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094B1 - Paper-money receipt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Paper-money receipt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094B1
KR100818094B1 KR1020060117481A KR20060117481A KR100818094B1 KR 100818094 B1 KR100818094 B1 KR 100818094B1 KR 1020060117481 A KR1020060117481 A KR 1020060117481A KR 20060117481 A KR20060117481 A KR 20060117481A KR 100818094 B1 KR100818094 B1 KR 10081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anknote
bill
vending machin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헌
Original Assignee
(주)한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틀시스템 filed Critical (주)한틀시스템
Priority to KR102006011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0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0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A paper money container for a vending machine is provided to accurately manipulate a paper money containing mechanism by reliably storing and delivering both old and new paper money. A paper money container for a vending machine comprises a paper money inlet portion(30), a paper money storage(40), and a paper money container box. The paper money inlet portion includes a housing, a driving motor(17), a first base(31), a cover(33), and a fixing member(35). The paper money storage includes a second base(40A) and a forward moving member(40B). The housing is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a door. The first base is a roller, which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The cover covers the first base. The fix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through a side pin and fixes the first base and the cover. The second base includes a roller, which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and delivers the paper money. The forward moving member moves the paper money in front of the second base.

Description

보수가 용이한 자판기용 지폐수납장치{PAPER-MONEY RECEIPT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Banknote storage device for easy vending machine {PAPER-MONEY RECEIPT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도 1은 자판기의 외관 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vending machine,

도 2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에 설치된 본 발명의 지폐수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ill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door in the open state,

도 3a, 도 3b, 도 4a는 각각 방향을 달리하여 관찰한 본 발명의 지폐수납장치에 대한 사시도,Figure 3a, Figure 3b,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ill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bserved in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수납장치에서 지폐진입부의 결합구조를 중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Figure 4b is a side view showing mainl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ill entry portion in the bil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수납장치에서 지폐를 저금통으로 이송시키는 지폐체류부의 진퇴체에 대한 동작상태도,Figure 5a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for the receding body of the bill retainer for transferring the bill to the bank in the bil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수납장치에서지폐체류부의 X자형 링크를 이동시키는 종동부재의 동작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도,Figure 5b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driven member for moving the X-shaped link of the bill retainer in the banknot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수납장치에서 지폐체류부의 진퇴체에 의하여 지폐가 저금통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지폐를 이송시키면서 임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보조고정부의 압지체가 들리는 동작과 관련된 개략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related to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tack of the auxiliary fixing part that serves to temporarily fix the banknote while the banknote is transferred to the piggy bank by the receding body of the bill retainer in the bill accep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V: 자판기 P: 지폐수납장치V: Vending Machine P: Banknote Storage Device

10: 하우징 11: 상부판10: housing 11: top plate

13: 레버 17: 구동모터13: lever 17: drive motor

20: 저금통 21a,21b: 이탈방지편20: piggy bank 21a, 21b: departure prevention

21A: 압지판 30: 지폐진입부21A: Pressure plate 30: Banknote entrance

31: 제1베이스 33: 커버31: first base 33: cover

32,34: 축핀 35: 고정체32, 34: shaft pin 35: fixture

40: 지폐체류부 40A: 제2베이스40: banknote stay 40A: second base

40B: 진퇴체 41: 가압판40B: Receding body 41: Pressure plate

43A,43B: 링크 45A,45B,47A,47B: 브라켓43A, 43B: Link 45A, 45B, 47A, 47B: Bracket

47a: 안내장공 47b,47b': 피안내핀47a: Guide slot 47b, 47b ': Guide pin

49: 종동부재 49A: 회전체49: driven member 49A: rotating body

49B: 이동판 49a: 구송핀49B: Moving Plate 49a: Conveying Pin

50: 보조고정부 51: 압지체50: subgovernment 51: Apji

53: 탄성체 55: 가동체53: elastic body 55: movable body

본 발명은 자판기용 지폐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 storage device for a vending machine,

특히 수납장치 지폐진입부의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 지폐가 끼어 걸렸을 경우(jammed) 자판기의 도어을 열면 바로 추가적인 분해작업 없이 지폐를 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In particular, when a banknote is jammed between the base and cover of the banknote entrance of the storage device, the bank can be removed without additional disassembly.

지폐진입부의 베이스와 커버의 고정이 전면The base of the banknote entrance and the cover are fixed

(자판기의 도어을 개방한 상태에서 관리자가 도어를 보았을 때 보이는 면)(The side when the administrator sees the door with the door of the vending machine open)

에 구비된 고정체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고정체를 해제하면 바로 커버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It is made by a fixed body provided in the configuration to lift the cover immediately after lifting the fixed body,

나아가 상기 지폐진입부에 지폐의 크기를 감지하는 어레이(array) 센서를 배열하여 Furthermore, by arranging an array (array) sensor for detecting the size of the bill in the bill entry portion

2007년 초에 발행되는 천원권의 크기가 종전 지폐보다 작아지더라도 신구 두 종류의 지폐를 모두 사용하여도 지폐수납 저장에 문제가 없도록 한 지폐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Even if the size of the 1,000 won bill issued in early 2007 is smaller than the previous bi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 storage device so that there is no problem in storing bills even if both old and new bills are used.

커피 등의 냉온음료, 기타 식품, 각종 물품을 무인 판매하는 용도로 개발된 자동판매기는 곳곳에 배치되어 생활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고 있으며,Vending machines developed for unattended sales of cold and hot drinks such as coffee, other foods, and various items are deployed everywhere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life.

