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139B1 -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139B1
KR100817139B1 KR1020070036620A KR20070036620A KR100817139B1 KR 100817139 B1 KR100817139 B1 KR 100817139B1 KR 1020070036620 A KR1020070036620 A KR 1020070036620A KR 20070036620 A KR20070036620 A KR 20070036620A KR 100817139 B1 KR100817139 B1 KR 100817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alcined dolomite
stacking
construction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충호
추종호
김우근
안상준
전해종
홍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주식회사 케이씨씨
주식회사 고려시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주식회사 케이씨씨, 주식회사 고려시리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Priority to KR1020070036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13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36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by subjecting soil to stabilis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토목공사가 시행되는 지역의 최하층에 일반 성토층을 적층하는 단계; 유출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상기 일반 성토층의 외측에 배수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일반 성토층의 외측 상부에 제1토사다이크를 설치 및 상기 제1토사다이크 상부에 방수시트 깔기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유출수를 중화시켜 상기 배수장치로 배수시키기 위해 상기 일반 성토층의 상부에 제1하소백운석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1하소백운석층의 외측 상부에 제2토사다이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하소백운석층의 상부에 제1암버럭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1암버럭층의 상부에 제2하소백운석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최상층의 상부에 노상층 및 포장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토목공사 등에 의해 발생되는 암버럭에 의한 산성수를 중성화시켜, 주변 환경의 오염을 차단할 수 있다.
암버럭, 황철석, 하소백운석

Description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OF WASTEROCKS IN PUBLIC WORKS}
도 1은 토목공사의 전체적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공 전 환경조사 단계의 세부적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에 의해 시행한 토목공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소백운석을 이용하여 광산개발이나 토목공사 중에 발생되는 암버럭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광산개발 또는 상기 토목공사시에는 황철석 등과 같은 상기 암버럭이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황철석은 대기중의 물과 접촉하면 쉽게 산화되어 산성수를 발생시키며, 본 산성수는 상기 황철석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을 용출시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킨다.
종래에는 상기 황철석 등과 같은 상기 암버럭의 산성화를 막기 위하여 본 암버럭이 물과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법으로서 매립법, 고형화법 등을 이용하였다.
여기서, 상기 매립법의 경우, 우기시 침출수가 토양이나 하천수로 흘러들어 생태계를 위협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매립법의 경우, 매립에 소용되는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고형화법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암버럭의 고형화 처리로 유해성분의 유출속도를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고형화 처리된 물질의 처리비용과 운반비용이 증가하여 시공비가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상기 황철석 등과 같은 상기 암버럭을 처리하는 다른 방법으로 생석회나 소석회 등과 같은 알칼리제를 이용하여 상기 암버럭을 알칼리제로 피복하여 안정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의 경우, 소석회의 밀도와 입자가 낮아 바람에 의해 주변의 논이나 과수원의 과실 등에 분진이 내려앉아 과실 발육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비록, 상기 소석회 등을 토사와 혼합하여 시공한다 하더라도 토사를 혼합할 수 있는 별도의 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며, 또한 혼합 과정과 혼합물의 시공시 많은 양의 분진 발생으로 인해 민원을 야기하여 생산 및 시공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소석회 등을 