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375B1 - Drainage trench unit - Google Patents

Drainage trench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375B1
KR100819375B1 KR1020070003839A KR20070003839A KR100819375B1 KR 100819375 B1 KR100819375 B1 KR 100819375B1 KR 1020070003839 A KR1020070003839 A KR 1020070003839A KR 20070003839 A KR20070003839 A KR 20070003839A KR 100819375 B1 KR100819375 B1 KR 100819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drainage
unit
side walls
material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병구
Original Assignee
전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구 filed Critical 전병구
Priority to KR1020070003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3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3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A drainage trench unit is provided to prevent the segregation of materials between bottom concrete and a drainage trench, and to construct a drainage trench conveniently and easily and to reduce the drainage defects or the leakage of water from a drainage trench by assembling a drainage trench unit and a drainage trench unit using sockets. A drainage trench unit(1) comprises a trench main body(10) provided with a bottom wall(12) and two side walls(13) to form a drainage way to the standardized width and height and a first assembly unit(14) to assemble material segregators to be movable in the expansion/contraction direction of the bottom concrete, and a pair of material segregators(20) assembled to two sides of the trench main body to be separated and provided with a second assembly unit(21) and a bracket(22) to prevent the segregation of materials between the bottom concrete and the trench unit when the drainage trench unit is constructed to the bottom concrete.

Description

배수 트렌치 유닛{Drainage Trench Unit}Drainage Trench Uni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배수 트렌치 유닛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drainage tren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배수 트렌치 유닛의 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drainage trench uni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배수 트렌치 유닛의 사용상태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of use of an exemplary drainage tren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예시적인 연결소켓이 적용된 본 발명의 배수 트렌치 유닛의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in tren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n exemplary connecting socket is applied;

도5는 예시적인 연결소켓이 적용된 본 발명의 배수 트렌치 유닛의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 tren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n exemplary connecting socket is applied;

도6은 예시적인 연결소켓이 적용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n exemplary connecting socket is applied;

도7은 다른 예시적인 연결소켓이 적용된 본 발명의 배수 트렌치 유닛의 단면도,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 tren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nother exemplary connecting socket is applied;

도8은 다른 예시적인 연결소켓이 적용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nother exemplary connecting socket is appli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본 발명의 트렌치 유닛 2: 바닥콘크리트1: trench unit 2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트렌치 본체 11: 배수로 12: 저벽10: trench body 11: drainage 12: bottom wall

12a: 요철 13: 양측벽 14: 제1 조립부12a: Unevenness 13: Both side walls 14: First assembly portion

14a: 조립돌기 14b: 탄성돌기 14c: 제1 정단돌기14a: assembly protrusion 14b: elastic protrusion 14c: first abutment protrusion

15: 끼워맞춤 요철 15a, 15d: 요홈 15b, 15e: 돌기15: fitting irregularities 15a, 15d: groove 15b, 15e: turning

15c, 15f: 홀 20: 재료분리방지대 21: 제2 조립부15c, 15f: Hole 20: Material separation guard 21: Second assembly part

21a: 조립슬롯 21b: 제한돌기 21c: 제2 정단돌기21a: assembly slot 21b: limiting protrusion 21c: second abutment protrusion

22: 브래킷 30: 연결소켓 31: 저벽22: bracket 30: connecting socket 31: bottom wall

32: 양측벽 33: 끼워맞춤 요철 33a, 33d: 철부32: Both side walls 33: Fitting unevenness 33a, 33d: Convex

33b, 33e: 슬롯 33c, 33f: 돌부 34: 구배33b, 33e: slot 33c, 33f: protrusion 34: gradient

(기술분야)(Technology)

본 발명은 배수 트렌치 유닛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배수 트렌치가 시공된 바닥콘크리트와 트렌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료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 트렌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trench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 trench unit that can prevent material separation from occurring between the bottom concrete and the trench in which the drain trench is constructed.

(배경기술)(Background)

주차장 바닥 등과 같이 오수를 처리할 필요가 있는 바닥에는 오수를 집수하여 하수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트렌치가 구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It is common to establish a drainage trench for collecting sewage and discharging it to sewage on the floor where sewage needs to be treated, such as a parking lot floor.

배수 트렌치 구축 방법의 하나는,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벽돌 등을 쌓아서 현장에서 직접 배수트렌치를 구축하는 것이나, 이런 현장구축방식은 작업 생산성이 낮고 결과로 구축된 트렌치에 있어서도 구배가 잘 맞지 않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유발될 수 있으므로, 공사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규격화된 배수 트렌치 유닛을 기성품으로 제작하고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이들 기성 배수 트렌치 유 닛을 바닥에 조립 시공하는 것으로 배수 트렌치를 구축하는 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이런 배수 트렌치 유닛은, 콘크리트, 금속, 플라스틱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고 있다. One way to build drainage trenches is to build drainage trenches directly on site by laying bricks when placing concrete on the floor.However, this construction method is low in productivity and does not fit well in the resulting trenches. This can cause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a drainage trench by manufacturing a standardized drain trench unit from a factory, not a construction site, and assembling these ready-to-use drain trench units on the floor when placing floor concrete. Technology is widely used, such drainage trench units are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concrete, metal, plastic synthetic resin.

