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785B1 -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 - Google Patents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785B1
KR100817785B1 KR1020070134942A KR20070134942A KR100817785B1 KR 100817785 B1 KR100817785 B1 KR 100817785B1 KR 1020070134942 A KR1020070134942 A KR 1020070134942A KR 20070134942 A KR20070134942 A KR 20070134942A KR 100817785 B1 KR100817785 B1 KR 100817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fabric
extruder
shaf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기공
Priority to KR1020070134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 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타이어 제작을 위해 선행되는 고무 압출 공정에 있어서, 상기 고무 압출 공정은 본 발명의 피드롤과 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에 의해 고무 압출시 고무 원단의 투입이 끊김없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형성되고, 압출된 고무의 배출이 일정속도로 정량 배출되어 제품의 완성도가 높게 형성됨은 물론 직결 구동방식인 구동부의 직결커플링에 의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 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상을 제공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세워져 구동용 기어 및 샤프트의 지지와 결합을 도모하도록 프레임(12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프레임 내부에 다수개의 회전기어(240), 회전샤프트(250)가 수납되고,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동축(211)을 포함한 구동모터(210), 종동축(220) 및 직결커플링(230)이 직접 결합되는 구동부(200)와;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회전하며 투입된 고무를 압출하고 상기 고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나선형의 이송날(311)을 갖는 스크류(310)와, 상기 스크류(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투입된 고무원단의 끊김방지 및 원활한 투입을 조장하도록 형성되는 보조샤프트(320)와, 상기 보조샤프트를 호퍼실린더 일측에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브 라켓(330)과, 상기 브라켓 내에 형성되는 한편 스크류와 보조샤프트 사이에 장착되어 투입된 고무를 파쇄하도록 형성되는 나이프(34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피드롤부(300)와; 상기 피드롤부(300)의 스크류를 내측에 수납하도록 몸체 내부에 형성되되 일측에 개구홈이 형성되어 고무원단이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410)와, 상기 실린더의 개구홈 내측으로 고무 원단이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투입공(430)과, 상기 투입공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고무 원단을 거치하도록 형성되는 원단가이드봉(440) 및 원단지지대(450)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설정된 온도만큼 피드롤부를 예열하도록 형성되는 온수순환공(46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호퍼실린더(400)와; 상기 호퍼실린더(400)의 배출구측 축방향 연장선상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되 내측에 결합되어 스크류(310)를 수납하도록 제2실린더(511)를 갖는 제1헤드(510)와, 상기 제1헤드의 타측에 결합되되 압출된 고무원단을 정량배출하도록 정량배출용치형(522-1, 522-2, 522-3)과 정량배출용 중앙유도나사(522-6)를 갖는 정량기어(522) 및 원단 배출용 배출공(524)을 갖는 제2헤드(520)와, 상기 제2헤드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압출고무의 형상을 설정된 형상으로 배출시키도록 압출헤드(531)를 갖는 제3헤드(530)와, 상기 제2헤드의 정량기어(522)에 대해 설정된 회전비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압력센서(541)가 형성되어 압출 압력의 과부하시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되는 정량구동부(5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정량압출기(5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류 일측에 부설된 보조샤프트에 의해 피드롤부로 하여금 고무 압출시 고무 원단의 투입이 끊김없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형성되고, 정 량구동부의 이송기어에 의해 압출된 고무의 배출이 일정속도로 정량 배출되어 제품의 완성도가 높게 형성되며, 구동부의 직결커플링에 의해 구동축과 종동축이 직접 연결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벨트 구동방식에 따른 장치 대형화를 최소화하여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고무, 압출기, 정량, 피드롤, 직결 구동, 타이어