과량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주변환경을 강알칼리화 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소백운석을 이용하여 광산개발이나 토목공사 중에 발생하는 황철석과 같은 암버럭을 물과 공기의 접촉을 근원적으로 차단시켜 산성화된 유출수가 하천으로 유입하여 토양을 산성화시키고 중금속을 방출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a) 토목공사가 시행되는 지역의 최하층에 일반 성토층을 적층하는 단계; (b) 유출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상기 일반 성토층의 외측에 배수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일반 성토층의 외측 상부에 제1토사다이크를 설치 및 상기 제1토사다이크 상부에 방수시트 깔기를 실시하는 단계; (d) 상기 유출수를 중화시켜 상기 배수장치로 배수시키기 위해 상기 일반 성토층의 상부에 제1하소백운석층을 적층하는 단계; (e) 상기 제1하소백운석층의 외측 상부에 제2토사다이크를 설치하는 단계; (f) 상기 제1하소백운석층의 상부에 제1암버럭층을 적층하는 단계; (g) 상기 제1암버럭층의 상부에 제2하소백운석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h) 최상층의 상부에 노상층 및 포장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버럭 처리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h)단계는 시공에서 요구되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e)단계 내지 상기 (g)단계를 반복하여 시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소백운석층은 입경이 10mm 이하인 상기 하소백운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c)단계는 상기 유출수가 내부로 흐르도록 상기 제1토사다이크의 상부가 내부로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면에 방수 시트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유출수가 방류되는 유공관과, 상기 유출수를 집수하는 집수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수정은 내산성의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a)단계는, 시공 전, 과거 환경피해를 조사하는 단계; 주변 환경의 피에이치(pH) 지수 및 중금속성분을 조사하는 단계; 시공 예정지역의 지하수위를 조사하는 단계; 시공방법을 선정하는 단계; 및 시공 후의 토양오염도 및 환경 피해를 예측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은, 토목공사가 시행되는 지역의 최하층에 일반 성토층(10)을 적층하는 단계(S201); 유출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상기 일반 성토층(10)의 외측에 배수장치(20) 를 설치하는 단계(S202); 상기 일반 성토층(10)의 외측 상부에 제1토사다이크(41) 및 상기 제1토사다이크(41) 상부에 방수시트(41-1) 깔기를 실시하는 단계(S203, S204); 상기 유출수를 중화시켜 상기 배수장치(20)로 배수시키기 위해 상기 일반 성토층(10)의 상부에 제1하소백운석층(31)을 적층하는 단계(S205); 상기 제1하소백운석층(31)의 외측 상부에 제2토사다이크(42)를 설치하는 단계(S206); 상기 제1하소백운석층(31)의 상부에 제1암버럭층(51)을 적층하는 단계(S207); 상기 제1암버럭층(51)의 상부에 제2하소백운석층(32)을 적층하는 단계(S208); 및 최상층의 상부에 노상층(60) 및 포장층(70)을 적층하는 단계(S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은 광산개발이나 토목공사 중에 발생하는 황철석(黃鐵石, FeS2)이 우수나 지하수 등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산성수의 유출에 따른 주변환경 오염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토목공사의 전체적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공 전 환경조사 단계의 세부적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에 의해 시행한 토목공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산성수를 중성화시키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 전 조사 단계(S100), 시공 단계(S200) 및 시공 후 관리 단계(S300) 등으로 나누어 제반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시공 전 조사 단계(S100)에서는 공사착공 전 신규도로 발생으로 인해 터널이나 절개지가 시공될 예정지역의 주변도로 또는 석산 등의 과거 환경피해유무를 조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1).
상기 과거 환경피해 조사 단계(S101)에서 환경피해가 있었다고 조사되었을 경우, 그 지역의 흙이나 암석을 채취하여 도로 노선 설계를 위해 시행되었던 설계 보링 자료 및 시료와 함께 피에이치(pH;수소이온 지수) 지수 및 성분 분석 단계를 실시한다(S102).
그리하여, 상기 피에이치 지수 및 성분 조사 단계(S102)를 통해 환경피해를 발생시키는 유해 물질의 유무를 조사한다.
다음, 공사 예정지역의 지하수위를 조사하고 지하수의 최대 상승 높이를 예측 조사한다(S103).
다음, 상기 피에이치 지수 및 중금속 성분 조사 단계(S102)에서 상기 황철석과 같은 유해 물질이 있다고 판별되었을 경우, 그 주변의 흙이나 노출된 암석을 채취하여 적정한 처리방법을 선정한다(S104).
이때, 상기 시공방법 선정 단계(S104)의 적정한 처리방법은 채취된 흙이나 암석에 대해 장기용출시험 등을 이용하여 피에이치 지수 및 중금속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고, 용액의 피에이치 지수를 고정한 상태에서 흙이나 암석의 피에이치 지수의 변화를 측정하여 적정한 처리방법을 선정한다.
