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467B1 - 카메라 모듈 패키지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467B1
KR100818467B1 KR1020060076197A KR20060076197A KR100818467B1 KR 100818467 B1 KR100818467 B1 KR 100818467B1 KR 1020060076197 A KR1020060076197 A KR 1020060076197A KR 20060076197 A KR20060076197 A KR 20060076197A KR 100818467 B1 KR100818467 B1 KR 100818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bstrate
image sensor
lens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4448A (ko
Inventor
김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467B1/ko
Publication of KR20080014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 H05K13/0469Surface mounting by applying a glue or visc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74Flip ch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 패키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배럴 ; 상기 렌즈배럴이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내부단턱에 IR필터를 구비하는 하우징 ;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결상하는 이미지 결상영역을 구비하는 이미지 센서 ; 적어도 하나의 수동소자를 탑재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가 플립칩 본딩되는 일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하부단에 접착하여 고정하는 기판 ;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외부환경을 연결하는 벤트구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 관통공으로 구비하는 통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과 기판간에 도포된 접착제의 경화시 발생되는 내부공기압을 제거하여 부품의 들뜸현상없이 조립공정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하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이 내부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 렌즈배럴, 하우징, 이미지센서, 벤트구, 통기부, 내부공기압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패키지{A Camera Module Package}
도 1은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 패키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 패키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210 : 렌즈 배럴 113,213 : 캡
120,220 : 하우징 125,225 : IR필터
130,230 : 이미지 센서 140,240 : 기판
142,242 : 원도우부 145,245 : 콘넥터
150,250 : 통기부 155,155a,255 : 벤트구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하우징과 기판간의 도포된 접착제의 열경화시 하우징의 내부공기압이 상승되는 것을 제거하여 하우징과 기판간의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여러 휴대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카메라 모듈 패키지를 내장한 휴대 단말기를 개발하여 양산중이며,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내장형 카메라 모듈 패키지는 구성요소와 패키지 방법등에 따라서 여러가지 형태가 개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 패키지는 COF(Chip On Film), COB(Chip On Board), CSP(Chip Scale Package)타입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개발동향은 고화소화, 다기능화, 경박단소화 및 저코스트화에 비중을 두고 있다.
상기한 제조방식중 와이어본딩 방식의 COB 패키지는 기존의 반도체 생산라인과 유사한 공정으로 다른 패키지 방식에 비해 생산성은 높지만 이미지 센서와 기판사이를 와이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야만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며 전체적으로 패키지 크기가 커지는 것과 처리해야만 하는 회로수에 제한을 받는 단점이 있다.
상기 플립칩 방식의 COF 패키지는 와이어의 양단을 이미지 센서와 기판에 각각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패키지의 면적을 줄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경통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패키지의 경박단소가 가능해지며, 기판으로서 얇은 필름이나 연성PCB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대한 신뢰성이 있는 패키지가 가능하며 공정이 상대적으로 간단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패키지의 소형화와 더불어 저항의 절감으로 인한 신호의 고속처리, 고밀도 및 다핀화 추세에 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 패키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 패키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 패키지(1)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L)가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렌즈배럴(10)을 구비하며, 그 외부면에는 숫나사부(11)가 형성되며, 상부단에는 입사공(13a)이 형성된 캡(13)이 조립된다.
상기 렌즈(L)는 구현하고자 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기능 및 성능에 따라 렌즈배럴(11)내에 적어도 하나이상 설치된다.
상기 렌즈배럴(10)과 조립되는 하우징(20)은 상기 숫나사부(11)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1)가 내부면에 형성된 내부공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공에는 렌즈를 통과한 빛을 필터링하는 IR필터(25)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20)에 나사결합된 렌즈배럴(10)은 위치고정된 하우징(20)에 대하여 미도시된 구동원에 의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이다.
상기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의 상이 결상되는 이미지 결상영역을 구비하는 이 미지 센서(30)는 기판(40)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기판(40)의 타단부에는 미도시된 디스플레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콘넥터(45)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 센서(30)가 기판(40)의 일단부에 플립칩 본딩되는 경우, 상기 기판(40)의 일단부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30)의 이미지 결상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윈도우부(42)를 개구형성한다.
한편, 상기 이미지 센서(30)가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판(40)은 상기 하우징(20)의 하부단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접합하게 되는데, 접합공정시 사용되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접착제를 고온에서 경화하는 경화공정이 뒤따르게 된다.
이러한 경화공정시 상기 하우징(20)의 내부공간은 외부환경과 완전히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내부공기압은 상승되어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이때, 발생되는 내부공기압으로 인하여 기판(40)상에 탑재되는 하우징(20)이 들뜨게 되는 현상을 유발시킨다.
