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638B1 - Rfid를 이용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638B1
KR100816638B1 KR1020060084778A KR20060084778A KR100816638B1 KR 100816638 B1 KR100816638 B1 KR 100816638B1 KR 1020060084778 A KR1020060084778 A KR 1020060084778A KR 20060084778 A KR20060084778 A KR 20060084778A KR 100816638 B1 KR100816638 B1 KR 100816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ocation
rfid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155A (ko
Inventor
강문순
박장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ublication of KR2008000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RFID의 위치를 기반으로 휴대용 단말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은 RFID 및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RFID 리더기가 RFID 리더기의 커버리지 내에 접근한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컨텐츠 제공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가 태그정보 관리서버로 상기 태그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태그정보 관리서버가 상기 태그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RFID 태그의 소유자의 소유자정보를 추출하여 컨텐츠 중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위치정보 및 소유자정보를 참조하여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 및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60084778
위치기반, 광고, 컨텐츠, RFID, 이동통신, 휴대단말, 개인동의, 수신동의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of a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중개서버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그정보 관리서버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서버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RFID 리더기 2...RFID 태그
10...컨텐츠 제공서버 20...태그정보 관리서버
30...컨텐츠 중개서버 40...이동통신 망
50...휴대용 단말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RFID의 위치를 기반으로 휴대용 단말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및 위치를 고려하여 휴대용 단말에 소정의 컨텐츠를 전송하는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야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사용자 위치 인식 방법은 크게 네트워크(network)에 기반한 위치 인식 방법과 핸드셋(handset)에 기반한 위치 인식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네트워크에 기반한 사용자 위치 인식 방법은 여러 기지국에서 사용자 신호의 시간차를 측정한 후, 특정 위치 관련 서버에서 측정값을 기반으로 셀룰러 폰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그리고, 핸드셋에 기반한 사용자 위치 인식 방법은 핸드셋에서 여러 위성으로부터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 신호를 수신하거나,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 또는 GPS 신호와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 및 조합하여 계산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그러나, 이러한 GPS 또는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은 야외에서는 적합하나, 실내나 지하 또는 건물의 음영 지역에서는 정밀도가 매우 낮아 사용상에 여러 제한을 갖게 된다. 더 낮아가서는, 신호 감쇄 및 다중 경로 등의 문제로 인해 위치 인식이 거의 불가능하다. 즉, 기존의 사용자 위치 인식 기술은 정확도와 인식 속도 면에서 아직도 많은 한계가 있으며, GPS 신호와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실내나 지하와 같은 환경에서는 상기한 방법 조차 활용할 수가 없다.
한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 기술은 전기적인 접촉 없이 자기적 또는 전기적 필드(field)를 이용하여 RFID 태그(tag)에서 RFID 리더(reader)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즉, RFID 리더가 안테나를 통해 지속적으로 전파를 발산하고, 고유한 식별자와 데이터가 저장된 RFID 태그가 그 전파 범 위 내에 진입하면, RFID 리더는 RFID 태그의 식별자와 데이터를 읽어 들인다. 그리고, RFID 리더는 읽은 정보를 데이터 처리장치로 전송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RFID는 기계적인 접촉이 필요 없기 때문에, 마찰로 인한 손상이 없고 고속 인식이 가능하여 고속으로 움직이는 이동체 인식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RFID 리더를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실시할 지역에 설치하고, RFID가 설치된 지역에 휴대용 단말 사용자가 RFID 태그를 소지하고 이동할 경우, 휴대용 단말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RFID를 이용할 경우, 휴대용 단말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지역 내에 접근하였음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시행이 가능하다.