종래의 황철석 처리방법은 중화제를 이용한 산의 중화 및 중금속 유출을 차단하는 방법이 있었다.
흔히 알려진 상기 중화제로는 알칼리성의 석회류인 소석회, 생석회, 석회암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은 하소백운석(CaOMgO)을 중화제로 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 하소백운석은 백운석(白雲石, CaMg(CO3)2)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다음 식 1)과 같이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7028515800-pat00001
식 1)
산화마그네슘(MgO)은, 물에서의 용해도가 100g당 약 0.00062g으로서 소석회의 0.185g에 비해 낮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적니(赤泥, red mud)를 사용하는 등의 추가 작업이 불필요하며, 과량의 사용으로 인한 주변환경의 알칼리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상기 황철석과 반응하여 황산마그네슘(MgSO4)를 형성하는데, 공통 이온효과로 인해 상기 황철석의 용해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으로도 중화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소백운석은 상기 석회석이나 상기 백운석에 비해 단위 무게당 함유하고 있는 알칼리성분이 높기 때문에 산성 중화력이 커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으로 중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는 상기 소량의 하소백운석으로 상기 황철석과 같은 상기 암버럭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하소백운석은 반응성 향상을 위해서 미분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투수성 및 작업성을 위해서 적정 입도의 조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황철석을 처리하는 구간에서의 유공관(21)을 설치하기 위한 골재로는 약 30 내지 50밀리미터[㎜]의 입도인 상기 하소백운석을 적용하였으며, 하소백운석층(30)은 약 10밀리미터[㎜]이하의 입도인 상기 하소백운석을 적용하여 시공성 향상을 도모하였다.
다음, 상기 시공방법이 선정되고 나면, 시공 후의 토양 오염도 및 주변 환경의 피해 정도를 예측 조사한다(S105).
즉, 상기 황철석을 처리하고자 하는 지역의 토양오염도 및 주변하천의 수질을 측정하여 사전 자료를 준비하는데, 이것은 상기 황철석의 성토로 인해 공사 전과 후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분쟁 가능한 민원에 대해 대응 및 대처하기 위한 자료나 공사 전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황철석 처리를 위한 시공 단계(S200)를 도 2 또는 도 4를 참조하 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황철석과 같은 암버럭 성토구간의 위치를 구분하여 설정하기 위해, 최하층에 지하수위 1미터[m] 이상까지 일정량의 일반 성토층(10)을 적층한다(S201).
다음, 상기 일반 성토층(10)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는 유출수의 배수를 위해 상기 일반 성토층(10)의 외측에 배수장치(20)를 설치한다(S202).
여기서, 상기 배수장치(20)는 직경이 약 300밀리미터[㎜]인 내산성 재질의 유공관(21)과, 본 유공관(21)에서 방류되는 유출수를 집수하는 집수정(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공관(21)은 다짐이나 충격으로 인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고압 유공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공관(21)은 상기 유출수를 상기 집수정(22)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유공관(21)의 주변은 원활한 배수 및 산성수의 중화를 위해 입경이 약 30 내지 50밀리미터[mm]인 상기 하소백운석으로 채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유공관(21)에서 배수되는 물을 집수하여 모니터링 및 처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일반 성토층(10) 양측 사면 끝단부에 집수정(22) 및 폰드(미도시)를 설치한다.
상기 집수정(22)은 상기 유공관(21)에서 배수되는 물을 집수하여 상기 폰드로 보내기 위한 시설이며, 시공 완료 후 강우의 유입이나 지하수의 상승 등으로 상기 황철석과 반응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산성수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기 위한 곳이 다.
상기 모니터링의 목적은 산성수의 발생으로 인한 중금속 유출 여부를 측정하고, 배출되는 유출수의 처리 여부를 확인하여 환경피해를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 폰드는 각각의 집수정(22)에서 집수된 물이 최종적으로 방류되기 전에 집수되는 곳으로서, 피에이치 지수 및 수질을 측정하여 이를 적정하다고 판정되는 경우 방류하는 시설이다.