배수 트렌치 유닛으로 배수 트렌치를 시공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 중에 하나는, 서로 이질적인 소재인 바닥콘크리트와 트렌치 사이에 재료분리형상이 발생하여 트렌치와 콘크리트의 접면을 따라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런 틈새로 물이나 이물이 들어가게 됨으로써 트렌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 위생과 청결을 좋지 않게 만든다는 것이다. One of the problems in constructing drainage trenches with drainage trench units is the separation of material between the bottom concrete and the trench, which are dissimilar materials, resulting in a gap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trench and the concrete.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s will shorten the life span of the trenches, as well as reduce hygiene and cleanliness.

이런 재료분리의 문제는 배수 트렌치 유닛의 소재가 콘크리트인 경우에도 바닥콘크리트와 트렌치 콘크리트의 이질성에 의해 발생하지만, 특히 트렌치 유닛이 플라스틱합성수지 등과 같이 바닥콘크리트와 전혀 다른 이질적인 소재로 제작된 경우에 더 심각하다. This problem of material separation is caused by the heterogeneity of the bottom concrete and the trench concrete even when the drain trench unit is made of concrete, but especially when the trench unit is made of a heterogeneous material different from the bottom concrete such as plastic composite resin. Do.

배수 트렌치 유닛으로 배수 트렌치를 시공함에 있어서 겪는 어려움 중에 하나는, 유닛과 유닛을 틈새 없이 적절한 구배로 연결하는 것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One of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constructing drain trenches with drain trench units is that a great deal of time and effort must be spent connecting the units with the appropriate gradients without gaps.

즉, 종래의 배수 트렌치 유닛의 연결방법에는, 유닛에 별도의 연결 구조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단지 유닛과 유닛을 서로 맞닿게 하여 연결하는 방법과 유닛의 단부에 볼트공을 형성하여 볼트 조립으로 인접한 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방법 등이 있었으나, 전자의 방법은 유닛의 연결과 배수 구배의 형성을 단지 작업자의 숙련된 감각에만 의존하였기 때문에 결과로 구축된 배수 트 렌치에 누수나 배수불량 등의 하자가 적지 않게 발생하였으며, 후자의 방법은 전자에 비하여 누수와 배수불량이 줄긴 하였으나 유닛과 유닛을 일일이 볼팅 작업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necting the drainage trench unit, a method of connecting only the unit and the unit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placing bottom concrete without forming a separate connection structure in the unit and forming a bolt hole at the end of the unit Although there was a method of interconnecting adjacent units by bolt assembly, the former method only depended on the operator's skill in connecting the units and forming drainage gradients. There were many defects of the, and the latter method was less leaking and drainage than the former,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very cumbersome to connect the unit by bolting.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콘크리트와 여기에 시공된 배수 트렌치 사이의 재료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 트렌치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재료분리현상에 의해 바닥콘크리트와 배수 트렌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age trench unit that can prevent material separation between the bottom concrete and the drain trench installed therein, whereby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bottom concrete and the drain trench by the material separation phenomenon. It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at can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 트렌치 유닛으로 바닥콘크리트에 배수 트렌치를 구축함에 있어서 소켓을 이용하여 유닛과 유닛을 끼워맞춤 조립할 수 있는 배수 트렌치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배수 트렌치를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과로 구축된 배수 트렌치로부터 배수불량이나 누수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ainage trench unit that can be assembled with a unit by using a socket in constructing a drainage trench in a bottom concrete with a drainage trench unit, thereby making it easier and easier to construct the drainage trench.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significantly reduce drainage or leakage from the resulting drainage trench.

본 발명에 따라, 배수 트렌치 유닛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drain trench unit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렌치 유닛은, 일정 폭, 높이 및 길이의 배수로를 형성하는 저벽과 양측벽 및 상기 양측벽의 외측에 형성된 제1 조립부를 구비하는 트렌치 본체; 및 상기 트렌치 본체의 상기 제1 조립부에 바닥콘크리트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 조립부와, 상기 바닥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브래킷을 구비하는 재료분리방지대; 를 포함한다. A drain tren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nch main body having a bottom wall and a side wall and a first assembly portion formed outside the side walls to form a drainage passag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height and length; And a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having a second assembly part movably assembled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floor concrete in the first assembly part of the trench body, and a bracket embedded in the floor concrete. It includes.