지불수단으로써 신용카드 지불이나 휴대전화를 이용한 무선지불시스템으로까지 확장되고 있으나, 동전과 지폐의 보조 개념일 뿐이다.As a means of payment, it has been extended to credit card payments and wireless payment systems using mobile phones, but it is only an auxiliary concept of coins and bills.

종래 자판기의 지폐수납장치와 관련하여서는With regard to the bill storage device of the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지폐투입경로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것과 관련된 실용신안공고 제1993-0001741호(1993.04.12) 『자동판매기용 지폐식별기의 이물질 유입장지장치』,Utility Model Bulletin No.1993-0001741 (1993.04.12) 『Foreign Material Inflow Device of Vending Machine Identifier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자기량 센싱을 통하여 위폐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실용신안등록 제0151247호(공고일: 1999.07.15) 『자동판매기의 지폐식별장치』,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51247 (Date of Publication: July 15, 1999) for detecting counterfeit through magnetic flux sensing

지폐를 저금통에 수납하기 전 임시체류부에 1~9장의 지폐를 보유하고 있다가 제어신호에 따라 반환 또는 저금통 수납이 결정되도록 한 실용신안등록 제0172571호(공고일: 2000.03.15) 『지폐 수납기의 복수 지폐 순환 체류장치』, 그리고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72571 (Announcement date: March 15, 2000), which holds 1 to 9 bills in a temporary residence before storing them in a piggy bank and determines that return or storage of a piggy bank is determined by a control signal. Multiple bill circulation holding device, and

다량의 지폐를 수납할 경우 동작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안된 실용신안등록 제0413795호(2006.04.05) 『지폐수납기』가 있으나,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13795 (2006.04.05), `` Billing Machine '', is proposed to guarantee the operation reliability when storing a large amount of bills.

이러한 종래 자판기의 지폐수납장치는 초기 진입부에 걸린 지폐를 쉽게 제거하기 위한 구조와는 무관한 것이어서 본 발명과 직접적인 비교가 부적당하다.The bill acceptor of the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is irrelevant to the structure for easily removing the bill caught in the initial entry portion, which is not suitable for direct comparis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은 지폐진입부를 베이스, 커버, 고정체로 구성하고, 자판기의 도어를 열면 전면(자판기의 도어을 개방한 상태에서 관리자가 도어를 보았을 때 보이는 면)에 상기 지페진입부의 고정체가 보이고, 상기 고정체를 해제(unlocking)하면 자판기 관리자가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커버를 들어올릴 수 있어 쉽게 걸린 지폐를 빼낼 수 있도록 한 지폐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nk entry part consisting of a base, a cover, a fixed body, and when the door of the vending machine is opened, the fixed body of the cash inlet is visible on the front side (a face when the manager sees the door with the door of the vending machine ope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nknote storing device that unlocks a fixed body so that the vending machine manager can lift the cover from the base to easily take out the jammed paper money.

또 어레이센서를 도입하여 크기가 작아진 신권 지폐와 기존 지폐를 동시에 사용하여도 문제가 없도록 한 지폐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ll storage device that introduces an array sensor so that there is no problem even when the new bill and the existing bill are smaller.

나아가 본 발명은 지폐진입부에서 전달받은 지폐를 저금통에 이송하기 전에 임시 보관하고 있다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반환 또는 저금통으로 이송하게 되는 지폐체류부에서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emporarily stored before transferring the banknotes received from the banknote entry unit to the piggy bank in the bill retainer unit to be returned or transferred to the piggy bank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크기가 서로 다른 신구권 화폐 모두 임시보관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원활하게 저금통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To ensure that all new and old coins of different sizes can be transferred to the piggy bank smoothly while the temporary storage is perfect.

지폐체류부의 진퇴체 가압판이 전진할 경우 지폐 양측을 고정하고 있던 보조고정부의 압지체 역시 들릴 수 있도록 한 지폐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nknote storage device that allows the pressure-retaining body of the auxiliary fixing part, which has fixed both sides of the banknote, to be lifted when the pressurizing plate of the banknote bank is advanc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용 지폐수납장치는 The vending machine for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자판기 도어 내면에 설치되는 하우징;A housing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vending machine door;

구동모터;Drive motor;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선회되는 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제1베이스, A first base having a roller pivoted by the drive motor,

상기 제1베이스의 상부를 덮는 커버, 그리고A cove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ase, and

전방에 배열된 측핀에 의하여 상기 제1베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커버를 고정하는 고정체Fixture connected to the first base by the side pins arranged in front to fix the first base and the cover

를 포함하는 지폐진입부;Banknote entry portion comprising a;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선회되어 상기 지폐진입부에서 전달받은 지폐를 이송하는 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제2베이스, 그리고A second base pivoted by the drive motor and provided with a roller for conveying the banknote received from the banknote entrance;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움직여 상기 제2베이스의 전방으로 지폐를 이송시키는 진퇴체Advancing body moved by the drive motor to transfer banknotes in front of the second base

를 포함하는 지폐체류부; 및Banknote stay portion including; And

상기 지폐체류부의 진퇴체에 의하여 전달받은 지폐를 저장하는 저금통Piggy bank for storing the bill received by the advance and return body of the bill holder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is made, includ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Especially tens and ones,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Alternatively, reference numerals having the same tens digit, one digit, and the same alphabet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member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may be regarded as members conforming to these criteria.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V)용 지폐수납장치(P)를 설명함에 있어 방향 기준을 도 1, 도 2 및 도 3a를 참고하여 특정하면,In describing the banknote storage device (P) for the vending machine (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irection reference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3a,

도 2에서처럼 자판기(V)의 도어(V1)를 개방하였을 경우, 자판기 관리자에게 보이는 면,When the door V1 of the vending machine V is opened, as shown in FIG.