그러나, RFID의 경우, 보안이 취약하여 개인정보가 쉽게 유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RFID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휴대용 단말의 위치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RFID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휴대용 단말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 사용자의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RFID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컨텐츠 제공자에게 공개하지 않고 서비스를 시행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RFID 태그와 이동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에 대해 위치기반의 맞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RFID 리더기에서,
(a) 상기 사용자가 상기 RFID 리더기의 커버리지내에 진입함에 따라,상기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태그 식별정보와 리더기 식별코드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c) 상기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리더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리더기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리더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맞춤 컨텐츠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d)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휴대용 단말ID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에 대해 컨텐츠 수신 동의를 요청하고, 응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성별이나 나이 또는 위치별로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리더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 중개서버는 상기 소유자정보에 대응하는 휴대단말 가입자정보를 더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 대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RFID 리더기와 접속되어 RFID 태그와 이동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에 대해 위치에 기반한 맞춤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성별이나 나이 또는 위치별로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RFID 리더기의 위치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사용자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상기 RFID 태그의 태그 식별정보와 리더기 식별코드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리더기 식별코드에 근거하여 상기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수단;
상기 태그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나이, 성별, 개인식별 ID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사용자 식별정보 추출수단;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컨텐츠 추출수단; 및
상기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과 같은 개인 식별정보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 ID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휴대용 단말 ID에 근거하여 컨텐츠를 전송할 이동통신 단말을 구별한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가 휴대용 단말 ID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를 전송할 이동통신 단말의 휴대용 단말 ID를 획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대해 컨텐츠 수신 동의를 요청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수신동의 요청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RFID 리더기(1), RFID 태그(2), 컨텐츠 제공서버(10), 태그정보 관리서버(20), 컨텐츠 중개서버(30), 이동통신망(40),및 휴대용 단말(50)을 포함한다.
RFID 태그(2)는 통상의 RFID 태그로써, 태그 식별ID를 포함하는 태그 식별정보가 수록된다. 또한, RFID 태그(2)는 RFID 태그(2) 내에 수록된 태그 식별정보를 RFID 리더기(1)로 전송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수동식 태그, 반능동식 태그, 및 능동식 태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도 무관하다.
RFID 리더기(1)는 커버리지(100) 내에 연속적으로 특정 주파수를 발송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에 반응하는 RFID 태그(2)로부터 RFID 태그(2) 내부에 수록된 태그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RFID 리더기(1)는 컨텐츠 제공서버(10)로 상기 태그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RFID 리더기(1)는 리더기에 부여되는 리더기 식별코드를 상기 태그 식별정보와 함께 컨텐츠 제공서버(10)로 전송한다.
컨텐츠 제공서버(10)는 켄턴츠 제공 서비스를 시행하는 기관이나 사업주가 관리하는 서버로써, 컨텐츠 대상자의 위치, 연령, 주소, 성별 등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한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서버(10)는 컨텐츠 대상자의 위치, 연령, 주소, 성별 등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한 컨텐츠를 태그정보 관리서버(20) 및 컨텐츠 중개서버(30)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50)에 전송한다.
또한, 컨텐츠 제공서버(10)는 컨텐츠 전송 중개를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RFID 리더기(1)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태그 식별정보를 태그정보 관리서버(20)로 전송하고, 상기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동의를 요청한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서버(10)는 각각의 RFID 리더기(1)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RFID 리더기(1)로부터 전송받는 상기 리더기 식별코드를 참조하여 이에 대응하는 RFID 리더기(1)의 위치정보를 직접 추출한다.
또한, 대안으로써, 컨텐츠 제공서버(10)는 RFID 리더기(1)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태그정보 관리서버(20)로 상기 태그 식별정보를 전송할 때, 상기 리더기 식별코드를 함께 전송하여 리더기정보 관리서버(미 도시)에 RFID 리더기(1)의 위치정보 검색을 요청하여, RFID 리더기(1)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태그정보 관리서버(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미 도시)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RFID 태그(2) 발급시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RFID 태그(2)의 소유자의 이름, 주소, 연락처, 및 개인식별ID를 포함하는 소유자정보를 입력받고, 소유자정보를 상기 RFID 태그(2)의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상기 개인식별ID는 주민등록번호일 수 있다.
또한, 태그정보 관리서버(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컨텐츠 제공서버(10)로부터 수신한 상기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소유자 정보를 추출한다. 나아가, 태그정보 관리서버(20)는 상기 소유자 정보를 컨텐츠 중개서버(30)에 전송하고, 상기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동의를 요청한다. 또한, 태그정보 관리서버(20)가 컨텐츠 제공서버(10)로 상기 소유자정보를 전송하고, 컨텐츠 제공서버(10)에서 상기 소유자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동의를 요청할 수 있다.
