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740B1 -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740B1
KR100817740B1 KR1020070037673A KR20070037673A KR100817740B1 KR 100817740 B1 KR100817740 B1 KR 100817740B1 KR 1020070037673 A KR1020070037673 A KR 1020070037673A KR 20070037673 A KR20070037673 A KR 20070037673A KR 100817740 B1 KR100817740 B1 KR 100817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air
tank
biodegrad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희정
김의용
이운기
류재상
장순복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화학시험연구원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화학시험연구원,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화학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37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12M41/3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of biomass, e.g. colony counters or by turbidity measur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에어가 채워진 에어탱크(10)와; 에어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이물질제거유니트(20) 및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제거유니트(30)와; 수분 및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에어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기(40)와; 유량제어기(40)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미생물 생분해도를 측정하기 위한 생분해도측정부(100);를 포함한다. 이때, 생분해도측정부(100)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항온챔버(C)와; 항온챔버(C)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유량제어기(40)에서 유량제어된 에어가 유입되고, 미생물과 고분자화합물이 혼합되어 반응되는 반응조(110)와; 반응조(110) 내의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기(120)와; 반응조(110)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와;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를 경유하는 에어가 배기되는 에어벤트라인(1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An apparatus for measuring rate of biodegrad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에어탱크 20 ... 수분/이물질제거유니트
30 ... 이산화탄소제거유니트 40 ... 유량제어기
100 ... 생분해도측정부 110 ... 반응조
120 ... 교반기 130 ...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
140 ... 에어벤트라인 200 ... 미생물연속배양부
210 ... 배양조 220 ... 교반기
230 ... 무기영양배지저장조 240 ... 제1정량이송펌프
250 ... 폐액저장조 260 ... 제2정량이송펌프
270 ... 유로변환밸브 280 ... 가스벤트라인
본 발명은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에 의한 생분해도를 측정하는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분해성"이라 함은 미생물 및/또는 자연환경 요인에 의해 완전히 메탄, 이산화탄소 및 물 또는 무기염류 등의 생물자원으로 최종분해될 수 있는 화합물의 능력을 의미한다. 또, "생분해성 고분자화합물"라 함은 성형품, 포장재, 위생용품, 농업용품 등으로 사용되는 고분자화합물로서 폐기시 단순히 매립함으로써 미생물의 생물학적 작용에 의해 물, 이산화탄소, 메탄가스등으로 45일간 70% 이상의 분해도록 분해되는 고분자화합물을 의미한다.
최근에 지구환경보호 차원에서 다양한 분야의 여러 가지 국제 환경협약이 속속 추진, 실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관련 규정의 강화와 더불어 화학제품, 각종 소비제등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바뀜에 따라 보다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런데, 생분해성 고분자화합물로 제조된 제품의 급격한 증가와 시장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그 생분해성 고분자화합물의 생분해도를 신속하고 정량적이며 재현성을 갖도록 측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생분해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분자화합물의 생분해도를 신속하고 정량적이며 재현성을 갖도록 측정할 수 있는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는, 압축에어가 채워진 에어탱크(10)와, 상기 에어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이물질제거유니트(20) 및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제거유니트(30)와; 수분 및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에어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기(40)와; 상기 유량제어기(40)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미생물 생분해도를 측정하기 위한 생분해도측정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도측정부(100)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항온챔버(C)와; 상기 항온챔버(C)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량제어기(40)에서 유량제어된 에어가 유입되고, 미생물과 고분자화합물이 혼합되어 반응되는 반응조(110)와; 상기 반응조(110) 내의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기(120)와; 상기 반응조(110)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수산화바륨 수용액이 수용되어 구현된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와; 상기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를 경유하는 에어가 배기되는 에어벤트라인(14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반응조(110)에서 미생물이 고분자화합물을 생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상기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에서 포집함으로써 생분해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기(40)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미생물을 연속적으로 배양하기 위한 미생물연속배양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연속배양부(200)는, 상기 항온챔버(C)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량 제어기(40)에서 유량제어된 에어가 유입되고, 미생물이 배양되는 배양조(210)와; 상기 배양조(210) 내의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기(220)와; 상기 배양조(210)에서 배양되는 미생물로 공급되는 무기영양배지가 저장되는 무기영양배지저장조(230)와; 상기 무기영양배지저장조(230)로부터 무기영양배지를 상기 배양조(210)로 공급하는 제1정량이송펌프(240)와; 상기 배양조(210)에서 발생되는 폐액이 저장되는 폐액저장조(250)와; 상기 배양조(210)로부터 발생되는 폐액을 상기 폐액저장조(250)로 이송하는 제2정량이송펌프(260)와; 상기 배양조(210)와 제1정량이송펌프(240)를 연결하거나, 상기 배양조(210)와 제2정량이송펌프(260)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유로변환밸브(270)와; 상기 배양조(210)의 미생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가 배기되는 가스배기에서 발생되는 가스벤트라인(2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기영양배지저장조(230)는 상기 항온챔버(C) 보다 저온 환경을 조성하는 냉암고(R)에 보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는,
