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905B1 -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905B1
KR100820905B1 KR1020060114426A KR20060114426A KR100820905B1 KR 100820905 B1 KR100820905 B1 KR 100820905B1 KR 1020060114426 A KR1020060114426 A KR 1020060114426A KR 20060114426 A KR20060114426 A KR 20060114426A KR 100820905 B1 KR100820905 B1 KR 100820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duration
silence
unit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주)한우리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우리아이티 filed Critical (주)한우리아이티
Priority to KR1020060114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2Control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6Manual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46File format, i.e. specific or non-standard musical file format used in or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 wavetab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의 출력을 변환하여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를 포함하는 오디오신호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신호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에서 묵음구간을 검출하는 묵음구간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을 검출하는 묵음지속시간 검출부와, 상기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일 때, 오디오신호 출력의 의미상 단위인 청크(chunk) 사이의 휴지구간으로 판단하여,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사용자가 가변적으로 설정한 시간 동안 또는 고정된 설정 시간 동안에 일시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의미를 가지는 청크와 그 청크 사이의 휴지구간을 구분하고, 그 하나의 단위 청크의 출력이 완료되면 그 휴지구간의 유지시간을 자동으로 보다 연장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지털 오디오 기기를 통해 외국어를 청크단위로 끊어서 청취할 수 있어 의미 파악이 용이하도록 하며, 휴지구간의 연장을 통해 충분한 외국어 따라 말하기 학습을 수행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Output controller for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도 1a는 원오디오신호 출력 파형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중급학습자를 위해 휴지구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둔 경우의 오디오신호 출력 파형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라 초급학습자를 위해 휴지구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둔 경우의 오디오신호 출력 파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의 일실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방법의 일실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의 일실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방법의 일실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의 일실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방법의 일실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복조부 102:코드계수부
103:코드비교부 104:제어부
105:메모리 106:오디오 출력부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신호를 의미단위로 출력하며, 그 의미단위의 출력 휴지구간을 조절할 수 있는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의 디지털 오디오 기기들 및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컴퓨터 등의 디지털 기기 들의 소프트웨어에서는 어학학습을 위한 반복 청취를 지원한다.
이러한 반복 청취는 개별 디지털 오디오 파일 또는 청취자가 임의로 지정한 시작점과 끝점의 사이를 계속 반복하거나, 지정된 시간의 단위로 앞 또는 뒤로 이동하여 그 이동한 부분부터 다시 재생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오디오신호의 출력제어방법은 수동으로 반복적인 오디오 신호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청취자가 외국어 학습 등을 목적으로 오디오신호를 청취할 때 특정한 구간을 반복적으로 청취하거나, 특정한 부분을 찾아 청취할 수 있는 기능만을 제공하였다.
일반적으로 외국어를 학습할 때, 원어를 듣고 그 원어를 따라서 반복적으로 말하여, 보다 더 유창한 외국어를 말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에는 오디오신호 출력인 외국어의 의미를 가지는 덩어리(chunk, 이하 청크라 약칭함)를 듣고 이를 이해하여 말하는 훈련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화자가 이야기를 할 때 의미상의 덩어리인 청크 단위로 휴지구간을 가지며, 그 휴지구간 사이의 청크 부분을 청취자가 듣고 이해하며 따라할 수 있으면, 보다 더 유창한 외국어 말하기 능력을 기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오디오 기기 등에서는 이와 같이 디지털오디오 파일의 재생을 구간반복, 재생위치 검색 등을 이용할 수 있을 뿐 자동으로 오디오신호 출력을 청크 단위로 끊어 들려주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외국어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도움을 주지 못했다.
특히 외국어 말하기를 처음 연습하는 학습자들은 빠르게 말하는 원어민의 말을 따라 할 수 없어, 외국어 말하기 학습을 따라가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쉽게 흥미를 잃어 학습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청크와 묵음을 구별하지 않는 종래 오디오신호 출력의 제어는 디지털 오디오신호의 특성에 따른 것으로, 디지털 오디오신호의 포맷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포맷으로 코드화하기 위하여 샘플링, 양자화, 프래임 패킹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청크와 묵음을 구분하는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즉, 디지털 오디오신호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에서 표본 값을 주기적으로 검 출하는 샘플링 과정을 거친다. 예를 들어 CD 수준의 음질은 1초당 44,100개의 펄스진폭변조(PAM)파를 추출하며, 전화 수준의 음성대역 샘플링은 1초당 8,000개를 추출한다.