컨텐츠 중개서버(30)는 상기 소유자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동의를 확인하고, 컨텐츠 수신동의를 허용한 사용자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서버(30)에 컨텐츠를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
여기서, 컨텐츠 중개서버(30)가 상기 소유자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에 컨텐츠 수신동의 확인이나 컨텐츠 전송을 의뢰하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50)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ID가 요구되는데, 이 휴대용 단말ID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소유자정보를 입력받을 때, 상기 소유자정보와 함께 입력받음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컨텐츠 중개서버(30)가 상기 RFID 태그(2)의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소유자정보를 이동통신 사업자서버(미 도시)에 전송하고, 상기 소유자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ID를 요청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ID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망(40)은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관리하는 통신망으로써, 휴대용 단말(5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자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통신 망(40)은 CDMA 이동통신망에 한정되지 않고, GSM망 및 제 3 세대 또는 제 4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도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50)은 각종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서, 웹서버와의 브라우징을 위한 수단(즉,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10)은 PDA, 셀룰러폰, PCS폰, GSM폰, W-CDMA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과 같이 디지털 컨텐츠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를 RFID 태그(2)를 이용하여 파악하고, RFID 태 그(2)에 수록된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RFID 태그(2) 소유자가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50)의 휴대용 단말ID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ID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에 컨텐츠를 전송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50)에 정확한 위치기반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RFID 태그(2)와 휴대용 단말(50)은 가능한 밀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RFID 태그(2)는 휴대용 단말(5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휴대용 단말(50)의 일 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용 단말(50)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50)과 함께 소지하고 다니는 사물 중, 개인인증이 요구되어 소유자 개인의 정보가 사전에 등록될 수 있는 물건(예컨대, 고가의 의류, 가방, 지갑, 악세사리 등)이라면 RFID 태그의 부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컨텐츠 중개서버(30)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컨텐츠 중개서버(30)는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가입자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전송에 필요한 고객행동 및 성향분석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사업자는 가입자 정보를 외부로 유출시키지 않고, 컨텐츠 전송에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컨텐츠는 사업장이나, 상품 등의 홍보를 위한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서버(10)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서버(10)는 RFID정보 관리수단(11), 위치정보 추출수단(12), RFID정보 DB(13), 컨텐츠정보 관리수단(15), 컨텐츠전송수단(16), 및 컨텐츠정보DB(17)를 포함한다.
RFID정보 관리수단(11)은 RFID 리더기(1)로부터 RFID 태그(2) 내에 수록된 태그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이 태그 식별정보를 컨텐츠 전송수단(16)에 제공한다.
또한, RFID정보 관리수단(11)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미 도시)로부터 RFID 리더기(1)의 설치시에 각각의 RFID 리더기(1)에 부여되는 리더기 식별코드 및 RFID 리더기(1)의 설치 위치를 입력받아 RFID정보 DB(13)에 저장한다.
위치정보 추출수단(12)은 RFID 리더기(1)로부터 RFID 리더기(1)에 부여되는 리더기 식별코드를 수신한다. 그리고, RFID정보 DB(13)를 참조하여 상기 리더기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RFID 리더기(1)의 설치 위치를 획득한다. 또한, 위치정보 추출수단(12)은 상기 RFID 리더기(1)의 설치 위치를 컨텐츠 전송수단(16)에 제공한다.
컨텐츠정보 관리수단(15)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미 도시)로부터 문자열, 동영상, 또는 음성 포맷의 컨텐츠를 입력받아 컨텐츠정보DB(17)에 저장한다. 이때, 컨텐츠정보 관리수단(15)은 상기 컨텐츠를 컨텐츠 종류, 컨텐츠 제공 대상 지역의 위치, 컨텐츠 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 등에 따라 분류하여 컨텐츠정보DB(17)에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전송수단(16)은 RFID정보 관리수단(11)에서 제공하는 상기 태그 식별정보를 태그정보 관리서버(20)로 전송한다. 컨텐츠 전송수단(16)이 상기 태그 식별정보를 태그정보 관리서버(20)로 전송할 때, 컨텐츠 전송수단(16)은 컨텐츠요청 식별자를 생성하고, 이 컨텐츠요청 식별자를 상기 태그 식별정보와 함께 태그정보 관리서버(20)로 전송함으로써 컨텐츠 전송을 위한 정보의 전송임을 표시한다. 예컨대, 컨텐츠 전송수단(16)은 태그정보 관리서버(20)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테이블을 표1과 같이 설정하고, 제1영역에 컨텐츠요청 식별자, 및 제2영역에 태그 식별정보를 각각 수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1영역 제2영역
컨텐츠요청 식별자 태그 식별정보
또한, 컨텐츠 전송수단(16)은 태그정보 관리서버(20)로부터 컨텐츠 중개서버(30)에서 생성되어 전송되는 컨텐츠전송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컨텐츠정보 DB(17)에서 상기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에 전송할 컨텐츠를 추출하여 태그정보 관리서버(20)를 통해 컨텐츠 중개서버(30)에 전송한다. 이때, 컨텐츠 전송수단(16)은 위치정보 추출수단(12)에서 제공하는 RFID 리더기(1)의 설치위치를 참조하여 RFID 리더기(1)의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전송수단(16)은 컨텐츠 중개서버(30)에서 전송하는 상기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정보, 예컨대, 연령, 성별, 거주지 등의 정보를 참조하여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그정보 관리서버(20)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정보 관리서버(20)는 태그정보 관리수단(21), 태그정보 분석수단(22), 및 태그정보 DB(25)를 포함한다.
