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509B1 -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dc/dc 변환기 - Google Patents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dc/dc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509B1
KR100819509B1 KR1020070078632A KR20070078632A KR100819509B1 KR 100819509 B1 KR100819509 B1 KR 100819509B1 KR 1020070078632 A KR1020070078632 A KR 1020070078632A KR 20070078632 A KR20070078632 A KR 20070078632A KR 100819509 B1 KR100819509 B1 KR 100819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tching
output
converter
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슬이
한아름
소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룩센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룩센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룩센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7007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4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7/04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4106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를 변환시켜 출력전압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DC/DC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기는, 일정 주파수를 갖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 출력전압을 피드백 받아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피드백부; 상기 펄스 생성부 및 피드백부와 연결되고, 상기 생성된 펄스 신호와 피드백신호를 인가받아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주파수 변환부; 상기 주파수 변환부와 연결되고, 주파수가 변환된 펄스 신호를 인가받아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 상기 스위칭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입력전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공급되는 입력전압을 일정크기의 전압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C/DC 변환기, 삼각파, 직류전원, 피드백, 스위칭 제어

Description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DC/DC 변환기{DC/DC converter to reduce noise}
본 발명은 DC/DC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하나의 직류전압 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다른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반도체 회로로 구성된 변환기로써 출력전압을 피드백받아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출력전압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DC/DC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C/DC 변환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하나의 직류전압을 변환시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전압으로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DC/DC 변환기는 직류전압을 공급받아 이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부와, 변환기 외부에 인덕터 및 캐패시터 등으로 구성된 출력부로 구성되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류를 피드백 받아 스위칭부를 제어함으로써 출력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며, 이에 따라 출력된 전류를 캐패시터를 통해 충전 및 방전시킴으로써 직류 성분의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하,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DC/DC 변환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DC/DC 변환기의 회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DC/DC 변환기의 제1 제어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DC/DC 변환기의 출력전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DC/DC 변환기는 펄스 생성부(110), 스위칭 제어부(120), 비교부(130), 피드백부(140), 스위칭부(150) 및 출력부(1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펄스 생성부(110)는 상기 스위칭 제어부(120)와 연결되고, 일정 주기를 갖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120)는 상기 펄스 생성부(110), 비교부(130), 피드백부(140) 및 스위칭부(150)와 연결되고, 상기 펄스 생성부(110)에 의해 전달된 펄스 신호와 상기 비교부(130) 및 피드백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칭부(15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제어신호(S1, S2)를 출력한다.
상기 피드백부(140)는 상기 스위칭 제어부(120), 비교부(130) 및 출력부(160)와 연결되고, 상기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는 피드백전압(Vf)을 인가받아 상기 비교부(130) 및 스위칭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비교부(130)는 상기 피드백전압(Vf)이 기 설정된 기준전압(Vref)보다 작거나 클 경우 이를 판단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부(120)로 전달하고 상기 스 위칭 제어부(120)에서는 상기 비교부(130) 및 피드백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칭부(15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제어신호(S1, S2)의 듀티폭을 제어하여 출력한다.