본 발명의 배수 트렌치 유닛은, 상기 바닥콘크리트가 신축하면 이에 대응하 여 상기 트렌치 본체에 대해 상기 재료분리방지대가 상기 바닥콘크리트의 신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바닥콘크리트의 신축으로 인한 상기 바닥콘크리트와의 사이의 재료분리현상을 방지한다. In the drain tren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ttom concrete is stretched,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moves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bottom concrete with respect to the trench body, so that the bottom concrete is stretched between the bottom concrete and the bottom concrete. To prevent material separ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조립부는, 상기 양측벽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다수의 조립돌기, 상기 저벽으로부터 신장되어 상기 양측벽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돌출된 탄성돌기, 및 상기 양측벽의 상단에 정단면을 형성하는 제1 정단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립부는, 상기 조립돌기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 되는 조립슬롯, 상기 양측벽과 상기 탄성돌기 사이에 끼워져 상기 재료분리방지대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제한하는 제한돌기, 및 상기 제1 정단돌기에 끼워맞춤 되어 상기 정단면을 형성하는 제2 정단돌기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first assembly portion, a plurality of assembly protrusions protruding horizontally outwardly of the both side walls, elastic protrusions extending from the bottom wall and protruding perpendicularly parallel to the both side walls, and the top of the both side walls And a first abutment protrusion forming a cross section, wherein the second assembly portion includes an assembly slot which is movably fitted to the assembly protrusion, and is inserted between the both side walls and the elastic protrusion to elastically move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Restriction projections to limit to, and the second apical projections that are fitted to the first apical projections to form the apical cross-section.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배수 트렌치 유닛은, 상기 트렌치 본체의 상기 저벽과 상기 양측벽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끼워맞춤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트렌치 본체의 상기 저벽과 상기 양측벽에 대응하는 저벽과 양측벽을 구비하고, 인접한 2개의 상기 트렌치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 요철이 각각 끼워맞춤 되어 인접한 2개의 상기 트렌치 본체를 상호 연결하는 끼워맞춤 요철이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소켓을 더 포함한다. Preferably, in the drain tren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tting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wall of the trench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s; Fit unevenness provided with the bottom wall and both side walls corresponding to the bottom wall and the both side walls of the trench body, and the fitting irregularities of the two adjacent trench bodies are fitted to each other to interconnect the two adjacent trench bodies. It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socket formed on both end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렌치 유닛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렌치 유닛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Hereinafter, a drain tren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drainage tren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렌치 유닛(1)은, 크게 트렌치 본체(10)와 트렌치 본체(10)의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재료분리방지대(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트렌치 유닛(1)은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도 배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 플라스틱합성수지로 성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drain trench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bar that is largely detachably assembled at both sides of the trench body 10 and the trench body 10 ( 20) is configured to include. Although the trench uni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xcluded from being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trench unit 1 can be preferably formed of a plastic synthetic resin.

상기 트렌치 본체(10)는 배수로(11)를 형성하는 메인 부재로서, 일반적인 배수 트렌치 유닛과 마찬가지로, 규격화된 폭과 높이와 길이의 배수로(11)를 형성하도록 저벽(12)과 양측벽(13)을 구비한다. 트렌치 본체(10)에 의해 형성되는 배수로(11)의 규격(폭, 높이 및 길이)은 여러 가지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폭 200-350mm, 높이 40-70mm, 길이 1,000mm 등의 규격으로 유닛화 할 수 있다. 바닥콘크리트(2)와 접하는 저벽(12)의 외측면에는 요철(12a)을 형성함으로써 타설된 바닥콘크리트(2)에 대한 트렌치 본체(10)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trench body 10 is a main member forming the drainage passage 11. Like the general drainage trench unit, the bottom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 are formed to form a drainage passage 11 having a normalized width, height, and length. It is provided. The size (width, height and length) of the drainage passage 11 formed by the trench body 10 may be se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size of the width 200-350mm, the height 40-70mm, the length 1,000mm, etc. Can be united with By forming the uneven surface 12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12 in contact with the bottom concrete 2, the bonding force of the trench body 10 to the poured bottom concrete 2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트렌치 본체(10)의 양측벽(13)의 외측에는 재료분리방지대(20)가 바닥콘크리트(2)의 신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조립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조립부(14)의 예시적인 구성 및 작용은 이후에 설명한다. In accordance with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ssembly 14,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is assembled to the outer side of the side wall 13 of the trench body 10 to be movable in the stretch direction of the bottom concrete (2) Is formed, the exemplary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rst assembly 14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재료분리방지대(20)는 본 발명의 배수 트렌치 유닛(1)을 바닥콘크리트(2)에 시공하였을 때, 상기 트렌치 본체(10)와 협력하여 바닥콘크리트(2)와 트렌치 유닛(1) 사이에 재료분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When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20 is constructed in the drain concrete trench uni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ottom concrete 2, in cooperation with the trench body 10 between the bottom concrete 2 and the trench unit 1 It is a member that prevents material separation from occurring.