태그정보 관리수단(21)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미 도시)로부터 RFID 태그(2)의 소유자의 이름과 주소와 연락처와 휴대용 단말ID를 포함하는 소유자정보 및 태그가 부착되는 상품과 상기 상품에 관련된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태그정보 DB(25)에 저장한다.
태그정보 분석수단(22)은 태그정보 DB(25)를 참조하여 컨텐츠 제공서버(10)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소유자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소유자정보를 컨텐츠 중개서버(30)에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중개서버(30)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중개서버(30)는 휴대용 단말ID 확인수단(31), 수신동의 확인수단(32), 및 전송중개수단(33)을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ID 확인수단(31)은 태그정보 관리서버(20)로부터 수신한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ID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소유자 정보는 휴대용 단말I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휴대용 단말ID 확인수단(31)은 상기 소유자정보에 수록되는 휴대용 단말ID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상기 소유자정보가 휴대용 단말ID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휴대용 단말ID 확인수단(31)은 휴대용 단말 사용자의 가입자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예컨대, 이동통신사의 가입자정보 관리서버에 상기 소유자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소유자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ID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동의 확인수단(32)은 상기 소유자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동의 의사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동의 확인수단(32)은 상기 휴대용 단말ID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에 컨텐츠 수신동의 확인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50)로부터 회송되는 값을 확인하여 컨텐츠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수신동의 확인수단(32)은 상기 태그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로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동의를 확인하기 위한 단문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문 문자 메시지는 컨텐츠 수신 허용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는 페이지와 연결되는 callback URL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50)의 상기 단문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는 페이지에서 통화버튼 또는 확인 버튼 등을 입력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50)은 무선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상기 callback URL에 연결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고, 사용자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컨텐츠 수신 허용 여부를 입력한다. 수신동의 확인수단(32)은 상기 웹페이지를 관리하는 서버(미 도시)로부터 컨텐츠 수신동의 여부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고, 컨텐츠 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수신동의 확인수단(32)은 상기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로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동의를 확인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50)로 데이터 경로를 설정하여 해당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변형 예로, 수신동의 확인수단(32)은 상기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로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동의를 확인하기 위하여 컨텐츠 종류, 컨텐츠 대상 카테고리, 및 컨텐츠 전송 대상지역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50)은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동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컨텐츠수신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가정한다. 상기 컨텐츠수신 관리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컨텐츠의 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상기 컨텐츠 수신 기준을 설정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50)이 컨텐츠 수신동의 확인수단(32)으로부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종류, 컨텐츠대상 카테고리, 및 컨텐츠 전송 대상지역 등의 정보를 수신할 경우, 수신한 상기 정보를 상기 컨텐츠수신 기준에 적용하여 컨텐츠 수신동의 결과를 생성하고, 그 결과(컨텐츠 수신동의 결과)를 컨텐츠 중개서버(30)로 회송한다. 결국, 컨텐츠 수신동의 확인수단(32)은 상기 컨텐츠 수신동의 결과를 확인하여 컨텐츠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중개서버(30)는 수신동의정보 관리수단(35) 및 수신동의정보 DB(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동의정보 관리수단(35)은 휴대용 단말(50) 사용자로부터 미리 수신동의하는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대상 카테고리, 및 컨텐츠 전송 대상지역 등을 입력받아 컨텐츠 수신동의 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컨텐츠 수신동의 환경을 수신동의정보 DB(34)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컨텐츠 중개서버(30)가 수신동의정보 관리수단(35) 및 수신동의정보 DB(36)를 더 포함하는 경우, 수신동의 확인수단(32)은 수신동의정보 DB(34)에 설정된 상기 컨텐츠 수신동의 환경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수신동의 여부를 확인하여 컨텐츠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송중개수단(33)은 컨텐츠 수신을 동의한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소유자정보를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50)에 전송할 맞춤형 컨텐츠를 추출하는데 필요한 대상자의 연령, 성별, 거주지를 포함하는 컨텐츠 대상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전송중개수단(33)은 상기 컨텐츠 대상정보를 컨텐츠 제공서버(10)로 전송하여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고, 컨텐츠 제공서버(1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ID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요소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RFID 리더기(1)가 RFID 태그(2)의 접근을 인식하기 위하여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지속적으로 송출하는 상태에서, 상기 RFID 태그(2)가 커버리지(100) 내에 접근할 경우, 상기 RFID 태그(2)는 설정된 주파수가 상기 특정 대역의 주파수와 일치함에 따라 상기 RFID 태그(2)에 수록된 태그 식별정보를 코일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S11).
