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291B1 - 제어가 용이한 연수기의 재생통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 - Google Patents

제어가 용이한 연수기의 재생통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291B1
KR100817291B1 KR1020070002397A KR20070002397A KR100817291B1 KR 100817291 B1 KR100817291 B1 KR 100817291B1 KR 1020070002397 A KR1020070002397 A KR 1020070002397A KR 20070002397 A KR20070002397 A KR 20070002397A KR 100817291 B1 KR100817291 B1 KR 100817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generation
softener
brick
regen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철
천상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Priority to KR1020070002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291B1/ko
Priority to PCT/KR2007/003097 priority patent/WO200800206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가 용이한 연수기의 재생통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수통의 재생을 위한 재생제를 벽돌형으로 구비하고 이 벽돌형 재생제를 저장하는 재생제 바스켓을 구비하며, 재생 과정에 따른 물 공급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연수기의 재생통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수기의 연수통 재생을 위한 재생수를 공급하는 재생통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의 케이스 상단에 장착되며 소정 위치에 물 공급구를 구비하고 하부에 재생수 공급구를 구비하는 재생수 저장통; 및 상기 재생수 저장통의 상부에 구비되며 벽돌 형상으로 성형된 벽돌형 재생제를 저장하는 재생제 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재생통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를 제공한다.
연수기, 재생, 소금, 자동 재생, 수위 센서

Description

제어가 용이한 연수기의 재생통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Easily Controllable Regenerant Tank of Water Softener, and Water Softener Using the Same}
도 1은 통상적인 연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재생통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 재생통을 설치한 연수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 재생통에 구비되는 재생제 바스켓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 재생통에 구비되는 재생제 바스켓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생통을 구비한 연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생통을 구비한 연수기의 작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수기 3 : 전처리 필터
5 : 연수통 7 : 후처리 필터
10 : 재생통 12 : 재생수 저장통
20 : 수위 센서 24 : 재생제 센서
26 : 재생제 바스켓 32 : 벽돌형 재생제
34 : 케이스 커버 40 : 연수기 케이스
70 : 제어부
본 발명은 제어가 용이한 연수기의 재생통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수통의 재생을 위한 재생제를 벽돌형으로 구비하고 이 벽돌형 재생제를 저장하는 재생제 바스켓을 구비하며, 재생 과정에 따른 물 공급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연수기의 재생통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생활에 사용하는 물은 통상 연수(soft water)와 경수(hard water)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은 칼슘이온(Ca2 +)과 마그네슘이온(Mg2 +)이 다량으로 함유된 경수이다. 특히 수돗물에는 노후된 관에서 비롯된 철(Fe), 구리(Cu), 주석(Sn), 아연(Zn), 수은(Hg) 등의 중금속 이온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사용할 경우 피부 노화를 촉진하거나 아토피 질환과 같은 피부병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돗물을 연수로 변환시키기 위해 많은 가정에서 연수기(water softner)를 사용하고 있다. 연수기는 수돗물 등에 함유된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시켜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킨다. 즉, 연수기에 구비된 이온교환수지는 원수, 즉 수돗물에 함유된 칼슘이온(Ca2 +)과 마그네슘이온(Mg2 +)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연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통상적인 연수기(1)는 전처리 필터(3), 연수통(5), 후처리 필터(7) 및 재생통(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처리 필터(3)는 급수구로부터 공급된 물(이하, '원수'라 한다)에 포함된 부유 물질이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수통(5)은 내부에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여 원수에 포함된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후처리 필터(7)는연수통을 통과한 물(이하, '연수'라 한다)을 2차 처리하여 특별한 향을 첨가하거나 음이온 처리 등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급수구로부터 공급된 원수는 전처리 필터(3)에서 1차 처리된 후 연수통(3)에서 연수로 변환되고 후처리 필터(7)에서 2차 처리되어 출수구로 배출된다.