종래에는 상기 집수정(22)을 콘크리트로 마련하였는데, 콘크리트 자체가 강알칼리성으로서 산성수가 배출되어도 검출되지 않고 바로 중성 또는 알칼리성을 띤 물을 채수하게 된다.
이것은 산성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서 적정하지 못한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집수정(22)은 상기 황철석 처리구간에서 배출되는 물이 외부의 조건에 의해 변화되지 않도록 내산성인 플라스틱재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 등으로 마련한다.
한편, 배출수를 모니터링하는 중에 피에이치 지수가 관리기준을 벗어난 경우, 상기 폰드에서 피에이치 지수에 따라 상기 집수정(22)에서 상기 하소백운석(산성수 발생시) 또는 황산알루미늄(알칼리수 발생시)을 상기 배출수에 투입하여 중화시킬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은 우기에는 강우시마다 상기 집수정(22) 및 폰드에 집수된 물의 피에이치 지수를 측정하며, 건기에는 일정기간 동안 월 1회 수질검사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반 성토층(10)의 외측 상부에 토사를 포설하고 다짐을 실시하여 제1토사다이크(41)를 설치한다(S203).
여기서, 토사다이크(40)는 상기 황철석 포설 구간의 범위와 구역을 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토사다이크(40)의 시공방법은 상기 황철석 포설 구간에 대해 상기 일반 성토층(10)의 외측 상면의 전 구간에 걸쳐 실시하는데, 그 상부는 내측으로 약 5 내지 10퍼센트[%] 구배로 경사지게 설치한다.
상기 토사다이크(40)의 상부를 내측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은 상기 토사다이크(40)의 내부로 침투 가능한 물이 상기 토사다이크(40) 외측으로 유출되지 않고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토사다이크(40)의 다짐도 및 다짐율은 계약된 시방에 준하여 시공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토사다이크(41)의 다짐을 완료한 후 상면에 방수시트(41-1) 깔기를 실시한다(S204).
상기 방수시트(41-1)의 역할은 유입수를 외부로 흘려 보내지 않고 상기 유공관(21)으로 유도하여 배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공관(21)까지 설치하는 것으로서, 보다 정확한 모니터링을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일반 성토층(10)의 상부에는 지하수의 상승으로 인해 유입 가능한 침투수가 상기 황철석과 반응하여 생성될 수 있는 산성수를 중화시키기 위해 입도가 약 10밀리미터[㎜]이하인 상기 하소백운석을 포설하고 다짐하여 제1하소백운 석층(31)을 적층하는데, 상기 제1토사다이크(41) 상부까지 전면적에 걸쳐 시공한다(S205).
상기 제1하소백운석층(31)은 지하수의 상승으로 물이 하부에서부터 유입될 때 토양 중화가 가능한 상기 하소백운석과 먼저 반응하여 황철석과 직접 반응하지 않도록하여 산성수의 발생을 억제시킨다.
상기 제1하소백운석층(31)의 시공시에는 바람에 의해 상기 하소백운석의 분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약 10밀리미터[mm] 이하의 상기 하소백운석을 사용하며, 부득이하게 발생 가능한 분진의 제거를 위해 적절한 함수비를 유지하여 시공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하소백운석층(31)의 외측 상부에는 제2토사다이크(42)를 설치한다(S206).
상기 제2토사다이크(42)의 시공방법은 상기 제1토사다이크(41)의 시공방법과 동일하며, 상기 제2토사다이크(42)의 상면에도 상기 방수시트(41-1) 깔기를 실시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하소백운석층(31)의 상부에는 상기 황철석 암버럭을 약 60cm씩 3층으로 재하하여 제1암버럭층(51)을 적층한다(S207).
또한, 상기 제1암버럭층(51)의 상부에는 상기 하소백운석을 이용하여 약 20㎝ 두께로 제2하소백운석층(32)을 전면적에 걸쳐 적층한다(S208).
