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340B1 - 유압식 핸드펌프 - Google Patents

유압식 핸드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340B1
KR100820340B1 KR1020080003156A KR20080003156A KR100820340B1 KR 100820340 B1 KR100820340 B1 KR 100820340B1 KR 1020080003156 A KR1020080003156 A KR 1020080003156A KR 20080003156 A KR20080003156 A KR 20080003156A KR 100820340 B1 KR100820340 B1 KR 100820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ump
oil tank
pump body
le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봉
Original Assignee
(주) 대진유압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진유압기계 filed Critical (주) 대진유압기계
Priority to KR102008000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14Pumps characterised by muscle-pow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 F16N13/06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60Fluid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16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식 핸드펌프에 관한 것으로, 펌프바디 및 오일탱크다리에는, 오일탱크의 양단이 펌프바디 및 오일탱크다리에 고정되도록 오일탱크지지수단이 결합되어 있고; 펌프바디의 상부면 및 레버바디의 저면은, 비돌출 평면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레버의 회동시 레버바디의 비돌출 저면이 펌프바디의 비돌출 평면에 면접촉되도록 되어 있으며; 펌프바디 및 레버바디에는, 레버바디의 저면이 펌프바디의 상부면에 접촉될 시 레버바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레버를 작동시킬 때마다 레버바디의 넓은 저면이 펌프바디의 넓은 상부면에 면접촉되면서 충격 및 가압력이 골고루 분산되므로 레버바디 및 펌프바디의 부분 파손이 방지되고, 레버 및 손잡이에 심한 충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에 의해 레버훅과 레버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레버가 레버훅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펌프바디, 레버바디, 레버, 레버훅, 볼, 스프링

Description

유압식 핸드펌프{hydraulic hand pump}
본 발명은 유압식 핸드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레버를 작동시킬 때에 레버바디와 펌프바디의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소음 저하 및 근골격계 질환을 방지할 수 있으며, 레버의 잠금 상태가 불필요하게 해제되지 않는 유압식 핸드펌프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유압펌프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유압시스템의 작동유의 압력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유압펌프는, 회전하는 한 쌍의 기어 사이의 공극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기어형과, 회전축과 동축상에 연결되는 베인을 이용하여 작동유를 압축시키는 베인형과, 수직 또는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실린더 부피를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작아지게 만들며 압축하는 방식의 회전피스톤형과,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바꾸어 실린더 내의 유압유를 피스톤으로 가압하는 왕복피스톤형이 있다.
유압펌프 중 왕복피스톤형 핸드펌프는 주로 소형 유압공구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즉, 전설공구, 좁아진 틈새를 벌리거나 잡아 당기는 장비인 유압램, 수중 또는 지상에서 장애물을 절단 또는 전개시키는 장비인 유압 스프레더와 같이 작업자 가 직접 휴대하여서 작업하는 소형의 유압공구에는 상술한 핸드펌프를 연결하여서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왕복피스톤형 핸드펌프는 보통 오일탱크와; 이 오일탱크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유압유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유압유를 유입구에서 배출구로 펌핑하기 위한 펌핑공간이 형성되며, 유입구, 배출구, 펌핑공간을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된 펌프바디와; 이 펌프바디의 펌핑공간에 설치되고 펌핑공간을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과; 펌프바디 및 피스톤에 연결되어서 피스톤을 왕복이송시키는 레버바디와; 레버바디에 연결되어서 이를 회동시키는 레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유압식 핸드펌프의 문제점을 보인 개략적 측면도로써, 이는, 레버바디(2)의 하부에 돌기 형태의 스토퍼(3)가 돌출되어 있다. 이 스토퍼(3)는 유압을 펌핑하기 위해 레버(4)를 하측으로 내릴 때에 펌프바디(1)의 상부에 접촉되면서 레버(4)가 더 이상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레버바디(2)의 스토퍼(3)는 레버(4)를 작동시킬 때마다 펌프바디(1)의 상부면에 부딪히면서 소음 및 충격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소음은 작업 환경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레버바디(2) 및 레버(4)에 발생된 충격은, 레버(4)의 손잡이(5)를 통해 근골격계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였다. 실제로 유압식 핸드펌프의 펌핑작업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자들 중에는 허리, 목, 어깨, 팔다리에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레버(4)를 작동시킬 때마다 스토퍼(3)가 펌프바디의 상부에 부딪히면서 스토퍼(3)에 충격이 가해지므로 돌출된 스토퍼(3)가 쉽게 파손되었다.