한편, 연수통(5)에 내장되는 이온교환수지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이온교환수지 내에 포함되는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을 제거시키고 나트륨 이온(Na+)으로(경우에 따라서는 칼륨 이온(K+)으로) 치환시켜 이온교환 능력을 회복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통상 "재생"이라 호칭한다. 재생 과정을 위해 연수기(1)는 재생통(9)을 구비하는데, 재생통(9)은 소금(NaCl)과 같은 재생제를 저장하여 이를 물로 용해시킨 후 연수통(5)으로 공급하여 연수통 내의 이온교환수지에 나트륨 이온을 보충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 재생통(9)에 사용되는 재생제는 소금 또는 염화칼륨 등을 분말 형태 또는 과립상으로 이루어지며, 재생시 사용자가 재생제를 재생통(9)에 매번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바둑알 형태로 성형된 소금을 재생제로 공급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재생제 공급 방식은 사용자가 매번 일정량의 재생제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많은 불편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 연수기의 자동 재생에 관한 기술들이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재생제 공급 방식으로는 자동 재생의 효과를 충분히 달성하기 어렵고 재생과정에 대한 제어가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더불어 분말 형태 또는 바둑알 형태의 재생제를 연수기 재생통에 구비시킨 후 일정량씩 물에 용해시킨다고 하더라도 물에 용해되는 양을 일정하게 유지, 즉 재생제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재생 과정에 대한 제어가 우수한 연수기의 재생통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수통의 재생을 위한 재생제를 벽돌형으로 구비하도록 하고 벽돌형 재생제를 저장하는 재생제 바스켓을 구비하여 재생 과정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는 재생통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 과정에 따른 물 공급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재생제의 유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통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수기의 연수통 재생을 위한 재생수를 공급하는 재생통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의 케이스 상단에 장착되며 소정 위치에 물 공급구를 구비하고 하부에 재생수 공급구를 구비하는 재생수 저장통; 및 상기 재생수 저장통의 상부에 구비되며 벽돌 형상으로 성형된 벽돌형 재생제를 저장하는 재생제 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재생통을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재생수 저장통의 측부에는 재생통 저장통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수위 센서와, 상기 벽돌형 재생제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재생제 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벽돌형 재생제를 저장하는 재생제 바스켓을 용이하게 장탈착하기 위한 구조와 상기 벽돌형 재생제의 빠른 용해를 확보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벽돌형 재생제는 소금 또는 염화칼륨 분말을 고온, 고압하에서 소결하여 벽돌형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경수를 연수로 전환하는 연수통을 구비하는 연수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재생통과, 연수 및 재생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연수통이 일정 유량 이상의 원수를 처리시킨 후 상기 재생통을 이용한 재생 모드를 자동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재생통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 재생통을 설치한 연수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재생통(10)은, 재생수 저장 통(12), 재생제 바스켓(26), 및 상기 재생제 바스켓(26)에 포함되는 벽돌형 재생제(3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통(10)은 재생수 저장통(12)에 수위 센서(20) 및 재생제 센서(24)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재생통(10)은 연수기 케이스(40)의 상단에 장착된다.
재생수 저장통(12)은 연수통(5)의 재생 또는 린스를 위한 물을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생수 저장통(12)의 측부에는 재생수 저장통(12)의 수위를 전자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위 센서(20)가 장착되는 수위센서 장착부(14)가 구비되고, 또 다른 측부에는 재생제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재생제 센서(24)가 장착되는 재생제센서 장착부(16)가 구비된다. 재생수 저장통(12)의 내측 소정 위치에는 물 보충구(18)가 구비되어 필요시 물을 재생수 저장통(12)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위 센서(20)는 재생수 저장통(12)의 수위를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단 센서(22a), 2단 센서(22b), 및 3단 센서(22c)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1단 센서(22a)는 최저 수위를 계측하기 위한 것이며, 2단 센서(22b)는 린스를 위한 수위를 계측하기 위한 것이고, 3단 센서(22c)는 재생을 위한 수위를 계측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3단 센서(22c)의 높이는 재생제(32)의 하부를 잠기게 할 정도이며, 2단 센서(22b)는 재생제(32)가 물에 잠기지 않을 높이로서 연수통(5)의 린스를 위해 필요한 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
재생을 위해서는 벽돌형 재생제(32)를 물에 용해시켜야 하는데, 3단까지 물을 보충하는 경우 수위는 벽돌형 재생제(32)의 하단부까지 차도록 구성된다. 이 상 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벽돌형 재생제(32)가 일정량 물에 용해된다. 벽돌형 재생제(32)는 그 용해 정도에 따라 높이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매번 일정량씩 재생에 필요한 벽돌형 재생제(32)의 일부가 물에 용해된다.