즉 도 3a에서 처럼, 저금통(20) 쪽을 전방으로 정하고, 그 반대쪽인 지폐진입부(30) 쪽을 후방으로 정하며,That is, as shown in Figure 3a, the piggy bank 20 is set to the front side, the opposite side of the bill entering portion 30 is set to the rear,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하를 구분하고, 저금통(20)을 바라 본 상태에서 좌우를 정한다.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divided based o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determined while the piggy bank 20 is viewed.

본 발명에 따른 지폐수납장치(P)는 각종 물품을 판매하는 자판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자판기(V)에는 투명 커버에 의하여 보호된 지폐투입구(V2)와 하부의 물품배출구(V3)가 보이며, 도 2에서와 같이 도어(V1)를 개방하면 지폐수납장치(P)를 관찰할 수 있다.Banknote storage device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vending machine for selling a variety of goods, vending machine (V) shown in Figure 1 is a banknote inlet (V2) protected by a transparent cover and the article outlet ( V3) is shown, and when the door V1 is opened as shown in Fig. 2, the banknote storage device P can be observed.

도 3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폐수납장치(P)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판기(V) 도어(V1)에 배열된 지폐투입구(V2)에 삽입된 지폐를 센서가 감지하면 특정 프로세스가 입력된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되어 지폐를 받아들이는 지폐진입부(30), As shown in Figures 3a to 4b, the bill storage device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ll inserted into the bill insertion slot (V2) arranged in the vending machine (V) door (V1) as shown in FIG. When the sensor detects a bill input unit 30 that receives a bill by operating a control signal of the input microcomputer,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입된 지폐를 다시 하부로 안내하여 임시로 보관하고 있다가 마이컴을 통하여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반환 또는 저금통으로 전달하는 지폐체류부(40),Banknotes flowing back from the front to the lower back guides the banknotes to hold the temporary temporarily and then to return or transfer to the bank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computer 40,

그리고 지폐를 차곡차곡 저장하고 있다가 자판기 관리자가 지폐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저금통(20)으로 이루어지며,And it is made of a piggy bank 20 to store the bills one after another to allow the vending machine manager to collect the bills,

상기 지폐진입부(30)와 지폐체류부(40)는 하우징(10)에 의하여 감싸여 있고, 상기 저금통(20)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 수용홈(15)과 상부 레버(13)를 통하여 하우징(10) 전방에 장착된다.The banknote entry part 30 and the banknote stay part 40 are wrapped by the housing 10, and the piggy bank 2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through the lower receiving groove 15 and the upper lever 13 of the housing. 10) It is mounted in the front.

본 발명에 따른 지폐수납장치(P)에서 핵심 중 하나인 지폐진입부(30)는 구동모터(17)의 동력을 감속기어와 벨트 등의 중계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아 선회하여 지폐의 수용 또는 반환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롤러(31a)(도 3b 참조)가 구비된 제1베이스(31)와,The banknote entry part 30, which is one of the cores of the banknote storing device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17 through a relay means such as a reduction gear and a belt to pivot to receive or return the banknote. A first base 3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31a (see FIG. 3B) for enabling the same;

후방에 배열된 축핀(32)(도 3a 참조)에 의하여 상기 제1베이스(31)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부를 덮는 커버(33), 그리고A cover 33 connected to the first base 31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ase by an axial pin 32 (see FIG. 3A) arranged at the rear, and

전방에 배열된 측핀(34)(도 3a 참조)에 의하여 상기 제1베이스(31)와 연결되어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커버(33)를 고정하는 고정체(35)를 포함하며,It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31 by a side pin 34 (see Fig. 3a) arranged in front of the fixing member 35 for fixing the first base and the cover 33,

상기 제1베이스(31)와 상기 커버(33)의 정위치 배열은 축핀(32)에 의한 방식 외에 하우징(10)이나 상기 베이스(31)와 상기 커버(33) 사이에 구비된 암수결합 형태의 스토퍼에 의하여 보장되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first base 31 and the cover 33 in the correct 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a male and female coupling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10 or the base 31 and the cover 33 in addition to the shaft pin 32.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guaranteed by the stopper.

나아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폐진입부(30)의 고정체(35)는 상기 제1베이스(31)의 상부어 얹혀진 상기 커버(33)의 상면, 특히 돌출된 결합부(33a)를 누르는 가압돌기(35a)가 구비되어 있고, Furthermore,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fixing body 35 of the banknote entry part 30 is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33 o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ase 31 is mounted, in particular a protruding portion. Pressing projection 35a for pressing 33a is provided,

또 상기 고정체(35)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판(11)과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체(35)에서 상기 가압돌기(35a) 상부에 구비된 걸림돌기(35b)가 상기 하우징 상부판(11)의 압지돌기(11a)에 엇물려 확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1베이스(31)와 상기 커버(33)의 결합상태를 확고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fixing body 35 is fixed and coupled to the upper plate 11 of the housing 10, and more specifically, the locking protrusion 35b provided above the pressing protrusion 35a in the fixing body 35. ) Is firmly interlocked with the pressing protrusion 11a of the housing upper plate 11 to firmly engage the first base 31 and the cover 33.