Description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 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Resin extruding machine with feeder using feed-roll and fixed quantity extruding means and coupling}
본 발명은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 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타이어 제작을 위해 선행되는 고무 압출 공정에 있어서, 상기 고무 압출 공정은 본 발명의 피드롤과 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에 의해 고무 압출시 고무 원단의 투입이 끊김없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형성되고, 압출된 고무의 배출이 일정속도로 정량 배출되어 제품의 완성도가 높게 형성됨은 물론 직결 구동방식인 구동부의 직결커플링에 의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 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타이어(tire)의 제조공정은 생(生)고무에 여러 가지 화학 약품을 첨가하고 소련(燒練)공정에 의해 가소성(可塑性)을 부여하여 고무 시트(sheet)를 만드는 정련(精練)공정과, 타이어의 각 부위별 특성에 맞는 고무를 일정한 폭과 두께로 압출(壓出)하는 압출공정과, 고강력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일정한 두께로 고무를 입혀 여러 층으로 감아 만드는 비드(bead)공정과, 생코드지(生cord紙)의 양면에 일정한 두께의 고무판을 균일하게 입혀 톱핑(topping) 코드지를 만드는 압연(壓延)공정과, 압연공정에서 톱핑된 톱핑 코드지를 소정의 제원에 따라 일정한 폭과 각도로 절단하고 절단된 코드지를 접합하여 라이너(liner)에 감아주는 재단공정과, 타이어에 사용되는 모든 구성재료를 성형기에서 순차적으로 붙여 원통형의 그린(green)타이어를 만드는 성형공정과, 유연한 고무로 된 그린타이어를 일정한 금형에 넣어 내부와 외부에서 열과 압력을 가해 유황과 다른 화학 약품이 고무와 반응을 일으키게 하여 트레드(tread)를 형성하고 고무의 탄성을 부여하는 가류(加硫)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타이어의 제조공정 중 압출공정에 있어서, 고무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고무가 끊어지지 않게 일정하게 공급하는 압출기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의 압출기에서 생산된 트레드 및 사이드 월의 품질은 타이어 전체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도 21 및 도 22에 타이어 제조를 위한 일반적인 고무 압출기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타이어 제조를 위한 일반적인 고무 압출기(10)는, 상부에 호퍼(hopper)(20)가 설치되고, 이 호퍼(20)를 통하여 시트모양의 고무가 압출기 내부로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호퍼(20)의 아래쪽에 스크류(screw)(30)가 호퍼(20)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30)의 일단은 스크류(30)를 구동하는 구동축(도시 생략)으로 구비되어 있고, 타단은 압출기 기어(gear)(3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30)의 외주면에는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시트모양의 고무를 물고 압출하기 위해 나사산 모양의 이송날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30)와 연동되는 공급 롤러(feeder roller)(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은 회전지지할 수 있는 회전지지축(44)으로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압출기 기어(32)와 맞물려 연동하게 하는 롤러 기어(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30) 및 공급 롤러(40)에서 각각의 양단부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bearing)(4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급 롤러(40)의 양단에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h)를 갖는 다수의 나사산(49)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산(49)은 롤러 하우징(housing)(48)으로 치합되어 있다.
이 다수의 나사산(49)은 공급 롤러(40)의 회전을 원할하게 하고, 공급 롤러(40)의 양단에 구비된 회전지지축(44), 베어링(46) 및 기어(42) 등으로 압출된 고무가 밀려 들어가지못하도록 한다.
도 23에서는 압출기의 구조를 알아보기 쉽게 하기 위해 스크류(30)와 공급 롤러(40)가 분리되어 있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 작용할 때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30)와 공급 롤러(40)는 서로 마주본 상태로 연동하여 시트모양의 고무(T)를 압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타이어 제조를 위한 고무 압출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타이어의 제조공정 중, 정련공정에서 제조된 시트모양의 고무는 소정의 규격을 가지고 있고, 이 시트모양의 고무는 호퍼(20)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압출기(10) 내부에 공급된다. 이 때, 정련공정에서 제조된 시트모양의 고무는 반으로 접히면서 스크류와 공급 롤러 사이로 투입되는데, 고무가 접혀서 압출됨에 따라 동점도(動粘度)가 낮아진다.