그 다음, 상기 추출된 PAM파를 양자화하여 디지털신호로 만든다. 이때 상기 CD 수준의 음질을 위한 양자화는 16비트 단계로 나누는 것으로 정의 되어 있어, 음의 대표 표본 값을 65,536단계로 나눌 수 있어 원음에 가까운 음질을 나타낸다. 이와 다르게 전화 수준은 8비트로 양자화하여 256단계로 나누며, 아날로그 신호의 복조시에 표본화 대표 값의 차이로 양자화 잡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잡음을 줄이기 위하여 에이-로우(A-LOW) 또는 뮤-로우(μ-LOW) 등의 비선형 간격으로 음성대역이 많은 곳에 표본 대표 값을 조밀하게 위치 시켜 코드화한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는 일련의 예로 이러한 코드화 과정에서 가청 주파수중 큰 신호 뒤에 따르는 약한 신호들은 사람의 청각으로 인식 못하므로 이러한 약한 신호들을 제거하는 방식, 즉 가청음 마스킹 방식의 양자화 압축방식을 사용하여 디지털 오디오신호의 데이터 양을 줄일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가 mp3 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양자화 압축을 하는 경우 실제 음성의 스케일 벡터와 복조화 속도, 스테레오 채널 등의 정보를 헤더와 결합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이를 프레임 패킹이라 하며, 이는 디지털 오디오신호의 포맷마다 차이가 있다.
상기와 같이 디지털 오디오신호에는 청크와 묵음을 구별하는 어떠한 구분정 보도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이를 재생 출력하는 과정에서도 청크와 묵음을 구별하지 않고 재생하기 때문에 상기 설명과 같이 의미 단위의 청크를 듣고 따라 말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한 본 발명은 자동 또는 청취자의 선택에 따라 청크음과 청크음 사이에 휴지구간을 둘 수 있는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청크음과 청크음 사이의 휴지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든 디지털 오디오 소스에 적용하여 청크음과 청크음 사이에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휴지구간을 둘 수 있는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의 출력을 변환하여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를 포함하는 오디오신호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신호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에서 묵음구간을 검출하는 묵음구간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을 검출하는 묵음지속시간 검출부와, 상기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일 때, 오디오신호 출력의 의미상 단위인 청크(chunk) 사이의 휴지구간으로 판단하여,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사용자가 가변적으로 설정한 시간 동안 또는 고정된 설정 시간 동안 일시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방법은 a) 재생되는 오디오신호에서 묵음구간을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을 검출하는 단계와, c) 상기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면, 이를 오디오신호의 의미 단위인 청크 사이의 휴지구간으로 인식하는 단계와, d) 상기 휴지구간을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만큼 연장시켜 일정 시간 동안 오디오신호 출력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c는 각각 원오디오신호 출력 파형, 본 발명에 따라 중급학습자를 위해 휴지구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둔 경우의 오디오신호 출력 파형, 초급학습자를 위해 휴지구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둔 경우의 오디오신호 출력 파형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각각 참조하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오디오신호 출력 파형에는 의미 단위의 청크구간(T1,T3,T5)와, 그 청크구간(T1,T3,T5)의 사이에 화자가 의미를 끊어, 그 의미를 강조하여 말하기 위해, 말하기가 중단된 휴지구간(T2,T4)이 존재한다. T0는 화자가 단순히 쉼을 쉬기 위하여 말하기를 잠시 중단 한 묵음구간이다.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면서, 음이 출력되지 않는 묵음을 검출하고, 그 묵음의 지속 길이가 설정시간 이상인지 판단한다.
이때의 판단결과 묵음의 지속 시간이 설정시간 이하이면, 이는 동일한 청크구간(T1) 내의 묵음구간(T0)으로 판단하며,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값이면 상기 묵음이 지속되는 시간을 휴지구간(T2,T4)으로 판단한다.