지폐가 상기 제1베이스(31)와 상기 커버(33) 사이에 끼어 지폐수납장치(P)가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경보신호(발광 또는 음향)를 발할 수 있고,When a bill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base 31 and the cover 33 and the bill storage device P is inoperable, an alarm signal (light emission or sound) may be emitted.

자판기 관리자가 고장상태를 인지하고 자판기(V)의 도어(V1)를 열어 The vending machine manager recognizes the fault condition and opens the door (V1) of the vending machine (V).

저금통(20)이 장착된 상태 또는 저금통을 분리한 상태에서 With the piggy bank 20 mounted or with the piggy bank removed

상기 지폐진입부(30) 고정체(35)의 파지부(35c)를 잡고 전면으로 당기면 When holding the holding part 35c of the banknote entry part 30, the fixed body 35, and pulls to the front

상기 고정체(35)는 축핀(34)을 축으로 열리고 상기 커버(33)를 들어 걸린 지폐를 빼낼 수 있으므로Since the fixing body 35 opens the shaft pin 34 in the shaft and lifts the cover 33, the jammed paper money can be taken out.

지폐수납장치(P) 전체를 도어(V1)에서 분리하여 후면 쪽에서 걸린 지폐를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기존 자판기에서 대부분 이 방식을 채용) 자판기의 유지 보수가 획기적으로 편리해 진다.Since the whole banknote storage device P is removed from the door V1, it is not necessary to remove the banknote jammed from the rear side (most of the existing vending machines adopt this method), which greatly facilitates the maintenance of the vending machine.

또 상기 지폐진입부(30)는 지폐의 크기를 감지하는 어레이(array) 센서(S)(도 4a 및 도 4b에 개념적으로 도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In addition, the bill entry portion 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array sensor (S) (conceptually shown in Figures 4a and 4b) for detecting the size of the bill,

이를 통하여 신권화폐, 특히 2007년 초 발권되는 천원권 지폐와, 이보다 크기가 더 큰 기존 천원권 지폐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폐진입 초입에서 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신구지폐가 모두 원활하게 수납되고 반환되며, 저금통까지 완벽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수단의 제어를 위한 초기 센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is prevents the rejection from entering the banknotes so that new priesthood currencies, especially 1,000 won bills issued in early 2007, and existing larger ones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Initial sensing may be enabled for the control of the means to be received and returned and to be transferred completely to the piggy bank.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에서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어 상기 지폐체류 부(40) 전방에 위치하는 저금통(20)은 하부 양측에 삽입돌기(25)가 구비되어 있고, 상부 우측에 고정돌기(23)가 형성되어 있어,3A and 3B, the piggy bank 20 mounted on the housing 10 and positioned in front of the banknote stay 40 is provided with insertion protrusions 25 on both lower sides thereof, and a fixing protrusion on the upper right side thereof. 23 is formed,

상기 하우징(10) 전방 하부의 수용홈(15)과, 전방 상부의 배열되어 있어 스프링(미(未)도시 됨)에 의하여 탄지되는 레버(13)의 후크 부위에 의하여 각각 끼워지고 걸려 상기 저금통(20)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다.The housing 10 is fitted and hung by the hook portions of the receiving groove 15 of the front lower portion and the lever 13, which is arranged in the upper upper portion and is supported by a spring (not shown), respectively. 20) can be mounted and removed.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지폐수납장치(P)에서 상기 지폐진입부(30)로부터 지폐를 전달받아 상기 저금통(2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지폐체류부(40)를 도 3a, 도 4a, 도 5a, 도 5b,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Subsequently, in the banknote storage device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stay 40 serves to receive the banknote from the banknote entry part 30 and deliver the banknote to the piggy bank 20 in FIGS. 3A, 4A, and 5A. Referring to FIG. 5B and FIG. 6,

상기 지폐체류부(40)는 상기 지폐진입부(30)의 제1베이스(31)와 연결된 제2베이스(40A)와, 상기 제2베이스(40A)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전후진되는 진퇴체(40B)를 포함한다.The banknote stay 40 has a second base 40A connected to the first base 31 of the banknote entry part 30, and a receding body mounted on the second base 40A and advanced forward and backward ( 40B).

상기 제2베이스(40A)에도 제1베이스(31)의 롤러(31a)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롤러(40a)가 구비되어 있어 마찰에 의하여 지폐의 수납과 반환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Like the roller 31a of the first base 31, the second base 40A is also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40a, so that the bills can be stored and returned by friction.

특히 상기 롤러(40a)는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로 이하에서 상술하는 보조고정부(50)를 이루는 압지체(51)에 구비되어 있으며, 역시 구동모터(17)와 감속기어나 벨트 중의 중계수단을 통하여 연결되어 선회된다.In particular, the roller (40a) is one of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paper holding body 51 forming the auxiliary fixing part 5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nd also through the relay means in the drive motor 17 and the reduction gear or belt Connected and turning.