예를 들어 폭이 800mm이고 두께가 8mm인 시트모양 고무는 폭이 40mm이고 두께가 16mm인 상태로 접혀져서 호퍼(20)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압출기(10) 내에 공급된다.
공급된 이 시트모양의 고무는 스크류(30) 외주면에 형성된 이송날개에 물리고, 스크류(30)의 일단에 형성된 구동부(도시생략)의 동력을 전달받아 스크류(30)가 회전하여 상기 시트모양의 고무를 압출하기 시작한다.
상기 구동부에 전달된 동력은 스크류의 타단에 형성된 압출기 기어(32)에 전달되고, 이 압출기 기어(32)와 맞물려 있는 롤러 기어(42)에 동력을 전달하여 공급 롤러(40)를 회전시킨다. 이 때, 스크류(30)와 공급 롤러(40)의 회전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소정의 치수를 가진 시트모양의 고무를 타이어의 트레드 및 사이드 월의 사양에 따라 적당한 치수를 가진 고무로 압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타이어 제조를 위한 고무 압출기에 있어서, 고무가 끊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공급되면서 요구되는 치수로 고무를 형상화하는 공급 롤러의 역할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공급 롤러의 단면도가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공급 롤러에 의하면 정련공정에서 만들어진 시트모양의 고무가 반으로 접혀져 공급되어 스크류 및 공급 롤러에 의해 눌려져 압출하게 될 때, 동점도가 낮아진 고무가 공급 롤러의 양단부 방향으로 밀려 나가게된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화살표(L)은 공급 롤러 양단부 방향으로 밀려 나가는 동점도가 낮아진 고무의 방향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밀려나간 고무는 거의 겔(gel) 상태이므로 공급 롤러의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롤러 하우징과의 사이 틈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계속 압출기를 가동하게 되면 밀려나간 고무가 베어링에도 스며들어 베어링의 회전력을 저하시키게 되고 하우징 및 베어링의 틈 사이에 밀려 들어간 고무가 접착된 상태에서 계속 구동할 경우 회전력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접착된 고무가 타게 되며 베어링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부하가 증가되어 결국 베어링의 파손이나 기어부의 이빨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베어링부 및 기어부의 파손으로 인한 수리 및 부품 교체 비용이 더 들어가게 되고, 이로 인한 생산 지연 및 불가동으로 인해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타이어 제작을 위해 선행되는 고무 압출 공정에 있어서, 상기 고무 압출 공정은 본 발명의 피드롤과 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에 의해 고무 압출시 고무 원단의 투입이 끊김없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형성되고, 압출된 고무의 배출이 일정속도로 정량 배출되어 제품의 완성도가 높게 형성됨은 물론 직결 구동방식인 구동부의 직결커플링에 의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 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상을 제공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세워져 구동용 기어 및 샤프트의 지지와 결합을 도모하도록 프레임(12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프레임 내부에 다수개의 회전기어(240), 회전샤프트(250)가 수납되고,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동축(211)을 포함한 구동모터(210), 종동축(220) 및 직결커플링(230)이 직접 결합되는 구동부(200)와;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회전하며 투입된 고무를 압출하고 상기 고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나선형의 이송날(311)을 갖는 스크류(310)와, 상기 스크류(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투입된 고무원단의 끊김방지 및 원활한 투입을 조 장하도록 형성되는 보조샤프트(320)와, 상기 보조샤프트를 호퍼실린더 일측에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브라켓(330)과, 상기 브라켓 내에 형성되는 한편 스크류와 보조샤프트 사이에 장착되어 투입된 고무를 파쇄하도록 형성되는 나이프(34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피드롤부(300)와; 상기 피드롤부(300)의 스크류를 내측에 수납하도록 몸체 내부에 형성되되 일측에 개구홈이 형성되어 고무원단이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410)와, 상기 실린더의 개구홈 내측으로 고무 원단이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투입공(430)과, 상기 투입공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고무 원단을 거치하도록 형성되는 원단가이드봉(440) 및 원단지지대(450)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설정된 온도만큼 피드롤부를 예열하도록 형성되는 온수순환공(46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호퍼실린더(400)와; 상기 호퍼실린더(400)의 배출구측 축방향 연장선상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되 내측에 결합되어 스크류(310)를 수납하도록 제2실린더(511)를 갖는 제1헤드(510)와, 상기 제1헤드의 타측에 결합되되 압출된 고무원단을 정량배출하도록 정량배출용치형(522-1, 522-2, 522-3)과 정량배출용 중앙유도나사(522-6)를 갖는 정량기어(522) 