이로 인하여, 상기 하우징(20)의 들뜸을 방지하기 위해서,종래에는 별도의 누름지그(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20)의 상부를 기판(40)측으로 가압하면서 접착제의 경화공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누름지그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기 까지 가압상태를 장시간 유지해야만 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길어져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상기 하우징(20)내의 내부공기압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여 경화공정후 잔류하는 내부공기압에 의해서 하우징과 기판간의 접착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 점을 유발하였다.
한편, 일본특허공개 제2005-249994호(2005.9.15. 공개일)에는 접착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통로인 통풍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렌즈배럴에 홈을 형성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렌즈 배럴에 구비되는 홈은 항상 외부와 연결되는 통풍로를 형성되기 때문에 하우징내의 내부공기압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외부의 먼지가 하우징내로 유입됨으로서 내부구조물을 오염시키거나 이미지 센서의 화상불량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하우징과 기판간에 도포된 접착제의 경화시 발생되는 내부공기압을 제거하여 부품의 들뜸현상없이 조립공정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하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이 내부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배럴 ; 상기 렌즈배럴이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내부단턱에 IR필터를 구비하는 하우징 ;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결상하는 이미지 결상영역을 구비하는 이미지 센서 ; 적어도 하나의 수동소자를 탑재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가 플립칩 본딩되는 일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하부단에 접착하여 고정하는 기판 ;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외부환경을 연결하는 벤트구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 관통공으로 구비하는 통기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패키지 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벤트구는 상기 콘넥터를 구비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는 기판의 타단부와 대응하는 하우징의 외부면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벤트구는 상기 기판과 하우징간에 도포된 접착제에 대한 경화작업이 종료된 다음, 상기 기판과 하우징간의 접합부위에 도포되는 밀봉재에 의해서 밀봉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배럴 ; 상기 렌즈배럴이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내부단턱에 IR필터를 구비하는 하우징 ;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결상하는 이미지 결상영역을 구비하는 이미지 센서 ; 적어도 하나의 수동소자를 탑재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가 와이어 본딩되는 일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하부단에 접착하여 고정하는 기판 ;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외부환경을 연결하는 벤트구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 관통공으로 구비하는 통기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패키지 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벤트구는 상기 콘넥터를 구비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는 기판의 타단부와 대응하는 하우징의 외부면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벤트구는 상기 기판과 하우징간의 접합부위에 도포되는 밀봉재에 의해서 밀봉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패키지(10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배럴(110)과, 하우징(120), 이미지 센서(130), 기판(140) 및 통기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렌즈배럴(11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L)가 광축을 따라 배열되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중공원통형의 렌즈수용부이다.
이러한 렌즈배럴(110)에 복수개 배치되는 렌즈(L)는 또다른 렌즈사이에 일정크기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19)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렌즈배럴(110)의 외부면에는 숫나사부(111)가 형성되고, 상부단에는 전면중앙에 입사공(113a)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렌즈배럴(110)내에 수용된 렌즈(L)를 위치고정하도록 캡(113)이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렌즈배럴(110)의 숫나사부(111)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21)를 내부공의 내주면에 형성하여 상기 렌즈배럴(110)이 내부수용되는 배럴수용부이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배럴(110)은 상기 숫나사부(111)와 암나사부(121)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위치고정된 하우징(120)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상기 렌즈(L)와 더불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20)은 내부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부단턱(123)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단턱(123)에는 상기 렌즈(L)을 통과한 빛의 적외선을 필터링하는 IR필터(125)를 접착제로 본딩하여 구비한다.
상기 IR필터(125)는 상기 하우징(120)에 나사결합되는 렌즈배럴(110)의 하부단에 접착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130)는 상기 렌즈배럴(110)에 구비된 렌즈(L)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결상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이미지 결상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기 판(140)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탑재되는 촬상소자이다.
상기 기판(140)은 일단부의 하부면에 상기 이미지 센서(130)가 플립칩 본딩되는 연성회로기판으로 구비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130)가 플립칩 본딩되는 일단부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130)의 이미지 결상영역을 상부로 노출시키는 원도우부(142)를 개구형성한다.
이러한 기판(140)의 타단부에는 미도시된 메인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콘넥터(145)를 구비한다.
상기 기판(140)의 일단부 하부면에는 복수개의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단자와 대응하는 이미지센서(130)의 상부면에는 접속패드가 구비되는바, 상기 기판(140)의 접속단자는 상기 접속패드상에 올려지는 범프를 매개로 하여 이미지 센서(130)를 플립칩 본딩한다.