상기 지폐진입부(30)에서 전방을 항햐여 수평 이송된 지폐는 방향전환(이는 이송 롤러의 배열 위치 조절에 의하여 구현 가능)되어 수직으로 이송되어 보조고정부(50)를 이루는 좌우 양측 두 압지체(51)에 의하여 지폐 양측이 압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The banknotes horizontally transported forward by the banknote entry unit 30 are reversed (which can be implemented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onveying roller) and vertically conveyed to form the auxiliary fixing part 50 to form the two fixing bodies 50. In the state in which both sides of the banknote are press-fixed and fixed by 51,

상기 지폐체류부(40)의 진퇴체(40B) 가압판(41)은 상기 가압판(41)과 상기 제2베이스(40a)를 연결하고 중앙핀(43a)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 X자형 링크(43A)(43B)에 의하여 전후진 되는데,The advancing body 40B of the banknote stay 40 has a pressing plate 41 which connects the pressing plate 41 and the second base 40a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entral pin 43a (43A) ( 43B) back and forth,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판(41)과 상기 제2베이스(40A)는 제1브라켓(45A)(45B)을 각각 갖고,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링크(43A)(43B) 각각의 일단(一端)부를 선회구속하는 고정핀(45b)(45b')이 끼워져 결합된 고정공(45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5A and 5B, the pressure plate 41 and the second base 40A have first brackets 45A and 45B, respectively, and the first brackets have links 43A and 43B, respectively. Fixing pins 45b and 45b 'which pivotally bind one end of the fitting are fitted to each other to form a fixing hole 45a,

또 상기 가압판(41)과 상기 제2베이스(40A)는 제2브라켓(47A)(47B)를 각각 갖고, 상기 제2브라켓에는 상기 링크(43A)(43B)의 타단(他端)부를 활주구속하는 피안내핀(47b)(47b')이 끼워져 결합된 안내장공(47a)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In addition, the pressing plate 41 and the second base 40A each have second brackets 47A and 47B,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43A and 43B is slid to the second bracket. Guide pins 47b and 47b 'to which guide pins 47a are formed are coupled to each other,

도면에서 상기 링크(43A)(43B)(도면에서는 피안내핀(47b)(47b'))를 상부로 미는 힘에 의하여 상기 가압판(41)의 전진이 이루어지고, 중력에 의하여 또는 상기 링크(43A)(43B)(도면에서는 피안내핀(47b)(47b'))를 하부로 당기는 힘에 의하여 상기 가압판의 후진이 이루어져서,In the drawing, the pressing plate 41 is advanced by a force pushing the links 43A and 43B (guiding pins 47b and 47b 'in the drawing) upward, and by gravity or the link 43A. 43B (refer to the drawing guide pins 47b, 47b ') by the force to pull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plate,

상기 가압판(41)이 상기 저금통(20)의 압지판((21A)을 밀어 스프링(21B)을 수축시키고 지폐 양측은 상기 이탈방지편(21a)(21b)에 걸려 상기 저금통의 압지판과 이탈방지편 사이에 끼어 저장된다.The pressure plate 41 pushes the pressure plate 21A of the bank 20 to contract the spring 21B, and both sides of the banknote are caught by the release prevention pieces 21a and 21b to prevent the pressure plate and the separation of the bank. It is stored between pieces.

특히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43A)(43B), 특히 상기 피안내핀(47b)(47b')을 밀고 당기는 역할을 하는 종동부재(49)는 상기 구동모터(17)와 감속기어 등의 중계수단을 통하여 연동되는데,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driven member 49, which serves to push and pull the links 43A and 43B, in particular the guide pins 47b and 47b ',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7. Interlocked through relay means such as reduction gears,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선회되는 회전체(49A), 상기 회전체의 중심축(49S)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배열된 구속핀(49a), 그리고 상기 구속핀과 결합되는 장공(49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크(49B)에 결합된 피안내핀(47b)과 맞닿아 있는 이동판(49B)으로 이루어진다.A rotating body 49A pivoted by the drive motor, a restraining pin 49a arranged at an eccentric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49S of the rotating body, and a long hole 49b coupled to the restraining pin are formed. And a moving plate 49B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pin 47b coupled to the link 49B.

그 구체적인 기작(mechanism)은 도 5b에서와 같이, 상 모터(17)의 동력을 전달받아(특히 감속되어 토크가 향상된 상태로) 상기 회전체(49A)가 중심축(49S)을 축으로 선회되면,The specific mechanism is as shown in FIG. 5B, when the rotor 49A is pivoted about the central axis 49S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phase motor 17 (especially in a state in which the torque is decelerated to improve the torque). ,

상기 구속핀(49a)이 끼워진 장공(49b)이 형성된 이동판(49B)은 양측이 구속(미(未)도시 됨)(레일 형태로 승하강만 가능하고 전후진은 불가능하게 구속된 것이 바람직)되어 회전이 방지되므로 상기 구속핀의 원운동에 의하여 직선운동이 이루어지고,The moving plate 49B having the long hole 49b in which the restraining pin 49a is inserted is constrained (not shown) on both sides (preferably limited to lifting up and down in a rail shape, and impossi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Since the rotation is prevented, the linear motion is made by the circular motion of the restraint pin,

상기 이동판(49B)의 상승(도 5b에서는 좌측으로 이동)으로 상기 피안내핀(47b)이 가압되어 상승(도 5a에서는 좌측으로 이동)The guide pin 47b is pressurized and raised (moving to the left in FIG. 5A) by the rising of the movable plate 49B (moving to the left in FIG. 5B).

상기 링크(43A)(43B)는 중앙핀(43a)을 중심으로 벌어지며,The link 43A, 43B is opened around the center pin 43a,

이에 따라 상기 가압판(41)은 전진(도 5a에서는 상승)되어 As a result, the pressure plate 41 is advanced (ascended in FIG. 5A).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판(41)이 상기 저금통의 압지판(21A)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판 전면에 위치한 지폐를 상기 저금통(20)으로 전달하고,As mentioned above, the pressure plate 41 presses the pressure plate 21A of the money box to transfer the banknote located in front of the pressure plate to the money box 20,

이어서 상기 종동부재(49)의 회전체가 계속 회전되거나 역회전되면Subsequently, when the rotating body of the driven member 49 is continuously rotated or reversely rotated

상기 이동판(49B)은 하강하게 되고 역시 피안내핀(47b) 또한 하강하여 상기 링크(43A)(43B)는 중앙핀(43a)을 중심으로 좁아지고 상기 가압판(41)은 후진하게 되어The movable plate 49B is lowered and the guide pin 47b is also lowered so that the links 43A and 43B are narrowed about the center pin 43a and the pressure plate 41 is reversed.