RFID 리더기(1)는 상기 RFID 태그(2)에서 송출되는 상기 태그 식별정보를 코일안테나 및 RF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확인한다(S12). 그리고, RFID 리더기(1)는 상기 태그 식별정보를 컨텐츠 제공서버(10)로 전송한다(S13). 또한, S13단계에서 RFID 리더기(1)는 태그 식별정보와 더불어 리더기 식별코드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제공서버(10)는 상기 리더기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RFID정보 DB(13)에 등록된 상기 RFID 리더기(1)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S14). 그리고, 컨텐츠 제공서버(10)는 상기 태그 식별정보 및 컨텐츠 요청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테이블(표1 참조)을 생성하여 태그정보 관리서버(20)에 전송한다(S21). 여기서, 컨텐츠요청 식별자는 상기 태그 식별정보의 전송이 컨텐츠 전송을 위한 정보의 전송임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로써, 예컨대, 컨텐츠 전송을 요청할 경우에 컨텐츠요청 식별자에 할당되는 비트가 1로 설정되고, 컨텐츠전송을 요청하지 않을 경우 상기 비트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태그정보 관리서버(20)는 컨텐츠요청 식별자를 확인하여 컨텐츠 제공서버(10)가 컨텐츠를 요청하고 있을 경우, 태그정보 DB(25)를 검색하여 상기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태그(2)의 소유자의 이름, 주소,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소유자정보를 획득한다(S22).
그 후, 태그정보 관리서버(20)는 상기 소유자정보를 컨텐츠 중개서버(30)에 전송한다(S31). 이때, 상기 소유자정보와 함께 컨텐츠요청 식별자도 컨텐츠 중개서버(3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중개서버(30)는 컨텐츠요청 식별자를 확인하여 컨텐츠 제공서버(10)가 컨텐츠를 요청하고 있을 경우, 상기 소유자정보를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ID를 추출한다(S35).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단말ID가 상기 소유자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S35단계는 상기 소유자정보로부터 휴대용 단말ID를 직접 추출한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ID가 상기 소유자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휴대용 단말ID가 상기 소유자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컨텐츠 중개서버(30)가 휴대용 단말 사용자의 가입자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예컨대, 이동통신사의 가입자정보 관리서버에 상기 소유자정보를 전송하여 휴대용 단말ID의 검색을 요청하고, 상기 소유자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ID를 수신함으로써, 휴대용 단말ID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중개서버(30)는 상기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동의를 확인한다(S41, S42, S43).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공서버(30)가 상기 태그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로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허용 요청을 위한 수단을 전송한다(S41). 예컨대, 컨텐츠 수신허용 요청을 위한 수단은 컨텐츠 수신허용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는 페이지와 연결되는 callback URL을 포함하는 단문 문자 메시지일 수 있다. 컨텐츠 중개서버(30)는 상기 callback URL을 포함하는 단문 문자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50)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50)의 상기 단문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는 페이지에서 통화버튼 또는 확인 버튼 등을 입력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50)은 무선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상기 callback URL에 연결되는 웹페이지로 접속하고, 사용자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컨텐츠 수신허용 여부를 입력한다(S42). 컨텐츠 중개서버(30)는 상기 웹페이지를 관리하는 서버(미 도시)로부터 컨텐츠 수신허용 여부에 대한 결과를 수신한다(S43).
