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882B1 - 어소블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어소블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882B1
KR100816882B1 KR1020060003904A KR20060003904A KR100816882B1 KR 100816882 B1 KR100816882 B1 KR 100816882B1 KR 1020060003904 A KR1020060003904 A KR 1020060003904A KR 20060003904 A KR20060003904 A KR 20060003904A KR 100816882 B1 KR100816882 B1 KR 100816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parts
blending
sawdust
asso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5530A (ko
Inventor
황일수
Original Assignee
고려기와(주)
황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기와(주), 황일수 filed Critical 고려기와(주)
Priority to KR102006000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882B1/ko
Publication of KR2007007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소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어소블록에서 독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적외선의 발생 및 다공성으로 통수가 원활하여 수초(해조류포함) 및 물고기의 서식환경을 향상시키고 경량체로 구비되어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황토로 이루어진 주원료 50∼70부와 톱밥, 유연탄재, 무연탄재중에서 선택되는 부원료 30∼50부를 체적비율로 배합하는 원료배합공정과,
상기 배합된 원료에 수분함량이 20∼35중량%를 혼합하는 수분조정공정과,
상기 배합된 원료를 300∼350메시로 미쇄분쇄하는 원료분쇄공정과,
상기 분쇄된 원료를 숙성하고 이를 진공토련기를 통해 혼련한 다음 프레스에서 어소블록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품을 건조시켜서 1000∼1200℃에 소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이다.
황토, 통수성, 경량, 원적외선, 톱밥, 무연탄재, 유연탄재

Description

어소블록의 제조방법{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어소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어소블록에서 독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적외선의 발생 및 다공성으로 통수가 원활하여 수초(해조류포함) 및 물고기의 서식환경을 향상시키고 경량체로 구비되어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소블록이라 함은 수중생물의 서식에 영향을 주는 인공어초, 호안블록, 수로관등이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는 연안어장의 수산자원 확보를 목적으로 육면체형, 원통형, 요철형 등과 같은 여러형태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해양에 투기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어류나 패류, 해조류 등의 은신처, 산란장소, 증식처를 조성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바, 종래의 인공어초는 콘크리트 구조물, 폐타이어 등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사용하므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은 강알칼리성의 시멘트 독성이 용출되는 특성상 강알칼리성이 완전히 빠져나가는 동안에는 해조류 등이 부착하여 증식이 어려우므 로 해조류의 서식에 많은 시일이 걸리고 해수오염을 발생시키게 되며, 폐타이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수성이 떨어지고 타이어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해조류의 착생이 쉽지 않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안블록은 하천등의 제방역할을 하면서 수초나 미생물의 서식공간을 갖고 수초에 의해 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물고기의 서식환경을 개선하면서 친환경적인 하천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나 종래에는 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져서 상기 콘크리트 어소블록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황토로 된 주원료 50∼70부와 톱밥, 유연탄재, 무연탄재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부원료 30∼50부를 체적비율로 배합하여 어소블록을 제조함으로서 주원료인 황토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부원료는 다공성을 형성하여 통수기능을 갖도록 하면서 경량화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황토로 이루어진 주원료 50∼70부와 톱밥, 유연탄재, 무연탄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부원료 30∼50부를 체적비율로 배합하고 이들의 함유수분이 6중량% 이하가 되게 건조하여 300~350메쉬로 분쇄하고 이형재를 투입한후 프레스에서 어소블록형상으로 성형하고 1000~1200℃로 소성하여 제조되는 어소블록제조방법입니다.
상기에서 주원료인 황토는 암석이 풍화되어 만들어진 황색 또는 황갈색의 흙으로서 실리카(SiO2)와 알루미나(AL2O3)를 주성분으로 하고 산화철(Fe2O3), 산화칼륨(K2O)및 생석회(CaO)등이 미량포함된 혼합물이다.