결국 상기 저금통의 압지판(21A)을 압박하던 힘이 사라져 상기 스프링(21B)이 복원되면서 As a result, the force that pressed the pressure plate 21A of the piggy bank disappears and the spring 21B is restored.

지폐 양측은 상기 저금통(20)의 이탈방지편(21a)(21b)과 상기 압지판(21A) 사이에 끼어 고정된다.Both sides of the banknote are clamped between the release preventing pieces 21a and 21b of the bank 20 and the pressure plate 21A.

이때, 상기 종동부재(49)의 회전체(49A)와 상기 이동판(49B)의 행정은At this time, the stroke of the rotating body 49A and the movable plate 49B of the driven member 49 is

첫째, 상기 종동부재(49)의 이동판(49B) 상승(결국은 가압판(41)의 전진)을 위하여 상기 회전체(49A)는 90도 또는 180도 정회전하고, 상기 이동판의 하강(결국은 가압판의 후진)을 위하여 다시 90도 또는 180도 역회전하거나,First, the rotating body 49A is rotated forward by 90 degrees or 180 degrees in order to raise the movable plate 49B of the driven member 49 (in the end, the advancement of the pressure plate 41). Reverse 90 degrees or 180 degrees again,

둘째, 상기 이동판의 승하강을 위하여 상기 회전체는 360도 회전을 하면 처음 180도 회전시 상기 이동판은 승강하고 다음 180도 회전시 상기 이동판은 하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Second, when the rotating body rotates 360 degrees to move up and down of the movable plate, the movable plate is lifted when the first 180 degrees are rotated and the movable plate is lowered when the next 180 degrees is rotated.

또 상기 종동부재(49)의 이동판(49B)과 상기 피안내핀(47b)은 연결수단(예: 링이나 후크 등 승하강 방향 직선 운동만 구속하고 원운동이나 측면 방향 운동은 자유로운 연결수단)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이 상기 진퇴체 이동판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피안내핀(47b)(결국은 링크(43A)(43B) 및 가압판(41))이 연동되는 것의 확실성 보장을 위하여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ving plate 49B and the guide pin 47b of the driven member 49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a ring or a hook or the like in a vertical direction such as a ring or hook, and a circular or side motion is freely connected) It is preferable to ensure that the guide pin 47b (finally the links 43A, 43B and the pressure plate 41)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oving body moving plate.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은 도 4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의 양측을 고정하는 압지체(51)를 포함하는 보조고정부(50)의 움직임으로, 상기 보조고정부(50)는 Next, another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ure 4a and 6,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fixing portion 50 including the paper holding body 51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bill, the auxiliary fixing portion 50 )

상기 지폐체류부(40) 진퇴체(40B)(특히 가압판(41))의 양측에 축설되어 있는 상기 압지체(51)와, The holding paper 51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banknote stay 40 and the receding body 40B (especially the pressing plate 41);

상기 압지체가 지폐를 가압하도록 탄지하는 탄성체(53)(도면에서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형태이지만 다른 탄성수단으로 변형 가능), 그리고 An elastic body 53 which presses the pressure-sensitive body so as to press the banknote (in the form of a torsion coil spring, but deformable by other elastic means), and

상기 지폐체류부의 진퇴체(40B)(특히 가압판(41))가 전진할 경우 상기 압지체(51)를 들어 지폐 압지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모터(17)에 의하여 움직이는 가동체로 이루어지며, When the advancing body 40B (particularly, the pressure plate 41) of the bill retainer portion is advanced, the movable body is moved by the drive motor 17 to lift the paper sheet 51 and release the bill paper state.

상기 가동체는 역시 구동모터와 감속기어 또는 타이밍 벨트와 같은 중계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The movable body is also connected by a drive motor and a relay means such as a reduction gear or a timing belt,

도면에서는 특히 캠(55) 형태로 되어 있다. Especially in the figure, it is in the form of the cam 55.

이러한 보조고정부(5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fixing section 50 in more detail

상기 보조고정부(50)의 압지체(51)는 상기 진퇴체(40B)에서 상기 가압판(41)의 진퇴를 위한 메커니즘과 함께 연동되어 The holding body 51 of the auxiliary fixing part 50 is interlocked with a mechanism for the retraction of the pressure plate 41 in the retreat body 40B.

상기 가압판(41)이 전진할 경우에는 상기 캠(55)이 회전하여 상기 압지체(51)를 축핀(51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들어 지폐의 양측면 가압상태를 해제하고When the pressing plate 41 is advanced, the cam 55 is rotated to rotate the paper holding body 51 about the shaft pin 51a to release the pressurized state on both sides of the bill.

다시 상기 가압판(41)이 후진항 경우에는 상기 캠(55)은 반대로 회전하여 상 기 압지체(51)가 원상복귀 되도록 한다.When the pressure plate 41 is reversed again, the cam 55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presser body 5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폐수납장치(P)에서는 자판기(V)의 지폐투입구(V2)를 거쳐 지폐진입부(30)로 지폐가 투입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어레이센서(S)의 기능으로 지폐 크기도 감지하여 크기가 작은 신권으로 인한 오작동 등을 방지하며,As described above, in the bill acceptor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bill is input into the bill entry part 30 through the bill input port V2 of the vending machine V, the sensor detects this, and the array sensor S It also detects bill size and prevents malfunction due to small priesthood.