재료분리방지대(20)는 제2 조립부(21)와 브래킷(2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조립부(21)는 트렌치 본체(10)에 재료분리방지대(20)를 이동 가능하게(바닥콘크리트의 신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조립하기 위한 부분이다. 브 래킷(22)은 재료분리방지대(20)를 바닥콘크리트(2)에 완벽하게 매설되게 하여 바닥콘크리트(2)의 신축에 따라 그 신축 방향으로 재료분리방지대(20)도 일체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바닥 트렌치 유닛(1)과 바닥콘크리트(2) 사이에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며, 바닥콘크리트(2)와의 접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형상은 예를 들어 적어도 수직방향으로 뻗은 부분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econd assembly portion 21 and the bracket 22. The second assembly part 21 is a part for assembling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to the trench body 10 so as to be movable (movable along the stretch direction of the bottom concrete). The bracket 22 completely embeds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in the bottom concrete 2 so that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also moves integrally in the expans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ottom concrete 2. This is a portion to prevent material separation between the bottom trench unit 1 and the bottom concrete 2, the shape of the ring having at least a vertically extending portion, for example, in order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with the bottom concrete 2 It can be formed in a shap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유닛(1)으로 바닥콘크리트(2)에 배수 트렌치를 구축한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변화 등으로 바닥콘크리트(2)가 신축(예, 수축)할 때 이에 대응하여 고정된 트렌치 본체(10)에 대해 재료분리방지대(20)가 바닥콘크리트의 신축(예, 수축)방향으로 바닥콘크리트와 함께 미세 이동하게 되므로, 바닥콘크리트(2)의 수축으로 인한 재료분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drainage trench is formed in the bottom concrete 2 with the trench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bottom concrete 2 is stretched (eg, contracted) due to temperature change or the like. When the corresponding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block 20 is moved finely with the bottom concrete in the stretching (eg, shrinkage) direction of the bottom concrete when the trench body 10 is fixed correspondingly, due to the shrinkage of the bottom concrete (2) Material separation can be reliably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유닛(1)의 특징을 이루는 재료분리방지대(20)의 구성 및 트렌치 본체(10)의 양측벽(13)에 재료분리방지대(20)를 조립하는 제1 조립부(14)와 제2 조립부(21)의 구성은, 바닥콘크리트(2)가 신축하여 트렌치 유닛(1)의 양측벽(13)으로부터 분리되려고 할 때, 이에 대응하여 재료분리방지대(20)가 신축하는 바닥콘크리트(2)를 따라 그 신축방향으로 함께 이동하여 줌으로써,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트렌치 유닛(1)과 바닥콘크리트(2) 사이에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게 되는 구성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The first assembly unit for assembling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20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20 and the side wall 13 of the trench body 10, which characterizes the trench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4 and the second assembly 21 are constructed so that when the bottom concrete 2 is stretched to be separated from both side walls 13 of the trench unit 1, the material separation guard 20 is correspondingly provided. By moving together in the stretching direction along the stretched bottom concrete 2,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results in a material separation between the trench unit 1 and the bottom concrete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구체예에서 트렌치 본체(10)에 형성된 제1 조립부(14)는 조립돌 기(14a), 탄성돌기(14b), 및 제1 정단돌기(14c)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예시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재료분리방지대(20)에 형성된 제2 조립부(21)는 조립슬롯(21a), 제한돌기(21b) 및 제2 정단돌기(21c)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예시되어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assembly 14 formed in the trench body 10 is illustrated in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assembly protrusion 14a, an elastic protrusion 14b, and a first apical protrusion 14c. Correspondingly, the second assembly part 21 formed on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is illustrated 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assembly slot 21a, a limiting protrusion 21b, and a second forward end protrusion 21c.

트렌치 본체(10)의 조립돌기(14a)는 양측벽(13)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으로 다수(예 2개)가 돌출되어 있으며, 재료분리방지대(20)에 수평으로 형성된 대응하는 조립슬롯(21a)에 끼워맞춤 된다. 물론 양측벽(13)에 조립슬롯을 형성하고 재료분리방지대(20)에 조립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배제되지 아니한다. The assembling protrusions 14a of the trench body 10 protrude horizontally (for example two) outwardly from both side walls 13, and the corresponding assembling slots 21a formed horizontally on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Is fitted). Of course, forming the assembling slots on both side walls 13 and forming the assembling protrusions on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20 is not excluded.

트렌치 본체(10)의 탄성돌기(14b)는 저벽(12)으로부터 길게 신장된 후 양측벽(13)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탄성돌기(14b)와 양측벽(13) 사이의 공간으로 재료분리방지대(20)의 제한돌기(21b)가 끼워져서 재료분리방지대(20)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제한한다. The elastic protrusions 14b of the trench body 10 are elongated from the bottom wall 12 and protrude vertically in parallel to both side walls 13, and the space between the elastic protrusions 14b and both side walls 13 is formed. Restriction protrusion 21b of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guard 20 is fitted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guard 20 elastically.

결국 트렌치 본체(10)의 조립돌기(14a)와 탄성돌기(14b) 및 재료분리방지대(20)의 조립슬롯(21a)과 제한돌기(21b)를 이용하여 트렌치 본체(10)에 재료분리방지대(20)를 조립하면, 재료분리방지대(20)는 양측벽(13)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는 유연성 있는 상태로 트렌치 본체(10)에 조립되면서 의도하지 않게 트렌치 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조립 관계가 된다. As a result, material separation is prevented in the trench body 10 by using the assembling protrusions 14a and the elastic protrusions 14b of the trench body 10 and the assembling slots 21a and the limiting protrusions 21b of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block 20. When the stand 20 is assembled,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block 20 is inadvertently removed from the trench body 10 while being assembled to the trench body 10 in a flexible state capable of mo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side walls 13. There is no assembly relationship.

트렌치 본체(10)의 제1 정단돌기(14c)는 양측벽(13)의 상단에 정단면을 형성하는 돌기이고, 재료분리방지대(20)의 제2 정단돌기(21c)는 제1 정단돌기(14c)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 정단돌기(14c)에 끼워 맞춤됨으로써 함께 정단면을 형성하는 돌기이다. The first apical projection 14c of the trench body 10 is a projection forming a front end surface at the upper end of both side walls 13, and the second apical projection 21c of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is a first apical projection. It is a processus | protrusion which is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14c, and is fitted in the 1st front end protrusion 14c, and forms a front end surface together.