이 황토는 주로 지름 0.002∼0.005mm의 입자크기를 가지며, 황토는 독성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약산성을 나타내므로 강알칼리성인 콘크리트를 사용할때에 해조류나 수초가 초기에 착생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황토는 생물친화적인 성분으로 구성되어 가장 친환경적인 수중조건을 제공할수 있으며, 원적외선이 발생되므로 수중의 유해 세균을 살균하여 수중생물의 번식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부원료에 사용되는 톱밥은 목재가공시에 생성되는 톱밥 또는 폐가구등을 분쇄하여 분쇄칩으로 이루어진 모든 톱밥사용이 가능하며, 유연탄재 및 무연탄재를 화력발전소등에서 유,무연탄으로 발전하면서 남는 재와 같이 유,무연탄소성후 생성되는 재를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부원료는 어소블록을 경량화하고 다공성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어소블록의 제조방법은, 황토 50∼70부와, 톱밥, 유연탄재, 무연탄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부원료 30∼50부를 체적비율로 배합하는 원료배합 공정과, 상기 원료배합물의 수분조정공정과, 미세분쇄공정과, 원료숙성 및 프레스성형공정과, 건조공정과, 소성공정을 거쳐 완제품을 만드는 습식제조수단으로 어소블록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어소블록의 또다른 제조방법은, 황토50∼70부와 톱밥, 유연탄재, 무연탄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부원료 30∼50부를 체적비율로 배합하는 원료 배합공정과, 상기 배합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공정과, 미쇄분쇄공정과, 미분쇄된 배합물에 이형재를 투입하는 공정과, 프레스성형공정과, 소성공정을 거쳐 완제품을 만드는 건식제조 방법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어소블록은 황토로 이루어진 주원료 50∼70부와 톱밥, 유연탄재, 무연탄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부원료 30∼50부를 체적비율로 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에서 황토비율을 50∼70부로 제한하는 이유는 어소블록의 내구성확보 및 충분한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가지면서 부원료 30∼50부에 의해 경량체 및 다공성으로 통수기능을 충분히 부여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의 어소블록의 제조공정은 습식제조공정 또는 건식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습식제조 공정 실시예>
황토로 이루어진 주원료 50∼70부와 톱밥, 유연탄재, 무연탄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부원료 30∼50부를 체적비율로 배합하는 원료배합공정과,
상기 배합된 원료에 수분함량이 20∼35중량%가 되게하는 수분조정공정과,
상기 배합된 원료를 150∼200메시(mesh)로 1차분쇄하고 이를 미분쇄기를 통해 300∼350메시로 2차분쇄하는 원료분쇄공정과,
상기 분쇄된 원료를 통상의 숙성실에서 숙성시킨 다음 진공토련기를 통해 혼련하여 프레스에서 성형하는 프레스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물을 건조실에서 건조하여 수분함량 7중량% 미만으로 건조시키는 건조공정과,
상기 건조품을 소성용가마에 투입하여 1000~1200℃에서 소성하는 소성공정을 거쳐 완제품을 제조하게 된다.
<건식제조공정 실시예>
황토로 이루어진 주원료 50∼70부와 톱밥, 유연탄재, 무연탄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부원료 30∼50부를 체적비율로 배합하는 원료배합공정과,
상기 배합된 원료의 수분함량을 6중량%로 건조실에서 건조하는 원료건조공정과,
상기 배합된 원료를 150∼200메시로 1차 분쇄하고 이를 미분쇄기를 통해 300∼350메시로 2차 분쇄하는 원료분쇄공정과,
상기 분쇄된 원료에 탈형이 용이하도록 탈형분리기능을 하는 통상의 이형재를 투입하는 이형재투입공정과,
상기 이형재가 투입된 원료를 프레스에서 어소블록형상으로 성형하는 프레스성형공정과,
상기 성형품을 소성용가마에 투입하여 1000∼1200℃에서 소성하는 소성공정을 거쳐 완제품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의 어소블록제조공정에서 습식제조공정은 건식제조공정에 비해 제조시간이 많이 걸리고 초기 생산시설(건조실, 토련기 등)을 구비하는데 있어서 많은 비용이 드나 구성이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만들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되고, 건식제조공정은 제조공정이 빠르고 좁은 장소에서 대량생산 및 규격화된 제품을 만들 수 있는 특징이 있으나 다양한 형태의 제품생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제품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어소블록은 주원료인 황토에 의해 황토의 원적외선방사기능과 친환경적인 수중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고 부원료로 사용되는 톱밥, 유연탄재, 무연탄재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부원료에 의해 경량성을 갖게 되어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함과 아울러 고온소성과정에서 다수의 랜덤(Random)한 미세구멍이 형성되어 통수기능을 갖게 되므로 용존산소를 증가시키고 수중식물의 서식환경을 개선시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소성과정에서 가스가 내입되고 부원료가 발열되는 과정으로 어소블록내부까지 균일한 소성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소성시간 단축과 소성에 따른 연료절감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부원료로 사용되는 유연탄재나 무연탄재는 종래에 산업폐기물로서 매립등에 의해 처리해야 하는 등 환경오염물질로 취급되는 것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되 어 환경친화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소블록은 황토에 의해 독성이 없고 원적외선이 방사되며 톱밥, 유연탄재, 무연탄재로 이루어지는 부원료에 의해 다공성을 갖게 되므로 수중생물의 서식환경을 크게 개선시켜 어족자원을 효과적으로 보호 육성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어소블록 중량을 크게 줄여 운반취급이 용이하면서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또, 소성과정에서도 부원료에 의해 어소블록내부까지 깊숙히 발열되어 균일한 소성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소성시간 단축 소성연료의 절감효과를 가져오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삭제