마이컴의 명령으로 지폐진입부의 롤러(31a)와 지폐체류부(40)의 롤러(40a)가 작동하여 지폐는 지폐체류부의 진퇴체(40B) 가압판(41)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고정부(50)의 압지체(51)에 의하여 눌려 있다(실제로는 롤러(40a)에 의하여 눌려 있음).The roller 31a of the banknote entry part and the roller 40a of the banknote stay part 40 are operated by the command of the microcomputer so that the banknote is located in front of the pressing plate 41 of the receding body 40B of the banknote stay part and the auxiliary fixing part 50 ) Is pressed 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ody 51 (actually, pressed by the roller 40a).

이때 반환 명령이 아닌 저금 명령이 내려지면(필요에 따라 보유된 지폐는 한 장이 아니라 여러 장이 되어야 이를 저금하라는 명령신호을 발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a saving order is issued instead of a return order (if necessary, the banknotes can be configured in such a way as to give a command signal to save them, not one, but several).

구동모터(17)의 회전으로 지폐체류부(40) 종동부재(49)의 회전체(49A)가 선회하고 구속핀(49a)에 의하여 이동판(49B)이 상승하면 피안내핀(47b)이 연동되어 X자형 링크(43A(43B)가 중앙핀(43a)을 중심으로 펼쳐 져 상기 가압판(41)이 전진하고When the rotating body 49A of the bill retainer 40 driven member 49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17 and the moving plate 49B is raised by the restraining pin 49a, the guide pin 47b is moved. X-shaped link 43A (43B) is interlocked with the center pin (43a) unfolds, the pressure plate 41 is advanced

이와 동시에 상기 보조고정부(50)의 캠(55)의 장동으로 압지체(51)가 축핀(51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들려 지폐 양측면 가압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At the same time, the paper holding body 51 is rotated about the shaft pin 51a by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cam 55 of the auxiliary fixing part 50, thereby releasing the pressurized state on both sides of the banknote.

상기 가압판(41)은 저금통(20)의 압지판(21A)을 눌렀다가The pressure plate 41 presses the pressure plate 21A of the bank 20

다시 상기 진퇴체(40B) 종동부재(49)의 회전체(49A)가 90도(또는 180도) 역회전(또는 초기 180도 정회전에 이은 180도 정회전)하면When the rotating body 49A of the driven body 40B driven member 49 is rotated 90 degrees (or 180 degrees) in reverse (or 180 degrees forward after the initial 180 degrees),

상기 이동판(49B)은 X자형 링크(43A(43B)는 중앙핀(43a)을 중심으로 접히고The movable plate 49B is folded around the center pin 43a of the X-shaped link 43A and 43B.

상기 가압판(41)은 후진하게 되고 The pressure plate 41 is reversed

이때 상기 저금통의 압지판(21A)을 압박하던 힘이 사라져 상기 스프링(21B)이 복원되면서 지폐 양측은 상기 저금통(20)의 이탈방지편(21a)(21b)과 상기 압지판(21A) 사이에 끼어 At this time, the force that pressed the pressure plate 21A of the piggy bank disappears and the spring 21B is restored, and both sides of the banknote are separated between the release preventing pieces 21a and 21b of the bank 20 and the pressure plate 21A. Sandwich

지폐는 결국 지폐체류부(40)에서 저금통(20)으로 옮겨지게 된다.Banknotes are eventually transferred to the bank 20 in the bill retainer 4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수가 용이한 자판기용 지폐수납장치는 지폐진입부를 베이스, 커버, 고정체로 구성하고, 자판기의 도어를 열면 전면(자판기의 도어을 개방한 상태에서 관리자가 도어를 보았을 때 보이는 면)에 상기 지페진입부의 고정체가 보이고, 상기 고정체를 해제(unlocking)하면 자판기 관리자가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커버를 들어올릴 수 있어 쉽게 걸린 지폐를 빼낼 수 있도록 하고, 또 어레이센서를 도입하여 크기가 작아진 신권 지폐와 기존 지폐를 동시에 사용하여도 문제가 없도록 하였으며, 나아가 지폐진입부에서 전달받은 지폐를 저금통에 이송하기 전에 임시 보관하고 있다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반환 또는 저금통으로 이송하게 되는 지폐체류부에서 크기가 서로 다른 신구권 화폐 모 두 임시보관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원활하게 저금통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폐체류부의 진퇴체 가압판이 전진할 경우 지폐 양측을 고정하고 있던 보조고정부의 압지체 역시 들릴 수 있도록 하여 지폐 수납 기작(mechanism)의 완벽성을 보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asy-to-repair banknot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ill entry part with a base, a cover, and a fixed body, and when the door of the vending machine is opened, the front (when the manager sees the door while the door of the vending machine is open). (See side), the fixed part of the paper entry part is visible, and when the unlocking part is unlocked, the vending machine manager can lift the cover from the base so that the jammed paper can be easily removed, and the array sensor is introduced. It is safe to use newer banknotes with smaller size and existing banknotes at the same time.In addition, the banknotes are temporarily stored before transferring them to the bank, and then returned or transferred to the bank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All bills and bills of different old and new currency will be perfectly stored. In order to be able to smoothly transfer the money to the money box, when the pressurizing plate of the banknote holder moves forward, the sub-government paper holding the sides of the banknote can also be heard so that the perfection of the banknote storage mechanism can be heard. I can guarantee it.