및 원단 배출용 배출공(524)을 갖는 제2헤드(520)와, 상기 제2헤드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압출고무의 형상을 설정된 형상으로 배출시키도록 압출헤드(531)를 갖는 제3헤드(530)와, 상기 제2헤드의 정량기어(522)에 대해 설정된 회전비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압력센서(541)가 형성되어 압출 압력의 과부하시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되는 정량구동부(5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정량압출기(5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피드롤부(200)는 투입된 고무 원단이 스크류(310)의 구동측 베어 링으로 유입 또는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나사(312)와; 상기 가이드나사를 보조하며 고무 원단이 투입공의 중앙부로 집중되도록 보조샤프트의 양단부에 각각 부설되되 서로 대향되는 나사산(좌나사, 우나사)을 갖도록 중앙유도나사(32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량압출기의 정량배출용치형(522)은 이 뿌리가 원형(522-1), 스퍼기어형(522-2), 브이홈 스퍼기어형(522-3)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류 일측에 부설된 보조샤프트에 의해 피드롤부로 하여금 고무 압출시 고무 원단의 투입이 끊김없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형성되고, 정량구동부의 이송기어에 의해 압출된 고무의 배출이 일정속도로 정량 배출되어 제품의 완성도가 높게 형성되며, 구동부의 직결커플링에 의해 구동축과 종동축이 직접 연결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벨트 구동방식에 따른 장치 대형화를 최소화하여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무 원단의 원활한 투입을 조장하는 한편, 압출된 고무의 정량 배출을 도모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개선하고 이에 제품의 완성도가 높게 형성되며 특히, 직결커플링을 이용한 직결 구동방식에 의 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체(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응되도록 단상 형태의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 일측단에 프레임(120)이 세워져 구동용 구성품(기어, 샤프트 등)이 조립 및 수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는 종래의 벨트 구동방식에 비해 직결커플링에 의한 축간 결합 거리가 좁혀져 전체적인 규격이 현저하게 소형화로 제작된다.
즉, 저면 바닥부인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부에 안착되는 구동모터와 구동축 및 종동축 그리고 이와 연동되는 회전기어, 회전샤프트가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되되,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은 직결로 연결되는 직결커플링에 의해 축간 거리가 간결해져 종래의 벨트 구동타입에 비해 전체적인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구동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공간부에 수납되며 기본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동축(211)을 포함한 구동모터(210), 종동축(220) 및 직결커플링(230)과 다수개의 회전기어(240), 회전샤프트(2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부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롤부에 실질적인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동축을 포함한 구동모터는 종동축과 직결커플링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프레임의 공간부 내로 안착 및 설치시 종래의 벨트구동 타입에 비해 연결되는 축간거리가 짧아 공간확보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프레임 크기가 소형 화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직결방식으로 연결된 회전기어는 정확한 속도비와 정밀한 운전을 도모하여 제품의 양질 생산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피드롤부(300)는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0)에 의해 회전하며 투입된 고무를 압출하고 상기 고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나선형의 이송날(311)을 갖는 스크류(310)와, 상기 스크류(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투입된 고무원단의 끊김방지 및 원활한 투입을 조장하도록 형성되는 보조샤프트(320)와, 상기 보조샤프트를 호퍼실린더 일측에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브라켓(330)과, 상기 브라켓 내에 형성되는 한편 스크류와 보조샤프트 사이에 장착되어 투입된 고무를 파쇄하도록 형성되는 나이프(34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스크류는 고무 원단을 실질적으로 압출하는 수단으로써 외부를 향해 일방향으로 연속되는 나선형 이송날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날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보조샤프트가 더 부설되어 원단의 유입시 끊김없이 원활하게 투입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다시 말해, 구동부에서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스크류는 몸체 선상에 외부측으로 전진시키도록 