또한, 수신동의 확인수단(32)은 상기 태그정보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로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동의를 확인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50)로 데이터 경로를 설정하여 해당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동의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컨텐츠 수신허용 여부를 입력하는 단계(S42)를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 허용 의사를 휴대용 단말(50)을 통해 직접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컨텐츠 수신 허용 여부를 미리 저장할 수 있는 모듈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이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 허용 의사를 반영하여 자동적으로 컨텐츠 수신허용 여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중개서버(30)가 상기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동의를 상기 휴대용 단말(50)을 통해 진행하지 않고, 컨텐츠 중개서버(30)가 상기 휴대용 단말(50) 사용자로부터 미리 수신동의하는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대상 카테고리, 및 컨텐츠 전송 대상지역 등을 입력받아 컨텐츠 수신동의 환경을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컨텐츠 수신동의 환경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수신동의 여부를 확인하여 컨텐츠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S43단계에서, 컨텐츠 중개서버(30)는 컨텐츠수신 허용 결과를 확인하여 컨텐츠 수신동의 여부를 확인한다(S44). S44단계에서, 휴대용 단말(50) 사용자가 컨텐츠 수신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컨텐츠 중개서버(30)는 컨텐츠 전송을 중단한다. 반면, 휴대용 단말(50) 사용자가 컨텐츠 수신에 동의하였을 경우, 휴대용 단말(50) 사용자의 상기 소유자정보를 참고하여 연령, 성별, 거주지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대상정보를 생성한다(S45).
컨텐츠 중개서버(30)는 생성된 상기 컨텐츠대상정보를 상기 컨텐츠요청 식별자가 전송된 경로를 통해 컨텐츠 제공서버(10)에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S51). 이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츠 제공서버(10)는 상기 컨텐츠대상정보 및 상기 RFID 리더기(1)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S52)하고, 추출된 상기 컨텐츠를 컨텐츠 중개서버(30)로 회송한다(S53).
마지막으로, 컨텐츠를 전달받은 컨텐츠 중개서버(30)는 상기 휴대용 단말ID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다(S60).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제1실시예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제2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복수의 컨텐츠를 컨텐츠 중개서버(30)가 관리하고, 컨텐츠를 직접 추출하여 휴대용 단말(50)에 전송하는 점이 제1실시예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제1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제공서버(10)가 복수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컨텐츠 중개서버(30)로부터 컨텐츠 대상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중개서버(30)를 통해 휴대용 단말(50)로 전송한다. 그러나, 제2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컨텐츠가 컨텐츠 중개서버(30)에 데이터베이스되는 경우, 컨텐츠 중개서버(30)는 태그정보 관리서버(20)로부터 수신한 상기 소유자정보 및 컨텐츠 제공서버(10)에서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직접 휴대용 단말(50)로 전송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동작에서, S11단계 내지 S44단계의 동작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단, 제2실시예의 S21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서버(10)는 태그식별정보를 태그정보 관리수단(20)에 전송할때, 리더기의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그리고, S21단계에서 전송된 위치정보는 S31단계에서도 소유자정보와 함께 컨텐츠 중개서버(30)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컨텐츠 중개서버(30)는 S41 내지 S44단계를 통해 컨텐츠 수신을 허용한 경우, 제한적으로 상기 소유자정보 및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한다(S55). 그리고, S35단계에서 추출한 상기 휴대용 단말ID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50)로 상기 추출된 컨텐츠를 직접 전송한다(S60).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및 시스템은 다음 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RFID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지역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정확하게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컨텐츠 전송이 가능하다.
둘째, RFID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휴대용 단말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일시적으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컨텐츠 제공자에게 공개하지 않고 컨텐츠 제공서비스를 시행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자에게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는다.