3단 수위까지 보충된 물은 재생수 저장통(12)의 하부에 구비된 재생수 공급구(38)를 통해 연수통(5)으로 공급된다. 수위 센서(20)가 수위가 1단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측정하면, 재생수의 공급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다.
재생수 공급을 완료한 후 정상적인 연수 공급을 위해서는 연수통(5) 내부를 린스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재생수 저장통(12)에 수위 센서(20)의 2단 높이까지 물을 보충한다. 수위 센서(20)의 2단 높이에서는 물이 벽돌형 재생제(32)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다. 물이 2단 높이까지 재생수 저장통(12)에 공급된 이후 재생수 저장통(12)에 저장된 물을 연수통(5)으로 공급하여 연수통(5)을 린스시킨다. 이후 수위가 1단 센서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린스 과정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재생제 센서(24)는 재생제(32)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생제(32)가 소정량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에게 경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기준 신호를 생성한다. 재생제 센서(24)의 정확한 센싱이 가능한 이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생제(32)는 벽돌형으로 구성되므로 매 재생시마다 일정 높이만큼 재생제(32)의 크기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재생제 바스켓(26)은 재생수 저장통(12)의 상부에 구비된다. 재생제 바스켓(26)의 하부에는 다수의 물 유입공(28)이 구비되어 재생수 저장통(12)에 물이 공 급되어 수위가 올라가게 되면 재생제 바스켓(26)에 저장되는 재생제(32)의 하부에 물이 차게 된다.
재생제 바스켓(26)을 재생수 저장통(12)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구성의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수기 케이스(40)의 상부에 구비되는 케이스 커버(34)를 이용할 수 있다. 재생제 바스켓(26)의 상부 측단에는 결합 돌기(30a, 30b)를 구비하고, 케이스 커버(34)의 상부 저면에 상기 결합 돌기(30a, 30b)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36a, 36b)을 구비하여 결합 돌기(30a, 30b)를 슬라이드홈(36a, 36b)에 슬라이드 결합시킴으로써 재생제 바스켓(26)을 재생수 저장통(12)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성은 한편으로서는 재생제 바스켓(26)을 케이스 커버(34)에 용이하게 장탈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재생제 바스켓(26)에 보관되는 벽돌형 재생제(32)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 중 하나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생제는 벽돌형 재생제(32)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여기서 벽돌형 재생제(32)는 소금 또는 염화칼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벽돌형 재생제(32)는 소금 또는 염화칼륨을 고온, 고압하에서 소결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분을 함유한 소금 또는 염화칼륨을 분말 형태로 구비한 후, 이를 벽돌 형태로 내부가 비어 있는 성형기에 공급하고, 고온 환경에서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압하여 내부 간극을 제거함으로써 벽돌형 재생제(32)를 완성한다. 이때 수분을 함유한 소금 또는 염화칼륨 분말은 소정 크기 이하로 분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금 또는 염화칼륨 분말 속에 함유된 수분은 입자가 상호 접착되도록 하는 보조 기능을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성형시에 고온의 증기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온 및 고압 분위기에서 성형된 벽돌형 재생제(32)는 자체 결합력으로 그 형상을 유지하며, 내부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 물로 용해시킬 때 내부 간극으로 물이 스며들어 충분히 용해될 수 있다. 벽돌형 재생제(32)는 매 재생시마다 일정 높이만큼씩 물에 용해될 수 있도록 되어 재생 과정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재생통(10)의 재생제 바스켓(26)의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 재생통에 구비되는 재생제 바스켓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 재생통에 구비되는 재생제 바스켓의 단면도이다.
종래 재생제로 사용되던 분말이나 바둑알 형태의 재생제의 경우에는 이를 내부에 망이 구비된 통에 담더라도 물이 충분히 하부까지 미칠 수 있었으나, 벽돌형 재생제(32)의 경우에는 벽돌형 재생제(32)의 하부면이 재생체 바스켓(26)의 저면과 모두 접하게 되면 용해에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재생제 바스켓(26)의 저면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용해 보조부(44)가 형성된다. 용해 보조부(44)는 벽돌형 재생제(32)의 하부에 골을 형성하게 되어 물이 벽돌형 재생제(32)의 하방에 충분히 접하도록 한다. 용해 보조부(44)는 내부에 공간을 이루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재생제 바스켓(26)의 저면은 용해 보조부(44)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용해 보조부(44)의 구성은 재생제 바스켓(26)의 저면에 벽돌형 재생제(32)의 하부면이 모두 접하여 벽돌형 재생제(32)의 용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재생제 바스켓(26)의 내면에는 벽돌형 재생제(32)를 용이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메쉬 형태의 보관망(42)이 구비된다.