이러한 종래 유압식핸드펌프는 보관할 때에나 운반할 때에 도 1과 같이 레버훅(6)을 레버(4)에 채워서 레버(4)가 회동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보관하거나 운반한다. 이때 레버훅(6)이 레버(4)에 느슨하게 결합될 경우, 레버바디(2)의 스토퍼(3)가 펌프바디(1)의 대응면에 느슨하게 지지되므로 스토퍼(3) 및 대응 부위가 불필요하게 가압되지 않도록 하므로 이들의 파손이이 방지되는 반면에, 레버(4)가 약간씩 흔들리면서 레버훅(6)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레버훅(6)이 레버(4)에 타이트하게 결합될 경우, 레버(4)가 레버훅(6)으로부터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히 결합되므로 레버(4)를 잡고 이를 휴대하여도 레버(4)가 레버훅(6)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없는 반면에, 레버바디(2)의 스토퍼(3)가 펌프바디(1)의 대응면에 가압된 상태이므로 스토퍼(3)에 무리한 가압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레버바디(2)의 스토퍼(3) 및 펌프바디(1)의 대응 부분이 쉽게 파손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근골격계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켜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유압식 핸드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버를 작동시킬 때에 레버바디와 펌프바디 사이의 충격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압식 핸드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버훅이 레버에 결합되면 레버가 그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서 레버훅이 레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 유압식 핸드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유압식 핸드펌프는,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탱크의 일단이 삽입되는 오일탱크다리와, 상기 오일탱크의 타단이 삽입되며 상기 오일탱크 내의 오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바디와, 상기 펌프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오일탱크 내의 오일을 상기 펌프바디 측으로 펌핑하는 피스톤과, 일측이 상기 펌프바디에 회동핀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어서 상기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피스톤을 직선왕복시키는 레버바디와, 상기 레버바디에 결합되어서 상기 레버바디를 상기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레버와, 일측이 상기 펌프다리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레버에 착탈되는 레버훅이 구비되는 유압식 핸드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바디 및 오일탱크다리 에는, 상기 오일탱크의 양단이 상기 펌프바디 및 오일탱크다리에 고정되도록 오일탱크지지수단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펌프바디의 상부면 및 레버바디의 저면은, 비돌출 평면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레버의 회동시 상기 레버바디의 비돌출 저면이 상기 펌프바디의 비돌출 평면에 면접촉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바디 및 레버바디에는, 상기 레버바디의 저면이 상기 펌프바디의 상부면에 접촉될 시 상기 레버바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유압식 핸드펌프의 다른 특징은, 상기 오일탱크지지수단은, 일단에 상기 펌프바디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제1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오일탱크다리의 관통구멍에 관통되는 제2수나사부가 형성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제2수나사부에 체결되어서 상기 오일탱크의 양단을 상기 펌프바디 및 오일탱크다리에 결합시키는 체결너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유압식 핸드펌프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은, 레버바디의 저면측으로 개방된 레버바디의 스프링구멍과, 상기 스프링구멍 내에서 자유롭게 이송되도록 내장되고 일부분이 상기 스프링구멍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과, 상기 스프링구멍에 내장되어서 상기 볼을 상기 스프링구멍의 외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유압식 핸드펌프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은, 레버바디의 저면측으로 개방된 레버바디의 스프링구멍과, 일단이 상기 스프링구멍 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펌프바디의 상부면에 지지되어서 상기 레버바디를 상측 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유압식 핸드펌프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은, 레버바디의 저면측으로 개방된 레버바디의 제1스프링구멍과, 펌프바디의 상부면측으로 개방된 펌프바디의 제2스프링구멍과, 일단이 상기 제1스프링구멍 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펌프바디의 제2스프링구멍 내에 고정되어서 상기 레버바디를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유압식 핸드펌프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은, 레버바디의 저면에 부착된 제1탄성판과, 펌프바디의 상부면에 부착된 제2탄성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레버를 작동시키면 비교적 넓은 접촉면을 갖는 레버바디의 저면이 이에 대응되는 펌프바디의 상부면에 면접촉되므로 레버바디 및 펌프바디의 가압면적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레버를 작동시킬 때마다 레버바디 및 펌프바디의 넓은 면들이 접촉되므로 이들 사이에 소음 및 심한 충격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유압식핸드펌프를 작동시켜도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작업 환경이 그만큼 개선되며, 레버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근골격계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레버를 작동시킬 때마다 레버바디의 넓은 저면이 펌프바디의 넓은 상부면에 면접촉되면서 충격 및 가압력이 골고루 분산되며, 이에 따라 레버바디 및 펌프바디의 부분 파손이 방지된다.