이것은, 소량이나마 발생 가능한 침투수가 상기 황철석과 반응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면적을 상기 하소백운석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야간에 강우 발생시 상기 암버럭층(50)에 우수의 침투에 대해 대처하기 위해 일일 작업 완료시에는 상기 하소백운석층(30)을 설치하여 마감할 수 있도록 작업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다음, 시공에서 요구되는 높이까지 상기 토사다이크(40) 설치 단계(S206), 상기 암버럭층(50) 적층 단계(S207) 및 상기 하소백운석층(30) 적층 단계(S208)를 반복하여 실시한다(S209).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의 일실시예로서, 제5토사다이크(45), 제4암버럭층(54) 및 제5하소백운석층(35)까지 적층하여 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따라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33, 34는 각각 제3하소백운석층, 제4하소백운석층이며, 43, 44는 각각 제3토사다이크, 제4토사다이크이며, 52, 53은 각각 제2암버럭층, 제3암버럭층이다.
마지막으로, 최상부에 양질의 토사로 20㎝를 1층으로 하여 5회 반복 시공하는 1m 두께의 노상층(60)을 시공한다. 또한, 강우나 적설로 인해 침투 가능한 유입수를 1차적으로 차단하는 포장층(70) 및 콘크리트 또는 아스콘포장(80)을 실시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한다(S210).
한편, 시공 후에는 상기 폰드 및 상기 집수정(22) 등에서 월 1회 정기적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수질검사를 실시한다(S300).
즉, 시공 완료 후,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상기 집수정(22)과 상기 폰드, 인근 하천 등에서 일정기간 동안 월 1회의 정기적인 수질검사를 실시하고 이상 발생시 환경피해 여부 검토 및 대책 방안 등을 수립한다.
또한, 일정기간동안 수질검사 결과가 안정적으로 판단되면 검사횟수를 완화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는, 소량의 하소백운석으로 광산개발이나 토목공사시 발생하는 황철석과 같은 암버럭을 물과 공기의 접촉을 근원적으로 차단시켜 산성화된 유출수가 하천으로 유입하여 토양을 산성화시키고 중금속을 방출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Claims (7)

  1. (a) 토목공사가 시행되는 지역의 최하층에 일반 성토층을 적층하는 단계;
    (b) 유출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상기 일반 성토층의 외측에 배수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일반 성토층의 외측 상부에 제1토사다이크를 설치 및 상기 제1토사다이크 상부에 방수시트 깔기를 실시하는 단계;
    (d) 상기 유출수를 중화시켜 상기 배수장치로 배수시키기 위해 상기 일반 성토층의 상부에 제1하소백운석층을 적층하는 단계;
    (e) 상기 제1하소백운석층의 외측 상부에 제2토사다이크를 설치하는 단계;
    (f) 상기 제1하소백운석층의 상부에 제1암버럭층을 적층하는 단계;
    (g) 상기 제1암버럭층의 상부에 제2하소백운석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h) 최상층의 상부에 노상층 및 포장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버럭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단계는 시공에서 요구되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e)단계 내지 상기 (g)단계를 반복하여 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버럭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소백운석층은 입경이 10mm 이하인 상기 하소백운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버럭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유출수가 내부로 흐르도록 상기 제1토사다이크의 상부가 내부로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면에 방수 시트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버럭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유출수가 방류되는 유공관과, 상기 유출수를 집수하는 집수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버럭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은 내산성의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버럭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시공 전, 과거 환경피해를 조사하는 단계;
    주변 환경의 피에이치(pH) 지수 및 중금속성분을 조사하는 단계;
    시공 예정지역의 지하수위를 조사하는 단계;
    시공방법을 선정하는 단계; 및
    시공 후의 토양오염도 및 환경 피해를 예측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버럭 처리 방법.