도시된 구체예의 제1 조립부(14)에서 조립돌기(14a)와 제1 정단돌기(14c) 사이에 형성된 지지부(14d)는 재료분리방지대(20)의 경사부(21d)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이다. In the first assembly portion 14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14d formed between the assembly protrusion 14a and the first abutment protrusion 14c structurally supports the inclined portion 21d of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That's the part.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렌치 유닛(1)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렌치 유닛(1)은 바닥콘크리트(2)에 매설되어 바닥에 배수로(11)를 형성하며, 재료분리방지대(20)는 트렌치 본체(10)에 조립된 상태로 바닥콘크리트(2)에 매립되며, 이때 브래킷(22)의 고리 구조가 바닥콘크리트(2)에 완벽하게 매립되므로 재료분리방지대(20)는 바닥콘크리트(2)가 좌우로 신축하면 그에 따라 함께 좌우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of the drain trench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shown, the trench uni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the bottom concrete 2, and the drainage passage 11 is disposed on the floor.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20 is embedded in the bottom concrete (2) in a state assembled to the trench body 10, at this time the ring structure of the bracket 22 is completely embedded in the bottom concrete (2)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20 is the floor concrete (2) stretches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ly to move slightly from side to side.

즉, 시공 후 바닥콘크리트(2)가 수축되어 트렌치 유닛(1)으로 분리되려고 할 때, 재료분리방지대(20)도 바닥콘크리트(2)의 수축을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고, 트렌치 본체(10)의 제1 정단돌기(14c)와 재료분리방지대(20)의 제2 정단돌기(21c)에 의해 정단면을 형성하고 있게 되므로, 본 발명의 배수 트렌치(1)와 바닥콘크리트(2) 사이에는 그 어떤 재료분리현상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That is, when the bottom concrete 2 is contracted after construction to be separated into the trench unit 1,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also moves along the shrinkage of the bottom concrete 2, and the trench body 10 Since the front end surface is formed by the first front end protrusion 14c and the second front end protrusion 21c of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the drain trench 1 and the bottom concrete 2 of the present invention. No material separation will occur.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렌치 유닛(1)은, 인접한 2개의 트렌치 본체(10)를 연결소켓(30)으로 상호 끼워맞춤 조립하는 것에 의해 배수 트렌치를 구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 to 6, the drain trench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uild a drain trench by fitting two adjacent trench bodies 10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socket 30. Can be.

이를 위해 트렌치 본체(10)의 저벽(12)과 양측벽(13)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연결소켓(30)과의 끼워맞춤 조립을 위한 끼워맞춤 요철(15)이 형성되어 있다. To this end, fitting irregularities 15 for fitting assembly with the connection socket 30 ar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wall 12 and both side walls 13 of the trench body 10.

트렌치 본체(10)에 형성된 끼워맞춤 요철(15)의 형상이나 형성 위치는, 인접한 2개의 트렌치 본체(10)를 연결소켓(30)을 이용하여 끼워맞춤 조립할 수 있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The shape and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fitting irregularities 15 formed in the trench main body 1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two adjacent trench main bodies 10 can be fitted and assembled using the connecting socket 30.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상기 끼워맞춤 요철(15)로서 양측벽(13)에 인접한 저벽(12)에 하나의 요홈(15a)을 형성하고, 양측벽(13)의 대략 중앙부에 돌기(15b)를 형성하고, 양측벽(13)의 상측에 아래로 개방된 홀(15c)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ne recess 15a is formed in the bottom wall 12 adjacent to both side walls 13 as the fitting recesses and protrusions 15, and the protrusions 15b are form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both side walls 13. The example which formed and formed the hole 15c which opened downward in the upper side of the both side wall 13 is shown.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트렌치 본체(10)에 형성된 끼워맞춤 요철(15)의 일부 구성은, 도1 내지 도3의 구체예에 있어서의 제1 조립부(14)의 구성을 일부 겸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립부(14)의 조립돌기(14a)는 끼워맞춤 요철(15)의 돌기(15b)에 그대로 해당 하는 바, 제1 조립부(14)와 끼워맞춤 요철(15)의 각각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하나의 구조로 양자 모두의 기능이 실현되게 하면 본 발명 트렌치 유닛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tting recesses and protrusions 15 formed in the trench main body 10 partially use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ssembling portion 14 in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3. For example, the assembling protrusions 14a of the first assembling unit 14 correspond to the protrusions 15b of the fitting protrusions and protrusions 15 as they are, so that each of the first assembling unit 14 and the fitting protrusions and protrusions 15 is provided.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tren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both functions are realized in one structur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affect the operation of.

상기 연결소켓(30)은 트렌치 본체(10)의 저벽(12)과 양측벽(13)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저벽(31)과 양측벽(32)을 구비하여 트렌치 본체(10)에 형성된 배수로(11)에 대응하는 배수로가 형성되며, 소켓으로서의 적절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socket 30 is provided with a bottom wall 12 and both side walls 32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wall 12 and both side walls 13 of the trench body 10, and formed in the trench body 10. A drainage channel corresponding to 11) is formed and can be formed to an appropriate length as a socket.