이때의 설정시간 또한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으며, 학습성취도가 높은 사용자일수록 보다 긴 시간으로 두어 청크의 길이를 더 길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묵음구간(TO)도 학습성취도가 낮은 사용자에게는 휴지구간이 되도록 설정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묵음구간(T0)과 휴지구간(T2,T4)의 차이는 화자가 단순히 숨을 쉬기 위해 말하기를 멈춘 것인지, 아니면 의미 전달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 의미 덩어리인 청크구간 후에 말하기를 멈춘 것인지에 대한 차이이다.
도 1b에서는 오디오신호 출력 기기를 조작하여 청취자가 중급학습용으로 편집하도록 제어한 결과로서, 상기 검출된 청크구간(T1,T3,T5) 사이의 휴지구간(T2,T4)의 길이를 연장한 것이다.
이는 오디오신호 출력 기기에서 휴지구간(T2,T4)이 검출되면, 소정의 시간만 큼 더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가능하게 된다.
도 1b의 예에서는 그 휴지구간(T2,T4) 이전의 청크구간(T1,T3)의 지속시간의 절반인 시간 동안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지연시키는 것을 예로하였으며, 도 1c는 초급학습자를 위해 그 휴지구간(T2,T4)의 길이를 보다 연장하여 이전의 청크구간(T1,T3)의 세배만큼 지연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그 휴지구간(T2,T4)의 길이를 이전의 청크구간(T1,T3)의 길이에 대한 비로 정하는 것은 오디오신호 출력의 청크 길이와 그 청크를 듣고 학습하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성취도에 맞춰 그 화자의 말을 따라 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휴지구간(T2,T4)과 청크구간(T1,T3,T5)의 구별은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묵음의 지속시간을 판단하여 휴지구간을 판정하고, 그 휴지구간 사이의 오디오신호 출력을 청크구간으로 판정함으로써 가능한 것으로, 구체적인 방식의 예는 아래의 실시예들과 같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당업자가 실시 가능한 정도로 구체화한 것이며, 이러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의 일실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101)와, 상기 복조부(101)에서 복조된 오디오신호의 코드를 계수하는 코드계수부(102)와, 상기 복조된 오디오신호의 펄스코드변조(PCM)를 비교하여 묵음과 청크를 판정하는 코드비교부(103)와, 상기 코드계수부(102)의 계수 값과 오디오신호의 전송속도를 비교하여 얻은 지속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코드비교부(103)에서 판정한 묵음구간이 설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지 판단한 후, 그 묵음 지속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이면 오디오 출력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휴지구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04)와, 상기 제어부(104)의 휴지구간의 시간을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105)와, 상기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필터링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방법의 일실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는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단계(S101)와, 그 오디오신호의 파일 포맷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02)와, 상기 오디오신호의 PCM 코드를 이용하여 묵음을 검출함과 아울러 그 묵음의 지속시간을 검출하는 단계(S103)와, 상기 묵음의 지속시간과 설정시간을 비교하는 단계(S104)와, 상기 묵음의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하이면, 상기 오디오신 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S101단계를 유지하는 단계(S105)와, 상기 판단결과 묵음의 시속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청크 후 휴지구간으로 판단하여, 지연설정에 따라 오디오신호 출력을 일시 정지시키는 단계(S106)와, 그 일시 정지된 상태의 시간이 상기 지연설정만큼 경과되었는지 판단하여 경과하였으면, 상기 S105단계를 수행하는 단계(S107)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복조부(101)를 통해 복조한다. 이때 디지털 오디오신호는 그 포맷에 제한이 없으며, 상기 복조부(101)에 의해 그 오디오신호의 속도(384Kbps, 192Kbps 등)와 전송율, 압축방식 등을 검출하며, 표준화 펄스코드변조(PCM)를 통해 특정한 비트 단위의 스텝으로 재정립한다.
그 다음, 코드계수부(102)는 상기 복조부(101)에서 복조된 정보에서 PCM코드를 계수하며 상기의 전송속도를 추출한다. 이는 제어부(104)에서 코드비교부(103)에서 검출된 묵음의 지속시간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즉, 전송속도를 감안한 코드의 계수 값을 이용하여 시간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코드비교부(103)에서는 동일 코드의 연소 검출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현재 오디오신호 출력이 청크 또는 묵음 임을 검출한다.