압축에어가 채워진 에어탱크(10)와; 에어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이물질제거유니트(20) 및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제거유니트(30)와; 수분 및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에어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기(40)와; 유량제어기(40)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미생물 생분해도를 측정하기 위한 생분해도측정부(100)와; 유량제어기(40)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미생물을 연속적으로 배양하기 위한 미생물연속배양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에어탱크(10)와 수분제거유니트(20) 사이의 라인과, 이산화탄소제거유니트(30)와 유량제어기(40) 사이의 라인과, 유량제어기(40)와 생분해도측정부(100) 및 미생물연속배양부(20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에는 밸브(V)가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들은 하나의 케이스 내에 모두 수납될 때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에어탱크(10)는, 연속적으로 일정 유량의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지의 콤프레셔를 통해 발생된 압축에어를 저장하는 탱크이다. 이러한 에어탱크(10)에는 안전을 위해 안전밸브 및 압력게이지(P)가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탱크(10) 내의 압력은 2~5 kgf/cm2 의 범위로 설정하여 항상 일정한 압력이 유지하도록 한다.
수분/이물질제거유니트(20)는, 에어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중의 수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를 이루는 구성들은 수분이나 이물질에 약한데, 수분/이물질제거유니트(20)는 에어중의 수분이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그 수분이나 이물질에 의한 고장 및 파손을 방지한다. 이러한 수분/이물질제거유니트는 공지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산화탄소제거유니트(30)는, 유입되는 에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생물 분해에 의한 최종산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정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생분해도를 측정하는 기술이므로, 에어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미리 제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산화탄소제거유니트(30)는, 밀봉된 스테인레스용기내에 이산화탄소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제를 충진하여 구현되는데, 연속으로 수개월 이상 사용이 가능하여야 하고, 흡착제가 포화되었을 때 탈착처리를 통하여 재생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흡착제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10N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한다.
유량제어기(40)는, 에어량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0~50cc/min 내에서 5cc 단위로 조절 가능하여야 한다.
생분해도측정부(100)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항온챔버(C)와; 항온챔버(C)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유량제어기(40)에서 유량제어된 에어가 유입되고, 미생물과 고분자화합물(시험재료)이 혼합되어 반응되는 반응조(110)와; 반응조(110) 내의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기(120)와; 반응조(110)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와;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를 경유하는 에어가 배기되는 에어벤트라인(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반응조(110)와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에는 밸브(V)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한 유량제어기(40), 반응조(110) 및 교반기(120)가 하나의 유니트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17개조로 이루어져 있다.
항온챔버(C)는 그 내부의 온도를 25 ± 1.0℃의 조건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반응조(110)는, 미생물연속배양부(200)로부터 연속배양된 미생물과, 고분자 화합물(시험재료)이 혼합, 저장되는 곳으로서 미생물과 고분자화합물이 반응하여 미생물분해가 실질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반응조(110)는, 미생물에 대한 독성이나, 시험재료의 흡착에 의한 손실이나, 미생물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리제(Pyrex 재질)로 제작된다.
교반기(120)는, 반응조(110) 내에서 미생물과 고분자화합물을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교반기(120) 내에 넣어지는 마그네틱스티어(미도시)와, 반응조(110) 하부에 위치되어 마그네틱스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자력을 발생하는 회전자력발생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교반기(120)는 공지기술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는, 미생물이 고분자화합물을 생분해할 때 발생되는 최종산물인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는 이산화탄소 및 포집액에 의한 부식 및 스케일 생성방지를 위하여 유리제(pyrex 재질)로 제작된다. 여기서,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에는,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수용액으로 0.0125N 수산화바륨용액이 저장된다.
에어밴트라인(140)은,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를 경유하면서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에어가 배기되는 곳이다.