연결소켓(30)의 양단에는 인접한 2개의 트렌치 본체(10)의 끼워맞춤 요철(15)이 각각 끼워맞춤 되어 인접한 2개의 트렌치 본체(10)를 상호 끼워맞춤 연결하기 위한 끼워맞춤 요철(33)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소켓(30)의 끼워맞춤 요철(33)은, 트렌치 본체(10)의 끼워맞춤 요철(15)의 형상과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 및 위치 에 형성되어 있다. Both ends of the connection socket 30 are fitted with fitting concavities and convexities 15 of two adjacent trench bodies 10 so that fitting concavities and convex portions 33 for fitting and connecting two adjacent trench bodies 10 to each other are provided. Formed. The fitting unevenness 33 of the connecting socket 30 is formed in a shape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fitting unevenness 15 of the trench body 10.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연결소켓(30)의 끼워맞춤 요철(33)은, 트렌치 본체(10)의 저벽(12)의 요홈(15a)에 끼워맞춤 되는 철부(33a), 트렌치 본체(10)의 양측벽(13)의 돌기(15b)가 끼워맞춤 되는 슬롯(33b), 및 트렌치 본체(10)의 양측벽(13)의 홀(15c)에 끼워맞춤 되는 돌부(33c)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tting unevenness 33 of the connecting socket 30 is a convex portion 33a that fits into the recess 15a of the bottom wall 12 of the trench body 10 and the trench body 10.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slots 33b into which the protrusions 15b of the both side walls 13 are fitted and the protrusions 33c fitted into the holes 15c of the both side walls 13 of the trench body 10 are shown. will be.

도시된 구체예에서 트렌치 본체(10)와 연결소켓(30)에 적용된 각각의 끼워맞춤 요철(15, 33)에 요부와 철부가 모두 포함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트렌치 본체(10)에는 요부만을 형성하고 연결소켓(30)에는 철부만을 형성하는 등 다른 구조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While the illustrated embodiment has described an example in which both the recesses and the recesses are included in the respective fitting recesses 15 and 33 applied to the trench body 10 and the connection socket 30, only the recesses are formed in the trench body 10. And it is natural that other structures such as forming only the convex portion to the connection socket 30 can be applied.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렌치 유닛(1)의 특징에 따라, 트렌치 본체와 연결소켓(30)에 형성된 끼워맞춤 요철(15, 33)을 이용하여 연결소켓(30)으로 인접한 트렌치 본체(10)를 서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배수 트렌치를 구축하게 되면, 앞서 종래기술에 관련하여 설명한 시공 상의 어려움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drainage trench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rench body 10 adjacent to the connection socket 30 by using the fitting irregularities 15 and 33 formed in the trench body and the connection socket 30. By constructing the drainage trenches by connecting the two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difficultie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rior art.

바람직하게 연결소켓(30)의 저벽(12)에는 상류로부터 하류로 구배(34)를 형성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연결소켓(30)의 저벽(12)은 평평한 것이 아니라 한쪽은 높고 다른 한쪽은 낮게 구배가 형성되어 있는바, 배수 트렌치를 구축함에 있어서 높은 쪽을 상류에 위치시키고 낮은 쪽을 하류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트렌치 본체(10)를 조립하면, 바닥콘크리트에 구축되는 배수 트렌치에 자연스런 배수를 위한 구배를 부여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Preferably, the bottom wall 12 of the connecting socket 30 may be formed with a gradient 34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s shown in FIG. 6, the bottom wall 12 of the particular connection socket 30 is not flat but has a high gradient on one side and a low gradient on the other side. By assembling the trench body 10 in such a way that the lower side is located downstream, it is very easy to give a gradient for natural drainage to the drainage trench which is constructed on the floor concrete.

도7과 도8은 본체(10)의 끼워맞춤 요철(15)과 연결소켓(30)의 끼워맞춤 요 철(33)의 형상과 형성 위치가 도5와 도6의 구체예와는 다소 다른 배수 트렌치 유닛(1)을 예시한 것이다. 7 and 8 show the shape and formation position of the fitting concave-convex 15 of the main body 10 and the fitting concave-convex 33 of the connecting socket 30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mbodiments of FIGS. 5 and 6. The trench unit 1 is illustrated.

도7과 도8에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본체(10)의 끼워맞춤 요철(15)은, 저벽(12)에 형성된 요홈(15d), 양측벽(13)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돌기(15e), 및 양측벽(13)의 상측에 아래로 열리게 형성된 홀(15f)을 포함하는 예이다. 7 and 8, the fitting irregularities 15 of the main body 10 are the protrusions 15d formed in the bottom wall 12, and the projections 15e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s of both side walls 13. ) And a hole 15f formed to be opened downward on both side walls 13.