이렇게 상기 스위칭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칭부(150)는 제1 제어신호(S1)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스위칭수단(M1)과 제2 제어신호(S2)에 의해 제어되는 제2 스위칭수단(M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S1, S2)에 의해 온/오프 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원(Vin)을 상기 출력부(160)로 공급 또는 차단시킴에 따라 출력전압(Vout)의 크기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160)는 일단이 상기 스위칭부(150)와 연결된 인덕터(L)와, 상기 인덕터(L)의 타단 및 피드백부(140)와 연결되고 상기 출력전압(Vout)을 분배하기 위한 전압분배부(161)와, 상기 출력전류(io)를 인가받아 충전시키는 커패시터(C)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압분배부(161)는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가변저항(R1, R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전류(io)를 인가받아 상기 제1 및 제2 가변저항(R1, R2)에 의해 분배된 피드백전압(Vf)을 상기 피드백부(14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압분배부(161)로부터 피드백받은 피드백전압(Vf)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전압(Vref)보다 높을 경우 상기 스위칭제어부(120)는 상기 스위칭부(150)의 제1 스위칭수단(M1)의 온 시간을 더 감소시키고 제2 스위칭수단(M2)의 온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출력전압(Vout)을 감소시킨다. 만약, 상기 피드백전압(Vf)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전압(Vref)보다 낮을 경우 상기 스위칭 제어부(120)는 제1 스위칭수단(M1)의 온 시간을 증가시키고 제2 스위칭수단(M2)의 온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출력전압(Vout)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DC/DC 변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에 의한 DC/DC 변환기는 이의 제1 제어신호 및 출력전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인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전류(io)는 제1 제어신호(S1)가 하이레벨(high level) 구간에서 증가하고 로우레벨(low level) 구간에서 감소하는 삼각파로 출력되기 때문에 이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Vout)이 상기 삼각파 형태의 출력전류(io)에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DC/DC 변환기의 최종 출력전압(Vout)은 완전한 직류의 전압으로 출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출력전압(Vout)에서 상기 삼각파 형태의 출력전류(io)의 영향에 의한 증가와 감소가 노이즈로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출력전압(Vout)의 노이즈는 직류전압을 전원전압으로 사용하는 다른 회로에 그대로 전달되어 안정된 동작을 하지 못하여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출력전압(Vout)이 출력되지 않을 경우, 즉 출력전압(Vout)이 크거나 작을 경우 출력에 제1 및 제2 가변저항(R1, R2)을 사용하여 그 크기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는 하나의 반도체로 집적화할 경우 외부 부품의 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 가변저항(R1, R2)에 의해 반도체칩의 크기가 결정되고 서로 크기가 다른 다수의 출력전압을 출력하기가 불가능하며 출력전압(Vout)의 크기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가변저항(R1, R2) 값을 변경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출력전압을 피드백받아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반도체칩 내에 구성이 가능하며, 직류 성분의 출력전압을 출력할 수 있게 됨으로써 노이즈를 줄일 수 있는 DC/DC 변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기는, 일정 주파수를 갖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 출력전압을 피드백 받아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피드백부; 상기 펄스 생성부 및 피드백부와 연결되고, 상기 생성된 펄스 신호와 피드백신호를 인가받아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주파수 변환부; 상기 주파수 변환부와 연결되고, 주파수가 변환된 펄스 신호를 인가받아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 상기 스위칭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입력전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공급되는 입력전압을 일정크기의 전압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싸인파 형태의 출력전류에 의해 직류 성분의 출력전압을 출력함으로써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일단이 상기 스위칭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공급되는 입력전압을 인가받아 출력전류를 출력하는 인덕터; 및 일단이 상기 인덕터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드레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인가받으며 게이트가 상기 스위칭 제어부와 연결된 제1 스위칭수단; 및 드레인이 상기 제1 스위칭수단의 소스와 연결되고 소스가 접지되며 게이트가 상기 스위칭 제어부와 연결된 제2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DC/DC 변환기는, 출력전압을 피드백 받아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하여 직류 성분의 출력전압을 출력함으로써 출력전압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DC/DC 변환기는, 디지털 회로로 구성되어 직류 성분의 출력전압을 출력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하나의 반도체칩 내에 구성이 가능하여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DC/DC 변환기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과 그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이하,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DC/DC 변환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기의 제1 제어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기의 출력전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DC/DC 변환기는, 펄스 생성부(210), 주파수 변환부(220), 피드백부(230), 스위칭 제어부(240), 스위칭부(250) 및 출력부(2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펄스 생성부(210)는, 상기 주파수 변환부(220)와 연결되고 일정 주파수를 가지는 구형파(square wave)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주파수 변환부(220)에 전달한다.
상기 주파수 변환부(220)는, 상기 펄스 생성부(210), 피드백부(230) 및 스위칭 제어부(240)와 연결되고 상기 펄스 생성부(210)로부터 생성된 펄스 신호와 피드백부(230)로부터 출력되는 피드백신호(f)를 인가받아 상기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시킨다.