이러한 재생통(20)을 구비한 연수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생통을 구비한 연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생통을 구비한 연수기의 작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연수기의 연수 모드 및 재생 모드의 작동을 설명한다.
연수 모드에 있어서는 제어부(70)는 급수 밸브(50)는 개방하고 재생수 보충밸브(56)는 폐쇄시킨 상태로 유지한다. 급수구에서 공급된 원수는 전처리 필터(3)를 거쳐 연수통(5)으로 공급된 후 제 2 체크밸브(54)를 통과하여 후처리 필터(7)로 공급된 후 출수구로 배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연수통(5)에 공급되는 원수의 양을 점검하기 위한 유량 센서(52)가 구비된다. 도 6에서는 유량 센서(52)가 연수통(5) 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유량 센서(52)는 연수통(5) 후단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제어부(70)는 급수 밸브(50)는 폐쇄시킨 상태에서 재 생수 보충밸브(56)를 개방하여 물 보충구(18)를 통해 재생수 저장통(12)에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재생수 저장통(12)의 수위 센서(20)의 3단 수위까지 물을 공급되도록 한 후 재생수 보충밸브(56)를 패쇄한다. 3단 수위에서는 물이 재생제 바스켓(26) 내의 벽돌형 재생제(32)의 하단 소정 위치까지 차게 된다. 벽돌형 재생제(32)가 용해될 수 있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어부(70)는 드레인 밸브(60)를 개방하여 재생수 저장통(12)의 재생수가 제 1 체크밸브(58)를 거쳐 연수통(5)에 공급된 후 드레인 출수구로 배출되도록 한다.
수위 센서(20)가 재생수 저장통(12)의 수위가 1단 수위 이하로 떨어진 것을 검출하면 제어부(70)는 드레인 밸브(60)를 폐쇄하고 재생수 보충밸브(56)를 개방하여 재생수 저장통(12)에 2단 수위까지 물이 보충되도록 한다. 그 후 제어부(70)는 다시 드레인 밸브(60)를 개방하여 재생수 저장통(12)에 저장된 물을 연수통(5)으로 공급하여 연수통(5)을 린스한다.
연수통(5)의 재생은 사용자가 일정 주기별로 수동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어부(70)가 유량 센서(52)를 이용하여 연수통(5)에서 처리된 원수의 적산량을 확인한 후 처리된 원수량이 일정 양 이상이 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재생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는 디스플레이부(72)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부(72)는 시각 또는 청각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연수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2)는 연수기가 연수 모드에 있는지 재생 모드에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생제 센서(24)가 벽돌형 재생제(32)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부(72)를 통해 재생제의 보충을 표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벽돌형 재생제를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재생시 매번 재생제를 연수기에 공급하여야 하는 불편을 덜 수 있으며, 재생시마다 일정량의 재생제가 녹도록 할 수 있고, 재생 과정에 따른 물 공급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연수기의 자동 재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연수기의 연수통 재생을 위한 재생수를 공급하는 재생통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의 케이스 상단에 장착되며 물 보충을 위한 물 공급구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수를 배출하는 재생수 공급구를 구비하는 재생수 저장통; 및
    상기 재생수 저장통의 상부에 구비되며 벽돌 형상으로 성형된 벽돌형 재생제를 저장하는 재생제 바스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재생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 저장통의 측부에는 상기 재생수 저장통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수위 센서가 구비되되,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연수통에 재생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위와 상기 연수통의 린스를 위한 수위를 각각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재생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 저장통에는 상기 벽돌형 재생제의 존재를 검출하는 재생제 센서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재생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제 바스켓은, 물이 소통되도록 저면에 물 유입공이 구비되며, 저면 중앙부에는 내부에 공간을 이루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용해 보조부(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재생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제 바스켓의 상부 측단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연수기의 케이스의 케이스 커버 상부 저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재생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형 재생제는,
    소금 또는 염화칼륨 분말을 고온, 고압하에서 소결하여 벽돌형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재생통.