이에 대응하는 연결소켓(30)의 제2 끼워맞춤 요철(33)은, 저벽(31)의 양측으로 돌출된 신장부(31a)에 형성되어 본체(10)의 저벽(12)의 요홈(15d)에 끼워맞춤 되는 철부(33d), 본체(11)의 양측벽(13)의 돌기(15e)가 끼워맞춤 되는 슬롯(33e) 및 본체(10)의 양측벽(13)의 홀(15f)에 끼워맞춤 되는 돌부(33f)를 포함한다. Correspondingly, the second fitting recesses and protrusions 33 of the connecting sockets 30 are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s 31a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bottom wall 31, and the recesses 15d of the bottom wall 12 of the main body 10 are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33d to be fitted into the groove, the slot 33e into which the protrusions 15e of the side walls 13 of the main body 11 are fitted, and the holes 15f of the both side walls 13 of the main body 10. And a projection 33f to be fitted.

본 구체예에서 앞서 설명한 본체(10)의 저벽(12)의 요철(12a)이 상기 요홈(15d)과 겸용됨으로써 구조적인 단순화를 꾀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cave-convex 12a of the bottom wall 12 of the main body 10 described above is combined with the concave groove 15d to simplify the 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렌치 유닛(1)에 의하면, 바닥콘크리트와 매우 이질적인 소재인 플라스틱합성수지 등으로 배수 트렌치 유닛을 제조하여 배수 트렌치를 구축한 경우에, 온도 변화 등으로 바닥콘크리트가 신출할 때 배수 트렌치와 바닥콘크리트의 재료 이질성으로 인하여 배수 트렌치와 바닥콘크리트 사이에 재료분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 놓이게 되어도, 바닥콘크리트의 신축 방향으로 재료분리방지대도 이동하게 되어 바닥콘크리트(2)의 수축으로 인한 바닥 트렌치와 바닥콘크리트 사이의 재료분리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재료분리현상으로 인한 배수 트렌치의 수명 단축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drainage trench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drainage trench unit is manufactured by constructing the drainage trench unit with a plastic synthetic resin, which is a very heterogeneous material, such as the bottom concrete, the bottom concrete may be released due to temperature change. When the material heterogeneity of the drain trench and the floor concrete is placed in the environment where material separation can occur between the drain trench and the floor concrete, the material separation guard also moves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floor concrete so that the floor concrete (2) shrinks. Since the material separation phenomenon between the bottom trench and the bottom concrete can be reliably preven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olve the problems such as shortening the life of the drain trench due to the material separation phenomen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렌치 유닛(1)은, 끼워맞춤으로 조립할 수 있는 트렌치 본체(10)와 연결소켓(30)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배수 트렌치를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과로 구축된 배수 트렌치로부터 배수불량이나 누수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rain trench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trench body 10 and a connecting socket 30 which can be assembled by fitting,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drain trench more conveniently and easily. Rath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drainage defects or leaks from the resulting drainage trench.

Claims (4)

일정 폭, 높이 및 길이의 배수로(11)를 형성하는 저벽(12)과 양측벽(13) 및 상기 양측벽(13)의 외측에 형성된 제1 조립부(14)를 구비하는 트렌치 본체(10); 및 Trench body 10 having a bottom wall 12 and both side walls 13 and a first assembly 14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th side wall 13 to form a drainage passage 11 of a predetermined width, height and length. ; And 상기 트렌치 본체(10)의 상기 제1 조립부(14)에 바닥콘크리트(2)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 조립부(21)와, 상기 바닥콘크리트(2)에 매설되는 브래킷(22)을 구비하는 재료분리방지대(20); 를 포함하고: A second assembly portion 21 which is assembled to the first assembly portion 14 of the trench body 10 so as to be movable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bottom concrete 2, and a bracket embedded in the bottom concrete 2 ( A material separation guard 20 having 22); Including: 상기 바닥콘크리트(2)가 신축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트렌치 본체(10)에 대해 상기 재료분리방지대(20)가 상기 바닥콘크리트(2)의 신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바닥콘크리트(2)의 신축으로 인한 상기 바닥콘크리트(2)와의 사이의 재료분리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유닛. When the bottom concrete 2 expands and contracts,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moves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bottom concrete 2 with respect to the trench body 10 so as to expand and contract the bottom concrete 2. Drainage trench unit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the material separation between the bottom concret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부(14)는, 상기 양측벽(13)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다수의 조립돌기(14a), 상기 저벽(12)으로부터 신장되어 상기 양측벽(13)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돌출된 탄성돌기(14b), 및 상기 양측벽(13)의 상단에 정단면을 형성하는 제1 정단돌기(14c)를 포함하고;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ssembly 14, a plurality of assembling projections 14a protruding horizontally outwardly of the both side wall 13, extending from the bottom wall 12, the both side walls 13 An elastic protrusion (14b) projecting in parallel to the vertical and parallel to the first), and a first apical protrusion (14c) forming a front end surface at the upper end of the both side walls (13); 상기 제2 조립부(21)는, 상기 조립돌기(14a)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 되는 조립슬롯(21a), 상기 양측벽(13)과 상기 탄성돌기(14b) 사이에 끼워져 상기 재료분리방지대(20)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제한하는 제한돌기(21b), 및 상기 제1 정단돌기(14c)에 끼워맞춤 되어 상기 정단면을 형성하는 제2 정단돌기(21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유닛.The second assembly portion 21 is sandwiched between the assembly slot 21a, which is movably fitted to the assembly protrusion 14a, the both side walls 13 and the elastic protrusion 14b, and the material separation prevention rod. Restriction projection 21b for elasticall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20, and the second apical projection 21c is fitted to the first apical projection 14c to form the front end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Drain trench un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본체(10)의 상기 저벽(12)과 상기 양측벽(13)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끼워맞춤 요철(15)이 형성되어 있고; A fitting recess (15) is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wall (12) of the trench body (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th side walls (13); 상기 트렌치 본체(10)의 상기 저벽(12)과 상기 양측벽(13)에 대응하는 저벽(31)과 양측벽(32)을 구비하고, 인접한 2개의 상기 트렌치 본체(10)의 상기 끼워맞춤 요철(15)이 각각 끼워맞춤 되어 인접한 2개의 상기 트렌치 본체(10)를 상호 연결하는 끼워맞춤 요철(33)이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소켓(3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유닛. The bottom wall 12 and the bottom wall 31 and both side walls 32 corresponding to the bottom wall 12 and the side wall 13 of the trench body 10, and the fitting irregularities of the two adjacent trench body 10 Connecting sockets 30 having fitting ends 33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tting grooves 15 to be fitted to each other to interconnect two adjacent trench bodies 10; The drainage trench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KR1020070003839A 2007-01-12 2007-01-12 Drainage trench unit KR1008193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839A KR100819375B1 (en) 2007-01-12 2007-01-12 Drainage trench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839A KR100819375B1 (en) 2007-01-12 2007-01-12 Drainage trench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375B1 true KR100819375B1 (en) 2008-04-07