일방향 커브를 그리며 회전하는 이송날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날의 타측에는 투입된 고무 원단이 스크류(310)의 구동측 베어링으로 유입 또는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나사(312)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나사는 장치의 과부하를 사전에 방지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보조샤프트는 투입된 고무 원단이 끊기는 것을 방지하는 실질적 보조 장치로서, 상기 가이드나사를 보조하며 고무 원단이 투입공의 중앙부로 집중되도록 투입유도부(고무원단이 맞닿아 유입되는 면)의 양단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나사산(좌나사, 우나사)을 갖도록 중앙유도나사(32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중앙유도나사는 고무원단이 투입유도부로 집중되어 고무원단이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장치의 과부하를 사전에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호퍼실린더(400)는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롤부(300)의 스크류를 내측에 수납하도록 몸체 내부에 형성되되 일측에 개구홈이 형성되어 고무원단이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410)와, 상기 실린더의 개구홈 내측으로 고무 원단이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투입공(430)과, 상기 투입공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고무 원단을 거치하도록 형성되는 원단가이드봉(440) 및 원단지지대(450)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설정된 온도만큼 피드롤부를 예열하도록 형성되는 온수순환공(46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호퍼실린더는 피드롤부를 내측에 수납하는 한편, 지지하며 구동부에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고무 원단이 원활하게 투입되는 것을 조장함은 물론 별도의 온수순환공을 통해 고무원단이 보다 효율적으로 압출되도록 사전 예열을 도모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정량압출기(500)는 도 12 내지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실 린더(400)의 배출구측 축방향 연장선상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되 내측에 결합되어 스크류(310)를 수납하도록 제2실린더(511)를 갖는 제1헤드(510)와, 상기 제1헤드의 타측에 결합되되 압출된 고무원단을 정량배출하도록 정량배출용치형(522-1, 522-2, 522-3)과 정량배출용 중앙유도나사(522-6)를 갖는 정량기어(522) 및 원단 배출용 배출공(524)을 갖는 제2헤드(520)와, 상기 제2헤드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압출고무의 형상을 설정된 형상으로 배출시키도록 압출헤드(531)를 갖는 제3헤드(530)와, 상기 제2헤드의 정량기어(522)에 대해 설정된 회전비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압력센서(541)가 형성되어 압출 압력의 과부하시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되는 정량구동부(5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량압출기는 압출된 고무원단이 최종 제품으로 배출됨에 있어서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도록 배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헤드는 스크류를 포함한 제2실린더가 결합되어 스크류의 회전을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형성되되 특히 외주면에 별도의 온수라인을 부설하여 보다 안정적인 압출유도를 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헤드의 정량배출용치형(522)은 이 뿌리가 원형(522-1), 스퍼기어형(522-2), 브이홈 스퍼기어형(522-3)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무 원단의 특성에 따라 실시예를 달리하는 것으로 원단의 경질(물성) 정도에 따라 세가지 치형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물성이 연질에 가까운 고무 원단은 원형 이뿌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질에 가까운 원단은 스퍼기어형 또는 브이홈 스퍼기어형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브이홈 스퍼기어형은 스퍼기어형 치차(치형) 외주면에 추가로 브이홈을 절삭하여 보다 개선된 파지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량배출용치형은 피드롤부의 투입유도부에도 실시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정량구동부의 압력센서(541)는 장치의 제어부로부터 압력체크 값이 설정되어 이송되는 고무원단의 배출압 여부에 따라 과부하 체크시 장치의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압출기의 일측면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및 프레임을 나타낸 정투상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드롤부를 나타낸 실시예시도,
도 12 내지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압출부를 나타낸 실시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직결구동부를 나타낸 실시예시도,
도 21는 일반적인 고무 압출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종래의 공급 롤러가 구비된 고무 압출기의 개략도.