그 다음, 제어부(104)에서는 상기 코드비교부(103)의 정보와 코드계수부(102)의 정보를 이용하여, 묵음이 연속되는 지속시간을 검출하고, 그 지속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그 묵음구간을 휴지구간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04)에서 휴지구간을 검출한 경우, 그 휴지구간의 이전 오디오신호 출력을 하나의 청크로 판단하며, 그 청크 이후의 휴지기간을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한다.
상기 제어부(104)의 휴지구간 연장 시간은 검출된 청크의 지속시간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휴지구간의 연장은 오디오신호 출력을 일시 정지시키는 제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오디오신호 출력의 일시 정지 시간은 그 청크 지속시간과는 무관하게 특정한 시간으로 고정하여 설정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그 일시 정지 시간이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아래의 수학식1은 일시 정지 시간의 설정함수이다.
Dx=CX -1×n
여기서 Dx는 현재 일시 정지 시간이며, CX - 1는 이전상태의 청크 지속시간, n은 양의 정수 및 양의 소수이다.
이때, n의 값은 사용자의 학습 능력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그 n의 값은 상기 메모리(105)에 저장된다.
상기 일시 정지 시간은 외국어를 듣고 말하기 훈련이 잘 되어 있는 사람일수록 짧게 설정할 수 있으며, 외국어 듣고 말하기 훈련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길게 설정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조절된 오디오신호 출력의 형태는 도 1b와 도 1c를 통해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2>
도 4는 본 발명의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201)와, 상기 복조부(201)에서 복조된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전류량을 측정하는 제1변환부(202)와, 상기 제1변환부(202)의 출력신호를 미러링하여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제2변환부(203)와,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204)와, 상기 제1변환부(202)의 펄 스 발생주기를 검출하는 펄스발생주기 검출부(205)와, 상기 제1변환부(202)의 펄스의 진폭을 검출하여 청크 또는 묵음을 검출하는 진폭비교부(206)와, 상기 펄스발생주기 검출부(205)와 진폭비교부(206)의 처리결과를 입력 받아 묵음구간이 설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지 판단한 후, 그 묵음 지속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이면 오디오 출력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휴지구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07)와, 상기 제어부(207)의 휴지구간의 시간을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2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방법의 일실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단계(S201)와, 그 디지털 오디오신호의 파일 포맷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02)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신호의 전류량을 측정결과에서 펄스발생주기를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발생하는 펄스의 진폭을 비교하여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을 검출하는 단계(S203)와, 상기 묵음의 지속시간과 설정시간을 비교하는 단계(S204)와, 상기 묵음의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하이면, 상기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S201단계를 유지하는 단계(S205)와, 상기 판단결과 묵음의 시속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청크 후 휴지구간으로 판단하여, 지연설정에 따라 오디오신호 출력을 일시 정지시키는 단계(S206)와, 그 일시 정지된 상태의 시간이 상기 지연설정만큼 경과되었는지 판단하여 경과하였으면, 상기 S205단계를 수행하는 단계(S20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는 상기 실시예1의 구성과 유사하며, 다만 묵음의 검출과 그 묵음의 지속시간을 검출하는 수단에 차이가 있다.
즉, 실시예1에서는 묵음의 판정을 PCM 코드의 비교를 통해 하였고, 실시예2에서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의 변환과정에서 발생하는 PAM 펄스의 진폭을 비교함으로써 묵음을 판정한다.
다른 구성과 작용은 상기 실시예1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 오디오출력 제어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출력 제어장치의 일실시예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301)와, 상기 복조부(301)에서 복조된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전류량을 측정하는 제1변환부(302)와, 상기 제1변환부(302)의 출력신호를 미러링하여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제2변환부(303)와,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304)와, 상기 제2변환부(303)의 출력전압을 설정된 주기로 샘플링하는 전압샘플링부(305)와, 상기 제2변환부(303)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청크 또는 묵음 구간을 확인하는 전압비교부(306)와, 상기 전압샘플링부(305)와 전압비교부(306)의 처리결과를 입력 받아 묵음구간이 설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지 판단한 후, 그 묵음 지속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이면 오디오 출력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휴지구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07)와, 상기 제어부(307)의 휴지구간의 시간을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3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방법의 일실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단계(S301)와, 그 디지털 오디오신호의 파일 포맷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302)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변환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의 전압을 비교하여 묵음구간을 검출하고, 설정된 주기로 전압샘플링을 통해 그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을 검출하는 단계(S303)와, 상기 묵음의 지속시간과 설정시간을 비교하는 단계(S304)와, 상기 묵음의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하이면, 상기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S301단계를 유지하는 단계(S305)와, 상기 판단결과 묵음의 시속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청크 후 휴지구간으로 판단하여, 지연설정에 따라 오디오신호 출력을 일시 정지시키는 단계(S306)와, 그 일시 정지된 상태의 시간이 상기 지연설정만큼 경과되었는지 판단하여 경과하였으면, 상기 S305단계를 수행하는 단계(S30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에서 묵음 구간에서의 전압과 청크구간에서의 전압에 차이가 있는 것을 감안하여, 묵음의 판단을 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의 전압을 비교하여 묵음구간을 검출한다.