그리고 레버훅의 자유단을 레버에 결합시키면 스프링이 볼을 펌프바디의 상부면측으로 밀어서 레버바디 및 레버가 그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레버훅의 자유단은 레버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레버훅을 레버에 결합시키면 레버바디와 펌프바디가 불필요하게 큰 힘으로 가압되지 않으면서도 레버훅과 레버는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레버바디 및 펌프바디의 부분 손상없이 레버가 레버훅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압식 핸드펌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요부 확대 단면도, A-A'선 단면도, 측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압식 핸드펌프은, 오일탱크(10)와, 오일탱크(10)의 일단이 삽입되는 오일탱크다리(30)와, 오일탱크(10)의 타단이 삽입되며 오일탱크(10) 내의 오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바디(20)가 구비된다.
펌프바디(20)의 내부에는 오일탱크(10) 내의 오일을 펌프바디(20) 측으로 펌핑하도록 피스톤(40)이 설치된다. 펌프바디(20)와 피스톤(40)의 상부는 피스톤핀(41)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펌프바디(2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시 피스톤(40)이 이를 따라 승강된다.
펌프바디(20)의 상부 일측에는 레버바디(50)의 대응 부위가 회동핀(53)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바디(50)는 회동핀(53)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피스톤(40)을 직선왕복시키게 된다. 레버바디(50)의 자유단 측에는 이 레버바디(50)를 회동핀(53)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도록 레버(60)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레버(60)의 타단에는 손잡이(61)가 구비된다.
오일탱크다리(30)에는 손잡이(61)의 일단이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이 손잡이(61)의 타단은 레버(60)에 착탈된다.
한편, 펌프바디(20) 및 오일탱크다리(30)에는, 오일탱크(10)의 양단이 펌프바디(20) 및 오일탱크다리(30)에 고정되도록 오일탱크지지수단(80)이 결합되어 있다. 이 오일탱크지지수단(80)은, 지지봉(81)과 체결너트(84)로 이루어진다. 지지봉(81)은, 일단에 펌프바디(20)의 암나사부(21)에 체결되는 제1수나사부(82)가 형성되고, 타단에 오일탱크다리(30)의 관통구멍(31)에 관통되는 제2수나사부(83)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너트(84)는, 지지봉(81)의 제2수나사부(83)에 체결되어서 오일탱크(10)의 양단을 펌프바디(20) 및 오일탱크다리(30)에 결합시킨다.
펌프바디(20)의 상부면(22) 및 레버바디(50)의 저면은, 비돌출 평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60)의 회동시 레버바디(50)의 비돌출 저면(51)이 펌프바디(20)의 비돌출 상부면(22)에 면접촉된다. 따라서 레버(60)를 작동시키면 비교적 넓은 접촉면을 갖는 레버바디(50)의 저면(51)이 이에 대응되는 펌프바디(20)의 상부면(22)에 면접촉되므로 레버바디(50) 및 펌프바디(20)의 가압면적이 극대화된다. 그러므로 레버(60)를 작동시킬 때마다 레버바디(50) 및 펌프바디(20)의 넓은 면들이 접촉되므로 종래와 같이 스토퍼(3)의 단부가 펌프바디(1)의 대응면 에 부딪히면서 발생되었던 소음 및 충격이 방지된다. 이러한 소음 및 충격 방지는 작업 환경을 그만큼 개선시킬 뿐 아니라 근골격계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즉, 레버(60)에 발생된 충격은 손잡이(61)를 통해 작업자의 팔, 어깨, 허리 등의 신체에 지속적으로 전달되면서 그 부위의 피로를 가중시키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근골격계를 손상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의 유압식 핸드펌프는 충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압식 핸드펌프는 레버(60)를 작동시킬 때마다 레버바디(50)의 넓은 저면(51)이 펌프바디(20)의 넓은 상부면(22)에 면접촉되면서 충격 및 가압력이 넓은 면 전체에 골고루 분산된다. 그러므로 반복적인 펌핑작업 시 그 충격 및 가압력이 레버바디(50) 및 펌프바디(20) 전체에 골고루 분산되므로 이들의 일부만 집중적으로 파손되는 종래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압식 핸드펌프는, 펌프바디(20) 및 레버바디(50)에, 레버바디(50)의 저면(51)이 펌프바디(20)의 상부면(22)에 접촉될 시 레버바디(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90)이 설치된다.