KR1020070036620A 2007-04-13 2007-04-13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17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620A KR100817139B1 (ko) 2007-04-13 2007-04-13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620A KR100817139B1 (ko) 2007-04-13 2007-04-13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139B1 true KR100817139B1 (ko) 2008-03-27

Family

ID=3941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6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7139B1 (ko) 2007-04-13 2007-04-13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1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376A (ko) * 2003-09-25 2005-03-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해 중금속 성분을 함유한 발파암버럭의 안정화 처리방법
KR20060090946A (ko) * 2006-07-21 2006-08-17 (주)인텔리지오 현장 피막을 통한 산성암석배수 억제 공법
KR100693809B1 (ko) 2006-05-25 2007-03-12 손효상 황철석을 함유한 암버럭 쌓기 시 알칼리성 차수제를 이용한유출수의 중화 및 토양의 안정화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376A (ko) * 2003-09-25 2005-03-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해 중금속 성분을 함유한 발파암버럭의 안정화 처리방법
KR100693809B1 (ko) 2006-05-25 2007-03-12 손효상 황철석을 함유한 암버럭 쌓기 시 알칼리성 차수제를 이용한유출수의 중화 및 토양의 안정화장치 및 방법
KR20060090946A (ko) * 2006-07-21 2006-08-17 (주)인텔리지오 현장 피막을 통한 산성암석배수 억제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sprzyk et al. Technical solutions and benefits of introducing rain gardens–Gdańsk case study
Mayes et al. Quantifying the importance of diffuse minewater pollution in a historically heavily coal mined catchment
BR102012019092B1 (pt) Sistema de acionamento linear a partir da conversãPROCESSO DE RECUPERAÇÃO AMBIENTAL DE ÁREAS DE MINEo de movimento circular conjugado em linear, aplicRAÇÃO EXTINTAS OU EXAURIDAS ado a máquinas de extração de suco cítrico e outros equipamentos
KR100693809B1 (ko) 황철석을 함유한 암버럭 쌓기 시 알칼리성 차수제를 이용한유출수의 중화 및 토양의 안정화장치 및 방법
CN108637003A (zh) 一种基于20米以下回填土铬污染的整治方法
Mossmark et al. Hydrochemical changes caused by underground constructions—a case study of the Kattleberg rail tunnel
KR101350201B1 (ko) 산성배수 발생 암 버럭을 이용한 성토구조체
Fach et al. On-site infiltration of road runoff using pervious pavements with subjacent infiltration trenches as source control strategy
KR100817139B1 (ko)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암버럭 처리 방법
Cacciuttolo et al. Water management in the closure of tailings storage facilities
Graham et al. PAH-contaminated sediment remediation: An overview of a proposed large scale clean-up in a freshwater harbour
Witt et al. Tailings management facilities–risks and reliability
Igarashi et al. Estimation of pyrite oxidation rate by sulfate ion discharged from a catchment
Lin et al. Optimizations for tunnel drainage water system based on locations of crystallizations
Ayres et al. Closur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at CVRD Inco’s Whistle Mine, Ontario, Canada
Lidén et al. Groundwater chemistry and its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A review of four traffic tunnels in Sweden and evalu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Ouchebri et al. Closure and rehabilitation detailed design for a tailings storage facility: case study of a gold mine in Quebec, Canada
Gaidajis et al. Pilot scale field performance of a reclamation scheme for sulphidic waste rock.
Wates et al. Design of soil covers to reduce infiltration on rehabilitated opencast coal mines
Smoke Preliminary design of a treatment system to remediate acid rock drainage into Jonathan Run
Nam et al. Field Study of Recycled Concrete Aggregate in French Drain
Duma et al. ANALYSES OF" AURUL" TAILING POND SURFACE REHABILITATION-BY USING REGIONAL RESOURCES
Vanapalli et al. Review of Soil Cover Technologies for Acid Mine Drainage: A Peer Review of the Waite Amulet and Heath Steele Soil Covers
Beale Water management in gold ore processing
Mills et al. Remedial options evaluation for the abandoned Atlin Ruffner m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