Family

ID=3953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839A KR100819375B1 (en) 2007-01-12 2007-01-12 Drainage trench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37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319B1 (en) 2010-05-27 2010-12-27 최홍규 Trench for drainage of indoor floor
KR200466855Y1 (en) * 2011-09-29 2013-05-13 김태환 Trench-type drain
KR101301626B1 (en) 2012-06-22 2013-08-29 (주)에스앤케이산업 Drainage trench
KR20170087244A (en) 2016-01-20 2017-07-28 이성한 Drainage Trench and Construction Structure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532Y1 (en) * 1994-08-17 1997-06-05 주식회사 써니텍 Form for trench of underground parking place
KR200200789Y1 (en) 2000-05-12 2000-10-16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Device for draining waste water in indoor ground
KR200262382Y1 (en) 2001-11-14 2002-03-1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Device for draining waste water in indoor ground
KR200352869Y1 (en) 2004-02-26 2004-06-14 전병구 Drainage Trench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532Y1 (en) * 1994-08-17 1997-06-05 주식회사 써니텍 Form for trench of underground parking place
KR200200789Y1 (en) 2000-05-12 2000-10-16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Device for draining waste water in indoor ground
KR200262382Y1 (en) 2001-11-14 2002-03-1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Device for draining waste water in indoor ground
KR200352869Y1 (en) 2004-02-26 2004-06-14 전병구 Drainage Trench Uni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319B1 (en) 2010-05-27 2010-12-27 최홍규 Trench for drainage of indoor floor
KR200466855Y1 (en) * 2011-09-29 2013-05-13 김태환 Trench-type drain
KR101301626B1 (en) 2012-06-22 2013-08-29 (주)에스앤케이산업 Drainage trench
KR20170087244A (en) 2016-01-20 2017-07-28 이성한 Drainage Trench and Construction Structure Thereof
KR101924220B1 (en) * 2016-01-20 2019-02-22 박종영 Drainage Trench Construction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9601B2 (en) System for laying tile floor, method for laying tile floor, and method for repairing tile floor
KR100819375B1 (en) Drainage trench unit
EP3601675B1 (en) Slot drain for concrete slabs and method of forming concrete paving
KR100776774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pier segment having connecting structure using steel duct
KR200449712Y1 (en) Water protecting finishing material for concrete joint
KR20190011490A (en) Fabricated plastic blocks for indoors and outdoors
CA2725098C (en) Adjustable mold and associated method for making a drainage channel
KR101318655B1 (en) The block assembly type manhole cover for valve chamber
KR101573523B1 (en) Assembly drain pipe
KR100662707B1 (en) The pipe sleeve had the height control function
KR100258297B1 (en) Expansion joint matter using concrete slab
KR200439332Y1 (en) Drainage Trench Unit
KR20140104776A (en) Prefabricating wall shaped mold unit using horizontal adjustable underpinn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0439333Y1 (en) Drainage Trench Unit
KR20210053741A (en) Manufacture method of Light weight concrete wall block and Light weight concrete wall block
KR200390924Y1 (en) Ladder for manhole
JP3700327B2 (en) Formwork block
KR200494219Y1 (en) Water-proofing plating for reclaiming tube
KR101262825B1 (en) Expansion joint devices to prevent debris accumulation structure of waterproof rubber and its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KR200297985Y1 (en) Supporting device for expansion joints for concrete slab
KR20190009057A (en) road safety block
AU2016342567A1 (en) Polymer based combined kerb drainage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KR200381471Y1 (en) A waterway duct unit
KR200318106Y1 (en) Expansion Joi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s
KR100646039B1 (en) A wall separating a sink-h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