도 23은 종래의 공급 롤러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본체 110 ... 베이스
120 ... 프레임
200 ... 구동부 210 ... 구동모터
211 ... 구동축 220 ... 종동축
230 ... 직결커플링 240 ... 회전기어
250 ... 회전샤프트 300 ... 피드롤부
310 ... 스크류 311 ... 이송날
312 ... 가이드나사 320 ... 보조샤프트
321 ... 투입유도부 322 ... 중앙유도나사
330 ... 브라켓 340 ... 나이프
400 ... 호퍼실린더 410 ... 실린더
420 ... 온수순환공 430 ... 투입공
440 ... 원단가이드봉 450 ... 원단지지대
500 ... 정량압출기
510 ... 헤드기어부 511 ... 제2실린더
520 ... 제2헤드 522 ... 정량기어
522-1, 522-2, 522-3 ... 정량배출용치형
522-6 ... 정량배출용 중앙유도나사
524 ... 배출공 530 ... 제3헤드
531 ... 압출헤드 540 ... 정량구동부
541 ... 압력센서

Claims (3)

  1. 단상을 제공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세워져 구동용 기어 및 샤프트의 지지와 결합을 도모하도록 프레임(12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프레임 내부에 다수개의 회전기어(240), 회전샤프트(250)가 수납되고,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동축(211)을 포함한 구동모터(210), 종동축(220) 및 직결커플링(230)이 직접 결합되는 구동부(200)와;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회전하며 투입된 고무를 압출하고 상기 고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나선형의 이송날(311)을 갖는 스크류(310)와, 상기 스크류(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투입된 고무원단의 끊김방지 및 원활한 투입을 조장하도록 형성되는 보조샤프트(320)와, 상기 보조샤프트를 호퍼실린더 일측에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브라켓(330)과, 상기 브라켓 내에 형성되는 한편 스크류와 보조샤프트 사이에 장착되어 투입된 고무를 파쇄하도록 형성되는 나이프(34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피드롤부(300)와;
    상기 피드롤부(300)의 스크류를 내측에 수납하도록 몸체 내부에 형성되되 일측에 개구홈이 형성되어 고무원단이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410)와, 상기 실린더의 개구홈 내측으로 고무 원단이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투입공(430)과, 상기 투입공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고무 원단을 거치하도록 형성되는 원단가이드봉(440) 및 원단지지대(450)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설정된 온도만큼 피드롤 부를 예열하도록 형성되는 온수순환공(46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호퍼실린더(400)와;
    상기 호퍼실린더(400)의 배출구측 축방향 연장선상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되 내측에 결합되어 스크류(310)를 수납하도록 제2실린더(511)를 갖는 제1헤드(510)와, 상기 제1헤드의 타측에 결합되되 압출된 고무원단을 정량배출하도록 정량배출용치형(522-1, 522-2, 522-3)과 정량배출용 중앙유도나사(522-6)를 갖는 정량기어(522) 및 원단 배출용 배출공(524)을 갖는 제2헤드(520)와, 상기 제2헤드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압출고무의 형상을 설정된 형상으로 배출시키도록 압출헤드(531)를 갖는 제3헤드(530)와, 상기 제2헤드의 정량기어(522)에 대해 설정된 회전비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압력센서(541)가 형성되어 압출 압력의 과부하시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되는 정량구동부(5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정량압출기(5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 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롤부(200)는
    투입된 고무 원단이 스크류(310)의 구동측 베어링으로 유입 또는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나사(312)와;
    상기 가이드나사를 보조하며 고무 원단이 투입공의 중앙부로 집중되도록 보조샤프트의 양단부에 각각 부설되되 서로 대향되는 나사산(좌나사, 우나사)을 갖도 록 중앙유도나사(32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 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압출기의 정량배출용치형(522)은
    이 뿌리가 원형(522-1), 스퍼기어형(522-2), 브이홈 스퍼기어형(522-3)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 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