이러한 접속단자는 상기 범프를 매개로 열압착방식 또는 초음파본딩방식으로 상기 접속패드와 대응접속될 수 있도록 주석 또는 주석합급계열의 도금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140)의 일단부 하부면에 플립칩 본딩된 이미지 센서(130)는 상기 하우징(120)과 기판(140)간의 접합시 상기 기판의 하부로 노출된다.
상기 기판(140)은 상부면에 전기적인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서 캐패시터, 저항과 같은 수동소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통기부(150)는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공간과 외부환경을 서로 연결하여 공기가 자유롭게 왕래하는 통로역활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20)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벤트구(155)를 관통형성한다.
이러한 벤트구(155)는 상기 이미지 센서(130)가 플립칩 본딩된 일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하부단에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접착한 다음, 상기 접착제를 고온으로 열경화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공간을 외부환경과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압을 대기압과 서로 같아지도록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공간은 종래와 같이 하우징(120)과 기판(140)사이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과정에서 내부공기압이 상승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누름지그를 이용하여 하우징을 기판측으로 경화완료시까지 가압할 필요도 없게 된다.
이러한 벤트구(155)는 상기 콘넥터(145)를 구비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는 기판(140)의 타단부와 대응하는 하우징(120)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벤트구(155)는 상기 기판(140)과 하우징(120)간에 도포된 접착제에 대한 경화작업이 종료된 다음, 상기 기판(140)과 하우징(120)간의 접합부위에 사이드 필(side fill)공정에 의해서 도포되는 에폭시계열의 밀봉재(157)에 의해서 밀봉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하우징(120)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된 벤트구(155)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이 상기 하우징(120)내부로 유입되어 이미지 센서를 오염시키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벤트구(155)는 도 3과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40)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120)의 하부단에 하부로 일부 개구되는 절개부로 구비된다.
상기 절개부가 반원단면 또는 사각단면상의 절개부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기판(140)과 하우징(120)간의 결합시 상기 벤트구(155)는 반원형태의 관통공 또는 사각형태의 관통공형태로 상기 기판(140)과 하우징(120)간의 조립부위에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벤트구(155a)는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공간과 외부환경을 연결하는 통로역활하는 관통공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벤트구부(155a)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20)과 기판(140)간에 도포된 접착제에 대한 경화작업이 종료된 다음, 상기 하우징(120)과 기판(140)간의 접합부위에 사이드 필 공정에 의해 도포되는 밀봉재(157)에 의해서 밀봉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패키지(200)는 도 5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배럴(210)과, 하우징(220), 이미지 센서(230), 기판(240) 및 통기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200번대의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230)는 복수개의 금속와이어(235)를 매개로 하여 와이어본딩방식으로 상기 기판(240)의 일단부 상부면에 전기적으로 탑재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230)의 상부면에 노출된 복수개의 접속패드는 금속와이어(235)의 상단과 와이어본딩되고, 상기 금속와이어(235)의 하단은 상기 기판(240)의 상부면에 노출되는 접속단자와 와이어본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240)의 일단부 상부면에 와이어본딩된 이미지 센서(230)는 상기 하우징(220)과 기판(240)간의 접합시 상기 하우징(12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20)에 구비되는 통기부(250)도 상기 하우징(220)의 내부공간과 외부환경을 서로 연결하는 벤트구(255)를 하우징(220)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 관통형성한다.
