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779B1 - 질편모충 진단키트 - Google Patents

질편모충 진단키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779B1
KR100818779B1 KR1020070049480A KR20070049480A KR100818779B1 KR 100818779 B1 KR100818779 B1 KR 100818779B1 KR 1020070049480 A KR1020070049480 A KR 1020070049480A KR 20070049480 A KR20070049480 A KR 20070049480A KR 100818779 B1 KR100818779 B1 KR 100818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ginal
antibody
kit
pad
larv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재
이영미
윤양숙
김동희
박승규
Original Assignee
에이취디알 주식회사
이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취디알 주식회사, 이규재 filed Critical 에이취디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779B1/ko
Priority to PCT/KR2008/002292 priority patent/WO2008143406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from protozo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4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protozo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975K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편모충 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을 면역하여 얻은 항 질편모충 항체를 사용하여 진단키트를 제조하고, 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을 진단에 사용하여 진단키트의 진단율이 높게 나타나고, 민감도 및 특이도가 뛰어난 질편모충 진단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질편모충 진단키트{Trichomonas vaginalis diagnostic kit}
본 발명은 질편모충 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을 면역하여 얻은 항 질편모충 항체를 사용하여, 검체의 화학적 상태를 보정할 수 있는 버퍼가 흡수되어 건조된 샘플패드, 콜로이드 금 결합체가 흡수되어 건조된 콘쥬게이트 패드, 항 질편모충 항체가 고정된 제1검출부 및 항 마우스 면역글로블린G 항체가 고정된 제2검출부를 포함하는 니트로셀룰로스막패드 및 흡수패드가 플라스틱 카드 위에 순서대로 부착되는 질편모충 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질편모충증은 질편모충(Trichomonas vaginalis)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이다.
질편모충은 Donne(1837년)에 의해 발견된 원충으로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STD) 중의 하나인 질편모충증(Trichomoniasis)의 원인이며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1억 7천만명의 사람들이 질편모충에 감염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질편모충증은 질편모충이 성적 접촉을 통해 전파되어 발생하는 대표적인 불현성 감염질환 중 하나로 여성의 경우에는 상기 질편모충에 감염되면 질부 작열감, 소양감, 질점막의 발적 및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조기양막파열, 이소임신, 불임, 저체중태아 및 자궁경부암 등의 원인이 된다 (Bowden and Garnett, 1999; Grodstein, et al., 1993; Hardy, et al., 1984; Minkoff, et al., 1984; Muller, 1988; Zhang and Begg, 1994). 또한, 남성의 경우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지만 전파자로서는 중요하다.
질편모충증의 진단으로는 질액샘플을 직접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중합효소 연쇄 반응)법 및 면역학적 방법 등이 있다.
질편모충증은 산부인과 분야에서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 불현성 감염증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성 파트너에게 전염시키는 특징이 있다.
현재 질편모충증은 도말법 또는 혐기배양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고 있으나 검사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숙련된 임상전문가의 기술이 필요로 하지만 진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현재 질편모충증 진단에 쓰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PCR법이지만, 고가의 장비와 시약이 필요하며 진단결과를 확인하는데 5시간 이상 걸리는 등 판정하기까지 수행되는 검사절차가 까다롭다. 이에 따라 임상에서는 대부분 도말법 또는 혐기배양법을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지만 숙련된 임상전문가의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방법 중 가장 민감도 및 특이도가 뛰어나면서 임상에서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래피드 키트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을 면역하여 얻은 항 질편모충 항체를 사용하여 질편모충 감염을 진단할 수 있고, 진단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여, 짧은 시간에 보다 높은 정확도로 검사할 수 있는 질편모충 진단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민감도 및 특이도로 질편모충증의 성병 원인균을 검출하는 질편모충 진단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부인과 내원환자의 질편모충 감염여부의 진단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건소 및 종합병원 등의 집단검사기관에서 종합검진을 수행할 때 검사 품목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는 질편모충 진단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질편모충 진단키트는, 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을 면역하여 얻은 항 질편모충 항체를 사용하여 진단키트가 제조된다.