또한, 상기 피드백부(230)는, 상기 주파수 변환부(220) 및 출력부(260)와 연결되고 상기 출력부(260)의 출력전압(Vout)을 피드백 받아 상기 피드백신호(f)를 생성하며 이를 주파수 변환부(22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피드백부(230)는 상기 출력전압(Vout)을 인가받아 이를 이에 해당하는 전압 또는 전류 형태의 피드백신호(f)로 출력할 수 있는데 이러한 피드백신호(f)의 형태는 상기 주파수 변환부(220)에 의해 선택된다. 한편, 상기 출력전압(Vout)에 따라 출력되는 피드백신호(f)의 크기는 상기 피드백부(230)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240)는 상기 주파수 변환부(220) 및 스위칭 제어부(240)와 연결되고, 상기 주파수 변환부(220)로부터 주파수가 변환되어 출력되는 펄스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위칭부(24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제어신호(S1, S2)를 출력한다.
특히, 상기 스위칭 제어부(240)는 종래와 같이 제1 및 제2 제어신호(S1, S2)의 듀티 폭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S1, S2)의 주파수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부(250)는 제1 및 제2 스위칭수단(M1, M2)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240) 및 출력부(260)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M1, M2)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어 입력전압(Vin)의 공급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1 스위칭수단(M1)은 드레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Vin)을 인가받으며 게이트가 상기 스위칭 제어부(240)와 연결되고 소스가 상 기 제2 스위칭수단(M2)의 드레인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칭수단(M2)은 드레인이 상기 제1 스위칭수단(M1)의 소스와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스위칭 제어부(240)와 연결되며 소스가 접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위칭부(250)는 상기 스위칭 제어부(240)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 제어신호(S1, S2)에 의해 온/오프 제어됨으로써 제1 스위칭수단(M1)이 온 될 경우 상기 입력전압(Vin)을 출력부(260)에 공급하고 제2 스위칭수단(M2)이 온 될 경우 상기 제1 스위칭수단(M1)이 오프되어 상기 입력전압(Vin)이 상기 출력부(26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260)는 인덕터(L) 및 커패시터(C)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칭부(250) 및 피드백부(230)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부(250)에 의해 공급되는 입력전압(Vin)을 일정 크기의 전압을 갖는 출력전압(Vout)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인덕터(L)는 일단이 상기 스위칭부(250)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부(250)에 의해 공급되는 입력전압(Vin)을 인가받아 출력전류(io)를 출력하며, 상기 커패시터(C)는 일단이 상기 인덕터(L)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상기 인덕터(L)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전류(io)를 충전 및 평활시킴으로써 직류성분의 출력전압(Vout)을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DC/DC 변환기의 동작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전압(Vout)이 10V 일 경우 상기 DC/DC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Vout)이 5V로 출력되면 상기 피드백부(230)는 상기 출력전압(Vout)을 피드백 받아 피드백신호(f)를 주파수 변환부(220)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주파수 변환부(220)에서는 상기 피드백신호(f)에 의해 현재 출력전압(Vout)의 크기가 원하는 출력전압(Vout)보다 작음을 인지하여 주파수를 변환시킨다. 이때, 상기 스위칭 제어부(240)는 변환된 주파수를 인가받아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수단(M1, M2)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제어신호(S1, S2)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수단(M1, M2)은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S1, S2)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어 출력전압(Vout)을 상승시킨다.
만약, 상기 출력전압(Vout)이 15V로 출력될 경우, 상기 피드백부(230)는 상기 출력전압(Vout)을 피드백 받아 피드백신호(f)를 주파수 변환부(220)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주파수 변환부(220)에서는 상기 피드백신호(f)에 의해 현재 출력전압(Vout)의 크기가 원하는 출력전압(Vout)보다 큰 것을 인지하여 주파수를 변환시킨다. 이때, 상기 스위칭 제어부(240)는 변환된 주파수를 인가받아 제1 및 제2 제어신호(S1, S2)를 출력하게 되고 이를 인가받은 제1 및 제2 스위칭수단(M1, M2)은 이에 의해 온/오프 제어됨으로써 출력전압(Vout)의 크기를 줄인다.