이러한 벤트구(255)는 상기 하우징(220)의 하부단과 상기 기판(240)의 상부면사이를 접합하도록 도포되는 접착제를 열경화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220)의 내부공간과 외부환경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220)의 내부공기압이 상승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벤트구(255)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기판(240)과 하우징(220)간에 접합부위에 사이드 필(side fill)공정에 의해서 도포되는 에폭시계열의 밀봉재(257)에 의해서 밀봉되어 상기 하우징(220)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된 벤트구(255)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이 상기 하우징(220)내부로 유입되어 이미지 센서를 오염시키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220)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벤트구(255)는 상기 기판(240)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220)의 하부단에 하부로 일부 개구되는 절개부 로 구비되거나 관통공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외부면에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외부환경을 서로 연결하는 벤트구를 적어도 하나 구비함으로서, 하우징의 하부단과 기판의 상부면사이를 접합하는 접착제를 열경화시키는 과정에서 하우징의 내부공기압이 상승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 경화공정후 하우징이 기판으로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들뜸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구된 벤트구는 기판과 하우징간에 접합후 사이드 필(side fill)공정에 의해서 도포되는 밀봉재에 의해서 밀봉됨으로서 하우징의 내부로 외부의 이물이 유입되는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내에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와 같은 구성부품이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과 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누름지그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 카메라 모듈 패키지하는 공정을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단순화하고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배럴 ;
    상기 렌즈배럴이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내부단턱에 IR필터를 구비하는 하우징 ;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결상하는 이미지 결상영역을 구비하는 이미지 센서 ;
    적어도 하나의 수동소자를 탑재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가 플립칩 본딩되는 일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하부단에 접착하여 고정하는 기판 ;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외부환경을 연결하는 벤트구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 관통공으로 구비하는 통기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패키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구는 상기 콘넥터를 구비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는 기판의 타단부와 대응하는 하우징의 외부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패키지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구는 상기 기판과 하우징간에 도포된 접착제에 대한 경화작업이 종료된 다음, 상기 기판과 하우징간의 접합부위에 도포되는 밀봉재에 의해서 밀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패키지 모듈.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배럴 ;
    상기 렌즈배럴이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내부단턱에 IR필터를 구비하는 하우징 ;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결상하는 이미지 결상영역을 구비하는 이미지 센서 ;
    적어도 하나의 수동소자를 탑재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가 와이어 본딩되는 일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하부단에 접착하여 고정하는 기판 ;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외부환경을 연결하는 벤트구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 관통공으로 구비하는 통기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패키지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구는 상기 콘넥터를 구비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는 기판의 타단부와 대응하는 하우징의 외부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패키지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구는 상기 기판과 하우징간에 도포된 접착제에 대한 경화작업이 종료된 다음, 상기 기판과 하우징간의 접합부위에 도포되는 밀봉재에 의해서 밀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패키지 모듈.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60076197A 2006-08-11 2006-08-11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0818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197A KR100818467B1 (ko) 2006-08-11 2006-08-11 카메라 모듈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197A KR100818467B1 (ko) 2006-08-11 2006-08-11 카메라 모듈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448A KR20080014448A (ko) 2008-02-14
KR100818467B1 true KR100818467B1 (ko) 2008-04-01

Family

ID=3934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197A KR100818467B1 (ko) 2006-08-11 2006-08-11 카메라 모듈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4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550B1 (ko) * 2012-03-13 2013-11-22 김성응 김서림 방지막 및 ir 차폐막을 갖는 cctv 카메라 윈도우
KR20160046256A (ko) 2014-10-20 2016-04-28 삼성전기주식회사 커버 테이프 및 카메라 모듈
CN113296333B (zh) 2015-06-08 2022-09-27 Lg伊诺特有限公司 摄像机模块
KR102344460B1 (ko) * 2015-06-08 2021-12-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4584690B (zh) * 2017-07-21 2024-04-09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摄像模组和感光装置
CN111034167B (zh) * 2017-08-29 2021-12-14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成像装置及成像装置的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994A (ja) * 2004-03-03 2005-09-15 Seiko Precision Inc レンズモジュール
KR20050109141A (ko) * 2004-05-14 2005-11-17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의 하우징 밀봉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994A (ja) * 2004-03-03 2005-09-15 Seiko Precision Inc レンズモジュール
KR20050109141A (ko) * 2004-05-14 2005-11-17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의 하우징 밀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448A (ko)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0374B2 (en) Camera module
KR100658150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US932592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maging apparatus having a frame member covering a pad
KR100867523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JP3981348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30726B1 (ko) 카메라 모듈
KR100604190B1 (ko) 고체촬상장치, 반도체 웨이퍼, 광학장치용 모듈,고체촬상장치의 제조방법, 및 광학장치용 모듈의 제조방법
JP2009088510A (ja) ガラスキャップモールディング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818467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20060104949A (ko) 광학 장치 모듈, 및 광학 장치 모듈의 제조 방법
KR20030091389A (ko) 이미지 센서 모듈 및 그 제작 공정
US20040256687A1 (en) Optical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7151251B2 (en) Connector and image sensor module using the same
JP2005317745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952412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solid-state imaging package
JP2009021307A (ja) 半導体装置、撮像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210159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109672806B (zh) 摄像模组和感光组件及其封装方法
KR100840153B1 (ko) 카메라 모듈
KR100708940B1 (ko) 적외선 필터 및 윈도우 일체형 카메라 모듈 장치
JP2006245359A (ja) 光電変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37541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818502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TWI728737B (zh) 攝像模組封裝結構
KR100764410B1 (ko) 이미지센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