또한, 상기 항 질편모충 항체는, 다클론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항 질편모충 항체는, 플라스틱 수송 튜브에 들어 있는 스왑봉 2개 중 1개를 사용하여 자궁경부의 과도한 점액을 닦아내어 버리고, 다른 1개의 스왑봉을 자궁 경관 속으로 삽입한 후 15-30초 회전시켜 질편모충이 감염되어 있는 상피세포를 채취하는 단계, 미리 300㎕의 제1 추출용액을 시험튜브에 넣고 스왑봉으로 채취된 검체를 스왑봉 막대의 끝을 잡고 시계방향으로 10회 회전시키면서 5분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시험튜브에 즉시 제2 추출용액을 300㎕ 넣고, 스왑봉 막대 끝을 잡고 시계방향으로 10회 회전시킨 후 스왑봉을 제거하고, 드로퍼를 사용하여 100㎕의 검체추출액을 키트의 하우징 창에 떨어뜨리고 20분간 반응을 지켜보는 단계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항 질편모충 항체의 채취 및 보관에 사용되는 제1 추출용액은 수산화나트륨, 염화나트륨, CHAPS, 증류수로 구성되고, 제2 추출용액은 트리신(Tricine), 염화나트륨, 아질산나트륨, CHAPS, 에틸렌디아민 사초산(EDTA), Tris, 카세인(casein), Tween 20, 증류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은, 5×107 개의 충체를 37℃, 5% CO2 gas 배양기내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면 가장 많은 양의 분비배설항원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검체의 화학적 상태를 보정할 수 있는 버퍼가 흡수되어 건조된 샘플패드, 콜로이드 금 결합체가 흡수되어 건조된 콘쥬게이트 패드, 상기 항 질편모충 항체가 고정된 제1검출부 및 항 마우스 면역글로블린G 항체가 고정된 제2검출부를 포함하는 니트로셀룰로스막패드 및 흡수패드가 플라스틱 카드 위에 순서대로 부착된다.
또한, 항 질편모충 항체 및 항 마우스 면역글로블린G 항체가 검출항체(Detection antibody)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질편모충 진단키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편모충 진단키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편모충 진단키트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질편모충 진단키트(100)는 샘플패드(110), 콘쥬게이트 패드(120), 니트로셀룰로스막(130) 패드 및 흡수패드(140)를 포함한다.
질편모충 진단키트(100)는 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을 면역하여 얻은 항 질편모충 항체를 사용하여 진단키트를 제조한다. 상기 항 질편모충 항체는 충체 분비배설항원을 면역하여 얻은 항체이다.
상기 콘쥬케이트 패드(120)는 항 질편모충 항체가 콜로이드금에 결합된 콜로이드 금 결합체가 흡수되어 건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니트로셀룰로스막(130) 패드는 제1검출부(132), 제2검출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검출부(132)는 항 질편모충 항체가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검출부(134)는 항 마우스 면역글로블린G 항체가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고하면, 각 검출부의 검출원리를 알 수 있다. 제1검출부(132)는 T1, 제2검출부는(134)는 C를 나타낸다. 항 질편모충 항체가 콜로이드 금에 결합된 결합체를 항 질편모충 콜로이드 금 결합체라고 하기로 한다.
제1검출부(132)인 T1라인을 보면, 고정된 항 질편모충 항체는 검체와 항 질편모충 콜로이드 금 결합체의 항체부분과 반응하여 발색된다.
제2검출부(134)인 T2라인을 보면, C라인을 보면, 고정된 항 마우스 면역글로블린G 항체는 검체를 제외하고, 항 질편모충 콜로이드 금 결합체의 항체부분과 직접 반응하여 발색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질편모충 진단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1] 질편모충의 배양
기생충의 배양은 먼저 약 5㎖의 TYM broth[표 1]가 들어있는 15㎖ 마개가 있는 유리관에 충체를 최종농도가 약 2×105 cell/㎖ 되게 접종한 후, 약 37℃, 약 5% 경으로 확인하고, 역시 약 2×105 cell/㎖의 되게 약 20㎖의 배지가 들어 있는 50㎖ 마개가 있는 유리관에 접종해서 상기와 같은 배양조건에서 약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질편모충의 대량배양을 위해 1ℓ유리 삼각플라스크에 배지 약 400㎖ 넣고 같은 농도로 질편모충을 접종하고 같은 조건에서 약 24시간 배양하였다. 기생충의 개수는 트리판블루(trypan blue)와 균액 1:1로 희석한 후 100배 현미경에서 산출하였다.