이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90)은, 레버바디(50)의 저면(51)측으로 개방된 레버바디(50)의 스프링구멍(52)과, 스프링구멍(52) 내에서 자유롭게 이송되도록 내장되고 일부분이 스프링구멍(5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91)과, 스프링구멍(52)에 내장되어서 볼(91)을 스프링구멍(52)의 외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9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손잡이(61)의 자유단을 레버(60)에 결합시키면 스프링(92)이 볼(91) 을 펌프바디(20)의 상부면측으로 밀어서 레버바디(50) 및 레버(60)가 그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손잡이(61)의 자유단은 레버(6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압식 핸드펌프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손잡이(61)의 자유단을 레버(60)로부터 해제시킨다. 그리고 레버(60)의 손잡이(61)를 잡고 상하로 회동시키면 레버바디(50)가 회동핀(53)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피스톤(40)을 승강시킨다. 피스톤(40)의 승강됨에 따라 오일탱크(10) 내의 오일이 펌프바디(20)를 통해 외부로 펌핑된다. 여기서, 오일의 펌핑과정은 펌프바디(20)의 유로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오일의 펌핑 유로 및 그 과정은 유압식 핸드펌프에 있어서 이미 여러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레버(60)의 손잡이(61)가 상하방향으로 펌핑됨에 따라 레버바디(50)의 넓은 저면(51)이 펌프바디(20)의 대응 상부면(22)에 접촉되었다가 떨어지는 작업이 반복된다. 펌핑작업을 마치면 손잡이(61)의 단부를 레버(60)에 걸어서 레버(60)의 자유단을 지지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압식 핸드펌프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레버(60)를 작동시키면 비교적 넓은 접촉면을 갖는 레버바디(50)의 저면이 이에 대응되는 펌프바디(20)의 상부면(22)에 면접촉되므로 레버바디(50) 및 펌프바디(20)의 가압면적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레버(60)를 작동시킬 때마다 레버바디(50) 및 펌프바디(20)의 넓은 면들이 접촉되므로 이들 사이에 소음 및 심한 충 격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유압식 핸드펌프를 작동시켜도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작업 환경이 그만큼 개선되며, 레버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근골격계의 손상이 방지된다.
둘째, 레버(60)를 작동시킬 때마다 레버바디(50)의 넓은 저면(51)이 펌프바디(20)의 넓은 상부면(22)에 면접촉되면서 충격 및 가압력이 골고루 분산되며, 이에 따라 레버바디(50) 및 펌프바디(20)의 부분 파손이 방지된다.
셋째, 손잡이(61)의 자유단을 레버(60)에 결합시키면 스프링(92)이 볼(91)을 펌프바디(20)의 상부면(22)측으로 밀어서 레버바디(50) 및 레버(60)가 그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손잡이(61)의 자유단은 레버(6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손잡이(61)을 레버(60)에 결합시키면 레버바디(50)와 펌프바디(20)가 불필요하게 큰 힘으로 가압되지 않으면서도 손잡이(61)과 레버(60)는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레버바디(50) 및 펌프바디(20)의 부분 손상없이 레버(60)가 손잡이(6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도 6은,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12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로써, 이는, 레버바디(100)의 저면측으로 개방된 레버바디(100)의 스프링구멍(101)과, 일단이 스프링구멍(101) 내에 고정되고 타단이 펌프바디(110)의 상부면에 지지되어서 레버바디(100)를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21)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120)은, 스프링(121)의 상단이 레버바디(100) 의 스프링구멍(10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바디(10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이와 함께 상승된다. 레버바디(100)를 펌프바디(110) 측으로 내려서 펌프바디(110)의 상부면에 레버바디(100)의 저면이 접촉되도록 하면 스프링(121)의 하단이 펌프바디(110)의 상부면에 직접 접촉되어서 레버바디(100)를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손잡이(61)의 자유단을 레버(60)에 결합시키면 레버바디(100)가 스프링(121)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그러므로, 레버바디(100)와 펌프바디(110)가 불필요하게 큰 힘으로 가압되지 않으면서도 손잡이(61)과 레버(60)는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레버바디(100) 및 펌프바디(110)의 부분 손상없이 레버(60)가 손잡이(6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도 7은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15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로써, 이는, 레버바디(130)의 저면측으로 개방된 레버바디(130)의 제1스프링구멍(131)과, 펌프바디(140)의 상부면측으로 개방된 펌프바디(140)의 제2스프링구멍(141)과, 일단이 제1스프링구멍(131) 내에 고정되고 타단이 펌프바디(140)의 제2스프링구멍(141) 내에 고정되어서 레버바디(130)를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51)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압식 핸드펌프는, 레버(6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스프링(151)이 늘어나면서 레버바디(130)가 상측으로 회동되고, 레버(60)를 하측으로 내리면 스프링(151)이 압축되면서 레버바디(130)가 하측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은 발명은 펌프바디(140)에도 제2스프링구멍(141)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151)의 양단이 제1스프링구멍(131)과 제2스프링구멍(141)에 각각 고정된 점만 다르며, 그 외의 작용,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8은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18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로써, 이는, 레버바디(160)의 저면에 부착된 제1탄성판(181)과, 펌프바디(170)의 상부면에 부착된 