Claims (18)

  1. RFID 태그와 이동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에 대해 위치기반의 맞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RFID 리더기에서,
    (a) 상기 사용자가 상기 RFID 리더기의 커버리지내에 진입함에 따라,상기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태그 식별정보와 리더기 식별코드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c) 상기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리더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리더기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리더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맞춤 컨텐츠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휴대용 단말ID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에 대해 컨텐츠 수신 동의를 요청하고, 응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주소, 연락처, 개인식별 ID와 같은 개인 식별정보와, 휴대용 단말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주소, 연락처, 개인식별 ID와 같은 개인 식별정보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사용자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 ID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신 동의 요청은, 상기 휴대용 단말 ID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에 대해 콜백 ULR을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성별이나 나이 또는 위치별로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리더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가 이동통신 단말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가 이동통신 단말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가 사용자의 소지 물품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10. RFID 리더기와 접속되어 RFID 태그와 이동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에 대해 위치에 기반한 맞춤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성별이나 나이 또는 위치별로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RFID 리더기의 위치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
    태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사용자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상기 RFID 태그의 태그 식별정보와 리더기 식별코드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리더기 식별코드에 근거하여 상기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수단;
    상기 태그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나이, 성별, 개인식별 ID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사용자 식별정보 추출수단;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컨텐츠 추출수단; 및
    상기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과 같은 개인 식별정보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 ID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휴대용 단말 ID에 근거하여 컨텐츠를 전송할 이동통신 단말을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를 전송할 이동통신 단말의 휴대용 단말 ID를 획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대해 컨텐츠 수신 동의를 요청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수신동의 요청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동의 요청수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대해 콜백 URL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수신 동의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가 이동통신 단말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가 이동통신 단말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가 사용자의 소지 물품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시스템.
  18. 삭제
KR1020060084778A 2006-06-30 2006-09-04 Rfid를 이용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816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200 2006-06-30
KR20060061200 2006-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155A KR20080003155A (ko) 2008-01-07
KR100816638B1 true KR100816638B1 (ko) 2008-03-27

Family

ID=39214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778A KR100816638B1 (ko) 2006-06-30 2006-09-04 Rfid를 이용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6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88B1 (ko) 2010-03-05 2014-07-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영역 기반 개인화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단말, usim 위치 서버 및 콘텐츠 제공 서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222A (ko) * 2002-03-28 2003-10-08 정보통신연구진흥원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040043742A (ko) * 2002-11-19 2004-05-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정보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1074A (ko) * 2004-12-01 2006-06-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Rfid 기반의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한 위치 기반모바일 정보 제공 서비스 및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연동시스템과 그 방법
KR20060067413A (ko) * 2004-12-15 2006-06-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Rfid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광고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222A (ko) * 2002-03-28 2003-10-08 정보통신연구진흥원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040043742A (ko) * 2002-11-19 2004-05-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정보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1074A (ko) * 2004-12-01 2006-06-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Rfid 기반의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한 위치 기반모바일 정보 제공 서비스 및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연동시스템과 그 방법
KR20060067413A (ko) * 2004-12-15 2006-06-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Rfid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광고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88B1 (ko) 2010-03-05 2014-07-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영역 기반 개인화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단말, usim 위치 서버 및 콘텐츠 제공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155A (ko) 2008-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74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026144B2 (en) Location tagging
KR101453317B1 (ko) 와이파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2984155A (zh) 用于处理位置信息访问请求的方法
KR101429419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95158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processing for receiving place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US89959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nd processing location information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1097568A (zh) 可动态设置的单位转换系统及其方法
KR100699157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위치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00532A (ko)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2359A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782100A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匿名配对设备发现的装置和方法
KR101262347B1 (ko) 엔에프씨 기반의 맞춤형 피오아이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100816638B1 (ko) Rfid를 이용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및 시스템
CN105163275A (zh) 一种数据发送方法、相关装置及系统
KR101380041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로그인 시스템 및 방법
KR101718975B1 (ko) 무선 태그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방법, 이를 제공하는 단말 측위 장치 및 응용 서비스 장치
KR100541992B1 (ko) 가입자 식별자 및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2152A (ko) 바이너리 씨디엠에이를 이용한 영상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ian et al. Mobility corresponding location–aware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embedded RFID platform
KR100720277B1 (ko) 이동 단말기의 단말 정보 실시간 업 데이트 방법 및 그시스템
KR20120042254A (ko) 카드 도난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5216076A (ja) 無線接続設定システムおよび無線接続設定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170059716A (ko) 음성통화만으로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910737B1 (ko)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통신 품질 확인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