TYM broth 조성
구성성분 함량
Trypticase 20.0g
Yeastextract 10.0g
Maltose 5.0g
L-cyteine 1.0g
Ascorbic Acid(Vit.C) 1.0g
KH2PO4 1.0g
K2HPO4 1.0g
Penicillin 0.06g
Streptomycin 0.5g
Horse Serum 100ml
D.W Up to 1ℓ
[단계 2] 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Excretory-secretory product, ESP)의 추출
상기 [단계 1]에서 약 24시간 배양된 질편모충을 약 1500 rpm에서 약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버리고 다시 멸균된 phosphate buffer(PBS, pH 7.2)로 2번 세척하였다. 그 다음 RPMI 1640 무혈청(free serum) 배지 약 1㎖로 침전물을 재부유하였다. 약 1×107개의 질편모충을 약 1.5㎖ 튜브에 넣고 RPMI 1640 배지를 약 1㎖ 되게 넣은 뒤 약 37℃, 약 5% CO2에서 각각 약 60분, 약 90분, 약 120분, 약 150분 및 약 180분간 배양하였다. 질편모충의 농도에 의한 ESP의 분비량을 관찰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약 1㎖ RPMI 1640 배지에 들어가는 질편모충의 개수가 각각 1×106 cell, 5×107 cell, 1×107 cell, 5×107 cell 및 1×108cell개가 되게 넣고 약 120분간 배양하였다. 이렇게 배양된 질편모충을 약 10,000 rpm으로 약 3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다른 튜브에 옮기고, 약 100㎕의 약 0.15% Deoxycholic acid in ethanol을 넣고 vortex한 후, 약 10 분간 실온에 방치하였다. 그 다음 100% Trichloroacetic acid 약 50㎕ 넣고, vortex한 후, 약 10,000 rpm에서 약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은 버리고 침전물을 약 0.1 N NaOH 40㎕로 녹였다. SDS-PAGE 전기영동 방법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5× loading buffer 10㎕을 넣고 잘 섞은 후, 약 100℃에서 약 5분간 끓인 후 약 12% 폴리아크릴아미드 겔(polyacrylamide gel)에서 SDS-PAGE를 실시하였다. [단계 2]는 [단계 3]의 적정 실험 조건을 찾기 위한 예비 실험이다.
[단계 3] 원심분리법에 의한 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의 정제
약 400㎖ TYM 배지가 함유된 약 1ℓ 크기의 유리플라스크에서 약 24 시간 배양된 질편모충을 약 1500 rpm에서 약 15 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버리고 PBS로 2번 세척하였다. 다음 RPMI 1640 무혈청(free serum) 배지로 재부유한 후, 약 1.5㎖ 튜브에 각각 2×107개의 질편모충을 넣고 RPMI 1640 배지를 약 1㎖ 되게 넣은 뒤, 약 37℃, 약 5% CO2에서 약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질편모충을 약 10,000 rpm에서 약 3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모아서 CentriPrep-10(Amicon사)에 옮긴 후, 약 4℃, 약 3,000 g에서 약 1 시간 원심분리하고 막을 통과한 액을 버리고, 약 4℃ 약 3,000 g에서 약 30분간 씩 원심분리하였다. 마지막 남은 단백질의 농도를 단백질 정량분석법(Bradford assay)으로 농도를 측정하였다.