이상의 설명에서 자판기의 지폐수납장치에서 통상적인 지폐 센싱 등과 관련된 프로세스를 비롯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이를 당연히 추측 및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지폐수납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a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 including a process related to conventional banknote sensing and the like is omitted in a banknote stor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naturally be able to infer and deduce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th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around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자판기 도어 내면에 설치되는 하우징;A housing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vending machine door; 구동모터;Drive motor;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선회되는 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제1베이스, A first base having a roller pivoted by the drive motor, 상기 제1베이스의 상부를 덮는 커버, 그리고A cove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ase, and 전방에 배열된 측핀에 의하여 상기 제1베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커버를 고정하는 고정체Fixture connected to the first base by the side pins arranged in front to fix the first base and the cover 를 포함하는 지폐진입부;Banknote entry portion comprising a;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선회되어 상기 지폐진입부에서 전달받은 지폐를 이송하는 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제2베이스, 그리고A second base pivoted by the drive motor and provided with a roller for conveying the banknote received from the banknote entrance;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움직여 상기 제2베이스의 전방으로 지폐를 이송시키는 진퇴체Advancing body moved by the drive motor to transfer banknotes in front of the second base 를 포함하는 지폐체류부; 및Banknote stay portion including; And 상기 지폐체류부의 진퇴체에 의하여 전달받은 지폐를 저장하는 저금통Piggy bank for storing the bill received by the advance and return body of the bill holder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수가 용이한 자판기용 지폐수납장치.Banknotes storage device for easy vending machine made,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폐진입부의 고정체는 상기 커버의 상면을 누르는 가압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가 용이한 자판기용 지폐수납장치.The bill acceptor is fixed, the bill acceptor for easy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rojection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is provid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지폐진입부의 고정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판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가 용이한 자판기용 지폐수납장치.The banknote storage device for easy maintenanc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ody of the bill entry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of the housing is fix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지폐진입부는 지폐의 크기를 감지하는 어레이(array) 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가 용이한 자판기용 지폐수납장치.The bill acceptor is an easy-to-repair vending machine bill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y (array) sensor for detecting the size of the bill is provid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저금통은 측벽 상하부에 돌기를 갖고,The piggy bank has protrusions on the upper and lower sidewalls,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저금통의 돌기를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가 용이한 자판기용 지폐수납장치.The housing is a banknote storage device for easy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for the projection of the piggy bank is provided.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하우징의 결합부 중 하나는One of the coupling parts of the housing 후크를 구비한 레버, 및A lever with a hook, and 상기 레버를 탄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가 용이한 자판기용 지폐수납장치.Easy-to-repair vending machine banknote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pring holding the lever.
KR1020060117481A 2006-11-27 2006-11-27 Paper-money receipt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KR100818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481A KR100818094B1 (en) 2006-11-27 2006-11-27 Paper-money receipt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481A KR100818094B1 (en) 2006-11-27 2006-11-27 Paper-money receipt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094B1 true KR100818094B1 (en) 2008-03-31

Family

ID=3941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481A KR100818094B1 (en) 2006-11-27 2006-11-27 Paper-money receipt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0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987Y1 (en) 2009-04-27 2011-11-30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Bill acceptor with a bill passage adjustment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207A (en) * 1999-08-13 2000-03-06 윤면섭 Device for stocking the bill
KR20000046652A (en) * 1998-12-31 2000-07-25 이원철 Device for inserting paper money of paper money receipt system for vending machine
KR20020054298A (en) * 2002-06-10 2002-07-06 양대문 Paper money identification device
KR20060008843A (en) * 2005-09-05 2006-01-27 송병욱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of automatic service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652A (en) * 1998-12-31 2000-07-25 이원철 Device for inserting paper money of paper money receipt system for vending machine
KR20000012207A (en) * 1999-08-13 2000-03-06 윤면섭 Device for stocking the bill
KR20020054298A (en) * 2002-06-10 2002-07-06 양대문 Paper money identification device
KR20060008843A (en) * 2005-09-05 2006-01-27 송병욱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of automatic service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987Y1 (en) 2009-04-27 2011-11-30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Bill acceptor with a bill passage adjustment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7575B2 (en) Paper sheet storage / dispensing device
JP5199127B2 (en) Equipment for orderly storing banknotes and / or banknotes
CN101896944B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WO2014155645A1 (en) Paper-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KR101016245B1 (en)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1120907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0818094B1 (en) Paper-money receipt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KR100771925B1 (en) Paper-money receipt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KR100526583B1 (en) paper money deposit device in auto teller machine
JP3560516B2 (en) Bill receiving / dispensing device
KR20060129614A (en) Device for drawing bills from auto teller machine
JP5789562B2 (en)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and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KR101155230B1 (en) Driving apparatus for shutter and stacking space control guide of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part
KR20030058159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cash in automatic teller machine
JP2004139189A (en) Bill treating device
KR101304528B1 (en) Cash dispense machine equipped with batch-emission means
KR20110034859A (en) Cassett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0576912B1 (en) plate locker of the auto teller machine recycle-box
JP2017010500A (en) Currency processing apparatus
KR20100079664A (en)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1077317B1 (en) Reject box for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1281316B1 (en) media stack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JP2565722Y2 (en) Bill automatic payment device
JP2006209717A (en) Bill processing device
KR100552232B1 (en) Device for initializing recycle box in auto teller machin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