미생물연속배양부(200)는, 항온챔버(C)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유량제어기(40)에서 유량제어된 에어가 유입되고, 미생물이 배양되는 배양조(210)와; 배양조(210) 내의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기(220)와; 배양조(210)에서 배양되는 미생물로 공급되는 무기영양배지가 저장되는 무기영양배지저장조(230)와; 무기영양배지 저장조(230)로부터 무기영양배지를 배양조(210)로 공급하는 제1정량이송펌프(240)와; 배양조(210)에서 발생되는 폐액이 저장되는 폐액저장조(250)와; 배양조(210)로부터 발생되는 폐액을 폐액저장조(250)로 이송하는 제2정량이송펌프(260)와; 배양조(210)와 제1정량이송펌프(240)를 연결하거나, 배양조(210)와 제2정량이송펌프(260)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유로변환밸브(270)와; 배양조(210)의 미생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가 배기되는 가스배기에서 발생되는 가스벤트라인(280);를 포함한다. 이때 무기영양배지저장조(230)는 항온챔버(C) 보다 저온 환경을 조성하는 냉암고(R)에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양조(210)는, 미생물(표준활성슬러지)이 실질적으로 배양되는 곳으로서, 미생물에 대한 독성이나, 미생물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리제(Pyrex 재질)로 제작된다.
교반기(220)는, 배양조(210) 내의 미생물의 균일한 교반을 위한 곳으로서, 배양조(210) 내에 넣어지는 마그네틱스티어(미도시)와, 교반기(220) 하부에 위치되어 마그네틱스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자력을 발생하는 회전자력발생기를 포함한다.
무기영양배지저장조(230)는, 배양조(210)의 미생물(표준활성슬러지)로 공급되는 무기영양배지가 저장되는 곳으로서 저장된 무기영양배지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4℃ 이하를 유지하고 햇빛을 피할 수 있는 냉암소(R)에 보관된다.
유로변환밸브(270)는, 배양조(210)와 제1정량이송펌프(240)를 연결하거나, 배양조(210)와 제2정량이송펌프(260)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즉, 유로변환밸 브(270)가 배양조(210)와 제1정량이송펌프(240)를 연결하면, 제1정량이송펌프(240)는 무기영양배지저장조(230)의 무기영양배지를 배양조(210)로 이송한다. 또 유로변환밸브(270)가 배양조(210)와 제2정량이송펌프(260)를 연결하면 배양조(210)에서 발생되는 폐액을 폐액저장조(250)로 이송한다.
여기서,제1,2정량이송펌프(240)(260)는, 일정한 양의 무기영양배지나 폐액을 공급하거나 배출시키는데, 예를 들면 1일 1회씩 정해진 시간에 제2정량이송펌프(260)는 배양조(210) 내의 배양액(폐액) 총액중 1/3을 배출시키고, 제1정량이송펌프(240)는 무기영양배지저장조(230)로부터 무기영양배지를 제2정량이송펌프(260)를 통하여 배출된 폐액만큼 공급한다. 이때 제1,2정량이송펌프(240)(260)에는 타이머와 기타의 자동장치를 부착함으로써, 년중 동일한 수준의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생분해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본 생분해도 측정은 28일에 걸쳐서 수행되었으며, 반응조(110) 및 배양조(210)가 내장되는 항온챔버(C)는 그 내부의 온도가 25 ± 1.0℃의 조건으로 유지되도록 하였다.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에 저장된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수용액은 0.0125N 수산화바륨용액으로서, 이러한 0.0125N 수산화바륨용액은 증류수 1000mL 에 수산화바륨 약 4g 을 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조제되었다.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에 의하여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적정하고 할 경우에 0.05N 염산용액을 사용한다. 이러한 0.05N 염산용액은, 증류수 1000mL 에 conc 염산 약 4.16mL 를 가하여 조제함으로써 정확한 농도를 산출한다. 또는 이산화탄소의 적정을 위하여 시판되는 표준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이산화탄소의 적정을 위하여 페놀프탈레인지시약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페놀프탈레인지시약은, 페놀프탈레인 0.5g 을 이소프로필알코올 100mL 에 용해시켜 구현된다.
배양조(210)에서 배양되는 미생물(표준활성슬러지(식종원))은, 도시하수처리장, 공장폐수처리장, 하천, 호수, 바다와 같은 10여 군데 이상의 지역에서 슬러지, 표층토, 물등으로 채취한 후 각각 1L 씩 충분히 혼합하여 구현되었다.
