 표면열화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화상촬영부(d)의 열화상 카메라(d1)와 실화상 카메라(d2)에 의해서 촬영된 화상이 시간경과와 함께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화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시편의 표면열화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머 재료 표면열화 측정장치를 이용하면, 실리콘 고무에의 휠라 함유율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시편에 대하여, 자연환경에 근접한 동일한 조건에서, 자동으로 각각의 시편의 표면열화의 진행과 회복력에 어떤 차이가 발생되는지를 관측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데이터의 사실에 근거한 객관적 분석이 가능하여, 경험과 지식에 의존한 주관적인 평가가 지닌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는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에 국한되지 않고 실화상과 열화상 측정을 통한 각종 재료의 화학적 반응 검사, 논리제어장치(PLC)를 이용한 자동제어 등 여러 분야에서 이용 또는 응용이 가능하다.

Claims (4)

  1. 옥외용 애자에 사용되는 폴리머 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재료가 표면에 피복되어 있는 시편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시편에 오손액과 전압의 인가 및 중지를 반복하여 시험환경을 변화시키는 시험장치부와,
    상기 시험장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험환경의 변화에 따른 상기 시편의 표면의 변화를 촬영하는 화상 촬영부와,
    상기 화상 촬영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시편에 고압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 회로부와,
    상기 시편의 표면열화 측정을 제어하는 제어 판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촬영부에는 실화상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는 열화상 처리장치가 제공된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장치부에는 상기 시료를 지지하기 위한 시료 지지대와, 상기 시료 지지대에 지지되어 있는 시료에 오손액을 분사하기 위한 오손액 공급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시료 지지대에는 상기 시료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이 제공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
KR1020010080619A 2001-12-18 2001-12-18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 KR100821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619A KR100821079B1 (ko) 2001-12-18 2001-12-18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619A KR100821079B1 (ko) 2001-12-18 2001-12-18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219A KR20030050219A (ko) 2003-06-25
KR100821079B1 true KR100821079B1 (ko) 2008-04-08

Family

ID=2957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619A KR100821079B1 (ko) 2001-12-18 2001-12-18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943B1 (ko) * 2016-10-07 2018-06-05 박범철 적외선 열화상 기술을 이용한 비파괴 결함 검사 장치
CN112130042B (zh) * 2020-09-25 2023-05-19 华北电力大学 极端环境下固体绝缘材料沿面电弧模拟平台与测量方法
KR102502153B1 (ko) * 2020-10-23 2023-02-2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강도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483A (ko) * 1994-07-29 1996-02-23 다까노 야스아끼 반도체 레이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
JPH09266238A (ja) * 1996-03-29 1997-10-07 Sony Corp 電子回路の欠陥検査装置
KR20000014251A (ko) * 1998-08-19 2000-03-06 권문구 원격 애자 오손 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483A (ko) * 1994-07-29 1996-02-23 다까노 야스아끼 반도체 레이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
JPH09266238A (ja) * 1996-03-29 1997-10-07 Sony Corp 電子回路の欠陥検査装置
KR20000014251A (ko) * 1998-08-19 2000-03-06 권문구 원격 애자 오손 감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219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rdkheili et al. Determining the probability of flashover occurrence in composite insulators by using leakage current harmonic components
US201101019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the standoff capability of an overhead power transmission line
US20110013327A1 (en) Smart link coupled to power line
CN1942982A (zh) 用于检测运行的变换器设备的污染程度的方法和装置
KR100821079B1 (ko) 폴리머 절연재료의 표면열화 측정장치
Haddad et al. Evaluation of the aging process of composite insulator based on surface charaterisation techniques and electrical method
Palangar et al. Identification of composite insulator criticality based on a new leakage current diagnostic index
KR101252678B1 (ko) 폴리머 애자의 내오손 시험시스템
CN112526292B (zh) 一种配电电缆运行质量考核试验平台
Shihab et al. On-line pollution leakage current monitoring system
Tambi et al. Real-time monitoring of high voltage insulators in the tropical climate
Valeriy et al. Predicting the service life of high-voltage insulators using actual leakage current values
Palangar et al. Detecting of unnormal conditions of polluted insulators based on analysis phase angle of leakage current
Teunissen et al. Stability of fiber Bragg grating sensors for integration into high-voltage transformers for online monitoring
KR100815294B1 (ko) 회복전압법과 유전특성을 이용한 수분량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04226300A (ja) 回転電機の劣化診断装置及び劣化診断方法
CN110687442A (zh) 一种航空继电器触点状态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Mladenovic et al. New system for artificial ageing of MV cables under controlled conditions
CN109238681A (zh) 跌落式熔断器检测系统及方法
Keränen et al. Feasibility Experiences of On-line Partial Discharge Monitoring of Medium Voltage Cables in Helen Electricity Network Ltd
KR20010038835A (ko) 배전용 피뢰기 장기신뢰성 검사장치
Haq et al. Mitigation of the Potential for Sudden High-Temperature Hotspots on Substation Equipment
Charalampidis Characterisation of textured insulators for overhead lines and substations
Zago Performance of textured insulators for overhead lines and substations under polluted conditions
Aksenov et al. Diagnostic technology for transformers: Methods synergy and Double-Coordinate Lo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