400ml TY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질편모충이 생성한 ESP 단백질의 양
차수 T.viginalis 수(108cell) 최종단백질농축액(㎕) 단백질량(㎕)
1 3.2 730 1474.6
2 4.0 580 899.0
3 4.6 580 823.6
4 4.4 650 962.0
5 2.4 540 1209.6
평균 3.72 616 1073.76
[단계 4] 토끼에 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을 면역
약 1 ㎎/㎖ 농도의 분비배설항원 약 500 ㎕을 같은 부피의 완전 프로인드 면역증강제와 섞은 후, 암컷 토끼에 피부내 주사하였다. 약 2주 후 약 500㎕의 약 1 ㎎/㎖ TvESP(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을 같은 부피의 불완전 프로인드 면역증강제와 섞어 다시 피부 내 주사하였다. 다시 약 2주 후 약 500㎕의 약 1㎎/㎖ 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을 같은 부피의 불완전 프로인드 면역증강제와 섞어 복강 주사하였다. 각 단계의 주사를 하기 전에 귀 혈관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이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였다.
[단계 5] 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에 대한 항체의 정제
분비배설항원으로 면역된 토끼 혈청을 약 1ℓ의 로딩 버퍼(loading buffer)로 약 3 시간 3 회 투석하였다. 약 12,000g에서 약 20 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약 0.45㎛ 필터로 부유 입자를 제거하였다. 투석된 혈청(Dialysed serum)을 분비배설항원이 콘쥬게이트(conjugation)된 젤흡착 레진(Affi-Gel resin)이 부착(packing)된 column(단백질 정제용 플라스틱 용기)에 로딩(loading)하여 자연압으로 통과하도록 하였다. 약 10㎖의 로딩 버퍼(loading buffer)로 레진(resin)을 세척한 후, 약 10㎖의 wash buffer(10 mM Tris pH 7.5)로 레진(resin)을 2 회 세척하였다. 유출용매(Elution buffer)(100 mM glycine pH 2.5)를 가한 후, 약 1㎖씩 프랙션튜브(fraction tube)에 받은 후, 각 프랙션튜브(fraction tube)에는 유출용매(elution buffer)를 중화하여 산도가 pH7.5가 될 수 있는 양의 1 M Tris를 가하였다. 단백질 정량분석법(Bradford assay)을 하여 anti-rTvAP33 antibody elution fraction을 모아 10 mM Tris pH7.5로 투석을 하고 CentriPrep-10(Amicon사)을 사용하여 농축하였다.
[단계 6] 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키트 제조
플라스틱 카드 위에 흡수패드, 니트로셀룰로스막패드, 콘쥬게이트 패드 및 샘플패드의 네 가지의 패드를 순서대로 부착하였으며, 각 패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샘플패드는 검체의 화학적 상태를 보정할 수 있는 버퍼(buffer) 물질을 흡수시킨 후 건조하였다. 콘쥬게이트 패드에는 위 설명에 따라 개발된 항 질편모충 항체가 30nm 콜로이드 금(colloidal gold)에 콘쥬게이트(conjugation)되어 있는 콘쥬게이트가 흡수된 후 건조하였다. 니트로셀룰로스막패드에는 제2검출부(134)에 항 마우스 면역글로블린G 항체가, 제1검출부(132)에는 항 질편모충 항체가 고정되어 있다. 흡수패드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았다. 이렇게 조립된 키트는 검체를 가하는 창이 있는 플라스틱 하우징에 넣어 완성하였다.
[단계7] 제1 추출용액 및 제2 추출용액의 성분
제1 추출용액, 제2 추출용액은 각각 1ℓ제조하고, 제1 추출용액은 무색투명한 액체이고, 추출용액에 포함된 성분과 사용량은 [표 3]과 같다.
품목 사용량 단위 허가량
수산화나트륨(NaOH) g 8g
염화나트륨(NaCl) g 5.84g
CHAPS g 1g
증류수 0.9ℓ
제균여과장치 0.2㎛
제2 추출용액은 담황색의 액체이고, 추출용액에 포함된 성분과 사용량은 [표 4]와 같다.