표준활성슬러지는 적절히 관리하여야 하는데, 슬러지 온도는 25 ±2 ℃, pH7 ± 1, 충분하게 폭기할 것, 원생동물이 존재할 것, 슬러지의 활성도를 약 3개월마다 기준물질(아닐린등)로 확인할 것, 슬러지는 약 1개월 배양후 식종원으로 사용할 것, 슬러지는 4개월 이상 식종원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 4개월 이상 경과된 슬러지는 3개월마다 1회씩 정기적인 간격으로 새로 채취된 슬러지와 혼합할 것(신구슬러지의 활성도를 같도록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활성슬러지의 상등액과 새로 채집된 슬러지의 상등액을 같은 양으로 혼합하고 배양)하여야 한다.
무기영양배지저장조(230)의 미생물(표준활성슬러지)로 공급되는 무기영양배지는, 0.1 w/v% 박토펩톤(Bactopepton), 칼륨, 인산(Phosphate), 포도당을 혼합하여 17.8MΩ 이상인 탈이온수로 희석하고, 가압멸균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멸균화시킴으로써 구현한다.
상기한 조건에서, 에어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는 수분/이물질제거유니트(20) 및 이산화탄소제거유니트(30)를 경유하면서 수분과 이산화탄소가 제거되고, 이후 유량제어기(40)에 의하여 유량제어된 후 반응조(110)로 공급된다. 반응조(110)에 저장된 고분자화합물과, 미생물(표준활성슬러지)과, 무기영양배지는 교반기(120)에 의하여 균질하게 교반되고, 이 상태에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하여 폭기되면서 고분자화합물은 미생물에 의하여 생분해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에 의하여 포집되고, 이를 적정함으로써 미생물의 생분해도를 알아낼 수 있다.
이때 반응조(110)로 공급되는 미생물은 배양조(210)에서 연속 배양되고, 연속 배양된 미생물이 일정한 조건에서 반응조(110)로 공급됨으로써 생분해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정확히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분자화합물의 생분해도를 신속하고 정량적이며 재현성을 갖도록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 따른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는, 압축에어가 채워지는 에어탱크와, 공급되는 에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이물질제거유니트와, 수분 및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에어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기와, 유량제어기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미생물 생분해도 를 측정하기 위한 생분해도측정부와, 유량제어기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미생물을 연속적으로 배양하기 위한 미생물연속배양부를 포함함으로써, 고분자화합물의 생분해도를 신속하고 정량적이며 재현성을 갖도록 측정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생분해에 사용되는 미생물을 연속적으로 배양함으로 보다 정확하게 생분해도를 측정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과제번호:10023294, 사업명: 표준화기술개발사업, 과제명: 생분해성 윤활제품의 생분해도 시험평가 방법, 및 지원중앙행정기관: 산업자원부에 따라서 완성된 발명이다.

Claims (3)

  1. 압축에어가 채워진 에어탱크(10)와, 상기 에어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이물질제거유니트(20) 및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제거유니트(30)와; 수분 및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에어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기(40)와; 상기 유량제어기(40)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미생물 생분해도를 측정하기 위한 생분해도측정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도측정부(100)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항온챔버(C)와;
    상기 항온챔버(C)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량제어기(40)에서 유량제어된 에어가 유입되고, 미생물과 고분자화합물이 혼합되어 반응되는 반응조(110)와;
    상기 반응조(110) 내의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기(120)와;
    상기 반응조(110)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수산화바륨 수용액이 수용되어 구현된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와;
    상기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를 경유하는 에어가 배기되는 에어벤트라인(14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반응조(110)에서 미생물이 고분자화합물을 생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상기 이산화탄소포집유니트(130)에서 포집함으로써 생분해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기(40)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미생물을 연속적으로 배양하기 위한 미생물연속배양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연속배양부(200)는,
    상기 항온챔버(C)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량제어기(40)에서 유량제어된 에어가 유입되고, 미생물이 배양되는 배양조(210)와;
    상기 배양조(210) 내의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기(220)와;
    상기 배양조(210)에서 배양되는 미생물로 공급되는 무기영양배지가 저장되는 무기영양배지저장조(230)와;
    상기 무기영양배지저장조(230)로부터 무기영양배지를 상기 배양조(210)로 공급하는 제1정량이송펌프(240)와;
    상기 배양조(210)에서 발생되는 폐액이 저장되는 폐액저장조(250)와;
    상기 배양조(210)로부터 발생되는 폐액을 상기 폐액저장조(250)로 이송하는 제2정량이송펌프(260)와;
    상기 배양조(210)와 제1정량이송펌프(240)를 연결하거나, 상기 배양조(210)와 제2정량이송펌프(260)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유로변환밸브(270)와;
    상기 배양조(210)의 미생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가 배기되는 가스배기에서 발생되는 가스벤트라인(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영양배지저장조(230)는 상기 항온챔버(C) 보다 저온 환경을 조성하는 냉암고(R)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