또한, 0.01초 정도의 짧은 주기로 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의 전압을 샘플링하여, 그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을 검출한다.
이와 같은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을 검출한 후에는 그 묵음구간의 지속시간과 설정시간을 비교하여, 이를 청크구간과 청크구간 사이의 휴지구간인지를 판단하며, 휴지구간인 경우 오디오신호 출력을 일시 정지시킨다.
이때 오디오신호 출력의 일시 정지 유지시간은 상기 수학식1에 따르며, 상기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의미를 가지는 청크와 그 청크 사이의 휴지구간을 구분하고, 그 하나의 단위 청크의 출력이 완료되면 그 휴지구간의 유지시간을 자동으로 보다 연 장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지털 오디오 기기를 통해 외국어를 청크단위로 끊어서 청취할 수 있어 의미 파악이 용이하도록 하며, 휴지구간의 연장을 통해 충분한 외국어 따라 말하기 학습을 수행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자동으로 청크 단위로 끊어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며, 그 청크와 청크 사이의 휴지구간의 유지시간을 사용자의 학습성취도 등을 감안하여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어, 외국어를 듣고 말하기 학습의 성취도가 높은 사람뿐만 아니라 성취도가 낮은 사람도 듣고 말하기 연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을 이용하여 청크를 검출하기 때문에 어떠한 포맷의 디지털 오디오신호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의 구성을 소프트웨어로도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PC 등의 오디오 재생 소프트웨어에도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의 출력을 변환하여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신호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에서 묵음구간을 검출하는 묵음구간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을 검출하는 묵음지속시간 검출부와, 상기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일 때 오디오신호 출력의 의미상 단위인 청크(chunk) 사이의 휴지구간으로 판단하여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사용자가 가변적으로 설정한 시간 동안 또는 고정된 설정 시간 동안 일시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가변적으로 설정한 일시 정지 시간은 상기 휴지구간의 이전의 상기 청크의 길이를 감안하여 아래의 수학식1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수학식1
    Dx=CX-1×n
    여기서 Dx는 현재 일시 정지 시간이며, CX-1는 이전상태의 청크 지속시간, n은 양의 정수 및 양의 소수로서 사용자가 학습능력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변수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묵음구간 검출부와 묵음지속시간 검출부는,
    상기 복조부에서 복조된 디지털 오디오신호의 정보인 PCM 코드를 비교하여 묵음구간을 검출하는 코드비교부와 디지털 오디오신호의 속도와 코드의 계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을 검출하는 코드계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묵음구간 검출부와 묵음지속시간 검출부는,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의 변환 과정에서 수행하는 펄스진폭변조 펄스의 진폭을 비교하여 묵음구간을 검출하는 진폭비교부와 그 펄스의 발생주기를 검출하여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을 검출하는 펄스발생주기 검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묵음구간 검출부와 묵음지속시간 검출부는,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의 출력전압을 비교하여 묵음구간을 검출하는 전압비교부와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의 출력전압을 주기적으로 샘플링하여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을 검출하는 전압샘플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6. 삭제
  7. a) 재생되는 오디오신호에서 묵음구간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묵음구간의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면, 이를 오디오신호의 의미 단위인 청크 사이의 휴지구간으로 인식하는 단계, d) 상기 휴지구간을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만큼 연장시켜 일정 시간 동안 오디오신호 출력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휴지구간 연장시간은 상기 휴지구간의 이전의 상기 청크의 길이를 감안하여, 아래의 수학식1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방법.