품목 사용량 단위 허가량
Tricine g 53.76g
염화나트륨(NaCl) g 2.92g
아질산나트륨(NaN3) g 1g
CHAPS g 3g
EDTA(final 1.266mM) g 0.37g
Tris g 19.38g
Casein g 20g
Tween 20 0.04ℓ
증류수 1ℓ까지 채운다
제균여과장치 0.2㎛
[단계8] 검체(질분비물)의 채취 및 보관
키트에 동봉된 스왑봉을 사용하거나 이와 동등한 규격의 폴리에스터 재질의 멸균된 스왑봉을 사용하여, 수송 튜브 안에 들어있는 2개의 스왑봉 중 1개를 사용하여 자궁 경부의 과도한 점액을 닦아내어 버린다.
나머지1개의 스왑봉을 자궁 경관 속으로 평평원주 접합부(squamocolumnar junction)를 지나도록 스왑봉의 면봉 부분 전체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삽입한 다음 15-30초간 조심스럽게 회전시켜 질편모충이 감염되어 있는 상피세포를 채취한다. 스왑봉이 자궁경부 외부나 질벽에 닿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회수한 후 즉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원래의 수송튜브에 다시 넣어 보존한다.
스왑봉으로 채취된 검체는 수집 후 즉시 시험한다.
만약 채취한 검체를 즉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검체를 채취한 스왑봉을 수송 튜브에 넣어 상온에서 6시간, 2~8℃에서 72시간까지 보관할 수 있다. 만약 검체 수집 후 72시간 이상 보관할 경우에는 반드시 검체를 냉동(-70℃)조건에서 보관하여야 한다.
분주한 백색 또는 무색의 플라스틱 재질의 시험튜브에 미리 300㎕의 제1 추출용액을 넣고, 스왑봉으로 채취된 검체를 넣고 스왑봉 막대의 끝부분을 잡고 시계방향으로 10회 가량 회전시키면서 5분간 추출한다.
즉시 시험튜브에 제2 추출용액을 동량 가한 후, 스왑봉 막대의 끝부분을 잡고 시계방향으로 10회 회전시킨 후 스왑봉을 제거한다.
백색 또는 무색의 플라스틱 재질의 드로퍼를 사용하여 100㎕의 검체추출액을 키트의 하우징 창에 떨어뜨린 후, 20분동안 반응을 지켜본다.
상기 제조된 질편모충 진단키트(100)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하기 위해 10㎕의 검체추출액을 사용하여 질편모충증을 확진하는 PCR법을 수행하였다.
상기 스왑봉은, 긴 막대의 상부의 끝단에 데이크론 섬유가 감겨져 있고, 플라스틱 수송 튜브 안에 들어 있다. 튜브 겉면에 흰색 테이프로 밀봉되어서 멸균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9]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및 전기영동
(1) DNA 준비
10㎕의 질분비물 추출액을 사용하여, 튜브의 뚜껑을 잘 봉한 다음 전자렌지에서 5분간 끓인다. 그것을 4℃, 10000rpm에서 원심 한 후, 질편모충 DNA가 포함되어있는 상층액을 새 튜브에 옮긴다. 양성대조군으로 T. vaginalis KT-4를 사용하였다.
(2) PCR condition
프라이머(Primer)는 Paces 등에 의해 클론된 TV-E650-1의 질편모충(Trichomonas vaginalis )-specific DNA repetitive 서열을 기초로 하여 디자인하였다.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primer) 서열은 다음과 같다.
Primer-sense : 5'-gagttagggtataatgtttgatgtg-3'
Primer-antisense : 5'-agaatgtgatagcgaaatggg-3'
PCR 산물의 크기는 330bp이다. PCR 반응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10x PCR buffer 2㎕, 2.5mM dNTPs 2㎕, 순방향 프라이머(sense primer)(10uM) 1.5㎕, 역방향 프라이머(antisense primer)(10uM) 1.5㎕, 질편모충 DNA 함유 상층액 2㎕, 태크 중합효소(Taq. polymerase) (5U/㎕) 0.3㎕를 넣고, 멸균 증류수(distilled water)로 최종 부피가 20㎕ 되도록 하였다. 위의 반응액을 95℃에서 5분간 반응시키고, 94℃에서 30초, 52℃에서 10초, 72℃에서 30초씩 30 사이클(cycle)을 수행한 후 72℃에서 5분간 반응시키고, 2% 아가로스 젤(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하여 자외선 하에서 사진을 찍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편모충 전기영동결과가 나타난 참고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영동결과를 알 수 있는데, 'SM' 부분은 DNA의 사이즈 마커로 사용되는 DNA ladder를 말하고, 'NC' 부분은 음성대조군을 말하고, 'PC'부분은 양성대조군을 말하고, '147'부분은 일반환자 질분비물 샘플에서 질편모충검체 진단결과를 보여준다.