제2탄성판(18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탄성판(181) 및 제2탄성판(182)은, 고무나 스펀지와 갖은 탄력을 갖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압식 핸드펌프는, 손잡이(61)을 레버(60)에 채우면 제1탄성판(181) 및 제2탄성판(182)이 서로 밀착되며, 이들에 의해 레버바디(160)가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레버바디(16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스프링(92) 대신에 제1탄성판(181) 및 제2탄성판(182)을 사용한 점이 다르면 이에 따른 작용,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1은 종래 유압식 핸드펌프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압식 핸드펌프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부분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요부 확대 단면도, A-A'선 단면도, 측면도
도 6은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7은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8은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일탱크 20,110,140,170 : 펌프바디
21 : 암나사부 22 : 상부면
30 : 오일탱크다리 31 : 관통구멍
40 : 피스톤 41 : 피스톤핀
50,100,130,160 : 레버바디 51 : 저면
52,101 : 스프링구멍 53 : 회동핀
60 : 레버 61 : 손잡이
70 : 레버훅 80 : 오일탱크지지수단
81 : 지지봉 82 : 제1수나사부
83 : 제2수나사부 84 : 체결너트
90,120,150,180 :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 91 : 볼
92,121,151 : 스프링 131 : 제1스프링구멍
141 : 제2스프링구멍 181 : 제1탄성판
182 : 제2탄성판

Claims (6)

  1.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탱크의 일단이 삽입되는 오일탱크다리와, 상기 오일탱크의 타단이 삽입되며 상기 오일탱크 내의 오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바디와, 상기 펌프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오일탱크 내의 오일을 상기 펌프바디 측으로 펌핑하는 피스톤과, 일측이 상기 펌프바디에 회동핀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어서 상기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피스톤을 직선왕복시키는 레버바디와, 상기 레버바디에 결합되어서 상기 레버바디를 상기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레버와, 일측이 상기 오일탱크다리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레버에 착탈되는 레버훅이 구비되는 유압식 핸드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바디(20)(110)(140)(170) 및 오일탱크다리(30)에는, 상기 오일탱크(10)의 양단이 상기 펌프바디(20)(110)(140)(170) 및 오일탱크다리(30)에 고정되도록 오일탱크지지수단(8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펌프바디(20)(110)(140)(170)의 상부면(22) 및 레버바디(50)(100)(130)(160)의 저면은, 비돌출 평면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레버(60)의 회동시 상기 레버바디(50)(100)(130)(160)의 비돌출 저면(51)이 상기 펌프바디(20)(110)(140)(170)의 비돌출 상부면(22)에 면접촉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바디(20)(110)(140)(170) 및 레버바디(50)(100)(130)(160)에는, 상기 레버바디(50)(100)(130)(160)의 저면(51)이 상기 펌프바디(20)(110)(140)(170)의 상부면(22)에 접촉될 시 상기 레버바디(50)(100)(130)(160)를 탄성적으로 지지 하도록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90)(120)(150)(18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핸드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탱크지지수단(80)은,
    일단에 상기 펌프바디(20)의 암나사부(21)에 체결되는 제1수나사부(82)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오일탱크다리(30)의 관통구멍(31)에 관통되는 제2수나사부(83)가 형성된 지지봉(81)과,
    상기 지지봉(81)의 제2수나사부(83)에 체결되어서 상기 오일탱크(10)의 양단을 상기 펌프바디(20) 및 오일탱크다리(30)에 결합시키는 체결너트(8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핸드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90)은,
    레버바디(50)의 저면측으로 개방된 레버바디(50)의 스프링구멍(52)과,
    상기 스프링구멍(52) 내에서 자유롭게 이송되도록 내장되고 일부분이 상기 스프링구멍(5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91)과,
    상기 스프링구멍(52)에 내장되어서 상기 볼(91)을 상기 스프링구멍(52)의 외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9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핸드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120)은,
    레버바디(100)의 저면측으로 개방된 레버바디(100)의 스프링구멍(101)과,
    일단이 상기 스프링구멍(101) 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펌프바디(110)의 상부면에 지지되어서 상기 레버바디(100)를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2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핸드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150)은,
    레버바디(130)의 저면측으로 개방된 레버바디(130)의 제1스프링구멍(131)과,
    펌프바디(140)의 상부면측으로 개방된 펌프바디(140)의 제2스프링구멍(141)과,
    일단이 상기 제1스프링구멍(131) 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펌프바디(140)의 제2스프링구멍(141) 내에 고정되어서 상기 레버바디(130)를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5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핸드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바디탄성지지수단(180)은,
    레버바디(160)의 저면에 부착된 제1탄성판(181)과,
    펌프바디(170)의 상부면에 부착된 제2탄성판(18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핸드펌프.