  2. 황토로 이루어진 주원료 50∼70부와 톱밥, 유연탄재, 무연탄재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부원료 30∼50부를 체적비율로 배합하는 원료배합공정과,
    상기 배합된 원료에 수분함량이 20∼35중량%가 되게 조정하는 수분조정공정과,
    상기 배합된 원료를 300∼350메시로 미쇄분쇄하는 원료분쇄공정과,
    상기 분쇄된 원료를 숙성하고 이를 진공토련기를 통해 혼련하여 프레스에서 어소블록형상으로 성형하는 프레스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물을 건조하여 1000∼1200℃에서 소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어소블록의 제조방법
  3. 황토로 이루어진 주원료 50∼70부와 톱밥, 유연탄재, 무연탄재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부원료 30∼50부를 체적비율로 배합하는 원료배합공정과,
    상기 배합된 원료의 함유 수분이 6중량% 이하가 되게 건조하는 원료건조공정과,
    상기 배합된 원료를 300∼350메시로 미세 분쇄하는 원료분쇄공정과,
    상기 분쇄된 원료에 탈형분리기능의 이형재를 투입하는 이형재 투입공정과,
    상기 이형재가 투입된 원료를 프레스에서 어소블록형상으로 성형하는 프레스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물을 1000∼1200℃에서 소성하는 소성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어소블록의 제조방법
KR1020060003904A 2006-01-13 2006-01-13 어소블록의 제조방법 KR100816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04A KR100816882B1 (ko) 2006-01-13 2006-01-13 어소블록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04A KR100816882B1 (ko) 2006-01-13 2006-01-13 어소블록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530A KR20070075530A (ko) 2007-07-24
KR100816882B1 true KR100816882B1 (ko) 2008-03-26

Family

ID=3850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904A KR100816882B1 (ko) 2006-01-13 2006-01-13 어소블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8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313B1 (ko) * 2011-07-28 2012-06-08 이창섭 석탄재와 패각을 이용한 보도블록 제조방법
KR20230027938A (ko) 2021-08-20 2023-02-28 이나라 굴 패각 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용 내외 장재인 타일, 블록,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건축용 내외 장재 타일, 블록, 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711Y1 (ko) 2004-06-18 2004-09-13 강정용 기능성 천연재료로 표면처리된 생태블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711Y1 (ko) 2004-06-18 2004-09-13 강정용 기능성 천연재료로 표면처리된 생태블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313B1 (ko) * 2011-07-28 2012-06-08 이창섭 석탄재와 패각을 이용한 보도블록 제조방법
KR20230027938A (ko) 2021-08-20 2023-02-28 이나라 굴 패각 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용 내외 장재인 타일, 블록,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건축용 내외 장재 타일, 블록,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530A (ko)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95731B (zh) 以江河湖海污泥和贝壳类粉为原料生产的陶粒及其制备方法
CN101585714B (zh) 一种完全利用生物污泥和淤泥制作陶粒的方法
JP2021513499A (ja) 消化物を含む建築材料
CN102603359B (zh) 粉煤灰生物滤料及其制备方法
CN106082441B (zh) 一种复合生物填料及其制备方法
KR100616454B1 (ko)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혼화용 조성물, 이를 포함한콘크리트 조성물 및 콘크리트 구조물
KR100864099B1 (ko) 인공 어초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070193061A1 (en) Building and 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16882B1 (ko) 어소블록의 제조방법
KR101778693B1 (ko) 다공 표면을 갖는 인조현무암 제조방법
KR102003705B1 (ko) 다용도 식생블록
CN109455990A (zh) 一种回收建筑垃圾再生透水砖及其制备方法
CN107216124A (zh) 一种利用污泥烧结自保温砌块及其方法
KR101008822B1 (ko) 세라믹 분말을 이용한 수질개선 및 인공어초용 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Namkane et al. Utilization of leonardite and coal bottom ash for production of ceramic floor tiles
KR101842980B1 (ko) 친환경 다공성 구형체 자갈 블럭 제조방법
KR100514928B1 (ko) 황토와 슬래그를 함유한 호안블록
JP2010131501A (ja) 汚泥造粒品の焼成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CN101767980A (zh) 一种制备粉煤灰生物陶粒的工艺方法
Jiang et al. Reuse of municipal wastewater sludge for construction material
KR100527114B1 (ko) 인공어초용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53658B1 (ko) 하수슬러지 소각회를 이용한 소성벽돌과 그 제조방법
JP2008106175A (ja) 炭焼窯、竹炭、竹炭含有コンクリート及び漆喰壁
KR100691428B1 (ko) 산업폐기물 처리용 고화제를 포함한 유색 골재 및 인공 어초, 이들 구조물의 제조 방법
KR20140017172A (ko) 폐 슬레이트 석면 무해화 및 이를 활용한 조립식 인공어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