이러한 동작으로 인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신호(S1)는 주파수가 변하여 출력되고 이에 따른 출력전류(io)는 종래의 출력전류(io)와 같은 삼각파가 아닌 싸인파(sine wave)에 가깝게 되어 이를 평활시킴으로써 직류 성분의 출력전압(Vout)을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DC/DC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Vout)을 입력전압으로 사용하는 장치들에 직류 성분의 출력전압(Vout)을 공급함으로써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DC/DC 변환기는 출력부(260)에 제1 및 제2 가변저항(R1, R2)을 제거함으로써 DC/DC 변환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하나의 반도체칩(System on Chip)으로 제작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DC/DC 변환기의 회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DC/DC 변환기의 제1 제어신호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DC/DC 변환기의 출력전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기의 제1 제어신호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기의 출력전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펄스 생성부 220 : 주파수 변환부
230 : 피드백부 240 : 스위칭 제어부
250 : 스위칭부 260 : 출력부

Claims (3)

  1. 일정 주파수를 갖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
    출력전압을 피드백 받아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피드백부;
    상기 펄스 생성부 및 피드백부와 연결되고, 상기 생성된 펄스 신호와 피드백신호를 인가받아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주파수 변환부;
    상기 주파수 변환부와 연결되고, 주파수가 변환된 펄스 신호를 인가받아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
    상기 스위칭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입력전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공급되는 입력전압을 일정크기의 전압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DC/DC 변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일단이 상기 스위칭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공급되는 입력전압을 인가받아 출력전류를 출력하는 인덕터; 및
    일단이 상기 인덕터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변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드레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인가받으며 게이트가 상기 스위칭 제어부와 연결된 제1 스위칭수단; 및
    드레인이 상기 제1 스위칭수단의 소스와 연결되고 소스가 접지되며 게이트가 상기 스위칭 제어부와 연결된 제2 스위칭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변환기.
KR1020070078632A 2007-08-06 2007-08-06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dc/dc 변환기 KR100819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632A KR100819509B1 (ko) 2007-08-06 2007-08-06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dc/dc 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632A KR100819509B1 (ko) 2007-08-06 2007-08-06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dc/dc 변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509B1 true KR100819509B1 (ko) 2008-04-04

Family

ID=3953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632A KR100819509B1 (ko) 2007-08-06 2007-08-06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dc/dc 변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5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559A (ko) * 2005-06-24 2006-12-2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칭 제어 회로 및 자려형 dc―dc 컨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559A (ko) * 2005-06-24 2006-12-2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칭 제어 회로 및 자려형 dc―dc 컨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8625B2 (en) Voltage reg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to a load
CN108781034B (zh) 受控的自适应功率限制器
TWI551051B (zh) 用於軟起動具有預充電輸出之電源轉換器之系統及方法
US9529373B2 (en) Switching regulator and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048729B2 (en) Step-up/down DC-DC converter and switching control circuit
US8508206B2 (en) Adaptive constant on time adjustment circuit and method for adaptively adjusting constant on time
EP2256911B1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ith a spectrum shaping circuit
JP550798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制御回路、電子機器、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の制御方法
TWI458241B (zh) 具動態壓降控制的電源供應器及其方法
US9030184B2 (en) DC-DC converter and voltage conversion method thereof
US20120286750A1 (en) Switching regulators with adaptive clock generators and associated methods of control
JP6661370B2 (ja) 力率改善回路およびその制御回路、電子機器、電源アダプタ
WO2006003751A1 (ja) Dc-dcコンバータおよびコンバータ装置
JP2012510247A (ja) スイッチモード電圧調整器
CN103155390A (zh) 功率转换器
KR101422960B1 (ko) 전원 모듈 및 이를 갖는 분산 전원 공급 장치
US10948934B1 (en) Voltage regulator with piecewise linear loadlines
US10483837B1 (en) Variable frequency modulation scheme based on current-sensing techniques for switched-capacitor DC-DC converters
US79287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of a low dropout regulator
US86753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 voltage transient response control
US8963520B1 (en) System and method to soft-start synchronous buck converters
TWI547083B (zh) 電源轉換器的控制電路及相關方法
TWI599870B (zh) 操作系統及控制方法
KR100819509B1 (ko)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dc/dc 변환기
US8374001B2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sensing voltage in the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