    수학식1
    Dx=CX-1×n
    여기서 Dx는 현재 일시 정지 시간이며, CX-1는 이전상태의 청크 지속시간, n은 양의 정수 및 양의 소수로서 사용자가 학습능력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변수이다.
KR1020060114426A 2006-11-20 2006-11-20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20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426A KR100820905B1 (ko) 2006-11-20 2006-11-20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426A KR100820905B1 (ko) 2006-11-20 2006-11-20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905B1 true KR100820905B1 (ko) 2008-04-11

Family

ID=3953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426A KR100820905B1 (ko) 2006-11-20 2006-11-20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9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911A2 (ko) * 2009-05-13 2010-11-18 Lee Doohan 멀티미디어파일 재생방법 및 멀티미디어 재생기기
CN106851422A (zh) * 2017-03-29 2017-06-13 苏州百智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自动暂停处理方法与系统
WO2018120627A1 (zh) * 2016-12-30 2018-07-05 华为技术有限公司 音频数据的处理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5682A (ja) * 1992-02-13 1993-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式ディスク再生装置
KR19980014549A (ko) * 1996-08-13 1998-05-25 배순훈 비디오테이프의 무신호구간에 따른 일시정지제어장치
JPH1124885A (ja) 1997-06-27 1999-01-29 Olympus Optical Co Ltd 音声再生装置および音声の再生処理をするため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9990035195A (ko) * 1997-10-31 1999-05-15 전주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5682A (ja) * 1992-02-13 1993-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式ディスク再生装置
KR19980014549A (ko) * 1996-08-13 1998-05-25 배순훈 비디오테이프의 무신호구간에 따른 일시정지제어장치
JPH1124885A (ja) 1997-06-27 1999-01-29 Olympus Optical Co Ltd 音声再生装置および音声の再生処理をするため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9990035195A (ko) * 1997-10-31 1999-05-15 전주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구동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911A2 (ko) * 2009-05-13 2010-11-18 Lee Doohan 멀티미디어파일 재생방법 및 멀티미디어 재생기기
WO2010131911A3 (ko) * 2009-05-13 2011-03-03 Lee Doohan 멀티미디어파일 재생방법 및 멀티미디어 재생기기
WO2018120627A1 (zh) * 2016-12-30 2018-07-05 华为技术有限公司 音频数据的处理方法和装置
US10979469B2 (en) 2016-12-30 2021-04-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06851422A (zh) * 2017-03-29 2017-06-13 苏州百智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自动暂停处理方法与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92853B2 (ja) オーディオ信号の伝送方法及び装置
JPH0226240B2 (ko)
KR100841096B1 (ko) 음성 코덱에 대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전처리 방법
US9002033B2 (en) Scaling a plurality of signals to prevent amplitude clipping
CN103270740A (zh) 声音控制装置、声音控制方法、声音控制程序以及移动终端装置
KR100820905B1 (ko) 오디오신호 출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S62274941A (ja) 音声符号化方式
DK202070869A1 (en) Voice coach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2010081523A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141503A (ko)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이용한 코드 데이터 전송 방법, 이를 수행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부터 코드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데이터 추출 장치
JP4127155B2 (ja) 聴覚補助装置
DE69227711D1 (de) Verfahren und Gerät zur Bestimmung der Wiedergabelautstärke in einem Sprachnachrichtensystem
JPH09138698A (ja) 音声記録再生装置
JP2905112B2 (ja) 環境音分析装置
JP4134844B2 (ja) 聴覚補助装置
Kuniszyk‐Jóźkowiak A comparison of speech envelopes of stutterers and nonstutterers
JPH0736487A (ja) 音声信号処理装置
JP2002287800A (ja) 音声信号処理装置
JP4973376B2 (ja) 音声の基本周期を検出する装置およびその基本周期を用いて話速変換を行う装置
JPH09146587A (ja) 話速変換装置
JP2602641B2 (ja) 音声符号化方式
JP3201327B2 (ja) 録音再生装置
KR100533217B1 (ko) 음성신호의 발성변환용 신호처리에 의한 친절 헤드폰장치
US20050060053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adaptively insert additional information into an audio signal, a method and apparatus to reproduce additional information inserted into audio data, and a recording medium to store programs to execute the methods
KR100282493B1 (ko) 정보 검출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Information Detec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