KR1020070134942A 2007-12-21 2007-12-21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 KR100817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942A KR100817785B1 (ko) 2007-12-21 2007-12-21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942A KR100817785B1 (ko) 2007-12-21 2007-12-21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785B1 true KR100817785B1 (ko) 2008-03-31

Family

ID=3941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942A KR100817785B1 (ko) 2007-12-21 2007-12-21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84B1 (ko) 2010-04-16 2012-06-2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압출공정의 정량고무 이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2065A (ja) * 1989-05-10 1991-06-28 Paul Troester Mas Fab ゴムおよび/またはプラスチック加工用の押出し成形機および/またはカレンダで製造された紐状製品の取扱設備における制御装置
JPH11226981A (ja) 1998-02-18 1999-08-24 Mitsubishi Chem Mkv Co カレンダ用原料供給方法および供給装置
KR20030012467A (ko) * 2001-08-01 2003-02-12 명진고무 주식회사 고무 성형공정의 고무시트 공급장치
KR20030012468A (ko) * 2001-08-01 2003-02-12 명진고무 주식회사 고무 성형공정의 원료 투입 및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2065A (ja) * 1989-05-10 1991-06-28 Paul Troester Mas Fab ゴムおよび/またはプラスチック加工用の押出し成形機および/またはカレンダで製造された紐状製品の取扱設備における制御装置
JPH11226981A (ja) 1998-02-18 1999-08-24 Mitsubishi Chem Mkv Co カレンダ用原料供給方法および供給装置
KR20030012467A (ko) * 2001-08-01 2003-02-12 명진고무 주식회사 고무 성형공정의 고무시트 공급장치
KR20030012468A (ko) * 2001-08-01 2003-02-12 명진고무 주식회사 고무 성형공정의 원료 투입 및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84B1 (ko) 2010-04-16 2012-06-2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압출공정의 정량고무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90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uding rubber mixtures
KR101276132B1 (ko) 이송 결합식 성형롤링부를 갖는 고무압출기
CA2872490C (en) A device for manufacturing synthetic granules, extruded profiles or molded parts and melt pump therefor
EA030581B1 (ru) Насос расплава для создания давления с целью продавливания расплава пластмассы через рабочий орган устройства
CN106956416A (zh) 一种薄膜挤出装置
JPH0347131B2 (ko)
KR200439147Y1 (ko)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 압출기
KR200439247Y1 (ko) 정량압출기를 갖는 고무 압출기
KR100817785B1 (ko) 고무원단 끊김방지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피드롤부와정량압출기 및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압출기
EP2886294B1 (en) Rubber extrusion device
CN211662594U (zh) 一种塑料制品生产用挤出装置
KR200439148Y1 (ko) 피드롤용 보조샤프트를 갖는 고무 압출기
CN206614777U (zh) 一种薄膜挤出装置
JP2009090544A (ja) 圧縮スクリュー押出機及び未加硫ゴムの圧縮押出方法
CN103958158A (zh) 圆筒状橡胶构件的成形方法
CN212045642U (zh) 一种具有比例调节功能的双螺杆挤出机
KR102086085B1 (ko) 특수형 코니컬 트윈 스크류 압출성형장치
JP4535884B2 (ja) 複合押出機の押出制御方法
CN208827061U (zh) 薄膜生产用挤出机
CN112318568A (zh) 一种用于塑料挤出热切粒生产的微偏心切粒系统
JP7182849B2 (ja) 空気入りタイヤ製造装置
CN215434939U (zh) 一种聚合物精密挤塑装置
CN215283268U (zh) 一种具有自动补料功能的双螺杆挤出机
CN103240855B (zh) 压嵌式玻纤增强建筑模板中玻纤网格布的嵌入装置
KR101760776B1 (ko) 예열구조를 갖는 고무압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