KR1020080003156A 2008-01-10 2008-01-10 유압식 핸드펌프 KR100820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156A KR100820340B1 (ko) 2008-01-10 2008-01-10 유압식 핸드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156A KR100820340B1 (ko) 2008-01-10 2008-01-10 유압식 핸드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340B1 true KR100820340B1 (ko) 2008-04-08

Family

ID=3953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156A KR100820340B1 (ko) 2008-01-10 2008-01-10 유압식 핸드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3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441B1 (ko) 2013-04-17 2014-03-17 박용섭 유압 핸드펌프
CN106401939A (zh) * 2016-12-09 2017-02-15 徐玉炜 一种一体式加油泵手柄及后盖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467U (ko) 1978-06-28 1980-01-17
JPS6393479U (ko) 1986-12-08 1988-06-16
JPH0519568U (ja) * 1991-08-26 1993-03-12 五郎 丸山 足踏式油圧ポンプの開放弁操作ペダル
KR200411859Y1 (ko) 2006-01-10 2006-03-17 설철수 유압펌프용 유동식 이중피스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467U (ko) 1978-06-28 1980-01-17
JPS6393479U (ko) 1986-12-08 1988-06-16
JPH0519568U (ja) * 1991-08-26 1993-03-12 五郎 丸山 足踏式油圧ポンプの開放弁操作ペダル
KR200411859Y1 (ko) 2006-01-10 2006-03-17 설철수 유압펌프용 유동식 이중피스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441B1 (ko) 2013-04-17 2014-03-17 박용섭 유압 핸드펌프
CN106401939A (zh) * 2016-12-09 2017-02-15 徐玉炜 一种一体式加油泵手柄及后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340B1 (ko) 유압식 핸드펌프
US2373057A (en) Can crusher
CA2349353A1 (en) Downhole vibrator
CN216065621U (zh) 一种带有自动防护功能的零件用自动化钻孔设备
CN101480640B (zh) 齿轮传动式喷雾器
CN211412835U (zh) 一种机械零件保养用全方位清理装置
CN209810255U (zh) 一种颚式破碎机定颚机构
CN109290485B (zh) 一种建筑用钢筋压直设备
CN209136905U (zh) 一种耳科用手术刀清洗消毒装置
CN201183036Y (zh) 齿轮传动式喷雾器
CN204220344U (zh) 手摇式农用喷雾器
CN212494532U (zh) 一种土壤生态修复装置
KR101897437B1 (ko) 고유압발생실린더장치
KR100854777B1 (ko) 휴대용 자동펌프
CN108244080B (zh) 一种背负式喷雾器
JP5742258B2 (ja) 空気圧縮機
CN108051297B (zh) 一种机械类金属弹片疲劳强度测试设备
US1574518A (en) Pump-plunger rotor
KR200456488Y1 (ko) 공기압축용 분무기
RU14981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резания свай с составными зубьями
KR102100279B1 (ko) 수동분무기의 플런저 자동승강장치
CN202326197U (zh) 一种抽油机碰泵调节装置
CN212310003U (zh) 面料功能性涂层的处理机构
CN211638186U (zh) 一种汽车零部件加工空气锤的安全防护装置
CN109807704A (zh) 一种管状五金件打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