KR1020070037673A 2007-04-18 2007-04-18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 KR100817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673A KR100817740B1 (ko) 2007-04-18 2007-04-18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673A KR100817740B1 (ko) 2007-04-18 2007-04-18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740B1 true KR100817740B1 (ko) 2008-03-31

Family

ID=3941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673A KR100817740B1 (ko) 2007-04-18 2007-04-18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7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446B1 (ko) * 2016-04-26 2018-10-24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섬유소재의 복합분해(가수분해 후 생분해) 가속시험방법
KR102661035B1 (ko) * 2023-12-27 2024-04-26 주식회사 이엔지솔 생분해 시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3515A (en) 1997-10-09 2000-11-07 Saida Ironworks Co., Ltd. Process for evaluating microbial-degradability of organic matters and apparatus therefor
KR20040026251A (ko) * 2002-09-23 2004-03-31 대한민국(관리부서: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장) 비분산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시료의 생분해도측정장치 및 방법
KR100443563B1 (ko) 1996-09-10 2004-11-20 에스케이 주식회사 연속형 신속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측정방법 및 장치
KR200426029Y1 (ko) 2006-05-03 2006-09-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분자 플라스틱 물질의 생분해 시험을 위한 반응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563B1 (ko) 1996-09-10 2004-11-20 에스케이 주식회사 연속형 신속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측정방법 및 장치
US6143515A (en) 1997-10-09 2000-11-07 Saida Ironworks Co., Ltd. Process for evaluating microbial-degradability of organic matters and apparatus therefor
KR20040026251A (ko) * 2002-09-23 2004-03-31 대한민국(관리부서: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장) 비분산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시료의 생분해도측정장치 및 방법
KR200426029Y1 (ko) 2006-05-03 2006-09-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분자 플라스틱 물질의 생분해 시험을 위한 반응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446B1 (ko) * 2016-04-26 2018-10-24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섬유소재의 복합분해(가수분해 후 생분해) 가속시험방법
KR102661035B1 (ko) * 2023-12-27 2024-04-26 주식회사 이엔지솔 생분해 시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83623A (zh) 一种改善水体底部环境的氧缓释材料及其制备方法和制备装置
ES2383982T3 (es) Procedimiento y aditivo para digerir materia orgánica
CN106755286A (zh) 一种利用青海弧菌q67测试采油废水生物毒性的方法
US11789005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gradation rate of biodegradable polymers in soil
Wilkie et al. An economical bioreactor for evaluating biogas potential of particulate biomass
KR100817740B1 (ko) 고분자화합물의 미생물 생분해도 측정장치
Fu et al. The role of immobilized quorum sensing strain in promoting biofilm formation of Moving Bed Biofilm Reactor during long-term stable operation
RU2407266C1 (ru) Способ хранения и подготовки к утилизации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их стоков
US7879236B2 (en) Micro gas attendant system
Sofer et al. Biodegradation of 2-chlorophenol using immobilized activated sludge
WO2012108437A1 (ja) 1,4-ジオキサン含有廃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5802141B2 (ja) 1,4−ジオキサン含有廃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CN106006906A (zh) 一种生物可降解絮凝剂
CN101609061B (zh) 废水生物处理中质子变化速率的在线滴定测量方法及装置
CN116789246A (zh) 一种污水系统提质增效的方法
JP4978841B2 (ja) 液肥の製造方法及び装置
Merrylin et al. A review on the pollution assessment of hazardous materials and the resultant biorefinery products in Palm oil mill effluent
CN213689586U (zh) 一种再生水输配管网模拟装置及系统
CN110156170A (zh) 一种污水处理用生物促生剂
CN108410755A (zh) 一种用于分解二甲基甲酰胺的菌群及其培养方法
CN203658259U (zh) 再生水水质急性毒性连续在线监测设备
CN206156850U (zh) 厌氧颗粒污泥培养装置
Hudson et al. Assessment of permeable covers for odour reduction in piggery effluent ponds. 1. Laboratory-scale trials
CN110590425A (zh) 一种有氧堆肥反应装置
Hawkes et al. Design and operation of laboratory-scale anaerobic digesters: Operating experience with poultry l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