  7. 경수를 연수로 전환하는 연수통을 구비하는 연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생통; 및
    연수 모드 및 재생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연수통에서 처리된 원수의 유량을 기준으로 상기 재생통을 이용한 재생 모드를 자동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제 센서의 센싱 결과 벽돌형 재생제가 소모된 경우 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KR1020070002397A 2006-06-26 2007-01-09 제어가 용이한 연수기의 재생통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 KR100817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397A KR100817291B1 (ko) 2007-01-09 2007-01-09 제어가 용이한 연수기의 재생통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
PCT/KR2007/003097 WO2008002062A1 (en) 2006-06-26 2007-06-26 Water softe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397A KR100817291B1 (ko) 2007-01-09 2007-01-09 제어가 용이한 연수기의 재생통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291B1 true KR100817291B1 (ko) 2008-03-27

Family

ID=3941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397A KR100817291B1 (ko) 2006-06-26 2007-01-09 제어가 용이한 연수기의 재생통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2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4257A (ja) * 2009-05-28 2010-12-09 Woongjin Coway Co Ltd 再生水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069014B1 (ko) * 2009-05-28 2011-09-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재생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86538B1 (ko) * 2008-11-07 2011-11-23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연수기의 재생수 제조 유니트
KR101677964B1 (ko) 2009-08-25 2016-11-30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의 자동재생방법
CN111718011A (zh) * 2019-07-26 2020-09-29 开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软水机和软水处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768A (ko) * 2003-04-28 2004-11-16 (주)진성 연수기용 재생제 카트리지 및 이 카트리지가 내장된연수기
KR20060042581A (ko) * 2004-11-10 2006-05-15 신아에이티(주) 연수기용 재생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768A (ko) * 2003-04-28 2004-11-16 (주)진성 연수기용 재생제 카트리지 및 이 카트리지가 내장된연수기
KR20060042581A (ko) * 2004-11-10 2006-05-15 신아에이티(주) 연수기용 재생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538B1 (ko) * 2008-11-07 2011-11-23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연수기의 재생수 제조 유니트
JP2010274257A (ja) * 2009-05-28 2010-12-09 Woongjin Coway Co Ltd 再生水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069014B1 (ko) * 2009-05-28 2011-09-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재생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480966B2 (en) 2009-05-28 2013-07-09 Woongjin Coway Co., Ltd. Apparatus for producing regenerative water for a water softener
KR101677964B1 (ko) 2009-08-25 2016-11-30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의 자동재생방법
CN111718011A (zh) * 2019-07-26 2020-09-29 开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软水机和软水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291B1 (ko) 제어가 용이한 연수기의 재생통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
JP4844724B2 (ja) イオン交換装置の制御方法
CN101808563B (zh) 包括水软化装置的载水家用电器
US7988790B2 (en) Washing appliance water softener
KR20150029416A (ko) 연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CN101570932A (zh) 一种具有改进水路的洗衣机
CN101191298B (zh) 洗衣机给水装置
US8480966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regenerative water for a water softener
KR200442324Y1 (ko) 수온 센서와 수위 센서가 장착된 재생통을 구비하는 연수기
KR102223012B1 (ko) 연수기의 분리 가능한 재생통 및 재생통의 드레인 바스켓
KR100341937B1 (ko) 세탁기
WO2012053098A1 (ja) 給湯システム
KR101595571B1 (ko)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 및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의 자동 재생 방법
JP5714278B2 (ja) 軟水化装置およびイオン交換樹脂再生装置、軟水化装置の再生システム
WO2008002062A1 (en) Water softening device
KR101086538B1 (ko) 연수기의 재생수 제조 유니트
JP2015166067A (ja) イオン交換装置
EP1137488A1 (en) Device for regenerating an ion exchange cartridge
KR20130000713A (ko) 재생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수 제조 방법
KR102592788B1 (ko) 연수기의 재생 수행 방법
KR102434800B1 (ko) 태블릿형 재생제를 이용한 재생통 및 이를 이용한 재생수 생성 방법
JPH11221397A (ja) 洗濯機
KR100773805B1 (ko) 연수통의 손상을 방지하고 재생작업시에도 출수구로 물이 공급되는 연수기
JP2010104907A (ja) 軟水化システム、並びに、給湯システム
KR102447481B1 (ko) 승하강식 통과부재를 구비한 재생통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