[실험예 1]
[단계 6]에서 제조된 키트의 특이도를 알아보기 위해 키트의 검체창에 100㎕의 PCR법으로 확진된 음성 검체(질 분비물)를 적하하고, 20분간 방치하는 특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기 검체는 496의 음성검체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는 아래의 [표5]와 같이 나타났고, 상기 음성 검체에 대해 6개의 검체만 위양성으로 나타나서 98.8%의 특이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제조된 키트의 민감도를 알아보기 위해 키트의 검체창에 100㎕의 PCR법으로 확진된 양성 검체(질 분비물)를 적하하고, 20분간 방치하는 민감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아래의 [표5]와 같이 나타났고, 상기 검체는 34의 양성검체 중 29이 양성진단으로 나타나서 85.3%의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질편모충증 PCR법에 의한 진단
양성검체 음성검체
래피드 키트에 의한 진단 양성검체 29 6
음성검체 5 490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을 면역하여 얻은 항 질편모충 항체를 사용하여 질편모충 감염을 진단할 수 있고, 진단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여, 짧은 시간에 보다 높은 정확도로 검사할 수 있는 질편모충 진단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민감도 및 특이도로 질편모충증의 성병 원인균을 검출하는 질편모충 진단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부인과 내원환자의 질편모충 감염여부의 진단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건소 및 종합병원 등의 집단검사기관에서 종합검진을 수행할 때 검사 품목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는 질편모충 진단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편모충 진단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편모충 진단키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된 질편모충 진단키트의 각 검출부의 검출원리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편모충 전기영동결과가 나타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제된 분비배설항원의 단백질 밴드 패턴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편모충 진단키트
110: 샘플패드 120: 콘쥬게이트 패드
130: 니트로셀룰로스막 패드 132: 제1검출부
134: 제2검출부 140: 흡수패드

Claims (7)

  1. 5×107 개의 충체를 37℃, 5% CO2 gas 배양기내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여 얻은 질편모충 분비배설항원을 면역하여 얻은 다클론항체인 항 질편모충 항체를 사용하여 진단키트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편모충 진단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키트는,
    검체의 화학적 상태를 보정할 수 있는 버퍼가 흡수되어 건조된 샘플패드;
    콜로이드 금 결합체가 흡수되어 건조된 콘쥬게이트 패드;
    상기 항 질편모충 항체가 고정된 제1검출부 및 항 마우스 면역글로블린G 항체가 고정된 제2검출부를 포함하는 니트로셀룰로스막패드;및
    흡수패드; 가 플라스틱 카드 위에 순서대로 부착되는 질편모충 진단키트.
  7. 삭제
KR1020070049480A 2007-05-22 2007-05-22 질편모충 진단키트 KR100818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480A KR100818779B1 (ko) 2007-05-22 2007-05-22 질편모충 진단키트
PCT/KR2008/002292 WO2008143406A1 (en) 2007-05-22 2008-04-23 Trichomonas vaginalis diagnostic k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480A KR100818779B1 (ko) 2007-05-22 2007-05-22 질편모충 진단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779B1 true KR100818779B1 (ko) 2008-04-02

Family

ID=39533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480A KR100818779B1 (ko) 2007-05-22 2007-05-22 질편모충 진단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18779B1 (ko)
WO (1) WO20081434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984B1 (ko) * 2008-07-10 2011-10-21 대한민국 면역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광견병 항체 신속 검출진단키트 및 면역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광견병 항체진단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2359A1 (en) * 1984-10-19 1986-04-24 Technology Licence Company Limited Monoclonal antibodies and their use
KR890001588A (ko) * 1987-07-31 1989-03-27 원본미기재 톡소플라스마 곤디이의 특이성 배설 -분비 항원, 그의 형질발현 생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진단 및 예방 용도
US5741662A (en) * 1995-12-18 1998-04-21 Quidel Corporation Direct stain specific binding assays for microorganisms
WO2003085403A1 (en) * 2002-03-30 2003-10-16 Xenotope Diagnost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ichomonas detection
KR20040063281A (ko) * 2003-01-06 2004-07-14 (주) 디엠 폐흡충 유래의 재조합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 및 이를이용한 폐흡충 진단용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4230B2 (en) * 2004-10-22 2009-04-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etection of trichomona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2359A1 (en) * 1984-10-19 1986-04-24 Technology Licence Company Limited Monoclonal antibodies and their use
KR890001588A (ko) * 1987-07-31 1989-03-27 원본미기재 톡소플라스마 곤디이의 특이성 배설 -분비 항원, 그의 형질발현 생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진단 및 예방 용도
US5741662A (en) * 1995-12-18 1998-04-21 Quidel Corporation Direct stain specific binding assays for microorganisms
WO2003085403A1 (en) * 2002-03-30 2003-10-16 Xenotope Diagnost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ichomonas detection
KR20040063281A (ko) * 2003-01-06 2004-07-14 (주) 디엠 폐흡충 유래의 재조합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 및 이를이용한 폐흡충 진단용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984B1 (ko) * 2008-07-10 2011-10-21 대한민국 면역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광견병 항체 신속 검출진단키트 및 면역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광견병 항체진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43406A1 (en) 200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4218B2 (ja) トリコモナス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Zawaneh et al. Factors influencing adherence of group B streptococci to human vaginal epithelial cells
Hollander Diagnosis of chorioamnionitis
Huston et al. Amebiasis: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recognition of Entamoeba dispar
CN101608210B (zh) 幽门螺旋杆菌核酸定量检测试剂盒
CN109182569A (zh) 高毒力株幽门螺杆菌的环介导等温扩增检测方法和试剂盒
Alfa The laboratory diagnosis of Haemophilus ducreyi
El Barrawy et al. Role of Helicobacter pylori in the genesis of gastric ulcerations among smokers and nonsmokers
CN111518225B (zh) 羊种布鲁氏菌疫苗株m5提取的脂多糖在制备诊断人布鲁氏菌病的产品中的应用
KR100783768B1 (ko) 질편모충 및 클라미디아 동시진단키트
KR100818779B1 (ko) 질편모충 진단키트
Mégraud 5 Diagnosis of Helicobacter pylori
KR20170062742A (ko) 쯔쯔가무시병 조기진단을 위한 IgM, IgG 항체 검출 진단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
Peng et al. Endoscopic 13C-urea breath test for the diagnosi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KR101894489B1 (ko) Igm 반정량적 렙토스피라증 진단 키트
Svensson et al. Detection of Chlamydia trachomatis in urinary samples from women.
Mnena et al. Assessing the reliability of PCR, microbiological and histologic methods in detecting helicobacter pylori in gastric biopsies
RU2196993C1 (ru) Способ серодиагностики helicobacter pylori-инфекции иммуноферментным анализом
de Morais et al. Diagnosis of Bacterial Infections
CN102288757A (zh) 无创伤一步法胃幽门螺旋杆菌检测试剂盒及检测方法
Nakamura Inhibition of Entamoeba histolytica in vitro by specific antibody
Alshehri et al. Laboratory Screening For H. Pylori Among High Risk Population
El-Barrawy et al. Role of Helicobacter pylori in the genesis of gastric ulcerations among smokers and nonsmokers
Malfertheiner et al. Pitfalls in Helicobacter pylori diagnosis
RU2144190C1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стафилококковой инфек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